KR102394335B1 - Water bottle - Google Patents
Water bo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4335B1 KR102394335B1 KR1020200083122A KR20200083122A KR102394335B1 KR 102394335 B1 KR102394335 B1 KR 102394335B1 KR 1020200083122 A KR1020200083122 A KR 1020200083122A KR 20200083122 A KR20200083122 A KR 20200083122A KR 102394335 B1 KR102394335 B1 KR 102394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bottle
- lid
- space
- user
- capac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병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펼침 상태가 달라지고 상기 몸체의 공간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의 부피를 변화시키는 용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ottle, wherein the water bottle includes a body having a space, a lid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a lid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open state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body and includes a bottom part including a capacity adjusting part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령(dumbbell)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ott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bottle that can be used as a dumbbell.
경제 수준의 발달과 산업의 발달로 인해 생활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현대인의 신체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The convenience of life has improved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physical activity of modern people is rapidly decreasing.
이로 인해, 많은 현대인이 체력은 물론 신체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고, 비만이 새로운 질병으로 대두되고 있다.Due to this, many modern people have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s of body organs as well as physical strength are deteriorated, and obesity is emerging as a new disease.
하지만, 바쁜 생활 속에서 운동을 위한 시간을 할애하기가 매우 어렵다.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llocate time for exercise in a busy life.
따라서, 시간을 할애해 헬스클럽과 같은 운동장을 방문해 운동을 하는 대신, 집에서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는 동영상이 많이 제작되어 배포되고 있다. Therefore, instead of spending time to exercise by visiting a playground such as a gym, many videos are being produced and distributed that allow you to exercise easily at home.
하지만, 집에서도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생각보다 쉬지 않으며 또한 집에서 운동을 할 경우, 동영상에서 이용하는 운동 기구를 구매해야 한다. However, exercising while watching a video at home is not as restful as expected, and if you exercise at home, you must purchase the exercise equipment used in the video.
이러한 이유로 많은 현대인들은 때와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운동을 생활화하지 못하게 된다.For this reason, many modern people are unable to make exercise a daily life due to time and place constraint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할 수 있는 물병을 운동기구로 이용하여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xercis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y using a portable water bottle as a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물병에 채워지는 물의 양에 무관하게 물병이 안정적인 운동기구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by allowing the water bottle to be used as a stable exercise devic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water bott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물병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펼침 상태가 달라지고 상기 몸체의 공간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의 부피를 변화시키는 용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A water bott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ody having a space, a lid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unfold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bottom part including a capacity adjusting part which changes state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body to change the volume of the space.
상기 용량 조절부의 측면은 외력에 의해 단계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capacity adjusting unit may have a multi-stage structure that is expanded or folded in stages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용량 조절부의 측면은 외력에 의해 단계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dose adjusting unit may have a wrinkled structure that is unfolded or folded in stages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용량 조절부는 수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apacity adjusting unit may have a watertight structure.
상기 용량 조절부는 합성 수지재를 함유할 수 있다.The capacity control unit may contain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특징에 따른 물병은 상기 용량 조절부에 연결되어 있고 외력에 위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조작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bottle according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capacity control part and changes in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or external force, and an operation button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support part. .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작버튼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분 및 상기 고정부분과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작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부분과 치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xed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and a moving portion that is screw-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상기 특징에 따른 물병은 상기 용량 조절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bottl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apacity control unit.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몸체의 공간과 연결되는 공간을 갖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d is coupled to the body and may include a lid body having a space connected to the space of the body therein and a stopper coupled to the lid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상기 뚜껑은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고 상기 뚜껑 본체의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막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d may include an outlet that passes through the stopper and is connected to the space of the lid body, and a block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상기 뚜껑과 상기 바닥부는 상기 몸체와 다른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The lid and the bottom part may contain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상기 뚜껑과 상기 바닥부의 재질의 비중은 상기 몸체의 비중보다 클 수 있다.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terial of the lid and the bottom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물병을 아령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According to these features, the user's satisfaction is improved by using the water bottle as a dumbbell.
또한, 물병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공간의 부피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물병의 무게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물병을 아령으로 이용 시 사용자의 체중과 같은 신체 특성에 따라 물병 무게를 조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병을 이용한 운동 효과가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water bottl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ace filled with the contents of the water bottle as desired by the user, when using the water bottle as a dumbbell, the weight of the water bott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bod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r's weight. Due to this, the effect of exercise using the water bottle is improved.
더욱이, 용량 조절부를 이용하여 물병의 공간 부피를 조정하므로, 물병의 내부 공간이 내용물이 꽉 차게 조정되어 물병을 아령으로 이용할 때 내용물의 위치 변동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되며 운동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Moreover, since the space volume of the water bottle is adjusted using the capacity control unit,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bottle is adjusted to be full of contents, so that when using the water bottle as a dumbbell,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location change of the contents is solved, and the exercise effect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물병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병의 용량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계적으로 펼치지는 용량 조절부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병의 용량 조절부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계적으로 펼치지는 용량 조절부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병의 용량 조절부에 대한 또 다른 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계적으로 펼치지는 용량 조절부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bottle shown in FIG. 1 .
3 (a) to (d) are views showing the capacity adjusting unit of the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capacity adjusting unit unfolding step by step.
4 (a) and (b)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apacity adjusting unit of the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apacity adjusting unit unfolding step by step.
5 (a) and (b)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apacity control unit of the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capacity control unit unfolding step by step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it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와 비교하여, 10%의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meaning that the thickness, width, or length of a component is the same i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width, or length of a second component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width, or length of a first component in consideration of process errors Therefore, it means a case within the error range of 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at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물병(1)은 아령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1 and 2, the water bottle 1 of this example may have the shape of a dumbbell.
이러한 본 예의 물병(1)은 몸체(10), 몸체(10)에 결합되는 뚜껑(20) 및 몸체(10)에 결합되는 바닥부(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 bottle 1 of this example may include a
이때, 뚜껑(20)과 바닥부(3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몸체(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At this time, the
몸체(10)는 물과 같은 내용물이 담기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빈 공간(S10)을 구비할 수 있다.The
이러한 몸체(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몸통(1) 자체를 아령과 같은 운동 기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예의 몸체(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있고, 내부가 빈 원기둥과 같은 기둥(bar)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몸체(10)의 양끝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러한 몸체(10)는 원기둥 형상, 삼각형이나 사격형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가운데 부분이 다른 가장자리 부분보다 오목하거나 볼록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본 예에서, 몸체(1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나 실리콘(silicon)과 같은 합성수지재 및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와 같은 금속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몸체(10)는 하나의 재료로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이 담기는 빈 공간(S10)과 접해 있는 몸체(10)의 제1 부분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를 함유하고, 제1 부분을 감싸고 있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2 부분은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함유할 수 있다.The
뚜껑(20)은 개방되어 몸체(10)의 일측 단부(예, 상측 단부)와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 단부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에 뚜껑(20)이 결합될 경우, 몸체(10)에 담겨있는 내용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몸체(10)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The
이러한 뚜껑(20)은 뚜껑 본체(201), 뚜껑 본체(201)에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는 마개부(202)를 구비할 수 있다.The
뚜껑 본체(201)는 몸체(10)와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나사 결합을 통해 몸체(1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The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몸체(10)의 일측 단부의 외부면에는 나사 또는 나사홈이 위치하는 결합부(11)가 위치하고, 몸체(10)의 결합부(11)에 대응되는 뚜껑 본체(20)의 하부 내부면에는 결합부(11)에 위치하는 나사나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홈 또는 나사가 위치하는 결합부(21)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a coupling part 11 having a screw or a screw groove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몸체(10)의 해당 단부에 뚜껑(20)을 위치시킨 후 제1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뚜껑(20)을 돌려 몸체(10)에 뚜껑(20)을 결합시키거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뚜껑을 돌려 몸체(10)와 결합된 뚜껑(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몸체(10)에서 뚜껑(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Due to this, the user places the
뚜껑 본체(201)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몸체(10)에 뚜껑(20)이 결합될 때, 몸체(10)의 빈 공간(S10)과 서로 통하는 내부 공간(S20)을 가운데 부분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간(S20)을 감싸고 있는 뚜껑 본체(201)의 주변부는 뚜껑(20)을 구성하는 재료로 완전히 채워져 있을 수 있다. The
마개부(2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뚜껑 본체(201)와 결합되어 있다. The
따라서, 사용자는 물통(1)에 담긴 물과 같은 내용물을 먹기 위해서는 뚜껑(10)을 여는 대신 마개부(202)를 열어 내용물을 음용하고, 내용물을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부(202)를 닫아 물통(1)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못하게 할 수 있다. 마개부(202)가 완전히 개방 상태일 때, 힌지(hinge) 구조 등과 같은 체결부(23)에 의해 마개부(202)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eat the contents such as water contained in the bucket 1, the user opens the
또한, 마개부(202)에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부(23)가 존재하여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마개부(202)가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본 예에서, 마개부(202)에는 뚜껑 본체(201)의 내부 공간(S20)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H20) 및 이 배출구(H2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막음부(C20)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배출구(H2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마개부(202)의 해당 부분을 완전히 관통해 뚜껑 본체(201)의 빈 공간(S20)과 연결될 수 있다.The outlet (H20) may be connected to the empty space (S20) of the lid body (201) by completely penetra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topper (202) as already described.
막음부(C20)는 마개부(202)의 해당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H20)를 막거나 개방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막음부(C20)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천연 고무 등을 함유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C2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배출구(H20)는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병(1)의 최대 부피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이 물병(1)에 담길 경우, 여분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다.The outlet H20 may be a hole for discharging excess contents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bottle 1 contains more content than the maximum volume of the water bottle 1 that can store the contents.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구(H20)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 여부를 확인하여 물병(1) 속에 내용물이 꽉 차 있는 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contents are full in the water bottle 1 by checking wheth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20.
본 예에서, 물병(1)의 최대 부피는 몸체(10)의 내부 공간(S10)의 최대 부피와 뚜껑(20)의 내부 공간(S20)의 최대 부피를 합친 부피일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maximum volume of the water bottle 1 may be the sum of the maximum volume of the inner space S10 of the
이처럼, 서로 결합되는 뚜껑 본체(201)와 마개부(202)를 구비하는 뚜껑(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이나 타원형의 볼(ball) 형상이나 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이러한 뚜껑(20)이 몸체(10)의 해당 단부에 결합되면 아령의 중량물부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바닥부(30)는 물병(1)을 바닥 등에 위치시킬 때 주로 바닥면과 접하여 물병(1)을 바닥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이러한 바닥부(30)는 또한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는 물병(1)의 부피를 조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개방된 몸체(10)의 타측 단부(예 하측 단부)와 결합되어 개방된 타측 단부를 막아, 뚜껑(20)과 같이, 본 예에 따른 물병(1)의 뚜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is bottom 30 also performs a function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water bottle 1 in which the contents can be stored, and is coupled with the other end (eg, 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본 예의 바닥부(30)는 바닥부 본체(301) 및 바닥부 본체(30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용량 조절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ttom 30 of this example may include a
바닥부 본체(3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몸체(10)의 해당 부분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뚜껑(20)의 뚜껑 본체(20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몸체(10)의 해당 부분과 결합되거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이러한 몸체(10)와 바닥부 본체(301) 사이의 결합은 나사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따라서, 몸체(10)의 타측 단부의 외부면에는 나사 또는 나사홈이 위치하는 결합부(12)가 위치하고, 몸체(10)의 결합부(12)에 대응되는 바닥부 본체(301)의 내부면에는 결합부(12)에 위치하는 나사나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홈 또는 나사가 위치하는 결합부(31)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몸체(10)와 바닥부(30)의 결합부(12, 31)에 의해, 정해진 방향(예,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바닥부(30)나 몸체(10)가 회전되면 몸체(10)의 해당 단부에 바닥부(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부 본체(301)가 결합되어 개방된 몸체(10)의 해당 단부를 막거나 몸체(10)와 결합된 바닥부(30)[즉, 바닥부 본체(301)]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몸체(10)에서 바닥부(30)가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바닥부(30)의 용량 조절부(30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바닥부(3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이를 위해, 바닥부 본체(301)의 가운데 부분에는 용량 조절부(301)가 위치할 수 있는 내부 공간(S30)이 존재할 수 있다.The
이때, 내부 공간(S30)을 감싸고 있는 바닥부 본체(301)의 주변부는 바닥부(30)를 구성하는 재료로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이로 인해, 몸체(10)을 중심으로 하여 뚜껑(10)과 반대 방향에서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는 바닥부(30) 역시 뚜껑(20)과 동일하게 아령의 중량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바닥부 본체(30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공간(S30) 속에 위치하는 용량 조절부(302)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 즉 외력에 의해 단계적으로 접혀있거나 접힘 상태가 펼쳐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한 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용량 조절부(302)는 순차적인 접힘 동작과 순차적인 펼침 동작이 가능한 다단 구조를 가지는 봉지부로서 수분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수밀 구조일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이러한 용량 조절부(302)은 원기둥이나 다각형 기둥과 같은 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용량 조절부(302)의 지름은 상측 방향으로 갈 수록 단계적으로 크기가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용량 조절부(302)의 측면은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따라서, 본 예에서, 용량 조절부(302)는 내부에 사방이 모두 막혀 있고 수분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는 빈 공간(S302)을 구비할 수 있어, 몸통(1)에 채워져 있는 내용물은 용량 조절부(302)의 공간(S302) 속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용량 조절부(302)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고, 이런 경우, 개방된 용량 조절부(302)의 하부는 대면하고 있는 바닥부 본체(301)의 내측 하부면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in this example, the
따라서, 도 3의 (a)와 같이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해당 단, 예, 고정단(T31)의 하단은 바닥부 본체(301)의 내측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a) of FIG. 3 , the lowermost end,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fixed end T31 may be fixed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bottom
고정단(T31)을 제외한 나머지 단을 구성하는 용량 조절부(302)의 부분은 (a)에 도시한 것처럼, 고정단(T31)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S302) 속에 차례대로 접혀 위치할 수 있다.Parts of the
용량 조절부(302)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손잡이(32)가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손잡이(32)는 생략될 수 있다. A handle 32 that can be used by a user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이러한 용량 조절부(302)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접힘 상태나 펼침 상태가 크게 변하지 않는 강도의 재질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용량 조절부(302)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합성 수지재를 함유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따라서, 사용자(32)는 손잡이(32)를 잡고 위쪽 방향, 즉, 몸체(10)의 길이 방향인 뚜껑(20) 쪽으로 당겨 도 3의 (b) 내지 (d)와 같이 순차적으로 원하는 단수만큼 용량 조절부(302)의 접힘 상태를 펼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32 grabs the handle 32 and pulls it toward the
이와 같이, 용량 조절부(302)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단수만큼 길이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부(30)를 몸체(10)의 해당 부분에 체결시키면, 몸체(10)의 내부 공간(S10)속으로 해당 단수만큼 펼침 상태를 유지하는 용량 조절부(30)가 삽입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따라서, 몸체(10)의 내부 공간(S10)의 부피는 내부 공간(S10)의 최대 부피에서 용량 조절부(30)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감해진 크기를 갖게 된다.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S10 of the
결국, 몸체(10)의 용량은 그 내부 공간(S10) 속으로 삽입되는 용량 조절부(30)의 부피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apacity of the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단수만큼 용량 조절부(30)의 접힘 상태를 조정한 후, 몸체(10)의 해당 부분과 결합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ser can adjust the folded state of the
그런 다음, 뚜껑(20)을 결합한 상태 또는 뚜껑(20)을 분리한 상태에서. 뚜껑(20)의 개방된 마개부(202)를 통해 노출된 뚜껑 본체(201)의 공간(S20)을 통해 또는 개방된 몸체(10)의 해당 단부를 통해 사용자는 물과 같은 내용물을 물병(1) 속에 채우게 된다. 이때, 이미 설명한 것처럼, 용량 조절부(302)가 차지하고 있는 부분에는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게 된다.Then, in a state in which the
뚜껑(20)을 닫은 상태에서 마개부(202)의 노출된 공간(S20)을 통해 내용물이 채워질 때, 현재 물병(1)의 저장 가능한 공간속에 내용물이 모두 차게 되며 개방된 배출구(H20)를 통해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다.When the contents are filled through the exposed space S20 of the
이와 같이 배출구(H20)를 통해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되면, 사용자는 물병(1) 속에 내용물이 꽉 찬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ntents are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H20),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contents are full in the water bottle (1).
또한, 물병(1)이 내용물이 모두 꽉 차게 되면 아령으로 이용할 때 좀 더 용이하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내용물이 물병(1)의 빈 공간 속에 실질적으로 꽉 차 있으므로, 유동성을 갖는 물병(1)의 내용물의 움직임에 대한 영향이 크게 줄어들어, 안정적으로 아령을 이용한 운동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bottle (1) is fully filled with the contents, it can be used more easily and safely when used as a dumbbell. That is, since the contents are substantially filled in the empty space of the water bottle 1, the influence on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of the water bottle 1 having fluidity is greatly reduced, so that an exercise operation using the dumbbell can be performed stably.
이러한 용량 조절부(302)는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측면이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주름을 측면에 구비한 주름 구조를 갖고 수밀 구조를 갖는 봉지부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이런 경우에도, 사용자는 용량 조절부(30)의 상단에 위치한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접혀져 있는 주름을 원하는 개수만큼 펼쳐, 몸체(10)의 내부 공간(S10) 속으로 삽입되는 용량 조절부(30)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user uses the handle 32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도 4의 경우, 주름 각각은 하나의 단을 형성할 수 있고, 바닥부 본체(301)에 고정되어 있는 매 하부단(T30)의 측면에는 주름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FIG. 4 , each of the pleats may form one step, and the pleats may not be located on the side of each lower end T30 fixed to the bottom
이와 같이, 용량 조절부(302)가 도 4와 같이 주름 주머니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이미 기술한 것처럼, 용량 조절부(302)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접힘 상태나 펼침 상태가 크게 변하지 않는 강도의 재질을 함유하는 것이 좋고,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합성 수지재를 함유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when the
도 3 및 도 4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량 조절부(30)의 측면 두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량 조절부(30)의 측면에서 접힘이 발생하는 부분인 접힘 부분(즉, 굴곡 부분)의 두께는 접힘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인 직선 부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The side thickness of the
이런 경우, 접힘 부분과 직선 부분의 두께가 서로 동일한 경우 또는 접힘 부분의 두께가 직선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에 비해, 용량 조절부(30)의 접힘 동작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본 예에서, 뚜껑(20)과 바닥부(30)의 재질은 몸체(10)와 같은 재질을 가질 수 있지만, 뚜껑(20)과 바닥부(30)의 재질은 몸체(10)와 같은 재질과 상이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material of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물병(1)에서 뚜껑(20)과 바닥부(3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아령의 중량물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뚜껑(20)과 바닥부(30)의 재질이 몸체(10)와 같은 재질과 상이할 때, 뚜껑(20)과 바닥부(30)의 재질은 몸체(10)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무거운 비중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In the water bottle 1 having this structure, the
이러한 구조의 물병(1)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예의 물병(1)을 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운동을 할 수 있는 아령과 같은 운동기구로도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bottle 1 having this structure, the user can use the water bottle 1 of this example as a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such as water, as well as an exercise device such as a dumbbell that can exercise.
또한, 용량 조절부(302)를 이용하여 몸체(10)의 내부 공간(S10)의 부피를 조정하고, 이로 인해, 물병(1)에 담기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병(1)의 무게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량 조절부(302)를 이용한 물병(1)의 무게를 조정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운동 효과가 향상되고, 사용자에 맞는 적합한 무게의 물병(1)으로 운동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S10 of the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바닥부(30a)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the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닥부(3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닥부(30)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Hereinafter,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이러한 본 예의 바닥부(30a)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물병의 몸체(10)에 해당 단부에 결합되어, 해당 물병이 아령으로 이용될 때 중량물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따라서, 본 예의 바닥부(30a) 역시 이미 기술한 바닥부(30)와 동일하게 본 예의 물병(1)의 몸체(10)의 해당 단부에 나사 등을 이용해 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몸체(10)의 부피를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바닥부(30a)는 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1)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에 빈 공간(S30)을 구비하고 있는 바닥부 본체(301) 및 바닥부 본체(30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공간(S30)에 위치하고 있는 용량 조절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 the
이미 설명한 것처럼, 바닥부 본체(301)에 위치한 결합부(31)를 통해 본 예의 바닥부(30a)는 몸체(10)의 해당 단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몸체(10)의 해당 단부를 막는 뚜껑으로 기능하며, 또한 몸체(10)의 부피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already described, the
본 예의 용량 조절부(302) 역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미 기술한 용량 조절부(302)와 동일하게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단계적으로 접혀있거나 접힘 상태가 펼쳐지는 구조를 갖고 수밀 구조인 봉지부일 수 있다.The
이러한 본 예의 용량 조절부(302) 역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최대 높이 내에서 원하는 높이까지 펼침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접힘 동작이 이루어져, 자신이 삽입된 몸체(10)에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부피를 조정하게 된다.The
하지만 본 예의 바닥부(30a)는 이러한 바닥부 본체(301)와 용량 조절부(302) 이외에도 지지부(303)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However, the
지지부(303)는 용량 조절부(302)의 현재 상태를 좀 더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부(30a)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부분(3031), 고정부분(3031)과 나사 결합되어 치합된 고정부분(3031)의 나사선을 따라 몸체(10)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분(3032) 및 고정부분(3031)과 결합되어 바닥부(30a)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작버튼(3033)을 구비할 수 있다.The
고정부분(3031)와 이동부분(3032)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동부분(3032)의 내부 공간 속에 고정부분(3031)이 삽입되어 있어 서로 접해 있는 면, 즉 고정부분(3031)의 외부면과 이동부분(3032)의 내부면에 나사와 나사산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The
이때, 고정부분(3031)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바닥부(30a)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분(303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방향(예,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버튼(3033)의 조작에 따라 고정부분(3031)의 나사선을 타고 이동하여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버튼(3033)을 조작하여 고정부분(3031)을 원하는 만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러한 고정부분(3031)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분(3032)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부분(3032)과 결합되어 있는 용량 조절부(302) 역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양만큼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을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또한, 지지부(303)는 용량 조절부(30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량 조절부(302)의 현재 펼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용량 조절부(302)의 펼침 상태는 지지부(303)에 의해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물병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water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물병 10: 몸체
20: 뚜껑 30, 30a: 바닥부
301: 바닥부 본체 302: 용량 조절부
32: 손잡이 303: 지지부
3031: 고정부분 3032: 이동부분
3033: 조작버튼 H20: 배출구
C20: 막음부 1: water bottle 10: body
20:
301: bottom body 302: capacity control unit
32: handle 303: support
3031: fixed part 3032: moving part
3033: operation button H20: outlet
C20: blockage
Claims (12)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공간과 통하는 제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뚜껑 본체 및 상기 뚜껑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열고 닫는 막음부를 구비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바닥부 본체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바닥부 본체가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상기 내부 공간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접히거나 접힘 상태가 펼쳐져 높이가 변하고,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와 결합될 때 상기 몸체의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공간 속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부피를 변화시켜 상기 물병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용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물병. in a water bottle,
a body having a space for storing contents and having a column shape that a user can hold;
A lid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by a user at one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an outlet coupled to the li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a lid including a stopper having a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and
The bottom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by the user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and the bottom body having a second internal space, the bottom body is the other end of the body by the user In the separated state, it is folded stepwise along the inner space or unfolded in a folded state to change the height, and when combined with the other end of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space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body Therefore, by changing the volum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the bottom part including a capacity adjusting part to change the capacity of the water bottle
containing water bottle.
상기 용량 조절부의 측면은 외력에 의해 단계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다단 구조를 갖는 물병.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of the capacity control unit is a water bottle having a multi-stage structure that is unfolded or folded step by step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용량 조절부의 측면은 외력에 의해 단계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주름 구조를 갖는 물병.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of the capacity control unit is a water bottle having a wrinkle structure that is unfolded or folded step by step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용량 조절부는 수밀 구조를 갖는 물병.According to claim 1,
The capacity control unit is a water bottle having a watertight structure.
상기 용량 조절부는 합성 수지재를 함유하는 물병.According to claim 1,
The capacity control unit is a water bottle contain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감싸고 있는 상기 바닥부 본체의 주변부는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재료로 완전히 채워져 있는 물병.According to claim 1,
The periphery of the bottom body surrounding the second inner space is completely filled wit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bottom part.
상기 용량 조절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물병.According to claim 1,
Water bottle further comprising a handle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apacity control unit.
상기 뚜껑과 상기 바닥부는 상기 몸체와 다른 재질을 함유하는 물병.According to claim 1,
The lid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bottle contain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상기 뚜껑과 상기 바닥부의 재질의 비중은 상기 몸체의 비중보다 큰 물병.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terial of the lid and the bottom part is grea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ody water bott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122A KR102394335B1 (en) | 2020-07-06 | 2020-07-06 | Water bott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122A KR102394335B1 (en) | 2020-07-06 | 2020-07-06 | Water bott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360A KR20220005360A (en) | 2022-01-13 |
KR102394335B1 true KR102394335B1 (en) | 2022-05-03 |
Family
ID=7934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122A KR102394335B1 (en) | 2020-07-06 | 2020-07-06 | Water bott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433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420Y1 (en) * | 2000-08-14 | 2001-03-15 | 박재순 | Volume Retractable Liquid Bottle |
US20100144498A1 (en) * | 2008-12-08 | 2010-06-10 | Stephen Barber | Adjustable fluid-fillable exercise weights |
KR101159307B1 (en) * | 2012-01-27 | 2012-06-22 | 신기봉 | A cosmetic cas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0615U (en) | 2011-07-18 | 2013-01-28 | 신인우 | A tank for abdominal weight sports. |
KR101309857B1 (en) * | 2011-12-09 | 2013-09-16 | 정만택 | Cosmetics container of nozzle type |
-
2020
- 2020-07-06 KR KR1020200083122A patent/KR1023943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420Y1 (en) * | 2000-08-14 | 2001-03-15 | 박재순 | Volume Retractable Liquid Bottle |
US20100144498A1 (en) * | 2008-12-08 | 2010-06-10 | Stephen Barber | Adjustable fluid-fillable exercise weights |
KR101159307B1 (en) * | 2012-01-27 | 2012-06-22 | 신기봉 | A cosmetic c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360A (en) | 2022-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72879B2 (en) |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 |
AU2015100381A4 (en) | A sports and/or mixing bottle | |
US9351556B2 (en) |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 |
US7806298B2 (en) |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 |
US8028865B2 (en) |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 |
CZ20041210A3 (en) | Collapsible container | |
KR102394335B1 (en) | Water bottle | |
JP6149185B2 (en) | Excrement container | |
EP3652506B1 (en) |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 |
KR102267549B1 (en) | Pocket tumbler for easy portability | |
KR20110009651U (en) | Portable dripper and beverage vessel with the same | |
KR101560310B1 (en) | Run out device of required dose and packing container having the run out device | |
KR101801602B1 (en) | Contents take device, storage cap and container apparatus having the contents take device and storage cap | |
KR20180048357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contents moving apparatus the contents passing device | |
KR101621756B1 (en) | Pack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by required dose and apparatus thereof | |
KR20160104512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storage cap, valve and container having the contents passing device, storage cap and valve | |
KR102272885B1 (en) | Quantitative measurable vial | |
KR20160023624A (en) | Contents receiving device | |
KR101311199B1 (en) | A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KR20180048287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valve, and containing apparatus,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having the contents passing device and valve | |
KR20160104513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storage cap, valve and container having the contents passing device, storage cap and valve | |
JP3623598B2 (en) | Metering container | |
KR20180048359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contents moving apparatus the contents passing device | |
KR20160104531A (en) | Contents passing device, storage cap, valve and container having the contents passing device, storage cap and valve | |
KR20220114933A (en) | Bottle for p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