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151B1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Google Patents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4151B1 KR102394151B1 KR1020210076500A KR20210076500A KR102394151B1 KR 102394151 B1 KR102394151 B1 KR 102394151B1 KR 1020210076500 A KR1020210076500 A KR 1020210076500A KR 20210076500 A KR20210076500 A KR 20210076500A KR 102394151 B1 KR102394151 B1 KR 1023941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dust
- air
- tank body
- water tank
- plat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9/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 B01D49/00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by sonic or ultrasonic techniqu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세균을 석회수와 반응시켜 제거함과 아울러 공기를 공급하여 배출되면서 형성되는 버블에 의해 제거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nd more particularly, it removes fine dust, carbon dioxide, nitrogen oxides, and bacteria in the atmosphere by reacting with lime water, and also removes them by bubbles formed while supplying air and being discharged, and ultrasonic waves. It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that can be removed by vibration.
자동차와 공장, 열병합발전소, 폐기물 소각장, 화력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배출가스와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가스는 대기질을 떨어뜨리고, 수질과 토양오염을 오염시키며, 인체와 동식물에 악영향을 끼치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Exhaust gases from automobiles, factories, cogeneration plants, waste incinerators, thermal power plants, etc. and harmful gases such as fine dust and nitrogen oxides in the air lower air quality, pollute water and soil, and adversely affect humans, animals and plants. is accused of being the culprit.
발생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특히 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와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의 흙먼지 등에서 발생하는 광물 등으로 이루어진다.Depending on the region, season, and weather conditions, fine dust in particular is a mass (sulfate, nitrate, etc.) formed by the reaction of air pollutants in the air, and carbon and soo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 and minerals generated from soil dust on the surface of the earth.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의 물질로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공장이나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μm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한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초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Fine dust is a particulate matter that floats or is blown down in the atmosphere, and is generated a lot from exhaust gases such as factories and automobiles when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are bur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icles, it is divided into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with a size of less than 50 μm and particulate matter (PM) with very small particles. Fine dust is further divided into fine dust (PM10)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and ultrafine dust (PM25)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If PM10 is about 1/5 to 1/7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a human hair (50 to 70 μm), PM25 is so small that it is only about 1/20 to 1/30 of a human hair.
특히,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떠돌다가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들어가면 건강을 해치게 된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 보다도 작기 때문에 호흡할 때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까지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particular, fine dust is so small that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so when it floats in the air, it enters the lung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or enters the body through blood vessels, it harms health. In particular, since ultrafine dust is smaller than fine dust, it is not filtered out of the airway when breathing, but penetrates into the lungs and is a direct cause of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참고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일찍이 미세먼지(PM10, PM25)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여 그 폐해의 심각성을 경고한 바 있다.For refere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arlier presented air quality guidelines for fine dust (PM10, PM25), and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unde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esignated fine dust as a group 1 carcinogen and the severity of the harmful effects. has been warned.
지구온난화의 주범이기도 한 이산화탄소는 1972년 로마클럽 보고서에서 지구온난화가 처음 언급된 후 세계기상기구와 국제연합환경계획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의한 온실효과가 온난화의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고, 지구 곳곳에서 증가 추세인 가뭄과 홍수, 폭설, 폭염, 한파와 같은 기상이변도 지구온난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Carbon dioxide, which is also the main culprit of global warming, was first mentioned in the Club of Rome report in 1972. It is also known that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droughts, floods, heavy snow, heat waves, and cold waves, which are increasing in various places, are due to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기체의 농도 증가이며, 특히 이상 징후를 보이는 기후변화는 기온상승의 상당 부분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한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지적도 있다.Global warming is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and methane in the atmosphere due to human activities. there is.
여기엔, 농업이 시작된 이래로 토지이용의 변화도 온난화에 영향을 끼쳤다는 설도 포함된다. 농업이나 산업화, 도시화 등을 위한 삼림 제거는 대표적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삼림의 제거는 이산화탄소를 똑같이 배출한다고 하더라도 대기 중에 더 많은 농도로 남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This includes the theory that changes in land use since the beginning of agriculture also contributed to warming. Deforestation for agriculture,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etc. is to remove sinks of carbon dioxide, a representative greenhouse gas. In other words, deforestation also plays a role in allowing carbon dioxide to remain in a higher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even if it emits the same amount of carbon dioxide.
지구온난화는 고위도 지방에서 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극지방의 빙하와 고산지 등의 산악빙하가 줄고 있는 현상이 반증한다. 그 중에서 산악빙하가 녹아내리면 고스란히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 해수면 상승은 인류의 1/3이 거주하고 있는 해안지역에 홍수와 침수 등의 피해를 유발할 것이다. 태평양의 산호초 섬은 물속으로 사라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지구온난화는 생태계와 농업의 패턴에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인류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온난화는 기후 패턴의 변화를 초래하여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기상 이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Global warming is progressing faster in high latitudes. This is evidenced by the decrease in polar glaciers and mountain glaciers in alpine areas. The melting of mountain glaciers leads to sea level rise. Rising sea levels will cause flooding and flooding in coastal areas where one-third of humanity lives. There are reports of coral reef islands in the Pacific disappearing into the water. Global warming will change the patterns of ecosystems and agriculture, and affect human health. In particular, warming is highly likely to cause changes in climate patterns, leading to unprecedented weather events.
미세먼지 저감 방안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27128호에서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As a part of the fine dust reduction plan, a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a vortex tube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7128.
이러한 선행기술은 볼텍스(Vortex) 튜브의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공기와 함께 나노버블화된 물입자와 외부공기가 볼텍스 튜브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의 접촉시간 및 면적의 극대화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구조와 규모 상으로 볼 때 공간이 한정된 실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는 적합하다고 하겠으나, 실내에 비할 수 없을 정도로 광활한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엔 과부족이다.This prior art uses the principle of a vortex tube to remove fine dust by maximizing the contact time and area while nano-bubbled water particles and external air with external air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vortex tube.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scale, it is said that it is suitable for removing fine dust in a room with limited space, but it is too insufficient to remove fine dust in the air, which cannot be compared to indoors.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5584호의 '회오리 분사수를 이용한 고농도 발생먼지 정화 장치'는 제조업 작업장이나 FRP 처리시설 등의 공장, 주거용 건물이나 빌딩 등에 설치하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회전체가 회전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회오리상으로 물을 내뿜어 비산시킬 때 그 수압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전동 모터 등의 구동수단 없이 정화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한정된 공간의 먼지를 제거하는 데 적합한 측면이 있는 반면,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에 역부족이다.In addition, the 'High-concentration dust purifying device using tornado spray water'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5584 is installed in factories, residential buildings, etc. such as manufacturing workshops or FRP treatment facilities to discharg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urify without driving means such as an electric motor by rotating by the water pressure when spraying water in a tornado shape through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While there are aspects suitable for this purpose, it is insufficient to efficiently remove fine dust in the atmosphere.
또한, 일본국 재공표특허공보 WO2010/076853호는 수조와 수조 내에 살수수단, 물보라 발생수단, 분무수단이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살수수단, 물보라 발생수단, 분무수단의 하위에 아래로부터 하부 기포분산수단과 중간 기포분산수단 및 상부 기포분산수단을 구비하여 수조의 하부로 도입되는 배가스가 수면을 향해 부상하면서 점차 작은 기포로 분산되어 배기스 중의 미세 분진까지 걸러지도록 하며, 제진된 배출가스의 악취는 배기덕트에 장착된 탈취장치에 의해 소취되도록 한, 소각설비나 공장 등의 연도로 배출되는 연기나 배가스를 물로 씻어 정화하는 오염가스 제진 정화장치이다.In addition, Japanese Re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WO2010/076853 discloses that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are installed with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watering means, the spray generating means, and the spraying means, and below the watering means, the spray generating means, and the spraying means,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The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bubble dispersing means, an intermediate bubble dispersing means and an upper bubble dispersing means so that it is dispersed into small bubbles as it floats toward the water surface and is filtered to fine dust in the exhaust gas. The odor is a deodorizing device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and it is a polluting gas dust removal and purification device that washes and purifies the smoke or flue gas discharged from the flue of an incineration facility or factory.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배출되는 연기나 배가스를 수세하여 정화하는 범위가 소각설비나 공장 등의 연도로 극히 제한되기 때문에 대기 중의 미세먼지 제거용으로 활용하기에는 분당 외기 흡입량과 흡입범위, 제진역량 등에 비춰볼 때 매우 부적합하다.However, in this prior art, since the range of washing and purifying the discharged smoke or exhaust gas is extremely limited to the year of incineration facilities or factories,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the removal of fine dust in the atmosphere. very inappropriate when
또한, 내부 구조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난이도, 내부 청소난이도도 아주 높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is too complicated, the manufacturing difficulty and the internal cleaning difficulty are very high.
특히, 상기 모든 선행기술들은 물로 배가스를 정화할 때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없고, 최종 정화단계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가스 중에 잔류하는 초미세먼지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도 없다.In particular, all of the above prior arts cannot remove carbon dioxide when purifying the exhaust gas with water, and cannot completely remove ultrafine dust remaining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final purification step.
일본국 재공표특허공보 WO2010/076853호의 경우, 제진 정화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덕트 내에 목탄, 활성탄, 화학적인 탈취제 등의 탈취수단으로 탈취하는 데, 배가스 중에 미처 제진되지 못하고 섞여나가는 초미세먼지는 제거할 수 없다.In the case of Japanese Re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WO2010/076853, it is deodorized with deodorizing means such as charcoal, activated carbon, and chemical deodorant in the exhaust duct where the exhaust gas that has been purified and dedusted is discharged. cannot be removed
산업 혁명 이후 인구 증가와 산업화에 따라 화석 연료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해 왔고, 무분별한 삼림 벌채로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use of fossil fuels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fossil fuel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increased.
온실 효과는 지구에서 복사되는 열이 온실가스에 의해 다시 지구로 흡수되는 현상인데, 과도한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의 대량 배출은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데, 상기 선행기술들에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살균과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물질 제거와는 무관하다.The greenhouse effect is a phenomenon in which heat radiated from the earth is absorbed back to the earth by greenhouse gases. Excessive greenhouse gases, particularly large amounts of carbon dioxide, are the cause of global warming.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fro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회수와의 반응 및 공기를 공급하여 배출되면서 형성되는 버블과 초음파 진동에 의해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와 세균까지 광역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ct with lime water and supply air to a wide area up to ultra-fine dust and bacteria in the atmosphere by the bubbles and ultrasonic vibrations formed while being discharg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that can b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물질도 제거할 수 있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carbon dioxide and nitrogen oxides in the atmosphe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로서, 내부에 석회수가 수용되며, 하단에는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배기덕트가 마련되며, 외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외기 유입관이 설치된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내에 마련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수조본체에 수용된 석회수와 반응하여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 상기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에서 제거되지 않은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아울러 수조본체 내의 침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조본체 내에 마련되며, 외기 유입관의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공기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버블 발생판이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해 맥동식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되는 공기가 버블 발생판을 통해 배출되면서 버블덩어리가 형성되어 석회수와 교반작용을 일으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 상기 제1,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에서 제거되지 않은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수조본체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진동을 발생하도록 초음파 진동판이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판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 및 상기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의 초음파 진동판과 상기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에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은: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이 연락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하부영역에 외기를 유입시키면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어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영역으로 배가스가 이동되도록 수조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 상기 내부 구획판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하부영역에서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폭기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도록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대량의 외기를 유입시켜 하부영역에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외기 유입관; 상기 외기 유입관을 통해 하부영역으로 분출되는 외기가 석회수에 의해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를 포집하도록 하부만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본체 내의 상부영역에 마련되며, 배가스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2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에 연락되게 설치되되, 상부는 내부 하우징과 연락되고 하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에 포집되는 배가스를 배기시키며, 배기되는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3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내부 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외기 유입관은, 유입되는 대량의 외기가 확산되면서 배출되도록 상기 외기 유입관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확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하부영역에서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를 내부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되, 그 경사면의 상측에 상기 내부 배기관의 하단 개구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하부영역에서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가 경사면에 의해 상기 내부 배기관의 하단 개구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면서 내부 하우징의 내부로 포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가스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본체에는 항상 일정량의 석회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조본체에 석회수 정량 공급관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 덕트에는 살균기와 산소발생기가 내장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산소발생기는 상기 살균기의 어느 일측 혹은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in which lime water is accommodated, an outle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 exhaust duct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an outdoor air inlet pipe is installed to introduce outdoor air into the interior. water tank body; a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body,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body reacting with the lim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body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t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body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outside air that has not been removed by the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and to prevent settling in the water tank body, and an air supply pipe in the form of a double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outside air inlet pipe, A bubble generating plate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and air is introduced in a pulsating manner through the air supply pipe, and the incoming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plate to form a bubble mass, and agitation with lime water a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 for removing fine dust by It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body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that has not been removed by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s, and an ultrasonic vibration plate is installed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 a third fine dust removal unit for removing fine dust; and a controller installed to control the inflow of air from the ultrasonic diaphragm of the third fine dust removing unit and the second fine dust removing unit, wherein the first fine dust removing unit includes: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body It is disposed in the upper area and provided to divide the upper area and the lower area,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rea and the lower area are in contact. an inner partition plate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body up and down so that the exhaust gas moves to the upper region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so that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re primarily removed in the process of aeration while a large amount of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lower area partitioned up and down by the inner partition plate, and a large amount of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area outside air inlet pipe leading to ejection from; The outdoor air ejected into the lower region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pipe is formed so that only the lower part is opened so as to collect the rising exhaust gas after being primarily dusted by lime water,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in the water tank body,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exhaust gas an inner housing from which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re secondarily removed by generating air bubbles; And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housing, the upper part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housing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to exhaust the exhaust gas collected in the inner housing, and in the process of exhausting, bubbles are generated to thirdly remove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Including, but the outside air inlet pipe, the lower end of the outside air inlet pipe so that a large amount of the incoming outside air is diffused and discharged, a diffusion outlet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a diameter wider toward the bottom is formed, and the inside In the housing, an inclined surface of a shape that opens out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so as to guide the exhaust gas rising after being primarily damped in the lower region to the inside of the inner housing,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ternal exhaust pipe The lower opening is form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exhaust gas, which rises after being primarily damped in the lower region,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lower opening of the inner exhaust pipe by the inclined surface and collected into the inner housing. A guiding exhaust gas guide is formed, and a quantity of lime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body so that a certain amount of lime water is always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body, and a sterilizer and an oxygen generator are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to be built-in, the oxygen generator is the sterilizer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either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버블 발생판은: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락되게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부재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외주연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조본체 내의 하부영역에 버블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bble generating plate may include: an upper plate member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air supply pipe; and a lower plate memb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wherei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y through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form bubbles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ter tank body It is preferable to form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버블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부재의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부재의 상호 대응하는 어느 일면에 방사상을 이루게 설치되는 베인(vane)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so that bubbles are stably form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vane guide member installed to form a radial on any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베인 가이드부재는 하부 플레이트부재의 일면에 원주를 기준으로 여러 등분으로 나누어지게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게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vane guide member is installed to be divided into several equal parts based on the circumference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member to guide the air to be discharged.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는 수조본체에 구획되는 하부영역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의 상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 플레이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에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가 연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late member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region partitioned by the water tank body, the upper plate member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low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이산화탄소도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살균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carbon dioxide can also be removed very efficiently, and sterilized air can be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thereby having a hygienic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대기에 비해 협소하기 짝이 없는 실내, 연도로 빠져나가는 소량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 불과한 종래의 소규모 미세먼지 제거장치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대량의 외기를 광역적으로 취입하여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물론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도 함께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대기질 개선에 이바지하는바 크며, 수질 개선과 토양 오염 방지 등 환경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lows a large amount of outdoor air into a wide area that cannot be afforded by the conventional small-scale fine dust removal device, which only removes a small amount of fine dust that escapes into a flue and indoors, which is narrow compared to the atmosphere. As it can efficiently remov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s well as carbon dioxide, the main culprit of global warming, it contributes to air quality improvement, and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such as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soil pollution pre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에서 내부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가스 안내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에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플레이트부재로 이루어지는 버블 발생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버블 발생판을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플레이트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exhaust gas guid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in the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provided in the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bubble generating plate comprising an upper plate member and a lower plate member provided in a second fine dust removing unit provided in the atmospheric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constituting the bubble generating plate of FIG. 4 are separated;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device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range not only in direct contact or connection, but also in contact or connection through other components between components and component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에서 내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배가스 안내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에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플레이트부재로 이루어지는 버블 발생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버블 발생판을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부재와 하부플레이트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exhaust gas guide installed outside the inner housing in the first fine dust removing unit provided in the removing device, and FIG. 4 is a second fine dust removing unit provided in the atmospheric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bubble generating plate comprising an upper plate member and a lower plate member provided,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constituting the bubble generating plate of FIG. 4 are separated.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device for removing atmospheric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석회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110)와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외기를 유입시켜 석회수와 반응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과, 공기를 공급하여 배출되면서 형성되는 버블에 의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과, 초음파진동에 의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140) 및 초음파진동판과 버블 형성을 위한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outdoor air into the
상기 수조본체(110)는 내부에 석회수가 수용되며, 하단에는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배기덕트(114)가 마련되며, 외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외기 유입관(12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러한 수조본체(110)는 대량의 석회수(정화수)를 저장하여 분당 유입량이 많은 외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데 적합한 대용량이며, 대용량 정화수용이니만치 많은 정화수를 오래도록 담아 두기에 충분한 강도를 지닌 후강관제 또는 두꺼운 콘크리트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또한, 상기 수조본체(110)에는 석회수 정량 공급관(160)이 연락되게 설치되어 수조본체 내에 항상 일정량의 석회수가 저장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단에 마련되는 배출구(112)에는 침강된 탄산칼슘과 오염된 석회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관은 침전된 탄산칼슘을 수조 밖으로 반출할 때도 유용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xed amount of lime
한편, 상기 배기덕트(114)에는 살균기(170)와 산소발생기(180)가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소발생기(180)는 살균기(17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거나 혹은 살균기(170)의 양측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살균기(170) 및 산소발생기(180)를 배기덕트(114) 내에 설치하게 되며, 석회수의 수면 위 공간으로 모이는 배기가 배기덕트(114)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살균기(170)의 종류에 따라서는 마저 걸러지지 아니한 초미세먼지가 소각될 수도 있다. 만약, 그 배기 중에 악취가 섞였다면 그 마저도 연소되어 소취되므로 대기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제거장 인근 주민이 악취로 고통받지 않게 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기대된다. In this way,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은 수조본체(1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수조본체(110)에 수용된 석회수와 반응하여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the first fine
이러한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은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구획판(122)과 외기 유입관(124), 내부 하우징(126), 내부 배기관(12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ine
상기 내부 구획판(122)은 수조본체(1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내부 구획판(122)에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이 연락되도록 관통구멍(123)이 형성되며, 하부영역에 외기를 유입시키면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어 관통구멍(123)을 통해 상부영역으로 배가스가 이동되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외기 유입관(124)은 내부 구획판(12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하부영역에서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폭기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도록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outdoor
이러한 외기 유입관(124)은 대량의 외기를 유입시켜 하부영역에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외기 유입관(124)의 외부에 흡입모터(116)에 의해 구동되도록 외기 흡입팬(118)이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입팬(118)의 흡입력으로 외기를 유입시킨다. 이때, 외기 흡입팬(118)은 외기의 흡인력이 매우 강력해 전방위적으로 대량의 외기를 흡인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상기 수조본체(110)의 중심부에 상기 외기 유입관(124)이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기 유입관(124)의 외측 상단에 외기 흡입팬(118)이 설치되어 외기를 흡입하며, 상기 외기 흡입팬(118)은 대형 흡입팬, 터보 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량과 가동 및 설치비 부담을 고려하면 소형으로서 제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는 터보팬이 바람직하다.This outdoor
상기 외기 유입관(124)은 외기 흡입팬(118)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수조본체(110)의 내부에서 석회수 중으로 유도하여 내뿜는 것으로, 외기의 유입 저항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직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door
한편, 상기 외기 유입관(124)의 하단부는 유입되는 외기가 확산 배출되도록 하여 석회수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외기 유입관(124)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확산배출구(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outdoor
상기 확산배출구(125)를 통해 수조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외기는 확산 배출되어 석회수와의 접촉 면적으로 넓혀 이물질 제거 성능을 높이게 된다.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126)은 외기 유입관(124)을 통해 하부영역으로 분출되는 외기가 석회수에 의해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를 포집하도록 수조본체(110)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126)은 하부만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본체(110) 내의 상부영역에 마련되며, 배가스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2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내부 하우징(126)은 상기 수조본체(110) 내에서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내부 하우징(126)의 하단 내부로 유입되는 정화수의 수위를 제한하여 상기 정화수의 수면과 내부 하우징(126)의 천장 사이에 에어포켓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외기 유입관(124)의 하단으로 분출된 외부 공기에서 외기 유입관(124)의 하단 부근 석회수에 의해 1차적으로 제진된 후에 상승하는 배가스를 가두는데 적합한 구조체이다. The
여기서, 석회수는 외기 중의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정화수이다. 외부 공기에 섞인 이산화탄소가 석회수에 섞이면 탄산칼슘 또는 탄산수소칼슘으로 변한다.Here, the lime water is purified water that removes ultrafine dust,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in the outdoor air. When carbon dioxide mixed with outside air is mixed with lime water, it is converted into calcium carbonate or calcium hydrogen carbonate.
부연하면, 수산화칼슘을 물에 녹인 것이 석회수이다. 입김을 불어넣으면 용액이 뿌옇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데, 이는 물에 녹아 있는 수산화칼슘과 입김에 들어 있는 이산화탄소가 반응하여 물에 녹지 않는 탄산칼슘을 만들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calcium hydroxide dissolved in water is lime water. When you breathe in, you can observe that the solution becomes cloudy, because calcium hydroxide dissolved in water and carbon dioxide in the breath react to form calcium carbonate, which is insoluble in water.
수산화칼슘은 이산화탄소의 검출에 자주 사용되며, 정도 이상으로 이산화탄소를 수산화칼슘에 많이 통과시키면 다시 물에 녹는 염인 탄산수소칼슘이 만들어져 용액이 다시 투명해진다. Calcium hydroxide is often used to detect carbon dioxide, and if more carbon dioxide is passed through the calcium hydroxide than required, calcium bicarbonate, a salt soluble in water, is made again, and the solution becomes transparent again.
이 반응의 전체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The overall reaction equation for this reaction is as follows.
① Ca(OH)2 + CO2 → CaCO3 + H2O (탄산칼슘이 만들어지는 과정)① Ca(OH) 2 + CO 2 → CaCO 3 + H 2 O (the process of making calcium carbonate)
② CaCO3 + H2O + CO2→ Ca(HCO3)2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들어가 탄산칼슘과 반응하여 탄산수소칼슘이 만들어지는 과정)② CaCO 3 + H 2 O + CO 2 → Ca(HCO 3 ) 2 (a process in which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enters and reacts with calcium carbonate to form calcium hydrogen carbonate)
그래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탄산칼슘이나 탄산수소칼슘으로 바꿔 제거하는 정화수로 적합한 석회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Therefore, lime water suitable for purification is used to remove carbon dioxide, a greenhouse gas, by changing it to calcium carbonate or calcium hydrogen carbonate.
탄산칼슘, 탄산수소칼슘은 비중이 물 보다 크기 때문에 수조본체(110)의 바닥으로 가라 앉는다. Calcium carbonate and calcium hydrogen carbonate sink to the bottom of the
또한, 상기 내부 배기관(128)은 내부 하우징(126)에 연락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내부 배기관(128)의 상부는 내부 하우징(126)과 연락되고 하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126)에 포집되는 배가스를 배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기되는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3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내부 배기관(128)은 하부 개구를 통해 배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내부 하우징(126)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경사면(127a)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127a)의 상측에 상기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 개구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하부영역에서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가 경사면(127a)에 의해 상기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 개구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면서 내부 하우징(126)의 내부로 포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가스 안내부(127)가 형성되다.
이러한 배가스 안내부(127)의 경사면(127a)에 의해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으로는 상승하는 배가스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으로는 배기만이 일어나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ince the rising exhaust gas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은 수조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126)의 하부가 잠길 정도의 석회수를 충진하고, 공기 흡입팬(118)을 가동하여 외기 유입관(124)을 통해 수조본체(110) 내부의 하부영역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 하부영역의 석회수중에서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면서 폭기하여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이어서 그 기포가 내부 하우징(126) 내부에 위치하는 석회수 표면으로 부상해 터지면서 물방울이 튕기고, 공기는 내부 하우징(126) 내부의 석회수 수면 위쪽에 모여 에어포켓을 형성한다.The first fine
이때, 내부 하우징(126)의 천장에 부딪쳐 떨어지는 물방울과 내부 하우징(126)에 닿지 못하고 떨어지는 물방울이 내부 하우징 내의 석회수에 섞이며, 이 과정을 포함하여 석회수에 의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제거가 이뤄진다.At this time, the water droplets falling against the ceiling of the
또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2차 제거과정이 이어지는 동안, 한편으로는 상기 에어포켓에 모인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는 배기와 함께 상기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6)의 상부에 내부적으로 연결된 내부 배기관(128)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내부 배기관(128) 내의 석회수에 기포를 생성하며, 그 기포가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 개구를 휘돌아 수조본체(110)의 석회수 중으로 부상하여 폭발하는 과정에서 3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된다.In addition, while the secondary removal process of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continues, on the one hand, the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collected in the air pocket are exhausted together with an internal exhaust pipe intern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이와 같이 3차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단계를 거친 공기는 배기덕트(114)를 통해 대기 중으로 확산되며, 그 과정에서 공기 중에 섞인 각종 세균은 살균기(170)에 의해 멸균되며, 산소발생기(180)에서 발생하는 산소와 함께 배기된다. 즉, 살균기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후 배기덕트로 빠져나가는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하므로 위생적이다. In this way,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tertiary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removal step is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또한, 석회수의 수산화칼슘에 의한 탄산칼슘 또는 탄산수소칼슘화로 외부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탄산칼슘 또는 탄산수소칼슘은 수조본체의 바닥으로 침강되며, 오염도가 심해서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능이 극도로 저하돼 수조본체(110) 바닥에 모이는 석회수와 탄산칼슘 또는 탄산수소칼슘은 배출구(112)을 통해 수거하여 안전한 방법으로 폐기한다. In addition, carbon dioxide contained in external air is removed by calcium carbonate or calcium hydrogen carbonate by calcium hydroxide of limewater, and calcium carbonate or calcium hydrogen carbonate settles to the bottom of the tank body. Lime water and calcium carbonate or calcium hydrogen carbonate that are lowered and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은 수조본체(110) 내에 마련되며,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맥동식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버블덩어리를 형성하여 석회수와 교반작용을 일으켜 상기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에서 제거되지 않은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면서 수조본체(110) 내의 침전을 방지하도록 버블을 발생하여 버블에 의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As shown, the second fine
이러한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은 공기 공급관(132)과 버블 발생판(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fine
상기 공기 공급관(132)은 압축기(131)로부터 맥동식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수조본체(110) 내에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공기 공급관(132)은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외기 유입관(124)의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공기 공급관(132)이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110)의 하부영역 바닥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버블 발생판(133)은 공기 공급관(132)의 하단부에 연락됨과 아울러 상기 수조본체(110)의 하부영역에 수평 상태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13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버블 발생판(133)의 외주연을 통해 배출되면서 수조본체(110) 내의 하부영역에서 버블을 형성하여 교반 작용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버블 발생판(133)은 원형의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버블 발생판(133)은 공기 공급관(132)에 연락되게 상부 플레이트부재(134)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하부 플레이트부재(136)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따라서, 상기 버블 발생판(133)은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외주연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수조본체(110) 내의 하부영역에 버블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버블 발생판(133)은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에 베인(vane) 가이드부재(138)가 설치되어, 상기 베인 가이드부재(138)에 의해 버블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인 가이드부재(138)는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상호 대응하는 어느 일면에 방사상을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이러한 베인 가이드부재(138)는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일면에 원주를 기준으로 여러 등분으로 나누어지게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게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36)는 수조본체(110)에 구획되는 하부영역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상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 플레이트부재(134)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에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가 연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버블 발생판(133)은 공기 공급관(13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를 통해 외주연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조본체(110) 내에 하부영역에 버블을 형성하고, 그 버블에 의해 수조본체(110) 내에 충분한 교반작용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공기의 공급 능력을 극대화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The
특히, 상기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은 버블이 수조내부에 내에 맥동식으로 형성되게 함에 의해 그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fficiency of the second fin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140)은 초음파진동에 의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수조본체(110) 내에 초음파진동을 발생하도록 초음파 진동판(142)이 설치되어 초음파 진동판(14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상기 제1,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에서 제거되지 않은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As shown, the third fine
또한, 상기 컨트롤러(150)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140)의 초음파 진동판(142)과 상기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에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컨트롤러(150)는 초음파 진동판(142)과 압축기(131)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52, CPU), 메모리(154, MEMORY), 서포트 회로(156,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중앙처리장치(152)는 초음파 진동판(142)과 압축기(131)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메모리(154,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2)와 연결된다. 메모리(154)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The memory 154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2). The
서포트 회로(156,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2)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A support circuit 156 (SUPPORT CIRCUIT) is coupled to the
이러한 서포트 회로(156)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초음파 진동판(142)과 압축기(131)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50)가 초음파 진동판(142)과 압축기(131)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4)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4)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a software routine,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들의 저성능 제진수단으로는 도저히 구현할 수 없는 소규모 제진장치와는 달리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비롯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단시간에 광역적으로 취입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오염된 대기를 정화하는 데 더할 나위 없으며, 구조도 단순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설치하여 대기질 개선과 환경보호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ine dust including ultra-fine dust in the atmosphere and carbon dioxide, a greenhouse gas, in a short time and over a wide area, unlike a small-scale vibration damping device, which cannot be implemented with the low-performanc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of the prior art. Therefore, it is perfect for purifying the polluted air, and since it has a simple structure, it can be manufactured and installed at a low cost, and tangible results can be expected for air quality improve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특히, 본 발명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세균을 석회수와 반응시켜 제거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과 공기를 공급하여 배출되면서 형성되는 버블에 의해 제거하는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 및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제거하는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에 의해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와 세균까지 광역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for removing fine dust, carbon dioxide, nitrogen oxides, and bacteria in the atmosphere by reacting with lime water, and a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 for removing air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bubbles, And ultra-fine dust and bacteria in the atmosphere can be extensively and efficiently removed by the third fine dust removal unit that is removed by ultrasonic vibration.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10 - 수조본체 120 -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
122 - 내부 구획판 124 - 외기 유입관
125 - 확산 배출구 126 - 내부 하우징
127 - 배가스 안내부 128 - 내부 배기관
130 -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 131 - 압축기
132 - 공기 공급관 133 - 버블 발생판
134 - 상부 플레이트부재 136 - 하부 플레이트부재
138 - 베인 가이드부재 140 -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
142 - 초음파 진동판 150 - 컨트롤러110 - water tank body 120 -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122 - inner partition plate 124 - outside air inlet pipe
125 - diffusion outlet 126 - inner housing
127 - exhaust gas guide 128 - internal exhaust pipe
130 -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 131 - Compressor
132 - air supply pipe 133 - bubble generating plate
134 - upper plate member 136 - lower plate member
138 - vane guide member 140 - third fine dust removal unit
142 - ultrasonic diaphragm 150 - controller
Claims (10)
내부에 석회수가 수용되며, 하단에는 배출구(112)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배기덕트(114)가 마련되며, 외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외기 유입관(124)이 설치된 수조본체(110);
상기 수조본체(1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수조본체(110)에 수용된 석회수와 반응하여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하는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
상기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에서 제거되지 않은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아울러 수조본체(110) 내의 침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조본체(110) 내에 마련되며, 외기 유입관(124)의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공기 공급관(132)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관(132)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버블 발생판(133)이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132)을 통해 맥동식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되는 공기가 버블 발생판(133)을 통해 배출되면서 버블덩어리가 형성되어 석회수와 교반작용을 일으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
상기 제1,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20,130)에서 제거되지 않은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수조본체(110)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진동을 발생하도록 초음파 진동판(142)이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판(14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140); 및
상기 제3 미세먼지 제거유닛(140)의 초음파 진동판(142)과 상기 제2 미세먼지 제거유닛(130)에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트롤러(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세먼지 제거유닛(120)은: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이 연락되도록 관통구멍(123)이 형성되며, 하부영역에 외기를 유입시키면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어 관통구멍(123)을 통해 상부영역으로 배가스가 이동되도록 수조본체(1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122);
상기 내부 구획판(12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하부영역에서 다량의 기포가 발생되면서 폭기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도록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대량의 외기를 유입시켜 하부영역에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외기 유입관(124);
상기 외기 유입관(124)을 통해 하부영역으로 분출되는 외기가 석회수에 의해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를 포집하도록 하부만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본체(110) 내의 상부영역에 마련되며, 배가스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2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내부 하우징(126); 및
상기 내부 하우징(126)에 연락되게 설치되되, 상부는 내부 하우징(126)과 연락되고 하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126)에 포집되는 배가스를 배기시키며, 배기되는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하여 3차적으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내부 배기관(128);을 포함하되,
상기 외기 유입관(124)은, 유입되는 대량의 외기가 확산되면서 배출되도록 상기 외기 유입관(124)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확산배출구(12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126)은, 하부영역에서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를 내부 하우징(126)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126)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경사면(127a)이 형성되되, 그 경사면(127a)의 상측에 상기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 개구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하부영역에서 1차적으로 제진된 후 상승하는 배가스가 경사면(127a)에 의해 상기 내부 배기관(128)의 하단 개구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면서 내부 하우징(126)의 내부로 포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가스 안내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본체(110)에는 항상 일정량의 석회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조본체(110)에 석회수 정량 공급관(160)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 덕트(114)에는 살균기(170)와 산소발생기(180)가 내장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산소발생기(180)는 상기 살균기(170)의 어느 일측 혹은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In the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The lime water is accommodated therein, the outlet 11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 exhaust duct 114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the water tank body 110 in which the outdoor air inlet pipe 124 is installed so that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A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provid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and allowing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body 110 to react with the lim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to remov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120);
It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that has not been removed by the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120 and to prevent settling in the water tank body 110, and the outside air inlet pipe 124 An air supply pipe 132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double pipe inside the a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 130 for removing fine dust by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and discharging the incoming air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plate 133, forming a bubble mass and causing agitation with lime water;
It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that is not removed by the first and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s 120 and 130, and an ultrasonic vibration plate 142 is installed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 a third fine dust removal unit 140 for removing fine dust by ultrasonic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diaphragm 142; and
and a controller 150 installed to control the inflow of air from the ultrasonic diaphragm 142 of the third fine dust removal unit 140 and the second fine dust removal unit 130;
The first fine dust removal unit 120 includes:
It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110 and is provided to partition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a through hole 123 is formed so that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are in contact, and when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region, a large amount of air bubbles are generated An internal partition plate 122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tank body 110 up and down so that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re primarily removed as generated and the exhaust gas moves to the upper region through the through hole 123;
It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110 so that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re primarily removed in the process of aeration while a large amount of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lower region divided up and down by the inner partition plate 122, and a large amount of an outdoor air inlet pipe 124 that introduces outdoor air and induces it to be ejected from the lower region;
It is formed so that only the lower part is opened so that only the lower part is opened to collect the exhaust gas rising after the outdoor air ejected into the lower area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pipe 124 is primarily dusted by lime water,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area in the water tank body 110, , an inner housing 126 from which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re secondaryly removed by generating bubble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exhaust gas; and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housing 126,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housing 126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to exhaust the exhaust gas collected in the inner housing 126, and to generate bubbles in the exhaust process 3 Internal exhaust pipe 128 from which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are primarily removed; including,
In the outdoor air inlet pipe 124, the lower end of the outdoor air inlet pipe 124 is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a diameter wider as it goes down so that a large amount of incoming outside air is diffused and discharged. A diffusion outlet 125 is formed.
The inner housing 126 has a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126 with an inclined surface 127a of a shape that opens outward so as to guide the rising exhaust gas after being primarily damped in the lower region to the inside of the inner housing 126 . ) is formed, and the lower opening of the internal exhaust pipe 128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127a, and the exhaust gas that rises after being primarily damped in the lower region is the inclined surface 127a An exhaust gas guide 127 that guides so as to be coll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ner housing 126 while blocking it from flowing into the lower opening of the internal exhaust pipe 128 is formed by
A quantity of lime water supply pipe 16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lime water is always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Air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rilizer 170 and the oxygen generator 180 are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114, and the oxygen generator 180 is installed on either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erilizer 170 removal device.
상기 버블 발생판(133)은:
상기 공기 공급관(132)에 연락되게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부재(134);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부재(13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외주연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조본체(110) 내의 하부영역에 버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bble generating plate 133 includes:
an upper plate member 134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air supply pipe 132; and
Including a;
Air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y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134) and the lower plate member (136) to form bubbles in the lower region of the water tank body (110).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에 설치되며, 버블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와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상호 대응하는 어느 일면에 방사상을 이루게 설치되는 베인(vane) 가이드부재(1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134 and the lower plate member 136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member 134 and the lower plate member 136 so that bubbles can be stably formed. Air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ane guide member 138 radially installed on any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upper plate member 134 and the lower plate member 136 to removal device.
상기 베인 가이드부재(138)는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일면에 원주를 기준으로 여러 등분으로 나누어지게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vane guide member 138 is installed to be divided into several equal parts based on the circumference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member 136 to guide the air to be discharged.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36)는 수조본체(110)에 구획되는 하부영역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36)의 상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 플레이트부재(134)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재(134)에 공기 공급관(132)의 하단부가 연락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ower plate member 136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region partitioned by the water tank body 1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134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lower plate member 136, Air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132)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member (13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6500A KR102394151B1 (en) | 2021-06-14 | 2021-06-14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6500A KR102394151B1 (en) | 2021-06-14 | 2021-06-14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4151B1 true KR102394151B1 (en) | 2022-05-06 |
Family
ID=8158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6500A KR102394151B1 (en) | 2021-06-14 | 2021-06-14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41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0325A3 (en) * | 2022-07-07 | 2024-09-12 | 강호성 | High-efficiency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0239A (en) * | 2000-04-23 | 2001-10-30 | Koichiro Ejiri | Apparatus for removing exhaust gas particle by liquid |
KR20060041074A (en) * | 2004-11-08 | 2006-05-1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ir cleaner using supersonic wave |
WO2010076853A1 (en) | 2008-12-30 | 2010-07-08 | Uehara Kyomasa | Method for dust removal and cleaning of polluted gas by water washing |
KR200470651Y1 (en) * | 2012-09-26 | 2014-01-0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dvanced forming plate |
KR101505584B1 (en) | 2014-12-10 | 2015-03-26 | 고광기 | Air cleaner using water |
KR20180027128A (en) | 2016-09-06 | 2018-03-1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vortex tub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reof |
KR102108134B1 (en) * | 2019-03-15 | 2020-05-07 | 강호성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KR20210050802A (en) * | 2019-10-29 | 2021-05-10 | 문선영 | Wet type air Cleaner |
-
2021
- 2021-06-14 KR KR1020210076500A patent/KR1023941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0239A (en) * | 2000-04-23 | 2001-10-30 | Koichiro Ejiri | Apparatus for removing exhaust gas particle by liquid |
KR20060041074A (en) * | 2004-11-08 | 2006-05-11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ir cleaner using supersonic wave |
WO2010076853A1 (en) | 2008-12-30 | 2010-07-08 | Uehara Kyomasa | Method for dust removal and cleaning of polluted gas by water washing |
KR200470651Y1 (en) * | 2012-09-26 | 2014-01-0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dvanced forming plate |
KR101505584B1 (en) | 2014-12-10 | 2015-03-26 | 고광기 | Air cleaner using water |
KR20180027128A (en) | 2016-09-06 | 2018-03-1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vortex tub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reof |
KR102108134B1 (en) * | 2019-03-15 | 2020-05-07 | 강호성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KR20210050802A (en) * | 2019-10-29 | 2021-05-10 | 문선영 | Wet type air Clea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0325A3 (en) * | 2022-07-07 | 2024-09-12 | 강호성 | High-efficiency atmospheric fine dust remova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8134B1 (en)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
KR102394147B1 (en) | Air cleaning system | |
CN103785275B (en) | Desulfurization, ash disposal, denitration integrated flue gas clarifier | |
KR102333409B1 (en) | Buildings, hospitals, schools, military barracks, factories, animal barns, farms cultivating plants, offices, underground parking lots, subways, dust-generating factories, dust-removing function, aversive odor, and light-related harmful substances A nature-friendly, eco-friendly,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reates a pleasant environment by exhibiting the function of removing material molecules and fine dust, sterilizing bacteria and viruses, controlling humidity, and generating oxygen and anions | |
CN208865842U (en) | Environment-friendly type paint spray booth | |
KR102394151B1 (en) |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
CN106925054A (en) | Gas purge system | |
KR100691729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air using water | |
CN208186627U (en) | A kind of high-energy ion air purifying system | |
CN206996279U (en) | A kind of hybrid induction stream spray odor removal | |
CN206604323U (en) | A kind of gas purge system | |
JPH0751534A (en) | Wet washing, filtering and backwashing continuous scrubber | |
KR20010081486A (en) | Oxygen producing air purifier | |
KR20040058590A (en) | Air cleaner having air cleaning compound | |
CN104075381A (en) | Air-conditioner with ozone treatment function and method for treating ozone | |
CN109430065B (en) | Breed house peculiar smell clean system | |
CN2826249Y (en) | Ozone water filtering type air purifier | |
WO2022258083A1 (en) | Water-based air-purification system for a home | |
CN200942331Y (en) | Flue gas denitrification device | |
CN211521861U (en) | Deodorizing device for sewage treatment station | |
CN2459315Y (en) | Ozone water treating machine | |
CN107131570A (en) | composite air purifier | |
KR20240006776A (en) | Highly efficint sterilzation removing appratus for fine dust | |
CN216223734U (en) | Carbon dioxide neutralization purifier | |
JPH08141348A (en) | Air purif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