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933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933B1
KR102393933B1 KR1020180102919A KR20180102919A KR102393933B1 KR 102393933 B1 KR102393933 B1 KR 102393933B1 KR 1020180102919 A KR1020180102919 A KR 1020180102919A KR 20180102919 A KR20180102919 A KR 20180102919A KR 102393933 B1 KR102393933 B1 KR 10239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processor
sensor
signal
exter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489A (ko
Inventor
김상원
서정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933B1/ko
Priority to PCT/KR2019/010851 priority patent/WO2020045923A1/en
Priority to CN201980055190.8A priority patent/CN112602051A/zh
Priority to EP19193916.4A priority patent/EP3617870A1/en
Priority to EP22185846.7A priority patent/EP4095673A1/en
Priority to US16/554,117 priority patent/US10809961B2/en
Publication of KR2020002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6Use of more than one graphics processor to process data before displaying to one or more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8Power processing, i.e. workload management for processors involved in display operations, such as CPUs or GP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적어도 하나의 센서,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고,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되는 서브 프로세서,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는 프로세서 및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캐비닛 중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며, 메인 프로세서는,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복수의 프로세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외부 전자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 됨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과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감상하면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고,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되는 서브 프로세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는 프로세서 및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중인 로우 신호(Low signal)를 하이 신호(High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로우 신호에서 상기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IR 센서이고, 상기 IR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IR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IR 센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이고, 상기 조도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각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대기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중인 로우 신호(Low signal)를 하이 신호(High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은,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로우 신호에서 상기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IR 센서이고, 상기 IR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IR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IR 센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이고, 상기 조도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제공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는 서브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캐비닛으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밝기가 변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1-1, 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1-1, 11-2, 110-)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1-1, 11-2, 11-3) 각각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1-1, 11-2, 11-3) 각각은 서브 픽셀인 레드 LED, 그린 LED 및 블루 LED를 하나의 픽셀로 구현한 LED(13)를 복수 개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픽셀은 매트릭스 형태(예를 들어, M x N, 여기서 M, N은 자연수)로 배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트릭스는 동일 배열(예를 들어, M = N, 여기서 M, N은 자연수, 16 x 16 배열, 24 x 24 배열 등)형태가 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배열(예를 들어, M ≠ N, 여기서 M, N은 자연수)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LED는 마이크로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LED는 약 5 ~ 1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LED로써, 컬러 필터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초소형 발광 소자를 의미한다.
다만, 이와 같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 실시 예일 뿐,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organic LED), AMOLED(active-matrix OLE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1, 11-2, 11-3)이 1x3의 배열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1x3 배열의 LED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 실시 예일 뿐,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열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디스플레이 모듈(11-1, 11-2, 11-3) 각각을 장착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다른 캐비닛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캐비닛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복수의 다른 캐비닛(20, 30, 40, 50, 60,70, 80)과 4x2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비디오 월(Video Wall)과 같은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4x2 배열의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실시 예일 뿐, 캐비닛의 배열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10-1, 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IR 센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는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IR 센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IR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리모컨에 입력된 경우, 센서는 리모컨의 IR 송신부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IR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R 센서는 인체에서 방출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IR 센서는 일 실시 예일 뿐, 센서는 IR 센서 외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는 근접 센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근접 센서는 전자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관전형, 초음파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조도 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외에도,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센서(110-1)는 인접하여 배치된 제5 캐비닛(50)에 연결되고, 제2 센서(110-2)는 인접하여 배치된 제8 캐비닛(8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는 연결된 캐비닛으로 상술한 IR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측 베젤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센서는 리모컨 등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별개인 외부 센서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 IR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2개의 센서(110-1, 11-2)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센서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10), 캐비닛(120) 및 메인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캐비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21), 서브 프로세서(122) 및 프로세서(123)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서는 하나의 캐비닛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1)은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21)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22)는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22)는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모드는 센서(110) 및 서브 프로세서(122)는 활성화 된 상태이고, 디스플레이 모듈(121) 및 프로세서(123)는 비 활성화 된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모드에서, 서브 프로세서(122)는 센서(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3)는 일반 모드에서 활성화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 모드는 프로세서(123)가 활성화 된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 모드에서, 프로세서(122)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1)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121)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메인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12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123)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메인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복수의 프로세서(123)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된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복수의 프로세서(123)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은, LED 모듈, Power, 서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LED 모듈은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121)이고, 서브 프로세서는 도 3의 서브 프로세서(122)이며, 프로세서는 도 3의 프로세서(123)가 될 수 있다. 그리고, Power는 캐비닛에 포함된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은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122)는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프로세서(122)는 대기 모드에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IR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IR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을 제공하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IR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조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등 다양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IR 신호가 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블루투스 또는 와아파이 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무선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22)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23)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로세서(122)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23)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Power를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123)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22)는 센서(11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기 위한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를 온 하기 위한 신호,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밝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 밟아짐에 따라 생성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23)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Power를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123)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서브 프로세서(122)는 프로세서(123)의 상태 정보를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 2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는 센서에 연결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로우 신호 또는 하이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이면 로우 신호(Low signal)를 출력하고,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면 하이 신호(High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로우 신호를 하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close 되고,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open 되는 스위치 및 스위치의 개폐에 따라 로우 신호 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2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인지 또는 하이 신호인지에 기초하여,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 2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이면,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 2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 2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 2에 포함된 비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 2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 2에 포함된 프로세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Power를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면 캐비닛 2에 포함된 프로세서도 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 컴포넌트 입력 단자, PC 입력 단자 또는 USB 입력 단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 섬유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캐비닛 1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는 셋탑 박스 등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는 셋탑 박스와 연결되어, 셋탑 박스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는 센서에 연결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로우 신호 또는 하이 신호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이면 로우 신호(Low signal)를 출력하고,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면 하이 신호(High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로우 신호를 하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인지 또는 하이 신호인지에 기초하여,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이면,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비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Power를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 1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도 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으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캐비닛으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 3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 1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캐비닛 1 및 캐비닛 3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로우 신호 또는 하이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이면 로우 신호(Low signal)를 출력하고,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면 하이 신호(High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캐비닛 3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인지 또는 하이 신호인지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 3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이면,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 3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 3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 3에 포함된 비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 3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비닛 3에 포함된 프로세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Power를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면 캐비닛 3에 포함된 프로세서도 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 4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도, 전술한 캐비닛 2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와 유사하게, 캐비닛 3의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캐비닛 4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같은 방법을 통해,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여, 프로세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출력 중인 하이 신호를 로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기초하여,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활성화 상태의 외부 장치가 비활성화 되도록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출력 중인 하이 신호를 로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가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다른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환된 것에 기초하여,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IR 센서(810, 820, 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IR 센서 각각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IR 센서(8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중 좌측 아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IR 센서(8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중 가운데 아래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IR 센서(8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중 우측 아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영역에 복수의 IR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어느 영역에서나, 유효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리모컨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온 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전자 장치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R 센서를 통해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감상하면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채널 전환 명령 등을,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입력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IR 센서로 채널 전환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감상하면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IR 센서(910, 920, 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IR 센서 각각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영역에 복수의 IR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사각 영역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므로, 사용자의 체감 부팅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감지되기 전에는 대기 모드를 유지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력 사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밝기가 변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IR 센서(1010, 1020, 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IR 센서 각각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영역에 복수의 IR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밝기 값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센서에 의해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밝기가 감지된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설치된 조명 기기의 전원이 온 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밝기가 감지된 경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조명 기기의 전원을 온 시킨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반영한 것으로써,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므로, 사용자의 체감 부팅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10), 제1 캐비닛(120-1), 제2 캐비닛(120-2), 제n 캐비닛(120-n), 저장부(140), 인터페이스(150), 통신부(160), 마이크(170), 스피커(180), 조작부(190) 및 메인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 내지 축약하여 설명한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명령 또는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4)는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메인 프로세서(13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3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프로세서(13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복수의 프로세서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된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복수의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센서(11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시간은 60분, 120분 등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센서(11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고 있지 않는 경우이거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을 벗어난 경우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전력 사용을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어떠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지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센서(11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이면, 일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30)는 대기 모드로 전환 전, 스크린을 통해 대기 모드로 전환할 것임을 나타내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30)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은 경우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있더라도, 영상을 감상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반영한 경우이다. 가령,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재생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잠은 자는 경우가 그러하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센서(110)로부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30)는 대기 모드로 전환 전, 스크린을 통해 대기 모드로 전환할 것임을 나타내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서(130)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감지되지 않던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이면, 사용자는 영상을 시청할 의도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가능성이 높음을 반영한 것이다.
통신부(16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스마트 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60)는 무선 통신 칩, 와이 파이 칩, 블루투스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70)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이 될 수 있다.
마이크(170)를 통해,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메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음성을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응답 정보는 외부 서버를 통해 수신될 수 있음은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80)는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작부(190)는 터치 스크린, 터치패드, 키 버튼, 키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미도시), 방송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정보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미도시), 영상 신호에 비디오 디코딩 및 비디오 스케일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디코딩을 수행하는 A/V 처리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모드에서, 복수의 캐비닛 중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으로 제공(S12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모드는 센서 및 각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된 상태이고, 각 캐비닛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로세서는 비 활성화 된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모드에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모드에서,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S1220)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이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로우 신호를 하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인지 또는 하이 신호인지에 기초하여,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이면,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비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의 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 활성화 상태의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되면 인접하여 배치된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도 활성화 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S123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캐비닛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센서
120: 캐비닛
121: 디스플레이 모듈
122: 서브 프로세서
123: 프로세서
130: 메인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되는 서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적어도 하나의 센서;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센서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캐비닛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캐비닛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2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센서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캐비닛과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은 제3 캐비닛에 포함된 제3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캐비닛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중인 로우 신호(Low signal)를 하이 신호(High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캐비닛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로우 신호에서 상기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제2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IR 센서이고,
    상기 IR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IR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IR 센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이고,
    상기 조도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제2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캐비닛에 포함된 제3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닛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에 포함된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각각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되는 서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에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센서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캐비닛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캐비닛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2 프로세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센서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캐비닛과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은 제3 캐비닛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일반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비닛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중인 로우 신호(Low signal)를 하이 신호(High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캐비닛은,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로우 신호에서 상기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제2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IR 센서이고,
    상기 IR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IR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IR 센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이고,
    상기 조도 센서에 연결된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비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닛에 포함된 제1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의 제1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1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캐비닛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캐비닛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제2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캐비닛에 포함된 제3 서브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활성화 상태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캐비닛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 신호에서 로우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캐비닛에 포함된 활성화 상태의 상기 프로세서를 비활성화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102919A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19A KR102393933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0851 WO2020045923A1 (en) 2018-08-30 2019-08-26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201980055190.8A CN112602051A (zh) 2018-08-30 2019-08-26 显示装置及用于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EP19193916.4A EP3617870A1 (en) 2018-08-30 2019-08-2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2185846.7A EP4095673A1 (en) 2018-08-30 2019-08-2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6/554,117 US10809961B2 (en) 2018-08-30 2019-08-28 Display apparatus that connects display modu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19A KR102393933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89A KR20200025489A (ko) 2020-03-10
KR102393933B1 true KR102393933B1 (ko) 2022-05-04

Family

ID=6777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19A KR102393933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9961B2 (ko)
EP (2) EP3617870A1 (ko)
KR (1) KR102393933B1 (ko)
CN (1) CN112602051A (ko)
WO (1) WO2020045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270B1 (ko) * 2018-07-02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822902B (zh) * 2020-12-31 2022-06-17 武汉睿特富连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控制配线架机柜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18517B1 (ko) 2021-02-24 2022-07-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oc-soh기반 선박 배터리 제어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4246A1 (en) 2014-05-14 2017-03-23 Barco Nv Energy efficient power sequencer control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4525A1 (en) 2003-12-23 2005-06-23 Gino Tanghe Control system for a tiled large-screen emissive display
KR20110049948A (ko) 2009-11-06 2011-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87186B1 (ko) 2012-07-31 2019-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비젼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407311B1 (ko) * 2012-10-31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이의 광센서모듈 복구방법
KR102166777B1 (ko) * 2013-09-30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4194B1 (ko) 2014-08-19 2021-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Rf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감지방법
KR20160043477A (ko) * 2014-10-13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246120B1 (ko) * 2014-11-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51701B1 (ko) * 2014-12-26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38874B2 (en) * 2015-01-30 2019-07-02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automatic locating features
KR102272059B1 (ko) * 2015-02-09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6099B1 (ko) * 2015-04-13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US10552019B2 (en) * 2015-04-16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CN106292845B (zh) * 2015-05-19 2019-04-23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组合式电子设备
KR102379205B1 (ko) * 2015-10-19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33681A (ko) * 2016-09-26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파워 제어 방법
KR102641940B1 (ko) 2016-11-03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93325B2 (en) 2016-11-04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4246A1 (en) 2014-05-14 2017-03-23 Barco Nv Energy efficient power sequencer control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3615A1 (en) 2020-03-05
KR20200025489A (ko) 2020-03-10
US10809961B2 (en) 2020-10-20
EP4095673A1 (en) 2022-11-30
WO2020045923A1 (en) 2020-03-05
CN112602051A (zh) 2021-04-02
EP3617870A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9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457376B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1003243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9560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201800236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76015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having plural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ystem
KR202000035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54651B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10476147B (zh) 电子装置及其显示内容的方法
KR102426034B1 (ko)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영 시스템
US9767769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727862B2 (en)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81107B2 (ja) 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EP3314901B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able by a remote controller dedicated to remote control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KR1023153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78493A1 (en) Wireless pairing system
US20230117342A1 (en) Mov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4242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206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92158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514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4014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5676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KR201800294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38148A (ko)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