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07B1 -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407B1
KR102393407B1 KR1020210004225A KR20210004225A KR102393407B1 KR 102393407 B1 KR102393407 B1 KR 102393407B1 KR 1020210004225 A KR1020210004225 A KR 1020210004225A KR 20210004225 A KR20210004225 A KR 20210004225A KR 102393407 B1 KR102393407 B1 KR 10239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tank
gaseous fluid
inlet
housing
exhaust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332A (ko
Inventor
김형기
김진희
이상훈
채종문
Original Assignee
(주)유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시스 filed Critical (주)유니시스
Priority to KR102021000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6Steam-separating arrangements
    • F22B37/30Steam-separating arrangements using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7/00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로서,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각각의 상기 제 1 유입부에 연통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상기 제1 유입부 각각으로 분기하도록 구비되는 확장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Emission Steam Reduction Facility for Flash Tank}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배출증기를 저감시킬 수 있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기적 장치나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플래시 탱크에서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응측수로 응축할 수 있으므로, 제품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며,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를 통한 발전소에서의 발전과정은, 보일러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를 형성하여 토출하면, 토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증기터빈으로 전달되며, 발전기의 회전으로 인해 전력을 생산하게 되며, 여기서, 보일러는 토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탱크를 포함한다.
이때, 발전소에서는 플래시 탱크 등으로부터 발생한 잔여 증기와 배기 가스 등을 배출하기 위하여 높은 굴뚝을 가지며, 굴뚝에서 배출되는 증기는 대기의 상대 습도가 높아지는 습한 날이나 기온이 낮은 날에는 결로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굴뚝 주변에 다량의 우수로 변하여 지상이나 주변의 건축물의 내구연한을 단축시키거나, 기계장비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며, 주변 통행로에 통행인의 안전을 위한 터널 통로를 설치하는 상황도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래시 탱크는 토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감압하여 저온 저압의 공기, 즉 재증발 증기를 생성하여 굴뚝으로 토출되는 증기의 양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증기로 해수와 같은 물을 분사시켜 증기의 온도를 삼중점 이하의 온도로 낮추어 응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응축수의 회수 효율은 높지만 별도의 전기적 장치를 설치해야하므로, 운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섬유형태의 필터를 사용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식이 존재하며, 통상적으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물의 흡수용량이 큰 섬유형태의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흡수시킨후, 다수 탈수시켜 물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고, 탈수 이후 반복하여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필터 방식의 경우, 일정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필터를 사용할 경우, 필터 성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대기로 방출되는 증기를 저감시키면서도, 응축수 회수 효율이 높고, 구축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율적인 장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38661(2015.12.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73388(2005.12.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현장의 주변에 배관과 같은 부재들이 조밀하게 설치됨에 따라,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복수개의 하우징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은,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각각의 상기 제 1 유입부에 연통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상기 제1 유입부 각각으로 분기하도록 구비되는 확장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확장연결부는, 하단에 상기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2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각각을 향해 분기될 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각각으로 균일한 유량을 갖도록 상기 제 2 유입부의 인접측에 돌출 형성되는 경로분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로분할부재는, 상기 제 2 유입부를 통해 상기 확장연결부로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유입부 및 상기 유동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체상 유체가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동안 상기 기체상 유체의 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를 응축 배출하는 응축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외부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캡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유입부는,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역류방지용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상기 제 1 유입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유입부를 통과한 기체상 유체가 유동 중심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체상 유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베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와 확장연결부를 포함함에 따라,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가 과도하게 길어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설치 공간으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길이가 축소된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각각에 확장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설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연결부가 제 2 유입부와 경로분할부재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 2 유입부로부터 플래시 탱크로 부터 발생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확장연결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경로분할부재로 인해 플래시 탱크용 저감장치 각각을 향해 균일한 유량을 갖도록 분할 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로 기체상 유체가 편중되는 경우를 억제하여, 어느 하나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가 하우징, 제 1 유입부, 응축유도부를 포함함에 따라, 플래시 탱크로부터 발생하는 기체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임계점 아래로 감압시킬 수 있으므로,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의 일부가 응축되게 되어,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로 수증기 함유량이 감소된 기체상 유체를 최종 배출하여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도로 결빙현상이나 주변 건물과 기계의 부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바, 근무자,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기장치 없이도 기체상 유체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가 외부캡을 포함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비, 눈 등을 포함하는 수분의 유입을 억제함과 동시에, 소정압력 및 속도를 보유한 기체상 유체를 통해, 응축수가 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최종 방출되는 기체상 유체를 다공판형 저면부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킨 후, 최종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다공판형 저면부로 인해,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 일부가 관통공으로 인해, 유속이 증가되어 압력이 임계점 이하로 낮아져, 응축수로 추가 상변화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응축수 회수 효율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유입부가 역류방지용 유입구를 포함함에 따라, 제 1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의 유동 공간으로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응축유도부를 통과하고, 응축유도부로 인해 기체상 유체 내에 포함된 수증기의 일부가 응축되어 응축수를 생성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수가 하우징 바닥면을 향해 낙하하여, 하우징 바닥면에 응축수가 일정 높이 이상 고이게 될 경우, 제 1 유입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 회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가, 제 1 유입부로 유입되는 기체상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베인을 더 포함함에 따라, 기체상 유체가 유동 중심 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내측면까지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으므로, 하우징 유동공간 내에 배치되는 응축유도부를 향하여, 균일하게 분포하는 기체상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어, 응축유도부 어느 한 구간으로 기체상 유체가 편중되어, 응축유도부의 어느 한 구간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하우징을 제외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감속층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모듈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감속층을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감속층의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증가층을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입부와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확장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하우징을 제외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되는 기체상 유체는 발전소에 설치된 플래시 탱크에서 발생하는 고압 증기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체상 유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상 유체는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어, 다습한 상태의 기체상 유체임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하우징(100), 제 1 유입부(200), 응축유도부(300), 배출부(400), 외부캡(500) 및 버드스크린(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유동공간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의 빈 공간으로,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기체상 유체가 통과할 수 있으며, 후술될 응축유도부(3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보유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기체상 유체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유지보수홀(110)과 브라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보수홀(110)은 하우징(100) 외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하우징(100) 내부의 부식이나 결함상태를 파악하거나, 내부에 위치한 부품들의 교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지보수홀(110)은 작업자가 별도로 하우징(100)을 분해하지 않고도, 하우징(100) 내부의 상태 및 부품 교체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유지보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보수홀(11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브라켓(120)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의 설치를 위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굴뚝 내벽과 같은 장소에 하우징(10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업자는 하우징(100) 외부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120)을 통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120)은 하우징(1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부품으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 유입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기체상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유입부(200)는 기체상 유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유입부(200)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응축유도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유동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체상 유체가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동한 상기 기체상 유체의 유동속도를 변화시킴에 따라, 상기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의 일부를 응축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응축유도부(300)는 상기 기체상 유체의 유속의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로 인해,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 일부가 응축되어, 수증기 함유량이 감소된 기체상 유체를 통과 배출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리하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내의 기체상 유체의 흐름은, 먼저, 하우징(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1 유입부(20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의 유동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유도부(300)를 통과하면서 응축수로 상변화되며, 상기 응축수로 응축되지 못한 기체상 유체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으로 배출되는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 함유량은, 상기 제 1 유입부(200)로 유입되는 기체상 유체의 수증기 함유량보다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축유도부(300)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가 하우징(100), 제 1 유입부(200), 응축유도부(300)를 포함함에 따라, 플래시 탱크로부터 발생하는 기체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임계점 아래로 감압시킬 수 있으므로,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의 일부가 응축되게 되어,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로 수증기 함유량이 감소된 기체상 유체를 최종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를 통해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도로 결빙현상이나 주변 건물과 기계의 부식 등을 예방하여, 근무자,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별도의 전기장치나 필터 없이도 기체상 유체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내구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400)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응축유도부(300)를 통과하여, 기체상 유체 내 수증기의 일부가 상변화되어, 하우징 내부에 체류하게 되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 1 배출부(410) 및 제 2 배출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출부(410)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면서, 후술할 유속감속층(310)의 배수공(314)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유속감속층(310)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배출부(410)는 별도의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은 하우징(100)의 유동공간에 형성된 응축수를 상기 제 1 배출부(410)로 이동시킬 수 있거나, 외부의 오수처리장이나 난방기기와 같은 각종 설비로 상기 응축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출부(4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0) 하부를 향해 낙하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체류중인 응축수를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 배출부(400)는 별도의 배수관을 포함하여,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응축유도부(300)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응축수 외부의 오수처리장으로 응축수를 이동시키거나, 난방기기와 같은 각종 설비로 응축수를 이동시켜 상기 응축수를 재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배출부(400)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체류하는 응축수를 하우징(100)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온 고압으로 형성되어 이동 속도가 빠른 기체상 유체가 하우징(100)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 내부에 생성된 응축수를 하우징(100) 외부로 함께 배출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캡(500)은,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수분과 같은 외부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개방된 최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캡(500)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드스크린(6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최상단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드스크린(600)은 매쉬 형태의 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상 유체는 통과시킬 수 있으면서, 고체 형태의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버드스크린(600)이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로 벌레의 유입이나 조류의 진입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물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유도부(300)가 포함하는 유속감지층(310)과 유속증속층(3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감속층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모듈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감속층을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감속층의 단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증가층을 확대 도시한 분리도이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화살표는 기체상 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의 배열이 조밀할수록, 상기 기체상 유체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유도부(300)는 유속감속층(310)과 유속증속층(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유도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기체상 유체의 유속을 변화시켜, 상기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를 응축수로 일부 상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유속감속층(310)과 상기 유속증속층(3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유동공간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속감속층(31)과 상기 유속증속층(32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상기 기체상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면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속감속층(310)과 상기 유속증속층(320)은, 유입되는 기체상 유체의 압력과 속도에 따라, 에너지 손실을 얻기 위한 최적의 개수와 최적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고온의 기체상 유체가 상기 응축유도부(300)로 유입될 경우, 상기 응축유도부(300)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켜, 고온의 기체상 유체의 감압을 충분히 유도하도록 하여, 임계점 아래로 압력을 강하시켜, 응축수로의 상변화를 보다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속감속층(310)은 결합홀(311), 제 1 다공판(312), 디퓨져모듈(313) 및 배수공(3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311)은 상기 제 1 다공판(313)을 관통 형성되며, 다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다공판(313)의 전면적에 걸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311) 각각에는 디퓨져모듈(31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퓨져모듈(313)은 상기 결합홀(311)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끼움 결합구조를 갖거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후술할 상기 디퓨저모듈(313)의 유입구(313a)는 상기 결합홀(311)에 결합될 시, 상기 우입구(313a)의 하단 일부가 상기 제 1 다공판(312)을 관통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퓨저모듈(313)을 제 1 다공판(312)에 용접 결합할 경우, 디퓨저모듈(313)과 상기 제 1 다공판(312)이 접촉하게 되는 상하 부분으로 용접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 편의성, 조립 및 제작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 1 다공판(312)과 디퓨저모듈(313)의 고정력 또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유속감속층(3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모듈(313)은 유입구(313a), 유출구(313b) 및 본체부(313c)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상 유체가 관통 가능하면서, 상기 유입구(313a)의 직경과 상기 유출구(313b)의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입구(313a)는 제 1 직경을 가지며, 상기 유출구(313b)는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체부(313c)는 상기 유입구(313a)에서 상기 유출구(313b)로 갈수록 유량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유입구(313a)와 상기 유출구(313b)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부(313c)는 상기 유입구(313a)와 유출구(313b)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지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디퓨져모듈(313)의 유입구(313a)와 유출구(313b)의 직경이 상이하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313a)와 상기 유출구(313b) 각각을 통과하는 기체상 유체의 유속이 상이하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디퓨져모듈(313)의 유입구(313a)를 통과하는 기체상 유체의 경우에는, 유입구(313a)의 작은 직경으로 인해 유속이 증가하여 임계점 이하로 감압시킬 수 있어,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 일부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져모듈(313)의 유출구(313b)를 통과하는 기체상 유체의 경우에는, 유입측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으로 인해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히, 디퓨져모듈(313)이 유입구(313a)를 포함함에 따라, 디퓨져모듈(313)의 유입구(313a)을 통해서는, 기체상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임계점 이하로 기체상 유체의 압력을 감소시켜, 응축수로의 상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상기 디퓨저모듈(313)이 본체부(313c)와 유출구(313b)를 포함함에 따라, 기체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유속증속층(320)을 향해 유속이 낮은 기체상 유체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기장치 없이도 높은 증기 회수 효율을 가진 배출증기 저감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공(314)은 상기 기체상 유체가 상기 유속감속층(310)을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재회수하여 유속감지층(310)의 하부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홀(311)의 형성공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배수공(3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수공(314)은 상기 제 1 배출부(410)와 별도의 배수관으로 연결되어, 유속감속층(310)으로 인해 생성된 응축수를 하우징(10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상기 유속감속층(310)이 응축수를 재회수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314)을 더 포함함에 따라, 기체상 유체가 유속감속층(310)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전하게 별도로 연결된 외부의 오수 처리 장치와 같은 곳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가 설치되는 굴뚝의 하방으로 응축수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속증속층(320)은 상기 유속감속층(310)의 상류에 구비되어, 기체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속증속층(320)은 유속감속층(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체상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속증속층(320)은 제 2 다공판(321)과 관통공(3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다공판(321)은 하우징(100)의 유동공간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비되고, 제 1 유입부(100)로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적에 걸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3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22)은 상기 결합홀(311)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2 다공판(321)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관통공(322)의 천공률은 상기 제1 다공판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결합홀(311)의 천공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 2 다공판과 상기 제 1 다공판의 전체 면적은 동일하게 구비되므로, 제 2 다공판의 관통공의 형성 개수는 제 1 다공판의 결합홀의 형성 개수보다 많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322)의 면적은 전체 면적 대비 45% 내지 55% 정도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22)을 통과하는 기체상 유체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속증속층(320)의 관통공(322)의 면적이 전체 면적 대비 45% 미만일 경우, 상기 기체상 유체가 상기 유속증속층(320)을 통과할 시,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상기 유속증속층(320)을 통과한 기체상 유체의 배압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기체상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유속증속층(320)이 손상될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속증속층(320)의 면적이 전체 면적 대비 55% 초과일 경우, 상기 기체상 유체의 유속이 충분히 증가되지 않음에 따라, 임계점 이하로 압력이 저하되지 않아, 응축수 회수 효율이 낮게 된다.
즉, 유속증속층(32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속증속층(320)의 상기 관통공(322)으로 기체상 유체가 통과할 경우, 좁은 단면적으로 인해 기체상 유체의 유속 변화가 발생하여, 임계점 이하로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액체로 상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응축수로의 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응축유도부(300)는 기체상 유체가 유속증속층(320)을 통과한 후, 유속감속층(310)을 통과하도록 배치시켜, 상기 유속증속층(320)을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부에서 중앙으로 집중시키지 않고 고르게 분포하게 되는 기체상 유체를 상기 유속감속층(310)을 향해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유속감속층(31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로의 상변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체상 유체가 상기 유속증속층(320)을 통과한 후, 상기 유속감속층(310)을 통과하도록 배치시킬 경우, 상기 유속감속층(310)의 디퓨져모듈(313)를 통과하여 유속이 낮아진 기체상 유체를 유속감속층(310)을 향해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다공판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유속 차이가 극대화할 수 있어, 높은 증기 회수 효율을 갖는 배출증기 저감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속증속층(32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속도 변화에 따른 압력 손실에 필요한 기체상 유체의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 재회수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기체상 유체는 유속증속층(320)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응축수로 일부 상 변화하며, 이후, 유속감속층(310)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응축수로 일부 상 변화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캡(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캡(5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캡(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외부캡(500)은 하우징(100)의 최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기체상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최상단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캡(500)은 지지대(510) 및 차단판(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대(51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차단판(520)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을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차단판(520)은 상기 하우징(100)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캡(500)이 비나 눈과 같은 기상현상 발생 시,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눈이나 비와 같은 수분의 유입을 억제함과 동시에, 소정 압력 및 속도를 보유한 기체상 유체를 통해, 응축수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520)은 최종적으로 하우징(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기체상 유체의 추가 응집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다공판형 저면부(5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공판형 저면부(521)는 전면적에 걸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다수개의 다공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공판형 저면부(521)로 인해,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로 방출되는 기체상 유체를 다공판형 저면부(521)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킨 후 최종 배출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체상 유체가 다공판형 저면부(521)의 다공으로 인해, 유속이 증가되어 압력이 임계점 이하로 낮아져, 응축수로 추가 상변화 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응축수 회수 효율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유입부(200)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7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입부(200)는 직경이 상기 유동공간의 바닥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역류방지 유입구(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 유입구(21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제 1 유입부(2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면서,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방을 향해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유입부(200)가 역류방지용 유입구(210)를 포함함에 따라, 제 1 유입부(200)를 통해 하우징(100)의 유동 공간으로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응축유도부(300)를 통과하고, 응축유도부(300)로 인해 기체상 유체 내에 포함된 수증기의 일부가 응축되어 응축수를 생성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수가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향해 낙하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응축수가 일정 높이 이상 고이게 되어, 제 1 유입부(2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 회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베인(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베인(700)은 상기 제 1 유입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유입부(200)를 통과한 기체상 유체가 유동 중심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내측면까지 균일하게 분포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체상 유체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베인(700)은 소정 곡률을 보유한 나선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유입부로 유입되는 기체상의 유체의 유동을 하우징(100) 내부로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는 팬 형상이나 배플(Baffle)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가이드베인(700)이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 유동공간 내에 배치되는 응축유도부(300)를 향하여, 균일하게 분포하는 기체상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응축유도부(300) 어느 한 구간으로 기체상 유체가 편중되어, 응축유도부(300)의 어느 한 구간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F)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1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확장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F)은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와 확장연결부(2000) 및 지지체(3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F)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를 복수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를 병렬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확장연결부(2000)는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의 상기 제 1 유입부(200)에 연통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상기 제1 유입부(200) 각각으로 분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의 설치 현장의 주변에 배관과 같은 부재들이 조밀하게 설치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높이가 과도하게 길어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길이가 축소된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에 확장연결부(20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의 설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기체상 유체의 압력 특성에 따라,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의 유동공간이 길게 형성되어야, 응축수로의 상변화가 원활히 진행되나, 설치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확장연결부(2000)를 통해,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를 병렬 연결시켜 많은 양의 다습한 기체상의 유체 내의 수증기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확장연결부(2000는, 기체상 유체가 유입되는 제 2 유입부(2100)와 경로분할 부재(2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2 유입부(2100)은 확장연결부(2000)의 하단에 구비되어,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상기 확장연결부(200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경로분할부재(2200)는 제 2 유입부(2100)로부터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을 향해 분기될 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으로 균일한 유량을 갖도록 상기 제 2 유입부(2100)의 인접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경로분할부재(2200)는, 제 2 유입부(2100)를 통해 상기 확장연결부(2000)로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상 유체가 제 1 유입부(200) 각각을 향해 균등하게 분할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확장연결부(2000)가 제 2 유입부(2100)와 경로분할부재(2200)를 포함함에 따라, 플래시 탱크용 저감장치 각각을 향해 균일한 유량을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로 기체상 유체가 편중되는 경우를 억제하여, 어느 하나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F)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3000)는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받침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체(300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에 유입된 기체상 유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과 같은 자연환경으로 인해 하우징(100)이 소정각도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F)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F :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1000 :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100 : 하우징
110 : 유지보수홀
120 : 브라켓
200 : 제 1 유입부
210 : 역류방지 유입구
300 : 응축유도부
310 : 유속감속층
311 : 결합홀
312 : 제 1 다공판
313 : 디퓨저모듈
313a : 유입구
313b : 유출구
313c : 본체부
314 : 관통공
400 : 배출부
410 : 제 1 배출부
420 : 제 2 배출부
500 : 외부캡
510 : 지지대
520 : 차단판
521 : 다공판형 저면부
600 : 버드스크린
700 : 가이드베인
2000: 확장연결부
2100 : 제 2 유입부
2200 : 경로분할부
3000 : 지지체

Claims (7)

  1.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를 포함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F)로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은,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유입부(200)가 형성된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와,
    상기 복수개의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의 상기 제 1 유입부(200)에 연통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상기 제1 유입부(200) 각각으로 분기하도록 구비되는 확장연결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는,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한정하도록 구성되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외부캡(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캡(500)은,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510);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차단판(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연결부(2000)는,
    하단에 상기 플래시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기체상 유체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2 유입부(210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입부(2100)로부터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을 향해 분기될 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 각각으로 균일한 유량을 갖도록 상기 제 2 유입부(2100)의 인접측에 돌출 형성되는 경로분할부재(2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분할부재(2200)는,
    상기 제 2 유입부(2100)를 통해 상기 확장연결부(2000)로 유입된 기체상 유체가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다습한 기체상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 유입부(200); 및
    상기 유동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체상 유체가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동안 상기 기체상 유체의 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기체상 유체 내의 수증기를 응축 배출하는 응축유도부(300):를 포함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부(200)는,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역류방지용 유입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1000)는,
    상기 제 1 유입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유입부를 통과한 기체상 유체가 유동 중심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체상 유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베인(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KR1020210004225A 2020-06-15 2021-01-12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KR10239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25A KR102393407B1 (ko) 2020-06-15 2021-01-12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94A KR102237535B1 (ko) 2020-06-15 2020-06-15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KR1020210004225A KR102393407B1 (ko) 2020-06-15 2021-01-12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394A Division KR102237535B1 (ko) 2020-06-15 2020-06-15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332A KR20210155332A (ko) 2021-12-22
KR102393407B1 true KR102393407B1 (ko) 2022-05-02

Family

ID=754691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394A KR102237535B1 (ko) 2020-06-15 2020-06-15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KR1020210004225A KR102393407B1 (ko) 2020-06-15 2021-01-12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394A KR102237535B1 (ko) 2020-06-15 2020-06-15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75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086Y2 (ja) * 1992-09-02 1998-08-06 三井造船株式会社 氷スラリー貯蔵装置におけるスラリー配管構造
KR100473388B1 (ko) 2002-05-06 2005-03-08 이후근 섬유 필터를 이용한 냉각 용수 회수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US7896937B2 (en) * 2008-02-18 2011-03-01 Alstom Technology Ltd Hybrid separator
JP5626017B2 (ja) * 2011-02-28 2014-11-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凝縮水排出装置
KR20150138661A (ko) 2014-06-02 2015-12-10 (주) 씨테크놀로지시스템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온배수 폐열 회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U2018253401B2 (en) * 2017-04-12 2020-10-15 Koch-Glitsch, Lp An inlet device for separating phases of a liquid stream in a vessel and method invol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535B1 (ko) 2021-04-07
KR20210155332A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5426C1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потока воздуха для конденсатора с воздуш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CN102052857B (zh) 自然通风空冷凝汽器
WO2007098534A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water
KR102393407B1 (ko) 플래시 탱크용 배출증기 저감시설
US20140133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recovery from fluid flows
KR100978230B1 (ko) 조립식 우수 여과장치
KR101332592B1 (ko) 블로우오프 탱크
CN101392759A (zh) 一种风机蜗壳内底部冷凝水的排放方法
US6576028B2 (en) Noise abatement device and separation aid for use in fluid flow systems
KR101339668B1 (ko) 응축수 회수 장치
US11285416B2 (en) Wet stack guide vane having a condensate collector
CN104474794A (zh) 一种湿烟囱烟气导流板顶端冷凝液收集装置
KR200469667Y1 (ko) 역화 방지 기능을 강화한 매립가스 연소기
JP3174549U (ja) 水車装置
CN203099865U (zh) 湿法脱硫系统排烟液滴收集疏水装置
KR102120052B1 (ko) 상향 배출식 기류 확산 구조와 집수형 배수 구조를 갖는 연도용 멀티 상부캡
JPH02294502A (ja) 蒸気タービンの湿分予備分離器
CN220552349U (zh) 冷却塔
KR20230172641A (ko) 연돌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EP4023837A1 (en) Rainwater trap trapping the water from a gutter system
RU2511379C2 (ru)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EP1010451B1 (en) Stack filter assembly
CN219682097U (zh) 一种多级气水分离器
RU196197U1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ая насосная станция
KR102385791B1 (ko) 공기 정화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