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919B1 -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 Google Patents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919B1
KR102392919B1 KR1020210160913A KR20210160913A KR102392919B1 KR 102392919 B1 KR102392919 B1 KR 102392919B1 KR 1020210160913 A KR1020210160913 A KR 1020210160913A KR 20210160913 A KR20210160913 A KR 20210160913A KR 102392919 B1 KR102392919 B1 KR 10239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wearable device
voice signal
rotating body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수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Priority to KR102021016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which uses a bone conduction module applied with bone conduction technology to block external noise and transmit voice signal st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coupled to a wearable device worn on a user's body to transmit a voice signal.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base body coupled to a wearable device; a contact part coming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 bone conduction module including a bone conduction unit for transmitting a bone conduction signal; and a joint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base body to connect the base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so as to allow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wearable devices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착용되는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that is installed in various wearable devices worn by a user to transmit a voice signal.

일반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화재 현장에서 호흡장치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호흡장치는 배낭 형태로 이루어져 소방관의 등에 착용되는 공기통의 공기를 소방관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소방관이 착용한 마스크에 공기통의 공기를 감압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레귤레이터가 공기통 또는 마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어 고압의 공기를 소방관이 호흡하기 적당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통, 마스크,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호흡장치는 한 세트로 이루어져 소방관이 착용하고 화재 현장으로 투입되어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는데 활용된다.In general, firefighters extinguishing a fire are supplied with air through a breathing apparatus at the scene of the fire. This breathing apparatus is in the form of a backpack and supplies air from a reservoir worn on the firefighter's back to a mask worn on the firefighter's face. At this time, a regulator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reservoir and the mask so that the air in the reservoir can be supplied to the mask worn by the firefighter by reducing the pressure to a pressure suitable for the firefighter to breathe. In this way, the breathing apparatus consisting of a reservoir, a mask, and a regulator is made up of a set, worn by a firefighter, and put into a fire scene, and is used to extinguish a fire or save lives.

또한 건물이나 선박 등 닫힌 공간을 갖는 구조물에는 화재 발생 시 사람들의 호흡을 돕기 위한 개인용 호흡장치가 구비되어 대응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In addition, structures with closed spaces, such as buildings and ships, are equipped with personal breathing apparatuses to help people breathe in case of fire and are sometimes used for countermeasures.

사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호흡장치로는 소방관용 공기호흡기(SCBA :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나, 스쿠버 다이버가 사용하는 수중용 공기호흡기(SCUBA :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가 대표적이다.As a breathing device that supplies air to the user, a firefighter's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or a scuba diver's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SCUBA: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are representative.

호흡장치를 사용하여 소방 활동이나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다른 동료와의 통신, 또는 지휘 센터와의 통신은 매우 중요하다. 원활한 통신은 효율적인 소방 또는 구조 작업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호흡장치에 사용되는 통신장비는 열악한 통신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Communication with other colleagues or with the command center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irefighting activities or tasks using breathing apparatus. Smooth communication is essential for efficient firefighting or rescue operations. Therefore, the communication equipment used for the breathing apparatus should work stably in a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be convenient to use.

일반적으로, 호흡장치와 같이 사용되는 통신장비로는 휴대용 무전기가 사용된다. 휴대용 무전기는 휴대가 편리하지만, 사용자가 방호장갑을 낀 상태로 조작이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흡용 마스크에 마이크를 장착하고, 마이크와 무전기 사이에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스위치를 조작하여 음성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통신장비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walkie-talkie is used as a communication device used as a breathing apparatus. Portable radios are convenient to carry, but they are inconvenient to operate while the user is wearing protective gloves. To solve this problem, a microphone is mounted on the breathing mask, and a Push to Talk switch is installed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walkie-talki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Push to Talk switch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There are many communication devices available.

그런데 화재 현장 등 작업 현장에서는 주변 소음이 크기 때문에 종래의 마이크와 스피커 폰을 이용하는 통신장비는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송신하거나,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ambient noise is large at work sites such as fire sites, it is difficul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a conventional microphone and speaker phone to clearly transmit a user's voice or accurately transmit a voice signal to a user.

등록특허공보 제2084627호 (2020. 02. 2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2084627 (2020.02.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골전도 기술을 적용한 골전도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안정적으로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by using a bone conduction module to which bone conduction technology is applied, it is to provide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that can block external noise and stably transmit a voice signal. The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골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골전도부를 갖는 골전도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대한 상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골전도 모듈을 연결하는 조인트 연결부;를 포함한다.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by being coupled to a wearable device worn on a user's body, the wearable device a base body coupled to the device; A bone conduction module having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a bone conduction portion for transmitting a bone conduction signal; and a joint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base body to enable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to connect the base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상기 조인트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디와, 상기 회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골전도 모듈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joint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ody, and a support body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dy to support the bone conduction module.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바디에는 상기 서포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촉부를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틸팅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so that it can be tilted about a central axis of rotation that intersects with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has a direction for pressing the contact portion toward the user's ski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A tilting spring capable of applying an elastic force may be installed.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회전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링형 디텐트 레일이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 바디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링형 디텐트 레일에 접하는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가 구비될 수 있다.One of the base body and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detent rai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detent protrusion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n interruption of the rotating body. A rotational intermittent detent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detent rail may be provided in order to induce a specific rotational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은, 상기 회전 바디에 구비되는 회전 바디 홀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바디에 대해 상기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와 상기 링형 디텐트 레일을 상호 압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base body in a manner to pass through a rotating body hole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and positioned on a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mutually compress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and the ring-shaped detent rail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support the spring.

상기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는 복수 개가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al central axis of the rotational body.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상기 회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바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골전도 모듈은 상기 서포트 바디 레일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The support body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dy rail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ng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may linearly move along the support body rail.

상기 서포트 바디와 상기 골전도 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골전도 모듈의 선형 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선형 디텐트 레일이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골전도 모듈의 단속적인 선형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선형 디텐트 레일에 접하는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가 구비될 수 있다.On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linear detent rail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detent protrusions disposed along the linear motion direc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the bone conduction module A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 in contact with the linear detent rail may be provided to induce an intermittent linear motion of the .

상기 골전도 모듈은, 상기 골전도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쿠션에 구비될 수 있다.The bone conduction module may includ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bone conduction unit, and a cushion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ontact unit may be provided on the cushion.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골전도 신호 전달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소음의 간섭없이 안정적인 음성신호 전달이 가능하다.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a wearable device worn on a user's body to transmit a voice signal in a bone conduc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fore, stable voice signal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from surrounding noi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은 골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골전도 모듈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에 상대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 연결부에 지지됨으로써 골전도 모듈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골전도 모듈이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더욱 안정적인 골전도 방식의 음성신호 전달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conduc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bone conduction signal is supported by a joint connection portion that is coupled to a base body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base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is varied. It can be adjusted to the user's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can more stably contact the user's body.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voice signal in a more stable bone condu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의 베이스 바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의 조인트 연결부에 골전도 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us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base body of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part of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ne conduction module is coupled to a joint connection part of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1 shows an example of us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결합되어 음성신호를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10 worn on the user's body and may be used to transmit a voice sig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로서 호흡장치에 사용되는 공기 호흡기용 마스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통신 유닛(20) 및 푸시 스위치(30)와 함께 통신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 유닛(20)으로는 무전기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푸시 스위치(30)는 사용자에 의한 단순한 푸시 동작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푸시 스위치(30)를 조작하여 송신 기능과 수신 기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스위치(30)가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수행하고, 푸시 스위치(3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이 통신 유닛(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wearable device 10, which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mask for an air respirator used in a breathing apparatus.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may constitute communication equipment together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0 and the push switch 30 . As the communication unit 20 , various devices such as a walkie-talkie may be used. The push switch 30 operates by a simple push operation by a user, and the user may operate the push switch 30 to switch between a transmission function and a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switch 30 is pressed,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performs a transmission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user's voice signal, and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switch 30 is not operated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may perform a reception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 to the user.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는 조인트 연결부(130)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조인트 연결부(130)에 결합되는 골전도 모듈(160)을 포함한다. 골전도 모듈(160)은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변환하여 통신 유닛(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includes a base body 110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10 , a joint connector 130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 and a joint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t includes a bone conduction module 160 coupled to the connector 130 .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transmit a voice signal to the user in a bone conduction method, or convert the user's voice and provide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

베이스 바디(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일측에 결합된다. 베이스 바디(110)는 고정부(112)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베이스 바디(110)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113)과, 체결홀(113)를 통과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고정되는 볼트(11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세척 등 필요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고정부(112)는 볼트(115)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body 1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wearable device 10 . The base body 1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10 through the fixing part 112 . The fixing part 112 includes a fastening hole 113 that is formed through the base body 110 and a bolt 115 that is fixed to the wearable device 10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3 . The user may separate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the wearable device from the wearable device 10 as necessary, such as cleaning the wearable device 10 . The fixing part 112 may be changed to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bolt 115 . Also,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the wearable device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wearable device 10 .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일측에는 조인트 연결부(130)를 베이스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회전 샤프트(136)가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홈(117)이 마련된다. 베이스 바디 홈(117)의 둘레로는 링형 디텐트 레일(119)이 배치된다. 링형 디텐트 레일(119)은 베이스 바디 홈(117)의 둘레를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디텐트 돌기(120)로 구성된다. 링형 디텐트 레일(119)은 베이스 바디(110)에 대한 조인트 연결부(130)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을 유도한다. 링형 디텐트 레일(119)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베이스 바디(110)의 외부 일측에는 커넥터(122)가 구비된다. 커넥터(122)에는 골전도 모듈(160)과 연결되는 케이블(175)과 푸시 스위치(30)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40)이 연결된다. 통신 유닛(20)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신호 라인(40)과 커넥터(122) 및 케이블(175)을 통해 골전도 모듈(160)에 전달되고, 골전도 모듈(160)에서 생성되는 음성신호가 케이블(175)과 커넥터(122) 및 신호 라인(40)을 통해 통신 유닛(20)에 전달될 수 있다. 골전도 모듈(160)과 신호 라인(40) 간의 연결 방식은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4 and 6, one side of the base body 110 has a base body groove 117 to which a rotation shaft 136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joint connection part 130 to the base body 110 is coupled. this will be provided A ring-shaped detent rail 119 is disposed around the base body groove 117 .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etent protrusions 120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body groove 117 .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induces an intermittent rotational motion of the joint connection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 A detailed operation of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will be described later. A connector 122 is provided on one external side of the base body 110 . A cable 175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and a signal line 40 connected to the push switch 3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2 .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 is transmitted to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through the signal line 40, the connector 122, and the cable 175, and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is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through the cable 175 and the connector 122 and the signal line 40 . A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and the signal line 40 may be changed in various other methods than the illustrated method.

조인트 연결부(130)는 베이스 바디(110)에 대한 상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110)와 골전도 모듈(160)을 연결한다. 조인트 연결부(130)는 회전 바디(131) 및 서포트 바디(143)를 포함한다.The joint connection unit 130 is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to enable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to connect the base body 110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 The joint connection part 130 includes a rotating body 131 and a support body 143 .

회전 바디(131)는 베이스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바디(131)는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136)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바디(131)에는 베이스 바디(110)의 링형 디텐트 레일(119)에 접하는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가 구비된다.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가 링형 디텐트 레일(119)에 접함으로써 회전 바디(131)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인트 연결부(130)를 베이스 바디(110)에 대해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회전 바디(131)가 일정 각도씩 단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 7 to 9 , the rotating body 131 may rotate with the rotating shaft 136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as a rotation center. The rotating body 131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2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of the base body 110 . The intermittent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body 131 may be induced by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2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 Therefore, when a user applies a force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joint connection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 the rotating body 131 may rotate intermittently or intermittently at a predetermined angle.

회전 바디(131)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링형 디텐트 레일(119)과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링형 디텐트 레일(119)이 회전 바디(131)에 구비되고, 베이스 바디(110)에 링형 디텐트 레일(119)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and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2 for inducing the intermittent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31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2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various numbers. As another embodiment,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is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131, and one or mor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s 132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are provided on the base body 110 can be

회전 바디(131)는 회전 샤프트(136)와, 스프링(138)과, 지지판(140)을 통해 베이스 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판(140)은 회전 샤프트(136)에 결합되고, 스프링(138)은 지지판(140)에 지지되어 회전 바디(131)에 탄성력을 가한다. 지지판(140)에는 회전 샤프트(136)가 삽입되는 지지판 홀(141)이 마련된다. 회전 바디(131)에는 회전 바디 홀(133)과 수용홈(134)이 구비된다. 회전 샤프트(136)는 회전 바디 홀(133)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홈(134)은 회전 바디 홀(133)과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스프링(138)과 지지판(140)을 수용한다. 스프링(138)은 압축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지지판(140)에 접하고 타단이 회전 바디(131)의 내면에 접함으로써 회전 바디(131)를 베이스 바디(11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스프링(138)은 회전 바디(131)에 대해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와 링형 디텐트 레일(119)이 상호 압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스프링(138)의 작용으로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132)가 링형 디텐트 레일(119)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전 바디(131)가 베이스 바디(110)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속적인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131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body 110 through the rotating shaft 136 , the spring 138 , and the support plate 140 . The support plate 14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36 , and the spring 138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4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otation body 131 . A support plate hole 141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36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140 . The rotating body 131 is provided with a rotating body hole 133 and a receiving groove 134 . The rotating shaft 136 may be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in such a way that it passes through the rotating body hole 133 . The receiving groove 134 is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hole 133 to receive the spring 138 and the support plate 140 . The spring 138 is made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spring and ha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140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31 to press the rotating body 131 toward the base body 110 . That is, the spring 138 may apply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2 and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are compresse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131 . By the action of the spring 138,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2 can stably contact the ring-shaped detent rail 119, whereby the rotating body 131 maintains a stable coupling state with the base body 110. Intermittent rotational motion is possible.

회전 바디(131)와 베이스 바디(110)의 결합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 바디(131)는 베이스 바디(11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coupling method between the rotating body 131 and the base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lso, a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rotating body 131 may be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110 .

서포트 바디(143)는 회전 바디(131)로부터 연장되어 골전도 모듈(160)을 지지한다. 서포트 바디(143)의 중간 부분에는 회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바디 레일(144)이 구비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서포트 바디 레일(144)은 서포트 바디(14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골전도 모듈(160)이 서포트 바디 레일(144)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서포트 바디 레일(144)의 옆쪽에는 서포트 바디 레일(144)과 평행한 선형 디텐트 레일(145)이 구비된다. 선형 디텐트 레일(145)은 서포트 바디 레일(144)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디텐트 돌기(146)로 구성된다. 선형 디텐트 레일(145)은 서포트 바디(143)에 대한 골전도 모듈(160)의 단속적인 선형 운동을 유도한다. 선형 디텐트 레일(145)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서포트 바디 레일(144)은 도시된 것과 같은 홈 형태 이외에, 골전도 모듈(160)을 선형 운동 가능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143 extends from the rotating body 131 to support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 A support body rail 144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ng body 131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body 143 . As shown, the support body rail 14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143 .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linearly move along the support body rail 144 . A linear detent rail 145 parallel to the support body rail 144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ody rail 144 . The linear detent rail 14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detent protrusions 146 that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support body rail 144 . The linear detent rail 145 induces intermittent linear mo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143 . A detailed operation of the linear detent rail 145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body rail 144 may be changed into a variety of other shapes that can guide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in a linear motion, in addition to the groove shape as shown.

서포트 바디(143)는 회전 바디(131)의 회전 중심축(C1)과 교차하는 회전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서포트 바디(143)는 회전 중심축(C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틸팅 샤프트(148)에 의해 회전 바디(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포트 바디(143)는 틸팅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으며, 틸팅 스프링(1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틸팅 스프링(150)은 일부분이 틸팅 샤프트(148)를 감싸는 방식으로 틸팅 샤프트(148)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틸팅 스프링(150)은 일단이 회전 바디(131)에 접하고 타단이 서포트 바디(143)에 접함으로써 서포트 바디(143)에 대해 골전도 모듈(160)을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틸팅 스프링(150)의 작용으로 골전도 모듈(160)의 접촉부(171)가 사용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143 may be tilted around a central rotational axis C2 that intersects the rotational central axis C1 of the rotational body 131 . The support body 14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body 131 by a tilting shaft 148 disposed to intersect the rotation center axis C1. As shown in FIG. 5 , the support body 143 may be tilted around the tilting shaft 148 ,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ilting spring 150 . The tilting spring 1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tilting shaft 148 in such a way that a portion surrounds the tilting shaft 148 . The tilting spring 150 ha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131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ody 143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toward the user's ski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143. can Due to the action of the tilting spring 150, the contact portion 171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b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틸팅 스프링(150)은 도시된 것과 같은 토션 스프링 형태 이외에 서포트 바디(143)에 대해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바디(131)와 서포트 바디(143)는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서포트 바디(143)가 회전 바디(131)의 회전 중심축(C1)과 직교하는 회전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회전 바디(131)의 회전 중심축(C1)과 서포트 바디(143)의 회전 중심축(C2)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tilting spring 150 may be changed into a variety of other forms that can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body 143 in addition to the torsion spring form as shown.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131 and the support body 143 may be coupled in various other ways than the one shown. 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support body 143 is shown to be tilted about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2)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1) of the rotating body 131, but the rotational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131 ( The angle between C1) a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C2 of the support body 143 may be variously changed.

골전도 모듈(16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서포트 바디(143)에 결합된다. 골전도 모듈(160)은 하우징(161)과, 골전도 신호 전달을 위해 하우징(161)의 내측에 설치되는 골전도부(166)와, 하우징(161)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쿠션(170)을 포함한다.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143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includes a housing 161, a bone conduction unit 166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61 to transmit a bone conduction signal, and a cushion 17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61. include

하우징(161)은 골전도부(166)를 수용하는 하우징 베이스(162)와, 하우징 베이스(16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넥부(163)와, 넥부(163)에 연결되는 헤드부(164)를 포함한다. 헤드부(164)는 서포트 바디 레일(144)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넥부(163)는 서포트 바디(143)의 서포트 바디 레일(144)에 삽입되고, 헤드부(164)는 서포트 바디 레일(144)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 베이스(162)와 마주하도록 넥부(163)의 끝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61)은 서포트 바디(143)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포트 바디 레일(144)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The housing 161 includes a housing base 162 accommodating the bone conduction unit 166 , a neck portion 16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base 162 , and a head portion 164 connected to the neck portion 163 . do. The head portion 164 is made of a size that cannot pass through the support body rail 144 . The neck part 163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ody rail 144 of the support body 143, and the head part 164 of the neck part 163 faces the housing base 162 with the support body rail 144 interposed therebetween. placed at the end. Accordingly, the housing 161 may linearly move along the support body rail 144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ody 143 .

하우징(161)에는 서포트 바디(143)의 선형 디텐트 레일(145)에 접하는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168)가 구비된다.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168)가 선형 디텐트 레일(145)에 접함으로써 골전도 모듈(160)의 단속적인 선형 운동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골전도 모듈(160)을 서포트 바디(143)에 대해 움직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골전도 모듈(160)이 일정 간격씩 단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housing 161 is provided with a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 168 in contact with the linear detent rail 145 of the support body 143 . The intermittent linear mo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be induced by the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 168 being in contact with the linear detent rail 145 . Therefore,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in a direction to move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143,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move intermittently or intermittently at regular intervals.

골전도 모듈(160)의 단속적인 선형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선형 디텐트 레일(145)과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168)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168)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선형 디텐트 레일(145)이 골전도 모듈(160)에 구비되고, 서포트 바디(143)에 선형 디텐트 레일(145)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168)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detent rail 145 and the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 168 for inducing the intermittent linear mo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s 168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various numbers. As another embodiment, the linear detent rail 145 is provided in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and one or more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s 168 in contact with the linear detent rail 145 on the support body 143 are provided. can be provided.

또한 골전도 모듈(160)과 서포트 바디(143)의 결합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골전도 모듈(160)은 서포트 바디(143)에 선형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고정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thod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and the support body 143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143 in a linear motion, or may be fixedly coupled.

골전도부(166)는 통신 유닛(2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가 말할 때 사용자의 뼈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골전도부(166)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사용자의 뼈를 통해 사용자의 내이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골전도부(166)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는 통신 유닛(20)을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골전도부(166)는 음성신호로부터 진동을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뼈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부(166)는 케이블(175)을 통해 커넥터(122)에 연결된다.The bone conduction unit 166 may generate vibration from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 or convert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bones into a voice signal when the user speaks.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bone conduction unit 166 is transmitted to the inner ear of the user through the user's bone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bone conduction unit 166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 The bone conduction unit 166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transducers for generating vibration from a voice signal or converting vibr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bone into a voice signal. The bone conduction unit 166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2 via a cable 175 .

쿠션(17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우징(161)의 외면에 배치된다. 쿠션(170)은 사용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17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171)가 구비된다. 접촉부(171)는 사용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골전도 모듈(160)은 쿠션(170)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밀착됨으로써 골전도부(166)가 발생하는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의 뼈로 전달되는 진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cushion 17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61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e cushion 170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stably. A contact portion 17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shion 170 . The contact part 171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stably.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can smoothly transmit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bone conduction unit 166 to the user's body by being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rough the cushion 170, and more stably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user's bones. can be received and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결합되어 골전도 신호 전달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소음의 간섭없이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10 worn on the user's body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user in a bone conduc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lternatively, the user's voice can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refore, the voice signal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user without interference from ambient noise, and the user's voice can be clearly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골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골전도 모듈(16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110)에 상대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 연결부(130)에 지지됨으로써 골전도 모듈(160)의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골전도 모듈(160)이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for transmitting the bone conduction signal moves relative to the base body 110 to which the wearable device 10 is coupled. The posi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by being supported by the joint connection part 130 that is possibly coupled,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can more stably contact the user's body.

즉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할 때, 틸팅 스프링(150)의 탄성력이 서포트 바디(143)를 통해 골전도 모듈(160)에 전달됨으로써 골전도 모듈(160)의 접촉부(171)가 사용자의 피부에 안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회전 바디(131)를 베이스 바디(11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골전도 모듈(16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골전도 모듈(160)을 서포트 바디(143)의 서포트 바디 레일(144)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골전도 모듈(16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사용이 편리하고,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10, the elastic force of the tilting spring 150 is transmitted to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through the support body 143,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71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is connected to the user. It can be sadly attached to the skin of An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user may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by rotating the rotating body 131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while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 . In addition, the user can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by moving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along the support body rail 144 of the support body 143 . Therefore,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signals can be performed stably.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110)와 골전도 모듈(160)을 연결하는 조인트 연결부(130)는 도시된 것과 같은 회전 바디(131)와 서포트 바디(143)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베이스 바디(110)에 대한 다양한 상대 움직임이 가능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joint connector 130 connecting the base body 110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10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includes a rotating body 131 and a support body 143 as show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the base body 110 may be changed to another configuration capable of various relative movements.

또한 앞서서는 골전도 모듈(160)이 수신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진동을 발생하는 수신 기능과, 사용자의 뼈로 전달되는 진동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송신 기능을 모두 갖춘 것으로 나타냈으나, 골전도 모듈은 수신 기능 또는 송신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갖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was previously shown that the bone conduction module 160 has both a receiving function for generating vibration from a received voice signal and a transmitting function for generating a voice signal from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user's bones, but the bone conduction module does not receive A configuration having either a function or a transmission function may be taken.

또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이 호흡장치에 사용되는 공기 호흡기용 마스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100)은 방독면이나, 안면 마스크, 고글 등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100 f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mask for an air respirator used in a breathing apparatus, but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Reference numeral 10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such as a gas mask, a face mask, and goggle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 통신 유닛
30 : 푸시 스위치 40 : 신호 라인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110 : 베이스 바디 112 : 고정부
113 : 체결홀 115 : 볼트
117 : 베이스 바디 홈 119 : 링형 디텐트 레일
120 : 제 1 디텐트 돌기 122 : 커넥터
130 : 조인트 연결부 131 : 회전 바디
132 :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 133 : 회전 바디 홀
134 : 수용홈 136 : 회전 샤프트
138 : 스프링 140 : 지지판
141 : 지지판 홀 143 : 서포트 바디
144 : 서포트 바디 레일 145 : 선형 디텐트 레일
146 : 제 2 디텐트 돌기 148 : 틸팅 샤프트
150 : 틸팅 스프링 160 : 골전도 모듈
161 : 하우징 162 : 하우징 베이스
163 : 넥부 164 : 헤드부
166 : 골전도부 168 :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
170 : 쿠션 171 : 접촉부
175 : 케이블 C1 : 회전 중심축
C2 : 회전 중심축
10: wearable device 20: communication unit
30: push switch 40: signal line
100: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wearable devices
110: base body 112: fixed part
113: fastening hole 115: bolt
117: base body groove 119: ring-type detent rail
120: first detent projection 122: connector
130: joint connection 131: rotating body
132: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133: rotational body hole
134: receiving groove 136: rotating shaft
138: spring 140: support plate
141: support plate hole 143: support body
144: support body rail 145: linear detent rail
146: second detent projection 148: tilting shaft
150: tilting spring 160: bone conduction module
161: housing 162: housing base
163: neck portion 164: head portion
166: bone conduction unit 168: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
170: cushion 171: contact part
175: cable C1: central axis of rotation
C2: rotation center axis

Claims (9)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골전도 신호 전달을 위한 골전도부를 갖는 골전도 모듈;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대한 상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골전도 모듈을 연결하는 조인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디와,
상기 회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골전도 모듈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상기 회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바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골전도 모듈은 상기 서포트 바디 레일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that is coupled to a wearable device worn on a user's body to transmit a voice signal,
a base body coupled to the wearable device;
A bone conduction module having a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a bone conduction part for transmitting a bone conduction signal; and
Including; a joint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body to enable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to connect the base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The joint connection part,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ody;
and a support body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dy to support the bone conduction module,
The support body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dy rail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ng body,
The bone conduction module is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linearly move along the support body rai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바디에는 상기 서포트 바디에 대해 상기 접촉부를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틸팅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ody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so that it can be tilted about a central axis of rotation that intersects with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ilting spring capable of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for pressing the contact portion toward the user's ski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회전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링형 디텐트 레일이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 바디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링형 디텐트 레일에 접하는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One of the base body and the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detent rai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detent protrusion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n interruption of the rotating body.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in contact with the ring-type detent rail is provided in order to induce a specific rotational mo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디에 구비되는 회전 바디 홀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바디에 대해 상기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와 상기 링형 디텐트 레일을 상호 압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base body in a manner to pass through the rotating body hole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and positioned on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mutually compress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and the ring-shaped detent rail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comprising a;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support the spr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 단속 디텐트는 복수 개가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the rotational motion intermittent detent is a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al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와 상기 골전도 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골전도 모듈의 선형 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디텐트 돌기를 구비하는 선형 디텐트 레일이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골전도 모듈의 단속적인 선형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선형 디텐트 레일에 접하는 선형 운동 단속 디텐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On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bone condu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linear detent rail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detent protrusions disposed along the linear motion direction of the bone conduction modul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the bone conduction module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inear motion intermittent detent in contact with the linear detent rail is provided in order to induce an intermittent linear motion of the wearab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모듈은,
상기 골전도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쿠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음성신호 전달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one conduction module,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bone conduction unit;
It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includes a cushion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contact portion is a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cushion.
KR1020210160913A 2021-11-22 2021-11-22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KR102392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13A KR102392919B1 (en) 2021-11-22 2021-11-22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13A KR102392919B1 (en) 2021-11-22 2021-11-22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919B1 true KR102392919B1 (en) 2022-05-03

Family

ID=8159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913A KR102392919B1 (en) 2021-11-22 2021-11-22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59B1 (en)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Earphone device adhear to glasses
JP2012070245A (en) * 2010-09-24 2012-04-05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ansai Kk Headphone for helmet and helmet having headphone
KR102084627B1 (en) 2019-09-09 2020-03-04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Smart helmet intergrated with breathing appar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59B1 (en)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Earphone device adhear to glasses
JP2012070245A (en) * 2010-09-24 2012-04-05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ansai Kk Headphone for helmet and helmet having headphone
KR102084627B1 (en) 2019-09-09 2020-03-04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Smart helmet intergrated with breathing appar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577A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 communications system
EP0465971A2 (en) Combination head-protective helmet & communications system
EP2320674A1 (en) Headset for ear muff type bilateral speech
JP7085529B2 (en) Breathing mask with integrated bone conduction transducer
NZ554118A (en) Microphone for a communications apparatus
US7447529B2 (en) Modular communications devices
US20240099415A1 (en) Safety helmet with an adapter and process for detachably fastening a module
KR102392919B1 (en) Voic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wearable device
AU2012339559A1 (en) Communication system in respiratory protection masks
JPS6397088A (en) Speaking device
KR20170001380U (en) Smart helmet with microphone
KR200290419Y1 (en) Air mask mounted with mic and speaker phone
US20120045082A1 (en) Headset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reduction
KR200288245Y1 (en) Helmet mounted with wireless radio capable of transmission of image and voice
JP2014150891A (en) Airline mask and speaking system
KR200290420Y1 (en) Gas mask mounted with mic and speaker phone
EP0986803B1 (en) Video-assisted apparatus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CN207560273U (en)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osteoacusi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1990004908A1 (en) Headgear and clamp for positioning audio transducer
KR10240546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neck microphone
US3471642A (e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transmitter and receiver located in a noise-shielding cup covering mouth
US6621905B1 (en) Earphone support
JPWO2009069287A1 (en) Transceiver for face mask
KR200477805Y1 (en) Earphone for the underwater using
CN217693669U (en) Pressure bone conduction li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