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787B1 -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787B1
KR102392787B1 KR1020150051955A KR20150051955A KR102392787B1 KR 102392787 B1 KR102392787 B1 KR 102392787B1 KR 1020150051955 A KR1020150051955 A KR 1020150051955A KR 20150051955 A KR20150051955 A KR 20150051955A KR 102392787 B1 KR102392787 B1 KR 10239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easurement
electronic device
temperature
area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993A (ko
Inventor
전태한
김홍식
정형록
김경석
박정근
박태건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87B1/ko
Priority to US15/092,057 priority patent/US10371577B2/en
Publication of KR2016012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96Optical arrangements using a light source, e.g. for illuminating a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of a pyrometer, other than calibration; Bandwidth calculation; Gain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5Handheld, por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75Control or determination of height or distance or angle information for senso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olid angle of collected radiation, e.g. adjusting or orienting field of view, tracking position or encoding angular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46Optical arrangements having multiple detectors for performing different types of detection, e.g. using radiometry and reflectometry chan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은,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광량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과 기준 면적과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TEMPERATURE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는 현대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단순히 통신이나 오락 수단을 넘어서 사용자의 신체 상태 등을 측정하여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 예를 들면, 혈압, 체온, 혈당 또는 맥박을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비접촉식 체온 측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서 정확한 체온 측정을 위해서는 전자 장치가 체온 측정 대상자의 측정대상 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근접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여 적절한 위치에 전자 장치가 근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자 장치가 내장한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측정 부위로부터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때, 측정대상 부위의 색상에 따라 빛 흡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광학 센서의 수신광량을 기반으로 적절한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체온 측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서 정확한 체온 측정을 위하여 체온 측정 대상자의 측정 부위 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전자 장치가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측정 부위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체온 측정 대상자의 피부색(skin color)에 상관없이 체온 측정 대상자의 측정 부위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하는 동작과, 상기 측정된 광량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면적과 기준 면적과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는, 광 센서와, 온도 센서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를 통해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광량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면적과 기준 면적과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체온 측정 대상자 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체온 측정 대상자 간에 적절한 측정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하거나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체온 측정 대상 객체의 색상에 상관없이 전자 장치와 체온 측정 대상 객체 간에 적절한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계산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광량값을 결정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환경을 확인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센서에서 거리에 따른 직류 레벨 세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에 따른 온도 측정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이하 ‘AP’라고 한다))(110), 통신 모듈(120), 가입자 식별 모듈(124), 메모리(130), 센서 모듈(140), 입력 장치(150), 디스플레이(160), 인터페이스(170), 오디오 모듈(180), 카메라 모듈(191), 전력 관리 모듈(195), 배터리(196), 인디케이터(197), 및 모터(1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이하 ‘SoC’라고 한다)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영상 처리부(Graphic Processing Unit, 이하 ‘GPU’라고 한다)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98))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어부라고 불릴 수도 있다.
통신 모듈(1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98), 와이파이(WiFi) 모듈(123), 블루투스 모듈(125), 전세계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라고 한다) 모듈(127)(예를 들면, 전세계 위치 파악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한다) 모듈, 글로나스(Glonass) 모듈, 베이더우(Beidou) 모듈, 또는 갈릴레오(Galileo) 모듈), 근접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한다) 모듈(1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2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객체의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외부 장치, 예를 들면,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특정 형상을 가진 물체 또는 생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는 온도 측정 안내 또는 온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며, 발광(예를 들면, 발광세기, 발광빈도, 발광색 변화 중 하나 이상), 음성, 진동, 글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모듈(120)은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된 온도 측정 데이터를 외부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 데이터는 온도 측정 결과가 축적되어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 또는 서버는 온도 측정 대상자에 의해 지정된 외부 장치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온도 측정 대상자의 주치의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서버는 온도 측정 대상자의 주치의가 근무하는 병원의 서버가 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98)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8)은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이하 ‘SIM’이라 한다)(1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8)은 프로세서(1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8)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이하 ‘CP’라고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123), 블루투스 모듈(125), GNSS 모듈(127) 또는 NFC 모듈(1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221), WiFi 모듈(123), 블루투스 모듈(125), GNSS 모듈(127) 또는 NFC 모듈(128)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두 개 이상)는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hip, 이하 ‘IC’라고 한다, 또는 IC 패키지(packag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를 들면,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29)은, 예를 들면, 트랜스시버(transceiver), 전력 앰프 모듈(power amp module, 이하 ‘PAM’이라고 한다),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이하 ‘LNA’라고 한다),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98), WiFi 모듈(123), 블루투스 모듈(125), GNSS 모듈(127) 또는 NFC 모듈(1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를 들면, 집적 회로 카드 식별자(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이하 ‘ICCID’라고 한다) 또는 가입자 정보(예를 들면,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이하 ‘IMSI’라고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132) 또는 외장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동적 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이하 ‘DRAM’이라고 한다), 정적 램(Static RAM, 이하 ‘SRAM’이라고 한다), 또는 동기 동적 램(Synchronous Dynamic RAM, 이하 ‘SDRAM’이라고 한다)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낸드 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어 플래시(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객체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 값들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는 기준 면적과 기준 광량 민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면적은 온/습도 센서(140J)에서 객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면적을 나타내며,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감지 성능 및 온도 측정 실험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광량 민감도는 객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측정 위치에 대응되는 광량 민감도를 나타내며, 센서 모듈(140)에 포함된 광 센서(미도시)의 광 감지 성능 및 온도 측정 실험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는 측정 거리 대비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거나 그래프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30)는 측정 거리 대비 광량 민감도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거나 도 9의 909 그래프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30)는 객체가 인체인 경우, 프로세서(110)가 카메라 모듈(191)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영역이 온도 측정에 가장 적합한 신체 부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 신체 부위의 이미지 혹은 신체 부위의 색상분포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40A), 자이로 센서(140B), 기압 센서(140C), 마그네틱 센서(140D), 가속도 센서(140E), 그립 센서(140F), 근접 센서(140G), 컬러(color) 센서(1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40I), 온/습도 센서(140J), 조도 센서(140K), UV(ultra violet) 센서(140M) 또는 광 센서(미도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1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에 센서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는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객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에너지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센서(미도시)는 광혈류량(PhotoPlethysmoGraphy, 이하 'PPG'라 칭한다.) 센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PPG 센서는 특정 파장의 빛(예를 들면, 적외선, 청색광, 적색광, 또는 백색광 중 적어도 하나 하나)을 피부로 방사하고, 반사 또는 투과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혈류의 양, 혈류량의 변화, 혹은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하는 센서를 말한다. 다른 예를 들면, 광 센서(미도시)는 근접도를 평가하는 근접 센서(140G)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센서(미도시) 및 온/습도 센서(140J)는 전자 장치(101)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센서(미도시) 및 온/습도 센서(140J)는 전자 장치(101)의 앞면 또는 옆면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1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54), 키(key)(1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온도 측정 명령을 수신하여 프로세서 (11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1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158)는 마이크(1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패널(162), 홀로그램 장치(164), 또는 프로젝터(1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62)은 터치 패널(1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0)는 패널(162), 홀로그램 장치(164), 또는 프로젝터(1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172), USB(universal serial bus)(1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76), 또는 D-sub(D-subminiature)(1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82), 리시버(184), 이어폰(186), 또는 마이크(1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191)는 온도 측정 중에 이미지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97)는 전자 장치(101) 또는 그 일부(예를 들면, 프로세서(1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를 들면,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제부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110)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어부(110)는 도 2와 같이, 측정 영역 결정부(201)와 광량 조절부(203)와 측정 환경 확인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측정 영역 결정부(201)는 온/습도 센서(140J)가 온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객체의 전체 표면 중에서 객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객체의 표면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광량 조절부(203)는 객체의 색상에 따라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측정 거리 또는 측정 가능한 객체 표면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광 센서(미도시)에서의 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카메라 모듈(191)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시에 온도 측정을 방해하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되면,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의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하고, 광신호의 수신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측정된 수신 광량을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 또는 출력된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은 온/습도 센서(140J)가 객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객체의 표면 영역을 말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는 광신호의 출력 광량과 입력 광량 간의 비율(이하, ‘수신광률’이라고 한다)을 말하며, 출력 광량은 광 센서(미도시)의 발광부(미도시)로부터 객체로 출력되는 빛의 광량을 말하며, 입력 광량은 객체로부터 반사되어 광 센서(미도시)의 수광부(미도시)로 입력되는 빛의 광량을 말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량 민감도란, 측정 거리 대비 광신호의 수신 광량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량 민감도란, 거리에 따라 측정된 광센서(미도시)의 출력 광량의 직류 레벨 대비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의 비율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량 민감도는 전자 장치(101)를 통해 획득한 최대 수신광률과 전자 장치(101)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획득된 수신광률 간의 상대적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광 센서(미도시)가 객체의 표면(예를 들면, 피부)와 접촉될 때, 최대 수신광률을 얻을 수 있고, 전자 장치(101)와 객체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수신광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광량 민감도는, 최대 수신광률 대비 거리별 수신광률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량 민감도는 온/습도 센서(140J)를 통해 측정되는 객체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관련하여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한 수신광량 또는 수신광률과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량 민감도는, 초기 입력 광량과 전자 장치(101)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획득된 입력 광량 간의 비율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입력 광량은 객체의 표면(예를 들면, 피부)과 접촉될 때, 광 센서(미도시)의 수광부(미도시)로 입력되는 빛의 양을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결정된 온도 측정 영역 면적 또는 광량 민감도 및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된 기준 면적 또는 기준 광량 민감도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가 객체로부터 온도 측정에 적합한 거리만큼 이격되었는지 또는 적합한 객체 표면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예를 들면, 객체와 전자 장치(101)간의 거리와 광 센서(미도시)의 빛을 수신하는 각도를 고려하는)에 위치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그 결과에 따라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측정 영역 결정부(201)는 측정된 수신 광량을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은 온/습도 센서(140J)가 객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객체의 표면 영역을 말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광량은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 및 광 센서(미도시)에 포함된 수광부의 수광 각도 중 하나 이상과 상관관계(예를 들면, 반비례 또는 지수함수)를 가지는데, 제어부(110)는 이러한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영역 결정부(201)는 측정된 광량에 대응되는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영역 결정부(201)는 확인된 측정 거리와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 간의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 간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영역 결정부(201)는 측정된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 간의 거리 또는 온/습도 센서(140J)의 수광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에 대한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광량 조절부(203)는 광 센서(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가 미리 지정된 특정값에 도달할 수 있도록 광 센서(미도시)의 출력 광량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량 조절부(203)는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 관련 특정값(예를 들면, 광 센서(미도시)의 수광부(미도시)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크기 또는 세기)을 설정하고, 특정한 조건(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의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또는 전자 장치(101)가 생체와 접촉됨을 감지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을 만족하는 경우, 광량 조절부(203)를 통해 제1광신호의 제1출력 광량 관련 신호의 크기 또는 세기(예를 들면, 제1출력 광량 관련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 또는 광 센서(미도시)(예를 들면, 발광부(미도시)의 조도 또는 발광과 관련된 전압 레벨 또는 전류 레벨)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광량 조절부(203)는 조절에 따른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이 특정값 또는 유사값에 도달할 때까지 제1광신호의 제1출력 광량 관련 신호의 크기 또는 세기를 조절하고, 그에 따른 제1입력 광량의 측정값이 특정값 또는 유사값에 도달하면, 해당 신호 크기 또는 세기값을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값은 특정값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값을 말한다.다른 예로, 광량 조절부(203)는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에 대응하는 직류 레벨과 제1광신호의 제1출력 광량에 대응하는 직류 레벨 간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광량 조절부(203)는 계산된 차이와 기준 값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값은 제1광신호의 광량 민감도가 특정 값에 도달했을 때의 제1출력 광량에 대응하는 직류 레벨과 제1입력 광량에 대응되는 직류 레벨 간의 차이를 말하며,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값이 100%인 경우, 기준 값은 '0'일 수 있다.
비교 결과, 계산된 차이가 기준 값와 동일한 경우, 광량 조절부(203)는 제1광신호의 광량 민감도가 특정 값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하고, 제1광신호의 현재 출력 광량값을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광신호는 제1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를 특정 값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1광신호의 출력 광량을 조절한 광신호를 말한다. 만약에, 계산된 차이가 기준 값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광량 조절부(203)는 계산된 차이를 기반으로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외부 환경이 온도 측정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카메라 모듈(191)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로부터 온도 측정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온도 측정 영역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눈썹, 머리카락 또는 온도 측정을 방해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온도 측정 환경이 온도 측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신체 특정 부위 간의 비교 또는 다른 신체 특정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을 이용하여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특정 부분은 온도 측정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신체 부위를 말하며, 예를 들면, 측두 관상 동맥이 위치하는 부분 또는 인중이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온도 측정 환경이 온도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온도 측정 환경이 온도 측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광 센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광신호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온도 측정 영역이 온도 측정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환경 확인부(205)는 수신 광량이나 수신광률을 기반으로 온도 측정 영역에 피부 외의 다른 객체(예를 들면, 눈썹, 머리카락 또는 온도 측정을 방해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진동으로 출력할 때 햅틱 효과를 가지도록 모터(198)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가 측정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기준 거리(1407)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면적 또는 기준 면적 범위(예를 들면, 기준 면적의 85 내지 115%)를 초과하는 위치 또는 미만인 위치인 경우, 제어부(110)는 모터(198)를 통해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기준 위치는 기준 거리 및 온/습도 센서(140J)의 광수신 각도를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를 말한다. 그리고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모터(198)의 진동을 멈춤으로써 전자 장치가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기준 면적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의 면적 변화를 고려하여 진동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간의 차이가 0에 가까워질수록 진동 세기를 점진적으로 약하게 또는 강하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간의 차이가 0과 멀어질수록 진동 세기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또는 약하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기준 면적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의 면적 변화를 고려하여 진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가 측정 기준 위치에 위치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전자 장치가 측정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제어부(110)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제어부(110)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모듈(18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이 미리 지정된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면적 또는 기준 면적 범위(예를 들면, 기준 면적의 85 내지 115%)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전자 장치가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측정된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전자 장치가 기준 거리(1407) 또는 측정 기준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온도 측정을 위한 적절한 위치로 전자 장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제어부(110)은 발광(예를 들면, 발광세기, 발광빈도, 발광색 변화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 범위내인지 여부에 따라, 발광 빈도를 달리하거나 발광 색을 달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 측정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범위의 차이에 따라서 발광 빈도를 달리하거나 발광 색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기준 면적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의 면적 변화를 고려하여 음향 비트의 빠르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이 기준 거리에 대응되는 기준 면적과 가까워질수록 음향 비트를 점진적으로 빠르게 또는 느리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과 멀어질수록 음향 비트를 점진적으로 빠르게 또는 느리게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91)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로부터 온도 측정 영역을 추출하거나 또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 범위 내인지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머리카락이나 눈썹이 존재하는 방향 또는 피부만 존재하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예를 들면, 눈, 눈썹, 코 또는 머리카락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크기를 판별함으로써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가 적절한 온도 측정 영역의 면적 범위에 대응하는 거리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장치나 적어도 하나의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좌우에 배치된 스피커를 통해 적절한 방향을 스테레오 사운드로 안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가 복수 개의 햅틱 장치들을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거리 등을 안내하기 위해 햅틱 장치별로 강약 또는 템포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앞에서는 제어부(110)가 전자 장치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을 기반으로 진동의 세기 및 음향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의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진동의 세기 및 음향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가 도 10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1)이며, 휴대 단말기(1001)의 후면에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가 일정 거리(1003)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도 11과 같이, 일정 거리(1103)만큼 이격된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를 구비한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1101)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동작에서,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되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의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한 후, 3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온도 측정 시작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시작을 명령하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시작을 명령하는 제스처가 터치패널이나 펜 입력 혹은 가속도 센서에 의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시작을 명령하는 사용자 음성 명령이 마이크(188)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이 종료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취소될 때까지 301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30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광신호의 수신 광량을 측정한 후, 30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광량은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의 광량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수신 광량을 직류 레벨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305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수신 광량을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계산한 후, 30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은 온/습도 센서(140J)가 객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객체 표면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수신 광량은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와 상관관계(예를 들면, 반비례 또는 지수함수)를 가지므로, 제어부(110)는 이러한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측정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측정 거리를 이용하여 온/습도 센서(140J)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305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307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면적은 온/습도 센서(140J)에서 최적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면적을 말한다. 이러한 기준 면적은 온/습도 센서(140J)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비교 결과,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제어부(110)는 309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면적과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의 차이가 기준 면적의 20% 이내인 경우, 제어부(110)는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과 유사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309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온/습도 센서(140J)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온도 측정 영역으로 결정하고, 온/습도 센서(140J)를 통해 결정된 온도 측정 영역에 대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측정된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시작, 완료 및 측정된 온도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에서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객체(1301)에 대한 온도 측정 시작, 완료 및 측정된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도 13의 1305와 같이, 글자, 소리, 진동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시작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는 1307과 같이, 글자, 소리, 진동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완료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는 1309와 같이, 글자, 소리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온도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에, 311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 후, 3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에서 기준 면적을 뺀 결과가 (-)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로부터 조금 더 떨어뜨릴 것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에서 기준 면적을 뺀 결과가 (+)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로 조금 더 가까이 이동할 것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가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계산하는 흐름도이다. 이제부터, 도 4를 참조하여 305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401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수신 광량에 대응되는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측정 거리를 확인한 후, 4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광량들에 대응되는 측정 거리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격 거리들 중에서 측정된 수신 광량에 대응되는 측정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거리들은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들을 말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수신 광량들 대비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들을 표와 같은 형식 또는 도 9와 같은 그래프 형식(예를 들면, 회귀식(regression), 상관 관계식, 다차원 방정식 중 적어도 하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수신 광량들 대비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들을 객체의 색상별로 표와 같은 형식 또는 도 9와 같은 그래프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객체(1005)에서 반사되어 측정된 광량이 직류 레벨 20000이며 객체의 색깔이 갈색인 경우, 제어부(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도 9의 901 그래프를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측정 거리(1017)를 9 밀리미터(mm)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의 객체(1009)에서 반사되어 측정된 광량이 직류 레벨 9000이며 객체의 색깔이 갈색인 경우, 제어부(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도 9의 901 그래프를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1019)를 15 밀리미터(mm)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의 객체(1013)에서 반사되어 측정된 광량이 직류 레벨 5000이며 객체의 색깔이 갈색인 경우, 제어부(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도 9의 901 그래프를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1021)를 20 밀리미터(mm)로 결정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확인된 측정 거리와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 간의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 간의 거리를 결정한 후, 40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1)의 후면이 오목 또는 볼록하게 휘어진 경우, 제어부(110)는 확인된 측정 거리와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 간의 이격 거리와 휴대 단말기(1001)의 후면 형상을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 간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405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결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에 대한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 간의 거리들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들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저장된 면적들 중에서 결정된 거리에 대응되는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1005) 간의 거리(1017)가 9 밀리미터인 경우, 제어부(110)는 도 10의 1007 면적을 9 밀리미터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1009) 간의 거리가 15 밀리미터인 경우, 제어부(110)는 도 10의 1011 면적을 15 밀리미터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습도 센서(140J)와 객체(1013) 간의 거리(1021)가 20 밀리미터인 경우, 제어부(110)는 도 10의 1015 면적을 20 밀리미터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예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은 광 센서(미도시)을 통해 객체에서 반사되어 측정된 광량과 상관 관계가 있으므로, 메모리(130)는 수신 광량들 대비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30)는 수신 광량들 대비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들을 표의 형식이나 그래프 형식(예를 들면, 회귀식, 상관 관계식, 다차원 방정식 중 적어도 하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130)는 수신 광량들 대비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들을 객체의 색상별로 표와 같은 형식 또는 그래프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에 대한 별도의 계산 없이, 저장된 복수의 온도 측정 예산 영역 면적들 중에서 측정된 수신 광량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산 영역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기준 면적이 미리 지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준 면적은 객체의 크기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객체가 인체인 경우, 인체의 크기에 따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인 기준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어린이에 대한 최적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은 어른에 대한 최적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어부(110)는 인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면적을 가진 어린이 모드 및 어른 모드 또는 남성 모드 및 여성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센서에서 거리에 따른 직류 레벨 세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 그래프는 객체가 인체인 경우, 피부색에 따른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 대비 광 센서(미도시)와 인체 간의 측정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901 그래프를 살펴보면, 광 센서(미도시)와 전자 장치가 밀착된 상태에서 피부색이 백색인 경우,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은 59000(903)이며, 피부색이 갈색인 경우,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은 55000(905)이고, 피부색이 검은색인 경우,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은 9000(907)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신호에 대한 흡수량이 인체의 피부색마다 다르므로 입력 광량이 서로 다르다. 특히, 인체의 피부색이 검은색인 경우,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 대비 광 센서(미도시)와 인체 간의 측정 거리는 도 9의 901 그래프와 같이, 완만한 곡선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제1입력 광량에 대응되는 측정 거리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110)는 광신호의 입력 광량이 아닌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측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량 민감도는 광신호의 초기 입력 광량과 입력 광량의 비율을 말한다. 여기서, 초기 입력 광량은 객체의 표면(예를 들면, 피부)과 접촉될 때, 광 센서(미도시)의 수광부(미도시)로 입력되는 빛의 양을 말한다. 예를 들면, 광량 민감도는 초기 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와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의 비율이 될 수 있다.
도 9의 909 그래프를 살펴보면, 전자 장치가 인체와 접촉된 경우에 광량 민감도가 특정 값, 예를 들면, 100%(911)으로 설정되는 경우, 인체의 피부색에 상관없이 광량 민감도는 입력 광량보다 측정 거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고려할 때, 제어부(110)는 입력 광량이 아닌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측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피부색 종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예시이며 다른 피부색에 대한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광량 민감도 대비 광 센서(미도시)와 인체 간의 측정 거리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는 광량 민감도 대비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그래프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동작에서,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되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의 외부로 제1광신호를 출력한 후, 5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신호는 온도 측정 요청 시에 광 센서(미도시)에서 미리 지정된 초기 광량값으로 출력되는 광신호를 말한다.
예를 들면, 온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온도 측정 시작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시작을 명령하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시작을 명령하는 제스처가 터치패널이나 펜 입력 혹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시작을 명령하는 음성 명령이 마이크(188)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이 종료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온도 측정이 취소될 때까지 501 동작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50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가 객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촉 여부는 물리적인 접촉 여부 혹은 근접도를 평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광 센서(미도시)가 부착된 전자 장치의 일부분(예: 하우징, 커버, 보호부,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가드)이 객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91)을 활성화시키고, 카메라 모듈(191)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객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가 인체일 때, 이미지 내에 인체의 피부색에 해당하는 영역이 미리 지정된 퍼센트 혹은 크기 이상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면, 이미지 전체 크기의 80%),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인체와 접촉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가 인체의 피부색을 미리 지정된 퍼센트(예를 들면, 이미지 전체 크기의 80%) 미만으로 포함하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가 인체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카메라 렌즈를 객체로 막으면, 수신되는 빛이 없거나 희박하기 때문에 입력되는 이미지의 명도(brightness, 혹은 intensity)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91)로부터 입력된 이미지의 밝기가 소정 기준 이하(예: 5%)이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인체와 접촉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 센서(미도시)가 PPG 센서인 경우, 제어부(110)는 PPG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제1광신호에 대한 수신 광량의 교류 레벨(AC Level) 세기를 이용하여 광센서(미도시)가 인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PPG 센서는 혈관의 혈류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데, PPG 센서가 인체와 접촉하는 경우, 교류 레벨 세기는 특정 값을 기준으로 맥동할 수 있다. 이러한 PPG 센서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측정된 제1광신호의 교류 레벨 세기가 맥동하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인체와 접촉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교류 레벨 세기가 맥동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살아있는 생체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 센서(미도시)가 PPG 센서인 경우, 제어부(110)는 PPG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제1광신호에 대한 수신 광량의 직류 레벨(DC Level) 세기를 이용하여 광센서(미도시)가 인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PPG 센서는 센서와 물체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신하는 DC 레벨의 크기가 커지는데, PPG 센서 혹은 전자 장치에서 PPG 센서 장착영역의 일 부분이 인체와 접촉하는 경우, 수신한 직류 레벨 세기는 특정 값(예를 들면, PPG 센서가 최대 측정 가능한 DC 레벨 세기의 60%에 해당하는 값) 이상이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수신한 직류 레벨 세기가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인체와 접촉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신한 직류 레벨 세기가 특정 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인체와 접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음파를 이용하여 광센서(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 객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스피커(182)를 통해 음파를 발생시키고 객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파를 마이크(188)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음파의 세기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와 객체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전자 장치가 객체와 접촉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505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517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에 접촉시킬 것을 유도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 후, 5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도 12와 같이, 전자 장치(1203)가 객체(1201)에 접촉할 수 있도록 오디오 모듈(180) 또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소리 또는 글자 또는 이미지로 휴대 단말기와 객체 간의 접촉을 유도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와 객체 간의 접촉을 유도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에, 505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을 측정한 후, 50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입력 광량은 제1광신호가 객체에 의해 반사된 후 광 센서(미도시)로 입력된 광신호의 광량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제1입력 광량을 직류 레벨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507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제1입력 광량을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에 대한 출력 광량값을 결정하고, 509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507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509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결정된 출력 광량값에 따라 제2광신호를 출력하고, 5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객체로부터 전자 장치를 이격시키라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를 객체로부터 이격시키라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511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제2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를 측정한 후, 51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제2광신호의 제2출력 광량과 제2입력 광량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제2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제2출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 대비 제2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의 비율을 퍼센티지(%)로 계산할 수 있다.
51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와 기준 광량 민감도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광량 민감도는 온/습도 센서(140J)에서 최적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 또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되는 광량 민감도를 말한다. 이러한 기준 광량 민감도는 온/습도 센서(140J)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비교 결과, 측정된 광량 민감도가 기준 광량 민감도와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515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9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515 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온/습도 센서(140J)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도 12와 같이, 전자 장치(1205)가 객체(1201)로부터 온도 측정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하고, 측정 시작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진동, 소리, 글자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시작, 완료 및 측정된 온도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오디오 모듈(180)을 통해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에서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과 같이, 제어부(110)는 객체(1301)에 대한 온도 측정 시작, 완료 및 측정된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도 13의 1305와 같이, 글자, 소리, 진동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시작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는 1307과 같이, 글자, 소리, 진동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완료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는 1309와 같이, 글자, 소리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 온도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에, 519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 후, 5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광량 민감도들에 대응되는 측정 거리들을 저장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에 대응되는 측정 거리와 기준 광량 민감도에 대응되는 기준 측정 거리를 검출하고, 기준 측정 거리와 측정 거리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된 측정 거리에서 기준 측정 거리를 뺀 결과가 (-)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로부터 조금 더 떨어뜨릴 것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계산된 측정 거리에서 기준 측정 거리를 뺀 결과가 (+)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로 조금 더 가까이 이동할 것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30)가 광량 민감도들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들의 면적들을 저장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광량 민감도에 대응되는 기준 면적을 검출하고, 기준 면적과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의 크기에서 기준 면적의 크기를 뺀 결과가 (-)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로부터 조금 더 떨어뜨릴 것(즉, 멀리할 것)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계산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에서 기준 면적을 뺀 결과가 (+)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객체로 조금 더 가까이 이동할 것(즉, 근접시킬 것)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가 생성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광량값을 결정하는 흐름도이다. 이제부터, 도 6을 참조하여 507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601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과 제1광신호의 제1출력 광량 간의 차이를 계산한 후, 6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제1출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로부터 제1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를 뺄셈하여 그 차이를 계산하거나 제1출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와 제1입력 광량의 직류 레벨 세기 간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계산된 차이와 기준 값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값는 제1광신호의 광량 민감도가 특정 값에 도달했을 때의 제1출력 광량과 제1입력 광량 간의 차이를 말하며,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값이 100%인 경우, 기준 값는 '0'일 수 있다.
비교 결과, 계산된 차이가 기준 값와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607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0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607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제1광신호의 현재 출력 광량값을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출력 광량이 초기 광량값인 경우, 제어부(110)는 초기 광량값 값을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605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계산된 차이를 기반으로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산된 차이가 직류 레벨 세기 10000인 경우, 직류 레벨 세기 10000을 고려하여 제2신호의 출력 광량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어부(110)가 제1출력 광량과 제1입력 광량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의 발광부(미도시)의 출력 광량값을 설정하는 방안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 관련 특정값(예를 들면, 광 센서(미도시)의 수광부(미도시)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크기 또는 세기)을 설정하고, 특정한 조건(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의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또는 전자 장치(101)가 생체와 접촉됨을 감지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를 통해 제1광신호의 제1출력 광량 관련 신호의 크기 또는 세기(예를 들면, 제1출력 광량 관련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 또는 광 센서(미도시)(예를 들면, 발광부(미도시)의 조도 또는 발광과 관련된 전압 레벨 또는 전류 레벨)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조절에 따른 제1광신호의 제1입력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이 특정값 또는 유사값에 도달할 때까지 제1광신호의 제1출력 광량 관련 신호의 크기 또는 세기를 조절하고, 그에 따른 제1입력 광량의 측정값이 특정값 또는 유사값에 도달하면, 해당 신호 크기 또는 세기값을 제2광신호의 출력 광량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값은 특정값을 기준으로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값을 말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어부(110)가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기준으로 온도 측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광량 민감도가 아닌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영역 면적을 기반으로 온도 측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701 내지 711 및 721 동작은 도 5의 501 내지 511 및 517 동작에 대응된다. 따라서, 701 내지 711 및 721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이외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71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와 기준 광량 민감도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측정된 광량 민감도가 기준 광량 민감도와 동일하지 않거나 측정된 광량 민감도와 기준 광량 민감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72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723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 후, 7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71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와 기준 광량 민감도를 비교한 결과, 측정된 광량 민감도가 기준 광량 민감도와 동일하거나 두 값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제어부(110)는 719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71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측정된 광량 민감도와 기준 광량 민감도를 비교한 결과, 측정된 광량 민감도가 기준 광량 민감도와 동일하거나 두 값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71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715 동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외부 환경의 온도 측정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191)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분석한 후, 71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715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717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715 동작에서의 이미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온도 측정이 가능하면, 719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2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725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이미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 후, 7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영역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라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머리카락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머리카락을 치우라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머리카락이나 눈썹이 존재하는 방향 또는 피부만 존재하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예를 들면, 눈, 눈썹, 코 또는 머리카락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크기를 판별함으로써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가 적절한 온도 측정 영역의 면적에 대응하는 거리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장치나 적어도 하나의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좌우에 배치된 스피커를 통해 적절한 방향을 스테레오 사운드로 안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가 복수 개의 햅틱 장치들을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거리 등을 안내하기 위해 햅틱 장치별로 강약 또는 템포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가 생성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생성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에, 719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온/습도 센서(140J)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환경을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이제부터, 도 8을 참조하여 715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801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이미지로부터 온도 측정 영역을 추출한 후, 8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91)의 이미지 센서 배율, 카메라 모듈(191)과 온/습도 센서(140J) 간의 이격 거리 및 객체와 온/습도 센서(140J)간의 측정 거리를 기반으로 이미지로부터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91)의 이미지 센서 배율, 카메라 모듈(191)과 광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기반으로, 이미지로부터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91)의 이미지 센서 배율, 카메라 모듈(191)과 온/습도 센서(140J) 간의 이격 거리 및 각도를 기반으로 이미지로부터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803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 눈썹, 머리카락 또는 온도 측정을 방해할 수 있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면, 제어부(110)온도 측정 영역 내에 불순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한 후, 805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807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추출된 온도 측정 영역의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신체 특정 부위 간의 비교 또는 다른 신체 특정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을 이용하여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특정 부분은 온도 측정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신체 부위를 말하며, 예를 들면, 측두 관상 동맥이 위치하는 부분 또는 인중이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온도 측정 영역 내에 신체 특정 부분이 존재하면, 제어부(110)는 809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805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809 동작으로 진행하면, 제어부(110)는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가 기준 광량 민감도와 동일할 때 외부 환경이 온도 측정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객체 간의 거리에 따른 온도 측정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1)가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1)는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를 일정 거리(1003)만큼 이격되게 구비할 수 있다. 광 센서(미도시)는 발광부(미도시)와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하며, 발광부(미도시)를 통해 객체로 광신호를 출력하며, 수광부(미도시)를 통해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을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가 제1위치(1005)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를 제1거리(1017)로 결정하고, 결정된 제1거리(1017)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제1영역(1007)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객체가 제2위치(1009)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를 제2거리(1019)로 결정하고, 결정된 제2거리(1019)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제2영역(101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객체가 제3위치(1013)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와 객체 간의 거리를 제3거리(1021)로 결정하고, 결정된 제3거리(1021)를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제3영역(1015)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입력된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을 기반으로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직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은 온/습도 센서(140J)의 감지 범위(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의 감지 가능 각도와 감지 거리 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실행 등을 통해 측정된 광량과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획득할 수 있는데, 메모리(130)는 획득된 상관 관계를 표, 수학식 또는 그래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광량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객체가 제1위치(1005)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객체로부터 반사된 입력 광량을 측정하고, 미리 저장된 광량 대비 온도 측정 예상 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측정된 입력 광량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제1영역(1007)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객체가 제2위치(1009)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객체로부터 반사된 입력 광량을 측정하고, 미리 저장된 광량 대비 온도 측정 예상 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측정된 입력 광량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제2영역(101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객체가 제3위치(1013)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객체로부터 반사된 입력 광량을 측정하고, 미리 저장된 광량 대비 온도 측정 예상 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측정된 입력 광량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제3영역(1015)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 예를 들면, 웨어러블 시계(1101)가 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1101)는 광 센서(미도시)와 온/습도 센서(140J)를 일정 거리(1103)만큼 이격되게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면이다.
온도 측정이 요청되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를 얼굴(1201)에 접촉하라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가 도 12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얼굴(1201)에 접촉(1203)되면, 제어부(110)는 광 센서(미도시)의 출력 광량을 조절한 후, 전자 장치를 얼굴(1201)에서 이격시키라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광신호의 입력 광량을 계속 측정하며, 측정된 입력 광량을 이용하여 광신호의 광량 민감도 또는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광량 민감도 또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미리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가 객체에서 온도 측정에 적합한 거리만큼 이격(1205)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시작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진동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면이다.
도 13과 같이, 전자 장치(1303)는 객체(1301)의 온도를 측정하는 동안에 전자 장치(1303)와 통신 중인 웨어러블 장치가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웨어러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는 수신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온도 측정이 시작되면, 웨어러블 장치는 온도 측정 시작을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1305)를 전자 장치(1303)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이 완료되면, 웨어러블 장치는 온도 측정 완료를 알리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1307)를 전자 장치(1303)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는 온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1309)를 전자 장치(1303)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403)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햅틱 효과를 가지도록 전자 장치(1403)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진동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403)의 현재 위치가 측정된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기준 거리(1407)에 대응되는 기준 면적 또는 기준 면적 범위(예를 들면, 기준 면적의 85 내지 115%)를 초과하는 위치(1409) 또는 미만인 위치(1405)인 경우, 제어부(110)는 모터(198)의 진동을 통해 전자 장치가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1407)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이 기준 면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모터(198)의 진동을 멈춤으로써 전자 장치(1403)가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1407)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하는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403)는 기준 거리 또는 측정 기준 위치(1407)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1403)와 객체(1401) 간의 측정 거리 또는 측정 위치 변화를 고려하여 진동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1403)의 이동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간의 차이가 0에 가까워질수록 진동 세기를 점진적으로 약하게 또는 강하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과 기준 면적 간의 차이가 0과 멀어질수록 진동 세기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또는 약하게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광신호의 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량을 기반으로 광 센서(미도시)의 측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측정된 입력 광량이 미리 지정된 범위(예를 들면, 기준 면적)에 대응하는 광량에 근접할수록 광 센서(미도시)의 발광 또는 측정 빈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측정된 입력 광량이 미리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광량과 멀어질수록 광 센서(미도시)의 발광 또는 측정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만약에, 발광원(light source)이 가시광선 대역이라면, 측정된 광량에 따라 광 센서(미도시)를 제어함으로써 광 센서(미도시)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최대 수신광률에 근접할수록 광 센서(미도시)의 발광/측정 빈도를 높이고, 미리 지정된 값 이하로 수신광률이 떨어지면, 발광/측정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즉, 피부에 전자 장치가 근접 경우, 광 센서(미도시)의 발광/측정 빈도는 높아지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거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내에 머리카락이 존재하는 경우, 발광/측정 빈도가 낮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온/습도 센서(140J)의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은 온/습도 센서(140J)의 감지 범위(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140J)의 감지 가능 각도와 감지 거리 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실행 등을 통해 측정된 광량과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획득할 수 있는데, 메모리(130)는 획득된 상관 관계를 표, 수학식 또는 그래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광량에 대응되는 온도 측정 예상 영역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를 들면,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1: 측정 영역 결정부 203: 광량 조절부
205: 측정 환경 확인부

Claims (20)

  1. 광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광신호에 대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상기 반사된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광량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및 상기 광 센서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거리, 및 상기 광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 사이의 지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크기가 지정된 크기와 다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와 다른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도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크기는 상기 온도 센서의 온도 감지 성능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온도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와 같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도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객체 사이의 거리를 줄이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 사이의 거리를 늘리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 상에 상기 객체와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 상에 상기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에서 상기 다른 객체를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도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지정된 크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 세기가 달라지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및 상기 광 센서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은,
    복수의 거리 각각과 복수의 광량 각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된 광량에 대응하는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거리를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객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도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색상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광량 및 상기 확인된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및 상기 광 센서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온도 측정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방법.
  11.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 센서;
    온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객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광신호에 대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상기 반사된 광의 광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광량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및 상기 광 센서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 및 상기 광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 사이의 지정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가 지정된 크기와 다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와 다른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온도 측정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크기는 상기 온도 센서의 온도 감지 성능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온도 측정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와 같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객체 사이의 거리를 줄이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 사이의 거리를 늘리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 상에 상기 객체와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 상에 상기 다른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에서 상기 다른 객체를 제거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지정된 크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 세기가 달라지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거리 각각과 복수의 광량 각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된 광량에 대응하는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를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객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하는, 온도 측정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측정 예상 영역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측정된 광량 및 상기 확인된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및 상기 광 센서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온도 측정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온도 측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온도 측정 장치.
KR1020150051955A 2015-04-13 2015-04-13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9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55A KR102392787B1 (ko) 2015-04-13 2015-04-13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15/092,057 US10371577B2 (en) 2015-04-13 2016-04-06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55A KR102392787B1 (ko) 2015-04-13 2015-04-13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93A KR20160121993A (ko) 2016-10-21
KR102392787B1 true KR102392787B1 (ko) 2022-05-02

Family

ID=5711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55A KR102392787B1 (ko) 2015-04-13 2015-04-13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71577B2 (ko)
KR (1) KR102392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9017A (zh) * 2017-05-26 2017-09-29 上海展扬通信技术有限公司 保护方法、系统及终端
CN108549267A (zh) * 2018-05-22 2018-09-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家电设备的确定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处理器
US11927488B2 (en) * 2019-01-03 2024-03-12 Chia-Ling Chen Thermal detectio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early warning and related products
CN110646094B (zh) * 2019-08-12 2021-08-17 国网浙江海盐县供电有限公司 一种输变配电设备红外智能诊断系统及方法
WO2021142164A1 (en) * 2020-01-10 2021-07-15 Flir Commercial Systems, Inc. Radiometric calibration systems for infrared imagers
CN111964790A (zh) * 2020-08-14 2020-11-20 济南博观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校准方法及红外测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668Y1 (ko) 2005-03-17 2005-06-01 주식회사 세명전자 양방향 적외선 감지기
JP2005208027A (ja) 2003-12-25 2005-08-04 Sunx Ltd 距離測定装置、光学測定装置及びこれらの距離測定方法
US7810992B2 (en) 2007-04-09 2010-10-12 Avita Corporation Non-contact temperature-measur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1067371A (ja) 2009-09-25 2011-04-07 Glory Ltd 体温検査装置、体温検査システムおよび体温検査方法
JP2015029881A (ja) 2013-08-07 2015-02-16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赤外線体温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907A (en) * 1991-10-31 1995-02-14 Minolta Co., Ltd.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automatic focussing device
GB9411153D0 (en) * 1994-06-03 1994-07-27 Land Infrared Ltd Temperature monitoring
US8974386B2 (en) * 1998-04-30 2015-03-10 Abbott Diabetes Care Inc. Analy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US7406184B2 (en) * 2002-07-03 2008-07-29 Equin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rmal infrared for face recognition
KR101156203B1 (ko) * 2005-12-01 2012-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센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센싱방법
JP5540499B2 (ja) * 2008-02-22 2014-07-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体温計
KR101638616B1 (ko) 2009-12-18 2016-07-12 (주)휴비딕 적외선 이마 체온 측정 장치
US8573843B2 (en) * 2010-11-05 2013-11-05 Citizen Holdings Co., Lt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JP6401175B2 (ja) * 2012-11-19 2018-10-03 カズ ヨーロッパ エス・アー・エール・エル 距離検知および補償を用いる非接触医療用温度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027A (ja) 2003-12-25 2005-08-04 Sunx Ltd 距離測定装置、光学測定装置及びこれらの距離測定方法
KR200385668Y1 (ko) 2005-03-17 2005-06-01 주식회사 세명전자 양방향 적외선 감지기
US7810992B2 (en) 2007-04-09 2010-10-12 Avita Corporation Non-contact temperature-measur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1067371A (ja) 2009-09-25 2011-04-07 Glory Ltd 体温検査装置、体温検査システムおよび体温検査方法
JP2015029881A (ja) 2013-08-07 2015-02-16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赤外線体温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93A (ko) 2016-10-21
US10371577B2 (en) 2019-08-06
US20160299009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787B1 (ko) 전자 장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46849B1 (ko) 생체 정보의 위조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192248B (zh) 语音输入处理方法和用于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KR102277212B1 (ko)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한 홍채 인증 방법 및 장치
US2018032952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pen
US10860850B2 (en) Method of recognition based on iris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771332B2 (en) Method for detecting wear using plurality of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KR102296396B1 (ko) 비접촉 체온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63794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55878B1 (ko) Pwv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혈압 값을 산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혈압 값 산출 방법
KR102424360B1 (ko) 신체 정보 측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96514B1 (ko) 지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142589A1 (en) Method for adjusting usage policy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354597B1 (ko) 차량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2306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088764B (zh) 用于虹膜识别功能的操作方法及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US201501900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photoplethysmography method
KR20160125142A (ko) 지문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50098158A (ko) 지문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60072682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517839B1 (ko) 온도를 기반으로 하는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53514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00034026A1 (en) Method for adjusting screen siz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7431389B (zh) 驱动无动力传感器的电子设备和控制其的方法
US202003240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tress relief by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