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524B1 - 비인가 반송파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인가 반송파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524B1
KR102392524B1 KR1020177000891A KR20177000891A KR102392524B1 KR 102392524 B1 KR102392524 B1 KR 102392524B1 KR 1020177000891 A KR1020177000891 A KR 1020177000891A KR 20177000891 A KR20177000891 A KR 20177000891A KR 102392524 B1 KR102392524 B1 KR 10239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carrier
carrier
evaluation period
terminal devic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294A (ko
Inventor
브라이언 알렉산더 마틴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3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상기 방법은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여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같은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은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획득된다.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가 또한 확립된다.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 여부는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하여 평가된다. 측정 보고는 평가의 결과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로 송신된다.

Description

비인가 반송파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ASUREMENTS OF AN UNLICENSED CARRIER}
본 개시내용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 및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한 인프라 장비(infrastructure equipment),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 및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배경기술"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되는 범위까지의 현재 거명된 발명자들의 연구뿐만 아니라 출원 시점에서의 종래 기술로서 여겨질 수 없는 설명의 양태들은, 명시적으로든 묵시적으로든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는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들이 상이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obile network operator)(MNO)들에게 할당되어 운영자들이 인가(license)를 통해 독점 사용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인가는 전형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GSM, WCDMA/HSPA, LTE/LTE-A)를 배치하기 위해 수년에 걸친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의 미리 정해진 부분의 MNO 독점 사용을 허락한다. 이런 인가 접근 방식은 서비스 품질(QoS)(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무선 자원 및 이동성의 제어를 운영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운영자는 다른 무선 서비스들이 운영자에게 할당되었던 무선 자원을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는 보장을 어느 정도 가지며, 인가 조건의 제한 내에서 운영자가 네트워크에 어떤 무선 기술을 배치할지에 관한 독점적 제어권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독점적 사용에 대해 인가되었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주로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 무선 자원의 가장 효율적인 이용을 돕기 위해 어느 정도의 중앙집중식 제어 및 조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인가가 외부 간섭원들로부터의 양호한 내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표준 사양에 기초하여 간섭을 내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MNO의 인가된 대역 상에 배치된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공존은 관련 무선 표준들의 준수를 통해 관리된다. 인가된 스펙트럼은 오늘날 보통 정부-조직 경매를 통해 운영자들에게 할당되지만, 소위 "뷰티 콘테스트(beauty contest)"도 역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는 가용 무선 스펙트럼 영역들이 비인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도 역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인가된(인가 면제) 무선 스펙트럼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기타의 비-3GPP 무선 액세스 기술(RATs)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기술에 의해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비인가된 스펙트럼 대역들을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 파라미터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2.4 GHz ISM 대역에 대한 FCC Part 15 규칙과 같은 기술적 규제 요건들에 의해 규정된다. 비인가된 대역에 배치된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공존은, 중앙집중식 조정과 제어가 결여되고, 그래서 보통은 이러한 기술적 규칙들 및 다양한 상류 프로토콜(politeness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LTE와 같은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 기술들의 사용은 무선 통신 기술들의 확립된 이용률의 증가와, 예를 들어 머신-타입 통신(MTC)의 개발 분야와 같은 새로운 용도의 도입의 양쪽 모두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무선 통신 기술들의 증가된 이용을 지원하도록 더 많은 대역폭의 제공을 돕기 위하여,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상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최근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인가된 스펙트럼과는 대조적으로, 비인가된 스펙트럼은, 예를 들어 간섭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조정된/중앙집중식 제어 없이, 상이한 기술들 간에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는 상이한 네트워크들 간에 공유되고 이용될 수 있다. 이 결과,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무선 기술들의 이용은 예측 불가능한 간섭을 받을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의 보장이 없다, 즉, 무선 접속은 최선의 노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양태는,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무선 반송파에 대한 통신을 지원하는 자원이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에 있다. 대신, 비인가된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기회주의적 방식, 즉, 예를 들어 관련된 자원이 언제 다른 시스템들에 의해 이용되지 않는지를 고려하고/하거나 비인가된 대역을 이용하는 것과 연관된 공정성/상류 프로토콜을 고려함에 의해 네트워크가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대로,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반송파를 지원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비인가된 대역에서 동작하는 반송파와 연관된 통신은 상대적으로 빈번하고 예측 불가능한 기준으로 스위칭 온 및 오프(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즉, 비인가된 대역에서의 반송파들의 동작은 간헐적인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된 LTE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이, 비인가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허용하고, 특히 비인가된 스펙트럼 대역에서 동시에 동작 중일 수 있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과 안정적이고 공평하게 공존하도록 허용하는 수정된 접근 방식을 요구한다고 예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인가된 대역들에 대한 동작이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새로운 과제를 야기하더라도, 비인가된 대역들에 대한 동작이 구현 및 표준화 비용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인가된 대역에 대한 기본 동작 원리에 광범위하게 따르고, 또한 비인가된 대역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공존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인가된 스펙트럼 대역들에서의 동작(즉, 관련 무선 자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독점적이고 연속적인 액세스를 갖지 않음)에 적합한 방식으로 인가된 스펙트럼 대역들(즉, 관련 무선 자원들에 대한 큰 독점적이고 연속적인 액세스를 가짐)에서 동작하도록 주로 설계되는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시스템을 배치하는 것은, 새로운 기술적 과제를 야기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는 단계;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는 단계;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기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은,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고;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고;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용 회로가 제공되며, 상기 회로는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고,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고;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고;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양태들과 피처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문단들은 전반적인 소개로서 제공된 것이지,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추가의 이점과 함께,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최상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과 많은 그 부속 이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최상으로 이해할 때 쉽게 얻어질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고, 여기서: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는 LTE 무선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3은 LTE 다운 링크 무선 서브프레임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들, 및 종래의 LTE-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측정 보고에 관한 일부 연관된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사다리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들, 및 측정 보고에 관한 일부 연관된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LTE 원리에 따라 동작하고 후술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시스템(100)의 일부 기본 기능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요소와 그들 각각의 동작 모드들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3GPP(RTM) 기구(body)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들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 주제에 관한 많은 문헌, 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 [1]에서도 설명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양태들은, 예를 들어 관련 표준들에 따른 임의의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네트워크(100)는 코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들(104)에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들(104)로부터 데이터가 통신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즉,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기지국들(101)로부터 단말 디바이스들(104)로 그들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103) 내에서 무선 다운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데이터는 단말 디바이스들(104)로부터 무선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들(101)에 전송된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각각의 기지국들(101)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들(104)에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들(104)로부터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들은 또한, 이동국들,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단말, 모바일 라디오(mobile radio),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의 일례인 기지국들은 또한, 송수신기 스테이션들/nodeB들/e-nodeB들 등으로서 지칭될 있다.
3GPP 정의된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따라 배열된 것들과 같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다운 링크에 대한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OFDM) 기반의 인터페이스(소위 OFDMA)와, 무선 업링크 상에서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SC-FDMA)을 이용한다. 도 2는 OFDM-기반의 LTE 다운 링크 무선 프레임(201)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LTE 다운 링크 무선 프레임은 (향상된 Node B로서 알려진) LTE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10ms 지속된다. 다운 링크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 ms 지속된다.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PSS)와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SSS)가 LTE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및 제6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이 LTE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도 3은 예시적인 종래의 다운 링크 LTE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리드(grid)의 개략도이다. 서브프레임은 1ms 기간에 걸쳐 전송되는 미리 결정된 개수의 심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심벌은 다운 링크 무선 반송파의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미리 결정된 개수의 직교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 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된 20MHz 대역폭에 걸쳐 퍼져 있는 14개의 심벌과 1200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이 예에서는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이다(따라서 PBCH를 포함한다). LTE에서 전송을 위한 물리적 자원의 최소 할당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12개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자원 블록이다. 명료화를 위해, 도 3에서, 각각의 개별 자원 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서브프레임 그리드 내의 각각의 개별 박스는 하나의 심벌 상에서 전송되는 12개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도 3은 4개의 LTE 단말(340, 341, 342, 343)에 대한 자원 할당을 해칭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LTE 단말(UE1)에 대한 자원 할당(342)은 12개 부반송파의 5개 블록(즉, 60개 부반송파)에 걸쳐 연장되고, 제2 LTE 단말(UE2)에 대한 자원 할당(343)은 12개 부반송파의 6개 블록(즉, 72개 부반송파)에 걸쳐 연장되는 등등이다.
제어 채널 데이터는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 심벌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300)(도 3에서 점선-음영으로 표시됨)에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3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의 경우 1개 심벌과 3개 심벌 사이에서 변할 수 있고, "n"은 1.4MHz 채널 대역폭의 경우 2개 심벌과 4개 심벌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하의 설명은 3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호스트 반송파들에 관한 것이므로 "n"의 최대값은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3일 것이다.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및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PHICH)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채널은 물리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채널 데이터는, 또한 또는 대안으로서,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또는 "n"개의 심벌 이후에 남아있는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다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제2 영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제2 영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향상된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EPDCCH) 상에서 전송된다. 이 채널은, 다른 물리층 제어 채널들 상에서 전송되는 것에 추가될 수 있는 물리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PDCCH 및 EPDCCH는 서브프레임의 어느 부반송파들이 특정 단말들(또는 모든 단말들 또는 단말들의 서브세트)에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것은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된 PDCCH 및/또는 EPDCCH 데이터는, UE1이 참조 번호 342에 의해 식별된 자원 블록을 할당받았고, UE2가 참조 번호 343에 의해 식별된 자원 블록을 할당받았으며, 등등을 나타낼 것이다.
PCFICH는 제어 영역의 크기(즉, 3 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의 경우 1개 심벌과 3개 심벌 사이, 또는 1.4 MHz의 채널 대역폭의 경우 2개 심벌과 4개 심벌 사이)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PHICH는 이전에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ARQ(Hybrid Automatic Request)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의 중앙 대역(310) 내의 심벌들은,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포함하는 정보의 전송에 이용된다. 이 중앙 대역(310)은 전형적으로 (1.08 MHz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72개 부반송파 폭이다. PSS 및 SSS는, 일단 검출되면, LTE 단말 디바이스가 프레임 동기화를 달성하고 다운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향상된 Node B의 물리층 셀 신원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기화 신호들이다. PBCH는, LTE 단말이 셀에 적절히 액세스하기 위해 이용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MIB)을 포함하는, 셀에 관한 정보를 반송한다. 다운 링크 데이터 채널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단말들에 전송된 데이터는, 서브프레임의 다른 자원 요소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DSCH는 사용자-평면 데이터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및 비액세스 스트라텀(Non Access Stratum)(NAS) 시그널링과 같은) 비물리층 제어-평면 데이터의 조합을 운반한다. PDSCH 상에서 운반되는 사용자-평면 데이터와 비물리층 제어-평면 데이터는 상위층 데이터(즉, 물리층보다 높은 층과 연관된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R344의 대역폭에 걸쳐 연장되고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PDSCH의 영역을 도시한다. 종래의 LTE 서브프레임은 또한, 명료화의 목적으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준 신호들을 포함할 것이다.
LTE 채널 내의 부반송파들의 수는 전송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 변화는 1.4 MHz 채널 대역폭 내에 포함된 72개 부반송파로부터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20 MHz 채널 대역폭 내에 포함된 1200개 부반송파까지이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PDCCH, PCFICH 및 PHICH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도록 서브프레임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부반송파들 상에 분포된다.
기지국들(101)과 단말 디바이스들(104) 사이의 통신은, 전통적으로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에 의한 독점적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인가된 무선 자원은 전체 무선 스펙트럼의 단지 일부일 것이다. 네트워크(100)의 환경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운영자의 네트워크는, 그 상이한 운영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상이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대역 내의 다른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스펙트럼의 인가된 부분 내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무선 스펙트럼의 비인가된 부분(즉,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독점적 액세스를 갖지 않고, 오히려 다른 액세스 기술들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스펙트럼의 일부) 내의 무선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특히, 비인가된 무선 자원이 인가된 무선 자원과 연계하여 이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반송파 집성 기반의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질적으로, 반송파 집성은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이 하나보다 많은 반송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단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여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 달성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단편화된(fragmented) 스펙트럼의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이용을 가능케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집성된 개별 반송파들은 흔히 컴포넌트 반송파(또는 때로는 간단히 컴포넌트)라고 지칭된다. LTE의 맥락에서, 반송파 집성은 표준의 Release 10에서 소개되었다. LTE-기반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성에 대한 현재 표준에 따르면, 다운 링크 및 업링크 각각에 대해 5개까지의 컴포넌트 반송파가 집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 반송파들은 서로 연속적일 필요는 없고 LTE-정의된 값들(1.4 MHz, 3 MHz, 5 MHz, 10 MHz, 15 MHz 및 20 MHz) 중 임의의 하나에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가질 수 있음으로써, 100 MHz까지의 총 대역폭을 허용한다. 물론 이것은 특정 반송파 집성 구현의 일례일 뿐이고 다른 구현 예들은 상이한 개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 및/또는 대역폭들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LTE-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반송파 집성의 동작에 관한 추가 정보는, ETSI TS 136 211 V11.5.0 (2014-01) / 3GPP TS 36.211 버전 11.5.0 Release 11 [2], ETSI TS 136 212 V11.4.0 (2014-01) / 3GPP TS 36.212 버전 11.4.0 Release 11 [3]; ETSI TS 136 213 V11.6.0 (2014-03) / 3GPP TS 36.213 버전 11.6.0 Release 11 [4]; ETSI TS 136 321 V11.5.0 (2014-03) / 3GPP TS 36.321 버전 11.5.0 Release 11 [5]; 및 ETSI TS 136 331 V11.7.0 (2014-03) / 3GPP TS 36.331 버전 11.7.0 Release 11 [6]과 같은 관련 표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LTE-기반 시스템의 맥락에서 반송파 집성에 이용되는 용어 및 구현에 따르면, 소정의 셀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셋업 동안에 초기에 구성된 셀인 경우, 그 셀은, 그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1차 셀' 또는 Pcell이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1차 셀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확립/재확립을 처리한다. 1차 셀은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및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CoC)와 연관된다. 이들은 때때로 여기서 1차 컴포넌트 반송파라고 지칭될 수 있다. Pcell에서 초기 접속 확립 이후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구성되는 셀은 '2차 셀' 또는 Scell이라고 명명한다. 따라서, 2차 셀은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접속 확립 이후에 구성된다. Scell들과 연관된 반송파는 때때로 여기서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들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LTE에서는 5개까지의 컴포넌트 반송파가 집성될 수 있기 때문에, (대응적으로 4개까지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연관된) 4개까지의 Scell들이 (1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연관된) 1차 셀과의 집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Scell은 다운 링크 및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모두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와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사이의 연관이 각각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SIB2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1차 셀은 다운 링크 상에서 PDCCH와 PDSCH를, 업링크 상에서 PUSCH와 PUCCH를 지원하는 반면, 2차 셀은 다운 링크 상에서 PDCCH와 PDSCH를, 업링크 상에서는 PUSCH를 지원하지만 PUCCH는 지원하지 않는다. 측정 및 이동성 절차는 Pcell에서 처리되며 Pcell은 비활성화될 수 없다. Scell(들)은, 예를 들어 트래픽 요구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로의 MAC 층 시그널링을 통해 동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Scell들은 또한, 임계량의 시간 동안 단말 디바이스가 Scell 상에서 어떠한 전송 자원 할당도 수신하지 않는다면 자동적으로 (타임 아웃) 비활성화될 수 있다.
현재의 표준에 기초한 반송파 집성의 LTE-기반의 구현을 위한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의 일부 양태가 이제 설명된다.
각각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는 정규 LTE 제어 채널들: (E)PDCCH, PCFICH 및 PHICH를 가진다. 그러나, 반송파 집성은 PDCCH 상에서 소위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XCS)의 가능성을 도입한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PDCCH 상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메시지는, PDCCH 메시지가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어느 것에 적용되는지를 나타내는 3비트를 포함하는 반송파 표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CIF)를 포함한다. CIF가 존재하지 않으면, PDCCH는 그것이 수신되는 반송파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취급된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을 제공하기 위한 동기(motivation)는, 중첩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동일한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이종 네트워크(het-net) 시나리오에 주로 적용된다. 각각의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의 PDCCH 시그널링 사이의 간섭의 영향은, (매크로 셀을 가로질러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전송 전력에서 매크로 셀이 자신의 PDCCH 시그널링을 하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전송하게 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는 반면, 소형 셀들은 그들의 PDCCH 스케줄링을 위해 대안적인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한다.
PDCCH를 지원하는 제어 영역은 컴포넌트 반송파들 사이의 크기(즉, OFDM 심벌들의 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이한 PCFICH 값들을 반송할 수 있다. 그러나, het-net 구현에서 제어 영역에서의 간섭에 대한 잠재성은, PCFICH가 특정한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디코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LTE 표준은, 각각의 컴포넌트가, 어느 OFDM 심벌 PDSCH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한다고 가정될 수 있는지의 반-정적인 표시(semi-static indication)를 반송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어 영역에 대해 더 적은 수의 OFDM 심벌들이 실제로 이용된다면, 자유/예비 OFDM 심벌(들)은 단말 디바이스들이 실제 PCFICH를 디코딩할 때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되지 않는 단말 디바이스들로의 PDSCH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 대해 더 많은 수의 OFDM 심벌이 실제로 이용된다면,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성능 저하가 있을 것이다.
PHICH 시그널링은, PHICH 시그널링이 관련되어 있는 PUSCH 할당을 포함하는 PDCCH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송신된다. 따라서, 하나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는 하나보다 많은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PHICH를 반송할 수 있다.
업링크에서, PUCCH의 기본 동작은 반송파 집성의 도입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새로운 PUCCH 포맷(포맷 3)이 도입되어 복수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확인응답 시그널링(ACK/NACK 시그널링)의 송신을 지원하고, 포맷 1b에 대한 일부 변경에 의해 반송할 수 있는 ACK/NACK 비트의 수를 증가시킨다.
현재의 LTE-기반 반송파 집성 시나리오에서, 1차 및 2차 동기화 시그널링(PSS 및 SSS)은 동일한 물리층 셀 신원(physical-layer cell identity)(PCI)을 이용하는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전송되고, 컴포넌트 반송파들은 모두 서로 동기화된다. 이것은 셀 검색 및 발견 절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안 및 시스템 정보(SI)에 관련된 문제점들은 Pcell에서 처리된다. 특히, Scell을 활성화할 때, Pcell은 전용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Scell에 대한 관련 SI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Scell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Scell은 (하나의 RRC 메시지에서) Pcell RRC 시그널링에 의해 해제되고 재추가된다. Pcell 대역폭에 걸친 채널 품질에서의 장기 변동으로 인한 Pcell 변경은, 수정된 핸드오버 절차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소스 Pcell은,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 단말 디바이스가 모든 할당된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길 시작할 수 있도록 모든 관련 반송파 집성(CA) 정보를 타겟 Pcell에 전달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Pcell의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주로 취급되지만, 경쟁 해결 시그널링의 일부 양태는 또 다른 서빙 셀(즉, Scell)에 대해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은,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을 이용하도록 주로 설계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식이다. 요약하면, 반송파 집성 기반의 접근 방식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 내의 제1 컴포넌트 반송파(예를 들어, LTE 용어에서는 Pcell과 연관된 1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구성하고 동작시키고, 또한 무선 스펙트럼의 비인가된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컴포넌트 반송파(예를 들어, LTE 용어에서는 Scell과 연관된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구성하고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스펙트럼의 비인가된 영역에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들)는, 이들이 이용 가능할 때 비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기회주의적 방식으로 그렇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류 프로토콜들(politeness protocols)이라 부를 수 있는 어떤 것을 정의함으로써, 주어진 운영자가 비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제약하기 위한 규정들이 존재할 수 있다.
공지된 반송파 집성 방식은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또는 다른 형태의 공유된 무선 자원)을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과 연계하여 이용하기 위한 기준을 형성할 수 있지만, 공지된 반송파 집성 기술들에 대한 일부 수정은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을 돕기 되기 위해 적절할 수 있다. 이것은,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간섭이 특정한 무선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 내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시간 및 주파수에서의 알려지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울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LTE-A와 같은 주어진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주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에서의 간섭은,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다른 시스템들, 또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다른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의 통신 시스템(400)은 대체로 LTE-타입 아키텍처에 기초한다. 이와 같이, 통신 시스템(400)의 많은 동작 양태들은 표준이고 널리 이해되고 있으므로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통신 시스템(400)의 동작 양태들은, 예를 들어 확립된 LTE-표준 및 그 공지된 변형에 따른 임의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은 무선 네트워크부에 결합된 코어 네트워크부(진화된 패킷 코어)(402)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부는, 기지국(진화된 노드 B)(404), 제1 단말 디바이스(406), 및 제2 단말 디바이스(408)를 포함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부는 다양한 통신 셀에 걸쳐 많은 수의 단말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연히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간소화를 위해 1개의 기지국과 2개의 단말 디바이스만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400)의 일부는 아니지만,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통신 시스템(400)의 무선 환경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일부 다른 디바이스들도 역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와이파이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링크(418)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한 쌍의 무선 액세스 디바이스(416), 및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링크(422)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한 쌍의 블루투스 디바이스(420)가 있다. 이들 다른 디바이스는 통신 시스템(400)에 대한 자원 경쟁 및 잠재적인 무선 간섭원을 나타낸다. 실제로,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더 많은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통상적으로 존재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해 단지 2개 쌍의 디바이스들(416, 418)만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은 기지국(송수신기 스테이션)(404)에 그리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배열된다. 기지국은, 기지국(404)을 통한 통신 시스템(400)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로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의 라우팅과 관리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코어 네트워크부 내의 서빙 게이트웨이(S-GW)(도시되지 않음)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동성 관리 및 접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부(402)는 홈 가입자 서버(HSS)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과의 향상된 패킷 서비스(enhanced packet service)(EPS) 접속들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한다. (간소화를 위해 역시 도시되지 않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은, 코어 네트워크부(402)로부터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PDN-GW)와, PCRF(policy charging and resource function)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400)의 다양한 요소들의 동작은, 여기서 논의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수정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종래의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 각각은 무선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406a, 408a), 및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디바이스들(406, 40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유닛(406b, 408b)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어기 유닛(406b, 408b)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의 각각에 대해, 그들의 각각의 송수신기 유닛들(406a, 408a) 및 제어기 유닛들 (406b, 408b)은 표현의 용이성을 위해 별개의 요소로서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이들 유닛들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회로/처리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은, 일반적으로, 확립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그 동작 기능성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예를 들어, 전원, 아마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 보편화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들은 셀룰러/모바일 통신 기능성 이외에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기능성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송수신기 유닛들(406a, 408a)은 상이한 무선 통신 동작 표준들에 따라 동작 가능한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들의 송수신기 유닛들 각각은 LTE-기반 동작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LTE 송수신기 모듈, WLAN 동작 표준(예를 들어, 와이파이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WLAN 송수신기 모듈, 및 블루투스 동작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송수신기 모듈들의 기본 기능성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각각의 송수신기 모듈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별개의 하드웨어 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거나, 대안으로서,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송수신기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일부의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의 송수신기 유닛들(406a, 408a)은 종래의 무선 통신 기술들에 따른 LTE 송수신기 모듈, 와이파이 송수신기 모듈 및 블루투스 송수신기 모듈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기지국(404)은 무선 신호들의 전송과 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404a)과, 기지국(404)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유닛(404b)을 포함한다. 제어기 유닛(404b)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404a) 및 제어기 유닛(404b)은 표현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별개의 요소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회로/처리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404)은 일반적으로 그 동작 기능성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404)은 일반적으로 통신의 스케줄링을 책임지는 스케줄링 엔티티를 포함할 것이다. 스케줄링 엔티티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제어기 유닛(404b)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4)은 제1 및 제2 무선 통신 링크들(410, 412)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제1 및 제2 무선 통신 링크들(410, 412) 각각이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동작 모드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통신 링크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 및 하나 이상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을 포함하는 요소들은 비인가된 스펙트럼 모드에서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비인가된 스펙트럼 모드에서,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독점적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무선 자원들 상에서 동작하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독점적 이용을 위해 인가되지 않았던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무선 자원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1 주파수 대역은 때때로 여기서 인가된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때때로 여기서 비인가된(U)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LTE-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은 LTE-U 동작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인가된) 주파수 대역은 LTE 대역 (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LTE-A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은 LTE-U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U 대역 상의 자원은 U-자원으로 지칭될 수 있다. U-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 디바이스는 U-단말 디바이스(또는 U-UE)로 지칭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수식자 "U"는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동작들을 편리하게 식별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비인가된 자원을 이용하는 것은 인가된 보조 액세스(licensed assisted access)(LAA)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송파 집성 기술의 이용 및 비인가된 스펙트럼 자원(즉, 중앙 집중식 조정 없이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자원)의 이용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수정을 동반하여, 이러한 동작 모드들에 대해 이전에 제안된 원리들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반송파 집성 및 비인가된 스펙트럼 동작의 양태들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소정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에 나타낸 무선 통신 네트워크(400)에 대한 동작 모드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반송파 집성 가능한 단말 디바이스가 LTE-A(1차) 셀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기지국이 2차(LTE-U) 반송파를 위해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 자원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2차 반송파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측정 보고를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면, 기지국에서의 측정 보고의 후속 처리 및 관련된 결정(즉, 단말 디바이스가 2차 반송파 상에서 지원되어야 하는지에 관한)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LTE-A 반송파는 단말 디바이스에 Pcell을 제공하고, LTE-U 자원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잠재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Scell을 지원하며, 이런 관점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측정 보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LTE-A 자원은 또한 종래의 반송파 집성 기술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추가 Scell(들)과 연관된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들의 경우,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LTE-A 전송과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LTE-U 전송, 및 그에 따라 대응하는 Pcell과 Scell(들) 모두는 동일한 기지국(404)으로부터 이루어지지만,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LTE-U 반송파는 일반적으로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 구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의 비인가된 스펙트럼 사용에 대한 기존 규제의 일부 양태들의 결과는, TDD 또는 다운 링크-전용 FDD 동작이 적어도 현재는 더 가능성이 있는 배치 시니리오인 것을 의미한다.
측정 보고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잘 발달된 양태이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과 연관된 셀에서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인접 셀들의 시그널링 특성을 측정하고 대응하는 측정 보고를 그것의 서빙 기지국(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부착되어 있는 기지국/셀)으로 다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그 후 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어떻게 최상으로 지원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이 단말 디바이스의 측정 보고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신호 품질/전력을 보고 있는 상황에 있다고 통지받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를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들이 검출할 수 있는 상이한 반송파들에 관한 규칙적인 측정 보고를 제공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들을 구성하면 시그널링이 상응하게 증가하게 되며, 이는 시스템 효율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고 인식되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들이 측정 보고에 대한 기준을 형성할 수 있는 측정을 행하지만 그 측정이 소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이, 단말 디바이스가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측정 보고들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시나리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력 또는 품질 측면에서 최소 임계치를 충족하는 인접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에 관한 측정 보고만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최소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에 관한 측정 보고를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할 필요가 없다.
단말 디바이스들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과 연관된 무선 채널 상태의 특성을 확립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기지국이 기준 심벌들을 전송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LTE-맥락에서, 측정 보고를 위한 기준으로 이용되는 하나의 특정한 특성은, 유사하고 대응하는 특성들이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지라도 기준 심벌 수신 전력(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RSRP)이며, 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이한 양태의 무선 채널 상태에 관한 다양한 상이한 파라미터들은 측정 보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측정 보고의 맥락, 예를 들어 LTE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는 RSRP 대신에 또는 RSRP에 부가하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이다.
따라서, 제1 셀과 연관된 반송파 상에 서빙되고 있는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서빙되고 있지 않은 제2 셀과 연관된 RSRP를 측정하고, 제2 셀/반송파에 대한 RSRP 측정치들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할 때 대응하는 측정 보고를 제1 셀에서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셀(및 대응하는 제1 반송파)은 때때로 서빙 셀(서빙 반송파)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셀(및 대응하는 제2 반송파)은 때때로 인접 셀(인접 반송파)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런 용어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각각의 셀들 사이를 이동할 때 각각의 셀들과 연관된 무선 상태가 변화하는 것에 기인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그것의 현재 셀에서 인접 셀로 핸드 오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 보고의 공통 이용을 반영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것이고, 상이한 셀들/반송파들과 연관된 커버리지들 사이의 임의의 특정한 지리적 관계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비인가된 무선 자원(즉, LTE-U 동작)을 이용하는 반송파 집성 맥락에서는, 1차(서빙) 셀과 2차(인접) 셀들의 지리적 범위가 어느 정도까지 있을 수 있고, 서로 완전히 중첩 가능한지를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LTE-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보고를 지원하는 2차 셀과 연관된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서빙 셀 상에서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진 RSRP 측정치들, 및 종래의 LTE 타입 측정 보고에 대한 대응하는 타이밍들의 일부 양태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RSRP 측정치들은 종래 기술에 따라 시간의 함수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말 디바이스는, RSRP 측정치들이 시간-투-트리거(time-to-trigger)(TTT)로 알려진 적어도 최소 기간 동안 미리 정의된 임계치 T를 연속해서 초과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SRP 측정치들은 시간 t-시작 전에 임계치 T보다 낮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이들 측정에 관한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트리거링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 t-시작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RSRP 측정치가 임계치 T보다 높게 상승한 것을 식별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이벤트 평가로 불릴 수 있는 것을 시작하도록 트리거링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t-종료에서 만료되는 미리 정의된 시간-투-트리거(TTT) 지속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RSRP 측정치들을 계속 모니터링한다. RSRP 측정치들이 t-시작과 t-종료 사이의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2차 셀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이 측정 보고(측정 이벤트)를 트리거하기에 충분히 높고 일정한 전력을 갖는다고 사실상 결정한다. 소정의 측정 이벤트 평가 동안의 RSRP가 임계치보다 높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이 평가로부터, 측정 보고가 기지국에 전송되어서는 안된다고(즉,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해칭된 영역에 대한 측정치들이 모두 관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즉, 본 예에서는 RSRP가 T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하는 측정 보고가 송신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종래의 측정 보고는 일반적으로,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측정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RSRP가, 측정 이벤트 평가를 착수되어야 한다고(이는 측정된 파라미터가 방금 관련 기준을 충족하기 시작했기 때문일 수 있음) 결정할 때부터 시작하는 평가 기간(TTT)의 지속 기간 동안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지(예를 들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에 의존한다.
따라서, LTE 맥락에서 기존의 측정 보고 기술들의 일례를 요약하기 위해, 기준 심벌들을 포함하는 자원 요소들의 모든 전력을 평균함으로써 L1 (계층 1)에서 측정들(예컨대, RSRP)이 수행된다. 추가 평균화는 연속 샘플 수(예를 들어, 실행중인 박스-카 평균)로부터 평균을 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평균 측정들은 L3(계층 3)에서의 측정 이벤트 평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정 이벤트 평가가, 예를 들어 측정들과 임계치를 비교하기 위해 개시될 때, 시간-투-트리거(TTT) 타이머는, 계층 3 필터링 후의 측정이 임계치보다 크게 될 때 시작된다. 필터링된 측정들이 TTT의 지속 기간 동안 임계치보다 크게 유지된다면, 이벤트가 트리거된 것으로 간주되어 측정 보고가 송신된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LTE-U 맥락에서와 같이, 셀/반송파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때 측정 이벤트 평가를 위한 기존 방식들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했다. 특히, 본 발명자는, 그러한 시나리오들에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고 있는 반송파가 측정 이벤트 평가와 연관된 시간-투-트리거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즉, 예를 들어 측정되는 파라미터가 특정 측정 이벤트와 연관된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기 때문에(종래 기술에 따라 측정 이벤트에 관한, 적용될 수 있는 임의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잠재적으로 고려하는 동안),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단말 디바이스가 확립하면, 반송파는 측정 이벤트 평가 기간(즉, TTT 지속 기간)의 일부 동안 스위칭 오프/비활성화 될 수 있다. 이는, 측정 이벤트 평가가 관련 무선 채널 기준/기준들이 충분한 기간 동안 충족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리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가 임의의 측정 보고를 전송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고 있는 반송파가 상대적으로 빠른 기준(예를 들어, 측정 평가 기간(TTT)와 동일한 순서 또는 잠재적으로 훨씬 더 짧은 시간대)에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는 경우, 측정 이벤트 평가 프로세스는 크게 좌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맥락에서, TTT 지속 기간은 최대 약 5초의 값을 갖는 보고 이벤트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특정 LTE-U 구현과 같은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반송파가 이 시간 길이 동안 연속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고 예상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TTT 지속 시간이 반송파의 최대 연속 전송 시간보다 긴 값으로 설정되는 측정 이벤트에 관한 측정 보고가 송신되어야 한다고 항상 결정할 수는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식은 관련된 TTT 시간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 들어 측정 이벤트 및 연관된 측정 보고의 빈번한 트리거링을 회피하기 위해 비교적 긴 TTT 시간을 확립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어느 정도 상쇄할 것이다. 이것은, 측정 이벤트 보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관련 기준이 종종 잠깐만 충족되는 시나리오에서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는 상대적으로 빨리 이동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작은 셀의 주변부 근처를 지나가는 경우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본 발명자는, 수정된 측정 이벤트 평가 절차들이, 예를 들어 LTE-U 동작에 대해 선택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반송파가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와 같은 소정 시나리오에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도 6은, LTE-U 맥락에서 측정 이벤트 평가에 수정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소정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UE)들(406, 408) 및 기지국(eNB)(404) 중 하나에 대한 동작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그널링 사다리 도면이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동작은, 기지국(404)이 제1 주파수 대역(LTE-A 대역) 내의 무선 자원 상에서 동작하는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1차 셀과 연관됨), 및 제2 주파수 대역(LTE-U 대역) 내의 무선 자원 상에서 동작하는 비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2차 셀과 연관됨)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은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운영자에 의한 전용 사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자원에 대응하도록 취해지는 반면, 제2 주파수 대역은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 특히 본 예에서는 Wi-Fi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에 대응하도록 취해진다. 넓게 요약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접근 방식들은, 측정 이벤트 평가가 특정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해 착수되어야 한다고 단말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방식에 기초하고, 이에 응답하여 측정 평가 기간 동안 관련 파라미터(예를 들어, RSRP)의 측정치들을 획득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평가 기간(예를 들어,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거나/전송되지 않고 있는 시간) 동안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또한 확립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에 송신할지를 평가할 때의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평가 기간 동안 반송파를 온 및 오프 시간에서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존재한다.
도 6에 나타낸 처리는 단계 S1에서 시작한다. 처리는 2차 반송파(Scell)에 관하여 채널 상태 측정을 행하고 측정에 따라 적절하게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와 1차 반송파(Pcell) 상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및 단말 디바이스에서 시작한다고 가정된다. 측정 보고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2차 반송파를 이용할 것인지(즉, 2차 반송파 상에서 이용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할지)를 결정할 때 기지국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2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시작하여 2차 반송파에 대해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본 예에서, 측정 이벤트 평가는 2차 반송파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에 대한 기준 심벌 수신 전력(RSRP)의 측정에 관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동작의 이러한 양태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예를 들어 RSRP의 측정이 측정 이벤트 평가의 트리거링과 연관된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했다고 단말 디바이스가 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 RSRP인 2차 반송파와 연관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를 측정한다(무선 채널 상태의 다른 표시자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측정 이벤트 보고의 확립된 원리에 따라 다른 구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계 S2에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된 시간부터 시작하는 평가 기간 내내 RSRP를 측정한다. 일부 예시적 구현에서, 평가 기간은 미리 정의되고 고정될 수 있으며(즉, 종래의 LTE 측정 이벤트 평가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TTT에 대응함), 반면에 다른 구현에서는 평가 기간이 가변적일 수 있고, 2차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들의 다른 예들이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다. 개별 측정치들 자체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종래의 측정 보고 기술들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치들은 복수의 측정치의 평균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계층-3 필터링을 이용함).
단계 S4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한다. 특히,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언제 전송되는지와,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를 확립한다. 이것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특정 방식은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리에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시적 구현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2차 반송파(LTE-U 반송파)가 미리 정의된 스케줄에 따라 스위칭 온 및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케줄(온/오프 패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동작 표준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내의 새롭게 정의된 정보 요소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반송파 구성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확립된 기술에 따라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에서 정의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접근 방식의 잠재적 단점은, 기지국이 LTE-U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해 이용된 무선 자원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변화하는 상태에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의 유연성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관련 파라미터(즉, 본 예에서는 RSRP)의 급격한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이벤트 평가 기간 동안 LTE-U 반송파가 언제 전송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반송파가 전송될 때 RSRP에 대한 측정된 값들은 일반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때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가 RSRP의 평균 레벨에서 갑작스러운 천이를 식별하면, 이는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해 상태 변화가 있다는 표시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들은 관련 반송파와 연관된 시그널링의 양태를 디코딩하려고 시도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그러한 시그널링을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 자체가,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결정하고자 하는 접근 방식에서는,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디바이스의 위험이 잠재적으로 존재하고, 이것이 비 연속 LTE-U 동작과 연관된 온-오프 사이클의 일부라고 가정하면, 실제로 반송파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사실상 검출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반송파의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반송파가 실제로 더 이상 단말 디바이스에 이용할 수 없을 때 단말 디바이스가 반송파가 다시 활성화되기를 계속해서 기다리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최대 오프-기간 임계치(maximum off-period threshold)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가 최대 오프-기간 임계치보다 큰 동안 오프되는(즉, 전송되지 않음) 것으로 나타나는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반송파가 단말 디바이스에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론짓고, 측정 보고가 반송파에 관하여 기지국에 전송되지 않아야 한다는 발견과 함께 측정 이벤트 평가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5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즉, 본 예에서 RSRP)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기지국에 송신할지를 결정하면서 또한 동시에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는 정도를 고려한다. 일부 측면에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고려하는 방식은 종래 기술의 기본 원리, 예를 들어 특정한 지속 기간 동안 전력이 특정 임계치을 초과하도록 요구하는(잠재적으로 히스테리시스의 정도를 고려함) 원리를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측정이 이용되는 시간은 모두 고정된 기간으로부터의 시간이 아니라, 평가 기간 동안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것이 어떻게 행해질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다른 예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된다.
단계 S5의 측정 이벤트 평가로부터, 측정 보고가 기지국에 전송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가서 다른 측정 이벤트 평가가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될 때(즉, 단계 S2를 통한 다른 반복)까지 대기할 수 있다. 한편, 측정 보고가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측정 이벤트에 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측정 보고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 단계는 종래의 측정 보고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에서, 기지국은 측정 보고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시, 이것은 종래의 측정 보고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는 중요한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며, 일단 결정되면, 측정 보고는 종래의 방식으로 전송 및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가 수신되는 2차 반송파를 이용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를 통지/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측정 보고가 단말 디바이스가 잠재적으로 2차 반송파 상에서 충분히 서빙될 수 있음을 나타낼지라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스케줄링 요건은 기지국이 2차 반송파 상의 통신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를 할당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가 평가 기간 동안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방식이 존재한다. 일부 예시적인 접근 방식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처리의 제1 예시적 접근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에 관한 RSRP 측정치들 및 타이밍의 대응하는 일부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의 일부 양태는 도 5와 유사하고 도 5로부터 이해될 것이지만, 도 7은 상술한 원리에 따라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기간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 기간(온-기간으로 지칭될 수 있는,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을 때와 비교하여 오프-기간으로 지칭될 수 있음)은, 도 7에서 OFF로 표시되고, 시간 t-오프(반송파가 전송되는 것에서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갈 때)에서 시간 t-온(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것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갈 때)으로 연장되는 음영 블록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기간의 전체 지속 기간은 OFFTIME(즉, OFFTIME = t-온 - t-오프)이다.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RSRP 값들은 반송파가 스위칭 오프되는 시간 부근에서 현저하게 떨어지고 반송파가 다시 스위칭 온되는 시간 부근에서 다시 증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갑작스러운 천이는 일부 경우에, 반송파가 온일 때 및 오프일 때를 단말 디바이스가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즉, 반송파가 도 6에 나타낸 처리의 단계 S5에서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SRP 측정치들은 시간 t-시작 이전에 RSRP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관련 임계치 T보다 낮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시간 t-시작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RSRP 측정치들이 임계치 T보다 높게 상승했다고 식별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이벤트 평가를 시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t-종료에서 만료되는, 미리 정의된 시간-투-트리거(TTT) 지속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RSRP를 측정하는 것을 계속한다. 임계치 T 및 기간 TTT에 대한 적절한 값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의 시간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더 긴 TTT 값들을 향한 바이어스를 아마도 갖는) 종래의 측정 보고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평가 기간이 만료된 후(즉, t-종료 이후) 측정치들을 평가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가 오프되는 동안 이루어진 임의의 측정치를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RSRP 측정치들이 t-시작과 t-온 사이의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즉, t-오프와 t-종료 사이의 미리 정의된 평가 기간 TTT에서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는지)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의 접근 방식은 고정된 지속 기간 평가 기간을 이용하는 종래의 접근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 평가 기간 TTT 동안 획득된 측정치들을 무시하도록 수정된다(그래서 사실상, 도 5의 접근 방식과 비교하여 감소된 측정치들의 세트가 평가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기본적으로,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해칭된 영역에 대한 측정치들이 모두 관련 기준을 충족하면(즉, 본 예에서는 RSRP가 T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하는 측정 보고가 송신된다. 단순화를 위해 도 7의 예에서는 단 하나의 기간, 오프-기간이 나타나 있지만, TTT 평가 기간 동안 반송파가 여러 번 스위칭 온 및 오프되는 상황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처리의 제2 예시적 접근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에 관한 RSRP 측정치들 및 타이밍의 대응하는 일부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의 일부 양태는 도 7과 유사하며, 도 7에서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도 7의 접근 방식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TTT에서 실제로 고정되는 평가 기간으로 구성되는 반면, 도 8의 접근 방식에서, 평가 기간은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총 시간(들)에 상응하는 시간량만큼 실제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7의 예시적 접근 방식에서의 평가 기간(t-시작과 t-종료 사이)이 TTT에서 고정되는 반면, 도 8의 예시적 접근 방식에서의 평가 기간(t-시작과 t-종료 사이)은 오프-기간의 지속 기간에 따라 가변적이다(즉, 평가 기간 = TTT + OFFTIME).
따라서, 도 8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SRP 측정치들은 시간 t-시작 이전에 RSRP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관련 임계치 T보다 낮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시간 t-시작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RSRP 측정치들이 임계치 T보다 높게 상승했다고 식별한다.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이벤트 평가를 시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가 미리 정의된 시간-투-트리거(TTT) 지속 기간에 대응하여 전송되고 있는 측정치들의 집합을 누적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RSRP를 계속 측정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t-오프와 t-온 사이의 하나의 오프-기간에서, 평가 기간은 TTT + OFFTIME에 대응하는 지속 기간으로서 t-종료에서 만료된다. 임계치 T 및 기간 TTT에 대한 적절한 값들은 종래의 측정 보고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접근 방식에 따라 평가 기간이 만료된 후(즉, t-종료 후) 측정치들을 평가할 때, 도 7의 접근 방식에서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 오프인 동안 임의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사실상 t-오프와 t-온 사이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면서, RSRP 측정치들이 t-시작과 t-종료 사이의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해칭된 영역에 대한 측정치들이 관련 기준을 충족하면(즉, 본 예에서 RSRP가 T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하는 측정 보고가 송신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의 접근 방식은 고정된 지속 기간 평가 기간에 기초한 종래의 접근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기간 동안 TTT 타이머를 사실상 일시 정지시키고, 이벤트 평가 동안 이 기간에 이루어진 임의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오프-기간(들) 동안 RSRP 측정을 계속하는지 여부는 현재의 구현에 달렸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반송파가 언제 전송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RSRP 측정치들 자체가 이용되는 경우, 반송파가 재전송되기 시작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오프-기간 내내 RSRP 측정을 계속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반송파가 오프라는 것을 다른 소스로부터 알게 되는 경우 RSRP 측정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예시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서도 동일한 고려 사항이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도 7 및 8의 접근 방식들을 비교하면, 도 7의 접근 방식은 도 5의 종래의 접근 방식과 동일한 시간량이 걸리는 측정 이벤트 평가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접근 방식은, 관련된 측정 기준이 충족되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만 응답하여 측정 이벤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증가된 위험과 연관된다(관련 기준이, 도 5의 접근 방식에서와 같이 전체 TTT 지속 기간보다는 오히려 임의의 중첩 오프 기간보다 적은 TTT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에만 충족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도 8의 접근 방식은 미리 정의된 TTT 지속 시간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 동안 관련 기준을 충족시키도록(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측정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RSRP)를 요구하는 장점을 가지며, 이것은 관련 기준의 비교적 짧은 기간이 충족되는 것에 의해서만 측정 보고가 트리거되는 기회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접근 방식은, 프로세스가 오프-기간 동안 사실상 일시 정지되기 때문에 측정 이벤트 평가에 필요한 측정치들을 획득하는데 더 오래 걸린다(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평가 기간은, 예를 들어 반송파가 장기간 이용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고려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무기한 일시 정지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최대 임계치에 종속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처리의 제3 예시적 접근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에 관한 RSRP 측정치들 및 타이밍의 대응하는 일부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의 일부 양태는 도 7 및 도 8과 유사하고 이들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도 7의 접근 방식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TTT에서 사실상 고정되는 평가 기간으로 구성되는 반면, 도 9의 접근 방식에서 평가 기간은 가변적이다. 또한, 도 8의 접근 방식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고정 기간에 대응하는 총 시간량에 대한 측정치들을 획득하는 반면(사실상,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 TTT 타이머를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도 9의 접근 방식에서는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가변 시간량에 대한 측정치들이 획득된다. 본질적으로,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접근 방식의 각각의 장단점의 균형을 잡는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SRP 측정치들은 시간 t-시작 전에 RSRP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관련 임계치 T보다 낮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시간 t-시작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RSRP 측정치들이 임계치 T보다 높게 상승했다고 식별한다.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이벤트 평가를 시작하도록 트리거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동안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이 만료되는 이벤트 시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측정치를 획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더한 미리 정의된 고정 기간(TTT에 상응함)에 대응하는 평가 기간을 측정하는 것을 계속한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평가 기간은 t-시작에서 t-종료까지 이어지며, 여기서 t-종료는 반송파가 t-온에서 다시 전송을 시작한 후 적어도 하나의 추가 RSRP 측정치를 획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더한 t-온(또는, TTT 동안에 다수의 오프 기간이 존재하는 이벤트 시에 최신 t-온)에 대응한다. 이 측정치를 획득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평균화 정도(계층-3 필터링)가 적용되는 것을 고려하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다를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와 같이, 임계치 T 및 기간 TTT에 대한 적절한 값들은 종래의 측정 보고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9의 접근 방식에 따라 그리고 도 7 및 도 8의 접근 방식과 같이, 평가 기간이 만료된 후(즉, t-종료 후) 측정을 평가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가 오프인 동안에 이루어진 임의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사실상 t-오프과 t-온 사이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면서, RSRP 측정치들이 t-시작과 t-종료 사이의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고,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해칭된 영역에 대한 측정치들이 모두 관련 기준을 충족하면(즉, 본 예에서는 RSRP가 T를 초과하는 경우), 대응하는 측정 보고가 송신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의 접근 방식은 고정된 지속 기간 평가 기간에 기초한 종래의 접근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 TTT 타이머가 만료되면 추가 RSRP 측정을 위한 시간을 허용하도록 TTT 타이머를 연장하도록 사실상 수정될 수 있다(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벤트 평가 기간은, 예를 들어 반송파가 장기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고려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무기한 일시 정지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최대 임계치에 종속될 수 있다). 도 9의 접근 방식에서 오프 기간 동안 TTT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는 이벤트 시, 측정 이벤트 평가 프로세스는 TTT 타이머 만료시 중단될 수 있으며, 그 후 평가 보고는, 평가 기간 동안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동안 이루어진 측정치들이 관련 기준을 충족하는지(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 임의의 측정치들을 다시 무시하는지)에 기초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9의 접근 방식은 사실상, 오프-기간 이전 및 이후의 관련 파라미터의 측정의 값들 사이에서 보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예를 들어, 오프-기간이 시작되지 이전의 최신 측정치와 연속적인 온-기간이 시작된 후의 가장 빠른 측정치 사이의 간단한 선형-보간을 이용함). 이와 관련하여, 보간된 값들은, 측정 보고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때 측정된 값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관련 기준을 충족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는, T-시작과 T-종료 사이의 모든 시간으로부터의 측정되고 보간된 값들이 모두 고려될 수 있지만(즉, 모두가 관련 기준을 충족하도록 요구됨), 반면에 다른 구현에서는 T-시작과 T-시작 플러스 TTT 타이머 사이의 측정되고 보간된 값들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접근 방식을 도 7의 접근 방식과 비교하면, 도 9의 접근 방식은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는 기간 이전의 짧은 지속 기간 동안에만 관련 기준을 충족하는 측정된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측정 보고가 잘못 만들어지는 위험을 감소시키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도 9의 접근 방식이, 반송파가 오프-기간 이후에 전송을 재개하면 관련 기준이 충족되는지에 관한 추가 검사를 도입하고, 따라서 잘못된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TTT 타이머가 만료되는 오프-기간 이전에 관련 측정 기준에 대한 짧은 간헐적인 충족(sporadic brief meeting)의 기회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도 9의 접근 방식을 도 8의 접근 방식과 비교하면, 도 9의 접근 방식은, TTT 타이머가 오프-기간 동안 만료되면 하나의 추가 측정만을 대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측정 이벤트 평가를 더 빨리 완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도 9의 접근 방식은 도 7 및 도 8의 접근 방식들 사이에서 절충안을 제공하는 것으로(즉, 도 7의 접근 방식보다 잘못된 트리거링을 덜 받으며, 도 8의 접근 방식보다 적은 시간이 걸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접근 방식들은, 예를 들어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측정 이벤트 평가에 변형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며, 이것은 측정이 수행되는 반송파가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상황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넓게 요약하면, 이 접근 방식은 측정 이벤트 평가 기간 동안 관련 반송파(즉,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고 있는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고려한 것에 기초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이벤트 평가를 위한 접근 방식은 종래의 기술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논의되고 다양한 문헌(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 [1])에서 논의되고 관련 표준들(예를 들어, ETSI TS 136 331 V11.7.0 (2014-03) / 3GPP TS 36.331 version 11.7.0 Release 11 [6] for an LTE-based implementation)에 의해 정의된 것들에 일반적으로 기초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관심 있는 측정 이벤트와 관련된, 측정할 적절한 무선 특성의 선택 및 사용할 적절한 임계치,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적용된 히스테리시스의 양은 기존의 관행을 따를 수 있다.
상술한 접근 방식들은, 측정 보고의 기본 목적이 2차 다운 링크 반송파와 관련하여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해 2차(비인가된) 다운 링크 반송파를 이용할지 여부를 기지국이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예시들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할지라도, 측정 보고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LTE-U 반송파 집성 맥락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이미 하나의 2차 반송파 상에서 지원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2차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어, 통상의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단말 디바이스를 다른 2차 반송파에 스위칭할지를 결정한다. 또 다른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LTE-U 반송파 상에서 독점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구현에서(즉, LTE-U 반송파와 LTE-A 반송파를 집성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 보고는, 측정 보고가 이루어지는 LTE-U 반송파로 단말 디바이스를 핸드 오버할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핸드 오버에 대한 기지국 결정 프로세스에 관한 기본 원리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관련 측정 보고가 수신될 때 종래의 원리 및 기술을 따를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1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2차 컴포넌트 반송파의 양쪽 모두를 지원하는 단일 기지국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더 일반적으로 이들은 별개의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측 처리는, 예를 들어 하나의 기지국 또는 하나보다 많은 기지국, 및 잠재적으로 이 접근 방식이 구현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원리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 요소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측정 이벤트 평가, 및 측정 보고와 관련된 후속 의사 결정이 기초로 하는 측정 이벤트의 구체적인 속성은 중요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은 상이한 측정 이벤트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LTE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원리들은 다음과 같은 이벤트에 관해 적용될 수 있다:
이벤트 A1 - 서빙 셀(serving cell)은 임계치보다 좋아진다(대체 우수-실행 셀(alternative better-performing cell)을 찾는 서빙 셀의 프로세스를 정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음);
이벤트 A2 - 서빙은 임계치보다 나빠진다(대체 우수-실행 셀을 찾는 서빙 셀의 프로세스를 시작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
이벤트 A3 - 인접 셀은 서빙 셀보다 좋아지고, 또는 이벤트 A4 - 인접 셀은 임계치보다 좋아지고, 또는 이벤트 A5 - 서빙 셀은 제1 임계치보다 나빠지고 인접 셀은 제2 임계치보다 우수해지고, 또는 이벤트 A6 - 인접 셀은 2차 셀보다 우수하게 오프셋된다(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반송파의 핸드 오버 또는 활성화 / 비활성화에 대한 결정에 사용될 수 있음).
이벤트 B1 - 인터 RAT(radio access technology) 인접 셀은 임계치보다 좋아지고, 또는 이벤트 B2 - 서빙 셀은 제1 임계치보다 나빠지고, 인터 RAT 인접 셀은 제2 임계치보다 좋아진다(둘 중 어느 하나는 상이한 동작 기술들 간의 핸드 오버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
전술된 원리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2차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해 행정적 인가를 요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무선 통신 시스템이 독점적 제어를 갖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들과의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즉, 용어 "비인가된(unlicensed)"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 독점적 액세스를 갖지 않는 대역에서의 동작을 지칭하기 위해 여기서 편의상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많은 구현에서 이것은 인가 면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이 동작은, 엄격한 행정적 의미에서는 비인가된 것이 아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무선/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예를 들어, LTE-기반, 와이파이 기반 및/또는 블루투스-기반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동일한 기술(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LTE-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네트워크들에 의한 공유된/기회주의적 이용에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과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자원들이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비인가된"은 흔히 이러한 타입들의 주파수 대역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일부 배치 시나리오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영자가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해 행정적 인가를 보유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설명되었다. 상기 방법은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여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같은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은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획득된다.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도 확립된다.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 여부는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하여 평가된다. 측정 보고는 평가의 결과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한 바람직한 양태들이 첨부된 독립항 및 종속항들에서 개시된다. 종속항의 피처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개시된 것 이외의 조합들로 독립항들의 피처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논의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설명할 뿐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은 그 사상이나 본질적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뿐만 아니라 다른 청구항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교시의 임의의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변형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은 어떠한 발명의 주제도 대중에게 전용되지 않도록 상기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피처들은 이하의 넘버링된 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1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는 단계;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는 단계;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항. 1항의 방법에서, 평가 기간은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을 갖는다.
3항. 2항의 방법에서,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관계없이,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항. 1항의 방법에서, 평가 기간은,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총 지속 기간이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5항. 4항의 방법에서,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관계없이,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6항. 1항의 방법에서, 평가 기간은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에 기초하고,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이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의 시간에 만료되면, 평가 기간은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평가 기간은 이러한 경우에 다운 링크 반송파가 다시 전송되기 시작할 때까지 연장되어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의 만료 후에 다운 링크 반송파가 다시 전송될 때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7항. 6항의 방법에서,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관계없이,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8항. 6항 또는 7항의 방법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을 때 획득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로부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시간에 대한 측정된 파라미터에 대한 값을 보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파라미터의 측정치들, 및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의 만료 전의 보간된 값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9항.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은 파라미터의 복수의 관측치(observation)의 평균들을 포함한다.
10항.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들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는 다운 링크 반송파 상에서 전송된 기준 시그널링으로부터 결정된다.
11항. 10항의 방법에서, 파라미터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의 표시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의 표시를 포함한다.
12항.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정도는, 단말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반송파를 검출할 수 없을 때의 시간을 평가 기간 중에서 결정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된다.
13항. 12항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정의된 임계 기간보다 더 긴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를 검출할 수 없는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측정 이벤트 평가를 중단하고 다운 링크 반송파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4항. 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는,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에서의 변화 레이트가 임계량을 초과할 때를 결정함으로써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지의 여부에서 변화들이 있을 때를 결정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된다.
15항.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정도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는 미리 정의된 스케줄로부터 확립된다.
16항.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는 단계는,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고 있는 오프-기간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할 때 오프-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임의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7항. 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시간 동안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에 기초한다.
18항. 1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은,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로부터,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해야 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9항. 1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은,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로부터,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되는 경우,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0항.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에 기초한다.
21항. 1항 내지 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 상에서 동작하는 1차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와 다운 링크 통신을 하고,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는 다운 링크 반송파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이다.
22항. 21항의 방법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공유되는 무선 자원을 포함한다.
23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기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은,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고;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고;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고,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고;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고; 평가 기간 동안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평가 기간 동안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참조문헌
[1] Holma H. and Toskala A,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John Wiley and Sons, 2009
[2] ETSI TS 136 211 V11.5.0 (2014-01) / 3GPP TS 36.211 version 11.5.0 Release 11
[3] ETSI TS 136 212 V11.4.0 (2014-01) / 3GPP TS 36.212 version 11.4.0 Release 11
[4] ETSI TS 136 213 V11.6.0 (2014-03) / 3GPP TS 36.213 version 11.6.0 Release 11
[5] ETSI TS 136 321 V11.5.0 (2014-03) / 3GPP TS 36.321 version 11.5.0 Release 11
[6] ETSI TS 136 331 V11.7.0 (2014-03) / 3GPP TS 36.331 version 11.7.0 Release 11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measurements)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network infrastructure equipment)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 상에서 동작하는 1차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와 다운 링크 통신을 하고, 상기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공유되는 무선 자원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기간은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을 갖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상기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기간은,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총 지속 기간(aggregate duration)이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을 포함하도록 선택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상기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기간은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에 기초하고,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을 때의 시간에 상기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평가 기간은 상기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평가 기간은 그러한 경우에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다시 전송되기 시작할 때까지 연장되어 상기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의 만료 이후에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다시 전송될 때 상기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허용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이 상기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을 때 획득된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로부터,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고 있을 때의 시간에 대한 상기 측정된 파라미터에 대한 값들을 보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측정 보고를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을 때의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 및 상기 미리 정의된 고정된 지속 기간의 만료 전의 보간된 값들이 트리거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정도는,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에서의 변화 레이트가 임계량을 초과할 때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지의 여부에서 변화들이 있을 때를 결정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되는 방법.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지 않고 있는 오프-기간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할 때 상기 오프-기간 동안 상기 파라미터의 임의의 측정치들을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상기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전송되고 있는 시간 동안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는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상기 측정 이벤트 평가가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는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기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유닛 및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고;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고;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 상에서 동작하는 1차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와 다운 링크 통신을 하고, 상기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공유되는 무선 자원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운 링크 반송파에 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이벤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이벤트 평가가 시작 시간부터 착수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시작 시간에서 시작하는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무선 채널 상태와 연관된 파라미터의 측정치들을 획득하고;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를 확립하고;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파라미터의 측정치들과, 상기 평가 기간 동안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가 전송되고 있는 정도의 양쪽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에 송신할지를 평가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 상에서 동작하는 1차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와 다운 링크 통신을 하고, 상기 측정 이벤트 평가가 수행되는 상기 다운 링크 반송파는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과 공유되는 무선 자원을 포함하는 회로.
KR1020177000891A 2014-07-16 2015-07-02 비인가 반송파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392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7234 2014-07-16
EP14177234.3 2014-07-16
PCT/EP2015/065066 WO2016008730A1 (en) 2014-07-16 2015-07-02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asurements of an unlicensed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94A KR20170032294A (ko) 2017-03-22
KR102392524B1 true KR102392524B1 (ko) 2022-04-29

Family

ID=5121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891A KR102392524B1 (ko) 2014-07-16 2015-07-02 비인가 반송파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6345B2 (ko)
EP (2) EP3806541B1 (ko)
KR (1) KR102392524B1 (ko)
CN (1) CN106664634B (ko)
TW (1) TWI692259B (ko)
WO (1) WO2016008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7369A (ja) * 2015-06-26 2017-01-1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US10390245B2 (en) * 2015-09-25 2019-08-20 Motorola Mobility Llc Enhanced measur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US10834744B2 (en) 2017-05-18 2020-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13236A4 (en) * 2017-06-27 2020-03-04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S
US10349429B1 (en) * 2017-12-17 2019-07-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redir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RU2022107239A (ru) * 2018-03-09 2022-04-04 АйПиКОМ ГМБХ УНД КО.КГ Управление связью в отличной от назем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WO2020030712A1 (en) * 2018-08-08 2020-02-13 Sony Corporation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US11147123B2 (en) 2019-01-29 2021-10-12 Apple Inc. V2X resource map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with unicast/groupcast services
EP3925309A1 (en) * 2019-02-14 2021-12-22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system and methods
KR20210007356A (ko) 2019-07-11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된 신호 처리 장치
CA3151676A1 (en) * 2019-08-17 2021-02-25 Zte Corporation Signaling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in power-saving modes
CN110602776B (zh) * 2019-09-30 2021-10-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直连链路的参考信号接收功率rsrp测量方法及装置
US11973548B2 (en) 2022-02-03 2024-04-30 T-Mobile Usa, Inc. Adjus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17795889A (zh) * 2022-07-29 2024-03-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测量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999A1 (en) * 2011-10-26 2013-05-02 Renesas Mobile Corporation Flexible measurements in unlicensed ban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6489A1 (en) * 2011-03-01 2012-09-07 Renesas Mobile Corporation Operating a wireless system in an unlicensed band
WO2013052805A1 (en) 2011-10-07 2013-04-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ing carrier aggregation
WO2013071488A1 (en) * 2011-11-15 2013-05-23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nlicensed carrier adaptation
US9485683B2 (en) * 2012-05-31 2016-1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ns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in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operating over license exempt bands
US9713027B2 (en) * 2012-07-20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JP6096142B2 (ja) * 2013-08-08 2017-03-1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50189523A1 (en) * 2013-12-27 2015-07-02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999A1 (en) * 2011-10-26 2013-05-02 Renesas Mobile Corporation Flexible measurements in unlicensed ban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6.331 V12.2.0, RRC (Release12) (2014.07.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8730A1 (en) 2016-01-21
TW201613385A (en) 2016-04-01
EP3170340A1 (en) 2017-05-24
CN106664634B (zh) 2020-12-22
EP3170340B1 (en) 2020-12-30
EP3806541A1 (en) 2021-04-14
US11146345B2 (en) 2021-10-12
CN106664634A (zh) 2017-05-10
US20170093508A1 (en) 2017-03-30
EP3806541B1 (en) 2023-02-22
TWI692259B (zh) 2020-04-21
KR20170032294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524B1 (ko) 비인가 반송파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US11463896B2 (en)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circuitry for estimating an occupancy level of a shared channel
US11706745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1671841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1350426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0820226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measurements from a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