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435B1 -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 Google Patents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435B1
KR102392435B1 KR1020210019867A KR20210019867A KR102392435B1 KR 102392435 B1 KR102392435 B1 KR 102392435B1 KR 1020210019867 A KR1020210019867 A KR 1020210019867A KR 20210019867 A KR20210019867 A KR 20210019867A KR 102392435 B1 KR102392435 B1 KR 10239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groove
sealer
hol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동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조명동
(주)댐코씨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동, (주)댐코씨에스아이 filed Critical 조명동
Priority to KR102021001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패널부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부에 방수/방진 구조를 적용하여 패널부로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패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는 조합형 프레임으로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횡 프레임 바, 횡 프레임 바의 단부에 접하도록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종 프레임 바, 및 횡 프레임 바와 종 프레임 바 사이에 수용되어 횡 프레임 바와 종 프레임 바 사이의 계면을 기밀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횡 프레임 바와 종 프레임 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Efficient waterproof/dustproof structure in combination frame}
본 발명은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에 과한 것이다.
야외 환경에 노출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습한 환경 및 물에 의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내구성 및 운용 안정성을 위해서는 충분한 방수 구조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방수 및 방진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습기 및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제품에 손상을 주거나, 바람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패널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패널부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부는 복수의 프레임 바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에 복수의 프레임 바들이 서로 연결된 부위의 틈으로 습기 및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회로가 손상되거나, 패널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수의 프레임 바들이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별도의 방진 구조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레임 바들의 연결부위가 점차 벌어지게 됨은 물론, 프레임 바들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지 못하고 패널부에 전달되어 패널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부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부에 방수/방진 구조를 적용하여 패널부로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패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는 조합형 프레임으로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횡 프레임 바; 상기 횡 프레임 바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종 프레임 바; 및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 사이의 계면을 기밀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실러(sealer)를 포함한다.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 사이에는 상기 실러가 수용되는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따라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 사이에는 상기 실링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3 방향의 평면상에서 상기 실링홈에 비해 더 큰 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수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실링홈의 일 측을 폐쇄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에 압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스토퍼 바디; 및 상기 스토퍼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토퍼 바디가 상기 수용홈에 압입될 경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는, 상호 결합 시 상기 실링홈을 형성하는 제1 홈부; 상호 결합 시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제2 홈부; 및 상호 결합 시 상기 실링홈을 중심으로 상기 실링홈의 일 측에 제1 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홈의 타 측에 제2 계면을 형성하는 경사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실러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1 홈 형성면;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실러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2 홈 형성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실러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3 홈 형성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1 홈 형성면;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2 홈 형성면;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3 홈 형성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는, 제1 관통홀; 상기 제1 관통홀에 연통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은 상기 횡 프레임 바의 제1 관통홀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종 프레임 바의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ㄱ'형상의 제1 연결 브라켓; 일 측은 상기 횡 프레임 바의 제2 관통홀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종 프레임 바의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ㄱ'형상의 제2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브라켓과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 프레임 바와, 상기 종 프레임 바는, 상기 경사 지지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외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외부 경사면; 및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경사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기 외부 경사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계면의 단부를 기밀하도록 구성되는 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레임 바들이 접하는 조합형 프레임의 코너에 실링홈을 형성하고, 실링홈에 실러를 배치하여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 바들 사이의 계면을 기밀하면서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 바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외부로부터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패널부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패널부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형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형 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러와 스토퍼가 분리된 조합형 프레임의 코너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의 수용홈에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의 횡 프레임 바의 일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들에 의해 횡프레임 바와 종 프레임 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결합홈에 범퍼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10)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1)에 마련될 수 있다.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과, 패널부와, 방열팬(미도시)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패널부 및 방열팬과 결합되어, 패널부 및 방열팬을 지지하고, 패널부 및 방열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은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되는 조합형 프레임(10)과, 후방에 배치되는 미드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형 프레임(10)은 전방과 후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패널부가 수용될 수 있다.
조합형 프레임(10)은 패널부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조합형 프레임(10)은 내부에 수용된 패널부의 둘레를 감싸 지지할 수 있다.
미드커버는 조합형 프레임(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조합형 프레임(10)의 개구된 후방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미드커버는 조합형 프레임(10)에 수용된 패널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조합형 프레임(10)의 후면에 결합된 미드커버는 패널부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합형 프레임(10)과 미드커버의 결합부위에는 방수 및 방진을 위한 탄성체 재질의 기밀재가 압입될 수 있다.
외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 미드커버의 후면에는 방열팬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미드커버의 후면에는 미드커버보다 작은 평면적을 가지는 보조커버(미도시)와. 보조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보드(미도시)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백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는 외부로 노출된 미드커버의 후면에 결합되고, 방열팬을 내부에 수용하여 방열팬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는 일 측이 개구된 상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백커버는 미드커버의 후방공간과 외부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패널부는 하우징에 수용되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에서 입력된 전기적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부는 액정모듈은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의 단부에 연결되어 액정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회로부와, 액정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액정패널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유닛과,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확산시켜주는 광학부와,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팬은 하우징에 설치되어 패널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패널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패널부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분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형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형 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합형 프레임(1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횡 프레임 바(11A)와, 횡 프레임 바들(11A)의 양 단부에 접하도록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종 프레임 바(11B)를 포함한다.
또한, 조합형 프레임(10)은 실러(12)(sealer)를 포함한다.
실러(12)는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 사이에 수용된다. 그리고, 실러(12)는 상호 연결된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 사이의 계면을 기밀한다. 그리고, 실러(12)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예를 들어, 실러(12)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러와 스토퍼가 분리된 조합형 프레임의 코너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합형 프레임(10)은 실러(12)가 수용되는 실링홈(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홈(13)은 계면을 형성하는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다른 제3 방향(D3)을 따라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홈(13)은 실러(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실링홈(13)은 실러(12)가 압입될 수 있도록 실러(12)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의 수용홈에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합형 프레임(10)은 수용홈(14)과, 수용홈(14)에 결합되는 스토퍼(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4)은 계면을 형성하는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 사이에 형성되고, 실링홈(13)과 연통될 수 있다.
수용홈(14)은 제3 방향(D3)의 평면상에서 실링홈(13)에 비해 더 큰 면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수용홈(14)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제1 개구부(141)와, 제2 개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는 수용홈(14)에 삽입되어 실링홈(13)의 일 측을 폐쇄할 수 있다.
수용홈(14)에 삽입된 스토퍼(15)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15)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고, 수용홈(14)에 압입되어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15)는 스토퍼 바디(151)와, 파지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바디(151)는 수용홈(14)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바디(151)는 수용홈(14)에 형성된 제1 개구부(141)를 통해 수용홈(14)에 압입되거나, 수용홈(1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파지돌기(152)는 스토퍼 바디(15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스토퍼 바디(151)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파지돌기(152)는 스토퍼 바디(151)가 수용홈(14)에 압입될 경우 수용홈(14)에 형성된 제2 개구부(142)를 통해 수용홈(14)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파지돌기(152)를 파지한 상태로 스토퍼 바디(151)를 수용홈(14)에 압입하거나, 수용홈(1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형 프레임의 횡 프레임 바의 일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횡 프레임 바(11A)와, 복수의 종 프레임 바(11B)는 제1 홈부(111), 제2 홈부(112) 및 경사 지지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복수의 횡 프레임 바(11A)와, 복수의 종 프레임 바(11B)는 길이에만 차이가 있을 뿐,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횡 프레임 바(11A)와, 복수의 종 프레임 바(11B)는, 상호 결합 시 실링홈(13)을 형성하는 제1 홈부(111)와, 상호 결합 시 수용홈(14)을 형성하는 제2 홈부(112)와, 상호 결합 시 실링홈(13)을 중심으로 실링홈(13)의 일 측에 제1 계면(113A)을 형성하고, 실링홈(13)의 타 측에 제2 계면(113B)을 형성하는 경사 지지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홈 형성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부(111)는 제2 방향(D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방향(D1)으로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1 홈 형성면(111A)과,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방향(D2)으로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2 홈 형성면(111B)과, 제3 방향(D3)으로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3 홈 형성면(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부(112)는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홈 형성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홈부(112)는 제2 방향(D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방향(D1)으로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1 홈 형성면(112A)과,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방향(D2)으로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2 홈 형성면(112B)과, 제3 방향(D3)으로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3 홈 형성면(112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는 관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는 제1 관통홀(114), 제1 관통홀(114)에 연통되는 제2 관통홀(115) 및 제1 관통홀(114)과 연통되는 체결홀(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들에 의해 횡프레임 바와 종 프레임 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합형 프레임(10)은 제1 연결 브라켓(16), 제2 연결 브라켓(17) 및 체결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브라켓(16)은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브라켓(16)의 일 측은 횡 프레임 바(11A)의 제1 관통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브라켓(16)의 타 측은 종 프레임 바(11B)의 제1 관통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 브라켓(16)은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를 직교상태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브라켓(17)은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브라켓(17)의 일 측은 횡 프레임 바(11A)의 제2 관통홀(11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브라켓(17)의 타 측은 종 프레임 바(11B)의 제2 관통홀(115)에 삽입되어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체결부재(18)는 복수로 마련되고, 체결홀(116)을 관통하여 제1 연결 브라켓(16)과 체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결합홈에 범퍼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횡 프레임 바(11A)와, 종 프레임 바(11B)는 경사 지지면(11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외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외부 경사면(117)과, 제3 방향(D3)을 따라 외부 경사면(117)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홈(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합형 프레임(10)은 범퍼(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범퍼(19)는 슬라이드 결합홈(118)에 대응되는 레일(19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범퍼(19)는 레일(191)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홈(118)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외부 경사면(117)에 밀착되어 제1 계면(113A)의 단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밀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레임 바들(11A, 11B)이 접하는 조합형 프레임(10)의 코너에 실링홈(13)을 형성하고, 실링홈(13)에 실러(12)를 배치하여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 바들(11A, 11B) 사이의 계면을 기밀하면서 상호 연결되는 프레임 바들(11A, 11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외부로부터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패널부(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패널부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조합형 프레임 11A. 횡 프레임 바
11B. 종 프레임 바 111. 제1 홈부
111A. 제1-1 홈 형성면 111B. 제1-2 홈 형성면
111C. 제1-3 홈 형성면 112. 제2 홈부
112A. 제2-1 홈 형성면 112B. 제2-2 홈 형성면
112C. 제2-3 홈 형성면 113. 경사 지지면
113A. 제1 계면 113B. 제2 계면
114. 제1 관통홀 115. 제2 관통홀
116. 체결홀 117. 외부 경사면
118. 슬라이드 결합홈 12. 실러
13. 실링홈 14. 수용홈
141. 제1 개구부 142. 제2 개구부
15. 스토퍼 151. 스토퍼 바디
152. 파지돌기 16. 제1 연결 브라켓
17. 제2 연결 브라켓 18. 체결부재
19. 범퍼 191. 레일

Claims (8)

  1.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1)에 마련되는 조합형 프레임(10)으로서,
    제1 방향(D1)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횡 프레임 바(11A);
    상기 횡 프레임 바(11A)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종 프레임 바(11B); 및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 사이의 계면을 기밀하고,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실러(12)(sealer)를 포함하며,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 사이에는 상기 실러(12)가 수용되는 실링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13)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다른 제3 방향(D3)을 따라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 사이에는 상기 실링홈(13)과 연통되고, 상기 제3 방향(D3)의 평면상에서 상기 실링홈(13)에 비해 더 큰 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제1 개구부(141)와, 제2 개구부(142)를 포함하는 수용홈(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4)에 삽입되어 상기 실링홈(13)의 일 측을 폐쇄하고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5)는,
    상기 수용홈(14)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141)를 통해 상기 수용홈(14)에 압입되거나 상기 수용홈(14)으로부터 분리되는 스토퍼 바디(151), 및
    상기 스토퍼 바디(15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토퍼 바디(151)가 상기 수용홈(14)에 압입될 경우 상기 제2 개구부(142)를 통해 상기 수용홈(14)의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돌기(152)를 포함하며,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는,
    상호 결합 시 상기 실링홈(13)을 형성하는 제1 홈부(111),
    상호 결합 시 상기 수용홈(14)을 형성하는 제2 홈부(112), 및
    상호 결합 시 상기 실링홈(13)을 중심으로 상기 실링홈(13)의 일 측에 제1 계면(113A)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홈(13)의 타 측에 제2 계면(113B)을 형성하는 경사 지지면(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부(111)는,
    상기 제2 방향(D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1 홈 형성면(111A),
    상기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상기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2 홈 형성면(111B), 및
    상기 제3 방향(D3)으로 상기 실러(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1-3 홈 형성면(111C)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부(112)는,
    상기 제2 방향(D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1 홈 형성면(112A),
    상기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상기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2 홈 형성면(112B), 및
    상기 제3 방향(D3)으로 상기 스토퍼 바디(15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2-3 홈 형성면(112C)을 포함하며,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는,
    제1 관통홀(114),
    상기 제1 관통홀(114)에 연통되는 제2 관통홀(115), 및
    상기 제1 관통홀(114)과 연통되는 체결홀(116)을 더 포함하고,
    일 측은 상기 횡 프레임 바(11A)의 제1 관통홀(114)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종 프레임 바(11B)의 제1 관통홀(114)에 삽입되어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ㄱ'형상의 제1 연결 브라켓(16),
    일 측은 상기 횡 프레임 바(11A)의 제2 관통홀(115)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종 프레임 바(11B)의 제2 관통홀(115)에 삽입되어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ㄱ'형상의 제2 연결 브라켓(17),
    및 상기 체결홀(116)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브라켓(16)과 체결되는 체결부재(18)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횡 프레임 바(11A)와 상기 종 프레임 바(11B)는,
    상기 경사 지지면(11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외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외부 경사면(117),
    및 상기 제3 방향(D3)을 따라 상기 외부 경사면(117)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홈(1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18)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기 외부 경사면(117)에 밀착되어 상기 제1 계면(113A)의 단부를 기밀하도록 구성되는 범퍼(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홈(13)은 실러(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실링홈(13)은 실러(12)가 압입될 수 있도록 실러(12)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으며,
    상기 범퍼(19)는 슬라이드 결합홈(118)에 대응되는 레일(191)을 구비하고,
    상기 범퍼(19)는 레일(191)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홈(118)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프레임(10)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19867A 2021-02-15 2021-02-15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KR102392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67A KR102392435B1 (ko) 2021-02-15 2021-02-15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67A KR102392435B1 (ko) 2021-02-15 2021-02-15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435B1 true KR102392435B1 (ko) 2022-04-29

Family

ID=8142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867A KR102392435B1 (ko) 2021-02-15 2021-02-15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69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34443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7415A (ja) * 2003-06-24 2005-01-20 Sharp Corp 保護板付き表示装置
KR20130109086A (ko) * 2013-09-26 2013-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464638B1 (ko) * 2013-04-02 2014-11-24 주식회사 서울엘이디 Led 전광판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7415A (ja) * 2003-06-24 2005-01-20 Sharp Corp 保護板付き表示装置
KR101464638B1 (ko) * 2013-04-02 2014-11-24 주식회사 서울엘이디 Led 전광판용 프레임
KR20130109086A (ko) * 2013-09-26 2013-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69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34443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435B1 (ko) 조합형 프레임에서의 효율적인 방수/방진 구조
US6046785A (en) Attachment structure of light guide to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193969B1 (ko) 전자 기기의 lcd 패널 보유 지지 구조
KR100678799B1 (ko)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 모듈용 백라이트
US6094342A (en) Disk drive jacket
KR101377005B1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US20060187644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H05333362A (ja) 機器の表示装置
KR20070103294A (ko) 액정표시장치
US5075824A (en) LCD/light wedge module
KR101264678B1 (ko) 액정표시모듈
KR100280891B1 (ko) 액정표시장치 케이스
CN210722258U (zh) 一种显示设备
US9535286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10081577A (ko) 액정표시장치모듈의 포장컨테이너
KR2007004851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319204B1 (ko) 엘시디모듈및이를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2007017404A (ja) 表示パネル用接続ケーブルの保護構造及び車両用計器の組付方法
KR100524488B1 (ko) Lcd 모듈 고정 케이스
KR102480067B1 (ko) 팬을 이용한 냉각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6857B1 (ko) 브라켓에 의해 몰드 프레임과 베젤이 결합한 액정표시모듈
US2014002894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Module, and Backboard Structure
KR20080038891A (ko)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CN210928370U (zh) 外壳组件
KR100920121B1 (ko) 액정표시장치 몰드 프레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