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70B1 - Opt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Optical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2370B1 KR102392370B1 KR1020170133746A KR20170133746A KR102392370B1 KR 102392370 B1 KR102392370 B1 KR 102392370B1 KR 1020170133746 A KR1020170133746 A KR 1020170133746A KR 20170133746 A KR20170133746 A KR 20170133746A KR 102392370 B1 KR102392370 B1 KR 102392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transmission cable
- optical transmission
- receptacle
- optica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는 광소자,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덮도록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광소자는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과 수직하도록 기판에 결합되고,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광전송케이블 또는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경사부재는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광소자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광전송케이블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evice coupled to a substrate, a control devic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device, a receptacle assembly coupled to the substrate to cover the optical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assembly. a plug assembly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wherein the optical device is coupled to the substrate such that a traveling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s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he receptacle assembly includes a receptacle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and an inclined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wherein the inclined member advances some of the optical signals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device, or It relates to an optical connector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of a receptacle body so that some of the optical signals passing through it can proce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파이버 등과 같은 광전송케이블을 이용하여 손실없이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onnector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without loss using an optical transmission cable such as an optical fiber.
최근의 전자기기는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고속화, 집적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게임기,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Recently, electronic devices are progressing with high performance, high speed, integration, miniaturization, and thinnes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 a smartphone, a smart TV, a computer, a tablet PC, a display,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 MP3 player, a game machine, and a navigation device.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는 기기 내 보드 간에 고화질, 3D 영상 콘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감쇄,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이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Recent electronic device trends require high-quality,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such as high-definition and 3D image content between boards within devices, and accordingly, signal attenuation, noise,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and miniaturization of connection wiring, etc. This is emerging as a big issue.
일반적으로, 기기 내 데이터 전송에 있어 구리 기반의 배선, 즉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최근의 전자기기 트렌드에 부합한 각종 기술적 이슈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In general, a copper-based wiring, that is, an electrical connector,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device. However, copper wiring not only does not satisfy the need for high-speed transmission of large-capacity data, but also fails to solve various technical issues in line with the recent electronic device trend mentioned above.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에 광 배선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광 배선은 수십 채널의 병렬 전기 신호 라인을 직렬 광신호 라인으로 대체하여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노이즈,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연결배선 소형화 등의 기술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s a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optical wiring technology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hat is, optical wiring replaces tens of channels of parallel electrical signal lines with serial optical signal lines to enable high-speed transmission of large-capacity data, and eliminates technical problems such as noise, EMI/EMC, Impedance Matching, Cross Talk, Skew, and miniaturization of connection wiring. can solve
일반적으로, 광신호 라인과 기기 내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광전 변환 기능을 갖춘 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기 내 보드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광커넥터는, 광소자 및 광전송케이블이 정렬된 상태에 따라 광신호 전송의 효율이 민감하게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an optical connector having a photoelectric conversion function is used to connect an optical signal line and a board in a device.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receptacle assembly mounted on a board in a device and a plug assembly fasten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is sensi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optical element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re align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 광소자 및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전송 효율을 개선한 광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atisfy the above needs, and to provide an opt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ransmission efficiency of optical signals through optical devices and optical transmission cabl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device coupled to a substrate, a control devic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device, a receptacle assembly coupled to the substrate to cover the optical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and and a plug assembly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 element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such that a traveling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element is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ptacle assembly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ptacle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n inclined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상기 광소자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member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vances a part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device side, or transmits some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other than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side. It may b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so as to advance in th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device coupled to a substrate, a control devic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device, and coupled to the substrate to cover the optical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and a plug assembly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assembly to be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 element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substrate so that a traveling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element is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ptacle assembly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acle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n inclined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들에 대해 제1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member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s,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and is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집광부재를 통해 광소자 및 광전송케이블의 광신호를 집광하여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집광부재에 의해 집중된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일부 분산시킴으로써 광소자에 실장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광커넥터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광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optical signal transmission by condensing the optical signal of the optical device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member, while partially dispersing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concentrated by the light collecting member, even when a mounting error occurs in the optical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in which the optical connector can operate normally.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광전송케이블의 광신호 중 리셉터클 어셈블리 내부에서 맴돌 수 있는 광신호는 외부로 방사시킴으로써 전달되는 광신호의 지연을 방지하고 광신호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lay of the transmitted optical signal and improve the accuracy of optical signal transmission by radiating the optical signal that can revolve inside the receptacle assembly among the optical signals of the optical device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광커넥터를 패키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판에 패키지된 광커넥터를 실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optical connector in the form of a packag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packaged optical connector on a substrate desir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플러그 어셈블리 사이에 광전송케이블을 구비하고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플러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광전송케이블을 지지함으로써, 광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로 구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optical transmission cable between the receptacle assembly and the plug assembly and supporting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using the receptacle assembly and the plug assembly, the optical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and reduced in size.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 어셈블리가 수납홈을 통해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an opt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while the plug assembly is accommodated inside the receptacle assembly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miniaturization and low-profile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reby improving versatility applicable to miniaturized electronic devices. .
또한, 본 발명은 광소자 및 제어 소자를 기판 상의 밀폐된 수납홈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 and the control element can be accommodated in a sealed receiving groove on the substrate to protect it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광소자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erformance by preventing the optical alignment between the optical element and the receptacle assembly from being misaligned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vibration or shak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투명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가 기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플러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경사부재 및 제1집광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 및 광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제2집광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제2집광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제2집광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경사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 및 광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a에 따른 제1집광부재를 적용함에 따라 광소자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강도를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의 강도와 개략적으로 비교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접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도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ptacle assembly is coupled to the substrate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chematic front views of a receptacle assembly in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ptacle assembly is coupled to the substrate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schematic front views of a plug assembly in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lug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assembly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12A and 12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and optical path of the inclined member and the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of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A and 13B are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of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4A and 14B are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of a receptacle assembly in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of a receptacle assembly in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to 16D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and an optical pa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clined member of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comparing the intensity of an optical signal propagating to an optical device with the intensity of an optical sig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according to FIG. 16A is applied;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member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in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전자기기 내 또는 전자기기 간에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유에스비 케이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적용될 수 있다.1 to 2, 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기판(10)에 결합되는 광소자(11),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12),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광소자(11)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기판(10)의 밑면에서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는 상기 제어 소자(1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와이어본딩에 의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는 직접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10)에 형성된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어느 하나의 패드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Flip Chip) 공정을 통해 타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도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소자(11)는 패드에 접속되기 위한 패턴이 상기 광소자(11)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기판(10)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광소자(11)는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 소자(12)는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거나,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모두 플립 칩 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ither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직접 접속되지 않고 패드들 및 패드들을 연결하는 도파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를 줄여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소자(12)의 높이가 상기 광소자(11)의 높이에 비해서 높을 경우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됨에 따라 본딩 와이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제어 소자(12)에 직접 접속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패드에 접속되는 본 발명에 비해서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본딩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길어질 경우 진동,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본딩 와이어가 단선될 위험이 증가하고 재료 증가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패드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본딩 와이어의 높이를 낮추어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고,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료 절감을 통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송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a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수신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는 포토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과 같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광소자(11)는 멀티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상기 광소자(11)를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반대쪽에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소자(12)는 드라이버 아이씨(Driver-IC)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21,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다.Th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삽입홈(21)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2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한다.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삽입홈(21)에 의해 상면(201)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삽입홈(21)을 향하도록 배치된 내측벽(202, 도 2에 도시됨), 및 외부를 향하게 배치된 외측벽(203,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을 통해 상기 내측벽(20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밑면(204,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고,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2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플러그본체(3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광전송케이블(100, 도 1에 도시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1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에 삽입된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및 상기 플러그본체(30)에는 복수개의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다.An optical transmission cable 100 (shown in FIG. 1 ) may be inserted into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제1지지홈(20a,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된 제2지지홈(30a,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下面)을 의미하고, 상기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上面)을 의미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사이에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만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를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광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만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하는 비교예 대비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only the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끼움부재(2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 the
상기 끼움부재(22)는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삽입홈(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끼움부재(22)는 상기 삽입홈(21)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는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끼움부재(2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결합홈(3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삽입홈(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下面)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은 제3축방향(Z축 방향, 도 3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The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기 결합홈(31)에 상기 끼움부재(2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끼움부재(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홈(31)은 단면이 원의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끼움부재(22)가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이면, 원기둥 형태 이외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the
상기 끼움부재(22)는 상기 삽입홈(21)의 상면(上面)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홈(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기 끼움부재(22)가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는 X-Y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상기 수납홈(21)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끼움부재(22)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끼움부재(2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끼움부재(22)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도 상기 결합홈(3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들은 상기 끼움부재(22)들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제1끼움부재(22a) 및 제2끼움부재(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된 길이(22aL, 도 5에 도시됨)는 상기 제2끼움부재(22b)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된 길이(22bL, 도 5에 도시됨)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5, the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수납홈(2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어 소자(12)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홈(23)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하면(下面)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되도록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덮으면서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판(10)은 공기 배출공(13,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X축 및 Y축으로 형성되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23)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를 형성하는 열 경화 과정 등에서 밀폐된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여 폭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광커넥터(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광커넥터(1)를 밀봉할 수 있는데,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다.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공기 배출공(13)을 통해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을 둘러싸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을 둘러싼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배출공(13)은 상기 수납홈(23)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기판(10)은 상기 공기 배출공(1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를 통한 고속 광처리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공기 배출공(13)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 중 적어도 하나가 와이어본딩을 통해 상기 기판(10)에 접속된 경우, 상기 공기 배출공(13)들은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에서 발생한 열이 하부의 공기 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됨으로써,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정렬부재(2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The
즉,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단면의 넓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정렬부재(2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정렬홈(14,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정렬부재(2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4)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수납홈(23)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1)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정렬부재(24)는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를 상기 기판(10) 상의 밀폐된 상기 수납홈(23) 내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First, in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X-Y 평면 상에 상기 광소자(1)와 상기 정렬홈(14)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홈(14)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도 4a, 도 4b,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지지홈(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2지지홈(30a)을 포함할 수 있다.4A, 4B, 8A and 8B , the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일면에 반대되는 면이다. 상기 일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을 의미하고, 상기 타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21)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홈(2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홈(3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 the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홈(2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3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홈(30a)은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Accordingly,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된 제1지지홈(20a)과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에 형성된 제2지지홈(30a)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양면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소형화 및 저배화 구현이 가능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홈(2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제작 공차 발생에 따른 불량률을 낮추고, 상기 제2지지홈(3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Seco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홈(2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 전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없어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에서 상기 제1지지홈(20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불량률을 낮추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지지홈(2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하면 전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지지홈(30a)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면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결합홈(31) 및 제1고정부(33,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끼움부재(2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 및 상기 결합홈(3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22)들은 상기 제1끼움부재(22a)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22aL)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 보다 짧은 길이(22bL)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고정부(33)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된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 보다 짧은 길이(22bL)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고정부(33)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33)는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에 상기 제2끼움부재(22b)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31)에 에폭시를 도포하고 경화함으로써 상기 제2끼움부재(22b)가 경화된 제1고정부(33)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상기 제1끼움부재(22a)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 및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은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33)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삽입된 결합홈(31)들에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결합홈(31)의 깊이 보다 짧은 길이(22bL)로 형성된 상기 제2끼움부재(22b)를 통해 상기 플러그본체(30)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고정시킴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플러그본체(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이 상기 플러그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끼움부재(22a)들이 상기 결합홈(31)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본체(30)의 결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X-Y 평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삽입된 결합홈(31)들에 상기 제1고정부(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ird, i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33)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부(33) 없이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된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로 외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끼움부재(22a)들이 상기 결합홈(3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33)를 통한 고정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끼움부재(22b)들 및 상기 제1고정부(33)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외력이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개방홈(32, 도 7에 도시됨), 및 제2고정부(34,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개방홈(32)은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1, 도 7에 도시됨)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본체(3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개방홈(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본체(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34)에는 상기 제2지지홈(30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는 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제1고정부(3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4)는 폴리머 계열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개방홈(32) 및 상기 제2고정부(3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홈(32)들은 상기 제2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34)는 상기 제2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홈(32)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34)들은 상기 개방홈(32)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한부재(35,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9 , the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2지지홈(30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재(35)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에 대해 스톱퍼(Stopper)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limiting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35)를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으로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35)를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의 내부에 과다한 거리로 삽입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플러그본체(30)의 상면(302, 도 9에 도시됨)으로부터 상기 제2지지홈(30a)을 향하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홈(30a)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2지지홈(30a)에 삽입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limiting
상기 제한부재(35)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홈(30a)들에 각각 삽입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들 모두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35)를 이용하여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상기 제2지지홈(30a)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한부재(35)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부재(3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지지홈(30a)들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지지홈(30a)들 각각에 삽입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들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limiting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경사부재(25,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에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정렬시킨다.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이 삽입된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소자(1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The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은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하고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므로, 각각의 광신호가 이루는 각도는 9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재(25)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 사이의 끼인각은 45°를 이룰 수 있다.The
상기 경사부재(25)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는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상기 경사부재(25)에서 전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반사는 광신호가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 보다 클 경우 해당 매질들의 경계면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경사부재(25)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에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경사부재(25)로 향하는 광이 상기 경사부재(25)와 외부 공기의 경계에서 전반사될 수 있는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사부재(25)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에 대해 45°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소자(11)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경사부재(25)로 입사되는 입사각은 45°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외부 공기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임계각이 45° 보다 작은 물질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사부재(25)에서 모든 광신호가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10 , in 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사부재(25)는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이 경사면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상기 경사부재(25)는 제1경사면(25a), 제2경사면(25b), 및 제3경사면(25c)을 포함할 수 있다.11A and 11B , the
상기 제1경사면(25a),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은 상기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경사면(25b)은 상기 제1경사면(25a)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경사면(25c)은 상기 제1경사면(25a)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25a)은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경사면(25a),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이를 위해, 상기 제1경사면(25a),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이루는 끼인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25a)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의 끼인각(251)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25b)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의 끼인각(252)이 제2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경사면(25c)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의 끼인각(253)이 제3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각도는 제1각도 보다 작은 값을 갖고, 제3각도는 제1각도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각도는 45 °를 이룰 수 있고, 상기 제2각도는 45° 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3각도는 45° 보다 클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광신호 집광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여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구체적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해 진행하는 광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전반사 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재(25)로 향하는 광 중에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이 상기 경사부재(25)에서 반사될 경우 해당 광은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광신호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이루는 끼인각이 서로 상이한 상기 제1경사면(25a),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전송되는 광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집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light traveling through the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제1집광부재(26,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삽입홈(21)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상기 제1지지홈(20a) 및 상기 제2지지홈(30a)에 삽입된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The first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26)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상기 제1집광부재(26)는 구면(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비구면(Aspherical Surfac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26) 간의 광정렬을 구현한다. 특히,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고, 제작 공차로 인해 상기 제1집광부재(26)의 중심축이 상기 제1지지홈(20a)과 상기 제2지지홈(30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심축의 오차로 인한 광신호 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The firs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전송케이블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전송케이블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전송케이블 및 제1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First,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집광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정렬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도 광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제작되는 설비의 제작 공차를 반영하여 상기 제1집광부재(26)가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로 형성됨으로써, 광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Second, the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는 상기 제1집광부재(2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광부재(2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과 동일한 개수의 제1집광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제2집광부재(27,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광소자(11)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구면 형상 또는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다.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상기 수납홈(23)에 수납된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및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The second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2집광부재(27) 간의 광정렬을 구현하고 광신호 전송 성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광정렬을 통해 목표로 하는 광전송 효율이 달성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제조 공차 등을 반영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수동광정렬(Passive Optical Alignment)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와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광정렬 방식은 능동광정렬(Active Optical Alignment) 방식과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능동광정렬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으로 배치 또는 배열되어 최적의 광 전송효율을 내는 지점 내지 상태를 탐색하여 찾아내고, 그러한 지점 내지 상태로 광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구성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능동광정렬 방식에서는, 광소자 등으로부터 발생한 광신호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기 등의 계측장비를 활용하여 전송효율을 측정하고, 전송효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탐색하여 탐색된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에 광소자 등을 순차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결과, 능동광정렬 방식으로 광소자 및 제2집광부재를 정렬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상기 광소자(11)에 정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동광정렬 방식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정렬됨으로써 전체 공정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단면이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13A and 13B,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제2-1집광부재(27a), 제2-2집광부재(27b), 및 제2-3집광부재(27c)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상기 제2-1집광부재(27a)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는 상기 제2-1집광부재(27a)의 외주(外周)로부터 상기 제1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제2-3집광부재(27c)는 상기 제2-2집광부재(27b)의 외주로부터 상기 제1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집광부재(27a), 상기 제2-2집광부재(27b), 및 상기 제2-3집광부재(27c)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동일한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firs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복수개의 볼록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에서는 상기 제2집광부재(27)가 복수개의 볼록 패턴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1집광부재(27a) 보다 긴 지름을 갖는 상기 제2-2집광부재(27b)를 상기 제2-1집광부재(27a)의 외곽에 배치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 보다 긴 지름을 갖는 상기 제2-3집광부재(27c)를 상기 제2-2집광부재(27b)의 외곽에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를 갖는 상기 제2-1집광부재(27a)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2-1집광부재(27a)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in order for the second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제2-1집광부재(27a), 및 제2-2집광부재(27b)를 포함할 수 있다.14A and 14B ,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제2-1집광부재(27a)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는 상기 제2-1집광부재(27a)의 외주(外周)로부터 상기 단면의 중심에서 제2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상기 제2-1집광부재(27a)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제1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상기 제1높이 보다 높은 제2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1높이 보다 큰 값일 수 있다.The second-firs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세 개 이상의 볼록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도 15a 및 도 1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1집광부재(27a)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15A and 15B,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제2-1집광부재(27a)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는 상기 제2-1집광부재(27a)의 외주(外周)로부터 상기 단면의 중심에서 제2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집광부재(27a)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제1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27b)는 상기 수납홈(23) 내에서 제2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1높이 보다 큰 값일 수 있다.The second-firs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집광부재(27)는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된 세 개 이상의 패턴을 반복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광소자(11) 및 광전송케이블(100)의 광신호 전송 특성에 따라 광이 진행하는 각도 등이 서로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광소자(11) 및 광전송케이블(100)의 광신호 전송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제2집광부재(27)를 포함함으로써, 광신호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angle at which light travel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부재(25)는 제1경사면(25a), 제2경사면(25b), 및 제3경사면(25c)을 포함할 수 있다.16A to 16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제1경사면(25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이를 위해, 상기 제1경사면(25a)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의 끼인각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25b)은 상기 제1경사면(25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의 끼인각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경사면(25c)은 상기 제1경사면(25a)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의 끼인각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은 반사 패턴(254)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상기 반사 패턴(254)은 쐐기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패턴(254)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한 각도를 갖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 패턴(254)은 상기 제1경사면(25a)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진행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반사 패턴(254)은 제1반사 패턴(254a, 도 16b에 도시됨), 및 제2반사 패턴(254b, 도 16b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각도로 상기 제2반사면(25b) 및 상기 제3반사면(25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은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각도로 상기 제2반사면(25b) 및 상기 제3반사면(25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각도로 상기 제2반사면(25b) 및 상기 제3반사면(25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각도로 상기 제2반사면(25b) 및 상기 제3반사면(25c)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이를 위해, 상기 제1반사 패턴(254a) 및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서로 다른 끼인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반사 패턴(254a) 및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이루는 각도에 비해 상기 제1각도와의 차이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은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제1각도와 차이가 적게 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제1각도와 차이가 크게 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반사 패턴(254a) 및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204)과 이루는 끼인각은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의 광신호 전송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별로 광이 진행하는 각도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광커넥터(1)에 적용된 광소자(11) 또는 광전송케이블(100)의 광신호 전송 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은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은 상기 제1경사면(25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은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에 비해 상기 제1경사면(25a)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을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또는 상기 광소자(11) 쪽으로 각각 진행시키는 한편,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제1경사면(25a)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분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7 ,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도 17의 A는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이 구비된 광커넥터(1)에서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나타내고, 도 17의 B는 상기 반사 패턴(254) 없이 상기 제2집광부재(27)만이 구비된 광커넥터(1)에서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나타내고, 도 17의 C는 반사 패턴(254)과 제2집광부재(27)가 구비되지 않은 광커넥터(1)에서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나타낸다.17A shows the intensity of an optical signal in the
도 17의 C와 같이, 반사 패턴(254)과 제2집광부재(27)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에 따르면 광신호의 인텐시티가 집중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그로 인해 광커넥터의 광신호 전송 효율이 낮게 나타난다.As shown in FIG. 17C ,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집광부재(26) 및 상기 제2집광부재(27)를 포함하여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집광함으로써, 도 17의 B와 같이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집중시켜 광신호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광소자(11)를 상기 기판(10)에 실장하는 과정에서의 오차를 고려하여, 도 17의 A와 같이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을 통해 광신호의 인텐시티를 분산시킴으로써 실장 오차가 발생한 광소자(11)에 대해서도 광커넥터(1)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광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예컨대,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는 경우 도 17의 B와 같이 광신호의 인텐시티가 집중됨에 따라 광신호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지만, 상기 광소자(11)를 실장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2집광부재(27)의 중심축과 상기 광소자(11)의 중심축이 약간만 틀어져도 광신호 전송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커넥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을 통해 광신호 인텐시티를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광소자(11)의 실장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광커넥터(1)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광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는 상기 제1반사 패턴(254a)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반사 패턴(254a)들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면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경사면(25b) 또는 상기 제3경사면(25c)의 서로 다른 위치로 입사되는 광신호의 입사각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제1반사 패턴(254a)들은 광신호의 입사각에 기초하여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과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는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ir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을 통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 케이블(100) 쪽 이외의 방향 또는 상기 광소자(11) 쪽 이외의 방향으로 각각 진행시킴으로써, 전달되는 광신호의 지연을 방지하고 광신호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 진행하는 예를 기초로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의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소자(11)의 실장 오차 또는 상기 제2집광부재(27)와 상기 광소자(11)의 정렬 오차 등으로 인해서 상기 광소자(11)를 통해 발생한 모든 광신호가 상기 제1경사면(25a)으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경사면(25a)으로부터 먼 쪽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제2경사면(25b) 또는 상기 제3경사면(25c)으로 진행하는데, 해당 광은 상기 제2경사면(25b) 또는 상기 제3경사면(25c)에서 반사된 후 바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하지 않고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내부에서 맴돌다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할 수 있다.Hereinafter, an effect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본체(20) 내부에서 맴돌다가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한 광신호는 지연된 신호로서 타 광신호에 대해 노이즈 신호에 해당하므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하지 않고 외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optical signal that revolves inside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을 통해 한 번의 반사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 진행할 수 없는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전달되는 광신호의 지연을 방지하고 광신호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16d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상기 제1반사 패턴(254a) 및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의 동작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6D ,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 중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광신호(11a)는 상기 1경사면(25a)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 진행한다.Among the optical signals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 중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진행하는 광신호(11b)는 상기 1반사 패턴(254a)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광전송케이블(100)로 진행한다.In addition, among the optical signals passing through the
상기 광소자(11)를 통한 광신호 중 상기 기판(10)의 법선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초과한 각도를 이루면서 진행하는 광신호(11c)는 상기 제2반사 패턴(254a)에 반사됨으로써,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하지 않고 외부로 진행하여 방사된다.Among the optical signals passing through the
한편, 도 16a에는 상기 반사 패턴(254)이 상기 제1경사면(25a)과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반사 패턴(254)은 도 12a에 도시된 제2경사면(25b) 및 제3경사면(25c)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 패턴(254)은 상기 제1경사면(25a)이 형성된 각도와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16A ,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광신호가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광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한 번의 반사로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 쪽으로 진행될 수 없는 광신호는 외부로 방사시킴으로써 광신호의 지연을 방지하고 광신호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상기 제2경사면(25b) 및 상기 제3경사면(25c)에는 상기 제2반사 패턴(254b)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반사 패턴(254b)들에 포함된 면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경사면(25b) 또는 상기 제3경사면(25c)의 서로 다른 위치로 입사되는 광신호의 입사각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제2반사 패턴(254b)들은 광신호의 입사각에 기초하여 광신호를 외부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밑면과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완충홈(28,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상기 완충홈(28)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발생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완충홈(28)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홈(28)은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완충홈(28)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발생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본체(20)로부터 함몰되도록 상기 완충홈(28)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켜 경량화 구현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이송홈(20b,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상기 이송홈(20b)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홈(20b)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외측벽(203)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이송홈(20b)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홈(20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홈(20b)들에 각각 삽입된 집게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이송될 수 있다.The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석션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이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석션기를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의 평평한 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이송될 수 있다. 일례로, 석션기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완충홈(28) 및 상기 경사부재(25) 사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상면(201)에 접촉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관통홈(20c,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상기 관통홈(20c)은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20c)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상기 관통홈(20c)은 X-Y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홈(23)이 형성된 영역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열 경화 과정 등에서 밀폐된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가열됨에 따라 팽창하여 폭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광커넥터 패키지(1)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는 EMC(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 경화성 재료를 이용하여 광커넥터 패키지(1)를 밀봉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수납홈(23)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될 경우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다.The throug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관통홈(20c)을 통해 상기 수납홈(23)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관통홈(20c)은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 대신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상기 기판(10)에 정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10)은 고정돌기(15,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rough-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기판(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기판(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관통홈(20c)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납홈(23)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제어 소자(1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20)의 정렬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상기 고정돌기(15)는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 간의 광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정렬부재(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재(24)들은 상기 광소자(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는 상기 정렬부재(24)가 상기 정렬홈(14)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1차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광정렬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15)가 상기 관통홈(20c)에 삽입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됨에 따라 2차적으로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광정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11)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간의 광정렬에 대한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에 형성된 식별 윈도우(29,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1 , the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기판(10) 상의 미리 설정된 결합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식별 윈도우(29)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판(10)에는 상기 광소자(11)의 결합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식(15, 도 11에 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패키지(1)를 형성한 후 상기 식별 윈도우(29)를 통해 상기 광소자(11)가 결합 위치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표식(15)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기판(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식(15)은 상기 광소자(11)가 상기 결합 위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광소자(11)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기판(1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표식(1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광소자(11)들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라인(line) 형상으로 상기 기판(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라인 형상의 상기 표식(15)과 상기 광소자(11)들이 이격된 정도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비교하여 상기 광소자(11)가 결합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표식(15)은 상기 광소자(11)의 결합 위치를 식별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X-Y 평면상에서 상기 표식(15)과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이후 작업자가 상기 수납홈(23) 내부의 표식(15)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실리콘(Silicon)계, 에폭시(Epoxy)계, ABS, 아크릴(Acrylic)계, 폴리오레핀(Polyolefine)계,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리셉터클본체(20) 중 상기 표식(15)과 중첩되는 위치의 영역을 경면(鏡面)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 윈도우(29)는 상기 표식(15)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1)는 접착부재(5, 도 1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9 , the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결합된 상기 기판(10)의 테두리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상기 기판(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外周)에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도전부재(6, 도 2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20 , the
상기 도전부재(6)는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전부재(6)로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기판(10)에는 그라운드 패드(GND, 도 17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과 접촉하는 외주(外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The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삽입홈(21)을 제외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좌측면(左側面), 우측면(右側面), 및 상면(上面)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가 상기 기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버 페이스트(Ag paste)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상에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이 증착 물질의 직진성이 좋지 않은 증착 공정을 통해 상기 도전성 재료를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 및 상기 기판(10) 상에 증착함으로써, 상기 접착부재(5)에 연결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全面)에 상기 도전부재(6)가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가 상기 도전부재(6)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접착부재(5)는 도전성 에폭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5)는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와 상기 기판(10)이 접촉된 외주에 형성되므로,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재(6)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접착부재(5)를 통해 상기 그라운드 패드(GND)에 연결됨으로써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의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경사부재(25)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여 상기 광소자(11) 또는 상기 광전송케이블(100)을 통한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부재(6)는 니켈, 크롬, 티타늄, 구리 등과 같이 도전성 특성을 갖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도전성 특성을 가지면서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이든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도전부재(6)를 형성하는 증착 공정에서 상기 삽입홈(21)에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희생부품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도전부재(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희생부품을 제거함에 따라 상기 도전부재(6)는 상기 삽입홈(21)을 제외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의 전면(前面), 후면(後面), 좌측면(左側面), 우측면(右側面), 및 상면(上面)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deposition process of forming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그라운드 패드(GND)에 접속되어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도전부재(6)가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2)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1)는 상기 도전부재(6)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도전부재(6)에 전체적으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광커넥터(1)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광커넥터 2 : 리셉터클 어셈블리
3 : 플러그 어셈블리 5 : 접착부재
6 : 도전부재 11 : 광소자
12 : 제어 소자 13 : 공기 배출공
14 : 정렬홈 15 : 고정돌기
20 : 리셉터클본체 20a : 제1지지홈
20b : 이송홈 20c : 관통홈
21 : 삽입홈 22 : 끼움부재
23 : 수납홈 24 : 정렬부재
25 : 경사부재 25a : 제1경사면
25b : 제2경사면 25c : 제3경사면
26 : 제1집광부재 27 : 제2집광부재
28 : 완충홈 29 : 식별 윈도우
30 : 플러그본체 30a : 지지홈
31 : 결합홈 32 : 개방홈
33 : 제1고정부 34 : 제2고정부
35 : 제한부재 254 : 반사 패턴1: optical connector 2: receptacle assembly
3: plug assembly 5: adhesive member
6: conductive member 11: optical element
12: control element 13: air exhaust hole
14: alignment groove 15: fixing projection
20:
20b: transfer
21: insertion groove 22: fitting member
23: receiving groove 24: alignment member
25:
25b: second
26: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27: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28: buffer groove 29: identification window
30: plug
31: coupling groove 32: open groove
33: first fixing part 34: second fixing part
35: limiting member 254: reflection pattern
Claims (25)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상기 광소자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각도 보다 작은 제2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각도 보다 큰 제3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3경사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an optical element coupled to the substrate;
a control elemen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element;
a receptacle assembly coupled to the substrate to cover the optical element and the control element; and
a plug assembly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The optical device is coupled to the substrate such that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s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he receptacle assembly includes a receptacle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n inclined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The inclined member is the receptacle body to allow a por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 advanc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element, or to allow a por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element to advance in a direction other than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underside of
The inclined member i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a second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ed such that an angle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forms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nd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ed such that an angle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forms a third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에 대해 제1방향 쪽에 위치하고, 상기 광소자에 대해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member is positioned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element, and is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oward the first direction.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3경사면은,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한 각도를 갖는 면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반사 패턴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clined member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in order to advance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device or to advance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 second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ed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ed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each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ve patterns including a surface having an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제1반사 패턴;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제2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flectiv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reflective pattern for propagat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device or for propagat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and a second reflection pattern for advanc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device side, or for propagat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side connector.
상기 제2반사 패턴은 상기 제1반사 패턴에 비해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3경사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at positions further apart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compared to the first reflection pattern, respectively.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3경사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상기 광소자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 중 일부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상기 제2각도 및 상기 제3각도와 상이한 각도를 갖는 면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반사 패턴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advance a part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element, or a part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element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 optical conn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flection patterns each including a surface having an angle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different from the second angle and the third angle, respectively.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지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receptacle assembly and the plug assembly support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respectively;
The receptac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the plug assembly includes a plug bod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plug body to support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 및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tical device is coupled to the substrate such that a propagation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s parallel to a norm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are formed so that a propagation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s perpendicular to a norm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삽입홈과 접촉되는 상기 플러그본체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lug body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일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upport groove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has at least two contact areas in contact wit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상기 제1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에서 상기 광전송케이블과 접촉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 전면(全面)을 둘러싸도록 폭 방향의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upport groove has at least two contact areas in contact wit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n one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he second support groove is an opt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광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ptac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ondens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and the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is convexly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receptacle body in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2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집광부재는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납홈 내에서 상기 광소자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receptac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to form a sealed space with the substrate, and a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formed on the receptacle body to collect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including,
and the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ptical element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제2집광부재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로 형성된 제2-1집광부재;
상기 제2-1집광부재의 외주(外周)로부터 상기 제1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형성된 제2-2집광부재; 및
상기 제2-2집광부재의 외주로부터 상기 제1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형성된 제2-3집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 2-1 light collecting member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diameter of a first length;
a second-second light-collecting member formed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first light-collecting member to an area spaced apart by the first length; and
and a second-third light-collecting member formed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second light-collecting member to an area spaced apart by the first length.
상기 제2집광부재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로 형성된 제2-1집광부재; 및
상기 제2-1집광부재의 외주(外周)로부터 상기 단면의 중심에서 제2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형성된 제2-2집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1집광부재는 상기 수납홈 내에서 제1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는 상기 수납홈 내에서 상기 제1높이 보다 높은 제2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 2-1 light collecting member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diameter of a first length; and
and a 2-2 light collecting member form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2-1 light collecting member to an area spaced apart by a second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The 2-1 light collect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eptacle body to have a first height with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eptacle body to have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제2집광부재는 단면의 지름이 제1길이로 형성된 제2-1집광부재; 및
상기 제2-1집광부재의 외주(外周)로부터 상기 단면의 중심에서 제2길이만큼 이격된 영역까지 형성된 제2-2집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1집광부재는 상기 수납홈 내에서 제1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2집광부재는 상기 수납홈 내에서 제2높이를 갖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 2-1 light collecting member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diameter of a first length; and
and a 2-2 light collecting member form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2-1 light collecting member to an area spaced apart by a second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The 2-1 light collect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eptacle body to have a first height with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is recessed into the receptacle body to have a second height with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광소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어 소자;
상기 광소자 및 상기 제어 소자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과 수직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리셉터클본체,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에 대해 제1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2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제3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3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 보다 작은 값을 갖고, 상기 제3각도는 상기 제1각도 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an optical element coupled to the substrate;
a control elemen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element;
a receptacle assembly coupled to the substrate to cover the optical element and the control element; and
a plug assembly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assembly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assembly;
The optical device is coupled to the substrate such that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s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he receptacle assembly includes a receptacle body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n inclined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The inclined member is positioned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with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body;
The inclined member i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to advanc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device or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s a secon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in order to advanc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device or to advanc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and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s a third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body in order to propagat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device or to propagat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formed,
The second angle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first angle, and the third angl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angle.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3경사면은, 상기 리셉터클본체의 밑면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상기 제2각도 및 상기 제3각도와 상이한 각도를 갖는 면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반사 패턴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each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on patterns including a surface having an angle different from the second angle and the third angle, respectively, an angle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optical connector.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제1반사 패턴;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소자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상기 광전송케이블 쪽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제2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reflectiv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reflective pattern for propagat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toward the optical device or for propagat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toward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and a second reflection pattern for advanc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device side, or for propagating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side connector.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지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광전송케이블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에 형성된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ceptacle assembly and the plug assembly support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respectively;
The receptac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and the plug assembly includes a plug bod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plug body to support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상기 광소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 및 상기 제2지지홈은 상기 광전송케이블을 통한 광신호의 진행방향이 상기 기판의 법선 방향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optical device is coupled to the substrate such that a propagation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device is parallel to a norm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optical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are formed so that a propagation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is perpendicular to a norm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1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광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리셉터클본체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ceptac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to condense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and the first light collecting member is convexly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receptacle body in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는 상기 기판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밑면에 형성된 수납홈, 및 상기 광전송케이블 또는 상기 광소자를 통한 광신호를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제2집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집광부재는 상기 수납홈 내에서 상기 광소자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리셉터클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ceptac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body to form a sealed space with the substrate, and a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formed on the receptacle body to collect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cable or the optical device. including,
and the second light collecting member is formed in the receptacle body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ptical element in the receiving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3746A KR102392370B1 (en) | 2017-10-16 | 2017-10-16 | Optical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3746A KR102392370B1 (en) | 2017-10-16 | 2017-10-16 | Optical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166A KR20190042166A (en) | 2019-04-24 |
KR102392370B1 true KR102392370B1 (en) | 2022-04-28 |
Family
ID=6628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3746A KR102392370B1 (en) | 2017-10-16 | 2017-10-16 | Optical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237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94026A1 (en) * | 2008-11-11 | 2013-04-18 | Charles B. Kuznia | Fiber optic bi-directional coupling lens |
JP2016004265A (en) * | 2014-06-13 | 2016-01-12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Optical module and optical transceiv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0329B1 (en) * | 1997-07-08 | 2001-02-01 | 성재갑 | Multi-optical connectors and multi-conductor connectors using plastic multi-conductor connector ferrules |
KR101725051B1 (en) * | 2014-11-28 | 2017-04-11 | 주식회사 루셈 | Optical transiver comprised of components assembled by sliding |
-
2017
- 2017-10-16 KR KR1020170133746A patent/KR10239237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94026A1 (en) * | 2008-11-11 | 2013-04-18 | Charles B. Kuznia | Fiber optic bi-directional coupling lens |
JP2016004265A (en) * | 2014-06-13 | 2016-01-12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Optical module and optical transcei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166A (en) | 2019-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62144B2 (en) | Architecture of connecting optical PCB, transceiver modules for optical PCB and optical connection block | |
US8774576B2 (en) | Optica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2444923A (en) | Optical module | |
CN104204878A (en) | Inter-chip communication using embedded dielectric waveguides | |
EP2390699B1 (en) | Optical coupler module having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
EP2085802B1 (en) | Optical-electrical transmission connector, optical-electrical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30137448A (en) | Semiconductor packag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
WO2008109235A2 (en) | Optical transceiver for computing applications | |
KR20140045030A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 |
CN210090745U (en) | Optical module | |
CN113009650A (en) | Optical module | |
CN109143492B (en) | Optical transceiver | |
KR101266616B1 (en) | Optical interconnection module | |
KR102390389B1 (en) | Optical Connector Package | |
US8783971B2 (en) |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
KR102392370B1 (en) | Optical Connector | |
KR102335733B1 (en) | Optical Connector Having Light Alignment Structure | |
KR101276508B1 (en) | Optical interconnection module | |
CN112987193A (en) | Optical module | |
KR102524576B1 (en) | Optical Connector | |
KR102524575B1 (en) | Optical Connector | |
CN112904493B (en) | Optical module | |
KR101419503B1 (en) | optical and electric connector unit of electronic device having unified optical and electric transceiver for interfacing to external device | |
US20170363829A1 (en) | Optical connector | |
KR20180125181A (en) | Optical Connector Pac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