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98B1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98B1
KR102391498B1 KR1020210098943A KR20210098943A KR102391498B1 KR 102391498 B1 KR102391498 B1 KR 102391498B1 KR 1020210098943 A KR1020210098943 A KR 1020210098943A KR 20210098943 A KR20210098943 A KR 20210098943A KR 102391498 B1 KR102391498 B1 KR 10239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x
fire
main control
enclos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숭규
Original Assignee
(주)신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9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내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평상시 건물내의 상황을 관찰카메라를 통해 관찰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으로부터 감지 및 관찰된 정보를 PLC모듈을 거쳐 송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메인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체와 상기 관찰카메라로부터 관찰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체로 이루어진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각각의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별도의 확성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메인제어함에 내장되며, 상기 메인제어함은, 건물의 벽체에 전방을 향해 내부가 노출되게 개구 형성되는 외함의 내부에 장착되되, 외함의 유동에도 간섭되지 않는 내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FIRE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수단에 PLC모듈을 설치하여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함으로써 소방 화재 감시 선로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화재시뿐 아니라 평상시에 건물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 감시 방법은, 목격자가 화재를 목격하고 신고하는 관리방식 또는 단순 화재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경보발생이 이루어지는 관리 방식은 장애 발생시 원격지에서는 실시간으로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로 인한 상당한 화재 진행이 이루어진 후에야 소방서의 화재진압 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가 커지는 경우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들어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로 고객들은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영/관리하는 방법이 도입되게 되었고, 화재감시 방법도 건물내의 각 요소에 화재 감시를 위한 센서 즉 온도감지센서나 연기 감지센서등을 설치하고, 이를 중앙 관리 장치에 연결하여 스프링쿨러 및 경보장치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경보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운영/관리 방법을 위해서는 소방설비를 위한 별도의 선로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선로포설에 따른 비용 상승이나 선로 가닥수의 많음으로 인해 하자 발생시 많은시간과 재료비, 노무비가 지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의 메인제어부가 내장된는 메인제어함은 통상 건물시공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하여 건물의 벽체에 단순 매립 설치됨에 따라 지진 발생시 메인제어함에 내장 설치된 수신부, 수신체, 표시부 등의 전장품의 변형/파손으로 인해 메인제어부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05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60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수단에 PLC모듈을 설치하여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통해 소방관리를 효율적으로 공급 및 추가적인 소방화재 감시선로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관찰카메라를 통해 평상시에는 건물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시에는 화재의 진위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메인제어부가 내장되는 메인제어함을 내진 구조로 구축함으로써 지진에도 안전한 소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내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평상시 건물내의 상황을 관찰카메라를 통해관찰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으로부터 감지 및 관찰된 정보를 PLC모듈을 거쳐 송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메인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체와 상기 관찰카메라로부터 관찰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체로 이루어진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각각의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별도의 확성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메인제어함에 내장되되, 상기 메인제어함은, 상기 건물의 벽체에 매립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내부가 노출되게 개구 형성되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함의 유동에도 서로 간섭되지 않는 작은 부피를 갖는 내함; 상기 내함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내함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외함과 내함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외함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내함의 유동을 차단하는 내진유닛; 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진유닛은, 상기 외함의 내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내함이 내장되게 지지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중앙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외/내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허브; 상기 연결대와 연결허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대와 연결허브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연결허브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허브로부터 베어링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고정덮개; 상기 연결대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대로부터 베어링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고정너트; 상기 내함의 외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내함과 연결허브가 동심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링; 상기 연결허브와 연결링 사이에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로 개재되고, 상기 내함으로부터 외함이 다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연결링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로 체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구속하며 탄성을 조절하는 홀더볼트;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에 PLC모듈을 설치하여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통해 소방관리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추가적인 소방화재 감시 선로의 재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아울러, 관찰카메라를 통해 평상시에는 건물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고, 화재시에는 화재의 진위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 화재진압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메인제어부가 내장되는 메인제어함은 외함과 내함의 이중구조로 구성하는데 이어 외/내함 사이에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내함을 보호하는 내진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지진의 여파로 인해 메인제어함이 손상을 입어 장애을 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수단과 제어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가 내장되는 메인제어함을 평면에서 절개하여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제어함을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제어함 도어를 평면에서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메인제어함 내진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제어함의 내진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수단과 제어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은 건물내에 설치되는 감시수단과, 제어수단, 메인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시수단(10)은 건물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기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평상시 건물내의 상황을 관찰카메라를 통해 관찰한다.
즉, 건물 내의 각 위치별로 설치되는 화재감지기(11)와 관찰카메라(13)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관찰카메라(13)에 의해 건물내의 상황을 감시하게 되고, 화재 발생시에는 상기 화재감지기(11)가 화재발생을 감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관찰카메라(13)는 화재현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0)은 상기 감시수단으로부터 감지 및 관찰된 정보를 PLC모듈(21)을 거쳐 송출하게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감시수단(10)의 화재감지기(1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PLC모듈(21)을 거쳐 기존의 전력선을 통해 후술되는 메인제어부(30)로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20)에는 상기 화재감지기(1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감지부(23)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1)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 신호를 PLC모듈(21)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관찰카메라(13)로부터 관찰된 정보 또한 PLC모듈(21)을 거쳐 기존 전력선을 통해 메인제어부(30)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30)는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상기 메인제어부(30)는 상기 화재감지기(1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체(32)와 상기 관찰카메라로부터 관찰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체(33)로 이루어진 수신부(31)와, 상기 수신부(31)로 수신된 각각의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35)와, 상기 제어수단(20)에 연결된 별도의 확성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37)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평상시 상기 제2수신체(33)로 수신된 정보는 상기 표시부(35)를 거쳐 상기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방재본부 및 지역소방서의 화재 방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건물내를 관찰할 수 있게 되고, 화재시 제1수신체(32)로 수신된 정보는 표시부(35)를 거쳐 상기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는 화재경보가 발생하였다는 상황을 인지하게 되며, 이때 관리자는 건물내를 관찰하고 있는 관찰카메라(13)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화재경보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화재로 판단되는 경우 별도로 마련된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메시지송신부(37)에 신호를 보내 상기 확성기(40)로 화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건물내를 관찰카메라(13)가 관찰하여 관찰된 정보를 제어수단(20)의 PLC모듈(21)을 거쳐 기존의 전력선을 통해 방재본부 및 지역소방서의 메인제어부(30)에 송신하게 되고, 상기 메인제어부(30)의 표시부(35)에 의해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런 상태에서 화재감지기(11)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된 신호는 제어수단(20)의 감지부(23)를 거쳐 PLC모듈(21)로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PLC모듈(21)로 수신된 화재감지기(11)의 감지 신호는 기존의 전력선을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30)의 제1수신체(32)로 송신되고, 송신된 신호는 표시부(35)를 거쳐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기(11)의 감지신호가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되면 관리자는 화재의 진위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즉, 상기 화재감지기(11)의 감지신호가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되면 관리자는 관찰카메라(13)에 의해 관찰되어 송신된 관찰정보를 표시장치(50)에서 확인하여 상기 화재감지기(11)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 화재로 판단시 화재 진압인력 투입을 결정한다.
이와 동시에 관리자는 별도로 마련된 입력장치를 통해 메인제어부(30)의 메시지송신부(37)에 신호를 보내 상기 확성기(40)로 화재 알림 메시지 즉 "실제상황입니다. 화재발생 비상구를 따라 속히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건물 내 사람들에게 알리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수단에 PLC모듈을 설치하여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통해 소방관리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게 되고, 추가적인 소방 전용 선로를 설비할 필요가 없어 선로설치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화재경보뿐 아니라 평상시에는 건물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화재발생시 즉각적인 대체와 인명 및 경제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 수신체, 표시부 등으로 구성된 메인제어부(30)가 내장되는 메인제어함(300)은 벽에 매립 설치되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310)과 내함(320) 및 도어(330)와 내진유닛(340)으로 이루어진다.
외함(310)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 설치되어 지진으로부터 내함(320)을 보호한다.
이러한 외함(310)은 내함(320)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가진 상자형태로 형성되되, 내함(320)이 내장되도록 전방이 노출된 상태로 개구 형성된다.
외함(310)은 건물의 벽체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설치되어 거푸집으로도 대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거푸집을 통해 마련된 벽체의 공간으로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면을 기준으로 외함(310)의 내부에는 내진유닛(340)이 장착되도록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의 외함장착홀(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외함장착홈(311)은 외함(310)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지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함(320)은 도 4 및 도 6처럼 외함(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각종 전장품들을 수납해준다.
즉, 내함(320)은 지진에 의해 유동하는 외함(310)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외함(310)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상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함(320)의 전면에는 외함(310)의 유동을 유도하는 내부의 빈 공간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는 가림판(321)가 장착된다.
여기서 가림판(321)는 지진에 의해 유동하는 외함(310)과 간섭되지 않도록 벽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내함(320)의 전면에는 가림판(321)가 밀착고정되도록 전면 테두리에 외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내함플랜지(3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정면을 기준으로 내함(320)의 내부에는 내진유닛(340)이 장착되도록 전후로 관통되는 복수의 내함장착홀(324)이 형성된다.
이때, 내함(320)은 여닫이 또는 미닫이방식의 도어(330)가 장착되도록 경첩(325) 또는 레일(326)이 장착될 수 있다.
경첩(325)은 도어(330)를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게 장착해주는 것으로, 내함(320)의 전면부위의 우측 또는 좌측 변부에 하나 이상 장착된다.
레일(326)은 도어(330)를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게 장착해주는 것으로, 평면기준 ㄴ형(좌측)의 홈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326)은 정면을 기준으로 내함(320)의 상하단 좌우측마다 장착되어 도어(33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속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330)는 도 4 및 도 6처럼 내함(320)의 전면에 장착되고, 내함(320)의 내부를 개폐시켜 수납된 수신부, 수신체, 표시부 등 전장품들을 보호할 뿐 아니라 일반인의 접근을 제한 한다..
이러한 도어(330)는 도 4와 같이 경첩(325)에 장착되는 여닫이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레일(326)에 장착되는 미닫이방식으로도 구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미닫이방식 도어(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어판(331)과 손잡이(332) 및 도어자석(333)과 금속체(334)로 구성된다.
도어판(331)들은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수지재로 형성되고, 내함(320)에 장착된 레일(326)상에 좌우측 양쪽으로 분할 삽입된다.
이러한 도어판(331)들은 ㄴ형의 레일(326)을 따라 굽힘이 가능하도록 전면에 소정 간격마다 V형의 절곡홈(331a)들이 형성된다.
손잡이(332)는 도어판(331)끼리 마주하는 일변에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각각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유도한다.
여기서 손잡이(332)들이 마주하는 일면에는 교합돌부(332a)와 교합홈부(332b)가 각각 형성된다.
즉, 손잡이(332)들이 서로 밀착되어 내함(320)을 폐쇄하면, 교합돌부(332a)와 교합홈부(332b)가 암수로 맞물리게 되면서 내함(320)의 내부를 빈틈없이 폐쇄해준다.
도어자석(333)은 좌측 손잡이(332)의 일면에 장착되어 서로 대향하는 우측 손잡이(332)를 자력으로 흡착한다.
금속체(334)는 우측 손잡이(332)의 일면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도어자석(333)의 자력에 반응하여 흡착을 유도한다.
즉, 도어자석(333)과 금속체(334)는 손잡이(332)들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어자석(333)과 금속체(334)의 장착위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금속체(334) 대신 양측 손잡이(332)마다 도어자석(333)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330)는 여닫이나 미닫이방식이 아닌 내함(320)으로부터 단순 탈/부착되는 덮개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유닛(340)은 도 5 처럼 외함(310)과 내함(320)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외함(310)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내함(320)의 유동을 차단해준다.
이러한 내진유닛(34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341), 연결허브(342), 베어링(343), 고정덮개(344), 고정너트(345), 연결링(346), 코일스프링(347), 홀더볼트(348)로 구성된다.
연결대(341)는 정면을 기준으로 외함(310)의 내부 중앙부위에 밀착 장착되어 내함(320)이 내장되게 지지한다.
이러한 연결대(341)는 연결원판(341a)과 연결샤프트(341b) 및 연결대홀(341c)과 체결나사(341d)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결원판(341a)은 소정 직경을 가진 원형의 판으로써, 외함(310)에 형성된 외함장착홀(311)에 장착된다.
연결샤프트(341b)는 연결원판(341a)의 중앙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베어링(3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대홀(341c)은 연결원판(341a)의 외측에 중심축 방향을 향해 관통 배열되어 외함(310)과 체결되게 볼트를 수용한다.
체결나사(341d)는 연결샤프트(341b)의 일단 외면에 마련되어 고정너트(345)의 체결을 유도한다.
연결허브(342)는 연결대(341)의 연결샤프트(341b)에 관통 삽입 장착되어 외함과 내함(310)(32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한다.
이러한 연결허브(342)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내부에는 베어링(343)을 삽입 구속하는 단턱이 형성된다.
베어링(343)은 연결허브(342)내에 내삽된 상태에서 중앙으로 연결대(341)의 연결샤프트(341b)를 관통 수용한다.
즉, 베어링(343)의 내륜은 연결샤프트(341b)에 밀착 고정되고, 외륜은 연결허브(342)에 밀착 고정되어 연결대(341)와 연결허브(342)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준다.
고정덮개(344)는 연결허브(342)의 일면에 장착되어 연결허브(342)에 삽입된 베어링(3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한다.
즉, 고정덮게(344)는 연결허브(342)의 단턱 대향측에 고정되어 베어링(343)이 연결허브(342)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너트(345)는 연결대(341)의 일단에 체결되어 연결대(341)로부터 베어링(3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한다.
즉, 고정덮개(344)는 연결허브(342)에 장착되어 베어링(343)의 외륜을 가압하고, 고정너트(345)는 체결나사(341d)에 체결되어 베어링(343)의 내륜을 가압한다.
연결링(346)은 내함(320)의 후면 중앙 부위에 장착되어 내함(320)과 연결허브(342)가 동심하게 연결해준다.
이러한 연결링(346)은 연결링판(346a)과 연결보스(346b) 및 연결링홀(346c)과 홀더홀(346d)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결링판(346a)은 연결허브(342)를 감싸는 도넛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내함(320)에 형성된 내함장착홀(324)에 장착된다.
연결보스(346b)는 연결링판(346a)의 내측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347)이 장착될 자리를 마련해준다.
연결링홀(346c)은 연결링판(346a)의 외측에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 배열되어 내함(320)의 장착홀(324)에 볼트로 체결된다.
홀더홀(346d)은 연결보스(346b)상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로 관통 배열되어 코일스프링(347)의 삽입과 홀더볼트(348)의 체결을 유도한다.
코일스프링(347)은 압축탄성을 지닌 것으로, 연결허브(342)와 연결링(346) 사이에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로 개재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347)들은 내함(320)으로부터 외함(310)이 다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해준다.
홀더볼트(348)는 연결링(346)의 홀더홀(346d)마다 체결되어 삽입 개재된 코일스프링(347)들을 구속한다.
여기서 내함(320)은 전장품의 수용과 함께 후면부위의 편향된 장착으로 인해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처지게 된다.
즉, 상/하측에 위치하는 홀더볼트(438)들의 체결을 통해 코일스프링(347)의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외함과 내함(310)(320)이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링(346)의 홀더홀(346d)에 체결되는 홀더볼트(348)의 조임 정도에 따라 코일스프링(347)의 탄성이 조절된다.
이때, 연결허브(342)와 홀더볼트(348)들은 코일스프링(347)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삽입 수용되는 안내보스(342a)(348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보스(342a)(348a)는 코일스프링(347)의 이탈을 차단해줌과 함께 상시 정 위치에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연결대(341)와 연결링(346)은 각각 외함(310)과 내함(3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즉, 외함(310)에 연결링(346)이 장착되고, 내함(320)에 연결대(341)가 장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진유닛(340)이 취하는 동작을 토대로 지진으로부터 내함(320)을 보호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외함(310)에 장착되는 연결대(341)와, 내함(320)에 장착되는 연결링(346)은 베어링(343)에 의해 중심축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둘째, 연결대(341)는 코일스프링(347)들의 신축성으로 인해 연결링(346)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편심회전이 가능하다.
셋째, 연결대(341)는 코일스프링(437)들의 신축성으로 인해 연결링(346)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넷째, 연결대(341)는 코일스프링(347)들의 신축성으로 연결링(346)으로부터 상하좌우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대(341)의 동작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복합적으로 동작된다.
결과적으로 지진으로부터 발생한 외력이 벽체를 통해 외함(310)에 도달되면, 외함(310)은 지진의 외력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취하면서 소멸시킨다.
이와 같이 내진유닛(340)이 내함(320)으로부터 외함(310)을 좌우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편심공전과 전후이동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틸팅 동작을 구현해줌에 따라 지진파 중 S파에 의한 수직외력은 물론 P파와 L파의 수평외력과 더불어 R파의 역회전 원운동외력까지 모두 흡수할 수가 있으므로 내함(320)에 내장된 메인제어부의 수신부, 수신체, 표시부 등의 전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지진 발생시에도 소방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감시 시스템이 이상없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감시수단 11: 화재감지기
13: 관찰카메라 20: 제어수단
21: PLC모듈 23: 감지부
30: 메인제어부 31: 수신부
32: 제1수신체 33: 제2수신체
35: 표시부 37: 메시지 송신부
40: 확성기 50: 표시장치
310: 외함 311: 외함장착홀
320: 내함 321: 가림판
323: 내함플랜지
324: 내함장착홀 325: 경첩
326: 레일 330: 도어
331: 도어판 331a: 절곡홈
332: 손잡이 332a: 교합돌부
332b: 교합홈부 333: 도어자석
334: 금속체 340: 내진유닛
341: 연결대 341a: 연결원판
341b: 연결샤프트 341c: 연결대홀
341d: 체결나사 342: 연결허브
342a, 348a: 안내보스 343: 베어링
344: 고정덮개 345: 고정너트
346: 연결링 346a: 연결링판
346b: 연결보스 346c: 연결링홀
346d: 홀더홀 347: 코일스프링
348: 홀더볼트

Claims (2)

  1. 건물내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11)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평상시 건물내의 상황을 관찰카메라(13)를 통해 관찰하는 감시수단(10)과;
    상기 감시수단(10)으로부터 감지 및 관찰된 정보를 PLC모듈을 거쳐 송출하는 제어수단(20)과;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메인제어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30)는, 상기 화재감지기(1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체(32)와 상기 관찰카메라(13)로부터 관찰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수신체(33)로 이루어진 수신부(31)와; 상기 수신부(31)로 수신된 각각의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50)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35)와; 상기 제어수단(20)에 연결된 별도의 확성기(40)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37)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제어부(30)는 메인제어함(300)에 내장되되,
    상기 메인제어함(300)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 설치되고, 전방을 향해 내부가 노출되게 개구 형성되는 외함(310);
    상기 외함(3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함(310)의 유동에도 서로 간섭되지 않는 작은 부피를 갖는 내함(320);
    상기 내함(320)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내함(320)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330);
    상기 외함(310)과 내함(320) 사이에 서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외함(310)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내함(320)의 유동을 차단하는 내진유닛(340);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330)는,
    상기 내함(320)의 상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ㄴ형 레일(326)에 한쌍의 도어판(331)이 장착되어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되, 상기 도어판(331)의 전면에는 “V”형의 절곡홈(331a)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내진유닛(340)은,
    상기 외함(310)의 내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내함(320)이 내장되게 지지하는 연결대(341);
    상기 연결대(341)의 중앙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외함(310)과 내함(32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허브(342);
    상기 연결대(341)와 연결허브(34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연결대(341)와 연결허브(342)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43);
    상기 연결허브(342)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허브(342)로부터 베어링(3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고정덮개(344);
    상기 연결대(341)의 일단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대(341)로부터 베어링(343)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고정너트(345);
    상기 내함(320)의 외면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내함(320)과 연결허브(342)가 동심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링(346);
    상기 연결허브(342)와 연결링(346) 사이에 중심을 기점으로 방사로 개재되고, 상기 내함(320)으로부터 외함(310)이 다 방향으로 유동되게 연결하는 코일스프링(347);
    상기 연결링(346)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로 체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47)을 구속하며 탄성을 조절하는 홀더볼트(3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2. 삭제
KR1020210098943A 2021-07-28 2021-07-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KR10239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43A KR102391498B1 (ko) 2021-07-28 2021-07-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43A KR102391498B1 (ko) 2021-07-28 2021-07-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98B1 true KR102391498B1 (ko) 2022-04-27

Family

ID=8139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43A KR102391498B1 (ko) 2021-07-28 2021-07-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3B1 (ko) 2006-06-08 2007-08-20 효림산업 주식회사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KR20110109134A (ko) * 2010-03-30 2011-10-06 장영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KR20200039191A (ko) * 2018-10-05 2020-04-16 김원회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36005B1 (ko)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3B1 (ko) 2006-06-08 2007-08-20 효림산업 주식회사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KR20110109134A (ko) * 2010-03-30 2011-10-06 장영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KR20200039191A (ko) * 2018-10-05 2020-04-16 김원회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236005B1 (ko)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JP2011104032A (ja) 消火栓装置監視システム
KR10237665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소방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감시 시스템
EP3834184B1 (en) Public places surveillance system
US10861308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US9405038B2 (en) Fiber optic vault security system
US8723683B2 (en) Illuminated fire extinguisher cabinet
KR20160005641A (ko) 대피용 다목적 안전도구함
WO2019224658A1 (en) Scalable biometric alarm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391498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시스템
US7578493B2 (en) Audio/visual unit security apparatus
CA3142134C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US10796547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CN210828942U (zh) 一种具有警报功能的防火的监控设备
KR101233425B1 (ko)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WO2019097355A1 (en) Remote-controlled anti-burglary system
KR20120002640U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0867225B1 (ko) 장비 보호를 위한 도난방지 감시시스템
JP7050195B2 (ja) 防災時通信区画構成建築物及び防災時通信区画構成方法
KR200307383Y1 (ko) 방범·방화·방재 장치
JP200407056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5079298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102391488B1 (ko) 전기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421191B1 (ko)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KR200232389Y1 (ko) 비상구자동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