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327B1 -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327B1
KR102391327B1 KR1020200070267A KR20200070267A KR102391327B1 KR 102391327 B1 KR102391327 B1 KR 102391327B1 KR 1020200070267 A KR1020200070267 A KR 1020200070267A KR 20200070267 A KR20200070267 A KR 20200070267A KR 102391327 B1 KR102391327 B1 KR 10239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user terminal
video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3347A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리모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모트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모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327B1/en
Publication of KR2021015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3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서로 상이한 공간에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상호 대화가 가능하도록 공유 콘텐츠를 제공 및 활용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 초대 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 및 운영서버가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 집합을 토대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공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40), 운영서버가 선택된 상기 공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 집합에 전송하는 단계(S5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집합 간의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so that us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while sharing the same content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spaces. The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n invitation signal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to another user terminal for sharing the content (S10),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invitation signal ( S20) and the operation server may include a step (S30) of setting up a conversation channel through which a conversation can be shared based on the selected set of user terminals. In addition, selecting the shared content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S40), the operation server transmitting the selected shared content to a set of user terminals 200 (S50), and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It may include a receiving step (S60). 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using the video device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S70) and 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a set of user terminals through the chat channel (S80) ) may be included.

Description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과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본 발명은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서로 상이한 공간에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상호 대화가 가능하도록 공유 콘텐츠를 제공 및 활용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so that us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ile sharing the same conten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s about the system.

일반적으로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콘텐츠를 즐기는 경우에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함으로써 서로 간에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즐거움을 배가할 수 있다. 간혹,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고 싶어하는 경우도 있으나,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콘텐츠를 감상하면서 서로 간에 대화를 통해 무료한 시간을 함께한다면 콘텐츠 감상의 즐거움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다.In general, if you enjoy content such as movies or dramas, you can build a sympathy for each other or increase the enjoyment by doing it with family or friends. Occasionally, there are people who want to have time alone, but if you spend free time together through conversation while watching content with family or friends, the enjoyment of content viewing can be increased.

특히, 최근에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할 수 없는 상황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콘텐츠를 함께 즐기는 즐거움 또한 반감된다.In particular,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families or friends cannot be together, and the pleasure of enjoying content together is also reduced.

예를 들어, 국가 대항전 스포츠 경기나 프로 스포츠 경기를 홀로 시청하는 경우보다는 비록 몸은 서로 떨어져 있더라도 동일한 경기를 함께 시청하며, 서로 간에 같은 팀을 응원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면 콘텐츠를 시청하는 즐거움은 배가될 것이다.For example, the enjoyment of watching content is doubled when watching the same game together, cheering for the same team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rather than watching a national competition sports game or a professional sports game alone. will b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6648호(2006년 09월 21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26648 (announced on September 21, 200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사용자들이 서로 상이한 공간에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상호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mutual conversation while sharing the same content in a state in which us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space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 초대 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 및 운영서버가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 집합을 토대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problem includes transmitting an invitation signal from one of the user terminals to another user terminal for sharing the content (S10), the user receiving the invitation signal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S20) and the operation server may include a step (S30) of setting a chat channel through which a chat can be shared based on the selected set of user terminals.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공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40), 운영서버가 선택된 상기 공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 집합에 전송하는 단계(S5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electing the shared content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S40), the operation server transmitting the selected shared content to a set of user terminals 200 (S50), and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It may include a receiving step (S60).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집합 간의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using the video device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S70) and 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a set of user terminals through the chat channel (S80) )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은 운영서버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주제어부, 채널 생성부, 콘텐츠 제공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ed content providing and ut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operation server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a channel generation unit, a content providing unit and a database.

상기 주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초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초대 목록을 생성하고, 콘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공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에 매칭하여 제공한다.The main controller generates a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an invit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tches and provides the shared content to the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the content request signal.

또한, 상기 채널 생성부는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의 사용자 단말기를 대상으로 서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공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channel generating unit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to create a convers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user terminals in the user invitation list can share conversation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to provide the shar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invitation list. In addition, the database stores content to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부, 콘텐츠 수신부, 제어부, 인터페이스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초대 목록의 사용자 단말기 간에 음성통신 또는 영상통신을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content receiving unit, a control unit, an interface unit,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s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s of the user invitation list.

또한, 상기 콘텐츠 수신부는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영상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영상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와 영상 장치를 연결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receiving unit receiv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video device.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connects the user terminal and the video device so that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can be transmitted to the video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초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초대 신호가 도착하는 경우 응답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공유 콘텐츠를 실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invit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for sharing content, transmits a response signal when the invitation signal arrives, and controls the user terminal to execute the shared cont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과 그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서로 상이한 공간에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상호 대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고, 콘텐츠 감상의 즐거움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mutual consensus by enabling us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while sharing the same content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spaces, an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enjoy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0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10)은 운영서버(10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또한, 운영서버(100)는 주제어부(110), 채널 생성부(120), 콘텐츠 제공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red content provision and utiliz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server 100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110 , a channel generation unit 120 , a content providing unit 130 , and a database 140 .

주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초대 신호 또는 콘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채널 생성부(120) 또는 콘텐츠 제공부(130)를 제어한다. 즉, 주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초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초대 목록을 생성하고, 콘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에 매칭한다.The main controller 110 controls the channel generator 120 or the content provider 130 according to an invitation signal or a content request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at is, the main controller 110 generates a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an invit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nd match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the content request signal.

또한, 채널 생성부(120)는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대상으로 서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설정한다. 이때, 채널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IP 어드레스(Address) 또는 사용자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대화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nel generating unit 12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10 to set a convers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user terminals 200 of the user invitation list can share conversations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hannel generating unit 120 may create a chat channel based on the IP address or the user's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200 .

따라서, 사용자는 지정된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사용자들 간의 음성 또는 화상 채팅이 가능하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130)는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해당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Accordingly, the user is capable of voice or video chatting between users through the designated chat channel.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13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10 to select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request signal from the database 130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user invitation list. .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에는 영화, 드라마, 스포츠 경기, 음악 공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130 stores content to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movies, dramas, sports events, music performances, and the like.

이때, 상기 스포츠 경기의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녹화 경기가 제공되거나,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스포츠 경기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sports game, a recorded game stored in the database 130 may be provided, or a sports game image relayed in real time may be provided.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영상 장치(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장치(20)에는 TV, 모니터, 스크린 및 영사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 transmit it to the imaging device 20 , and display it. In this case, the imaging device 20 may include a TV, a monitor, a screen and a project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smart phone.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콘텐츠 수신부(220), 제어부(230), 인터페이스부(240), 저장부(250), 디스플레이부(260) 및 문자변환부(270)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 a content receiving unit 220 , a control unit 230 , an interface unit 240 , a storage unit 250 , a display unit 260 , and a character conversion unit 270 . can

또한, 통신부(210)는 사용자 간의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음성통신을 제공하는 음성통신 모듈(211)과, 사용자 간의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영상통신을 제공하는 영상통신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voice communication module 211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so that a voice conversation between users is possible, and a video communication module 212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to enable a video call between users. .

이때, 음성통신 모듈(211)에는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음향과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음성 대화용 스피커와 마이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통신 모듈(212)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 카메라가 포함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communication module 211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a microphone for voice conversat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 the sound provided from the content. In addition, the video communication module 212 includes a video camera that captures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user.

또한, 콘텐츠 수신부(220)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영상 장치(20)로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40)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영상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와 영상 장치(20)를 연결한다.Also, the content receiving unit 220 receiv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ransmits it to the imaging device 20 . Also, the interface unit 240 connects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maging device 20 to transmit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o the imaging device 20 .

또한, 인터페이스부(240)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RS-232C 인터페이스 및 SCS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뿐만아니라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interface unit 240 may includ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 RS-232C interface, and SCSI. Accordingly, the user can store not only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but also the content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B memory in the storage unit 250 .

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콘텐츠가 운영서버(100)를 통해 대화 채널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In this case, the content stored and provided in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2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chat channel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구동한다. 즉,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콘텐츠 수신부(220), 인터페이스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drives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That is,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10 , the content receiving unit 220 , the interface unit 240 , and the display unit 260 .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IP 어드레스(Address) 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대화 채널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초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230 may transmit an invit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chat channel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registered in advance.

또한, 제어부(230)는 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 IP 어드레스(Address)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초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초대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250)에 미리 저장된 IP 어드레스(Address)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초대 신호의 발신자를 확인하고 응답 신호를 보낼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230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the invitation signal based on an IP address or a user's phone number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50 . That is, when the invitation signal is received, the user can identify the sender of the invitation signal based on the IP address or the user's phone number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50 and send a response signal.

또한, 제어부(230)는 공유 콘텐츠를 선택하여 운영서버(100)에 공유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may select the shared content and request the operation server 100 to transmit the shared content.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수신되는 초대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한 IP 어드레스(Address)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60 may display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invit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user's phone number.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초대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가족 또는 친구의 목록(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한 IP 어드레스(Address)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6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and displays a list of family or friends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user's phone number) for the user to send an invitation signal. can do.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영상통신 모듈(212)에서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영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공유 콘텐츠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260 may display a user image for a video call so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module 212 can make a video call. Also, the display unit 260 may receive and display the shar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receiving unit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30 .

또한, 문자변환부(27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대화 채널에 포함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xt conversion unit 270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signal using the user terminal 200 , convert the recognized voice signal into a text signal,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 That i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user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chat channel may be converted into tex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60 .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이 공유 콘텐츠를 감상하는 경우에 영상 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상대방의 대화를 청취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문자변환부(270)를 통해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대화를 용이하게 지속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users enjoy shared content, it may be difficult to hear the conversation of the other party due to the sound output from the video apparatus 20 . In this case, the conversation can be easily continued by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text through the text conversion unit 270 and providing i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에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 초대 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 및 운영서버(100)가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200) 집합을 토대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n invitation signal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200 to another user terminal 200 for sharing the content (S10), the user receiving the invitation signal It may include a step (S20) of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200 and a step (S30) of the operation server 100 setting a chat channel through which a chat can be shared based on the selected set of user terminals 200 (S30). .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서 공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40), 운영서버(100)가 선택된 상기 공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 집합에 전송하는 단계(S50) 및 사용자 단말기(200)가 운영서버(10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electing the shared content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200 (S40), the operation server 100 transmitting the selected shared content to the set of the user terminals 200 (S50) and the user terminal 200 ) may include a step (S60) of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연결된 영상 장치(20)를 이용하여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0) 및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 집합 간의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using the video device 20 to which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S7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performed through the chat channel to the user terminal 200 It may include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sets ( S80 ).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to the extent recognized as

10 :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
20 : 영상 장치 100 : 운영서버
110 : 주제어부 120 : 채널 생성부
130 : 콘텐츠 제공부 140 : 데이터베이스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통신부
211 : 음성통신 모듈 212 : 영상통신 모듈
220 : 콘텐츠 수신부 230 : 제어부
240 : 인터페이스부 250 : 저장부
260 : 디스플레이부
10: Shared content provision and utilization system
20: video device 100: operation server
110: main control unit 120: channel generation unit
130: content providing unit 140: database
200: user terminal 210: communication unit
211: voice communication module 212: video communication module
220: content receiving unit 230: control unit
240: interface unit 250: storage unit
260: display unit

Claims (6)

복수의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
초대 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
운영서버가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 집합을 토대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30);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공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40);
상기 운영서버가 선택된 상기 공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집합에 전송하는 단계(S50);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S60);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TV, 모니터, 스크린 및 영사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인 영상 장치(20)를 이용하여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되, 영화, 드라마, 스포츠 경기, 음악 공연을 포함하는 실시간 중계영상 또는 기 녹화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집합 간의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며,
상기 S30단계에서, 운영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초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초대목록을 생성하고, 콘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공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에 매칭하는 제1 과정, 사용자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또는 사용자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음성 또는 화상 채팅으로 서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도록 운영서버 내 채널 생성부를 통해 대화 채널를 생성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S70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초대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IP어드레스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되,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초대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가족 또는 친구의 목록(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IP어드레스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을 디스플레이하며, 영상통신 모듈(212)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영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공유 콘텐츠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S80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영상 장치(20)를 통해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음향과의 혼선을 방지하도록 음성 대화용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고, 영상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에서 생성되는 대화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 사용자의 각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를 문자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that a plurality of users share and use the content service,
transmitting an invitation signal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to another user terminal for sharing content (S10);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invitation signal (S20);
Step (S30) of the operation server setting a chat channel that can share the chat based on the selected set of user terminals;
selecting a shared content from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S40);
transmitt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selected shared content to a set of user terminals (S50);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S60);
A TV, a monitor, a screen and a project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smartphone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provide conten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using the video device 20, movies, dramas, sports events, and music performances Displaying a real-time relay image or pre-recorded content including a step (S70) and
and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a set of user terminals through the chat channel (S80),
In the step S30, the operation server creates a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the invit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ccording to the content request signal, the first process of matching the shared content to the user invitation list,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or a second process of creating a conversation channel through a channel creation unit in the operation server so that users can share conversations with each other through voice or video chatting between users based on the user's phone number;
The step S70 displays the IP address or the user's phone number for the user terminal of the invit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bu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and a list of family or friends for the user to send the invitation signal (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or user's phone number), the video communication module 212 displays a user image for a video call so that a video call is possible, and the content receiver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 receives and displays the shared content received through
In step S80,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a microphone for voice conversation so as to prevent confusion with the sound provided from the content while sharing the same content through the video device 20, and displays the user's image through the video camera.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recognizing each voice signal of a plurality of user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channel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and converting the recognized voice signal into a text signal Way.
삭제delete 복수의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TV, 모니터, 스크린 및 영사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인 영상 장치(20)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유 콘텐츠를 실행하고, 미리 선택된 대화 채널을 통해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리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들에 공유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간에 대화가 가능하도록 대화 채널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되,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초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초대목록을 생성하고, 콘텐츠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초대 목록에 매칭하는 주제어부(110),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또는 사용자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음성 또는 화상 채팅으로 서로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화 채널을 생성하는 채널 생성부(120),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콘텐츠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해당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하여 사용자 초대 목록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130),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되, 영화, 드라마, 스포츠 경기, 음악 공연을 포함하는 실시간 중계영상 또는 기 녹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간의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음성통신을 제공하되,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음향과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 대화용 스피커와 마이크가 구비되는 음성통신 모듈(211)과, 사용자 간의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통신을 제공하는 영상통신 모듈(212)을 포함하는 통신부(210),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영상 장치(20)로 전송하는 콘텐츠 수신부(220), 외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구동하는 제어부(230),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영상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와 영상 장치(20)를 연결하여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콘텐츠가 운영서버를 통해 대화 채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240),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초대 신호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IP어드레스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60), 상기 운영서버에서 생성되는 대화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 사용자의 각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신호를 문자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통신으로 제공하는 문자변환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초대 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가족 또는 친구의 목록(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IP어드레스 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통신 모듈(212)에서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영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공유 콘텐츠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시스템.
In a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shared content that a plurality of users share and use a content service,
The shared content provided to a plurality of users is executed using the video device 20, which is any one of TV, monitor, screen and projector, video display device, and smart phone, and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pre-selected conversation channel.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to perform, and
An operation server 100 that provides shared content to pre-selected user terminals and creates and provides a chat channel so that a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s is possible,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the invitation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ccording to the content request signal, the main controller 110 that match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invitation lis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nnel generating unit 120, which creates a conversation channel that can share conversations with each other through voice or video chatting between users based on the IP address or user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main controller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A content providing unit 130 that selects the correspon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request signal from the databas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invitation list, and a database 140 that stores the content to be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movie, Provides real-time video or pre-recorded content including dramas, sports events, and music performances,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voice communication to enable voice conversation between users, and a voice communication module ( 211) and a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ing a video communication module 212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including a video camera that captures and transmits a user's video so that a video call between users is possible, and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The user terminal and the video device ( 20), the interface unit 240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tored in any one of the user terminals to the user terminal of the conversation channel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s well a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the display unit 260 for displaying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of the invit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s phone number,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ed in the chat channel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and a text conversion unit 270 that recognizes each voice signal of the
The display unit 26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o display a list of family members or friends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s phone number) for the user to send an invitation signal, and the video communication module ( 212), a user image for a video call is displayed so that a video call is possible, and the shar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receiving unit 220 is received and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nd utilization syste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70267A 2020-06-10 2020-06-10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KR102391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67A KR102391327B1 (en) 2020-06-10 2020-06-10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67A KR102391327B1 (en) 2020-06-10 2020-06-10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347A KR20210153347A (en) 2021-12-17
KR102391327B1 true KR102391327B1 (en) 2022-04-27

Family

ID=7903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67A KR102391327B1 (en) 2020-06-10 2020-06-10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3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790A1 (en) * 2022-11-15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54B1 (en) * 2005-08-30 2009-10-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service sharing and controling contents in voice session and thereof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48B1 (en) 2004-11-25 200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ng contents with interactivity, apparatus for managing of the contents,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contents using th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54B1 (en) * 2005-08-30 2009-10-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service sharing and controling contents in voice session and thereof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347A (en)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55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active television and voice communication services
JP46551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980712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7508413B2 (en) Video conference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dapted for small display of mobile terminals
US20140049597A1 (en) Transmiss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738559B (en) Screen projectio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00095343A1 (en) Audiovisua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n Audiovisual Apparatus, and Method of Distributing Data
US9819704B2 (en)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2391327B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nd use shared content
US10044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US20140002583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07618A1 (en) Video call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0021345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0681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0337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ty during playing broadcasting signal
JP549159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JP3143731U (en) Videophone terminal and videophone system
JP2008288962A (en) Television receiver
JP5059901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JP2007281600A (e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content switching method
JP2013197740A (en)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program
JP429697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5529617B2 (en) Remote conference apparatus, remote conference method, and remote conference program
KR102434266B1 (en) Video call device for TV and method using the same
JP502581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