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19B1 - 전송 전력 제어 - Google Patents

전송 전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219B1
KR102391219B1 KR1020207025747A KR20207025747A KR102391219B1 KR 102391219 B1 KR102391219 B1 KR 102391219B1 KR 1020207025747 A KR1020207025747 A KR 1020207025747A KR 20207025747 A KR20207025747 A KR 20207025747A KR 102391219 B1 KR102391219 B1 KR 10239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packet
transmit power
power level
variants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011A (ko
Inventor
리프 빌헬름슨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0011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방법은,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해서 개시된다. 방법은 -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채널 감지를 수행하는 것과,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채널 감지를 수행하기 전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과 관련된다.
그 다음,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및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는 배열, 무선 통신 노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송 전력 제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서 전송의 제어와 관련된다.
다른 장치가 무선 통신 채널을 공유할 때, 공존 접근들이 필요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이익이 될 수 있다. 이는, 장치가 전체 네트워크 코디네이션이 없지만 동일한 통신 표준(예를 들어, IEEE 802.11)에 따라서 동작할 때만 아니라 장치가 다른 통신 표준에 따라서 동작할 때, 참이 될 수 있다. 특별히 관련된 예는, 통신 채널이 라이센스되지 않은 주파수 밴드(예를 들어, 2.45 GHz ISM 밴드 또는 5 GHz 밴드 중 하나) 내에 포함될 때이다.
통상 사용된 공존 접근은 리슨 비포 톡(LBT) 프로세스에 기반하는데, 이는, 또한, 충돌 회피를 갖는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SMA/CA)로서 공지된다. 이 접근에 따르면, 전송을 위해서 무선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는 장치는 채널을 감지하고 통신 채널이 비지(busy)(사용 중,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점유된) 또는 아이들(idle)(점유되지 않은)인지를 결정한다. 통신 채널이 비지가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전송은 연기된다. 통신 채널이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전송은 개시된다. 이 접근은, 통신 채널이 아직 사용되지 않을 때만, 전송을 개시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감지 프로세스는, 전형적으로, 임계치 값(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전력의 면에서 규정된)에 기반한다. 통신 채널은, 감지 메트릭(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전력)이 임계치 값 아래일 때 아이들로서 결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비지로서 결정될 수 있다.
임계치 값을 선택하기 위한 전형적인 고려는, 이것이, 전송의 예상 개시가 충돌로 귀결될 개연성이 있으면 검출되는 다른 장치로부터 진행 중인 전송에 대해서 충분히 낮게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임계치 값을 선택하기 위한 또 다른 전형적인 고려는, 이것이 충돌의 면에서 해롭지 않게 될 때, 예상 전송을 연기하지 않기 위해서 충분히 높게 되어야 하는 것이다. 임계치 값이 감소할 때, 채널 액세스가 연기될 확률은 증가한다. 임계치 값이 증가하면, 충돌을 일으키는 확률은 증가된다.
예시의 일례로서, IEEE 802.11에 있어서, 채널이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선언하기 위한 전력 임계치 값은 IEEE 802.11 프리앰블이 검출되면 -82 dBm이고, 프리앰블이 없지만 에너지가 검출되면 -62 dBm이다. 이는, 효과적으로, IEEE 802.11 장치가 채널을 감지하는 중이면, IEEE 802.11 프리앰블을 사용하지 않는 전송 장치에 대해서 20 dB이 더 적극적이다. IEEE 802.11에서 선택된 값은 채널 액세스를 불필요하게 연기하는 확률과 충돌을 일으킬 확률 사이의 절충으로서 볼 수 있다.
임계치 값이 주의해서 선택되더라도, 적합한 임계치 값은, 전형적으로, 매우 상황 의존적이 될 수 있다. 일부 접근에 있어서(예를 들어, IEEE 802.11ax에서 적용됨에 따라), 그러므로, 선택된 최대 전송 전력에 응답해서 변화하는 적응형 임계치 값이 있다. 이러한 접근에 있어서, 충돌을 일으킬 확률은 최대 전송 전력이 더 낮게 될 때 증가하므로, 더 낮은 최대 전송 전력은 더 높은 임계치 값을 허용할 수 있다.
US 2013/0203458 A1은 공유된 밴드 내에서 통신하기 위한 전송 전력 구성의 선택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선택은 리슨 비포 톡 접근 없이 미리 결정된 전력 임계치 아래의 전송 전력을 적용하는 낮은 전송 전력 구성과 적어도 미리 결정된 전력 임계치의 전송 전력을 적용하는 높은 전송 전력 구성 사이에서이다.
US 2016/0309420 A1은 간섭 정보에 기반해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 측정된 에러 레이트가 타깃 에러 레이트와 다를 때 패킷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 및 전송 전력에 따라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접근의 여전히 남아 있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전송 전력이 결정되고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사용하는 감지가 채널을 비지가 되는 것으로 결정하면, 더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면, 대응하는 더 높은 임계치 값을 사용하는 감지를 위해서 채널이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제공되었을 수도 있다. 더 낮은 전송 전력이 성공적인 전송에 충분했다면, 채널의 커패시티는 이 시나리오에서 낭비되었다.
더욱이, 최대 전송 전력이 결정되고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사용하는 감지가 아이들이 되는 채널을 결정하면, 더 높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면, 대응해서 더 낮은 임계치 값을 사용하는 감지를 위해서 아이들이 되는 채널이 제공되었을 수도 있다. 더 높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것은, 전형적으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채널의 커패시티는 이 시나리오에서 낭비되었다.
그러므로,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에 대한 대안적인, 및 바람직하게 개선된, 접근에 대한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안적인 접근은 채널 커패시티의 활용의 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이러한 효율은 하나 이상의 다음의 면에서 측정될 수 있는데, 다음은: 예상 전송의 불필요한 연기의 수 및 충돌의 수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포함하는"은, 기술된 형태, 정수,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명기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형태,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닌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콘택스트가 명확히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일부 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또는 다른 단점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 또는 경감, 완화,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1측면에 따르면, 이는,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방법은 -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채널 감지를 수행하는 것과,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선택된 코딩 레이트 및/또는 선택된 변조를 사용해서 전송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다가오는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감지는 하나 이상의 수신된 신호 전력, 수신된 신호 에너지, 및 미리 규정된 시그너처 시퀀스의 수신된 전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채널 감지를 수행하기 전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과 관련된다. 그 다음,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및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은 서브세트의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에 속하고, 서브세트의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보다 낮은, 또는 이와 동등한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은 서브세트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 중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는 서브세트의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 중 최대 데이터 레이트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코딩 레이트 및 각각의 변조와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은 복수의 미리 규정된 변조 및 코딩 방안(MCS) 중 각각의 하나를 사용해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은 체계적인 코드를 사용해서 싱글 전송 패킷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것은 체계적인 코드의 패리티 비트의 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은 싱글 전송 패킷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것은 변조의 순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면은,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 유닛 내에 로드 가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 처리 유닛에 의해서 구동될 때, 제1측면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3측면은,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배열이다. 배열(또는 장치)은 -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의 결정을 위한 채널 감지의 수행,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의 결정, 및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4측면은 제3측면의 배열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노드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상기 측면은 추가적으로 소정의 다른 측면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소정의 다양한 형태와 동일한 또는 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장점은, 대안적인 접근이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전송 전력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채널 커패시티의 더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전송 전력 제어를 고려해서 순시 채널을 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면은, 스케일에 따를 필요는 없고, 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 강조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 일례의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송 패킷 변형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에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에 걸쳐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포함하는"은, 기술된 형태, 정수,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명기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형태,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닌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콘택스트가 명확히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더 완전히 기술 및 예시될 것이다. 그런데, 본 개시에 개시된 솔루션은, 많은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LBT(일명, CSMA/CA)의 원리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접근에 있어서, 패킷은 최대 전송 전력이 설정되면 및 실재 감지가 수행되지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송에 대해서 준비된다. 이는, 패킷 준비가, 전형적으로, 채널이 아이들로 결정된 후 전적으로 발생하는데 너무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예에 있어서, 채널 감지 전의 패킷 준비는 최대 전송 전력에 기반해서 선택된 변조 및 코딩 방안(MCS)을 사용해서 인코딩된 패킷을 생성하는 것만 아니라 수신기가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어 정보를 생성 및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이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패킷의 준비는 완결될 수 있고 패킷은 전송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에 있어서, 채널 감지 후 패킷 준비를 완결하는 것은, 변조 및 무선 주파수로의 업-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이 비지가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패킷의 준비는, 전형적으로, 완결되지 않고 패킷의 전송은 연기될 수 있다.
최대 전송 전력에 기반한 감지 임계치 값의 적응형 선택이 유익하더라도, 최대 전송 전력이 감지의 순간에서의 상황에 적합하다는 보장은 없고, 이에 의해서, 상기된 바와 같은 채널 커패시티를 낭비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MCS는 순시 채널 조건에 대해서 최적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무선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스테이션(STA), 또는 사용자 장비(UE)) 또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및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기지국(BS))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감지는 최대 전력 레벨의 결정 전 수행되고, 최대 전력 레벨은 채널 감지의 결과에 기반해서 결정된다. 이에 의해서, 최대 전력 레벨은 실재 채널 조건에 기반해서 적응되고 채널 커패시티의 상기된 낭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 일례의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STA1)(100)는 네트워크 노드(AP1)(110)에 대한 예상(다가오는) 전송(102)을 준비한다. 또 다른 무선 통신 장치(STA2)(120)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AP2)(130)에 전송(122)하다. STA1이 예상 전송(102)에 대한 준비에서 채널을 감지할 때, STA2의 전송(122)에 의해서 야기된, 121로 도시된, 간섭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사한 고려를 간섭의 다른 소스(예를 들어, STA2 및/또는 AP와 다른 STA)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도시한다. 방법(200)은, 전형적으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STA1) 또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도 1의 AP1)가 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채널 감지는,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수행된다. 채널 감지는 소정의 적합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간섭 레벨을 수량화하기 위해서 소정의 적합한 메트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감지는 수신된 신호 전력의 면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 수신된 신호 에너지, 또는 미리 규정된 시그너처 시퀀스의 수신된 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리앰블 검출).
종래 기술의 접근과 대조적으로, 채널 감지는, 전형적으로, 채널이 아이들 또는 비지가 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서 결정된 간섭 레벨을 임계치 값에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방법은 단계 23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허용 가능한/허락된) 전송 전력 레벨이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결정된다.
전형적으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은,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이 감지를 위한 대응하는 임계치 레벨로 귀결되었다면, 결정된 간섭 레벨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감지 접근에서 아이들로서 결정되는 채널로 귀결하게 되도록, 결정된다. 추가적으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은 이 조건을 이행하는 최고 전송 전력 레벨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은 제한된 복수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로부터 하나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의 선택에 의해서 단계 230에서 결정된다.
단계 240에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선택된다.
일부 시나리오에 있어서, 결정된 간섭 레벨은 너무 높게 될 수 있으므로, 아이들 채널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조건(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조건)을 이행하는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발견하는 것은 가능(또는 실행 가능)하지 않다. 일례는, 제한된 복수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이 조건을 이행하는 소정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포함하지 않을 때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단계 230은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제로로 결정하는 것 및 다가오는 전송을 연기 또는 자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많은 시나리오에 있어서, 아이들 채널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조건(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조건)을 이행하는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발견하기 것은 가능(또는 실행 가능)하다. 그 다음, 방법은, 단계 250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다가오는 전송은 전송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고,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보다 높지 않은 전송 전력에서, 선택된 코딩 레이트 및/또는 선택된 변조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200)은, 옵션의 단계 210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감지를 수행하기 전에 복수의(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과 관련되고, 이에 의해서 제한된 복수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형성한다.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은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모두에 대해서 다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일부의 전송 패킷 변형에 대해서 일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모든 전송 패킷 변형은 동일한 페이로드를 갖고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로 귀결되는 각각의 코딩 레이트 및/또는 각각의 변조와 관련된다. 각각의 코딩 레이트 및/또는 각각의 변조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모든 전송 패킷 변형에 대해서 다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일부 전송 패킷 변형에 대해서 동일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240에서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및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옵션의 서브단계 2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은 서브세트의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에 속할 수 있고, 서브세트의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보다 낮은, 또는 이와 동등한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선택 조건은,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은 서브세트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 중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인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선택 조건은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가 서브세트의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 중 최대 데이터 레이트인 것이 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모든 전송 패킷 변형에 대해서 다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일부 전송 패킷 변형에 대해서 동일한 것이 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이 단계 210에서 준비되고, 각각은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로 귀결되는 코딩 레이트 및/또는 변조에 따른다. 단계 220에서 결정된 간섭 레벨은, 그 다음,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이에 의해서 단계 240에 따른 코딩 레이트 및/또는 변조를 선택). 이 선택은 단계 230을 통해서 행해지고; 그 조건하에서,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최대 전송 전력 레벨보다 낮은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을 가져야 하고, 여기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은 결정된 간섭 레벨을 갖는 채널의 아이들 결정과 관련된다. 전형적으로, 전송 패킷 변형 중 선택된 하나는 조건을 이행하는 전송 패킷 변형 중의 최고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프리앰블을 부가하는 포워드 에러 교정(FEC)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50은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으로부터 전송 패킷을 도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패킷을 도출하는 것은, 예를 들어, 변조를 수행 및 제어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3개의 예(a, b, c)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이 복수의 미리 규정된 변조 및 코딩 방안(MCS) 중 각각의 하나를 사용해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근을 도시한다. 이 접근에 있어서, 도 2의 단계 240은 준비된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내의 적어도 일부의 전송 패킷 변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a)의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은 2개의 전송 패킷 변형(310, 320)을 포함한다. 전송 패킷 변형(310)은, 프리앰블(PA)(311), 제어 부분(CNTR)(312), 및 페이로드 부분(313)을 갖고, 여기서 페이로드 부분은 제1변조 및 코딩 방안(MCS1)을 사용하는 인코딩된 데이터(ENC DATA)를 포함한다. 전송 패킷 변형(320)은, 프리앰블(PA)(321), 제어 부분(CNTR)(322), 및 페이로드 부분(323)을 갖고, 여기서 페이로드 부분은 제2변조 및 코딩 방안(MCS2)을 사용하는 인코딩된 데이터(ENC DATA)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3개의 다른 패킷이 MCS0, MCS4, 및 MCS7를 사용해서 준비될 수 있다. 그 다음, 채널이 감지되고, 패킷 중 어떤 것이 최대 전송 전력 레벨(max TX 전력)에 기반해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뒤따르는 규칙이 적용된다:
- Max TX 전력 15dB 이상 => MCS7를 갖는 패킷을 전송
- Max TX 전력 15 dBm 미만이지만 6 dBm 이상 => MCS4를 갖는 패킷을 전송
- Max TX 전력 6dBm 미만이지만 -6dBm 이상 => MCS0을 갖는 패킷을 전송
- Max TX 전력 -6dBm 미만 => 전송 연기
도 3(a)의 예로서, 완벽한 패킷은, 전형적으로, 단지 인코딩된 데이터(313, 323) 이상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일부 종류의 프리앰블(311, 321)은 데이터에 미리 추가된다. 프리앰블은, 예를 들어, 시간 동기화, 주파수 추정, 및 채널 추정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앰블은 생성을 위해서 매우 단순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생성은 즉석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는, 미리 생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패킷은, 전형적으로, 또한, 패킷의 적합한 수신을 위해서 필요한 일부 종류의 제어 정보(312, 3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정보는, 전형적으로, 사용된 MCS 및 패킷의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이 감지되기 전에 준비된 패킷의 수는 성능과 복잡성 사이에서 트레이드 오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성능 측정의 한 예로 볼 수 있는 채널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MCS 각각에 대한 패킷이 준비될 수 있다. 한편, 준비된 패킷의 수는 복잡성 이유로 제한될 수 있다.
도 3(b)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이 체계적인 코드를 사용해서 싱글 전송 패킷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근을 도시한다. 이 접근에 있어서, 도 2의 단계 240은 체계적인 코드의 패리티 비트의 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은 싱글 전송 패킷의 패리티 비트의 다른 수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내의 전송 패킷 변형은 시간에서 다른 길이를 내재적으로 갖는다.
도 3(b)의 예에 있어서, 싱글 전송 패킷 변형(330)이, 프리앰블(PA)(331), 제어 부분(CNTR)(332), 및 페이로드 부분(333)을 갖고, 여기서 페이로드 부분은 체계적인 코드를 사용해서 인코딩된 데이터(ENC DATA)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서 인코딩된 데이터는 정보 비트의 제1부분(337) 및 패리티 비트의 제2부분(338)을 포함한다. 단계 240의 선택은, 전체 싱글 전송 패킷(330)을 사용하는, 또는 싱글 전송 패킷(330)의 부분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일부의 패리티 비트가 제거(335 또는 336에서 트렁케이트)되거나 또는 모든 패리티 비트가 제거된다(334에서 트렁케이트). 따라서, 도 3(b)의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은 4개의 전송 패킷 변형을 포함한다. 이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은, 전형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지만, 동일한 변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c)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것이 싱글 전송 패킷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근을 도시한다. 이 접근에 있어서, 도 2의 단계 240은 변조의 순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은 싱글 전송 패킷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의 다른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내의 전송 패킷 변형은, 전형적으로, 시간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다른 밴드폭을 갖는다. 이에 의해서, 이 접근은, 주파수에서 사용자를 멀티플렉싱하기 위해서 특히 적합하다(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도 3(c)의 예에 있어서, 싱글 전송 패킷(340)이, 프리앰블(PA)(341), 제어 부분(CNTR)(342), 및 페이로드 부분(343)을 갖고, 여기서 페이로드 부분은 인코딩된 데이터(ENC DATA)를 포함한다. 단계 240의 선택은 변조의 다른 순서를 사용해서 변조된 전체 싱글 전송 패킷(340)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의 다른 순서는, 전형적으로, 다른 밴드폭(344, 345, 346, 347)으로 귀결된다(예를 들어, 256QAM에 대응 - 직교 진폭 변조, 16QAM, QPSK -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및 BPSK - 2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각각). 따라서, 도 3(c)의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은 4개의 전송 패킷 변형을 포함한다.
특정 예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코드를 사용해서 인코딩되고 변조는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해서 선택된다. 채널이 감지되고, 어떻게 패킷이 최대 전송 전력 레벨(max TX 전력)에 기반한 전송 전에 변조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뒤따르는 규칙이 적용된다:
- Max TX 전력 15 dBm 이상 => 256-QAM
- Max TX 전력 15 dBm 미만이지만 10 dBm 이상 => 16-QAM
- Max TX 전력 10dBm 미만이지만 5dBm 이상 => QPSK
- Max TX 전력 5dBm 미만 => BPSK
256-QAM은 하나의 심볼에서 8 비트의 정보를 반송하고, 16-QAM은 하나의 심볼에서 4 비트의 정보를 반송하며, QPSK는 하나의 심볼에서 2 비트의 정보를 반송하고, 및 BPSK는 하나의 심볼에서 1 bit의 정보를 반송하므로, 밴드폭은, 바람직하게는, 대응해서 선택된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가 사용되고 자원 유닛(RU) 중 가장 작은 밴드폭이 2 MHz이면, 패킷의 전송에 대해서 할당된 RU의 수는 채널 감지로부터 결정된 간섭 레벨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숫자의 예를 계속하면, 다음과 같이 명백하게 될 수 있다:
- Max TX 전력 15 dBm 이상 => 1 RU
- Max TX 전력 15 dBm 미만이지만 10 dBm 이상 => 2 RU
- Max TX 전력 10dBm 미만이지만 5dBm 이상 => 4 RU
- Max TX 전력 5dBm 미만 => 8 RU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 따르면, 더 적은 밴드폭은, 더 높은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이 사용될 수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는데, OFDMA에서 주파수 멀티플렉싱을 통해서 다른 사용자에 더 많은 동시 전송을 허용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배열(4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의 배열은, 예를 들어,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4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의 배열은, 도 2와 관련해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의 배열은, 도 2와 관련해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열은 -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 (도 2의 단계 220과 비교해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의 결정을 위한 채널 감지의 수행, (도 2의 단계 230과 비교해서)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의 결정, 및 (도 2의 단계 240과 비교해서)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CNTR)(400)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제어 회로(400)는 하나 이상의: 채널 감지 회로(CS)(401), 결정 회로(DET)(402), 및 선택 회로(SEL)(403)를 포함,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와 관련될 수 있다. 채널 감지 회로(401)는,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의 결정을 위한 채널 감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정 회로(402)는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회로(403)는,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도 2의 단계 210과 비교해서) 채널 감지의 수행 전에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제어 회로(400)는,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도록 구성된 준비 회로(PREP)(404)를 포함,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와 관련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도 2의 단계 250과 비교해서) 전송 패킷을 전송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제어 회로(400)는, 전송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회로(예를 들어, 전송기; 도 4에 도시된 TX/RX)(430)와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LBT 시스템에서 최적의 전송 전력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방법 및 장치는, 이것이 공지되지 않은 곳, 패킷이 포맷될 때, 어떤 전송 전력이 사용될 수 있을 상황에서 패킷의 전송을 위해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적합한 전송 전력 레벨이 공지되기 전에(즉, 채널 감지 전에) 베이스밴드 처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더라도, 적합한 전송 전력 레벨에 대한 효율적인 전송 패킷의 온 더 플라이(on the fly) 재단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이 제공된다. 실시예는, 어떤 전송 전력 레벨이 사용될 수 있는지가 공지된 이후까지 전송할 어떤 패킷 형태의 선택의 연기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리슨 비포 톡 방안은, 높은 전송 전력으로 채널에 액세싱하는 낮은 확률과 낮은 전송 전력으로 채널에 액세싱하는 높은 확률 사이의 통상적인 트레이드 오프가 회피되는 곳에서, 적용될 수 있다. 순시 채널 조건에 적응하는 접근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큰 전송 전력을 사용해서 채널에 액세싱하는 확률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서 시스템 성능이 향상된다.
무선 채널에 걸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형적으로, 가능한 높은 레이트에서 전송하는 한편, 수신기가 전송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는 높은 확률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필요하게 낮은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되면, 채널의 커패시티는 낭비되고; 이는, 예를 들어, 채널 점유가 불필요하게 크게 되는 것으로 귀결된다(이에 의해서 커패시티는 낭비된다). 너무 높은 데이터 레이트가 사용되면, 패킷은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을 수 있고, 재전송되어야 한다(이에 의해서 커패시티는 낭비된다).
라이센스되지 않은 밴드에서 동작하는, 및 그 채널 액세스가 리슨 비포 톡(LBT; 일명, CSMA/CA)의 원리에 기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의 전송은, 전형적으로, 도전받는다.. 이 이유는, 이것이 채널 액세스를 획득하기 위해서 비교적 긴 시간을 취할 수 있는 것, 및 간섭 조건이 크게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LBT 하에서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채널은, 먼저,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채널이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전송을 위한 패킷을 갖는 장치는 채널에 대한 경쟁을 시작할 수 있다. 채널에 대한 경쟁은, 전형적으로,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를 포함하는 메커니즘에 기반하는데, 이는, 송신할 데이터를 갖는 2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전송을 개시하는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충돌로 귀결된다. 채널이 비지가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장치는, 상기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채널이 아이들이 되는 것을 대기한다. 다수의 오버랩하는 네트워크로부터 많은 진행 중인 전송을 갖는 상황에 있어서, 채널이 매우 흔히 비지가 되는 것으로 결정될 높은 확률이 있는데, 이는, 장치가 단지 채널에 대한 경쟁을 시작하기 위해서 긴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많은 실재적인 상황에 있어서, 아이들이 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채널에 대해서 대기하는 것을 불필요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상황에 있어서, 적합한 전송 전력 레벨이 사용되면 이미 진행 중인 검출된 전송을 망치지 않고, 채널에 액세스하고 및 패킷을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수의 셀이 오버랩 및 서로 간섭할 때 높은 애그리게이트를 획득하기 위해서, 하나의 접근은 필요한 것보다 높은 전력 레벨에서 전송하지 않는 것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간섭을 감시하고 및 동시 전송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먼저, 채널을 감지하고, 수신된 신호 전력을 미리-결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이 간섭하는 신호 전력이 변할 때 효과적인 방법으로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양호한 접근이 아닐 수 있는 것을 인식했다. 대신, 역순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결정된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해서 감지 임계치를 선택하는 대신, 최대 허용 가능한 전송 전력 레벨은 경험된 간섭 전력 레벨에 기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채널 액세스는 (원리적으로) 항상, 충분히 낮은 전송 전력 레벨의 적용에 의해서 보장될 수 있다. 실재로, 그런데, 그 아래에서 채널 액세스가 의미 없는, 하한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간섭 레벨이 너무 높아서 최대 허용 가능한 전송 전력 레벨이이 하한 아래일 때, 채널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간단히 액세스되지 않을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 및 그들의 등가물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일반 목적 회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 목적 회로의 예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중앙 처리 유닛(CPU), 코-프로세서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및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ASIC)와 같은 특화된 회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 목적 회로 및/또는 특화된 회로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와 같은 장치와 관련 또는 이것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로, 및/또는 로직을 포함하는 전자적인 장치(무선 통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내에 나타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자적인 장치(무선 통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플러그-인 카드, 매립된 드라이브 또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도 5는 콤팩트 디스크(CD) ROM(500)의 형태로 일례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도시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51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 프로세서(PROC)(520) 내에 로드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 유닛 내에 로드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처리 유닛과 관련된 또는 이것 내에 포함된 메모리(MEM)(53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 유닛 내에 로드 및 이에 의해서 구동될 때,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본 개시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방법 단계의 실행을 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QQ411) 및 코어 네트워크(QQ4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QQ4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QQ411)는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기지국(QQ412a, QQ412b, QQ412c)을 포함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QQ413a, QQ413b, QQ413c)을 규정한다. 각각의 기지국(QQ412a, QQ412b, QQ412c)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QQ415)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QQ414)에 접속 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QQ413c) 내에 위치된 제1사용자 장비(UE, QQ491)는 대응하는 기지국(QQ412c)에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QQ413a) 내의 제2UE(QQ492)는 대응하는 기지국(QQ412a)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다. 복수의 UE(QQ491, QQ492)가 이 예에서 도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유일한 UE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거나 또는 유일한 UE가 대응하는 기지국(QQ412)에 접속하는 상황에 동동하게 적용 가능하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QQ410)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된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 팜(server farm) 내의 처리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QQ430)에 자체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QQ4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권 또는 제어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또는 서비스 제공자 대신 동작할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QQ410)와 호스트 컴퓨터(QQ430) 사이의 접속(QQ421, QQ422)은 코어 네트워크(QQ4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QQ430)로 직접 연장하거나 또는 옵션의 중간 네트워크(QQ420)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QQ420)는 공공,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있다면, 중간 네트워크(QQ420)는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네트워크(QQ420)는 2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 도 6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UE(QQ491, QQ492)와 호스트 컴퓨터(QQ430)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QQ450)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QQ430) 및 접속된 UE(QQ491, QQ492)는, 액세스 네트워크(QQ411), 코어 네트워크(QQ414), 소정의 중간 네트워크(QQ420) 및 가능한 또 다른 인프라스트럭처(도시 생략)를 중간자로서 사용해서, OTT 접속(QQ450)을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QQ450)은 OTT 접속(QQ450)이 통과하는 참가하는 통신 장치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의미에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QQ412)은 접속된 UE(QQ491)에 포워딩(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QQ430)로부터 기원하는 데이터를 갖는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서 통지받지 않거나 통지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QQ412)은 호스트 컴퓨터(QQ430)를 향해서 UE(QQ491)로부터 기원하는 인출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선행하는 문단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의 구현이, 이제 도 7을 참조해서 기술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QQ500)에서, 호스트 컴퓨터(QQ510)는 통신 시스템(QQ5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QQ5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QQ5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QQ510)는 스토리지 및/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QQ5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QQ518)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QQ510)는 호스트 컴퓨터(QQ5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QQ51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QQ5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QQ5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은 UE(QQ530) 및 호스트 컴퓨터(QQ5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QQ550)을 통해서 접속하는 UE(QQ5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은 OTT 접속(QQ550)을 사용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QQ500)은,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제공되고 이것이 호스트 컴퓨터(QQ510) 및 UE(QQ5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QQ525)를 포함하는 기지국(QQ5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QQ525)는 통신 시스템(QQ5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QQ526)만 아니라 기지국(QQ520)에 의해서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7에서 도시 생략)에 위치된 UE(QQ530)와 적어도 무선 접속(QQ570)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QQ5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QQ526)는 호스트 컴퓨터(QQ510)에 대한 접속(QQ5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QQ5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는 원격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7에 도시 생략)를 통과 및/또는 원격 통신 시스템 외측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QQ520)의 하드웨어(QQ52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QQ5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QQ520)은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 접속을 통해서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QQ521)를 더 갖는다.
통신 시스템(QQ500)은 이미 언급된 UE(QQ530)를 더 포함한다. 그 하드웨어(QQ535)는 UE(QQ530)가 현재 위치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 무선 접속(QQ570)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QQ537)를 포함할 수 있다. UE(QQ530)의 하드웨어(QQ53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QQ538)를 더 포함한다. UE(QQ530)는 UE(QQ5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QQ53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QQ5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QQ5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은, 호스트 컴퓨터(QQ510)의 지원과 함께, UE(QQ530)를 통해서 휴먼 또는 비휴먼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QQ510)에 있어서, 실행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은 UE(QQ530) 및 호스트 컴퓨터(QQ5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QQ550)을 통해서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클라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QQ5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해서 이것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QQ510), 기지국(QQ520) 및 UE(QQ530)가, 각각 도 6의 호스트 컴퓨터(QQ430), 기지국(QQ412a, QQ412b, QQ412c) 중 하나 및 UE(QQ491, QQ492) 중 하나와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즉, 이들 엔티티의 내부 작업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6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OTT 접속(QQ550)은, 소정의 중간 장치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및 이들 장치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 없이, 기지국(QQ520)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QQ510)와 UE(QQ530)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기 위해서 추상적으로 그려졌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UE(QQ530)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QQ510)를 동작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모두로부터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접속(5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해서)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행할 수 있다.
UE(QQ530)와 기지국(QQ520) 사이의 무선 접속(QQ570)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른다.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접속(QQ570)이 최종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접속(QQ550)을 사용해서 UE(QQ530)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특히, 이들 실시예의 교시는 채널 커패시티의 활용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개선된 시스템 성능과 같은 이익을 제공한다.
측정 절차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하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팩터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해서, 호스트 컴퓨터(QQ510)와 UE(QQ530) 사이의 OTT 접속(QQ5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옵션의 네트워크 기능성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접속(QQ5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성은 호스트 컴퓨터(QQ510)의 소프트웨어(QQ511) 및 하드웨어(QQ515) 또는 UE(QQ530)의 소프트웨어(QQ531) 및 하드웨어(QQ530), 또는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도시 생략)는 OTT 접속(QQ550)이 통과하는 통신 장치 내에 또는 통신 장치와 관련해서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 예시된 감시된 수량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QQ511, QQ531)가 감시된 수량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인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 OTT 접속(QQ5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 선호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QQ5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이는 기지국(QQ520)에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감지될 수 없다. 이러한 절차 및 기능성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실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QQ5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이것이 전파 시간, 에러 등을 감시하는 동안 OTT 접속(QQ550)을 사용해서 메시지, 특히 빈(empty) 또는 '더미(dummy)'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소프트웨어(QQ511 및 QQ53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6 및 7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8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QQ6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610의 서브단계 QQ6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6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QQ6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전송에서 반송했던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 QQ64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6 및 7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9를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 QQ7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옵션의 서브단계(도시 생략)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7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전송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과할 수 있다. 단계 QQ7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6 및 7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0을 참조하는 것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QQ81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QQ820에 있어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820의 서브단계 QQ82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810의 서브단계 QQ8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반응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되었던 특정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서브단계 QQ8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방법의 단계 QQ84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6 및 7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1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QQ91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QQ92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QQ9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서 개시된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다른 의미가 이것이 사용되는 콘텍스트로부터 명확히 주어지지 않는 한 및/또는 이로부터 의미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그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서 해석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본 개시에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여전히 있는 기술된 실시예의 다수의 변형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술된 방법 실시예는 소정의 순서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통해서 예의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들 시퀀스의 이벤트가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더욱이, 일부 방법 단계는, 이들이 시퀀스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더라도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방법의 단계는,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는 또는 선행하는 것으로서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히 순서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및/또는, 암시적으로 단계는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거나 또는 선행해야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유닛 내로의 기능 블록의 파티션은 결코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확실히, 이들 파티션은 단지 예들이다. 하나의 유닛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적인 블록은 2 이상의 유닛으로 분할될 수 있다. 더욱이, 2 이상의 유닛으로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적인 블록은 더 적은 (예를 들어, 싱글) 유닛 내에 병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실시예의 소정의 형태는, 적합한 경우,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정의 실시예 중 소정의 장점은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된 실시예의 세부 사항이 도시의 목적을 위해서 제시된 예일 뿐이며,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이 여기에 포함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의 실시예
그룹 A 실시예
A1.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된 전력 제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채널 감지를 수행(220)하는 것과;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230)하는 것과;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240)하는 것을 포함한다.
A2. 그룹 A에서 소정의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기지국에 전송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룹 B 실시예
B1. 기지국에 의해서 수행된 전력 제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채널 감지를 수행(220)하는 것과;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230)하는 것과;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240)하는 것을 포함한다.
B2. 그룹 B에서 소정의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과;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 또는 무선 장치에 포워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룹 C 실시예
C1. 전력 제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무선 장치는: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와;
무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한다.
C2. 전력 제어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으로서, 기지국은: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와;
기지국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한다.
C3. 전력 제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로서, UE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와;
안테나 및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안테나와 처리 회로 사이에서 통신된 신호를 컨디셔닝하도록 구성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와;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와;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처리 회로에 의해서 처리되는 UE 내에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와;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처리 회로에 의해서 처리된 UE로부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와;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UE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그룹 D 실시예
D1.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와;
무선 장치(UE)에 전송하기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드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갖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기지국의 처리 회로는 그룹 B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2. 실시예 D1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D3. 소정의 실시예 D1 내지 D2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UE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4. 소정의 실시예 D1 내지 D3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UE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D5.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서 UE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그룹 B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한다.
D6. 실시예 D5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7. 소정의 실시예 D5 내지 D6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되고, 방법은, UE에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8.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로서,
UE는 소정의 실시예 D5 내지 D7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D9.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와;
사용자 장비(UE)에 전송하기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드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UE의 컴포넌트는 그룹 A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10. 실시예 D9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D11. 소정의 실시예 D9 내지 D10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UE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D12.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서 UE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그룹 A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한다.
D13. 실시예 D12의 방법에 있어서,
UE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14.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UE의 처리 회로는 그룹 A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15. 실시예 D14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UE를 더 포함한다.
D16. 소정의 실시예 D14 내지 D15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에 의해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D17. 소정의 실시예 D14 내지 D16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UE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D18. 소정의 실시예 D14 내지 D17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요청 데이터를 제공하고;
UE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D19.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UE로부터 기지국에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UE는 그룹 A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한다.
D20. 실시예 D19의 방법에 있어서,
UE에서, 기지국에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21. 소정의 실시예 D19 내지 D20의 방법에 있어서,
UE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호스트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22. 소정의 실시예 D19 내지 D21의 방법에 있어서,
UE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과;
UE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에 응답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공된다.
D23.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로서,
UE는 소정의 실시예 D19 내지 D22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D24.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기지국의 처리 회로는 그룹 B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된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25. 실시예 D24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D26. 소정의 실시예 D24 내지 D25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UE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UE는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27. 소정의 실시예 D24 내지 D25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UE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D28.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UE로부터 수신한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UE는 그룹 A 실시예의 소정의 단계를 수행한다.
D29. 실시예 D28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30. 소정의 실시예 D28 내지 D29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31.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UE로부터 수신한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그룹 A 실시예의 소정의 단계를 수행한다.
D32. 실시예 D31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33. 소정의 실시예 D31 내지 D32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Claims (19)

  1.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채널 감지를 수행(220)하는 단계와;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230)하는 단계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240)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채널 감지를 수행하기 전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310, 320, 330 , 340)을 준비(21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과 관련되고, 및 여기서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240)하는 단계는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및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245)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코딩 레이트 및/또는 선택된 변조를 사용해서 전송 패킷을 전송(250)함으로써 다가오는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채널 감지는 하나 이상의 다음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음은:
    - 수신된 신호 전력;
    - 수신된 신호 에너지; 및
    - 미리 규정된 시그너처 시퀀스의 수신된 전력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은 서브세트의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에 속하고, 서브세트의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보다 낮은, 또는 이와 동등한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을 갖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은 서브세트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 중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선택된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는 서브세트의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 중 최대 데이터 레이트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코딩 레이트 및 각각의 변조와 관련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단계는 복수의 미리 규정된 변조 및 코딩 방안(MCS) 중 각각의 하나를 사용해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310, 32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단계는 체계적인 코드를 사용해서 싱글 전송 패킷을 준비(330)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단계는 체계적인 코드의 패리티 비트의 수를 선택(334, 335, 336)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준비하는 단계는 싱글 전송 패킷을 준비(340)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을 선택하는 단계는 변조의 순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50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 유닛 내에 로드 가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 처리 유닛에 의해서 구동될 때,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 리슨 비포 톡(LBT) 절차에 따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노드에 대한 장치로서, 장치는,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다음을 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400)를 포함하는데, 다음은:
    무선 통신 노드에 의해서 경험된 간섭 레벨의 결정을 위한 채널 감지의 수행과;
    결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의 결정과;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다가오는 전송에 대해서 사용되는,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이고,
    제어 회로는, 채널 감지의 수행 전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준비를 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과 관련되고, 및 여기서 코딩 레이트 및 변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은 결정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및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전력 레벨에 응답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 중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선택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은 각각의 코딩 레이트 및 각각의 변조와 관련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복수의 미리 규정된 변조 및 코딩 방안(MCS) 중 각각의 하나를 사용해서 각각의 전송 패킷 변형의 준비를 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준비를 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체계적인 코드를 사용해서 싱글 전송 패킷의 준비를 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준비를 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어 회로는 체계적인 코드의 패리티 비트의 수의 선택을 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선택을 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싱글 전송 패킷의 준비를 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준비를 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어 회로는 변조의 순서의 선택을 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전송 패킷 변형의 선택을 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노드.
  18. 삭제
  19. 삭제
KR1020207025747A 2018-03-06 2018-03-06 전송 전력 제어 KR102391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55444 WO2019170221A1 (en) 2018-03-06 2018-03-06 Transmission powe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011A KR20200117011A (ko) 2020-10-13
KR102391219B1 true KR102391219B1 (ko) 2022-04-26

Family

ID=6159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47A KR102391219B1 (ko) 2018-03-06 2018-03-06 전송 전력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2753B2 (ko)
EP (1) EP3763154B1 (ko)
JP (1) JP7116181B2 (ko)
KR (1) KR102391219B1 (ko)
CN (1) CN111801965B (ko)
WO (1) WO2019170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9726B2 (en) * 2020-08-11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adaptive multi-subband clear channel assess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7850A1 (en) 2013-01-16 2014-07-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WO2016119839A1 (en) * 2015-01-28 2016-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3824A1 (en) * 1999-10-29 2001-05-10 Thomson Licensing S.A. Wireless modem
US7124193B1 (en) * 2000-08-24 2006-10-17 At&T Corp. Method of using link adaptation and power control for streaming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KR20070042149A (ko) * 2004-07-22 2007-04-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모바일 노드 사이의 제어기 유닛,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7764743B2 (en) 2005-08-05 2010-07-2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of channel coding for communication systems
US7996032B2 (en) * 2006-03-27 2011-08-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resource management in orthogonal wireless systems
US20080019398A1 (en) 2006-07-20 2008-01-24 Adimos Systems Ltd. Clock recovery in wireless media streaming
US8599748B2 (en) * 2008-03-25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ng decision parameter for reacting to resource utilization messages
US8934362B2 (en) 2011-01-06 2015-01-13 Mediatek Inc. Power control method to mitigate interference for in-device coexistence
EP3490320B1 (en) * 2011-09-30 2023-08-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 communication using a reduced channel bandwidth
GB2498988B (en) 2012-02-02 2014-08-06 Broadcom Corp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9031017B2 (en) 2012-06-21 2015-05-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wer control for LTE deployment in unlicensed band
WO2014198289A1 (en) * 2013-06-10 2014-12-18 Phonak Ag Wireless sou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N106465133A (zh) * 2014-05-09 2017-02-22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基站及终端
EP3183916A4 (en) * 2014-08-21 2018-02-21 Intel IP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 using transmit power control and scheduling for lte unlicensed band operation
WO2016115717A1 (en) * 2015-01-23 2016-07-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network node for matching uplink coverage area and downlink coverage area
US9609667B2 (en) * 2015-03-06 2017-03-28 Nokia Technologies Oy Procedure for setting threshold for accessing channel
US20160309420A1 (en) 2015-04-15 2016-10-20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ssion power and packet size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US10341884B2 (en) 2015-07-07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clearance technique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CN109314936B (zh) * 2016-04-12 2021-08-3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全双工通信的最大功率降低
CN105979590B (zh) * 2016-04-27 2019-04-16 西安交通大学 认知无线电系统中基于有效容量的用户调度与功率分配方法
WO2017194174A1 (en) * 2016-05-13 2017-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detection and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7212551A (ja) * 2016-05-24 2017-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7850A1 (en) 2013-01-16 2014-07-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WO2016119839A1 (en) * 2015-01-28 2016-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contro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_1411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16181B2 (ja) 2022-08-09
JP2021520688A (ja) 2021-08-19
WO2019170221A1 (en) 2019-09-12
EP3763154B1 (en) 2021-12-15
KR20200117011A (ko) 2020-10-13
EP3763154A1 (en) 2021-01-13
US11212753B2 (en) 2021-12-28
US20200413349A1 (en) 2020-12-31
CN111801965B (zh) 2023-09-15
CN111801965A (zh)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514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упа к каналу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103214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transmissions
US110830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channel occupancy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198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678536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1121900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uardband configuration
CN11198996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同步信号的方法和装置
US118322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lot forma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953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69277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信道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KR201901293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CN113261225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反馈发送和接收的方法和装置
US118566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91219B1 (ko) 전송 전력 제어
CN114128390A (zh) 用于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KR202001278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