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03B1 -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203B1
KR102391203B1 KR1020200104895A KR20200104895A KR102391203B1 KR 102391203 B1 KR102391203 B1 KR 102391203B1 KR 1020200104895 A KR1020200104895 A KR 1020200104895A KR 20200104895 A KR20200104895 A KR 20200104895A KR 102391203 B1 KR102391203 B1 KR 10239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riable
learning
wireless charging
charging system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249A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0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2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7Electrical supply from an external energy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의 설계장치는, 관심공간에 무선충전시스템을 설계하는 학습설계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모듈; 및 상기 학습설계정보의 성능을 분석하여 보상정보를 출력하는 분석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wireless power charge system for electroceuticals}
본 발명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약은 전자(electronics)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뇌와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약은 피하에 매립되어, 치료가 필요한 특정한 부분만을 골라서 자극하므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만일의 경우 약효를 즉시 중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근래들어서는, 뇌전증, 당뇨, 관절염, 고혈압 등 만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신경조직을 자극하는 전자기기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약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본 발명자가 출원한 대한민국출원번호 10-2020-0022345호, 무선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세트가 있다.
상기 전자약에 필요한 에너지는 종래 1차전지에서 진화하여,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상기 전자약에 무선 충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출원번호 10-2019-0022559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용 형상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출원한 바가 있다.
상기 두 기술은 각각, 전자약의 구조, 및 무선 충전시의 코어를 설계를 설계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약에 적합하게 적용가능한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은 개시하지 못한다.
10-2020-0022345호, 무선충전이 가능한 전자약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세트 10-2019-0022559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용 형상 설계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에 사용가능한 제한된 공간을 활용하는 무선충전장치의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에서 필수 구성요소 조합을 활용하여 높은 무선충전성능을 얻을 수 있는 무선충전장치의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설계장치는, 관심공간에 무선충전시스템을 설계하는 학습설계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모듈; 및 상기 학습설계정보의 성능을 분석하여 보상정보를 출력하는 분석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은, 상기 보상정보를 반영하여 설계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여 조절된 제어변수를 출력하는 상기 제 1 학습모듈; 및 상기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설계정보를 출력하는 제 2 학습모듈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변수는 코일에 대한 제어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변수는, 코일 형상에 대한 제 1 제어변수, 코일의 외경, 내경, 및 회전수에 대한 제 2 제어변수, 및 코일위치에 대한 제 3 제어변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변수는 기판의 위치에 대한 제 4 제어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관심공간의 어느 코너에 고정하여 놓일 수 있다.
상기 제어변수는 코어형상에 대한 제 5 제어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코일위치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코일형상은 원형과 사각형중에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관심공간은,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어느 일면에서 상기 평면부와 연속하는 곡면 외각을 가지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제어변수를 이용하여 무선충전시스템의 학습설계정보를 생성하는 것;
본 발명의 설계방법은, 상기 학습설계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충전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여, 학습을 위한 보상정보를 생성하는 것; 상기 보상정보를 이용하여, 보상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어변수를 조절하여 조절 제어변수를 출력하는 것; 및 상기 조절 제어변수를 이용하여 학습설계정보를 새로이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되는 관심공간에 대하여 최고의 무선충전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의 실시예.
도 2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방법의 실시예를 보이는 순서도.
도 3은 관심공간의 평면도의 예시.
도 4는 코일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 4 제어변수를 설명하는 관심공간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제 5 제어변수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에 따라서 설계가 종료된 상태의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자가 이미 선출원한 10-2019-0022559호에 개시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용 형상 설계 시스템 및 방법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이해를 위하여, 종래 알려진 다른 기술에 우선하여, 상기 본 발명자의 선출원의 문헌 내용이 본 발명의 설명에 우선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과 이해를 위하여, 본 개시와 상기 선출원의 문헌 내용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내용은, 상기 선출원의 문헌 내용도 본 발명의 기술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의 실시예를 보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설계장치(100)은 학습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장치(100)는 분석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장치(100)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110)은 본 발명에서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서 무선충전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구성품의 형상, 및 배치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코일의 경우에는 회전수 등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는 학습에 따라서 얻어지는 정보를 '학습설계정보'라고 한다.
상기 학습모듈(110)은 적어도 한 개의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설계의 대상이 되는 상기 무선충전시스템은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충전시스템에는 코일, 기판, 및 2차 전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계장치는 코어, 코일, 기판, 및 2차 전지 중의 적어도 두개를 설계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설계장치는 코어, 코일, 및 기판를 설계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설계장치는 코어, 코일, 기판, 및 2차 전지를 설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코어, 코일, 및 기판을 설계한 후에, 남는 공간에 2차 전지를 배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상기 학습모듈(110)은,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상기 학습설계정보를 생성하는 제 2 학습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20)은, 상기 제 2 학습모듈(111)에서 제공받은 상기 학습설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전송 성능을 평가한 후 성능 평가 결과를 제 1 학습모듈(112)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20)은 자속 밀도, 송신코일 인덕턴스, 수신코일 인덕턴스, 송수신부 간 상호인덕턴스, 결합계수, 송신 코일 저항, 수신 코일 저항, 수신전력, 및 시스템 효율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무선충전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이면 분석의 대상이 될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20)은 무선충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NSYS Maxwell, PSIM, 및 SNSYS Simplorer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학습모듈(112)은 상기 분석모듈(120)로부터의 정보를 반영하여 설계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학습모듈(112)은 학습의 결과에 따라서 제어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학습모듈(112)은 상기 제 2 학습모듈(111)로 조절제어변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110)은 예를 들어, 강화 학습 중 하나인 Q-learning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E-greedy policy에 따라 설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학습모듈(111)의 결과물이 학습설계정보와, 상기 분석모듈(120)의 분석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110)의 학습이 수행됨에 따라, 설계정보 내 성분들의 값이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기값(‘0’)이 설정값(‘1’)으로 변경되고, 설정값(‘1’)이 초기값(‘0’)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간단하게 상기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제 2 학습모듈(111)은 학습 초기에는, 상기 초기제어변수를 기초로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수행 결과로서 상기 학습설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학습설계정보는 분석모듈(120)로 제공된다.
상기 분석모듈은, 학습설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충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여, 보상정보를 포함하는 성능평가결과를 제 1 학습모듈(112)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학습모듈(112)은 분석모듈(120)로부터의 성능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이전의 학습설계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학습모듈(112)는 상기 보상정보에 바탕하여 보상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어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학습모듈(112)는 조절된 조절제어변수를 제 2 학습모듈(111)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학습모듈(111)은 새로운 학습설계정보를 생성하고, 새로 생성된 학습설계정보는 다시 분석모듈(120)로 제공된다.
상기 제 2 학습모듈(111)은 학습 동작을 수행한 후, 학습 동작을 종료하기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학습모듈(110)은 학습을 수행한 후 학습 수행 횟수를 카운팅하며, 학습 수행 횟수가 기 설정된 학습 수행 최대 횟수에 도달하면 학습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학습모듈(110)은 이전 성능 평가 결과와 현재 성능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두 결과의 차이가 설정 범위 내이면 학습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변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변수는 세 개의 제어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변수는 코일형상일 수 있다. 상기 코일형상은 원형과 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제어변수는 코일의 외경, 내경, 및 회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제어변수는 코일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제어변수를 이용하는 코일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을 제외하는 다른 구성품은 상기 코일에 의존하도록 하여 상기 학습설계정보를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제어변수에 더해서 두 개의 제어변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 제어변수는 기판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은 무선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기판일 수 있다. 제 5 제어변수는 코어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섯개의 제어변수를 포함하여, 학습설계정보의 성능을 더 높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변수는, 학습초기에는 상기 초기제어변수로서 무작위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변수는, 상기 제 1 학습모듈(112)의 학습결과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조절된 제어변수는 조절제어변수로서 다시 제 2 학습모듈(111)로 입력될 수 있다.
설계에 사용되는 관심공간을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상기 관심공간은 무선충전시스템이 내부에 놓이는 제한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심공간의 외부에는 상기 무선충전시스템의 각 구성품이 놓일 수 없다.
도 3은 관심공간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심공간(1)은,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평면부(2)와 상기 평면부(2)의 어느 일면에서 상기 평면부(2)와 연속하는 곡면 외각을 가지는 곡면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공간(1)은 작은 블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공간을 구성하는 블록은 가로 1mm, 세로 1mm, 높이 1mm의 정육각형인 것으로 설정될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충전시스템의 각 구성품을 구성하는 블록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는 두께는 여섯개의 블록이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송신용 코어와 수신용 코어가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고, 송신용 코어와 수신용 코어 사이의 이격 거리(ex, 10cm)가 설정될 수 있으며, 코어의 재질로 페라이트 혹은 아몰포스가 설정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송신용 및 수신용의 관계를 코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따.
도 2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방법의 실시예를 보이는 순서도이다. 물론, 상기 설계방법이 실행되는 설계장치로는 도 1의 설계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초기 제어변수가 초기 정보로서 학습모듈(110)로 입력된다(S1). 여기서, 상기 초기 제어변수에는 제 1, 2, 및 3 제어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제어변수에는 제 1, 2, 3, 4, 및 5 제어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제어변수는 무작위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110)은 상기 초기 제어변수에 따라서, 학습설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 상기 학습설계정보는 도 3에 보인 관심공간(1)의 내부에 상기 제어변수에 따라서 코일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제어변수에 대한 설명은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코일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5)은 원형(도 4a)으로 제공되고, 상기 평면부(2)와 상기 곡면부(3)의 내부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일(5)은 사각형(도 4b)으로 제공되고, 상기 평면부(2)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제어변수만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코일이 학습설계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무선충전시스템의 나머지 구성품으로서, 기판, 코어, 및 2차 전지는 상기 코일의 배치에 추종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의 경우에는 코일의 가운데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경우에는 코일과 소정의 높이를 중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2차 전지는 코일, 코어, 및 기판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 최종적인 잉여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초기 제어변수로서 상기 제 1, 2, 3, 4, 및 5 제어변수가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제어변수로서 다른 변수가 추가될 수도 있을 겻이다. 이 경우에는, 도 4에 제시되는 코일을 위한 제어변수와 함께, 기판과 코어에 대한 제어변수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제 4 제어변수를 설명하는 관심공간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제어변수로서, 기판위치는 상기 평면부의 어느 일코너에 접하여 놓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최소한의 크기로 가장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위치는 고정변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코너부에 이미 놓여 있는 구성품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이 놓이는 영역에 상기 코일, 코어, 및 2차 전지가 놓일 수 없다. 상기 기판과 상기 코일은,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정렬할 수 있다.
코일이 작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평면부 및 상기 곡면부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 5 제어변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각형의 코일(5)이 배치된 다음에, 사각형 코일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코어(7)를 배치할 수 있다. 왼쪽과 오른쪽 각 도면에서 중앙점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코일이 배치되고(왼쪽), 코어가 배치(오른쪽)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원형의 코일(5)이 배치된 다음에, 코일의 중앙에 코어(7)를 배치할 수 있다(왼쪽). 상기 코어(7)가 놓이는 영역은, 블록으로 식별된 다음에(중앙), 코일의 형상에 맞게 표면처리할 수 있다(오른쪽).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변수를 이용하여 학습모듈(110)에서 생성된 학습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모듈(120)에서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된 성능에 따라서 상기 보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
상기 보상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학습모듈은 보상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어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은 조절제어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S4). 상기 조절제어변수를 더 성능이 높은 학습설계정보를 출력하는 제어인자가 될 수 있다.
상기 학습모듈은 조절제어변수를 이용하여 학습설계정보를 새로이 출력할 수 있다(S2).
상기 학습모듈은, 상기 보상정보에 따라서 상기 조절제어변수를 촐력하는 제 1 학습모듈가, 상기 조절제어변수 또는 상기 초기제어변수를 이용하여 설계정보를 출력하는 제 2 학습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학습모듈은 단일의 학습모듈로 병합하여 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학습모듈은 종료조건이 만족하였을 때에는 현재의 설계정보를 출력하고 학습을 종료할 수 있다(S5).
도 8은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에 따라서 설계가 종료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이 종료한 후에는 기판, 코일, 및 코어가, 상기 관심공간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심공간의 내부에는 기판, 코일, 및 코어가 배치되지 않고, 비어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어 있는 공간에는 2차 전지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2차 전지는 기판, 코일, 및 코어의 배치가 종료한 후에 잉여공간의 형상에 따라서 배치한다. 상기 2차 전지는 큰 용량 및 크기가 요청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2차 전지는 충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2차 전지가 큰 용량을 가지는 것은 엄격하게 요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2 학습모듈(111)(112)는 단일의 학습모듈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기능이 다른 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족한 시스템 용량으로 인하여 학습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약의 내부에 무선충전시스템을 고성능으로 설계할 수 있다.
1: 관심공간
2: 평면부
3: 곡면부
5: 코일
6: 기판
7: 코어
110: 학습모듈
111: 제 2 학습모듈
112: 제 1 학습모듈
120: 분석모듈

Claims (9)

  1. 관심공간에 무선충전시스템을 설계하는 학습설계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모듈; 및
    상기 학습설계정보의 성능을 분석하여 보상정보를 출력하는 분석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모듈은,
    상기 보상정보를 반영하여 설계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여 조절된 제어변수를 출력하는 상기 제 1 학습모듈; 및
    상기 제어변수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설계정보를 출력하는 제 2 학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변수는 코일에 대한 제어변수를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변수는, 코일 형상에 대한 제 1 제어변수, 코일의 외경, 내경, 및 회전수에 대한 제 2 제어변수, 및 코일위치에 대한 제 3 제어변수를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변수는 기판의 위치에 대한 제 4 제어변수를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관심공간의 어느 코너에 고정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변수는 코어형상에 대한 제 5 제어변수를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코일위치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상은 원형과 사각형을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공간은,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어느 일면에서 상기 평면부와 연속하는 곡면 외각을 가지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장치.
  9. 초기 제어변수를 이용하여 무선충전시스템의 학습설계정보를 생성하는 것;
    상기 학습설계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충전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여, 학습을 위한 보상정보를 생성하는 것;
    상기 보상정보를 이용하여, 보상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어변수를 조절하여 조절 제어변수를 출력하는 것; 및
    상기 조절 제어변수를 이용하여 학습설계정보를 새로이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설계방법.
KR1020200104895A 2020-08-20 2020-08-20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KR10239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95A KR102391203B1 (ko) 2020-08-20 2020-08-20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95A KR102391203B1 (ko) 2020-08-20 2020-08-20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249A KR20220023249A (ko) 2022-03-02
KR102391203B1 true KR102391203B1 (ko) 2022-04-28

Family

ID=808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895A KR102391203B1 (ko) 2020-08-20 2020-08-20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263B1 (ko) * 2023-09-15 2024-01-16 광주과학기술원 무선충전모듈의 코어 설계하는 방법
KR102629013B1 (ko) * 2023-09-15 2024-01-26 광주과학기술원 전자약 무선충전을 위한 저중량 고효율 코어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505A (ja) 2005-10-24 2009-03-26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ー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埋め込み型充電式神経刺激装置
KR102085010B1 (ko) 2019-02-26 2020-03-05 광주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용 형상 설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889B1 (ko) * 2015-06-29 2017-03-09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2차 코일 레이아웃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744577B1 (ko) * 2015-10-21 2017-06-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 상태감시시스템용 무선전력전송시스템 설계장치 및 방법
DE202016103393U1 (de) 2016-06-27 2017-09-28 Kuka Systems Gmbh Greifwerkzeug und Greifeinrichtung
JP6795559B2 (ja) 2018-08-22 2020-12-0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軸送り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505A (ja) 2005-10-24 2009-03-26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ー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埋め込み型充電式神経刺激装置
KR102085010B1 (ko) 2019-02-26 2020-03-05 광주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용 형상 설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249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203B1 (ko) 전자약의 무선충전시스템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Stoecklin et al. Efficient wireless powering of biomedical sensor systems for multichannel brain implants
Pichorim et al. Design of coils for millimeter-and submillimeter-sized biotelemetry
Rami Reddy et al. Improved energy harvesting from vibration by introducing cavity in a cantilever beam
DE102015226784A1 (de) Leistungsübertragungs-Spulenstruktur und drahtlose Leistungsübertragungs-Vorrichtung, die diese umfasst
DE102013217636A1 (de) Vorrichtung zum Vorsehen einer konzentrierten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EP4290738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charging pen box
Kim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charging-based cardiac monitoring system focused on temperature reduction and robust power transfer efficiency
US20040171355A1 (en) Wireless transceiver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Danilov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n inductive powering unit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ing GPU computing
Tan et al. Output power stabilisation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multiple transmitters
Bodansky et al. The issues that never die
Chow et al. Optimal design and experimental assessment of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home-cage monitoring
Rozman et al. A new technique for reducing size of a wpt system using two-loop strongly-resonant inductors
Triviño-Cabrera et al. A review on the fundamentals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details of strongly coupled magnetic resonant technology for wireless power transfer
Bjekić et al. Determining the individual theta frequency for associative memory targeted personalized transcranial brain stimulation
Tentori et al. Why quantum probability does not explain the conjunction fallacy
US10857374B2 (en) Excitation coil and coil unit
Campi et al. Efficient wireless drone charging pad for any landing position and orientation
KR102629013B1 (ko) 전자약 무선충전을 위한 저중량 고효율 코어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0569569B (zh) 基于改进粒子群算法的无线能量传输系统参数优化方法
KR102624263B1 (ko) 무선충전모듈의 코어 설계하는 방법
CN114931704A (zh) 刺激线圈
Wang et al. Synchrotron-based pencil beam scanning nozzle with an integrated mini-ridge filter: a dosimetric study to optimize treatment delivery
WO2020175912A1 (ko)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용 형상 설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