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544B1 -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 Google Patents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544B1
KR102390544B1 KR1020210144556A KR20210144556A KR102390544B1 KR 102390544 B1 KR102390544 B1 KR 102390544B1 KR 1020210144556 A KR1020210144556 A KR 1020210144556A KR 20210144556 A KR20210144556 A KR 20210144556A KR 102390544 B1 KR102390544 B1 KR 10239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unit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응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4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afety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body; a display head including a warning light, a first beam projector for displaying a phras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and a second beam projector for displaying a warning sig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and retractably mount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 magnet built into a lower end part of the body; a clamping unit which is retractably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fixes the body to a structure on a road;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warning light of the display head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portable safety display apparatus which is compact and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Description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본 발명은 도로 공사나 차량 사고 및 고장 시 등에 후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의 위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한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for promptly and accurately informing a driver of a forward dangerous situation to a driver of another vehicle driving from the rear during road construction or vehicle accidents and breakdowns.

주지하다시피 주행 중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도로의 각종 상황, 예컨대 노면의 파손이나 차량의 사고 및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도로상에서 비상 주정차를 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 경우, 불측의 추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의 비상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비상 주정차하는 차량의 후방에 삼각형 모양의 비상 표시판(일명, "삼각대")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emergency parking on the road is unavoidable when various conditions on the road that can cause a traffic accident while driving, for example, damage to the road surface or an accident or breakdown of a vehicle occur, are frequent.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an unexpected collision accid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it appropriately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driving from the rear can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head. As a general method for this, a triangular-shaped emergency sign (aka, "tripod") is installed at the rear of an emergency parking vehicle.

또한, 도로 정비 및 공사 등을 위한 차량의 통행으로 운행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에도 비상 표시판을 설치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때에도 차량에 비치하고 있는 비상 표시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re is a problem in driving due to the passage of vehicles for road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emergency sign boards are installed to induce safe driving. Even in this case, it is common to use emergency sign boards provided in the vehicle.

그러나, 이러한 비상 표시판은 차량의 트렁크 등에 보관해야 하는 특성상 그 크기가 작아 시인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전방에서 발생한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없었다. 또한, 비상 표지판은 사고 지점 등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한 지점에 설치해야 하므로 주변 통행 차량으로 인한 사고 위험도 상당히 높았다.However, since the emergency display board has a small size and very low visi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to be stored in the trunk of a vehicle, it was no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a situation in which a vehicle traveling in the rear occurred in the front. 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sign must be installed at a point that secures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int, the risk of an accident caused by nearby vehicles is also quite high.

이로 인해 고장 등으로 도로에 세워진 차량을 후속하는 차량이 다시 추돌하거나 비상 표지판을 설치하고 있는 사고 차량 운전자가 후행 차량에 치이는 등의 2차 사고가 빈발하였다. 더욱이, 이와 같은 2차 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일반 사고 시의 사망률을 크게 웃돌아 대단히 심각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As a result, secondary accidents such as a vehicle following a vehicle parked on the road collided again due to breakdown, or the driver of an accident vehicle installing an emergency sign was struck by a vehicle following frequently. Moreover, the death rate due to such secondary accidents is known to be very serious, far exceeding that of general accident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8188호(2019.04.12. 공고)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68188 (2019.04.12.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주행 중 비상 상황 발생으로 주정차 시 후행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의 비상 상황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제공을 그 기술적 해결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to provide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that can display so that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can reliably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head when parking and stopping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while driving. as a technical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는, 비상 주정차 차량은 물론 인근의 가드 레일이나 노상 등 설치 장소와 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높은 시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and stably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high visibility can be exhibit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arget such as an emergency parked vehicle as well as a nearby guard rail or road.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 과제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store with a compact configuration.

이와 같은 해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는, 바디; 경광등,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문구를 노면에 표시하는 제1 빔프로젝터 및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경고 표지를 노면에 표시하는 제2 빔프로젝터를 구비하고, 바디의 상단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표시 헤드; 바디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마그네트; 바디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바디를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고정시켜주는 클램핑 유닛(clamping unit); 및 표시 헤드의 경광등,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problems, the body; a display head having a warning light, a first beam projector for displaying a phras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and a second beam projector for displaying a warning sign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the display head being telescopic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a magnet built in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clamping unit retractably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fixing the body to a structure on a roa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light of the display head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 유닛은,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unit comprises:

바디의 측면에 길게 형성된 매립홈; 매립홈 내에 삽입되어 지름방향의 외측으로 바이어스(bias) 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들을 일정 간격으로 갖는 고정랙(rack); 매립홈 내에서 고정랙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선상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이 제1 및 제2 가이드에 각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매립홈 내에 수용되고, 매립홈으로부터 회전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랙의 걸림홈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일단에 가지며, 자유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훅부(hook)를 갖는 제1 및 제2 도그(dog);를 포함할 수 있다.a buried groove formed long on the side of the body; a fixing rack inserted into the buried groove and bia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First and second guides moving along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ck in the buried groove;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s, respectively, to be accommodated in the buried groove, and one end has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selectively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s of the fixed rack in a state that is rotated out from the buried groove, and at the free end It may include a; first and second dogs having a hook portion (hook) to face each other.

여기서, 매립홈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고정랙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대향되게 각각 형성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는 제1 및 제2 도그를 관통하여 양단이 안내홈들에 끼워지는 힌지핀(hinge p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on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buried groove, guide groove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ck,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s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ogs and both ends of the hinges ar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s. It may be formed of a hinge p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네트는,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바디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다수의 매립구멍들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다수의 마그네트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마그네트 유닛은,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 units that can be drawn out by being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buried holes provided radially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each magnet unit,

매립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slider); 이 슬라이더의 하단에 고정되는 단위 마그네트; 및 슬라이더를 매립구멍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 slider tha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embedding hole; Unit magnet fixed to the bottom of this slider; and a tension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slider in the buried hole.

여기서, 매립구멍의 내주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슬라이더의 외주에는 걸림턱에 대응하는 외향 플랜지를 구비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Here,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buried hole, and an outward flang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ider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li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되고, 바디의 하단 쪽으로 인출되어 바디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해주는 스탠딩 유닛(standing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anding unit that is built-in to the body and is drawn out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딩 유닛은,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ing unit,

바디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대해 수용 및 인출 가능한 포스트; 및 포스트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포스트에 피벗(pivot) 지지되어 포스트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복수의 레그(leg);를 포함할 수 있다.Posts that can be accommodated and withdrawn for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legs installed radially on the periphery of the post and having an upper end pivotally supported by the post to be able to fold and unfold with respect to the po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레그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보조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포스트의 외주에는 복수의 레그를 각각 수용하는 레그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legs that are telescopically mounted on each leg, a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leg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legs, respectively, may be formed radi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의 인출 시 바디의 장착구멍으로부터 포스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os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of the body when the post is withdrawn,

이탈방지수단은, 바디의 장착구멍 내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홈; 및 포스트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멈춤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볼스토퍼(ball stopper);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Separation prevention means, at least one stop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of the body; and a ball stopper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and elastically fitted into the stop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헤드는, 텔레스코픽 로드(telescopic rod)에 의해 바디에 장착될 수 있고, 텔레스코픽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표시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head may be mounted on the body by a telescopic rod and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telescopic rod to freely select a display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트롤러에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휴대폰이나 PDA 등의 외부 휴대단말기에서 노면에 표시되는 경고 문구를 발생한 비상 상황에 알맞게 변경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rning message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of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PDA by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controller may be changed to suit an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occurr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에 의하면, 레이저빔에 의해 전방의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문구와 예컨대 삼각형 모양 등의 경고 표지를 노면에 동시에 표시함과 함께 경광등을 작동시켜 줄 수 있어 시인성이 매우 뛰어나며, 이에 따라 주행 중 비상 상황 발생으로 부득이한 주정차 시 후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의 비상 상황을 확실하게 인식시켜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isplay a warning sign such as a triangular shape and a phras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ahead by a laser beam on the road surface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the warning light, so that visibility is improved. It is very good, and 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ile driving and an unavoidable parking stop occurs,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can clearly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head.

따라서 후행 차량에 의한 불측의 2차 사고 발생 우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후행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possibility of an unexpected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the following vehicle, as well as induce safe driving of the following vehicle.

또한, 마그네트와 스탠딩 유닛 및 클램핑 유닛과 같은 여러 가지 설치수단들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주변의 상황에 따라 높은 시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적절한 설치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various installation means such as a magnet, a standing unit, and a clamping unit are built-in, it can be installed conveniently and stably by using an appropriate installation means at a position where high visibility can be exhibi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ditions.

또, 레이저빔과 경광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고 지점의 지형 등에 관계없이 최적의 지점에 비상 경고 표지를 표시할 수 있어 후행 차량 운전자에게 더욱 확실한 주의를 각인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laser beam and warning light can be adjusted, the emergency warning sign can be displayed at the optimal point regardless of the topography of the accident point, so that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can be more clearly noticed.

또한, 스탠딩 유닛과 클램핑 유닛 등의 설치수단을 바디에 내장하여 필요시에만 인출할 수 있고, 레이저빔 등을 조사하는 표시 헤드도 바디에 대해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는 바, 콤팩트한 구성으로 보관 및 휴대 역시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installation means such as a standing unit and a clamping unit are built into the body so that they can be pulled out only when necessary, and the display head that irradiates a laser beam can also be expanded or reduced with respect to the body. It is also very easy to car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일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바디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스탠딩 유닛을도시한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마그네트 유닛을 도시한 분리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마그네트 유닛의 작동예를 도시한 부분 절단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클램핑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클램핑 유닛의 요부 발췌 단면도들,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클램팽 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콘트롤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cerpt of a body of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tanding unit of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side view showing a magnet unit of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ortable safety display magn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lamping unit of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lamping unit shown in FIG. 8;
11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amping unit shown in FIG. 8;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ler configuration of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example of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specific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1)는, 바디(10), 비상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 헤드(20), 이 표시 헤드(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0), 표시 헤드(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해 주는 스탠딩 유닛(40), 바디(10)를 차량 등에 부착시켜 주는 마그네트(50) 및 바디(10)를 도로 상의 구조물 등에 고정시켜 줄 수 있는 클램핑 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7 ,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 a display head 20 for display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isplay head 20 . ), a standing unit 40 that supports the display head 20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 magnet 50 that attaches the body 10 to a vehicle, and the body 10 can be fixed to a structure on the road, etc.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ing unit (60).

바디(10)는 예를 들어 원기둥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단 중앙부에는 후술한 텔레스코픽 로드(24)의 장착을 위한 신축구멍(11)이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하단 중앙부에는 스탠딩 유닛(40)을 수용하는 장착구멍(12)이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hole 11 for mounting the telescopic rod 2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mounting hole 12 for accommodating the standing unit 40 in the lower central portion thereof It can be formed in this axial direction.

바디(10)의 하단 장착구멍(12) 둘레에는 후술한 마그네트 유닛(51)들을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매립구멍(13)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의 외주에는 클램핑 유닛(60)이 매립 설치되는 매립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매립홈(14)은 바디(10)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slit) 형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embedding holes 13 for accommodating the magnet units 5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adially formed around the lower mounting hole 12 of the body 10 . In addition, a buried groove 14 in which the clamping unit 60 is embedd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10 . The buried groove 14 may be in the form of a slit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10 .

표시 헤드(20)는 비상 상황을 관념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광등(21)과,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경고 표지를 레이저에 의해 노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제1 빔프로젝터(22) 및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문구를 노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제2 빔프로젝터(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head 20 includes a warning light 21 that can conceptually represent an emergency situation, a first beam projector 22 that can display a warning sign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by means of a laser, and a corresponding emergency situation. It may include a second beam projector 23 that can display the text on the road surface.

경광등(21)은 비상 상황 발생을 해당 위치의 주변에 확실하게 알려 주위를 통행하는 모든 차량들의 운전자가 주의할 수 있게 360도 방향으로 발산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멀리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고휘도 LED로 구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rning light 21 has a configuration that diverges in a 360-degree direction so that the driver of all vehicles passing around can clearly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vicinity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addition, it may be composed of a high-brightness LED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from a distance.

제1 빔프로젝터(22)는 일반적인 삼각형 모양의 비상 경고 표지는 물론이고, 발생한 비상 상황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경고 표지, 예를 들면 공사 표지나 낙석 표지 등을 저장하여, 발생한 비상 상황에 관련된 경고 표지를 선택적으로 현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빔프로젝터(22)는 경고 표지를 단순히 현출시킬 수도 있고,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소정 패턴으로 점멸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beam projector 22 stores not only a general triangular-shaped emergency warning sign, but also a warning sign that can accurately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occurred, for example, a construction sign or a rockfall sign, and a warning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he label can be selectively raised. The first beam projector 22 may simply make a warning sign stand out, or may flick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increase visibility.

제2 빔프로젝터(23)는 발생한 비상 상황을 나타낼 수 있는 여러 가지 문구, 예컨대 교통사고 처리중, 전방 사고, 노면 파손, 도로 공사 중, 검문 등과 같은 경고 문구를 저장하여, 발생한 비상 상황에 관련된 문구를 선택적으로 노면에 현출시킬 수 있다.The second beam projector 23 stores warning phrases such as various phrases that can indicate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have occurred, for example, during traffic accident handling, front accident, road surface damage, road construction, checkpoint, etc., phrases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occurred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표시 헤드(20)는 상술한 제2 빔프로젝터(23) 대신 영사 유닛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영사 유닛은 비상 상황에 관련한 여러 가지 경고 문구를 순차적으로 갖는 영사 필름을 벨트상으로 구성하여 모터로 순환시키면서 적합한 문구를 선택할 수 있고, 이렇게 선택된 문구의 영사 필름에 빔을 조사함으로써 발생된 비상 상황에 알맞는 경고 문구를 노면에 현출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hea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projection unit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beam projector 23 .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projection unit can select a suitable phrase while circulating the motor by configuring the projection film sequentially having various warning phrases related to the emergency in a belt shape, and by irradiating the beam on the projection film of the selected phrase A warning message suitable for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has occurred can be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이와 같은 표시 헤드(20)는 바디(10)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상 상황 발생 장소의 지형이나 지세 등에 따라 표시 헤드(2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비상 상황 발생 지점의 장소적 여건에 따라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보다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고 표지나 문구의 표시 지점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바, 표시 헤드(20)를 바디(10)에 대해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display head 20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10 , and the height of the display head 2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opography or topography of the place where the emergency occurs. That is, it may be necessary to adjust the display point of a warning sign or phrase so that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can more clearly recognize i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point. 10)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이를 위한 표시 헤드(20)의 신축구조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로드(24)를 통해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24)는 바디(10)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신축구멍(11)에 수용될 수 있고, 표시 헤드(20)는 텔레스코픽 로드(24)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고 표지와 문구를 표시할 때 표시 헤드(20)를 좌우(수평방향)로 적절히 회전시켜 알맞은 지점에 현출되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telescopic structure of the display head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mounted on the body 10 through a telescopic rod 24 as shown, for example. The telescopic rod 24 may be accommodated 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hole 11 formed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0 , and the display head 20 may be rotatably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telescopic rod 24 . Accordingly, when displaying the warning sign and text, the display head 20 can be properly rotated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 to appear at an appropriate point.

그리고 표지 헤드(20)에는 안전 표시장치(1)의 용이한 취급과 운반 등을 위해 회전식 손잡이(25)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bel head 20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handle 25 for easy handling and transport of the safety display device 1 .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텔레스코픽 로드 대신 실린더를 채택하거나 또는 볼스크류 등과 같은 선형 이동장치를 채택하여 자동으로 신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expand and contract by adopting a cylinder instead of a telescopic rod or a linear moving device such as a ball screw.

콘트롤러(30)는 예를 들어 표시 헤드(20)의 내부에 설치되어 경광등(21),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22)(2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3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1), 전원부(32), 데이터부(33), 광원부(34), 램프부(35), 조작부(36) 및 통신부(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head 20 , for examp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light 21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22 and 23 . As shown in FIG. 12 , the controller 30 includes a control unit 31 , a power supply unit 32 , a data unit 33 , a light source unit 34 , a lamp unit 35 , an operation unit 36 , and a communication unit 37 . may include

제어부(31)는 소정의 제어 로직을 가지고 외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 헤드(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원부(32)는 표시 헤드(20)와 콘트롤러(30)에 필요 전원을 공급한다. 데이터부(33)는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22)(23) 등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광원부(34)는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22)(23)에서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램프부(35)는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광등(21)을 설정된 패턴으로 작동시킨다.The controller 31 has a predetermined control logic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head 20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power supply unit 32 supplies necessary power to the display head 20 and the controller 30 . The data unit 33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22 and 23 . The light source unit 34 irradiates laser beams from the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22 and 23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1 , and the lamp unit 35 emits a warning ligh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1 . (21) operates in the set pattern.

조작부(36)는 복수의 기능버튼(36a)을 갖는 조작패널일 수 있으며, 용이하고 정확한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3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36)는 예를 들어 표시 헤드(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36 may be an operation panel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36a, and may include a display 36b for easy and accurate operation. The manipulation unit 3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head 20 , for example.

통신부(37)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외부의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한 비상 상황에 알맞은 경고 문구를 새로 입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후행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의 비상 상황을 더욱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7 may be forme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Bluetooth or Wi-Fi.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newly input or change a warning phrase appropriate to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can more reliably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head.

스탠딩 유닛(40)은 포스트(41)와, 복수의 레그(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42)은 바디(10)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구멍(1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바디(10) 내에 매립되고, 필요에 따라 바디(10)의 하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42)는 포스트(41)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각 레그(42)는 포스트(41)에 상단이 피벗(42a)으로 지지되어 포스트(41)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다.The standing unit 40 may include a post 41 and a plurality of legs 42 . The post 42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 formed i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0 to be embedded in the body 10 , and may be withdrawn downward of the body 10 as necessary. The plurality of legs 42 are radially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41 . Each leg 42 is supported by a pivot 42a at its upper end on a post 41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post 41 .

이 경우, 각 레그(42)들이 포스트(41)의 외주에서 돌출될 수 있는 바, 포스트(41)의 외주에 복수의 레그홈(44)을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대응하는 레그(42)를 레그홈(44)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legs 42 may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41 , and a plurality of leg grooves 44 ar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41 to form the corresponding legs 42 into the leg grooves. It may be desirable to accommodate at (44).

또한, 각 레그(42)는 보조 레그(43)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텔레그래픽 형태로 길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보조 레그(43)는 각 레그(42)의 하단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됨으로써 레그(42)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each leg 42 can be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in a telegraphic form by movably inserting the auxiliary leg 43 therein. The auxiliary leg 43 is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lower end of each leg 42 so that the length of the leg 4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이러한 스탠딩 유닛(40)은 포스트(41)의 인출 길이를 제한함으로써 인출 시 바디(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수단(45)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의 장착구멍(12) 내주에 형성되는 복수의 멈춤홈(46)) 및 포스트(42)의 외주에서 돌출하여 대응하는 멈춤홈(46)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볼스토퍼(47)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볼스토퍼(47)는 포스트(41)의 외주에 작동구멍(47a)을 형성하여 삽입되고, 압축스프링(47b)에 의해 지름방향 외측으로 바이어스 됨으로써 멈춤홈(46)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The standing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45 capable of preventing the post 4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10 during withdrawal by limiting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post 41 .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45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plurality of stop grooves 46) and posts 42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12 of the body 10 as show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all stoppers 47 tha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d are elastically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stop grooves 46 . The ball stopper 47 is inserted by forming an operation hole 47a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41, and is bia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a compression spring 47b,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stop groove 46 .

한편, 이와 같은 스탠딩 유닛(40)은 바디(10)에 원터치록(one touch lock:48)을 구비하고, 포스트(41)의 상단에 원터치록(48)에 걸리는 훅(49)을 구비하여 바디(10)의 장착구멍(12)에 대해 매우 간편하게 삽입하고 인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standing unit 40 is provided with a one-touch lock (48) on the body (10), and provided with a hook (49) caught on the one-touch lock (48) at the upper end of the post (41), the body It can be inserted and drawn out very easil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hole 12 of (10).

마그네트(50)는 단일 또는 여러 개의 몸체로 이루어져 바디(10)에 완전히 매립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로부터 인출 가능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부착 대상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한 부착을 담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마그네트(50)는 바디(10)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매립구멍(13)들에 각각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수의 마그네트 유닛(51)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magnet 50 is composed of a single or multiple bodies and may be completely embedded in the body 10, or as shown in the figure, by tak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rawn out from the body 10, it can be securely attach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attached. may be guaranteed. To this end, the magne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 units 51 that are respectively retractably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buried holes 13 formed radially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

각 마그네트 유닛(51)은 바디(10)의 매립구멍(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52)와, 이 슬라이더(52)의 하단에 고정되는 단위 마그네트(52) 및 슬라이더(52)를 매립구멍(13)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인장스프링(54)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단위 마그네트(53)는 강한 자력을 구유하는 네오디움 마그네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장스프링(54)의 탄성보다 강한 자력을 갖는다. 인장스프링(54)은 슬라이더(52)의 상단과 매립구멍(13)의 바닥에 걸고리(55)56)를 각각 구비하여, 양단이 대응하는 걸고리(55)(56)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더(52)를 매립구멍(13)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대상물의 표면이 편평하지 않고 굴곡진 면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 안전 표시장치(1)가 안정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Each magnet unit 51 includes a slider 52 movably inserted into the embedding hole 13 of the body 10, and a unit magnet 52 and slider 52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er 5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nsion spring 54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buried hole 13 . The unit magnet 53 is preferably composed of a neodymium magnet having a strong magnetic force, and has a stronger magnetic force than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spring 54 . The tension spring 54 has hooks 55 and 56 at the upper end of the slider 52 and the bottom of the embedding hole 13, respectively,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hooks 55 and 56, respectively, so that the slider 52 )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buried hole 13 . Accordingly, even if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is not flat but curved, the safety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stable attachment state.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파형 단면을 갖도록 굴곡진 가드레일(guard rail:R)에 부착하는 경우, 바디(10)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데 대응하는 마그네트 유닛(51)이 바디(10)의 하면으로부터 적절히 인출되어 오목부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부착 대상면이 바디(10)의 하면과 이격된 경우, 단위 마그네트(53)의 강한 자력에 의해 슬라이더(52)가 인장스프링(54)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이격 거리만큼 외부로 인출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탈착 시에는 인장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52)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바디(10)의 매립구멍(13)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for example, when attached to a curved guard rail (R) to have a corrugated cross-section, the magnet unit 5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that does not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 It can be properly drawn ou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ss. That is, when the attachment target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slider 52 elastically deforms the tension spring 54 by the strong magnetic force of the unit magnet 53 and is drawn out and attached to the outside by the separation distance. will be. And during detachment, the slider 52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54 and enters the embedding hole 13 of the body 10 .

이와 같은 마그네트 유닛(51)의 경우에도 슬라이더(52)의 과도한 인출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바디(10)의 장착구멍(13)에는 축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걸림턱(57)을 형성하고, 슬라이더(52)의 상단 외주에 걸림턱(57)에 대응하는 외향 플랜지(58)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더(52)의 인출 길이를 적절히 제한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such a magnet unit 51, it is good to take a means for suppressing excessive withdrawal of the slider 52. For example, in the mounting hole 13 of the body 10, a locking jaw 57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an outward flange 58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57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slider 52. By forming , the length of the slider 52 drawn out can be appropriately limited.

클램핑 유닛(60)은 바디(10)를 고정시켜 줄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매립홈(14)에 삽입되어 회전 인출될 수 있는 제1 및 제2의 도그(61)(62)와, 이들 제1 및 제2 도그(61)(62)를 인출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랙(6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clamping unit 60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fix the body 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to 11 , the first and second dogs 61 (61) ( 62) and these first and second dogs 61 and 62 may b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xed rack 63 that can be fixed in the pulled out state.

제1 및 제2 도그(61)(62)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편의상 대응되는 부위에 동일한 부재번호를 기입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and second dogs 61 and 6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or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part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각 도그(61)(62)는 고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에는 지지부(64)를, 타단에는 훅부(65)를 갖는다. 지지부(64)와 훅부(65)는 도그(61)(62)의 몸체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4)에는 후술한 고정랙(63)의 걸림홈(67)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66)가 형성된다. 그리고 훅부(65)의 선단에는 톱니(65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고정 대상물의 두께가 도그(61)(62)의 길이보다 큰 경우 톱니(65a)가 고정 대상물의 표면을 파고 듦으로써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Each of the dogs 61 and 62 has an appropriate length so as to grip a fixed object, and has a support portion 64 at one end and a hook portion 65 at the other end. The support part 64 and the hook part 65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body of the dogs 61 and 62 in the same direction, respectively. The support part 64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66 that is selectively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67 of the fixing rack 6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ip of the hook portion 65 may be formed with teeth 65a, which is stable by digging into the surface of the fixing object whe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object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dogs 61 and 62. In order to maintain a fixed state.

고정랙(63)은 매립홈(14)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되어 매립홈(14) 내에 삽입되고, 바디(10)의 지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랙(63)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홈(67)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걸림홈(67)들 간에는 도그(61)(62)의 지지부(64)를 접촉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67a)들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랙(63)은 길이방향 앙단에 안내돌기(63a)를 구비하고 매립홈(14)의 대응 부위에 결합홈(14a)을 구비하여 균일하고 안정된 이동을 확보할 수 있다.The fixing rack 63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uried groove 14 , is inserted into the buried groove 14 , and can be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10 .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rack 63,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67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67a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s 64 of the dogs 61 and 62 ar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locking grooves 67 . The fixed rack 63 has a guide protrusion 63a at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upling groove 14a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uried groove 14 to ensure uniform and stable movement.

이러한 고정랙(63)은 매립홈(14) 바닥면과의 사이에 예컨대 판스프링(68)을 개재하여 바디(10)의 지름방향 외측방으로 바이어스 됨으로써, 각 도그(61)(62)들을 인출 상태로 고정하면서 후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This fixed rack 63 is bia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10 via, for example, a plate spring 68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ried groove 14, and thereby withdraws each of the dogs 61 and 62. It is possible to allow axial movement as described below while fixing in the state.

한편, 제1 및 도2 도그(61)(62)는 고정 대상물을 확실히 파지할 수 있도록 훅부(65)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도그(61)(62)는 매립홈(14)의 길이방향 양측 면에 고정랙(6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홈(14b)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가이드(69a)(69b)에 지지부(6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69a)(69b)는 각 도그(61)(6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별도의 부품일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그(61)(62)의 지지부(64)를 관통하여 매립홈(14)의 안내홈(14b)들에 양단이 끼워지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dogs 61 and 6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portions 65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ecurely grip the fixed object, and thus approach or move away from each other.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dogs 61 and 62 are commonly coupled to guide grooves 14b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ack 63 on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buried groove 14 to move. The support part 64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s 69a and 69b. The first and second guides 69a and 69b may be separate parts for rotatably supporting each of the dogs 61 and 62, but as shown, the supporting parts 64 of each of the dogs 61 and 62 are shown. ), it may be preferably made of a hinge pin that is fitted at both ends to the guide grooves 14b of the buried groove 14 .

10: 바디 11: 신축구멍
12: 장착구멍 13: 매립구멍
14: 매립홈 20: 표시 헤드
21: 경광등 22, 23: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
24: 텔레스코픽 로드 25: 손잡이
30: 콘트롤러 31: 제어부
36: 조작부 37: 통신부
40: 스탠딩 유닛 41: 포스트
42: 레그 43: 보조 레그
44: 레그홈 45: 이탈방지수단
46: 멈춤홈 47: 볼스토퍼
48: 원터치록 50: 마그네트
51: 마그네트 유닛 52: 슬라이더
53: 단위 마그네트 54: 인장스프링
60: 클램핑 유닛 61, 62: 제1 및 제2 도그
63: 고정랙 65: 훅부
65a: 톱니 66: 걸림돌기
67: 걸림홈 68: 판스프링
69a, 69b: 제1 및 제2 가이드 R: 가드레일
10: body 11: expansion hole
12: mounting hole 13: buried hole
14: buried groove 20: display head
21: warning light 22, 23: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24: telescopic rod 25: handle
30: controller 31: control unit
36: operation unit 37: communication unit
40: standing unit 41: post
42: leg 43: auxiliary leg
44: leg groove 45: escape prevention means
46: stop groove 47: ball stopper
48: one-touch lock 50: magnet
51: magnet unit 52: slider
53: unit magnet 54: tension spring
60: clamping units 61, 62: first and second dogs
63: fixed rack 65: hook part
65a: cog 66: snag
67: locking groove 68: leaf spring
69a, 69b: first and second guides R: guard rail

Claims (13)

바디;
경광등,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문구를 노면에 표시하는 제1 빔프로젝터 및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경고 표지를 노면에 표시하는 제2 빔프로젝터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상단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표시 헤드;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마그네트;
상기 바디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바디를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고정시켜주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표시 헤드의 경광등, 제1 및 제2 빔프로젝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바디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다수의 매립구멍들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다수의 마그네트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마그네트 유닛은,
상기 매립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고정되는 단위 마그네트; 및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매립구멍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body;
A display head that is provided with a warning light, a first beam projector that displays a text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and a second beam projector that displays a warning sign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surface, and is telescopic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
a magnet built into the lower end of the body;
a clamping unit retractably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fixing the body to a structure on a roa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light of the display head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 projectors;
The magnet i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 units that can be drawn out by being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buried holes provided radially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Each of the magnet units,
a slider movably inserted into the embedding hole;
a unit magnet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er; and
and a tension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slider in the buried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바디의 측면에 길게 형성된 매립홈;
상기 매립홈 내에 삽입되어 지름방향의 외측으로 바이어스 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들을 일정 간격으로 갖는 고정랙;
상기 매립홈 내에서 상기 고정랙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선상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에 각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매립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매립홈으로부터 회전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랙의 걸림홈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일단에 가지며, 자유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훅부를 갖는 제1 및 제2 도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amping unit is
a buried groove formed lo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 fixing rack inserted into the buried groove and bias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first and second guides moving along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ack in the buried groove; an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is rotatably supported to be accommodated in the buried groove, and one end has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selectively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s of the fixed rack in a state of rotationally drawn out from the buried groove,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dogs having hook portions at their free ends to face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매립홈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상기 고정랙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는 제1 및 제2 도그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안내홈들에 끼워지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Guide grooves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ack on both sides of the buried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s are formed of hinge pins that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ogs and have both end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구멍의 내주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에 상기 걸림턱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외향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mbedding hole,
and an outward flang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ider whose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인출 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바디의 하단 쪽으로 인출되어 바디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해주는 스탠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anding unit that is retractably built into the body and is drawn out toward a lower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유닛은,
상기 바디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대해 수용 및 인출 가능한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포스트에 피벗 지지되어 포스트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anding unit is
a post capable of receiving and withdrawing from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nd a plurality of legs installed radially around the post, the upper end being pivotally supported by the post, and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pos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레그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보조 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auxiliary legs telescopically mounted on each of the leg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외주에 상기 복수의 레그를 각각 수용하는 레그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g groove for accommoda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egs is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인출 시 상기 바디의 장착구멍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hole of the body when the post is withdraw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바디의 장착구멍 내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홈; 및
상기 포스트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멈춤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볼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scape prevention means,
at least one stop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of the body; and
and a ball stopper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and elastically fitted into the stop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헤드는,
텔레스코픽 로드에 의해 상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텔레스코픽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head is
A portable safety indicator mounted on the body by a telescopic rod and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telescopic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에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외부의 휴대단말기에서 노면에 표시되는 경고 문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safety display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controller to change the warning text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n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KR1020210144556A 2021-10-27 2021-10-27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KR102390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56A KR102390544B1 (en) 2021-10-27 2021-10-27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56A KR102390544B1 (en) 2021-10-27 2021-10-27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544B1 true KR102390544B1 (en) 2022-04-26

Family

ID=8139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56A KR102390544B1 (en) 2021-10-27 2021-10-27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54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02B1 (en) * 2017-01-19 2018-06-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ssisting Safety Fence
KR101968188B1 (en) 2018-08-29 2019-04-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display apparatus for safety
KR101986624B1 (en) * 2018-08-23 2019-06-07 이기섭 Intelligent portable road emergency state display system
KR20200001444U (en) * 2018-12-21 2020-07-01 이기섭 Portable road emergency state display device
KR20200110500A (en) * 2019-03-13 2020-09-24 한국도로공사 removable support using road marking L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02B1 (en) * 2017-01-19 2018-06-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ssisting Safety Fence
KR101986624B1 (en) * 2018-08-23 2019-06-07 이기섭 Intelligent portable road emergency state display system
KR101968188B1 (en) 2018-08-29 2019-04-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display apparatus for safety
KR20200001444U (en) * 2018-12-21 2020-07-01 이기섭 Portable road emergency state display device
KR20200110500A (en) * 2019-03-13 2020-09-24 한국도로공사 removable support using road marking L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en) Vehicl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prevention of secondary accident and its method
KR102018275B1 (en) LED auto safety tripod for vehicles
KR102390544B1 (en) Portable emergency indicator for safety
JP5279228B2 (en) Protective equipment for workers
KR200483285Y1 (en) Safety tripod
KR101656441B1 (en) AUTOMATIC SAFETY TRIPOD APPARATUS FOR VEHICLE and AUTOMATIC SAFETY TRIPOD SET HAVING THE SAME
KR102030653B1 (en) emergency-vehicle display device for car of easy portable
CN110712630B (en) Landing leg locking means and special vehicle
KR20200044449A (en) Safety-purpose case for car
KR102450405B1 (en) Warning Sign set
KR101605197B1 (en) Arrow signs for car
KR101965671B1 (en) Expansion type caution divice
KR20170085669A (en) Notification device risk for a vehicle having various mounting structures and display functions
US20210178964A1 (en) Warning system for standing vehicles
JP2003293329A (en) Indicator fop in-vehicle traffic regulating sign
KR101263722B1 (en) multipurpose indicator
KR200379180Y1 (en) A signpost
KR101771881B1 (en) Traffic guiding sign of efficently controling a length and an angle
KR200493433Y1 (en) Display apparatus for road safety
EP4324702A1 (en) Automatically deployed tripod for vehicle
KR101272765B1 (en) Self standing traffic safety sign
KR102015779B1 (en) Vehicle safty guiding fence
KR20120006152A (en) Emergency lamp for car
KR200481171Y1 (en) Indication apparatus for car accident
GB2587272A (en) Warning system for stand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