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324B1 -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 Google Patents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324B1
KR102390324B1 KR1020210009116A KR20210009116A KR102390324B1 KR 102390324 B1 KR102390324 B1 KR 102390324B1 KR 1020210009116 A KR1020210009116 A KR 1020210009116A KR 20210009116 A KR20210009116 A KR 20210009116A KR 102390324 B1 KR102390324 B1 KR 10239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ware
cooking
sli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성
문석민
Original Assignee
문석민
안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석민, 안혜성 filed Critical 문석민
Priority to US17/467,46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66143B2/en
Priority to EP21195288.2A priority patent/EP4026461A1/en
Priority to JP2021181328A priority patent/JP7269306B2/ja
Priority to AU2021266187A priority patent/AU20212661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로부터 주걱, 포크, 숟가락, 뒤집개, 국자 및 조리용 스푼 등의 조리도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핸들부 및 일단이 제1걸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걸이부에 연결됨으로써 이단 폴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Cooking utensil with double folding}
본 발명은 회동이 가능한 조리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로부터 주걱, 포크, 숟가락, 뒤집개, 국자 및 조리용 스푼 등의 조리도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핸들부 및 일단이 제1걸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걸이부에 연결됨으로써 이단 회동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조리기구에는 국자, 뒤집개 등이 있다. 이러한 조리기구는 열을 사용하여 조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로부터 보호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부착된다.
통상의 조리기구에 부착되는 손잡이는 편수형태로 결합된다. 편수형태의 손잡이는 한 손으로 조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막대형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기구에서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는 손잡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열원으로부터 사용자 손을 보호하고, 조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지만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를 포장하거나 보관 시에는 불필요한 포장크기가 필요하거나 불필요한 공간이 필요로 하여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즉,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는 손잡이의 길이만큼 포장재도 크게 형성하여야 하고, 손잡이의 길이만큼의 보관 공간도 필요로 하여 사용상에서 안전성은 확보되나 보관이나 이동간의 포장에서는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는 길게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을 조리한 후 편수를 잡아 이동 시 손잡이 길이로 인한 이동간의 불편함이 따른다. 즉, 통상 편수 조리기구는 이동 시 길게 형성된 손잡이가 사용자 팔에 걸리거나 주변 기물에 걸려 음식물을 흘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편수 조리기구의 손잡이를 조리기구 본체측 가까이 사용자가 파지하더라도 파지되지 않은 부분이 간섭되어 오히려 상술한 문제가 더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크기의 용기 혹은 거치대에 보관할 수 있도록 접어서 길이를 줄이는 접이식 조리도구를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조리도구는 단일 회동부를 구비하여 조리도구를 접어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조리도구는 음식물을 비비거나 뒤집는 등 조리 행위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어 조리하는데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편수형 조리도구 및 단일 회동부를 구비하는 조리도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이단 회동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조리도구와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조리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관 시 적재 부피가 감소할 수 있도록 이단 접이식 구조가 구비되는 조리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조리 시 회동부에 의해 바디부 및 핸들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 후 조리도구 유휴 시 회동부가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회동부를 감싸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조리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부로부터 주걱, 포크, 숟가락, 뒤집개, 국자 및 조리용 스푼 등의 조리도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조리 시 교반, 고정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틱형의 형상을 가지는 핸들부 및 일측에 바디부가 연결되고, 그 타측에 그랩부가 연결되어 폴딩이 가능한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가 제공된다.
이 때, 바디부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걸이부를 포함하고, 핸들부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걸이부를 포함하고, 회동부는 일단이 제1걸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걸이부에 연결됨으로써 이단 폴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 핸들부 및 회동부가 상호 완전 분리될 수 있도록 홀의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조리 시 회동부에 의해 바디부 및 핸들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휴 시 회동부가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회동부를 감싸며 회동부의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위치를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의 하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고, 핸들부는 슬라이딩 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핸들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는 조리도구가 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바디부는 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디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단 접이식 구조에 의해 조리 후 보관 시 적재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둘째, 조리 시 회동부에 의해 바디부 및 핸들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휴 시 회동부가 자유롭게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바디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조리도구의 분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회동부의 확대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슬라이딩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고정돌기 및 고정홈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바디부(20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바디부(200), 핸들부(300) 및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로부터 주걱, 포크, 숟가락, 뒤집개, 국자 및 조리용 스푼 등의 조리도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지의 다른 조리 도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300)는 조리 시 교반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틱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동부는 일측에 바디부(200)가 연결되고, 그 타측에 그랩부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다.
바디부(200) 및 핸들부(300)는 형상이 변하지 않는 강체(rigid body,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금속 또는 폴리스티렌(PS), ABS,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선택될 수 있으며, 실리콘 또한 선택될 수 있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조리도구의 분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회동부의 확대도이다.
바디부(200)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걸이부(210)를 포함하고, 핸들부(300)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걸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회동부는 일단이 제1걸이부(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걸이부(310)에 연결됨으로써 이단 폴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410)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접이식 조리도구는 단일 회동 구조가 구비되어 회동 범위가 좁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복수 개의 회동 구조가 구비되어 회동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부 하단에 배치되는 바디부(200)가 180도 회동 가능하고, 회동부 상단에 배치되는 핸들부(300)가 180도 회동 가능하여 360도 전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접이식 조리도구는 단일 회동 구조가 손상되는 경우 더 이상 회동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복수 개의 회동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회동부가 손상되어도 일정 범위 회동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360도 회전함에 따라 바디부(200)와 폴딩부가 서로 맞대어 포개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전후 조리도구의 보관 시 적재 부피가 감소하여 캠핑 등의 외부 액티비티 활동으로 인해 조리도구를 수반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회동부는 바디부(200), 핸들부(300) 및 회동부가 상호 완전 분리될 수 있도록 홀(410)의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조리 시 발생할 수 있는 기름때 등의 이물질에 의해 조리도구가 오염되더라도 바디부(200), 핸들부(300) 및 회동부가 상호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세척 등 위생 관리가 용이하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슬라이딩부(5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고정돌기(530) 및 고정홈(220)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슬라이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500)는 조리 시 회동부에 의해 바디부(200) 및 핸들부(30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휴 시 회동부가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를 감싸며 회동부의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딩부(500)는 슬라이딩 돌기(520) 및 고정돌기(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부(300)는 수용홈(320)을 포함하고, 바디부(200)는 고정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520)는 슬라이딩부(500)의 위치를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500)의 하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20)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돌기(5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핸들부(300)의 하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530)는 조리도구가 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20)은 고정돌기(5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디부(2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는 슬라이딩 돌기(520) 및 수용홈(320)이 서로 결합, 고정됨으로써 조리 시에는 폴딩부에 의해 바디부(200)와 핸들부(30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조리 후 보관 시 고정돌기(530) 및 고정홈(220)이 상호 결합, 고정됨으로써 바디부(200)와 핸들부(300)가 회동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500) 상면에는 원형부가 음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
200 - 바디부
210 - 제1걸이부
220 - 고정홈
300 - 핸들부
310 - 제2걸이부
320 - 수용홈
400 - 회동부
410 - 홀
500 - 슬라이딩부
520 - 슬라이딩 돌기
530 - 고정돌기

Claims (6)

  1. 단부로부터 주걱, 포크, 숟가락, 뒤집개, 국자 및 조리용 스푼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조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틱형의 형상을 가지는 핸들부; 및
    일측에 상기 바디부가 연결되고, 그 타측에 상기 핸들부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회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그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1걸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걸이부에 연결됨으로써 이단 폴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
    을 포함하며,

    조리 시 상기 회동부에 의해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핸들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휴 시 상기 회동부가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를 감싸며 상기 회동부의 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상기 핸들부 및 상기 회동부가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홀의 일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위치를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용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조리도구가 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KR1020210009116A 2021-01-08 2021-01-22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KR10239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67,462 US11766143B2 (en) 2021-01-08 2021-09-07 Cooking utensil with double folding
EP21195288.2A EP4026461A1 (en) 2021-01-08 2021-09-07 Cooking utensil with double folding
JP2021181328A JP7269306B2 (ja) 2021-01-08 2021-11-05 二段折り畳み式調理道具
AU2021266187A AU2021266187B2 (en) 2021-01-08 2021-11-08 Cooking utensil with double fo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49 2021-01-08
KR20210002449 2021-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324B1 true KR102390324B1 (ko) 2022-04-25

Family

ID=8145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16A KR102390324B1 (ko) 2021-01-08 2021-01-22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3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77A (ko) * 2004-10-15 2006-04-19 윤경동 일단 혹은 2단 접이 식 1회용 젓가락
KR20090005820U (ko) * 2007-12-10 2009-06-15 김현주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KR101317636B1 (ko) * 2013-03-27 2013-10-10 한석빈 접이식 식사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77A (ko) * 2004-10-15 2006-04-19 윤경동 일단 혹은 2단 접이 식 1회용 젓가락
KR20090005820U (ko) * 2007-12-10 2009-06-15 김현주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KR101317636B1 (ko) * 2013-03-27 2013-10-10 한석빈 접이식 식사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9941U (ja) エコポータブル食器
CN112167969A (zh) 组合式空气炸锅和慢炖锅盖
KR102390324B1 (ko) 이단 접이식 조리도구
KR200463179Y1 (ko) 냄비
JP3950814B2 (ja) 保温容器
JP7269306B2 (ja) 二段折り畳み式調理道具
CN220988449U (zh) 能够进行压力烹饪和空气煎炸的盖以及具有该盖的设备
CN208957696U (zh) 烹饪器具
KR100576240B1 (ko) 국자
KR102522884B1 (ko) 슬라이딩 조리도구
KR101042337B1 (ko) 화장품 용기
JP5911076B1 (ja) 柄の立つお玉
JPS5849694Y2 (ja) 煮炊器等の蓋鎖錠装置
KR101545297B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손잡이
JPS59232519A (ja) 炊飯器
CN211657922U (zh) 盖体组件和烹饪器具
KR20190107837A (ko) 냄비
CN214317828U (zh) 一种烹饪器具的储物装置及烹饪器具
CN212089164U (zh) 烹饪器具
CN210121065U (zh) 烹饪器具
JPS6228175Y2 (ko)
KR200401713Y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
KR200180093Y1 (ko) 주방용 국자
CN209883796U (zh) 隐藏式的电饭煲转轴结构
KR20170139779A (ko)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