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103B1 -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103B1
KR102390103B1 KR1020200081000A KR20200081000A KR102390103B1 KR 102390103 B1 KR102390103 B1 KR 102390103B1 KR 1020200081000 A KR1020200081000 A KR 1020200081000A KR 20200081000 A KR20200081000 A KR 20200081000A KR 102390103 B1 KR102390103 B1 KR 10239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electronic device
server
pupi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332A (ko
Inventor
배강태
배민지
조인자
배준규
Original Assignee
배강태
배민지
조인자
배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강태, 배민지, 조인자, 배준규 filed Critical 배강태
Priority to KR102020008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1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06V40/171Local features and components; Facial parts ; Occluding parts, e.g. glasses; Geometrical relations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고가 표시되는 전자장치를 기초로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시스템 및 광고 시청시간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은 광고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장치 및 안면 정보를 기초로 광고에 대한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시청 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Advertising viewing time calcu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고가 표시되는 전자장치를 기초로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시스템 및 광고 시청시간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선 추적 기술의 적용 대상 기기 및 적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에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상기 시선 추적 기술을 활용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광고가 표시되는 전자장치는 일반 커피숍이나 빌딩 등에 산재되어 있으나, 종래에는 개인용 단말장치 등에 표시되는 광고 시청에 대한 리워드만을 지급하였다.
이에, 특정인이 사용가능한 전자장치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광고에 대하여도, 광고 시청시간에 따른 리워드를 지급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근가능한전자장치에 대한 광고 시청시간 산출 시스템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의 보상 방법은, 전자장치에 의해,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에 의해, 상기 안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시청 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보상 방법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계정 정보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식별표지에 대한 정보를 수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장치를 연동한다.
한편,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면 정보에 대응하는 얼굴 라인 및 눈동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라인 및 눈동자 이미지를 기초로 광고 시청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시청 여부를 카운팅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보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은 광고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안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시청 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유형의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광고에 대한 시청시간에 대한 리워드 지급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광고 산업 전반의 발전에 이바지한다.
특히, 단순히 전자장치에 표시된 식별 표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전자장치에 대한 광고시청을 보상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 및 간편하고 효율적인 광고 시청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도어락, 버스, 지하철에 부착된 광고 패널과 같이 사용자의거주 환경 및 생활 습관에 따라 반복적으로 시청되는 장치인 경우에도 별도의 프로세스 없이도 광고 시청시간이 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리워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이 광고 시청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지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광고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7b를 통해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이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이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공적인 지능 또는 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할 수 있고,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로서 컴퓨팅 장치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여 특정 대상 혹은 조건을 이해할 수 있게 하거나 데이터의 패턴을 찾아내 분류하는 기술적 방식으로써 컴퓨터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기계 학습은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도이다.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은 전자장치(100),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광고주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은 광고 시청시간에 대응하도록 리워드를 지급하는 광고시청 보상 서비스를 운용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명령 신호를 기초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명령 신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고,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기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식별 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식별 표지는 타 전자기기를 통해 식별 가능한 모든 유형의 표지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가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에 대응하는 전자장치(100)에 연동하기 위해 식별하는 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식별 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의 일부분(예로, 화면 모서리 부분)에 QR 코드를 식별 표지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일예에 불과하고, 기 사용자 단말기(300)가 연동 되기 전인 경우,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전면에 식별 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기설정된 기간간격으로 전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를 통해, 전자장치(100) 상에 표시되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상기 안면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장치(10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카페 진동벨(coaster pager 또는 guest pager), 네비게이션 장치, 보안 기기(예: 도어락),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 외에도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상기 광고시청 보상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전자장치(100)를 통해 수신하는 안면 정보를 분석하고,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보상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장치(100)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려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각각의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구분해서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구분된 정보를 분석해서 사용자의 시선 분석에 대한 일반화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화된 데이터는 새로 설치되는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최초 기준 데이터로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구분해서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안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광고 시청 패턴을 분석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상기 일반화된 데이터, 안면 정보 및 광고 시청 패턴를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서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구분은 물리적인 구분인 하드웨어로 구분되거나, 추상적인 구분인 소프트웨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하나의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서버들이 하나의 서버군으로 운영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자장치(100)에 포함된 식별표지를 기초로 서버(200)로 연동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태블릿 PC, PMP,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300)는 광고시청 보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서버(200)를 통해 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출고시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된 것일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기설정된 기간간격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초로 상기 식별표지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 서버(400)는 전자장치(100)에 디스플레이하는 광고를 생산 및 배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사 서버일 수 있다. 광고주 서버(200)는 서버(200)와 통신하여 광고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버(2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120)는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2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눈을 포함하는 얼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130)는 광고 및/또는 식별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수단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광고를 표시할 수 있고, 식별표지를 표시할 수 있고, 광고를 표시하는 중 디스플레이(130)의 일부분에 식별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32인치, 45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장치(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재생되는 광고 컨텐츠 및 식별 표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150)에 의한 데이터의 쓰기(write)/읽기(read)/삭제(erase)/갱신(update)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카메라(1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서버(200)로 획득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200)는 빅데이터 관리부(210), AI 관리부(220), 분석부(230) 및 서비스 운영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빅데이터 관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 관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00)가 획득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안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계정정보(또는 고유정보)에 대응하여 안면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빅데이터 관리부(210)에 포함된 안면 정보를 AI의 학습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I 관리부(220)는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 기준을 갖는 분석 모델을 생성 또는 학습시킬 수 있다. 일 예로, AI 관리부(220)는 안면 영상에 포함된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광고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갖는 분석 모델 또는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 학습 또는 갱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석부(230)는 다양한 정보를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광고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대한 안면 정보를 입력하면, 제1 인공지능 모델은 얼굴 라인 및 눈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은 얼굴 라인 및 눈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광고시청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서버(200)의 AI 관리부(220) 및 분석부(230)가 전자장치(10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AI 관리부(220)의 적어도 일부 및 분석부(23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프로세서(15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관리부(220) 및 분석부(23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전자장치(1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때, 인공 지능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은 확률 연산에 특화된 전용 프로세서로서,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보다 병렬처리 성능이 높아 기계 학습과 같은 인공 지능 분야의 연산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AI 관리부(220) 및 분석부(230)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AI 관리부(220) 및 분석부(230)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나, 또는 별도의 장치 및 서버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I 관리부(220) 및 분석부(230) 중 하나는 전자장치(100)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AI 관리부(220) 및 분석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AI 관리부(220)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분석부(23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분석부(23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AI 관리부(2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운영부(240)는 전자장치(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체 시스템 운영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운영부(240)는 전자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다양한 정보 및 이를 기초로 분석한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부(240)는 전자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의 서비스 연동을 승인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부(240)는 전자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장치(100)가 식별 표지를 표시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 표지는 해당 전자장치(100)에 대한 고유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운영부(24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식별 표지를 인식(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캡쳐 등)한 결과 획득한 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연동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부(240)는 상기 표지정보, 상기 식별 표지에 대응하는 전자장치(100)의 위치정보,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계정정보(또는 고유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텍적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부(240)는 분석부(230)에서 획득한 광고 시청시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계정에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운영부(240)는 상기 연동된 사용자의 계정정보(또는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계정에 광고 시청시간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는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에 대응하는 주체가 운영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사용가능한 리워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이 광고 시청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지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S410). 이때, 전자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기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전자장치(100)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기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 전자장치(100)가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0)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경우,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안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의 카메라(120)는 광고를 표시하고 있는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130)의 전면부에 대하여 실시간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실시간 영상정보 중 안면정보가 포함된 안면 영상정보를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30)의 전면부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광고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안면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전체 실시간 영상정보 중 안면 영상정보의 비율을 산출하여 광고 시청가능 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실시간 영상정보 중 안면 영상정보가 아닌 영상정보 기간은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상기 안면 영상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상기 안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안면 정보를 기초로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안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을 트래킹할 수 있고, 상기 시선 트래킹 결과 광고를 응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광고를 응시하고 있는 안면 정보를 포함하는 안면 영상정보의 수를 기초로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430).
본 발명의 서버(200)는 광고 시청시간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S440).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상기 광고 시청시간뿐만 아니라,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시청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광고 시청시간의 길이에 비례하여 예상 리워드를 산정할 수 있고, 광고 시청가능 시간 대비 광고 시청시간을 예상 리워드에 가중치로 적용하여 최종 리워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시청시간에 비례하여 10 포인트를 리워드로 지급하는 경우, 서버(200)는 광고 시청시간이 10초인 경우, 예상 리워드로 100 포인트를 산정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시청가능 시간이 100초인 경우, 광고 시청가능 시간 대비 광고 시청시간 비율은 1/10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예상 리워드 100 포인트에 상기 비율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최종 리워드를 10 포인트로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m은 단순히 광고 표시시간이 아닌 광고를 볼 수 있는 기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고, 단순히 절대적인 광고 시청시간뿐만 아니라 시청시간 비율을 기초로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b를 통해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이 광고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통해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이 리워드를 지급할 사용자 단말기의 연동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광고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안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안면 정보를 기초로 눈동자 이미지 및 방향 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S510). 눈동자 이미지 및 방향 벡터를 획득하는 실시예는 아래에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눈동자 이미지 및 방향 벡터를 입력하면, 광고 응시 여부를 출력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시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눈동자 이미지 및 방향 벡터를 학습 데이터로 학습된 것으로 기저장된 것일 수 있고, 전자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광고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안면 영상정보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시청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가 실시간 영상정보의 촬영을 프레임 1/10초 간격으로 획득하는 경우, 광고를 응시하고 있는 안면 정보를 포함하는 안면 영상정보의 수가 100개이면, 서버(200)는 광고 시청시간을 10초로 산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안면 영상정보에서 눈동자 이미지 및 방향 벡터를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안면 영상정보(610)에 포함된 안면 정보 중 눈썹, 미간(眉間)에 대응되는 영역(611), 코 주변부에 대응되는 영역(612) 및 눈 주변부에 대응되는 영역(613)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사용자 얼굴의 각 영역을 인식하기 위해 안면 영상정보를 입력하면,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예시로 CNN, RNN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서버(20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눈썹, 미간(眉間)에 대응되는 영역(611), 코 주변부에 대응되는 영역(612)을 인식하고, 얼굴 라인(614)을 인식하고, 사용자 얼굴의 T존(zone)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200)는 특정 사용자의 T존을 인식하면, 해당 사용자의 또 다른 안면 영상정보가 입력되더라도 동일한 영역을 T 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면 영상정보가 시간을 달리하여 입력되더라도, 서버(200)는 동일한 영역을 T존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기준 영역으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눈에 대응하는 영역(613)을 캡쳐하여 눈동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서버(200)는 입력된 안면 영상정보에서 눈의 위치를 탐색하고, 두 눈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얼굴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 컴퓨터 비전과 패턴 인식 분야의 엑티브 형상 모델(ASM)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SM 방법의 핵심 알고리즘은 2개의 서브 모델들, 즉 글로벌 형상 모델과 부분 형상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ASM 방법은 오브젝트들의 특징 포인트들을 동시에 빠르게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서버(200)는 눈꺼풀과 눈의 양끝의 위치들을 얼굴 영역에서 탐색할 수 있고 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ASM 모델에서 특징의 기울기 편차에 매칭되는 위치를 탐색함으로써 안면 정보에 포함된 눈꺼풀 및 눈 양끝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캡쳐함으로써 눈동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사용자의 얼굴에 포함된 트라이앵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안면 영상정보(610)에 포함된 눈에 대응되는 영역(613), 턱에 대응되는 영역(616)를 기준으로 트라이앵글 블록(R)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서버(200)는 입에 대응되는 영역(615)과 눈에 대응되는 영역(613)을 기준으로 트라이앵글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눈썹이 끝나는 지점(미도시), 미간에 대응되는 영역 등(611) 다양한 영역을 기준으로 트라이앵글 블록(R)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포함된 눈에 대응되는 영역(613), 턱에 대응되는 영역(616)을 인식하기 위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예시로 CNN, RNN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은 서버(20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트라이앵글 블록을 기초로 얼굴의 방향 벡터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7a 및 도 7b를 통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얼굴 라인(614)의 상하 길이(m)와 좌우 길이(n)의 비율(m/n)이 일정 값 이상이고, 트라이앵글 블록(R)의 제1 상단(a)이 제2 상단(b)보다 z축 값이 낮은 경우, 방향 벡터(710)가 x축 방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얼굴 라인(614)의 상하 길이(m)와 좌우 길이(n)의 비율(m/n)이 일정 값 이하이고, 트라이앵글 블록(R)의 제1 상단(a) 및 제2 상단(b)의 중앙점과 하단(c)의 z축 값 차이가 작아지는 경우, 방향 벡터(720)가 z축 방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눈동자 이미지와 상기 방향 벡터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눈동자 이미지가 x,y,z 3축 기준으로 방향 벡터와 상보적인 방향을 향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벡터가 x축 방향일 때, 눈동자 이미지가 일정도 이상 y축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서버(200)는 광고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향 벡터가 y,z축 방향일 때, 눈동자 이미지가 일정도 이상 x,y축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서버(200)는 광고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이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전자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두 기기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것으로 식별하면(S800), 전자장치(100)가 식별표지를 표시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810).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식별표지 표시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식별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S820).
사용자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별 표지를 식별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전자장치(100)와의 연동 요청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표지, 위치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계정정보(또는 고유정보)를 기초로 연동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S840).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연동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3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전송한 식별 표지에 대응하는 전자장치(100)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이고, 상기 전송한 식별 표지가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유효한 경우 연동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전자장치(100)로 광고를 표시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8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연동 요청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표시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0)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S860). 전자장치(100)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안면 정보를 포함하는 안면 영상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870). 서버(200)는 안면 정보를 기초로 시청시간을 분석할 수 있고(S880),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계정에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S890).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300)가 단순히 전자장치(100)에 표시된 식별 표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 및 간편하고 효율적인 광고 시청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전자장치(100)간 이전에 연동 요청이 승인된 히스토리가 있는 경우의 실시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전자장치(100)에 표시된 식별 표지를 기초로 연동 요청을 전달 받은 경우,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정보 및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식별 표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기저장된 계정정보로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전자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두 기기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인 것으로 식별하면(S800), 사용자 단말기(300)와 전자장치(100)를 자동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S900).
본 발명의 서버(200)는 전자장치(100)로 광고를 표시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9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연동 요청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표시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0)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S920). 전자장치(100)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안면 정보를 포함하는 안면 영상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930). 서버(200)는 안면 정보를 기초로 시청시간을 분석할 수 있고(S040),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계정에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S950).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1)은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300)와 전자장치(100)가 연동된 히스토리가 있는 경우, 별도의 프로세서가 없어도 자동으로 연동시키고,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00)가 사용자의 도어락 또는 버스, 지하철에 부착된 광고 패널과 같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시청되는 장치인 경우, 별도의 프로세스 없이도 광고 시청시간이 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리워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이때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자장치
110: 통신부
120: 카메라
130: 디스플레이
140: 메모리
150: 프로세서
200: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광고주 서버

Claims (7)

  1.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의 보상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에 의해,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에 의해, 상기 안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에 대한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시청 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면 정보를 기초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 라인을 획득하고, 액티브 형상 모델(ASM)을 이용하여 눈동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얼굴 라인을 기초로 상하 길이(m), 좌우 길이(n) 및 길이비율(m/n)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눈동자 이미지를 기초로 좌측 눈동자(a) 및 우측 눈동자(b)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길이비율(m/n)이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좌측 눈동자(a) 위치가 상기 우측 눈동자(b) 위치보다 z축 값이 큰 경우, 안면 방향벡터를 x축으로 식별하고, 상기 길이비율(m/n)이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우측 눈동자(b) 위치가 상기 좌측 눈동자(a) 위치보다 z축 값이 큰 경우, 안면 방향벡터를 y축으로 식별하고, 상기 길이비율이 제1 값 미만이면, 안면 방향벡터를 z축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안면 방향벡터 및 상기 눈동자 이미지를 결합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시청 여부를 카운팅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방법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를 표시하는 것인 보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계정 정보로 제공하는 것인 보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식별표지에 대한 정보를 수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전자장치를 연동하는 것인 보상 방법.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안면 정보를 기초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 라인을 획득하고, 액티브 형상 모델(ASM)을 이용하여 눈동자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얼굴 라인을 기초로 상하 길이(m), 좌우 길이(n) 및 길이비율(m/n)을 산출하고,
    상기 눈동자 이미지를 기초로 좌측 눈동자(a) 및 우측 눈동자(b)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길이비율(m/n)이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좌측 눈동자(a) 위치가 상기 우측 눈동자(b) 위치보다 z축 값이 큰 경우, 안면 방향벡터를 x축으로 식별하고, 상기 길이비율(m/n)이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우측 눈동자(b) 위치가 상기 좌측 눈동자(a) 위치보다 z축 값이 큰 경우, 안면 방향벡터를 y축으로 식별하고, 상기 길이비율이 제1 값 미만이면, 안면 방향벡터를 z축으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안면 방향벡터 및 상기 눈동자 이미지를 결합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출력하고,
    상기 광고 시청 여부를 카운팅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시청 시간을 기초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광고시청 보상 시스템.
KR1020200081000A 2020-07-01 2020-07-01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39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00A KR102390103B1 (ko) 2020-07-01 2020-07-01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00A KR102390103B1 (ko) 2020-07-01 2020-07-01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32A KR20220003332A (ko) 2022-01-10
KR102390103B1 true KR102390103B1 (ko) 2022-04-25

Family

ID=7934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00A KR102390103B1 (ko) 2020-07-01 2020-07-01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1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69B1 (ko) * 2012-09-28 2014-08-01 권혁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노출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KR20150117733A (ko) * 2014-04-10 2015-10-21 주식회사 와이즈웰스 개인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779094B1 (ko) * 2016-01-06 2017-09-18 (주)지와이네트웍스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을 이용한 통합 매장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32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728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a us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587297B2 (en) Virtual content generation
US10306060B1 (en) Call center interface
US10380603B2 (en) Assessing personality and mood characteristics of a custom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improve chances of a sale
US11520399B2 (e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positional tracking
US10192258B2 (en) Method and system of augmented-reality simulations
US20140363059A1 (en) Retail customer servic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10037542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interface
US20180357670A1 (en) Dynamically capturing,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mages based on real-time visual identification of object
US9013591B2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g user engagement and sentiment with learned models and user-facing camera images
US20150135101A1 (en) Function based interface
US20150135067A1 (en) Intelligent data presentation
US9864972B2 (en) Vehicle interface
US20210405363A1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ocial distancing
US115868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user driven adaptive object visualizations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models
US11748989B2 (en) Enhancing detection of occluded objects in a multiple object detection system
JP2017156514A (ja) 電子看板システム
KR20190109654A (ko)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0735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user's intentions
US20230367118A1 (en) Augmented reality gaming using virtual eyewear beams
KR2020001316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90103B1 (ko) 광고 시청시간 산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9011920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188833A1 (en) Facilitating payments in an extended reality system based on behavioral biometrics
US202200673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tracking, and collecting data on a person of inte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