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975B1 -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 Google Patents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975B1
KR102388975B1 KR1020200186871A KR20200186871A KR102388975B1 KR 102388975 B1 KR102388975 B1 KR 102388975B1 KR 1020200186871 A KR1020200186871 A KR 1020200186871A KR 20200186871 A KR20200186871 A KR 20200186871A KR 102388975 B1 KR102388975 B1 KR 10238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urifier
unit
user termina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열
김해기
박병현
박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to KR102020018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9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oT that prevents unnecessary air purifier operation and power consumption by selectively driving air purifiers provided for each area in the subwa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passengers, and also drives the hot and cold blowers that can distribute the purified air to the surroundings to provide faster airflow purification.

Description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를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내 구역별로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승객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불필요한 공기청정기 가동 및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주변으로 분산할 수 있는 냉온풍기를 함께 구동시켜 빠르게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more particularly,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air purifier provided for each zone in the subwa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assenger to preven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power consumption And, it relates to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at can quickly purify air by driving a hot and cold fan that can disperse purified air to the surroundings.

일반적으로 지하철 내부와 같은 지하공간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환기를 시키기 어려우며, 지하철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외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지하공간 내부에 부유하기 때문에 공기가 탁하고, 오염도가 높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ventilate an underground space such as the inside of a subway because outside air flows in, and the dust generated inside the subway or fine dust introduced to the outside floats inside the underground space, so the air is turbid and has a high degree of pollution. exist.

따라서, 일정 구역별로 지하철 내부 공간에는 지하공간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구비되어 있다.Accordingly,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internal air of the underground space is provided in the subway internal space for each predetermined area.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지하철 운영시간에 맞춰 단순히 가동시간이 제어되고, 가동정도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승객이 밀집하는 출퇴근 시간 등에 맞춰 공기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Such air purifier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purify the air according to the commute time when passengers are crowded, because the operating time is simp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ubway operating hour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egree of operation.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8822호에는 "지하철역사 공기정화 환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ubway station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58822.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또한 현장 관리자가 원격으로 증배부 및 집진부의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승객이 체감하는 공기오염도에 맞춰 공기청정기를 구동시키기 다소 어려우며, 보다 정화된 공기를 얻고자 하는 승객에게 맞춤형 정화공기를 제공하기는 다소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However, the prior art also allows the on-site manager to remotely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multiplier and dust collector to perform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it is rather difficult to driv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level experienced by passengers, and to provide more purified ai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rather difficult to provide customized purified air to passengers who want to obtain it.

또한, 증배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환기시스템은 증배부 및 집진부와 인접한 공간만의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증배부 및 집진부와 멀어질수록 공기의 질 또한 저하되고, 정화된 공기가 지하공간 내부를 순환하기 어려워 지하철역 내부 공기를 전체적으로 정화하기 어려우며, 전체적으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과도한 전력 소모를 통해 전체적으로 공기정화를 이루어지게 하거나, 다소 시간이 걸린다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multiplier and the dust collector purifies only the air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multiplier and the dust collector, the further away from the multiplier and the dust collector, the lower the air quality, and the purified air is stored in the underground space. It is difficult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subway station, so it is difficult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subway station as a who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8822호 "지하철역사 공기정화 환기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58822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sta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6782호 "지하철역사 공기정화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86782 "Subway Station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철 내 구역별로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승객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불필요한 공기청정기 가동 및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주변으로 분산할 수 있는 냉온풍기를 함께 구동시켜 빠르게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selectively driving the air purifier provided for each zone in the subwa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assenger,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purified air can be dispersed aroun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at can quickly purify the air by driving the hot and cold air fans together.

또한, 각 구역별 승객의 밀집 정도를 확인하고, 승객의 요청에 따라 공기청정기 및 냉온풍기 가동시 승객의 밀집 정도에 맞게 구동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mart air purifier control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at can check the density of passengers in each zone and automatically adjust the driving degree according to the density of passengers when the air purifier and hot/cooler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passenger's reques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또한, 구역별 공기 오염정도 및 공기정화작업 여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하여 승객이 직접 공기청정기를 구동 요청하거나 오염정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smart air purifier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can be used to guide passengers to drive the air purifier directly or to move to an area with a low pollution level by guiding the level of air pollution by area and whether air purif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pplic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내 공기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n underground air purifier,

공기정화를 수행하는 공기청정기;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부; 및 지하 내 승객이 소지하며, 상기 관리부로 공기정화 요청을 보내 상기 관리부가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을 제어시키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기정화 요청을 수신받는 통신모듈; 상기 공기청정기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받은 공기정화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정도를 판단하여 판단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판단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기설정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the air; a management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a user terminal that is carried by a passenger in the basement and sends an air purif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by the management unit; a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 purification request;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air purifier; a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generates a determination valu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etermination value to the control module; and a memory for storing a value preset in the determination module.

또한, 공기청정기의 외부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될 수 있는 QR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QR코드를 통새 상기 관리부로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기정화 요청을 신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승객의 연령대, 기관지 환자 여부 및 공기정화 정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QR code through which the user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apply for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that has connected the QR code to the management unit all the time. and an interface providing unit providing an interface, wherein the interface includes an input box for inputting the age of the passenger, whether the passenger is a bronchial patient, and the degree of air purification.

또한, 공기청정기 제어시스템은 지하 내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시킬 수 있는 냉온풍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기청정기 구동시 상기 냉온풍기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hot and cold blower capable of discharging cold or hot air in the basement, and the control module may drive the hot and cold blower together when the air purifier is driven.

이때, 판단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공기정화 요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유닛; 상기 카운트 유닛이 카운팅한 상기 공기정화 요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유닛; 및 상기 가중치유닛에서 가중치를 받은 상기 공기정화 요청의 합산한 값으로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정도와 상기 냉온풍기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판단하여 판단값을 생성하는 구동판단유닛;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module includes: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 weighting unit for giving weights to the air purification request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and a driving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determination value by determining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and whether the cold/hot air fan is driven and the driving degree with the sum of the air purification requests weighted by the weighting unit.

또한, 지하 내 공기오염도 및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공기오염도 및 실내온도를 상기 통신모듈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indoor temperature in the basement, and guid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room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철 내 구역별로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승객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불필요한 공기청정기 가동 및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주변으로 분산할 수 있는 냉온풍기를 함께 구동시켜 빠르게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drives the air purifier provided for each zone in the subwa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assenger to preven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power consumption, and drives the hot and cold blower capable of distributing the purified air to the surroundings.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purifying the air.

또한, 각 구역별 승객의 밀집 정도를 확인하고, 승객의 요청에 따라 공기청정기 및 냉온풍기 가동시 승객의 밀집 정도에 맞게 구동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checking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passengers in each zone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riving degre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rowding of passengers when the air purifier and the cooling and heating fan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assenger.

또한, 구역별 공기 오염정도 및 공기정화작업 여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하여 승객이 직접 공기청정기를 구동 요청하거나 오염정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 구동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by guiding the level of air pollution by area and whether air purification work is performed through the application, passengers can directly request to drive the air purifier or guide them to move to an area with a low pollution level, thereby minimiz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through thi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sump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an interface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It shows the interface im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지하철 내 구역별로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승객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불필요한 공기청정기 가동 및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주변으로 분산할 수 있는 냉온풍기를 함께 구동시켜 빠르게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1)은 공기청정기(100), 냉온풍기(200), 관리부(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power consumption by selectively driving the air purifier provided for each zone in the subwa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assenger, and also drives the hot and cold fan capable of distributing the purified air to the surroundings to provide faster airflow. To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at can purify (400).

공기청정기(100)는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로, 관리부(3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00)는 관리부(30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며, 관리부(300)로 수신된 승객의 공기정화 요청에 따라 구동되어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100 is a device for purifying air, and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unit 300 . The air purifier 100 is remotely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unit 300 , and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passenger's air purification request received by the management unit 300 .

냉온풍기(200)는 공기청정기(100)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며, 냉풍 및/또는 온풍을 배출하여 지하철역 내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청정기(100)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공기청정기(100)로부터 멀리 퍼져나갈 수 있도록 바람을 배출하여 지하 실내의 공간으로 정화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The hot and cold blower 2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ir purifier 100, and can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in the subway station by discharging cold and/or hot air, as well as converting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100 to the air purifier ( 100), exhaust the wind so that it can spread farther away so that the purified air can be circulated to the underground space.

이때, 냉온풍기(200)는 공기청정기(100)의 정화된 공기를 빠르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공기청정기(100)가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측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hot and cold blower 200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r 100 discharges the purified air so as to circulate the purified air of the air purifier 100 quick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된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는 일정 구역(A)마다 단일개로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역(A1, A2, …, An)마다 구비된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는 각 구역별로 관리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air purifier 100 and cold/hot air blower 200 may be equally installed as a single unit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 and the air purifier 100 provided for each area A1, A2, ..., An,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may be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unit 300 for each zone.

이러한 구역(A)은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임의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도어 및 지하철의 도어(door)별로 나뉘어진 구역을 따라 기설치된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와 인접한 구역으로 설정하도록 한다.This zone (A) can be arbitrarily divi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hot and cold fan 200 are installed, and preferably, the air purifier installed along the screen door and the zone divided by the door of the subway. (100) and the hot and cold blower (200) and to set the adjacent area.

관리부(300)는 승객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공기정화 요청 신호를 받아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통신모듈(310), 제어모듈(320), 판단모듈(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한다.The management unit 300 receives an air purif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400 carried by the passeng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the control module 320 , a determination module 330 and a memory 340 .

통신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기(400)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공기정화 요청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서버를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receive an air purif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400 , and a separate server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0 .

이러한 통신모듈(310) 내에는 승객이 지하철역내 QR코드 등을 이용하여 공기정화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유닛(311)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0 includes an interface providing unit 311 that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passenger can request air purification using a QR code in a subway station.

인터페이스 제공유닛(311)은 도 4 및 5와 같이 승객이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통신모듈(310)과 연결되면 공기정화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를 제공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등이 불필요하고 간단하게 공기정화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1 provides an interface (I) that can perform an air purification request when the passenger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s shown in FIGS. 4 and 5 to download a separate application, etc. This makes it unnecessary and simple to perform an air purification request.

이러한 인터페이스 제공유닛(311)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I)에는 승객의 연령대, 기관지 환자 여부, 공기정화 정도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이 제공된다.The interface I provided by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1 is provided with an input box for directly inputting the age of the passenger, whether the patient is a bronchial patient, and the degree of air purification.

제어모듈(320)은 판단모듈(330)로부터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의 구동여부와 구동정도에 대한 판단값을 받으면 이에 따라 각 구역(A)로 구비된 공기청정기(100)와 냉온풍기(200)를 원격으로 구동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320 receives, from the determination module 330, a determination value on whether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are driven and the degree of operation, according to which the air purifier 100 provided in each zone (A). and the cold and hot air fan 200 are remotely driven and controlled.

판단모듈(330)은 통신모듈(310)을 통해 공기정화 요청 신호를 받으면 공기정화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공기정화 요청 신호를 발신한 사용자 단말기(400)가 위치한 영역(A)에 구비된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판단하여 생성된 판단값을 제어모듈(3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determination module 330 receives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it analyzes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signal and the air purifier provided in the area A where the user terminal 400 that has transmitted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signal is located.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and the degree of driving,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etermination value to the control module (320).

한편, 한명의 승객의 요청으로 인해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를 제어하는 경우 오히려 공기청정기(100)의 전력소모가 크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나 냉온풍기(200)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존재한다. 예를들어 동일하게 한명의 승객이 공기정화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출퇴근시간과 같이 승객이 많은 때와 심야시간과 같이 승객이 적은 때별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 및 냉온풍기(200)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적합하게 조절해야할 필요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100 is controlled at the request of one passeng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 purifier 100 may be rather large. ),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driving status and driving degree. For example, when one passenger requests air purification in the same way, when there are many passengers such as commuting time and when there are few passengers such as late night time,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100 and whether the cold/hot air fan 200 is driven and There is a need to appropriately adjust the driving degre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단모듈(330)은 카운트유닛(331), 가중치유닛(332), 구동판단유닛(333)을 포함하여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module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ing the count unit 331 , the weight unit 332 , and the drive determination unit 333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먼저, 카운트유닛(331)은 관리부(300)로부터 승객이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공기정화 요청을 통신모듈(310)을 통해 수신받아 이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irst, the count unit 331 receives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from the management unit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and counts it.

이러한 카운트유닛(331)은 공기정화 요청의 횟수만을 카운트 할 뿐만 아니라 공기정화 요청을 발신한 승객의 해당 구역, 공기정화 요청 수신 시간, 공기정화 정도에 대한 요청값, 승객 고유의 식별값, 즉 승객의 연령대별, 승객의 상태(정상 또는 기관지 환자인지 여부) 등을 포함하여 요청 횟수를 카운트하고, 공기정화 요청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This counting unit 331 counts only the number of air purification requests,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passenger who sent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reception time, the request value for the degree of air purification, the passenger's unique identification value, that is, the passenger You can count the number of requests, including by age group, passenger status (whether normal or bronchial patient), etc., and check the contents of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카운트유닛(331)에서 카운팅된 공기정화 요청은 가중치유닛(332)을 통해 해당 공기정화 요청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request counted by the count unit 331 may give weight to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through the weight unit 332 .

가중치유닛(332)은 카운트유닛(331)에서 수신받은 승객별 및 시간대별 공기정화 요청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eight unit 332 performs a function of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for each passenger and each time period received from the count unit 331 .

먼저, 승객의 연령별대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된 공기에 취약한 0 ~ 5세의 영유아와 60세 이상의 노인이 공기정화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요청값에 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이때, 영유아나 노인의 경우 보호자가 신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는 승객이 본인을 포함한 영유아 또는 노인의 식별값을 함께 입력하고 공기정화 신청하는 경우 일반인의 신청값과 가중치가 부여된 영유아/노인의 신청값의 합산된다.First, weights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age of passengers. For example, when an infant aged 0-5 and an elderly person over 60 who are vulnerable to polluted air perform an air purification request, a weight is assigned to the request valu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infants or the elderly, when a guardian applies for an application, when a passenger using the user terminal 400 enters the identification value of an infant or the elderly including themselves and applies for air purification, the application value and weight of the general public are given. The application value of the elderly is added up.

또한, 승객의 연령대별 외에도 기관지 관련 환자의 경우 본인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통신모듈(310) 내 인터페이스 제공유닛(311)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I)에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관지 관련 환자의 요청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ronchial-related patient in addition to the age group of the passenger, his/her condition may be input into the interface I provided from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1 in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us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this Through this, a weight can be assigned to the request value of the bronchial-related patient.

또한, 승객이 많은 시간대인 출퇴근시간에 공기정화 요청을 신청하는 신청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출근시간은 오전 7시 ~ 10시, 퇴근시간은 오후 5시 ~ 8시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ive weight to the application value for requesting air purification during commuting time, which is a time zone with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In this case, the start time may be set to 7:00 am to 10:00 am, and the leave time to be set from 5:00 pm to 8:00 pm.

또한, 공기정화 요청시 공기정화 정도를 요청함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도 4와 같이 보통, 약강 및 강함 상태로 공기정화 정도에 대한 인터페이스(I)가 사용자 단말기(400)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공기정화 정도를 설정한 뒤 공기정화를 신청하면 약강 및 강함 상태에 해당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questing air purification, a weight can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degree of air purification. For example, when the interface (I) for the degree of air purification in normal, weak, and strong states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as shown in FIG. 4 , the user sets the desired degree of air purification and then applies for air purification. and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strong state may be assigned.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요청값 'R'값에 대하여 부여되는 가중치의 예시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examples of weights given to the request value 'R' may be set as shown in Table 1 below.

승객 상태passenger status 요청값request value 일반 성인normal adult RR 영유아/노인Infant/Senior 1.5R1.5R 기관지 환자bronchial patient 2R2R 출퇴근 시간대 요청Request for commuting time 1.5R1.5R 공기정화정도 '약강' 요청Air purification level 'weak' request 1.5R1.5R 공기정화정도 '강함' 요청Request for ‘strong’ air purification degree 2R2R

구동판단유닛(333)은 가중치유닛(332)에서 가중치를 부여받은 요청값의 합산을 통해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를 제어하거나, 냉온풍기(200)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ing determination unit 333 controls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100 through the summation of the request values weighted by the weighting unit 332 or adjusts whether the cold/hot air blower 200 is driven and the driving degree. do.

즉, 표 1에 따른 기준에 따른 예시로 기관지 환자가 오전 9시(출근시간에 해당)에 '보통'상태로 공기정화를 요청하는 경우 총 요청값은 3.5R을 갖게된다.That is,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criteria according to Table 1, when a bronchial patient requests air purification in a 'normal' state at 9:00 am (corresponding to rush hour), the total request value is 3.5R.

이러한 요청값은 구동판단유닛(333)에 기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값은 아래의 표 2와 같다.The request value may be determined to be able to control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according to a reference value preset in the driving determination unit 333, and the reference value is shown in Table 2 below.

요청값(R)Request value (R) 0 ~ 10 to 1 1.5 ~ 3.51.5 to 3.5 4 ~ 54 to 5 5.5 ~5.5 ~
구동상태

driving state
기존 공기청정기 구동상태 유지Maint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xisting air purifier 요청값과 비례하여 공기청정기 구동정도 제어Controls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in proportion to the requested value 냉온풍기 구동 시작Start of cold/hot fan operation 요청값과 비례하여 냉온풍기 구동정도 제어Controlling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cold/hot fan in proportion to the requested value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총 요청값이 3.5R인 경우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를 최고로 구동시킨 상태로 유지하되, 냉온풍기(200)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tal request value is 3.5R,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100 is maintained in the highest driving state, but the driving of the cold/hot air blower 200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또한, 구동판단유닛(333)은 일정시간 내 다양한 승객으로부터 요청받은 합산된 요청값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며, 이때 일정시간은 15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riving determination unit 333 is driven according to the summed request values requested from various passenge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ferably set to 15 minu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위와 같이 일정시간 내 다양한 승객으로부터 요청받은 요청값의 가중치를 가중치유닛(332)이 부여하고, 이를 합산한 요청값에 따라 구동판단유닛(333)이 기준값에 따라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를 제어하거나 냉온풍기(200)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eighting unit 332 gives weights of the requested values requested from various passenger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driving determination unit 333 determines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summed request value. To control or control whether the cold and hot air fan 200 is driven and the degree of driving.

이때, 일정시간은 매분마다 초기화되어 현재시간에서 상기 현재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과거에 요청된 요청값을 합산하여 해당구역(A)에 배치된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정도를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냉온풍기(200)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청정기(100)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빠르게 지하철역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is initialized every minute, and the request values requested in the past from the current time are summed at the current time to control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100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 and, if necessary, By controlling whether the cooling fan 200 is driven and the degree of driving, the air purified from the air purifier 100 can be quickly circulated inside the subway station.

메모리(340)는 통신모듈(31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I), 가중치유닛(332)의 가중치 부여값, 판단모듈(330)의 기준값 등이 기저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메모리(340)에 기저장된 값을 이용하여 관리부(300)가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memory 340 , the interface I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 the weighting value of the weighting unit 332 , the reference value of the determination module 330 , etc. are pre-stored in the memory 340 . By using the value, the management unit 3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

사용자 단말기(400)는 승객이 개인적으로 소유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으며, 지하철역 내 구역별로 설치된 공기청정기(100)에 구비된 QR코드를 통해 관리부(300) 내 통신모듈(310)과 연결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제공유닛(311)을 통해 인터페이스(I)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구현하여 공기정화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user terminal 400 may be a smartphone, tablet PC, etc. personally owned by the passeng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in the management unit 300 through the QR code provided in the air purifier 100 installed for each area in the subway station. can be connected to, and implements the interface (I) as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interface providing unit 311 so that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can be performed.

한편, 승객이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구현된 인터페이스(I)를 통해 공기정화 요청을 수신을 받지 않을 때에도 공기청정기(100)의 추가적인 구동이 필요할 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하철이 진입 또는 출발할 경우 발생되는 바람으로 인해 지하철역 내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이동 및 부유할 수 있으며, 출퇴근 시간 등과 같이 다수의 승객이 이용하는 시간대에는 상대적으로 지하철역 내 공기오염도가 높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times when additional driving of the air purifier 100 is required even when the passenger does not receive an air purification request through the interface I im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400 . For example, due to the wind generated when a subway enters or departs, a large amount of fine dust can move and float in the subway station, and the air pollution in the subway station is relatively high during the time period used by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such as commuting time.

이러한 경우 승객이 직접 요청하기 전까지는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가 일반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공기질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improved air quality because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are generally driven until the passenger directly requests it.

또한, 승객에게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현재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안내할 수 없어 승객이 공기청정기 구동 신청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passeng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rive the air purifier because the current indoor air pollution level cannot be informed to the passeng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1)은 지하철역 내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500 capable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in the subway station.

감지부(500)는 공기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500)가 설치된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이를 관리부(300)로 전달하게 된다.The detection unit 500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ir pollution level, and detects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in which the detection unit 500 is installed,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unit 300 .

이때, 감지부(500)는 공기청정기(100)와 이격된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청정기(100) 주변의 정화된 공기를 감지하는 것이 아닌 구역별 평균적인 공기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감지부(500)는 주로 승객이 위치하는 실내 벤치나 스크린 도어에 구비되어 승객이 주로 접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어모듈(320)이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ensing unit 500 is installed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air purifier 100 ,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verage air pollution level for each zone rather than detecting the purified air around the air purifier 100 . Such a sensing unit 500 is provided on an indoor bench or a screen door where passengers are mainly located to detect the pollution level of air that passengers mainly come into contact with. to control the operation of

또한, 감지부(500)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500)가 설치된 구역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센서값과 메모리(340)에 기저장된 계절별 실내 적정온도를 판단모듈(330)이 비교하여 냉온풍기(200)가 배출하는 바람의 온도를 제어모듈(320)이 제어하여 냉온풍기(2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50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area in which the sensing unit 500 is installed, includ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determines the measured temperature sensor value and the appropriate indoor temperature for each season stored in the memory 340 in advance. ), the control module 32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ind discharged by the cold and hot air blower 200 to drive the cold and hot air blower 200 .

예를 들어, 제1 구역(A1)의 현재 온도가 20℃이고, 해당 날짜의 실내 적정온도가 25℃인 경우 냉온풍기(200) 구동시 25℃ 이상의 온도를 갖는 바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모듈(320)이 제어함으로써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바람이 지하철역 내 공간을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객에게는 실내 적정온도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역 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first zone A1 is 20°C and the appropriate indoor temperature for that day is 25°C, the control module can discharge wind having a temperature of 25°C or higher when the cold/hot air blower 200 is driven Controlled by 320, the wind along with the purified air can circulate in the space in the subway station, and by providing an appropriate indoor temperature to the passengers, it is possible to use the subway station more comfortably.

더 나아가, 감지부(500)를 통해 각 구역별 온도 및 공기오염도 수치를 승객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400)로 안내하여 공기청정기(100)의 구동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승객이 위치한 구역에서 인접한 청정구역 또는 원하는 실내온도를 가진 구역인 제2 구역(A2) 등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의 추가적인 구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Furthermore, through the sensing unit 500, the temperature and air pollution degree values for each zone are gu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possessed by the passenger, so that even if the driving of the air purifier 100 is not requested, the clean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 is locat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guide the user to move directly to the second zone A2, etc., which is a zone having a desired indoor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additional driving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cold/hot air blower 200 .

더나아가 감지부(500)는 메모리(340)에 기설정된 값, 즉 계절별 평균실내온도와 평균 공기오염도에 대한 일정 범위와 현재 지하철역내 실내온도 및 공기오염도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판단모듈(330)이 자동으로 감지부(500)로부터 감지된 감지값과 메모리(340)에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승객의 요청없이도 계절별 평균실내온도 및 평균 공기오염도에 맞춰 자동으로 공기청정기(100) 및 냉온풍기(200)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sensing unit 500 detects a difference between a preset value in the memory 340, that is, a certain range for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and average air pollution for each season, and the current indoor temperature and air pollution in the subway station. Determination module 330 This automatically compares the detected valu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500 with a preset value in the memory 340 to automatically match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and average air pollution level for each season without a passenger's request. 20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공기청정기 제어시스템
100: 공기청정기 200: 냉온풍기
300: 관리부 310: 통신모듈
311: 인터페이스 제공유닛 320: 제어모듈
330: 판단모듈 331: 카운트유닛
332: 가중치유닛 333: 구동판단유닛
340: 메모리 400: 사용자 단말기
500: 감지부
A,A1,A2: 구역 I: 인터페이스
1: Air purifier control system
100: air purifier 200: hot and cold blower
300: management unit 310: communication module
311: interface providing unit 320: control module
330: judgment module 331: count unit
332: weight unit 333: drive judgment unit
340: memory 400: user terminal
500: sensing unit
A,A1,A2: Zone I: Interface

Claims (5)

지하 내 공기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기정화를 수행하는 공기청정기;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부; 및
지하 내 승객이 소지하며, 상기 관리부로 공기정화 요청을 보내 상기 관리부가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을 제어시키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기정화 요청을 수신받는 통신모듈;
상기 공기청정기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받은 공기정화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정도를 판단하여 판단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판단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기설정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부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될 수 있는 QR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QR코드를 통새 상기 관리부로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기정화 요청을 신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승객의 연령대, 기관지 환자 여부 및 공기정화 정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It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control an air purifier in the basement,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the air;
a management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nd
a user terminal carried by a passenger in the basement and sending an air purif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by the management unit; and
The management unit,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an air purific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air purifier;
a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generates a determination valu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etermination value to the control module;
Consists of; a memory for storing a value set in the determination module;
A QR code through which the user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n interfa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requesting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that has connected the QR code to the management unit.
The interface is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put box for inputting the age of the passenger, whether the patient is a bronchial patient, and the degree of air purific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 제어시스템은 지하 내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시킬 수 있는 냉온풍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기청정기 구동시 상기 냉온풍기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purifier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a hot and cold blower capable of discharging cold or hot air in the basement,
The control module is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drive the hot and cold blower together when the air purifier is driv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공기정화 요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유닛;
상기 카운트 유닛이 카운팅한 상기 공기정화 요청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유닛; 및
상기 가중치유닛에서 가중치를 받은 상기 공기정화 요청의 합산한 값으로 상기 공기청정기의 구동정도와 상기 냉온풍기의 구동여부 및 구동정도를 판단하여 판단값을 생성하는 구동판단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rmination module is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air purific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 weighting unit for giving weights to the air purification requests counted by the counting unit; and
and a driving decis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judgment value by determining the driving degree of the air purifier and whether the cold/hot air fan is driven and the driving degree with the sum of the air purification requests weighted by the weighting unit.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내 공기오염도 및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공기오염도 및 실내온도를 상기 통신모듈에 연결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re guided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KR1020200186871A 2020-12-29 2020-12-29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KR102388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871A KR102388975B1 (en) 2020-12-29 2020-12-29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871A KR102388975B1 (en) 2020-12-29 2020-12-29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975B1 true KR102388975B1 (en) 2022-04-22

Family

ID=8145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871A KR102388975B1 (en) 2020-12-29 2020-12-29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97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22B1 (en) 2006-10-10 2006-12-15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for filtration and ventilatinon of air in subway station building
KR100786782B1 (en) 2007-07-02 2007-12-18 박이동 Air cleaning system for subwaystation
KR102040505B1 (en) * 2018-09-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r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032875A (en)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에이큐케이 Real-time care apparatus for indoor air qua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822B1 (en) 2006-10-10 2006-12-15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for filtration and ventilatinon of air in subway station building
KR100786782B1 (en) 2007-07-02 2007-12-18 박이동 Air cleaning system for subwaystation
KR20200032875A (en)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에이큐케이 Real-time care apparatus for indoor air quality
KR102040505B1 (en) * 2018-09-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r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987B1 (en)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customized for subway passengers
WO2019142647A1 (en) Space environment control system, space environment control device, and space environment control method
JP6872708B2 (en) Spati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spatial environment control device and spatial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6916239B2 (en) Air quality control system based on occupancy
US10247434B2 (en) HVAC system and an HVAC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VAC system based on air pollutant data and user comfort
KR102117836B1 (en)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US20190024926A1 (en) Electronic device and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140919A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CN1148577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 management of a room
US11674707B2 (en) System for minimizing indoor infection risk and maximizing energy savings
WO2022237802A1 (en)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air conditioner
US20220023482A1 (en) Pathogen decontamination for indoor environments using ultraviolet radiation
KR102388975B1 (en) Smart air purifier control system using iot
KR20180108965A (en) Radon ventilation system
KR20170089048A (en) Ventilating system using radon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23205A (en) Blower for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56728A (en) Air cleaning system
KR102362793B1 (en) Bio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WO2010100559A1 (en) Surgical instrument table ventilation devices and methods
KR102383990B1 (en) Control method of ventilation system for improving air quality and energy saving of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KR102602771B1 (en) IoT based air purifying system using smart mirror typed air purifier
KR102472460B1 (en) Air purifying system having supplementary fa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27806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619286B1 (en) Smart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306825B1 (en) Air purifying system using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