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553B1 - Pressure regulator - Google Patents
Pressure regu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8553B1 KR102388553B1 KR1020210148472A KR20210148472A KR102388553B1 KR 102388553 B1 KR102388553 B1 KR 102388553B1 KR 1020210148472 A KR1020210148472 A KR 1020210148472A KR 20210148472 A KR20210148472 A KR 20210148472A KR 102388553 B1 KR102388553 B1 KR 102388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ary
- plunger
- plug
- fluid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 F17C2205/0385—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in blocks 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9—Respiration devices for rescu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일차 및 이차 감압 과정을 통해 단계적으로 감압시켜 일정한 압력 및 유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압력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reg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regulator capable of supplying a fluid supplied at high pressure at a constant pressure and flow rate by stepwise decompression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decompression processes.
일반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화재 현장에서 호흡장치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호흡장치는 소방관의 등에 배낭 형태로 적재된 공기통의 공기를 소방관의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소방관이 착용한 마스크에 공기통의 공기를 감압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레귤레이터가 공기통 또는 마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어 고압의 공기에 의해 소방관의 호흡에 곤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통, 마스크,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호흡장치는 한 셋트로 이루어져 소방관이 착용하고 화재 현장으로 투입되어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In general, firefighters extinguishing a fire are supplied with air through a breathing apparatus at the scene of the fire. Such a breathing apparatus supplies air from a reservoir loaded in the form of a backpack on the firefighter's back to a mask worn on the firefighter's face. At this time, a regulator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air tank or the mask so that the air in the air tank can be supplied by reducing the pressure to the mask worn by the firefighter so as not to cause difficulty in breathing of the firefighter due to the high-pressure air. In this way, the breathing apparatus consisting of a reservoir, a mask, and a regulator is made up of one set, worn by a firefighter, and put into a fire scene to extinguish a fire or save lives.
또한 건물이나 선박 등 닫힌 공간을 갖는 구조물에는 화재 발생 시 사람들의 호흡을 돕기 위한 개인용 호흡장치가 구비되어 대응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In addition, structures with closed spaces, such as buildings and ships, are equipped with personal breathing apparatuses to help people breathe in case of fire and are sometimes used for countermeasures.
사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호흡장치로는 소방관용 공기호흡기(SCBA :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나, 스쿠버 다이버가 사용하는 수중용 공기호흡기(SCUBA :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가 대표적이다.As a breathing device that supplies air to the user, a firefighter's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or a scuba diver's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SCUBA: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are representative.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832817호(2018.02.21)에는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이 용이한 공기호흡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832817 (2018.02.21) discloses an air respirator that is easy to use in an emergency situation because it is easy to carry and handle.
상기 공보에 개시된 공기호흡기는 저장 용기에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고, 저장 용기에 연결되는 감압기로 저장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감압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감압기는 소방관이나 스쿠버 다이버가 사용하는 기체 공급장치에 적용된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In the air respirator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compressed air is stored in a storage container, and ai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is reduced by a pressure reducer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supplied to the user. The decompressor works the same as applied to the gas supply used by firefighters and scuba divers.
그런데 종래의 감압기는 공기가 담긴 저장 용기의 공기 저장량 변화로 저장 용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출력 공기의 압력 변화가 큰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감압기는 저장 용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이거나 미만일 때 출력압이 급속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ssure reduc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essure of the output air is greatly changed as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changes du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air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the air. That is, the conventional pressure reducer has a problem in that the output pressure is rapidly lowered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a preset siz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압의 유체를 일차 및 이차 감압 과정을 통해 단계적으로 감압시킴으로써, 공급 유체의 압력이 변하더라도 유체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필요 압력으로 감압시켜 공급할 수 있는 압력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by depressurizing the high-pressure fluid step by step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decompression process, even if the supply fluid pressure changes, the fluid pressure can be stably reduced to the required pressure and suppli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regulator capable of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압축된 유체를 감압시켜 공급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유체가 차례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입구와, 제 1 설치실과, 제 2 설치실과, 메인 공급 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 1 설치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차 감압 유닛; 및 상기 제 1 설치실에서 상기 제 2 설치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차 감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일차 감압 유닛을 이용하여 일차 감압시킨 후, 상기 이차 감압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일차 감압 유닛에 의해 감압된 유체의 압력보다 낮게 이차 감압시켜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pressure regulator for supplying a compressed fluid by reducing the pressure, the inlet arranged so that the fluid passes sequentially, a first installation chamber, and a second installation chamber; , a housing having a main supply flow path; a primary decompres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let to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and a secondary decompres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to the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fter primary pressure reduction using the unit, the secondary pressure reduction unit is used to secondary pressure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fluid decompressed by the primary pressure reduction unit, and th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lied to the main supply passage.
상기 일차 감압 유닛은, 상기 입구의 유체를 상기 제 1 설치실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차 플런저와, 상기 일차 플런저 내부의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차 플런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일차 플런저에 설치되는 일차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감압 유닛은, 상기 제 1 설치실을 통과하는 유체를 상기 제 2 설치실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차 플런저와, 상기 이차 플런저 내부의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차 플런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차 플런저에 설치되는 이차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imary pressure reducing unit includes a primary plunge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uide the fluid at the inlet to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and the primary plunger in such a way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rimary plunger orifice inside the primary plunger is adjusted. and a primary plug installed on the primary plunger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erethrough, wherein the secondary pressure reducing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uid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nd a secondary plug installed on the secondary plunger so as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plunger in such a way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ary plunger orifice inside the secondary plunger is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 1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일차 캡; 상기 일차 플러그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일차 캡에 구비되고, 상기 일차 플러그에 접하여 상기 일차 플러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일차 스토퍼 핀; 상기 제 2 설치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이차 캡; 및 상기 이차 플러그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이차 캡에 구비되고, 상기 이차 플러그에 접하여 상기 이차 플러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이차 스토퍼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imary cap coupled to the housing so as to cover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 primary stopper pin provided on the primary cap to protrude toward the primary plug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primary plug to limit a movement distance of the primary plug; a secondary cap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and a secondary stopper pin provided on the secondary cap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ary plug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secondary plug to limit a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ary plug.
상기 일차 캡은 상기 하우징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차 캡과 상기 일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이차 캡은 상기 하우징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차 캡과 상기 이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다.The primary cap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ap and the primary plug is adjustable, and the secondary cap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a space between the secondary cap and the secondary plug is screwed. The distance is adjustable.
상기 일차 스토퍼 핀은 상기 일차 캡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차 스토퍼 핀과 상기 일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다.The primary stopper pin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primary cap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stopper pin and the primary plug is adjustable.
상기 이차 스토퍼 핀은 상기 이차 캡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차 스토퍼 핀과 상기 이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다.The secondary stopper pin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secondary cap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ary stopper pin and the secondary plug is adjustable.
상기 일차 플러그는, 일차 플러그 바디와, 상기 일차 플런저에 접하여 상기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일차 플러그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일차 플러그 바디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차 플러그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플러그는, 이차 플러그 바디와, 상기 이차 플런저에 접하여 상기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이차 플러그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차 플러그 바디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차 플러그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mary plug includes a primary plug body, and a primary plug pack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imary plug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imary plunger and block the primary plunger orifice, and made of a material softer than that of the primary plug body; The secondary plug may include a secondary plug body and a secondary plug pack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ary plug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plunger and block the secondary plunger orifice, and made of a material softer than the secondary plug body. there is.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비상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일 때, 상기 메인 공급 유로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막지 않으면서 상기 메인 공급 유로의 유체를 상기 비상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 밸브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n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ize, the main An emergency valve unit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fluid of the main supply passage can flow to the emergency outlet without blocking the flow of the fluid through the supply passage.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공급 유로와 연결되는 커플러 유로를 갖는 커플러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플러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와 상기 비상 배출구를 연결하는 비상 배출로가 마련되며, 상기 비상 밸브 유닛은, 상기 커플러를 감싸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상 배출로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상 플러그와, 상기 비상 플러그에 대해 상기 메인 공급 유로와 상기 비상 배출로 사이의 유체 유동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비상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 coupler having a coupler passage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passage is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can pass, and the main supply passage and the emergency outlet are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pler. An emergency discharge path is provided, wherein the emergency valve unit is made of a hollow type surrounding the coupler, and is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th to regulate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emergency discharge path. The emergency plug may include an emergency plug mov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do so, and an emergency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emergency plug in a direction to block fluid flow between the main supply passage and the emergency discharge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다이아프램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적은 부품과 단순한 구조로 유체를 효과적으로 감압시켜 공급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pressure and supply the fluid with fewer parts and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prior art using a diaphrag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고압의 유체를 일차 감압 유닛으로 일차 감압시킨 후 이차 감압 유닛으로 이차 감압시키므로, 유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depressurizes the high-pressure fluid by the primary decompression unit and then the secondary decompression unit, the pressure can be supplied by reducing the pressure to a constant pressure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일차 캡에 대한 일차 스토퍼 핀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우징에 대한 일차 캡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일차 플런저에 대한 일차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일차 플러그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체에 대한 일차 감압률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rimary stopper pin with respect to the primary cap,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rimary cap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r adjusts the elastic force of the primary spring with respect to the primary plug in various ways, such as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the primary decompression rate for the fluid and use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는 이차 캡에 대한 이차 스토퍼 핀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우징에 대한 이차 캡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이차 플런저에 대한 이차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차 플러그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차 감압된 유체에 대한 이차 감압률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stopper pin with respect to the secondary cap,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cap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r adjusts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ary spr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ary plug secondary plug in various ways.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and use the secondary pressure reduction rate for the primary pressure-reduced flui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에 구비되는 일차 감압 유닛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일차 감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에 구비되는 이차 감압 유닛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이차 감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에 구비되는 비상 밸브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use of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rimary pressure reducing unit provided in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or explaining the primary pressure reduction method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econdary pressure reducing unit provided in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for explaining the secondary pressure reduction method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valve unit provided in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shows an example of using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압축된 유체를 감압시켜 공급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가 공기 또는 산소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10)에 연결되어 고압의 기체를 감압시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20)에 공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고압의 기체는 압력 레귤레이터(100)에 의해 감압되어 연결 튜브(30)를 통해 마스크(20)의 압력 조절부(21)로 공급될 수 있다. 마스크(20)의 압력 조절부(21)는 압력 레귤레이터(10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사전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시킨 후 마스크(20) 안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200)과, 공급되는 고압의 기체를 감압시키기 위한 감압 유닛(300)과, 하우징(200)으로부터 기체를 비상 배출시키기 위한 비상 밸브 유닛(400)과,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떨어질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 유닛(500)을 포함한다.The
하우징(200)은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 바디(21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210)에는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입구(211)와, 감압 유닛(300)이 설치되는 감압 공간(215)과,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메인 공급 유로(212)가 구비된다. 감압 공간(215)은 제 1 설치실(216)과 제 2 설치실(223)을 포함한다. 제 1 설치실(216)은 일차 유입 유로(213)를 통해 입구(211)와 연결되고, 제 2 설치실(223)은 연결 유로(219)와 이차 유입 유로(221)를 통해 제 1 설치실(216)과 연결된다. 입구(211)로 유입되는 기체가 일차 유입 유로(213)와, 제 1 설치실(216)과, 연결 유로(219)와, 이차 유입 유로(221)와, 제 2 설치실(223)과, 메인 공급 유로(212)를 차례로 통과하여 하우징(200)에 연결되는 커플러(250)로 유동할 수 있다. 일차 유입 유로(213)와 제 1 설치실(216)의 사이에는 테이퍼홈(217)이 구비된다. 테이퍼홈(217)은 일차 유입 유로(213)에서 제 1 설치실(216)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차 유입 유로(221)와 제 2 설치실(223)의 사이에도 테이퍼홈(224)이 구비된다. 테이퍼홈(224)은 이차 유입 유로(221)에서 제 2 설치실(223)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하우징 바디(210)에는 기체를 비상 배출시키기 위한 비상 배출구(226)와, 입구(211)로 유입되는 고압의 기체와 같은 고압의 기체가 공급되는 바이패스 유로(230)와, 제 2 설치실(223)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 설치실(223)과 연결되는 서브 공급 유로(232)와, 서브 공급 유로(232)와 연결되는 완충실(234)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입구(211)에는 저장 탱크(10)와 연결되는 커플러(240)가 결합된다. 커플러(240)의 내부에는 저장 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242)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공급 유로(212)에는 커플러(250)가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 바디(210)의 일측에는 또 다른 커플러(260)가 입구(211)로 유입되는 고압의 기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커플러(260)에는 압력계(40)가 연결될 수 있다.A
하우징(200)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압축된 기체가 유입되는 입구(211)와, 감압된 기체가 배출되는 메인 공급 유로(212)를 구비하고, 감압 유닛(300)과, 비상 밸브 유닛(400)과, 경보 유닛(500)이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감압 유닛(300)은 입구(211)로 유입되는 고압의 기체를 일차 감압하기 위한 일차 감압 유닛(310)과, 일차 감압 유닛(310)에 의해 감압된 기체를 이차 감압하기 위한 이차 감압 유닛(350)을 포함한다.The
일차 감압 유닛(310)은 제 1 설치실(216)에 설치된다. 일차 감압 유닛(310)은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차 플런저(311)와, 일차 플런저(31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차 플런저(3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일차 플러그(330)와, 제 1 설치실(216)을 덮도록 하우징 바디(210)에 결합되는 일차 캡(336)과,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차 캡(336)에 구비되는 일차 스토퍼 핀(340)을 포함한다.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차 플런저(311)는 입구(211)로 유입되는 기체를 제 1 설치실(216)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차 플런저(311)는 하우징(200)의 일차 유입 유로(213)에 삽입되는 일차 플런저 바디(312)와, 하우징(200)의 제 1 설치실(216)에 배치되는 일차 플런저 헤드(313)를 포함한다.4 and 5 , the
일차 플런저 바디(312)는 일차 플런저 헤드(313)의 일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된다. 일차 플런저 바디(312)의 내측에는 일차 플런저 유입로(314)가 구비된다. 일차 플런저 유입로(314)는 하우징(200)의 입구(211)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를 일차 플런저 헤드(313)의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일차 플런저 헤드(313)의 내측에는 일차 플런저 유입로(314)와 연결되는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가 마련된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와,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와 연결되는 일차 플런저 챔버(317)와, 일차 플런저 챔버(317)와 연결되는 일차 플런저 배출로(318)가 구비된다. 일차 플런저 챔버(317)에 일차 플러그(3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는 일차 플러그(3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차 플런저 챔버(317)는 일차 플런저 헤드(313)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일차 플러그(330)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일차 플런저 챔버(317)로 유입되는 기체가 일차 플런저 챔버(317)를 통해 일차 캡(336) 쪽으로 유동할 수 없다. 일차 플런저 배출로(318)는 제 1 설치실(216) 중으로 노출되며 일차 플런저 챔버(317)의 기체를 제 1 설치실(216)로 유동시킬 수 있다.A primary
이 밖에, 일차 플런저(311)에는 테이퍼부(320)와, 일차 플런저 홈(322)이 구비된다. 테이퍼부(320)는 하우징(200)의 테이퍼홈(217)과 마주하도록 일차 플런저 헤드(313)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일차 플런저 홈(322)은 일차 플런저 헤드(313)의 타단부에 제 1 설치실(216) 중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부(320)는 테이퍼홈(217)에 대응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일차 플런저 바디(312)의 외면에는 실링재(324)가 배치된다. 실링재(324)는 일차 플런저 바디(312)와 하우징 바디(210) 사이를 실링하여 일차 플런저(311)를 통과하는 기체가 일차 캡(336)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는다.A sealing
일차 플런저(311)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200)의 입구(211)로 유입되는 기체를 제 1 설치실(216)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the
일차 플러그(330)는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차 플런저(31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차 플러그(330)는 일차 플런저 챔버(317)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기체가 일차 플런저 챔버(317)를 통해 일차 캡(336)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일차 플러그(330)는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에 접하거나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개폐할 수 있다.The
일차 플러그(330)는 일차 플러그 바디(331)와, 일차 플러그 바디(331)의 일단에 구비되는 일차 플러그 패킹(332)을 포함한다. 일차 플러그 바디(331)는 그 외면이 일차 플런저(311)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일차 플런저 챔버(317)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차 플러그 패킹(332)은 일차 플러그 바디(331)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에 접함으로써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일차 플러그 바디(331)의 외면에는 플러그 실링재(334)가 결합된다. 플러그 실링재(334)는 일차 플러그 바디(331)와 일차 플런저(311) 사이를 실링하여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한 기체가 일차 플런저 챔버(317)를 통해 일차 캡(336)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는다.The
일차 플러그(330)는 플러그 실링재(334)가 배치된 부분이 일차 플런저 챔버(317)를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일차 스토퍼 핀(340)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The movement distance of the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차 플러그 패킹(332)이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에 밀착되어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일차 플러그(33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로 유동하는 압축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일차 캡(336) 쪽으로 밀려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일차 플러그(330)가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로부터 이격되면,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가 개방되고 일차 플런저 유입로(314)를 통해 유동하는 기체가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 및 일차 플런저 배출로(318)를 통과하여 제 1 설치실(216)로 유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primary plug packing 33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mary
일차 플러그(330)는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개폐하고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차 플러그(330)가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개방할 때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은 일차 플런저 유입로(314)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보다 작다. 따라서 일차 플런저 유입로(314)로 유입되는 압축된 기체는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면서 감압되고, 감압된 기체가 일차 플런저 배출로(318)를 거쳐 제 1 설치실(216)로 유동하게 된다.The
일차 플러그(330)가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로부터 멀어질수록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 저항이 감소하여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에 따라 일차 플런저 배출로(318)를 거쳐 제 1 설치실(216)로 유동하는 기체의 압력이 변화할 수 있다.As the
예를 들어, 일차 플러그(330)가 상대적으로 조금 움직여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로부터 이격되면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기체가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감압될 수 있다. 반면, 일차 플러그(330)가 상대적으로 많이 움직여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로부터 이격되면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기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감압률로 감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일차 플러그(33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일차 플런저 챔버(31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316)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일차 캡(336)은 제 1 설치실(216)을 덮도록 하우징(200)에 결합된다. 일차 캡(336)의 외면에는 일차 캡 나사부(337)가 구비된다. 일차 캡(336)은 일차 캡 나사부(337)가 하우징(200)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하우징(200)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차 캡(336)의 나사 운동에 의해 일차 캡(336)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일차 캡(336)의 중앙에는 일차 스토퍼 핀(340)이 구비된다.The
일차 스토퍼 핀(340)은 일차 플러그(330) 쪽으로 돌출된다. 일차 스토퍼 핀(340)의 끝단에는 일차 플러그(330)에 접할 수 있는 팁부(341)가 구비된다. 팁부(341)는 일차 플러그(330)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차 플러그(330)가 일차 캡(336) 쪽으로 이동할 때 팁부(341)의 끝단이 일차 플러그(33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일차 스토퍼 핀(340)이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The
일차 캡(336)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200)에 설치되어 제 1 설치실(216)을 덮을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또한 일차 스토퍼 핀(34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일차 플러그(330)에 접할 수 있도록 일차 캡(336)에 지지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일차 스토퍼 핀(340)은 일차 캡(336)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사용자는 일차 캡(336)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se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즉 사용자는 일차 캡(336)이 일차 플런저(311)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 캡(336)이 일차 플런저(311)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일차 플러그(330)와 일차 스토퍼 핀(340)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반면, 일차 캡(336)이 일차 플런저(311)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일차 플러그(330)와 일차 스토퍼 핀(340)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일차 플러그(330)가 일차 플런저 시트부(315)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일차 캡(336)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제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체의 감압률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As such, the user can variously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일차 플런저(311)와 일차 캡(336)의 사이에는 일차 스프링(343)이 개재된다. 일차 스프링(343)의 일단은 일차 플런저(311)의 일차 플런저 홈(322)에 삽입되고 일차 스프링(343)의 타단은 일차 캡(336)의 내면에 접한다. 일차 스프링(343)은 일차 플런저(311)에 대해 일차 캡(3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A
일차 플런저(311)는 하우징(20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으나 일차 스프링(343)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일차 스프링(343)을 압축시키면서 움직일 수 있다. 즉 일차 플런저(311)는 입구(211)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로부터 받는 외력이 일차 스프링(343)이 일차 플런저(311)를 가압하는 탄성력보다 큰 경우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일차 스프링(343)을 압축시키면서 일차 캡(336) 쪽으로 밀릴 수 있다. 일차 스프링(343)의 탄성 계수는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일차 목표 감압률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차 플런저(311)가 일차 스프링(343)을 압축시키면서 일차 캡(336) 쪽으로 밀리면 일차 플러그(330)와 일차 스토퍼 핀(34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게 제한된다. 따라서 일차 스프링(343)의 탄성력 크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예를 들어, 일차 스프링(343)을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입구(211)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일차 플런저(311)가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을 갖는 기체에 대해서도 일차 플런저(311)가 움직임으로써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반면, 일차 스프링(343)을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갖는 기체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일차 플런저(311)가 움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일차 스프링(343)을 사용하면 일차 플런저(311)의 이동에 의해 추가적인 감압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동일한 크기의 압력을 갖는 기체가 공급된다고 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일차 스프링(343)을 사용하면 일차 플런저(311)의 이동에 의해 일차 플러그(330)의 이동 거리를 더욱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를 더욱 작은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한편, 일차 스프링(343)이 일차 플런저(311)에 가하는 탄성력은 일차 캡(336)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 플런저(311)와 일차 캡(336)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일차 캡(336)의 위치를 조절하면 일차 스프링(343)의 압축량이 증가하여 일차 스프링(343)이 일차 플런저(311)에 가하는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반면, 일차 플런저(311)와 일차 캡(33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일차 캡(336)의 위치를 조절하면 일차 스프링(343)의 압축량이 감소하여 일차 스프링(343)이 일차 플런저(311)에 가하는 탄성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일차 캡(336)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일차 플런저(31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일차 스프링(343)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일차 플런저(311)와 일차 캡(336)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 구조 이외에, 일차 플런저(311)를 일차 캡(336) 쪽으로 가압하는 기체의 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일차 플런저(31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도 3,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차 감압 유닛(350)은 제 2 설치실(223)에 설치된다. 이차 감압 유닛(350)은 일차 감압 유닛(310)과 같은 원리로 일차 감압 유닛(310)에 의해 감압된 기체의 압력을 이차 감압시킬 수 있다. 이차 감압 유닛(350)에 의해 감압된 기체의 압력은 일차 감압 유닛(310)에 의해 감압된 기체의 압력보다 작다. 이차 감압 유닛(350)은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차 플런저(351)와, 이차 플런저(35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차 플런저(351)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이차 플러그(370)와, 제 2 설치실(223)을 덮도록 하우징 바디(210)에 결합되는 이차 캡(376)과,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이차 캡(376)에 결합되는 이차 스토퍼 핀(380)을 포함한다.3, 4, 8 and 9 , the
이차 플런저(351)는 연결 유로(219)로 유입되는 기체를 제 2 설치실(223)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차 플런저(351)는 하우징(200)의 이차 유입 유로(221)에 삽입되는 이차 플런저 바디(352)와, 하우징(200)의 제 2 설치실(223)에 배치되는 이차 플런저 헤드(353)를 포함한다.The
이차 플런저 바디(352)는 이차 플런저 헤드(353)의 일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차 플런저 바디(352)의 내측에는 이차 플런저 유입로(354)가 구비된다. 이차 플런저 유입로(354)는 연결 유로(219)로 유입되는 기체를 이차 플런저 헤드(353)의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이차 플런저 헤드(353)의 내측에는 이차 플런저 유입로(354)와 연결되는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가 마련된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와,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와 연결되는 이차 플런저 챔버(357)와, 이차 플런저 챔버(357)와 연결되는 이차 플런저 배출로(358)가 구비된다. 이차 플런저 챔버(357)에 이차 플러그(37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는 이차 플러그(3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차 플런저 챔버(357)는 이차 플런저 헤드(353)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이차 플러그(370)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이차 플런저 챔버(357)를 통해 기체가 이차 캡(376) 쪽으로 유동할 수 없다. 이차 플런저 배출로(358)는 제 2 설치실(223) 중으로 노출되며 기체를 제 2 설치실(223)로 유동시킬 수 있다.A secondary
이 밖에, 이차 플런저(351)에는 테이퍼부(360)와, 이차 플런저 홈(362)이 구비된다. 테이퍼부(360)는 하우징(200)의 테이퍼홈(224)과 마주하도록 이차 플런저 헤드(353)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이차 플런저 홈(362)은 이차 플런저 헤드(353)의 타단부에 제 2 설치실(223) 중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부(360)는 테이퍼홈(224)에 대응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이차 플런저 바디(352)의 외면에는 실링재(364)가 배치된다. 실링재(364)는 이차 플런저 바디(352)와 하우징 바디(210) 사이를 실링하여 이차 플런저(351)를 통과하는 기체가 이차 캡(376)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는다.A sealing
이차 플런저(351)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200)의 입구(211)로 유입되는 기체를 배출구(112) 쪽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the
이차 플러그(370)는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차 플런저(35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차 플러그(370)는 이차 플런저 챔버(357)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기체가 이차 플런저 챔버(357)를 통해 이차 캡(376)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이차 플러그(370)는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에 접하거나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에서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폐할 수 있다.The
이차 플러그(370)는 이차 플러그 바디(371)와, 이차 플러그 바디(371)의 일단에 구비되는 이차 플러그 패킹(372)을 포함한다. 이차 플러그 바디(371)는 그 외면이 이차 플런저(351)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이차 플런저 챔버(357)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차 플러그 패킹(372)은 이차 플러그 바디(371)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에 접함으로써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차 플러그 바디(371)의 외면에는 플러그 실링재(374)가 결합된다. 플러그 실링재(374)는 이차 플러그 바디(371)와 이차 플런저(351) 사이를 실링하여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한 기체가 이차 플런저 챔버(357)를 통해 이차 캡(376)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막는다.The
이차 플러그(370)는 플러그 실링재(374)가 배치된 부분이 이차 플런저 챔버(357)를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이차 스토퍼 핀(380)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A movement distance of the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차 플러그(370)는 이차 플러그 패킹(372)이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에 밀착되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이차 플러그(370)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로 유동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이차 캡(376) 쪽으로 밀려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차 플러그(370)가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로부터 이격되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가 개방되고 이차 플런저 유입로(354)를 통해 유동하는 기체가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여 제 2 설치실(223)로 유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in the
이차 플러그(370)는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폐하고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차 플러그(370)가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방할 때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은 이차 플런저 유입로(354)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보다 작다. 따라서 이차 플런저 유입로(354)로 유입되는 기체는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면서 감압되고, 감압된 기체가 이차 플런저 배출로(358)를 거쳐 제 2 설치실(223)로 유동하게 된다.The
이차 플러그(370)가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로부터 멀어질수록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 저항이 감소하여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에 따라 이차 플런저 배출로(358)를 거쳐 제 2 설치실(223)로 유동하는 기체의 압력이 변화할 수 있다.As the
예를 들어, 이차 플러그(370)가 상대적으로 조금 움직여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로부터 이격되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기체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감압될 수 있다. 반면, 이차 플러그(370)가 상대적으로 많이 움직여 이차 플런저 시트부(355)로부터 이격되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기체가 상대적으로 작은 감압률로 감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이차 플러그(37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이차 플런저 챔버(35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the
이차 캡(376)은 제 2 설치실(223)을 덮도록 하우징(200)에 결합된다. 이차 캡(376)의 외면에는 이차 캡 나사부(377)가 구비된다. 이차 캡(376)은 이차 캡 나사부(377)가 하우징(200)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하우징(200)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차 캡(376)의 나사 운동에 의해 이차 캡(376)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차 캡(376)의 중앙에는 이 삽입되는 캡 홀(378)이 구비된다. 캡 홀(378)은 이차 캡(376)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캡 홀(378) 속에는 내측 나사부(379)가 구비된다.The
이차 스토퍼 핀(380)은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이차 캡(376)에 결합된다. 이차 스토퍼 핀(380)은 이차 캡(376)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차 캡(376) 쪽으로 이동하는 이차 플러그(370)에 접함으로써 이차 플러그(37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차 스토퍼 핀(380)의 외면에는 이차 캡(376)의 내측 나사부(379)에 대응하는 스토퍼 핀 나사부(382)가 구비된다. 이차 스토퍼 핀(380)은 스토퍼 핀 나사부(382)가 내측 나사부(379)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이차 캡(376)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차 스토퍼 핀(380)의 나사 운동에 의해 이차 스토퍼 핀(38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The
이차 스토퍼 핀(380)의 일단에는 이차 플러그(370)에 접할 수 있는 팁부(341)가 구비된다. 팁부(341)는 이차 플러그(370)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차 스토퍼 핀(380)의 타단에는 스토퍼 핀 홈(383)이 형성된다. 스토퍼 핀 홈(383)에는 이차 스토퍼 핀(380)의 위치를 조절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툴이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툴을 이용하여 이차 스토퍼 핀(380)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차 스토퍼 핀(38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A
하우징(200)에는 이차 캡(376)과 이차 스토퍼 핀(380)을 덮을 수 있는 커버(387)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이차 캡(376)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200)에 설치되어 제 2 설치실(223)을 덮을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또한 이차 스토퍼 핀(38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이차 플러그(370)에 접할 수 있도록 이차 캡(376)에 지지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이차 스토퍼 핀(380)은 이차 캡(376)에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사용자는 이차 스토퍼 핀(38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과, 이차 캡(376)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se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즉 사용자는 이차 스토퍼 핀(380)이 이차 캡(376)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스토퍼 핀(380)이 이차 캡(376)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이차 플러그(370)와 이차 스토퍼 핀(380)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차 플러그(370)가 이차 플러그 시트부(355)로부터 상대적으로 작게 이격되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방하게 되므로, 기체를 더욱 작은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이차 스토퍼 핀(380)이 이차 캡(376)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이차 플러그(370)와 이차 스토퍼 핀(380)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차 플러그(370)가 이차 플러그 시트부(355)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이 이격되어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356)를 개방하게 되므로, 감압률을 낮추고 기체를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user may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또한 사용자는 이차 캡(376)이 이차 플런저(351)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캡(376)이 이차 플런저(351)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 이차 플러그(370)와 이차 스토퍼 핀(380)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반면, 이차 캡(376)이 이차 플런저(351)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이차 플러그(370)와 이차 스토퍼 핀(380)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이차 플러그(370)가 이차 플러그 시트부(355)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차 캡(376)의 위치와, 이차 스토퍼 핀(38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제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체의 감압률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As such, the user can variously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이차 플런저(351)와 이차 캡(376)의 사이에는 이차 스프링(385)이 개재된다. 이차 스프링(385)의 일단은 이차 플런저(351)의 이차 플런저 홈(362)에 삽입되고 이차 스프링(385)의 타단은 이차 캡(376)의 내면에 접한다. 이차 스프링(385)은 이차 플런저(351)에 대해 이차 캡(37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A
이차 플런저(351)는 하우징(20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으나 이차 스프링(385)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이차 스프링(385)을 압축시키면서 움직일 수 있다. 즉 이차 플런저(351)는 연결 유로(219)로 유입되는 기체로부터 받는 가압력이 이차 스프링(385)이 이차 플런저(351)에 가하는 탄성력보다 큰 경우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이차 스프링(385)을 압축시키면서 이차 캡(376) 쪽으로 밀릴 수 있다. 이차 스프링(385)의 탄성 계수는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이차 목표 감압률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이차 플런저(351)가 이차 스프링(385)을 압축시키면서 이차 캡(376) 쪽으로 밀리면 이차 플러그(370)와 이차 스토퍼 핀(38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게 제한된다. 따라서 이차 스프링(385)의 탄성력 크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예를 들어, 이차 스프링(385)을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이차 플런저(351)가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을 갖는 기체에 대해서도 이차 플런저(351)가 움직임으로써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게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반면, 이차 스프링(385)을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갖는 압축된 기체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이차 플런저(351)가 움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이차 스프링(385)을 사용하면 이차 플런저(351)의 이동에 의해 추가적인 감압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동일한 크기의 압력을 갖는 압축된 기체가 공급된다고 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이차 스프링(385)을 사용하면 이차 플런저(351)의 이동에 의해 이차 플러그(370)의 이동 거리를 더욱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를 더욱 작은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한편, 이차 스프링(385)이 이차 플런저(351)에 가하는 탄성력은 이차 캡(376)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플런저(351)와 이차 캡(376)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이차 캡(376)의 위치를 조절하면 이차 스프링(385)의 압축량이 증가하여 이차 스프링(385)이 이차 플런저(351)에 가하는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반면, 이차 플런저(351)와 이차 캡(37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이차 캡(376)의 위치를 조절하면 이차 스프링(385)의 압축량이 감소하여 이차 스프링(385)이 이차 플런저(351)에 가하는 탄성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차 캡(376)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차 플런저(35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이차 스프링(385)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차 플런저(351)와 이차 캡(376)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 구조 이외에, 이차 플런저(351)를 이차 캡(376) 쪽으로 가압하는 기체의 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차 플런저(35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도 3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비상 밸브 유닛(400)은 하우징(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메인 공급 유로(212)의 기체를 통해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비상 밸브 유닛(400)은,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일 때, 메인 공급 유로(212)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막지 않으면서 메인 공급 유로(212)의 유체를 비상 배출구(226)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비상 배출구(226)는 하우징(200)과 커플러(250) 사이에 마련되는 비상 배출로(228)와 연결되고, 비상 배출로(228)는 메인 공급 유로(212)와 연결된다.3 and 11 to 13 , the
비상 밸브 유닛(400)은 비상 배출로(22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상 플러그(410)와, 비상 플러그(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비상 밸브 스프링(414)을 포함한다. 비상 플러그(410)는 중공형의 비상 플러그 바디(411)와, 커플러(250)와 비상 플러그 바디(411)의 사이를 실링하기 위해 비상 플러그 바디(411)에 결합되는 비상 플러그 실링재(412)를 포함한다. 비상 플러그(410)는 커플러(250)를 감싼 상태로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비상 밸브 스프링(414)은 비상 플러그(410)에 대해 메인 공급 유로(212)와 비상 배출로(228) 사이의 기체 유동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비상 플러그(410)는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와 압력과 비상 밸브 스프링(414)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메인 공급 유로(212)와 비상 배출로(228) 사이의 기체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The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하로 유지될 때, 비상 플러그(410)는 비상 밸브 스프링(414)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공급 유로(212)와 비상 배출로(228) 사이의 기체 유동을 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는 커플러(250)의 커플러 유로(252)를 통과하여 연결 튜브(30)로 유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lowing into the main
한편,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보다 커지는 경우, 비상 플러그(410)가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비상 밸브 스프링(414)을 압축시키면서 밀리게 된다. 이때, 비상 플러그(410)가 하우징 바디(210)의 내부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메인 공급 유로(212)와 비상 배출로(228)가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공급 유로(212)의 기체가 비상 배출로(228)와 비상 배출구(226)를 통해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 공급 유로(212)의 기체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중에도 감압된 기체는 커플러(250)를 통해 마스크(20)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메인 공급 유로(212)의 기체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되면 마스크(20) 쪽으로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공급 유로(212)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하로 감소하면, 비상 플러그(410)가 비상 밸브 스프링(414)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원상 복귀되어 메인 공급 유로(212)와 비상 배출로(228) 사이의 기체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 , 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lowing into the main
저장 탱크(10)에서 공급되는 공기 또는 산소가 압력 레귤레이터(100)를 통해 마스크(20)로 공급되는 중에 압력 레귤레이터(100)에 의해 감압되는 공기 또는 산소의 압력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크기보다 큰 압력의 공기 또는 산소가 마스크(20)로 공급되는 경우 마스크(20)를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비상 밸브 유닛(400)은 이러한 비정상적 상황에서 메인 공급 유로(212)의 기체를 하우징(200)의 외부로 비상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줄이고,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사용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While the air or oxygen supplied from the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경보 유닛(500)은 하우징(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에 설치된다. 경보 유닛(500)은 감압 유닛(300)에 의해 감압된 기체를 진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경보음 발생기(510)와, 서브 공급 유로(232)와 완충실(234)을 유체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슬리브(522)와, 연결 슬리브(522)를 통한 기체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피스톤(530)과, 피스톤(530)을 연결 슬리브(522)의 시트부(52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시 유닛(536)을 포함한다.3 and 11 , the
경보음 발생기(510)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에 기체를 수용할 수 있는 챔버(512)를 갖는 바디부(511)와, 바디부(511)에 결합되어 바디부(511)의 개방된 일단을 덮는 헤드부(515)를 포함한다. 경보음 발생기(510)는 휘슬의 작동 원리와 같은 방식으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경보음 발생기(510)는 완충실(234)의 기체가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기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체 진동에 의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The
경보음 발생기(510)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완충실(234)로 유입되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기체의 진동에 의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the
연결 슬리브(522)는 경보음 발생기(510)와 피스톤(5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완충실(234)에 구비된다. 연결 슬리브(522)는 중간 부분에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시트부(523)를 구비하고 하우징 바디(2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통로가 마련된 시트부(523)는 하우징 바디(2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 부품으로 하우징 바디(210)에 조립되는 연결 슬리브(522)는 생략될 수 있다.The
피스톤(530)은 시트부(523)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피스톤실(236)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실(236)은 바이패스 유로(230)와 완충실(234)의 사이에 마련된다. 피스톤(530)은 피스톤 바디(531)와, 시트부(523)와 마주하도록 피스톤 바디(531)의 일단에 구비되는 피스톤 패킹(532)을 포함한다. 피스톤 바디(531)는 그 외면이 하우징 바디(210)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피스톤실(236)에서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 패킹(532)은 피스톤 바디(531)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시트부(523)에 접함으로써 시트부(523)의 통로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바디(531)의 외면에는 피스톤 실링재(534)가 구비된다. 피스톤 실링재(534)는 피스톤 바디(531)의 외면과 하우징 바디(210)의 내면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기체가 피스톤실(236)을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The
피스톤(530)은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고압의 기체에 의해 시트부(52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의 작동 압력 이상으로 유지될 때 피스톤(530)이 시트부(523)에 밀착되어 시트부(523)의 통로를 막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공급 유로(232)를 통과하는 기체가 완충실(234)로 유동할 수 없으므로, 경보음 발생기(510)가 작동하지 않는다.The
푸시 유닛(536)은 피스톤(530)에 대해 시트부(523)의 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경보음 발생기(510)와 피스톤(530) 사이에 설치된다. 푸시 유닛(536)은 완충실(23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블록(537)과, 피스톤(530)에 접할 수 있도록 시트부(523)의 통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푸시 로드(540)와, 푸시 로드(540)에 대해 피스톤(530)을 시트부(523)에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푸시 스프링(544)을 포함한다. 푸시 블록(537)의 일단에는 푸시 로드(540)가 일부 수용되는 테이퍼홈(538)이 마련된다. 푸시 로드(540)는 시트부(523)의 통로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푸시 로드(540)의 외면과 연결 슬리브(522)의 내면 사이에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546)가 마련된다. 푸시 로드(540)의 끝단은 둥근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푸시 블록(537)의 테이퍼홈(538)에 삽입됨으로써 푸시 블록(537)과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푸시 스프링(544)은 압축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일단이 경보음 발생기(510)에 지지되고 타단이 푸시 블록(537)에 접한다. 푸시 스프링(544)의 탄성력은 푸시 블록(537)과 푸시 로드(540)를 통해 피스톤(530)에 전달된다.The
바이패스 유로(230)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떨어져 푸시 유닛(536)이 피스톤(530)을 미는 힘이 바이패스 유로(230)의 기체가 피스톤(530)을 미는 힘보다 커지면 푸시 유닛(536)이 피스톤(530)을 시트부(523)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이때, 기체가 완충실(234)로 유입되어 경보음 발생기(510)가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of the gas flowing into the
푸시 유닛(536)은 도시된 구성 이외에, 피스톤(530)을 시트부(5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푸시 스프링(544)은 도시된 것과 같은 압축 스프링 구조 이외에, 푸시 로드(54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the
본 발명에 따른 경보 유닛(500)은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기체의 저장량이 줄어들어 저장 탱크(10)에서 배출되는 기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보다 작아질 때 저장 탱크(10)에서 공급되는 기체의 유동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The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0은 비상 충전 밸브 유닛을 나타낸다. 비상 충전 밸브 유닛(600)은 압력 레귤레이터(100)가 저장 탱크(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 탱크(10)에 기체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an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가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기체를 감압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는 압축된 기체 이외의 다양한 유체를 감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rawings,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또한 도면에는 제 1 설치실(216)과 제 2 설치실(223)이 연결 유로(219) 및 이차 유입 유로(221)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설치실(216)과 제 2 설치실(223)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또한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0)의 경보 유닛(500)이 일차 및 이차 감압된 기체를 제공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경보 유닛(500)은 일차 감압된 기체를 공급받아 작동하거나, 하우징(200)으로 공급되는 기체를 직접 제공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s show that th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저장 탱크 20 : 마스크
21 : 압력 조절부 30 : 연결 튜브
40 : 압력계 100 : 압력 레귤레이터
200 : 하우징 210 : 하우징 바디
211 : 입구 212 : 메인 공급 유로
213 : 일차 유입 유로 215 : 감압 공간
216 : 제 1 설치실 217 : 테이퍼홈
219 : 연결 유로 221 : 이차 유입 유로
223 : 제 2 설치실 224 : 테이퍼홈
226 : 비상 배출구 228 : 비상 배출로
230 : 바이패스 유로 232 : 서브 공급 유로
234 : 완충실 236 : 피스톤실
240 : 커플러 242 : 필터
250 : 커플러 252 : 커플러 유로
260 : 커플러 300 : 감압 유닛
310 : 일차 감압 유닛 311 : 일차 플런저
312 : 일차 플런저 바디 313 : 일차 플런저 헤드
314 : 일차 플런저 유입로 315 : 일차 플런저 시트부
316 :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 317 : 일차 플런저 챔버
318 : 일차 플런저 배출로 320 : 테이퍼부
322 : 일차 플런저 홈 324 : 실링재
330 : 일차 플러그 331 : 일차 플러그 바디
332 : 일차 플러그 패킹 334 : 플러그 실링재
336 : 일차 캡 337 : 일차 캡 나사부
340 : 일차 스토퍼 핀 341 : 팁부
343 : 일차 스프링 350 : 이차 감압 유닛
351 : 이차 플런저 352 : 이차 플런저 바디
353 : 이차 플런저 헤드 354 : 이차 플런저 유입로
355 : 이차 플런저 시트부 356 :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
357 : 이차 플런저 챔버 358 : 이차 플런저 배출로
360 : 테이퍼부 362 : 이차 플런저 홈
364 : 실링재 370 : 이차 플러그
371 : 이차 플러그 바디 372 : 이차 플러그 패킹
374 : 플러그 실링재 376 : 이차 캡
377 : 이차 캡 나사부 378 : 캡 홀
379 : 내측 나사부 380 : 이차 스토퍼 핀
381 : 팁부 382 : 스토퍼 핀 나사부
383 : 스토퍼 핀 홈 385 : 이차 스프링
387 : 커버 400 : 비상 밸브 유닛
410 : 비상 플러그 411 : 비상 플러그 바디
412 : 비상 플러그 실링재 414 : 비상 밸브 스프링
500 : 경보 유닛 510 : 경보음 발생기
511 : 바디부 512 : 챔버
515 : 헤드부 522 : 연결 슬리브
523 : 시트부 530 : 피스톤
531 : 피스톤 바디 532 : 피스톤 패킹
534 : 피스톤 실링재 536 : 푸시 유닛
537 : 푸시 블록 538 : 테이퍼홈
540 : 푸시 로드 544 : 푸시 스프링
546 : 틈새 600 : 비상 충전 밸브 유닛10: storage tank 20: mask
21: pressure control unit 30: connection tube
40: pressure gauge 100: pressure regulator
200: housing 210: housing body
211: inlet 212: main supply flow path
213: primary inflow passage 215: decompression space
216: first installation room 217: tapered groove
219: connection flow path 221: secondary inflow flow path
223: second installation room 224: tapered groove
226: emergency exit 228: emergency exit
230: bypass flow path 232: sub supply flow path
234: buffer chamber 236: piston chamber
240: coupler 242: filter
250: coupler 252: coupler euro
260: coupler 300: pressure reducing unit
310
312
314: primary plunger inflow path 315: primary plunger seat portion
316
318: primary plunger discharge path 320: tapered part
322: primary plunger groove 324: sealing material
330
332: primary plug packing 334: plug sealing material
336: primary cap 337: primary cap thread
340: primary stopper pin 341: tip portion
343: primary spring 350: secondary pressure reducing unit
351
353: secondary plunger head 354: secondary plunger inflow path
355: secondary plunger seat portion 356: secondary plunger orifice
357
360: tapered portion 362: secondary plunger groove
364: sealing material 370: secondary plug
371: secondary plug body 372: secondary plug packing
374: plug sealing material 376: secondary cap
377: secondary cap thread 378: cap hole
379: inner thread 380: secondary stopper pin
381: tip portion 382: stopper pin threaded portion
383: stopper pin groove 385: secondary spring
387: cover 400: emergency valve unit
410: emergency plug 411: emergency plug body
412: emergency plug sealing material 414: emergency valve spring
500: alarm unit 510: alarm sound generator
511: body 512: chamber
515: head 522: connection sleeve
523: seat portion 530: piston
531: piston body 532: piston packing
534: piston sealing material 536: push unit
537: push block 538: taper groove
540: push rod 544: push spring
546
Claims (9)
유체가 차례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입구와, 제 1 설치실과, 제 2 설치실과, 메인 공급 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 1 설치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차 감압 유닛; 및
상기 제 1 설치실에서 상기 제 2 설치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차 감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일차 감압 유닛을 이용하여 일차 감압시킨 후, 상기 이차 감압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일차 감압 유닛에 의해 감압된 유체의 압력보다 낮게 이차 감압시켜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공급하되,
상기 일차 감압 유닛은,
상기 입구의 유체를 상기 제 1 설치실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차 플런저와,
상기 일차 플런저 내부의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차 플런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일차 플런저에 설치되는 일차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감압 유닛은,
상기 제 1 설치실을 통과하는 유체를 상기 제 2 설치실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차 플런저와,
상기 이차 플런저 내부의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상기 이차 플런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차 플런저에 설치되는 이차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일차 플러그는,
일차 플러그 바디와,
상기 일차 플런저에 접하여 상기 일차 플런저 오리피스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일차 플러그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일차 플러그 바디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차 플러그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플러그는,
이차 플러그 바디와,
상기 이차 플런저에 접하여 상기 이차 플런저 오리피스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이차 플러그 바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차 플러그 바디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차 플러그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In the pressure regulator for supplying a compressed fluid by reducing the pressure,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sequentially passes, a first installation chamber, a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nd a main supply passage;
a primary decompres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let to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and
a secondary pressure reduc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to the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fter primary decompression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using the primary decompression unit, the secondary decompression unit is used to secondary pressure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fluid decompressed by the primary decompression unit to supply it to the main supply passage,
The primary decompression unit,
a primary plunge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uide the fluid at the inlet to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A primary plug installed on the primary plunger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rimary plunger in such a way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rimary plunger orifice inside the primary plunger is adjusted;
The secondary decompression unit is
a secondary plunge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guid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to the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 secondary plug installed on the secondary plunger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plunger in such a way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ary plunger orifice inside the secondary plunger is adjusted;
The primary plug is
a primary plug body;
and a primary plug pack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imary plug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imary plunger and block the primary plunger orifice, and made of a material softer than the primary plug body;
The secondary plug,
a secondary plug body;
and a secondary plug pack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ary plug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ary plunger to block the secondary plunger orifice and made of a material soft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plug body.
상기 제 1 설치실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일차 캡;
상기 일차 플러그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일차 캡에 구비되고, 상기 일차 플러그에 접하여 상기 일차 플러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일차 스토퍼 핀;
상기 제 2 설치실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이차 캡; 및
상기 이차 플러그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이차 캡에 구비되고, 상기 이차 플러그에 접하여 상기 이차 플러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이차 스토퍼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1,
a primary cap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a primary stopper pin provided on the primary cap to protrude toward the primary plug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primary plug to limit a movement distance of the primary plug;
a secondary cap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nd
and a secondary stopper pin provided on the secondary cap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ary plug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secondary plug to limit a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ary plug.
상기 일차 캡은 상기 하우징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차 캡과 상기 일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이차 캡은 상기 하우징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차 캡과 상기 이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mary cap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ap and the primary plug is adjustable,
The secondary cap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ary cap and the secondary plug is adjustable.
상기 일차 스토퍼 핀은 상기 일차 캡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차 스토퍼 핀과 상기 일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mary stopper pin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primary cap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stopper pin and the primary plug is adjustable.
상기 이차 스토퍼 핀은 상기 이차 캡에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차 스토퍼 핀과 상기 이차 플러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ary stopper pin is screw-movably coupled to the secondary cap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ary stopper pin and the secondary plug is adjustable.
유체가 차례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입구와, 제 1 설치실과, 제 2 설치실과, 메인 공급 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 1 설치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차 감압 유닛; 및
상기 제 1 설치실에서 상기 제 2 설치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차 감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일차 감압 유닛을 이용하여 일차 감압시킨 후, 상기 이차 감압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일차 감압 유닛에 의해 감압된 유체의 압력보다 낮게 이차 감압시켜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공급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비상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일 때, 상기 메인 공급 유로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막지 않으면서 상기 메인 공급 유로의 유체를 상기 비상 배출구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 밸브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공급 유로와 연결되는 커플러 유로를 갖는 커플러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플러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 공급 유로와 상기 비상 배출구를 연결하는 비상 배출로가 마련되며,
상기 비상 밸브 유닛은,
상기 커플러를 감싸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상 배출로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메인 공급 유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상 플러그와,
상기 비상 플러그에 대해 상기 메인 공급 유로와 상기 비상 배출로 사이의 유체 유동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비상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레귤레이터.In the pressure regulator for supplying a compressed fluid by reducing the pressure,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sequentially passes, a first installation chamber, a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nd a main supply passage;
a primary decompres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let to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and
a secondary pressure reducing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installation chamber to the second installation chamber;
After primary decompression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using the primary decompression unit, the secondary decompression unit is used to secondary pressure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fluid decompressed by the primary decompression unit to supply it to the main supply passage,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 the housing,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the fluid in the main supply passage can flow to the emergency outlet without blocking the flow of the fluid through the main supply passage. An emergency valve unit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is installed,
A coupler having a coupl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main supply flow path is coupled to the housing to allow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flow path to pass therethrough,
An emergency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main supply passage and the emergency outlet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pler,
The emergency valve unit,
An emergency plug made of a hollow shape surrounding the coupler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supply passage to regulate the flow of the fluid through the emergency discharge passage;
and an emergency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emergency plug in a direction to block fluid flow between the main supply passage and the emergency discharge passag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472A KR102388553B1 (en) | 2021-11-02 | 2021-11-02 | Pressure regulator |
PCT/KR2022/014062 WO2023080437A1 (en) | 2021-11-02 | 2022-09-21 | Pressure regu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472A KR102388553B1 (en) | 2021-11-02 | 2021-11-02 | Pressure regul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8553B1 true KR102388553B1 (en) | 2022-04-21 |
Family
ID=8143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472A KR102388553B1 (en) | 2021-11-02 | 2021-11-02 | Pressure regula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8553B1 (en) |
WO (1) | WO202308043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437A1 (en) * | 2021-11-02 | 2023-05-11 |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 Pressure regulato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000U (en) * | 1993-10-28 | 1995-05-23 | 株式会社ゼクセル | Respiratory pressure reducing valve |
KR100419840B1 (en) * | 2001-09-06 | 2004-03-02 | 주식회사 산청 | A regulator alarm assembly for air respiratory organs |
KR100938151B1 (en) * | 2007-11-02 | 2010-01-22 | (주)모토닉 | Regulator for High-pressure Gas |
KR101832817B1 (en) | 2016-11-21 | 2018-02-27 | 박대수 | Emergency Escape Respirator |
KR102231592B1 (en) * | 2020-03-05 | 2021-03-23 | 엄관용 | Disposable Mechanical Ventila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91790B1 (en) * | 2003-07-04 | 2007-03-20 | Scott Technologies, Inc. | Quick connect pressure reducer/cylinder valve for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
KR102388553B1 (en) * | 2021-11-02 | 2022-04-21 |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 Pressure regulator |
-
2021
- 2021-11-02 KR KR1020210148472A patent/KR10238855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9-21 WO PCT/KR2022/014062 patent/WO202308043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000U (en) * | 1993-10-28 | 1995-05-23 | 株式会社ゼクセル | Respiratory pressure reducing valve |
KR100419840B1 (en) * | 2001-09-06 | 2004-03-02 | 주식회사 산청 | A regulator alarm assembly for air respiratory organs |
KR100938151B1 (en) * | 2007-11-02 | 2010-01-22 | (주)모토닉 | Regulator for High-pressure Gas |
KR101832817B1 (en) | 2016-11-21 | 2018-02-27 | 박대수 | Emergency Escape Respirator |
KR102231592B1 (en) * | 2020-03-05 | 2021-03-23 | 엄관용 | Disposable Mechanical Ventila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437A1 (en) * | 2021-11-02 | 2023-05-11 |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 Pressure regul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80437A1 (en) | 2023-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34447B2 (en) | Gas pressure regulator | |
US3211175A (en) | Valve regulator | |
CN101626812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fire-extinguishing system of the high-pressure gas type | |
US3083721A (en) | Constant mass flow regulator | |
KR102388553B1 (en) | Pressure regulator | |
JPH01141285A (en) | High-pressure regulating valve | |
KR102388554B1 (en) | Pressure regulator | |
US11547887B2 (en) | Valves for fire suppression systems | |
US5209253A (en) | Emergency shutoff valve and regulator assembly | |
GB2349200A (en) | Pressure regulating valve | |
US5549107A (en) | Second stage scuba diving regulator | |
KR20200115843A (en) | Valve for high pressure tank having pressure reducing function | |
US2728340A (en) | Control device for breathing apparatus | |
JP2015089389A (en) | Compressed gas regulator and carbon-dioxide-mist facial beauty device with regulator | |
RU2655237C2 (en) | Respiratory protection equipment | |
KR101632688B1 (en) | Reducing Valve of Hyperbaric Gas Can | |
US8079567B2 (en) | Regulated valve assembly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s | |
US7171980B2 (en) | Springless regulator valve assembly | |
KR102339310B1 (en) | Emergency pressure regulator | |
JPH10339383A (en) | Rapid speed opening pressure governing valve | |
KR102346362B1 (en) |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breathing apparatus | |
JP2006095150A (en) | Hydrant valve device, and fire hydrant apparatus | |
KR20200112049A (en) | Control device of regulator for air respirator | |
US6938498B2 (en) | Hydrocarbon gas flow rat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1925898B1 (en) | Regulator having the Function of Flow Contr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