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15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151B1
KR102388151B1 KR1020170085381A KR20170085381A KR102388151B1 KR 102388151 B1 KR102388151 B1 KR 102388151B1 KR 1020170085381 A KR1020170085381 A KR 1020170085381A KR 20170085381 A KR20170085381 A KR 20170085381A KR 102388151 B1 KR102388151 B1 KR 10238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communication
size
vehicles
adaptiv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4956A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51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04W72/048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는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의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및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복수의 차량으로의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 및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차량의 수,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제1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및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크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는 적응형 서버를 포함한다.A communication device interworking with a vehicle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path including a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to a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a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plurality of IoT servers to a plurality of vehicles; and loca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and transmit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the state of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tate of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an adaptive server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ferr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Description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본 발명은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채널 상태에 따라 전달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채널 대역폭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적응형 시스템을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lurality of IoT servers.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aptive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r channel bandwidth of data.

차량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의 결합은 차량 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사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및 서비스의 세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을 의미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에서 구성 요소로서의 사물은 유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가전기기뿐 만 아니라, 인간, 차량, 교량, 각종 전자장비, 문화재, 자연 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 사물 등이 포함되며,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The combination of vehicl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drivers or passengers in vehicles. Here, the Internet of Things may refer to an object-space connection network that forms intelligent relationships such as sensing, networ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cooperation with humans without explicit human intervention for three distributed environmental elements of humans and objects and services. Objects as components in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e not only home appliances i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but also humans, vehicles, bridges,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cultural assets, and physical objects that make up the natural environment. It is evolving into a concept that interacts with all information in

사물인터넷(IOT)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가정이나 일정 공간에서도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구비되고 있는 바, 가정이나 일정 공간 내에 구비되는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기기들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저장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기(즉, 사물)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로서 사물인터넷 서버가 사용된다.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various devices have been able to access the Internet, and a large number of IoT devices are being provided even at home or in a certain space.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he need to transmit or store the data generated by these devices is required. Accordingly, an IoT server is used as a network devi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IoT device (ie, an objec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necessary data.

대부분의 사물들(예, 냉장고, TV 등)이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에 반하여, 차량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범위에 대한 제한이 크지 않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를 사물이라고 할 때, 냉장고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는 제한적인 데 반하여, 사물로서의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종류는 매우 광범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의 연결 및 통신 방법과 통상적인 사물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의 연결 및 통신 방법은 서로 다를 수 있다.In contrast to most objects (eg, refrigerators, TVs, etc.) being used in a fixed location, the vehicle can move at a very high speed,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range of movement. In addition, when a refrigerator used at home is referred to as a thing, the types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through the refrigerator are limited, whereas the types of services requested by the driver or passengers in the vehicle as a thing are very broad. can For this reason,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and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normal object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KR 10-1592860 B1KR 10-1592860 B1

본 발명은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IOT) 서버 간의 연결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IOT) server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IOT) 서버 간의 연결을 위해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한 데이터의 크기 및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통신 환경, 상태 등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적응 시스템(adaptation system)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aptive system ( adaptation system)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IOT) 서버 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에서 적응형 프로토콜(adaptation protocol)을 적용하여 데이터 흐름(채널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의 크기 또는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that can adjust the size of data or the bandwidth of a transmission channel according to a data flow (channel state) by applying an adaptation protocol in two-way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IOT) server.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는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의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으로의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상기 제1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및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는 적응형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device interworking with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to a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a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to the plurality of vehicles. A data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a; and loca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the state of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tate of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an adaptive server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packet data transmitted over a data communication path,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또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제1차량으로부터 요청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와 상기 제1차량과의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의 데이터 통신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채널 대역폭 및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ive server confirms the type and size of service data transmit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requested from the first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first vehicle,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he channel bandwidth, and the data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adjusted so that the type and size of the service data may be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는 상기 제1차량의 위치, 상기 제1차량의 속도 및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may be changed by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first vehicle, a speed of the first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또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한 후 조정된 패킷 데이터가 상기 제1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재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he adaptiv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adjusted packe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and may readjust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는 상기 복수의 차량과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 경로;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인접한 차량 사이 근거리 직접 무선통신 경로;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 유선통신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에서 설정될 수 있는 조합에 대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short-distance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adjacent vehicles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wired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daptive server, wherein the adaptive server can check the status of combinations that can be set i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또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자원(resources)의 할당량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ive server may provide resources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link form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You can control the quota of

또한,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차량 중 하나가 연결된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적응형 서버로 입/출력되는 패킷 데이터의 형식(format)과 크기(size)가 서로 다를 수 있다.Also, the format and size of packet data input/output to the adaptive server on a data communication path through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are connecte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외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터미널(user's terminal)의 수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ive server further considers the number of user's terminals existing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other tha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the number of IoT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You can control the size of the data.

또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핸드 쉐이킹(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상기 채널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Also, the adaptive server may adjust the channel bandwidth through a handshaking process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또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각각에 대한 최대, 최소, 또는 평균 데이터 속도와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요구되는 데이터 양을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상기 데이터 속도와 상기 데이터 양을 근거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aptive server stores or updates the maximum, minimum, or average data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the The size of the packet dat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ata rate and the amount of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의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으로의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한 적응형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상기 제1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및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n adaptiv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to a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a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to the plurality of vehicles. 8. An adaptive server located on a data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a channel, the adaptive server comprising: receiving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or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nd transmission of the data are controll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the state of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tate of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adjusting at least one of a channel bandwidth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nd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adjusted result.

또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제1차량으로부터 요청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와 상기 제1차량과의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의 데이터 통신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채널 대역폭 및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data transmission,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a type of service data transmitted for an IoT service requested from a first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scertaining a size and a data communication spe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first vehicle. and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he channel bandwidth, and the data communication protocol so that the type and size of the service data can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는 상기 제1차량의 위치, 상기 제1차량의 속도 및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may be changed by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first vehicle, a speed of the first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또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한 후 조정된 패킷 데이터가 상기 제1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재조정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data transmission,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the adjusted packe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after 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d re-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는 상기 복수의 차량과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 경로;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인접한 차량 사이 근거리 직접 무선통신 경로;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 유선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short-distance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adjacent vehicles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wired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daptive server.

또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에서 설정될 수 있는 조합에 대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data transmission,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a status for a combination that can be set i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there is.

또한,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적응형 서버 내 자원(resources)의 할당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may include the adaptive response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link form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llocation amount of resources (resources) in the type server.

또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차량 중 하나가 연결된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형식(format)과 크기(size)가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is transmitted over a data communication path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are connected. The format and size of packet data to be used may be changed.

또한,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차량 외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터미널(user's terminal)의 수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further considers the number of user's terminals existing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other tha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또한,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응형 서버 간 핸드 쉐이킹(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상기 채널 대역폭이 조절될 수 있다.Also, the channel bandwidth may be adjusted through a handshaking process betwe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the adaptive server.

또한,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각각에 대한 최대, 최소, 또는 평균 데이터 속도와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요구되는 데이터 양을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속도와 상기 데이터 양을 근거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includes storing or updating the maximum, minimum, or average data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step; and determin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based on the data rate and the data amou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전술한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program characterized by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adaptive server control method can be recorded through being executed by a processor.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based on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에 따라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의 양이 변하더라도 병목(bottleneck) 현상, 지연(latency) 현상과 같은 통신 시스템의 문제들을 회피하거나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voids communication system problems such as bottleneck and latency even if the amount of data changes in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according to the service required by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한 적응형 시스템을 통해 통신 환경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널의 대역폭을 조정하거나 데이터의 크기를 변화시켜 데이터 통신 속도를 통신 상태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 무선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데이터 통신 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apply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provide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an adaptive system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y adjusting the bandwidth of the channel or changing the size of data,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so that wireless communication resource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and problems occurring in data communication can be solv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 환경을 설명한다.
도2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적응형 서버를 설명한다.
도4는 도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차량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설명한다.
도5는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적응형 서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7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8은 적응형 서버를 통한 채널 대역폭 변경을 설명한다.
도9는 적응형 서버의 자원 분배를 설명한다.
도10은 도9에서 설명한 자원 분배의 예를 설명한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rawings, and features disclosed in each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new embodiment.
1 illustrates a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2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a driver or occupant in a vehicle uses an IoT service.
3 illustrates an adaptive server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4 illustrat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vehicles located on a road.
5 illustrates a method of determin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6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adaptive server.
7 illustrate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ize of data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8 illustrates channel bandwidth change via an adaptive server.
9 illustrates resource distribution of the adaptive server.
FIG. 10 explains an example of resource distribution described in FIG. 9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up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he upper (upper) or lower (lower)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all formed by being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도1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 환경을 설명한다.1 illustrates a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4)은 도로(10) 상에서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16)을 통해 이동 중에도 인터넷 혹은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서버(12)에도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16)은 통상적으로 기 설정된 반경의 지역(18A, 18B)의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이웃한 커버리지(coverage)는 일부가 중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14)은 이동 중에도 중단이 없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the vehicle 14 can access the Internet or a network while moving through the base station 16 for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moving on the road 10 , and can also access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 . A base station 16 for wireless communication typically has coverage of areas 18A and 18B of a preset radius. Neighboring coverage may partially overlap, and through this, the vehicle 14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out interruption even while moving.

사물 인터넷 서버(12)는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는 서로 다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동일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The IoT server 1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and 12B. Each of the IoT servers 12A and 12B may manage different IoT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me Internet of Things service may be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and 12B.

이동 중인 차량(14)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물 인터넷 서버(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무선(wireless) 연결은 기지국(16)과 차량(14) 사이에 해당하고, 기지국(16)으로부터 사물 인터넷 서버(12) 사이에는 광통신 라인 등을 통한 유선(wired) 연결일 수 있다.The moving vehicle 14 may be connected to the IoT server 12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wireless connection may be between the base station 16 and the vehicle 14 , and between the base station 16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 may be a wired connection through an optical communication line or the like.

도2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2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a driver or occupant in a vehicle uses an IoT service.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4)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사용자(4)는 주행 중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22). 예를 들어, 여기서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요청은 차량(14)이 “집의 거실 등을 켜 주세요” 또는 “집에 보일러 혹은 에어컨을 가동하여 실내 온도를 20도에 맞춰 주세요” 등등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4)의 음성을 인식하여 전달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한편,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실내 온도 조절, 지능형 조명 조절, 보안 안전 확인, 음악, 영화 등의 엔터테인먼트 제공 등의 사용자(4)의 필요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사용자(4)에 의해 요청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지능화 에너지·교통·금융·유통·제조·공공안전·도시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에도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As shown, the driver or user 4 riding in the vehicle 14 may request an IoT service while driving ( 22 ). For example, here, the request for the IoT service is the driver or user( It can be realized by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the voice of 4). On the other hand, the IoT service may b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4 , such as room temperature control,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ecurity and safety check, and entertainment such as music and movies. In addition, the IoT service requested by the driver or user 4 may be related to industr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intelligent energy, transportation, finance, distribution, manufacturing, public safety, and city management.

운전자 또는 사용자(4)의 요청을 수신하고 인지한 차량(14)은 기지국(16)에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24). 차량(14)은 기지국(16)과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업링크, 다운링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의 무선 통신 방식은 3~5세대의 데이터 통신(3G, LTE 등등)에 기초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WifFi)와 같은 근거리 데이터 통신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범위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기지국(16)은 복수의 차량(14)과 연결될 수 있다.Upon receiving and recognizing the driver's or user's request, the vehicle 14 transmits a request signal to the base station 16 (24). The vehicle 14 may form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base station 16 .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based on 3rd to 5th generation data communication (3G, LTE, etc.), and a short-distance dat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may also be used. Here, the base station 16 having a certain range of coverage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ehicles 14 .

요청 신호를 전달받은 기지국(16)은 해당 신호를 적응형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26). 기지국(16)과 적응형 서버(20)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적응형 서버(20)는 복수의 기지국(16)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응형 서버(20)와 복수의 기지국(16) 사이에는 교환기, 라우터, 리피터 등의 통신 장비들이 연결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적응형 서버(20)는 라우터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base station 16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adaptive server 20 (26). The base station 16 and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6 . Also, between the adaptive server 20 and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6,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a switchboard, a router, and a repeater may be connected or interlocked.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daptive server 20 may include a function of a router.

적응형 서버(20)는 수신한 요청 신호를 해당하는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 또는 12C)에 전달할 수 있다(28). 적응형 서버(20)는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 12C)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응형 서버(20)가 복수 개 포함된 경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 12C)와 복수의 적응형 서버(20)는 그물망과 같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adaptive server 20 may transmit the received reques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12B, or 12C (28).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12B, and 12C.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adaptive servers 20 are included,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12B, and 12C and the plurality of adaptive servers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like a mesh.

운전자 또는 사용자(4)의 요청 신호를 수신한 사물 인터넷 서버(12A)는 인터넷 망(6)을 통해 목표 사물(8)에 접근하여 목표 사물(8)을 제어할 수 있다(30). 여기서, 목표 사물(8)은 유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서버(12A)는 운전자 또는 사용자(4)의 요청 신호를 이해하고, 이해한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터넷 망(6)을 통해 전달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사용자(4)가 “거실 등을 켜 달라”는 요청을 한 경우, 이를 이해한 사물 인터넷 서버(12A)는 운전자 또는 사용자(4)가 의도한 “거실 등”에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켜 달라”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The IoT server 12A receiving the driver's or user's 4 request signal may access the target thing 8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6 and control the target thing 8 (30). Here, the target object 8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a network, the Internet, or the like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understands the request signal of the driver or user 4 ,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understood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6 . For example, when the driver or user 4 requests “to turn on the living room, etc.”,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understanding this can access the “living room, etc.” intended by the driver or user 4 Not only that, but you can also perform a command to “turn it on”.

목표 사물(8)을 제어한 후, 사물 제어의 결과를 차량(14) 내 운전자 또는 사용자(4)에게 전달할 수 있다(32). 예를 들어, 사물 제어의 결과는 피드백(feedback) 신호 또는 ACK 신호 등등의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목표 사물(8)로부터 운전자 또는 사용자(4)로 전달되는 피드백 신호 또는 ACK 신호 등을 통해, 운전자 또는 사용자(4)는 주행 중인 차량(14) 내에 이루어졌던 자신의 요청, 지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After controlling the target object 8 , the result of object control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er or user 4 in the vehicle 14 ( 32 ). For example, the result of object contro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feedback signal or an ACK signal. Through a feedback signal or A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rget object 8 to the driver or user 4 , the driver or user 4 determines whether his/her request or instruction made in the vehicle 14 being driven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can be checked.

도3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적응형 서버를 설명한다.3 illustrates an adaptive server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형 서버(20)는 복수의 차량 및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각각에는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가 탑재되어 있고,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장치(34)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적응형 서버(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장치(34)를 통해 서로 다른 사용자(User1, User2, User3, … , UserN)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As shown,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 .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may be equipped with an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 and the audio-video-navigation device 34 may be connected to the adaptive server 2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lso, different users (User1, User2, User3, ..., UserN) may request an IoT service through the audio-video-navigation device 34 .

한편, 적응형 서버(20)와 연결된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에는 서비스별, 지역별, 서비스 운영 주체 별로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사물 인터넷 서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는 서로 다른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36)에 연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12 connected to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designed to use different or identical IoT servers for each service, region, and service operating entit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each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may interwork with a system 36 operated by different service providers.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와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를 연결하는 적응형 서버(20)는 프로세싱부(42), 제1송수신부(44A) 및 제2송수신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수신부(44A)는 적응형 서버(20)에서 사물 인터넷 서버(12A)로 전달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사물 인터넷 서버(12A)에서 적응형 서버(20)로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송수신부(44B)는 차량의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로 전달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adaptive server 20 connecting the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and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 includes a processing unit 42, a first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A, and a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unit ( 44B). The first transceiver 44A transmits data or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daptive server 20 to the IoT server 12A, or data or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IoT server 12A to the adaptive server 20 . can receive Similarly, the second transceiver 44B receives data or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of the vehicle, or transmits the data or signals to the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 It can transmit data or signals.

프로세싱부(42)는 제1송수신부(44A)와 제2송수신부(44B)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가공, 변조, 수정, 변환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는 기 설정된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는데, 제2송수신부(44B)를 통해 전달된 해당 신호가 사물 인터넷 서버(12A)로 전달되기에 부적합하거나, 통신 회선, 채널, 경로 등의 상태에 따라 변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프로세싱부(42)는 해당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차량에 포함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와 적응형 서버(20) 사이 데이터 또는 신호의 전달, 교환을 위해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 기술(3세대, 4세대, 5세대 기술)이 사용될 수 있고, 적응형 서버(20)와 사물 인터넷 서버(12A) 간에는 5세대 기술(예, mmWave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processing unit 42 may process, modulate, modify, or convert data or signal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A and the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B. For exampl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of the vehicle may be transmitted using a preset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mitter/receiver unit 44B When it is determined that is inappropriate to be transmitted to the IoT server 12A or that conversio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line, channel, path, etc., the processing unit 42 may convert the corresponding signal. For examp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ies (3rd, 4th, 5th generation) for the transfer and exchange of data or signals between the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included in a moving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20 . generation technology) may be used, and a fifth generation technology (eg, mmWave, etc.) may be used between the adaptive server 20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부(42)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부(42)는 제1송수신부(44A) 및 제2송수신부(44B)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들을 가공, 변조, 수정, 변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의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과 적응형 서버(20) 사이에 형성된 양방향 채널, 통신 경로 및 적응형 서버(20)와 사물 인터넷 서버(12A) 사이에 형성된 양방향 채널, 통신 경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42 may be configured as a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memory and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ing unit 42 processes, modulates, modifies, and converts data and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ceiver 44A and the second transceiver 44B, as well as audio-video-navigation ( AVN) an interactive channel formed between the device 34 and the adaptive server 20, a communication path, and an interactive channel formed between the adaptive server 20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communication path .

적응형 서버(20)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포트(port)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물 인터넷 서버(12A)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한 정보도 적응형 서버(20)는 저장할 수 있다. 적응형 서버(20)는 초기에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에 대한 대역폭(bandwidth) 및 데이터 속도(data rate)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과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12)가 연결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하면, 적응형 서버(20)는 이미 저장된 여러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통신 경로의 상태를 모니터링, 분석하여 대역폭(bandwidth) 및 데이터 속도(data rate)를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경로의 상태 또는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특징 등에 대응하여, 적응형 서버(20)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패킷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 적용하여 패킷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할 수도 있다.The adaptive server 20 may store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of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s, and information on ports through which data and signals ar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adaptive server 20 may also store information on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specific IoT server 12A. The adaptive server 20 may initially distribute the bandwidth and data rate equally for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However, when the vehicle and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12 are connected and the IoT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adaptive server 2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data communication path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already stored. It can be monitored and analyzed to adjust bandwidth and data rate.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the state of the data communication path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vided IoT service, the adaptive server 20 may adjust the size of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wo-way data communication path, and the packet data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he format of packet data by changing and apply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that determines the format of the packet data.

도4는 도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차량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설명한다.4 illustrate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vehicles located on a road.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 상에서 주행 중인 복수의 차량(14A, 14B, 14C, 14D, 14E, 14F)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A, 16B)을 통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기지국(16A, 16B)의 통신 능력(capability)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복수의 차량(14A, 14B, 14C, 14D, 14E, 14F) 중 일부는 기지국(16A, 16B)에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인접한 차량을 통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요청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차량(14B)이 기지국(16A)에 직접 접속이 어려울 경우, 다른 차량(14A 또는 14C)을 통해 기지국(16A)에 접속할 수 있다.As illustrated, a plurality of vehicles 14A, 14B, 14C, 14D, 14E, and 14F driving on a road 10 may request an IoT service through at least one base station 16A, 16B. At this time,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of each base station 16A, 16B, som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14A, 14B, 14C, 14D, 14E, 14F have access to the base stations 16A, 16B. It may not be smooth. In this case, the vehicle may attempt to request an IoT service through an adjacent vehicle. For example, when it is difficult for one vehicle 14B to directly access the base station 16A, it can access the base station 16A through another vehicle 14A or 14C.

또한, 위치, 지역의 특성 등에 의해 복수의 차량(14A, 14B, 14C, 14D, 14E, 14F)이 기지국(16A, 16B)에 연결되기 어려운 경우, 복수의 차량(14A, 14B, 14C, 14D, 14E, 14F) 각각은 인접한 차량을 통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plurality of vehicles 14A, 14B, 14C, 14D, 14E, and 14F to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6A, 16B due to the loc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etc., the plurality of vehicles 14A, 14B, 14C, 14D, 14E and 14F) may each request an IoT service through an adjacent vehicle and receive the result.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량(14A, 14B, 14C, 14D, 14E, 14F)은 인접한 차량과의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접한 차량 간의 직접 통신은 데이터 통신 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데이터, 정보 등을 공유,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차량 간의 직접 통신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제공받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vehicles 14A, 14B, 14C, 14D, 14E, and 14F may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with adjacent vehicle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djacent vehicles may not only diversify data communication paths, but may also be used for sharing and transmitting specific data and inform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djacent vehicles may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requesting or receiving IoT services.

도5는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5 illustrates a method of determin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factor) 중 하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이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요청, 요구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따라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에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 신호의 양과 크기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사이에 데이터 통신의 효율성을 높이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예, 장애)를 예방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고 복구하기 위해,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one of the biggest factors affect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is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The amount and size of data and signals to be transmitt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oT serv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oT service requested or requested by the driver or passenger in the vehicle.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and prevent problems (eg, failures) that may occur, or to troubleshoot and recove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may be determined.

먼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42).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적응형 서버의 경우, 사물 인터넷 서버에 대한 내용과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응형 서버는 데이터 통신 경로(예, 양방향(상/하) 데이터 링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물 인터넷 서버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irst, data and signals transmitt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may be analyzed ( 42 ). In the case of an adaptive server that may be locat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contents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Accordingly, the adaptive server can obtain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Internet of Things server by analyzing the type and size of data transmit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eg, bidirectional (upper/lower) data link). .

이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44). 여기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경로는 적응형 서버에서 차량까지의 연결에 대한 경우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기지국을 통해 적응형 서버에 연결되거나, 인접한 차량과의 직접 통신과 기지국을 통해 적응형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과 적응형 서버의 물리적인 거리와 계층적인 네트워크 구성에서 계층적 거리가 멀지 않다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경로의 수는 비교적 좁게 한정될 수 있으나, 기지국과 적응형 서버의 물리적인 거리와 차량과 계층적인 네트워크 구성에서 계층적 거리가 먼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경로의 수가 매우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물리적인 거리와 계층적 거리가 멀 수록, 리피터, 라우터, 교환기 등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서로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reafter, all paths through which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may be checked ( 44 ). Here, all paths where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may include the number of cases for a connection from the adaptive server to the vehicle. The vehicle may be connected to the adaptive server through a base station accessible from the current location, or may be connected to the adaptive server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vehicle and the base station. If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daptive server and the hierarchical distance are not far in the hierarchical network configuration, the number of all possible data communication paths can be limited relatively narrowly, but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daptive server and the vehicle and layer In a typical network configuration, if the hierarchical distance is long, the number of all paths through which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may become very larg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s the physical distance and the hierarchical distance increase,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network equipment such as repeaters, routers, and switchboards.

또한, 차량의 위치, 운행 상태를 추적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46). 차량의 위치와 운행 상태(예를 들면, 차량의 속도)는 데이터 통신의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차량의 위치가 인접한 기지국과의 거리는 주고받는 신호의 파워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거리가 길 수록 데이터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빠를수록, 무선 통신 방식에서 데이터의 전송의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TE(통신방식 중 하나)는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1 Gbps, 차량이 60km/h 이상의 고속 이동 시에는 100 M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by tracking the location an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46).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condition (eg,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speed of data communica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s loc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ower of the transmitted signal, the longer the distance, the slower the data rate may be. In addition,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speed of data transmiss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come slower. For example, LTE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can provide a transmission speed of 1 Gbps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and 100 Mbps or more when the vehicle moves at a high speed of 60 km/h or more.

이후, 차량의 위치, 운행 상태를 기반으로 전달 가능한 데이터 속도(예, 최소값, 최대값,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48). 차량의 위치와 운행 상태에 따라 차량과 적응형 서버 사이에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속도는 달라질 수 있고, 획득한 차량의 위치 및 운행 상태(예, 차속 등)을 반영하여 실제로 차량과 적응형 서버 사이에 실현 가능한 데이터 통신의 속도를 최소, 최대, 평균 값으로 산출한다. 이를 통해, 차량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데이터, 신호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통신 장애 등의 문제를 회피, 예방할 수 있다.Thereafter, a transmittable data rate (eg, a minimum value, a maximum value, and an average valu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vehicle location and driving state ( 48 ).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operating status of the vehicle, the transmission/reception speed of data and signal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may vary. Calculate the feasible data communication speed as the minimum, maximum, and average valu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eed of data and signal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by adjusting the speed of data and signals, it is possible to avoid and prevent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failure.

차량의 위치, 운행 상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속도를 산출하면,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50). 만약,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지 않다면, 재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52). 여기서 재확인 요청은 데이터 전달을 위한 모든 통신 경로 및 차량의 위치, 운행 상태를 근거로 차량과 적응형 서버 사이에 실현 가능한 데이터 통신의 속도를 다시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44, 46, 48).By calculating the speed of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stat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 50 ). If data transfer is not possible, a reconfirmation request may be made (52). Here, the reconfirmation request is for recalculating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feasibl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based on all communication paths for data transmission and the vehicle's location and driving state (44, 46, 48).

만약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달되는 데이터의 크기(또는 종류), 전달 경로 등을 기반으로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54). 여기서 통신 방식은 표준 프로토콜(예, 3세대, 4세대, 5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a communication metho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r type) of the transmitted data, a transmission path, etc. (54). Here,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a standard protocol (eg, 3G, 4G, 5G,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etc.).

이후, 결정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56). 이때, 전달되는 데이터는 결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가공, 변환, 조정될 수 있다.Thereafter, data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56).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data may be processed, convert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도6은 적응형 서버의 동작을 설명한다.6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adaptive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형 서버(20)는 차량에 탑재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장치(34)와 사물 인터넷 서버(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응형 서버(20)는 제1송수신부(44A), 제2송수신부(44B) 및 프로세싱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수신부(44A)와 제2송수신부(44B)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달, 가공, 변환, 조정을 하기 위한 프로세싱부(42)는 현재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of Users), 현재 제공 중인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수 또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중인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of IOT Services),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크기(Size of file/packet), 및/또는 적응형 서버(20)가 가용할 수 있는 자원(resources, processing power)의 크기(Size of Processing power)를 고려할 수 있다.As shown,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vehicle-mounted audio-video-navigation device 34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 . The adaptive server 20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A, a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B, and a processing unit 42 . The number of users (# of Users),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s currently being provided or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s (# of IOT Services), the size of data to be delivered for Internet of Things services (Size of file/packet), and/or the size of processing power that can be used by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considered.

여기서, 프로세싱부(42)가 고려할 수 있는 인자(factor)는 기 설정된 통신 연결 관계를 통해 저장된 정보(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사물 인터넷 서버에 대한 정보(주소, 포트 등),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정보(데이터 크기, 종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42)가 고려할 수 있는 인자(factor)에 포함되는 정보, 데이터들은 제1송수신부(44A)와 제2송수신부(44B)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통신 경로 상의 데이터, 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Here, the factors that the processing unit 42 can consider include information stored through a preset communication connection relationship (eg, information (address, port, etc.) on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for an Internet of Things service, Internet of Things). Service information (data size, type, etc.)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formation and data included in factors that the processing unit 42 can consider are analyzed by data and signals on a data communication path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A and the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unit 44B. It can be confirmed or updated based on the results.

예를 들면, 프로세싱부(42)는 적응형 서버(20)를 통해 사용자의 수(# of Users) 또는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of IOT Services)를 줄여가는 방향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적응형 서버(20) 각각이 사용자의 수(# of Users) 또는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of IOT Services)를 줄여간다는 것은 복수의 적응형 서버(20)가 서로 서로의 역할을 분산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42 may control data or signals in a direction to reduce the number of users (# of Users) or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 of IOT Services) through the adaptive server 20 . there is. If each of the adaptive servers 20 reduces the number of users (# of Users) or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 of IOT Services), a plurality of adaptive servers 20 may distribute their roles to each other. can mean

도7은 차량과 사물 인터넷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7 illustrate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ize of data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n Internet of Things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데이터를 가공하기 전 과정과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혹은 신호는 패킷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적응형 서버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관련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관련한 정보들은 사물 인터넷 서버의 인터넷 주소, 포드 등과 같은 정보 및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ize of data can be classified into a process before data processing and a process for processing data. Here, the data or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path may have the form of a packet. First, the adaptive server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oT servi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oT service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Internet address and a pod of the IoT server and information about data transmitted for the provided IoT service.

데이터를 가공, 편집, 변환, 조정하기 전,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적응형 서버는 데이터 통신 경로의 트래픽 양을 기록, 저장할 수 있다(62). 이후, 각 서버를 위한 트래픽 기록을 이용하여 최대, 평균, 최소 데이터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64).The adaptive server may record and store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62)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packet data prior to processing, editing, transforming, or manipulating the data. The traffic records for each server can then be used to determine the maximum, average, and minimum data rates (64).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적응형 서버는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종류와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66).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는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통신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종류와 크기를 분석하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데이터 종류와 크기를 가공, 편집, 변환, 조정할 필요가 있다.In the process of processing data, the adaptive server may analyze the type and size of data transmit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66). Data transmitted over the data communication path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vided IoT service. It is necessary to process, edit, transform, and adjust the data type and size within the range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IoT services by analyzing the data type and size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path.

적응형 서버는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 및 최대, 평균, 최소 데이터 속도를 바탕으로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68). 예를 들면, 패킷 데이터의 크기는 복수의 차량을 상대로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통신 장애 등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The adaptive server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packet data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data and the maximum, average, and minimum data rates (68). For example, the size of packet data may be adjusted to prevent or solve a communication failure, etc. so that a plurality of IoT services provided by a plurality of IoT server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vehicles.

패킷 데이터의 크기가 결정되면, 사물 인터넷 서버로 전달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70). 만약 조정된 패킷 데이터가 사물 인터넷 서버로 전달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패킷 데이터의 가능한 크기를 재 검토할 수 있다(72).When the size of the packet data is determin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ransmission to the IoT server is possible ( 70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justed packet data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to the IoT server, the possible size of the packet data may be re-examined (72).

만약 조정된 패킷 데이터가 사물 인터넷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조정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7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justed packe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IoT server, the adjusted packet data can be transmitted (74).

도8은 적응형 서버를 통한 채널 대역폭 변경을 설명한다.8 illustrates channel bandwidth change via an adaptive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형 서버는 채널 대역폭(bandwidth)을 조정할 수 있다. 도7에서는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 변경하는 방법을 통해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한 반면, 도8에서는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또는 각각의 차량)에 할당된 채널의 대역폭을 조정하는 방법을 통해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adaptive server may adjust the channel bandwidth. While FIG. 7 describes how to efficiently perform a plurality of IoT services through a method of adjusting and changing the size of packet data, in FIG. 8, channels allocated to each IoT server (or each vehicle) Through a method of adjusting the bandwidth of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에는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Sever 1~4)에 할당된 대역폭은 균등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면,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이 달라지게 되고, 적응형 서버는 이를 감지하여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과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특징에 기반하여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initial stage of the IoT service, the bandwidth allocated to each IoT server (Severs 1 to 4) may be uniform. However, when a plurality of IoT services are provided,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v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oT service. The bandwidth allocated to each IoT server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예를 들면, 대역폭의 조정은 적응형 서버와 각각의 사물 인터넷 서버가 핸드쉐이킹(handshaking)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응형 서버와 사물 인터넷 서버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로의 존재와 서비스의 개시 등을 확인, 감지하는 과정에서 사물 인터넷 서버가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특징(예를 들면 데이터의 양과 종류)에 대응하여 사물 인터넷 서버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bandwidth adjustment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handshaking between the adaptive server and each Internet of Things server.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and detecting each other's existence and service initiation, etc., in order for the adaptive server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provided by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eg, amount and type of data) In response, the bandwidth allocated to the IoT server can be adjusted.

도9는 적응형 서버의 자원 분배를 설명한다.9 illustrates resource distribution of the adaptive server.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에 관여할 수 있는 적응형 서버(20)는 N개의 차량(즉, N개의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 34)와 M개의 사물 인터넷 서버(12)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the adaptive server 20 capable of participating in the provision of IoT services includes N vehicles (ie, N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s, 34) and M IoT servers 12 ) can control data communication between

적응형 서버(20)의 입장에서 라우팅 매트릭스(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From the standpoint of the adaptive server 20, the routing matrix A may be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1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1

여기서, aMN은 적응형 서버(20) 내 자원(resources)의 배정을 처리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N개의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의 벡터(x)는 아래의 수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a MN may mean a ratio for processing the allocation of resources in the adaptive server 20 . A vector (x) of the N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s 34 may b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2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2

또한, M개의 사물 인터넷 서버(12)의 벡터는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ctors of the M IoT servers 12 may be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3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3

이때, 두 벡터(x, y)의 간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ectors (x, y) can be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4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4

여기서, 적응형 서버(20)는 두 벡터(x, y)에 대해서 알 수 있기 때문에, 라우팅 매트릭스(A)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고, 특이 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를 이용한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5
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Here, since the adaptive server 20 can know about the two vectors (x, y), the routing matrix A can be described as follows, and us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5
is applied as follows.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6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6

여기서, 라우팅 매트릭스(A)가 결정된 후, 각 요소(aMN)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한 두 벡터(x, y)를 추적할 수 있다.Here, after the routing matrix (A)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track two vectors (x, y) for determining the change of each element (a MN ).

전술한 방식을 통해, 적응형 서버(20) 내 자원(resources)을 배정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적응형 서버(20) 내 자원의 배분은 적응형 서버(20)에 접속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장치(34)와 사물 인터넷 서버(12)를 추적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possible to allocate resources (resources) in the adaptive server (20).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llocation of resources in the adaptive server 20 is a result of tracking the audio-video-navigation (AVN) device 34 and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 12 connected to the adaptive server 20 . can be done based on

도10은 도9에서 설명한 자원 분배의 예를 설명한다.FIG. 10 explains an example of resource distribution described in FIG. 9 .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형 서버(20)에는 세 대의 차량(14A, 14B, 14C)과 두 개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대의 차량(14A, 14B, 14C)으로부터의 데이터 양이 각각 50%, 30%, 20%를 차지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두 개의 사물 인터넷 서버(12A, 12B)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36A, 36B)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 양은 각각 60%, 40%를 차지하고 있다고 가정한다.As shown, the adaptive server 20 may be connected to three vehicles 14A, 14B, 14C and two Internet of Things servers 12A, 12B.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data from three vehicles 14A, 14B, and 14C occupies 50%, 30%, and 20%,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by the IoT services 36A and 36B provided through the two IoT servers 12A and 12B accounts for 60% and 40%, respectively.

이러한 환경에서 적응형 서버(20)는 데이터 통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원을 배분하기 위해서 도9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In such an environment, the adaptive server 20 may apply the method described in FIG. 9 to allocate resources to effectively perform data communication, as follows.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7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7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8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8

만약 적응형 서버(20)에 100개의 프로세서(예, CPU)와 200GB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라우팅 매트릭스(A)의 구성 요소(aMN)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차량(14A)에서 제1사물 인터넷 서버(12A)로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자원의 배분(a11)으로서 29개의 프로세서(CPUs)와 58GB의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2차량(14B)에서 제1사물 인터넷 서버(12A)로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자원의 배분(a12)으로서 17개의 프로세서(CPUs)와 34GB의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차량(14C)에서 제1사물 인터넷 서버(12A)로의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자원의 배분(a13)으로서 11개의 프로세서(CPUs)와 22GB의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If it is assumed that the adaptive server 20 includes 100 processors (eg, CPU) and 200 GB of memory, the component (a MN ) of the routing matrix (A) may be determined as follows. For example, 29 processors (CPUs) and 58 GB of memory may be allocated as an allocation (a 11 ) of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data and signals from the first vehicle 14A to the first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 In addition, 17 processors (CPUs) and 34 GB of memory may be allocated as allocation (a 12 ) of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data and signals from the second vehicle 14B to the first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In addition, 11 processors (CPUs) and 22 GB of memory may be allocated as a resource allocation (a 13 ) for data and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third vehicle 14C to the first Internet of Things server 12A.

또한, 라우팅 매트릭스(A)와 위 변화량을 결정한 차량(x)과 사물 인터넷 서버(y)에 의한 2x3 행렬(ε)을 합하여, 아래와 같이 피드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ing matrix (A) and the 2x3 matrix (ε) by the vehicle (x) that has determined the above change amount and the IoT server (y) can be summed and fed back as follows.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9
Figure 112017064397337-pat00009

전술한 방식으로 적응형 서버(20)의 자원이 배분되는 경우, 데이터 통신 경로의 데이터의 양에 대응하는 자원 배분이 이루어질 경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resources of the adaptive server 20 are allocat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en the resource al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data i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is made.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14A, 14B, 14C, 14D, 14E, 14F: 차량
12A, 12B, 12C: 사물 인터넷 서버
34: AVN 16: 기지국(base station)
20: 적응형 서버 42: 프로세싱부
44A: 제1송수신부 44B: 제2 송수신부
14, 14A, 14B, 14C, 14D, 14E, 14F: Vehicle
12A, 12B, 12C: Internet of Things Server
34: AVN 16: base station
20: adaptive server 42: processing unit
44A: first transceiver 44B: second transceiver

Claims (22)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의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으로의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상기 제1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및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는 적응형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응형 서버는, 현재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또는 상기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를 줄여가는 방향으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 data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a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to a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a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to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Locat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the data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the state of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tate of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 adaptive server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packet data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path,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mission of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wherein the adaptive server controls the size of the packet data in a direction to decrease the number of users currently maintaining a connection or the number of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제1차량으로부터 요청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와 상기 제1차량과의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의 데이터 통신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채널 대역폭 및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ive server
Checking a type and size of service data transmitted for an Internet of Things service requested from a first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data communication spe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first vehicle,
A communication device interoperating with a vehicle for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the channel bandwidth, and the data communication protocol so that the type and size of the service data can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는 상기 제1차량의 위치, 상기 제1차량의 속도 및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경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is changed by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first vehicle, a speed of the first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한 후 조정된 패킷 데이터가 상기 제1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재조정할 수 있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aptive server
After 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djusted packe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A communication device interworking with a vehicle, capable of re-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는
상기 복수의 차량과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 경로;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인접한 차량 사이 근거리 직접 무선통신 경로;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 유선통신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에서 설정될 수 있는 조합에 대해 상태를 확인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communication pat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short-distance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adjacent vehicles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wired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daptive server;
and the adaptive server checks a status for a combination that can be set i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자원(resources)의 할당량을 제어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ive server
Controlling the allocation amount of resources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link form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ion device that works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차량 중 하나가 연결된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적응형 서버로 입/출력되는 패킷 데이터의 형식(format)과 크기(size)가 서로 다른,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a data communication path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are connected, the format and size of packet data input/output to the adaptive serv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외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터미널(user's terminal)의 수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ive server further considers the number of user's terminals existing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other tha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the number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interacts with the vehicle to control the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핸드 쉐이킹(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상기 채널 대역폭을 조절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daptive server adjusts the channel bandwidth through a handshaking process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각각에 대한 최대, 최소, 또는 평균 데이터 속도와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요구되는 데이터 양을 저장하거나 갱신하고,
상기 데이터 속도와 상기 데이터 양을 근거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차량과 연동하는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ive server
storing or updating the maximum, minimum, or average data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determin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based on the data rate and the amount of data.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의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차량으로의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위치한 적응형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상기 제1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및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현재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또는 상기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를 줄여가는 방향으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An adaptive server located on a data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a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to a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a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from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to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adaptive server comprising:
receiving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or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nd transmission of the data are controll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the state of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tate of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channel. adjusting at least one of a channel bandwidth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nd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adjusted result;
The adjusting of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data transmission,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reducing the number of users currently maintaining a connection or the number of the Internet of Things servers. A control method of an adaptive server, which controls the size of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제1차량으로부터 요청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전달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와 상기 제1차량과의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의 데이터 통신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채널 대역폭 및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ferr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comprises:
checking a type and size of service data transmitted for an IoT service requested from a first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data communication spe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first vehicle; and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he channel bandwidth, and the data communication protocol so that the type and size of the service data can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Including, a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속도는 상기 제1차량의 위치, 상기 제1차량의 속도 및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변경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is changed by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first vehicle, a speed of the first vehicle, and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adaptive serv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한 후 조정된 패킷 데이터가 상기 제1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재조정할 수 있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ferr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adjusted packe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after 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nd
Re-adjust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는
상기 복수의 차량과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 경로;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인접한 차량 사이 근거리 직접 무선통신 경로;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응형 서버 간 유선통신 경로
를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ata communication pat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t least one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short-distance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path between adjacent vehicles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Wired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daptive server
Including, a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에서 설정될 수 있는 조합에 대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ferr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comprises: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a status for a combination that can be set i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의 수,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수 및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적응형 서버 내 자원(resources)의 할당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llocation amount of resources in the adaptiv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the size of the packet data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link formed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step to control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채널 대역폭 및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차량 중 하나가 연결된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서 전달되는 패킷 데이터의 형식(format)과 크기(size)가 변경될 수 있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djust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packet data, a channel bandwidth for transferring the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comprise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daptive server, wherein a format and a size of packet data transmitted on a data communication path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are connected can be chang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외 상기 데이터 통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터미널(user's terminal)의 수 및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controll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by further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terminals existing on the data communication path other than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the number of IoT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servers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응형 서버 간 핸드 쉐이킹(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상기 채널 대역폭이 조절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method of an adaptive server, wherein the channel bandwidth is adjusted through a handshaking process betwe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the adaptive serv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의 각각에 대한 최대, 최소, 또는 평균 데이터 속도와 상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요구되는 데이터 양을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속도와 상기 데이터 양을 근거로 상기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storing or updating a maximum, minimum, or average data rat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an amount of data required for an Internet of Things service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servers; and
determining the size of the packet data based on the data rate and the amount of data;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adaptive server.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응형 서버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22.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is recor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daptive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21 is realized through being executed by a processor.
KR1020170085381A 2017-07-05 2017-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KR102388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81A KR102388151B1 (en) 2017-07-05 2017-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81A KR102388151B1 (en) 2017-07-05 2017-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56A KR20190004956A (en) 2019-01-15
KR102388151B1 true KR102388151B1 (en) 2022-04-19

Family

ID=6503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81A KR102388151B1 (en) 2017-07-05 2017-07-05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151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10B1 (en) * 2013-08-02 2015-02-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data dissemination of road side units in ad-hoc based vehicular network
KR101592860B1 (en) 2015-01-23 2016-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ributed storage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53573A (en) * 2015-11-05 2017-05-1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s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nas Olsson, "6LoWPAN demystified," Texas Instruments (2014.10.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56A (en)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69039B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iu et al. A scalable and quick-response software defined vehicular network assisted by mobile edge computing
Jiau et al. Multimedia services in cloud-based vehicular networks
Abou-Zeid et al. Cellular V2X transmission for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s standardization, applications, and enabling technologies
US20170289976A1 (en) Multi-stream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anchor
US20210377807A1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KR202000182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50085A1 (en) Object-to-object intelligent network (o2n)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ultiple transmission channels, and operating method of said system
US202002965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mobility of device in a network
Bonadio et al. An integrated framework for blockchain inspired fog communications and computing in internet of vehicles
KR1020992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load balanced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ufga et al. An SDN hybrid architecture for vehicular networks: Application to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N116325927A (en) Multicast related communication
CN112713924A (en) Working method of CDN network system based on satellite communication
Sharma et al. Cooperative spectrum sharing in two‐way multi‐user multi‐relay networks
KR1023881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plural vehicles and plural iot servers
KR20190048893A (en)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cloud service based on distributed clou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the system
KR20180072319A (en) 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load of gateway in IoT network
JP2020513708A (en) Interface, vehicle control system and network equipment for combining vehicle control with communication services
Gupta et al. An LTE-direct-based communication system for safety services in vehicular networks
KR20230065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lit compu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hen et al. A data dissemination strategy in SDN enabled vehicular networks
KR20230050381A (en) A method of operating a UE related to sensor raw data sharing and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ing et al. Multi-link scheduling algorithm of LLC protocol in heterogeneous vehicle networks based on environment and vehicle-risk-field model
Kalogeiton et al. On the impact of sdn for transmission power adaptation and fib population in ndn-va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