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073B1 -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 Google Patents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073B1
KR102388073B1 KR1020210096889A KR20210096889A KR102388073B1 KR 102388073 B1 KR102388073 B1 KR 102388073B1 KR 1020210096889 A KR1020210096889 A KR 1020210096889A KR 20210096889 A KR20210096889 A KR 20210096889A KR 102388073 B1 KR102388073 B1 KR 10238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pace
protrusion
buildabl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태일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21009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0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1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slot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fabricat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comprises: a backrest module including a back plate allowing a user to support the back thereon and having a protruding unit longitudin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downwards; a sitting module including a seat on which the user can sit and a frame supporting the seat, wherein a portion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pace into which the protruding unit is inserted; and a prefabricated module inserting the protruding unit into the space to fix the protruding unit in prefabricated furniture. The prefabricated module includes: an elastic unit allowing the protruding unit to penetrate the middle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space with the protruding unit to seal the space; and a sealing unit inserted into the space with the elastic unit in the form of being penetrated by the protruding unit while the elastic unit is coupled therein, and provided with a rib formed on a portion thereof and enclo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unit penetrating the elastic unit.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등받이 모듈과 안착 모듈을 간단하게 결합하도록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typ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y type chair with improved assembling ability to simply combine a backrest module and a seating module.

일반적으로 의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겠으나 그 대체적인 구성은 의자 본체를 지지토록 하는 지지다리와, 이의 지지다리에 설치되면서 사용자가 앉는 좌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좌판에는 등받이와 팔걸이 등이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들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types of chairs, but the general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leg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chair, and a seat plate installed on the support leg for a user to sit, and the seat plate has a backrest and armrests integrally Those installed or installed separately have been proposed and are widely used.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사무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용 사무의자 등이 있다.In general, office chairs include personal office chairs used in personal work spaces such as offices or study rooms, and common office chairs used in large spaces such as conference rooms or lecture halls.

그 중에서도 각종 사무용이나 카페, 음식점 등의 영업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의자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의자 본체는 지지다리와 좌판으로 구성되고, 좌판의 후면에는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mong them, looking at a chair mainly used in various offices, cafes, restaurants, etc., for example, the chair body is composed of a support leg and a seat plate, and the backres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ack of the seat plate.

의자의 지지다리는 금속관체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음에 반하여, 좌판은 합성수지 또는 MDF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로 형성됨에 따라, 이들은 좌판의 저면에서 지지다리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나 볼트 등으로 직접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Whereas the support legs of the chair are formed in a bent metal tube body, the seat plate is formed of a plate made of synthetic resin or MDF, etc., so these are directly fixed with screws or bolts, etc. is composed of

관련 기술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02405호(등록일: 2000.08.29., 고안의 명칭: 의자 프레임)가 제안된 바 있다.As a related technology,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0-0202405 (registration date: August 29, 2000, designation name: chair frame) has been proposed.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의자는 의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이 철재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 각 프레임의 결합부위에 볼트공을 형성시키고, 볼트공 내에 볼트를 체결하여 각각의 프레임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바, 구성 부품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은 물론 조립이 힘든 문제점이 있고, 볼트의 노출로 인해 인테리어 감각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hat, in the existing chair, each frame constituting the chair is made of iron,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each frame, and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bolt hole. It is constructed by coupling each frame by fastening the bars, and since the component part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s well as assemb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rior sense is deteriorated due to the exposure of the bolts.

따라서 조립형 의자에서 등받이 모듈과 안착 모듈의 결합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ing property that can easily and quickly combine a backrest module and a seating module in an assembled chai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식 가구에서 돌출부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조립형 모듈로서 중심에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며,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탄성부와, 내부에 상기 탄성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돌출부가 관통된 형태로 상기 탄성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고, 일부에는 상기 탄성부를 관통한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리브가 형성된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prefabricated module in which a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space in prefabricated furniture, the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into the space and an elastic part for sealing the seal, and a sealing part having a rib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elastic part in a form in which the protrusion penetrates while the elastic part is coupled therein, and is partially formed with a rib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otrusion penetrating the elastic par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되, 외력에 의해 삽입되면서 소정 팽창하여 상기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And the elastic part may be coupled to the seal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part, and may be expanded by a predetermined expansion while being inserted by an external force to seal the space.

또한 상기 탄성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은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분에 상기 밀폐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의 직경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aling portion, and may include an edge portion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seal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is seated on the coupling portion. .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과 상기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에 상기 밀폐부가 고정되게 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insertion hol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lastic part, and the sealing part has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sealing part is fixed to the elastic part by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the seal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또한 상기 밀폐부는 내부에 상기 결합부분에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부에는 탄성부를 관통한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space to be seated on the coupling part is formed inside the sealing part, and a rib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otrusion penetrating the elastic part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ereof.

그리고 사용자가 등을 지지하는 등판을 포함하고, 상기 등판 양측에는 하부를 향해 길게 돌출부가 형성되는 등받이 모듈,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 모듈 제1항 또는 제5항의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형 모듈은 상기 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 모듈이 삽입된 경우, 상기 돌출부를 결속될 수 있다.And it includes a back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 backrest modul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long downwards on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a seat plate on which the user can sit, and a frame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a part of the frame includes the assembly-type module of claim 1 or claim 5, wherein a spac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assembled module is disposed in the space and when the backrest module is inserted, the protrusion is bound can

또한 상기 등받이 모듈은 상기 등판에서 상기 안착 모듈로 연장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이 밀폐되게 형성된 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res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wing member in which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ckplate to the s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to seal the space.

그리고 상기 윙부재는 다수의 원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nd the w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disks are stacked.

또한 상기 등판은 관통된 홀이 다수 형성되며,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상기 홀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holes having a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may be disposed.

그리고 상기 좌판은,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 무릎 뒤와 인접한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a portion adjacent to the back of the knee may have a bent shape.

또한 탄성부에 밀폐부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관통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안착 모듈 프레임에 조립형 모듈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돌출부를 상기 조립형 모듈에 가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also include the steps of seating the sealing part on the elastic part, coupling the penetrating member, coupling the assembly-type module to the seating module frame, and joining the protrusion to the assembly-type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 모듈과 안착 모듈을 결합하는데 조립형 모듈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기존 볼트가 노출됨에 따른 인테리어 감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simply and quickly by combining the seat module and the backrest module constituting the chair, unlike the prior art, by using an assembled module, and the existing bolts are expo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interior fee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등받이 모듈과 안착 모듈 및 돌출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공간에 조립형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서 등받이 모듈이 안착 모듈에 결합되는 모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조립형 모듈을 이루는 탄성부, 밀폐부 관통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밀폐부의 리브 및 마감홈 및 관통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탄성부의 삽입홈, 결합부분, 테두리부분 및 인입부분을 나타낸 하부 측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탄성부의 제2 마감홀을 포함한 측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테두리 부분과 결합부분의 반지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밀폐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테두리부분과 밀폐부의 반지름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rest module, a seating module, and a protrusion in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module is coupled to the seating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module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elastic part and the sealing part penetrating member constituting the assembly-type module in the assembly-type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ib and a closing groove and a through groove of the sealing part in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ide showing an insertion groove, a coupling part, a rim part, and an inlet part of the elastic part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including a second closing hole of an elastic part in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radius of the rim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radius of the rim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is inserted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ing 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proper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등받이 모듈과 안착 모듈 및 돌출부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공간에 조립형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서 등받이 모듈이 안착 모듈에 결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ackrest module and a seating module in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trus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module is coupled to the seating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typ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 the assembly-type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은 등받이 모듈(100)과 안착 모듈(200)이 각각 모듈 형태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주요 기술로 하며, 등받이 모듈(100)과 안착 모듈(200)을 결합시키기 위해 조립형 모듈(300)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technology is that the backrest module 100 and the seating module 200 are provided and coupled in the form of a module, respectively, and assembled to combine the backrest module 100 and the seating module 200 It can be fixed with the module 300 .

먼저 등받이 모듈(100)은 사용자 등을 지지하는 등판을 포함하고, 상기 등판 양측에는 하부를 향해 길게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backrest module 100 may include a back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 and protrusions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to elongate downward.

돌출부(120)는 길게 형성되고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long and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이는 조립형 모듈(300)의 일부에 걸림되어 등받이 모듈(100)이 안착 모듈(200)에 삽입된 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backrest module 10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caught in a part of the assembled module 30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eating module 200 .

또한 돌출부(120)와 상기 등판 사이에는 다수의 윙부재(122)가 형성되고 윙부재(122)는 돌출부(120)와 함께 안착 모듈(200)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ing members 122 ar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120 and the back plate, and the wing members 122 may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module 200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120 .

윙부재(122)는 다수의 원판이 적층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등판에서 공간(220)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ng member 122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s are stacked, and may be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diameter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 plate is inserted into the space 220 .

또한 윙부재(122)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금속 재질을 가지고 있어서, 공간(220)에 삽입될 때 소정의 탄성 변형이 되면서 삽입되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wing member 122 is made of a plastic or synthetic metal material, so that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220 , it is insert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따라서 윙부재(122)는 공간(220)에 등받이 모듈(100)이 삽입되어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ng member 122 can prevent the backrest module 10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220 and separated again.

공간(220) 삽입되는 순서는 돌출부(120) 다음에 윙부재(122)의 순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space 220 may be inserted in the order of insertion of the wing member 122 after the protrusion 120 .

한편 안착 모듈(200)은 좌판(240)과 프레임(260)을 포함하며, 프레임(260)은 좌판(240)을 지지하고 다수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길게 형성된 프레임(260) 내부에는 공간(220)이 형성되어있어서 공간(220)으로 돌출부(120) 및 윙부재(122)가 삽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ting module 200 includes a seat plate 240 and a frame 260, and the frame 260 supports the seat plate 240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legs, some of which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Since a space 220 is formed inside the elongated frame 260 , the protrusion 120 and the wing member 122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220 .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26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뿐, 사각기둥을 포함한 다각기둥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frame 260 is shown t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prism including a square prism.

또한 프레임(260)의 형상이 변경되는 변형예에 따라 조립형 모듈(300)의 형상 또한 프레임(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경됨이 마땅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the frame 260 is changed, the shape of the assembled module 300 should also be changed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260 .

한편, 조립형 모듈(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간(220)에 고정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ed module 300 may be fixed in the space 2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조립형 모듈(300)은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ssembled module 30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space and weld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조립형 모듈은 돌출부(120)가 삽입되어 등받이 모듈(100)이 안착 모듈(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하는 구성으로써, 돌출부(120)의 길이에 따라 조립형 모듈(300)이 공간(220)상에 배치되는 위치는 달라지게 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module is a fixed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backrest module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ing module 200 by inserting the protrusion 120 , and the assembled module 300 is spac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0 . A location disposed on 220 may be changed.

조립형 모듈(300)을 고정하는 수단은 용접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작업자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형 모듈(300)을 위치시키기 위해, 프레임(260) 내측 일부에는 리미트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means for fixing the assembled module 300 may be welding, and in order for various workers to position the assembled module 300 in an accurate position, a limit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part of the frame 260 . can

상기 리미트 돌기는 프레임(260) 내측 둘레에서 프레임(260) 중심을 향해 소정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조립형 모듈(300)이 모듈이 삽입되어 상기 리미트 돌기에 의해 더이상 프레임(260) 하부로 내려가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The limit protrusion has a predetermined protruding shape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260 toward the center of the frame 260, and the assembled module 30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and no longer goes down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260 by the limit protrusion. location can be restricted so that

계속해서 조립형 모듈(300)이 공간(220)에 삽입된 후,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삽입되게 할 수 있다.After the assembly-type module 300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space 220, when the protrusion 120 is inserted, it can be inserted in a pressurized manner using a hydraulic cylinder.

위와 같은 이유는, 윙부재(122)가 공간(22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삽입되는데, 삽입된 후 사고 방지를 위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는 빠른 조립공정으로 시간적인 효율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e above is that the wing member 122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220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inserted to prevent accidents, which can have time-efficiency with a fast assembly process. because there is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등판은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완만한 각도로 벤딩(BENDING)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면을 관통하는 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back plate may be formed to be bent at a gentle ang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back, and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both surfaces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홀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각 홀의 직경이 점차 감소된 크기의 홀이 배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hole, a hole having a size in which the diameter of each hole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edge may be disposed.

이는 등판이 사용자가 등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등의 열이 배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is can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ack plate minimizes the area in which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nd heat from the user is discharg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등판은 다수의 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지만, 메쉬(MESH)형 등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ck plate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but may include a mesh (MESH) type back plate.

한편 좌판(240)은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 사용자 무릎 뒤와 인접한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240 , a portion adjacent to the back of the user's knee may have a bent shape.

이는 판넬(PANNEL)형상의 좌판(240)에서 무릎과 인접한 일측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이 접히는 형상에 대응하여 편안하게 사용자를 지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is prevents being punctur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knee in the panel-shaped seat plate 240 , and can have the effect of comfortably supporting the user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knee being folded.

다음 조립형 모듈(300)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Next, we will look at the assembled module 300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조립형 모듈을 이루는 탄성부, 밀폐부 관통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밀폐부의 리브 및 마감홈 및 관통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탄성부의 삽입홈, 결합부분, 테두리부분 및 인입부분을 나타낸 하부 측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탄성부의 제2 마감홀을 포함한 측면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테두리 부분과 결합부분의 반지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에서 밀폐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테두리부분과 밀폐부의 반지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in which an elastic part and a sealing part penetrating member constituting an assembly-type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assembly-type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b and the finishing groove and the through groove of the sealing part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nd FIG. 6 is the insertion groove of the elastic part, the coupling part, and the rim in the assembled chair with the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ide showing the part and the inlet part,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including the second closing hole of the elastic part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radius of the rim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art is inserted in the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radius of the rim part and the sealing part.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형 모듈(300)은 탄성부(320), 밀폐부(340) 및 관통부재(36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assembled module 300 includes an elastic part 320 , a sealing part 340 , and a penetrating member 360 .

조립형 모듈(300)은 조립식 가구에서 돌출부(120)가 공간(220)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조립형 모듈(300)로서, 탄성부(320)는 중심에 돌출부(120)가 관통되는 돌출부삽입홀(328)이 형성되며 돌출부(120)와 함께 공간(220)에 삽입되어 밀폐하고, 밀폐부(340)는 내부에 탄성부(320)가 결합되는 안착공간(미도시)가 형성되어 탄성부(320)를 수용하고, 돌출부(120)가 관통된 형태로 탄성부(320)와 함께 공간(220)에 삽입되고, 일부에는 탄성부(320)를 관통한 돌출부(12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module 300 is a prefabricated module 300 in which the protrusion 12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pace 220 in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 hole 328 is formed and is inserted and sealed into the space 220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120, and the sealing part 340 is formed with a seating space (not shown) to which the elastic part 320 is coupled therein to form an elastic part. Accommodating the 320 , the protrusion 1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220 together with the elastic part 320 in a penetrating form, and partly wraps around the perimeter of the protrusion 120 penetrating the elastic part 320 . Ribs may be formed.

탄성부(320)는 공간(22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부의 직경이 또 다른 일부의 직경과 다르게 형성되는데, 일측은 밀폐부(340)와 결합되는 결합부분(322)이고, 또 다른 일부는 밀폐부(340)가 안착되어 밀폐부(340)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며, 밀폐부(340)가 결합부분(322)에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테두리부분(3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32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different from that of another par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220 , and one side is a coupling part 322 coupled to the sealing part 340 , and another part is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sealing part 340 on which the sealing part 340 is seated, and may include an edge portion 323 limiting a position at which the sealing part 3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322 .

그리고 밀폐부(340)와 탄성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부(340) 및 탄성부(320)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elastic part 320 are coupled,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360 penetra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elastic part 320 may be further included.

관통부재(3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밀폐부(340)와 탄성부(320)를 함께 관통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돌출부(120)와 접촉되지 않고 탄성부(320)의 내측면과 동일 내측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스터드볼트(STUD Bolt)일 수 있다.The penetrating member 36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d passes through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elastic part 320 together. It may be a stud bolt (STUD Bolt) so that the side can be formed.

관통부재(360)는 밀폐부(340)와 탄성부(320)를 관통할 수 있다면 스터드볼트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f the penetrating member 360 can penetrate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elastic part 320, it is not limited to a stud bolt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embodiments, and thu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라 밀폐부(340)의 측면에서 외부와 상기 안착공간이 연통되는 관통홀(34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344)은 밀폐부(340)의 중심을 지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hrough hole 344 through which the outside and the seating sp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aling part 340 , and the through holes 344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ling part 340 to each other. A pair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그리고 탄성부(320)는 관통홀(344)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홀(32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astic part 320 , an insertion hole 3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344 .

한편 밀폐부(340)는 결합부분(322)에 삽입되는 일측과 대향된 타측에 다수의 리브(342)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portion 34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ribs 342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322 .

리브(342)는 밀폐부(340)를 관통한 돌출부(1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밀폐부(340)의 중심을 향해 테이퍼진 형태로 벤딩되어 돌출부(120)의 둘레와 접촉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rib 342 i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protrusion 120 passing through the sealing part 340 and is bent in a tapered form toward the center of the sealing part 340 to mak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120 . can be provided.

그리고 다수의 리브(342)는 서로간의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이격공(3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공(348)은 두개의 리브(342)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ibs 342 may have a spacer hole 348 formed thereto to have a space therebetween, and the spaced hole 348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ribs 342 .

또한 리브(342)는 밀폐부(340)의 중심을 향해 벤딩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120)가 삽입된 경우, 돌출부(120)가 쉽게 추출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rib 342 is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sealing part 340 , when the protrusion 120 is inserted, the protrusion 120 has the effect of limiting so that it is not easily extracted.

그리고 밀폐부(340)와 리브(342) 사이는 소정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밀폐부 테이퍼진 부분(346)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apered sealing portion 346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340 and the rib 342 to have a predetermined taper.

다음 탄성부(320)는 결합부분(322) 하부가 중심을 향해 테이퍼지게 가공된 가공부분(32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Next, the elastic part 320 is formed with a processing part 326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322 is taper toward the center,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가공부분(326)은 탄성부(320)부 제작시 모따기되어 모서리 부분을 제거하여 소정 각도로 탄성부(320) 내측을 향해 사선으로 깍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cessing part 326 may be chamfered when the elastic part 320 part is manufactured, and may be formed to be cut diagonally toward the inside of the elastic part 320 at a predetermined angle by removing the corner part.

따라서 가공부분(326)은 밀폐부 테이퍼진 부분(34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밀폐부(340)에 탄성부(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며, 밀폐부(340)와 탄성부(320)가 서로 유격없이 일체감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돌출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림없이 지지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processing part 32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part 346 of the sealing part,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elastic part 320 mainta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sense of unity without any play, so that the protrusion 120 can be supported without shaking in the coupled stat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320)는 테두리부분(323)과 결합부분(322)을 포함한다. 탄성부(320)가 공간(22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결합부분(322)이, 타측에는 테두리부분(323)이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part 320 includes an edge part 323 and a coupling part 322 . A coupling portion 322 is formed on one sid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320 is inserted into the space 220 , and an edge portion 32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분(322)의 반지름과 테두리부분(323)의 반지름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결합부분(322)의 반지름이 테두리부분(323)의 반지름보다 소정 작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radius of the coupling portion 322 and the radius of the edge portion 323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adius of the coupling portion 32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edge portion 323. .

도 9에는 결합부분(322)에 밀폐부(340)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인데, 밀폐부(34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테두리부분(323)와 밀폐부(340)의 반지름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밀폐부(340)와 탄성부(320)가 결합되면 일체감을 갖게되는 효과가 있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art 340 is seated on the coupling part 322.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art 340 is seated, the radius of the edge part 323 and the sealing part 340 is the same. Thus, when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elastic part 320 are combined,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a sense of unity.

상기와 같이 조립형 모듈(300)은 밀폐부(340)에 탄성부(320)가 안착되어 관통부재(360)가 관통홀(344) 및 삽입홀(324)을 관통하여 일체의 모듈 형태로 공간(220)에 고정되고, 등받이 모듈(100)이 안착 모듈(200)에 결합될 때 돌출부(120)가 공간(220)상에 조립형 모듈(300)에 결합되면서 등받이 모듈(100)과 안착 모듈(200)이 조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ssembled module 300, the elastic part 320 is seated on the sealing part 340, and the penetrating member 36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344 and the insertion hole 324 to form a space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odule. It is fixed to 220 , and when the backrest module 100 is coupled to the seating module 200 , the protrusion 120 is coupled to the assembled module 300 in the space 220 , and the backrest module 100 and the seating module 200 may be assembled.

본 실시예에서 조립형 모듈(300)이 의자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도면에 일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는 4레그형 프레임이 아니더라도, 등판을 파이프에 결속하는 구조라면 적용이 가능할 것이고, 침대나 서랍장 등의 프레임이 형성된 가구에서는 널리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ed module 3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a chair, but even if it is not a four-legged frame shown in the drawings as an embodiment, it will be applicable if it is a structure that binds the back plate to a pipe, a bed or a chest of drawers It will be widely used in furniture where the frame of the back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를 조립하는 방법은 도 10과 같을 수 있다.A method of assembling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shown in FIG. 1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조립형 모듈(300)을 준비하도록 탄성부(320)에 밀폐부(340)를 안착시키는 단계(S1), 탄성부(320)에 밀폐부(340)를 안착시키고 관통부재(360)를 삽입홀(324) 및 관통홀(344)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단계(S2), 프레임(260)에 조립형 모듈(300)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단계(S3) 및 등받이 모듈(100)의 돌출부(120)를 조립형 모듈(300)에 결합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step of seating the sealing part 340 on the elastic part 320 to prepare the assembled module 300 (S1), seating the sealing part 340 on the elastic part 320 and inserting the penetrating member 360 A step (S2) of penetrating the hole 324 and the through hole 344 and fixing (S2), a step of welding and coupling the assembled module 300 to the frame 260 (S3), and the protrusion 120 of the backrest module 100 ) may include a step (S4) of coupling to the assembled module (3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fac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조립형 의자
100: 등받이 모듈
120: 돌출부
122: 윙부재
200: 안착 모듈
220: 공간
240: 좌판
260: 프레임
300: 조립형 모듈
320: 탄성부
322: 결합부분
323: 테두리부분
324: 삽입홀
326: 가공부분
340: 밀폐부
342: 리브
344: 관통홀
348: 이격공
360: 관통부재
10: Buildable chair
100: backrest module
120: protrusion
122: wing member
200: seating module
220: space
240: seat plate
260: frame
300: assembled module
320: elastic part
322: coupling part
323: border part
324: insertion hole
326: processing part
340: sealing part
342: rib
344: through hole
348: Striker
360: penetrating member

Claims (12)

조립식 가구에서 돌출부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조립형 모듈로서,
중심에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며,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탄성부;
내부에 상기 탄성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돌출부가 관통된 형태로 상기 탄성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고, 일부에는 상기 탄성부를 관통한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리브가 형성된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되, 외력에 의해 삽입되면서 소정 팽창하여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탄성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은 상기 밀폐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분에 상기 밀폐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의 직경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테두리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
A prefabricated module that allows a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a space and fixed in a prefabricated furniture, comprising:
an elastic part having the protrus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and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to seal the space;
As the elastic part is coupled to the inside,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elastic part in a penetrating form, and a portion includes a sealing part having a rib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otrusion penetrating the elastic part,
The elastic part,
It is coupled with the seal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expands by a predetermined amount while being inserted by an external force to seal the space,
The elastic part,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al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dge portion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seal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is seated on the coupling portion,
Assembled modu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과 상기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에 상기 밀폐부가 고정되게 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insertion hol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lastic part,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sealing part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the sealing part to fix the sealing part to the elastic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ssembled modu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내부에 상기 결합부분에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부에는 탄성부를 관통한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A seating space to be seated on the coupling part is formed therein, and a rib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rotrusion penetrating the elastic part is formed in part,
Assembled modules.
사용자가 등을 지지하는 등판을 포함하고, 상기 등판 양측에는 하부를 향해 길게 돌출부가 형성되는 등받이 모듈;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 모듈;
제1항 또는 제5항의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형 모듈은 상기 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 모듈이 삽입된 경우, 상기 돌출부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형 의자.
a backrest module including a back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wherein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to elongate downward;
a seating module comprising a seat plate on which the user can be seated and a frame supporting the seat plate, wherein a portion of the frame has a spac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t comprises the assembly-type module of claim 1 or 5,
The assembly type module is disposed in th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ackrest module is inserted, binding the protrusion,
A buildable chair comprising a buildable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모듈은,
상기 등판에서 상기 안착 모듈로 연장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이 밀폐되게 형성된 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형 의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ackrest module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ck plate to the s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ng member formed to seal the space,
A buildable chair comprising a buildable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재는,
다수의 원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형 의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sks are provided in a stacked shape,
A buildable chair comprising a buildable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은,
관통된 홀이 다수 형성되며,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상기 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형 의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limb i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s are arranged with a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 buildable chair comprising a buildable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 무릎 뒤와 인접한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듈을 포함하는 조립형 의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at plate is
When the user si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adjacent to the back of the knee has a bent shape,
A buildable chair comprising a buildable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96889A 2021-07-23 2021-07-23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KR102388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889A KR102388073B1 (en) 2021-07-23 2021-07-23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889A KR102388073B1 (en) 2021-07-23 2021-07-23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073B1 true KR102388073B1 (en) 2022-04-19

Family

ID=8139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889A KR102388073B1 (en) 2021-07-23 2021-07-23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0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82Y1 (en) * 2001-06-04 2001-10-29 박혁구 Ventilative chairs
KR200266011Y1 (en) * 2001-12-08 2002-02-25 김용택 device for setting back board of iron frame chair
KR101560214B1 (en) * 2014-06-09 2015-10-27 (주) 파트라 Frame chair in which an assembility is improv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82Y1 (en) * 2001-06-04 2001-10-29 박혁구 Ventilative chairs
KR200266011Y1 (en) * 2001-12-08 2002-02-25 김용택 device for setting back board of iron frame chair
KR101560214B1 (en) * 2014-06-09 2015-10-27 (주) 파트라 Frame chair in which an assembility is improv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339B2 (en) Bracket furniture components
US3835354A (en) Furniture and room partition components
JP3161735B2 (en) Furniture with tubular underframe
US3511536A (en) Bench
WO2020092108A1 (en) Quick assembly table
KR102388073B1 (en) Assembled chair with improved assembly
US10251485B2 (en) Seating furniture
US5727849A (en) Modular chair
KR102187180B1 (en) Separation prevention assembly module and chair including it
JP3227232U (en) Prefabricated metal shelves
US4113312A (en) Bench
US9480337B2 (en) Disassemblable rocking chair with concealed connections
KR100271081B1 (en) 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102362402B1 (en) Module type sofa assembly
KR200427977Y1 (en) Portable folding chair
JP2006081565A (en) Link part structure of processed bamboo and load support structural body using processed bamboo
KR102100622B1 (en) Fasteners for assembling a chair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KR101102882B1 (en) Steel frame bed
KR200299718Y1 (en) Assembly Structure for Frame of Furniture
KR101071579B1 (en) The folding chair which has the variable frame
KR100766636B1 (en) Joint stool
KR20200107442A (en) Chair
US20220192385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with shared support and method therefor
KR102525804B1 (en) System furniture and how to install system furniture
KR200393659Y1 (en) armrest connection structure of fabricated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