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771B1 -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771B1
KR102387771B1 KR1020210105006A KR20210105006A KR102387771B1 KR 102387771 B1 KR102387771 B1 KR 102387771B1 KR 1020210105006 A KR1020210105006 A KR 1020210105006A KR 20210105006 A KR20210105006 A KR 20210105006A KR 102387771 B1 KR102387771 B1 KR 10238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hydrogels
static mixer
different colors
mar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임준
이동휘
박경호
엄지수
Original Assignee
(주)진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코스텍 filed Critical (주)진코스텍
Priority to KR102021010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색상패턴 및 무늬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미용효과가 부착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일정한 무늬를 가지도록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 각각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조용 탱크와, 제조용 탱크 각각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공급받아서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지그와, 분리공급부로 공급된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혼합하여 불규칙한 색상패턴을 이루는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스테틱 믹서 및 마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Apparatus of manufacturing irregular color pattern hydrogel using static mixer}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미용효과가 불규칙한 색상패턴으로 표현되도록 스테틱 믹서를 활용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은 유기고분자의 가교결합으로 이루어진 망상구조체의 공공(vacancy)에 물이 점유되는 물질로써, 그 용도에 따라 20~80%의 함수율을 가진다. 하이도로겔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연성물질로써, 의약, 화장품,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 하이드로겔은 유효성분이 포함된 이수액을 피부로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얼굴 전체를 덮는 마스크팩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눈가, 입가 등의 얼굴의 일부를 세밀하게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미용패치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부착되는 부위에 따라, 이수액의 유효성분에 따른 미용효과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는 다중색상 미용패치가 제시되고 있다. 다중색상 미용패치는, 단색의 미용패치에 비하여 다양한 미용효과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여, 심미감을 주고 미용효과가 쉽게 파악되어 수요욕구를 증대시킨다.
다중색상 미용패치에서, 가이드 혹은 차단막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색상의 겔이 섞이지 않도록 성형하는 국내등록특허 제10-1939732호, 홈과 돌기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부여하는 국내등록특허 제10-2196772호 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들은 미용패치의 색상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색상패턴, 무늬 등을 다양하게 변형하기 어렵다. 한편, 미용패치의 미용효과는 부착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하는데, 상기 특허들에서의 단순한 색상패턴으로는 균일한 분산이 어렵다. 또한, 각각의 미용패치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동일한 미용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일정한 무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상패턴 및 무늬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미용효과가 부착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일정한 무늬를 가지도록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의 하나의 사례는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 각각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조용 탱크와, 상기 제조용 탱크 각각으로부터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공급받아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지그와, 상기 분리공급부로 공급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혼합하여 불규칙한 색상패턴을 이루는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스테틱 믹서 및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분리지그는 제1 직경(D1)의 제1 통로 및 제2 직경(D2)의 제2 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직경(D1, D2)는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차지하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의 함량을 조절할수 있다. 상기 제조용 탱크 및 상기 분리지그 사이에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용 탱크는 압력을 가하기 위한 기체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틱 믹서는 나선형 또는 미로형 중의 하나이며,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점진적으로 혼합된다. 상기 스테틱 믹서에 의해 혼합되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은 최종적으로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한다.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은 짙음과 옅음의 조합, 다른 색깔의 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불규칙한 패턴을 이루고, 상기 짙음, 옅음 또는 다른 색깔 각각은 이수액에서의 유효성분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분리지그 및 상기 스테틱 믹서 사이에는 마블 하이드로겔의 전단계인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모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펌프는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가 회전하여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점진적으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의 다른 사례는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 각각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조용 탱크와, 상기 제조용 탱크 각각으로부터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공급받아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공급부와, 상기 모노펌프를 거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혼합하여 불규칙한 색상패턴을 이루는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스테틱 믹서; 및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용 탱크는 지면에 대하여 가장 높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사례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급부 및 상기 스테틱 믹서 사이에는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의 전단계인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모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공급부는 분리용 탱크 및 분리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용 탱크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하부의 다른 영역에 적재되며, 상기 분리공급관은 상기 분리용 탱크로부터 유입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분리되어 상기 스태틱 펌프로 공급한다. 상기 제조용 탱크로부터 제조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은 고형물 이송펌프인 로브 펌프로 상기 분리공급부에 공급된다. 상기 분리공급부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의 응집을 해체하기 위한 응집해체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해체 임펠러는 상기 분리용 탱크의 저면에 대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응집해체 임펠러는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차지하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에 의하면, 모노펌프(mono pump)를 활용함으로써, 색상패턴 및 무늬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미용효과가 부착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일정한 무늬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종래의 하이드로겔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1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테틱 믹서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2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3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4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5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3 모노펌프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6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7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제8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제조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제조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테틱 믹서(static mixer)를 활용함으로써, 색상패턴 및 무늬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미용효과가 부착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일정한 무늬를 가지도록 하는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스테틱 믹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스테틱 믹서에 의하여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이 제조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무늬는 마치 마블 염색에 의한 염색무늬와 유사하다. 상기 마블 염색은 물에 안료 등을 떨어뜨려 퍼지게 하고, 종이나 천을 대어 무늬를 염색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을 마블(marble) 하이드로겔이라고도 한다. 하이드로겔은 유효성분이 포함된 이수액을 피부로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종래의 하이드로겔과 비교한 도면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a)는 본 발명의 마블 하이드로겔(MHG)로 이루어진 미용패치이고, (b)는 종래의 하이드로겔(PHG)로 이루어진 미용패치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미용패치로써, 불규칙 색상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MHG)은 A, B, C에서와 같이, 짙은 색상과 옅은 색상이 불명확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짙은 색상과 옅은 색상의 혼합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다양한 채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수액 유효성분에 따른 미용효과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며, 짙은 색상에서의 이수액 유효성분은 옅은 색상에서의 이수액 유효성분과는 차이가 있다. 상기 짙은 색상과 옅은 색상이 혼합되면, 혼합되는 정도에 따라 국부적으로 상기 유효성분은 혼합된 비율을 가진다.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짙고 옅은 색상이 혼합되기도 하지만, 다른 색깔, 예컨대 붉은 계통, 푸른 계통의 색깔이 혼합될 수 있다. 즉,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짙음과 옅음의 조합, 다른 색깔의 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불규칙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짙음, 옅음, 색깔을 통칭하여 색상이라고 한다.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색상이 불규칙 색상패턴을 가지므로, 색상패턴, 무늬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나의 사례를 보여준 것이며, 불규칙 색상패턴은 제한이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불규칙 색상패턴은 (a)와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a)는 하나의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불규칙 색상패턴은 마블 하이드로겔(MHG) 전체에 구현되므로, 상기 미용효과를 부착부위 전체에 균일하게 나타나게 한다. 이에 반해, 종래의 하이드로겔(PHG)은 (b)와 같이 D, E와 같이 규칙 색상패턴을 가지므로, 유효성분은 하이드로겔(PHG) 전체에 균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색상패턴, 무늬 등이 다양하게 변형되므로, 단순한 색상패턴인 종래의 하이드로겔(PHG)에 비하여, 심미감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모노펌프를 활용하여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혼합비율을 가진다. 여기서, 일정한 혼합비율이란 짙은 색상과 옅은 색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전체적으로 일정한 비율을 가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이용한 각각의 미용패치는 이수액의 유효성분에 의한 미용효과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1 제조장치(1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제1 제조장치(100)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제조하는 제조용 탱크(10) 및 제2 하이드로겔(G2)을 제조하는 제조용 탱크(12)를 포함한다. 제1 하이드로겔(G1)은 제1 밸브(11)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되고, 제2 하이드로겔(G2)은 제2 밸브(13)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된다. 제조용 탱크(10, 12) 내부는 하이드로겔(G1, G2)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공정조건을 갖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G1, G2)을 제1 분리지그(20)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용 탱크(10, 12)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분리지그(20)는 제1 하이드로겔(G1)이 유동하는 제1 통로(21), 제2 하이드로겔(G2)이 유동하는 제2 통로(22)를 구비한다. 제1 통로(21)는 제1 직경(D1)을 가지고, 제2 통로(22)는 제2 직경(D2)을 가진다. 제1 직경(D1)이 제2 직경(D2)보다 크면, 제1 분리지그(20)에 유입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제2 하이드로겔(G2)보다 많다. 제1 직경(D1)이 제2 직경(D2)보다 작으면, 제1 분리지그(20)에 유입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제2 하이드로겔(G2)보다 작다. 제1 분리지그(20)를 활용하면,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차지하는 하이드로겔(G1, G2)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유량제어부(30)는 유압 또는 공기압 회로에서 유압에 조리개를 설치하여 하이드로겔(G1, G2)의 통과량을 규제하고, 액츄에이터의 운동속도를 제어하는 밸브를 말한다. 유량제어부(30)는 사용목적에 따라, 조리개 밸브, 스로리턴 밸브, 유량조정 밸브, 바이피스형 유량조정 밸브, 분류 밸브 등이 있다. 상기 조리개 밸브, 스로리턴 밸브 이외의 다른 밸브들은 일반적으로 압력보상 기능을 가지고 있고, 배압이나 부하에 의해 생긴 압력변화에도 불구하고 유량을 설정된 값으로 유지한다.
스테틱 믹서(40)는 유체를 혼합하는 장치로써, 회전부나 특별한 동력 없이 관내를 통과하여 연속적이고 균일하게 혼합시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형성한다. 스테틱 믹서(40)는 다른 방식의 믹서에 비해 교반기, 모터, 기어박스, 회전축과 같은 구동계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효율적인 혼합구조만 갖는다면 유체의 흐름만으로 얼마든지 혼합이 가능하며, 사용에 따른 전력 소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토출부(50)는 토출관(51), 토출가이드(52) 및 유량센서(53)를 포함한다. 토출관(51)은 스테틱 믹서(40)에 의해 혼합된 마블 하이드로겔(MHG)이 토출되는 관이며, 토출가이드(52)는 마블 하이드로겔(MHG)이 한쌍의 롤러(RL) 사이를 통과하도록 유도한다. 유량센서(53)는 유량제어부(30)로부터 토출되는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토출가이드(52)에서의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량을 측정한다. 유량센서(53)는 측정된 값을 유량제어부(30)에 전송하면, 유량제어부(30)는 상기 토출량을 조절한다. 마블 하이드로겔(MHG)이 롤러(RL) 사이를 통과하면, 시트(sheet) 형태의 마블 하이도로겔(MHG)이 된다. 시트 형태의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칼선 등으로 성형하면, 미용패치가 완성된다.
도 3은 도 2의 스테틱 믹서(40)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제1 제조장치는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스테틱 믹서(40)는 나선형(41) 및 미로형(42)으로 구분되며, 나선형(41)의 사례는 나선구조물(41a) 및 하우징(41b)을 포함하고, 미로형(42)의 사례는 격자구조물(42a) 및 하우징(42b)을 포함한다. 제1 분리지그(20)로부터 유입된 하이드로겔(G1, G2)의 유동은 분할, 반전 및 전환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일어난다. 하이드로겔(G1, G2)은 나선 또는 격자의 구조 및 개수에 따라 분할되고, 하이드로겔(G1, G2)은 교번되어 이루어진 나선 및 격자에 의해 반전되며, 하이드로겔(G1, G2)은 벽면과 중심부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테틱 믹서(40)로 유입된 하이드로겔(G1, G2)의 점진적인 혼합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혼합의 초기(a)에는 하이드로겔(G1, G2)의 혼합이 적게 이루어지지만, 중기(b, c)에는 혼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다. 혼합의 말기(d)인 토출측 근처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마블 하이드로겔(MHG)과 같이 혼합된다.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색상패턴, 무늬는 스테틱 믹서(40)의 길이, 나선 및 격자 구조물(41a, 42a)의 형상 등을 조절하여 설계된다. 예컨대, 스테틱 믹서(40)의 길이, 나선 및 격자물(41a, 42a)의 개수가 적은 경우와 상기 길이와 개수가 많은 경우에서의 혼합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색상패턴, 무늬가 달라진다. 즉, 스테틱 믹서(40)는 본 발명의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2 제조장치(2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제2 제조장치(200)는 제조용 탱크(60, 62)를 적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제조장치(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2 제조장치(200)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63)이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제조용 탱크(60, 62)를 포함한다. 제조용 탱크(60)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제조하고, 제조용 탱크(62)는 제2 하이드로겔(G2)을 제조한다. 제조용 탱크(60, 62) 내부는 하이드로겔(G1, G2)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공정조건을 갖출 수 있다. 제1 하이드로겔(G1)은 제1 밸브(11)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되고, 제2 하이드로겔(G2)은 제2 밸브(13)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G1, G2)을 제1 분리지그(20)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용 탱크(60, 62)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지 위하여, 제조용 탱크(60, 62)의 상부에는 공기 또는 불활성기체를 불어넣는 기체 블로워(61)가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3 제조장치(3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제3 제조장치(300)는 모노펌프(70)를 적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제조장치(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제3 제조장치(300)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제조하는 제조용 탱크(10)와 연결되는 제1 모노펌프(70a) 및 제2 하이드로겔(G2)을 제조하는 제조용 탱크(12)와 연결되는 제2 모노펌프(70b)를 포함한다. 제1 모노펌프(70a)를 거친 제1 하이드로겔(G1)은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되고, 제2 모노펌프(70b)를 거친 제2 하이드로겔(G2)는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된다. 모노펌프(70)는 구동모터(71), 겔흡입구(72) 및 이송부(7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71)는 이송부(73)에 회전력을 부여하며, 겔흡입구(72)는 제조용 탱크(10, 12)로부터 유입되는 하이드로겔(G1, G2)가 흡입된다. 모노펌프(70)는 용적펌프의 일종으로 정량의 하이드로겔(G1, G2)을 토출하는 펌프로써, 왕복펌프, 회전펌프가 있으며, 로터의 회전량과 토출량이 정확하게 일치한다. 모노펌프(70)는 같은 회전각도에 대하여 일정한 용적을 이동시키므로 맥동이 없어 로터의 회전량과 토출량을 정밀하게 일치시켜서 정량토출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4 제조장치(4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제4 제조장치(400)는 제조용 탱크(60, 62)를 적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3 제조장치(3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제4 제조장치(400)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63)이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제조용 탱크(60, 62)를 포함한다. 제조용 탱크(60)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제조하고, 제조용 탱크(62)는 제2 하이드로겔(G2)을 제조한다. 제조용 탱크(60, 62) 내부는 하이드로겔(G1, G2)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공정조건을 갖출 수 있다. 제1 하이드로겔(G1)은 제1 밸브(11)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되고, 제2 하이드로겔(G2)은 제2 밸브(13)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G1, G2)을 제1 분리지그(20)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용 탱크(60, 62)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지 위하여, 제조용 탱크(60, 62)의 상부에는 공기 또는 불활성기체를 불어넣는 기체 블로워(61)가 장착된다.
한편, 제3 및 제4 제조장치(300, 400)는 제1 모노펌프(70a) 또는 제2 모노펌프(70b) 중의 적어도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및 제2 모노펌프(70a, 70b)는 하이드로겔(G1, G2)을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제1 및 제2 하이드로겔(G1, G2)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제1 및 제2 모노펌프(70a, 70b) 대신에 이송펌프(도 10의 14)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모노펌프(70a, 70b) 및 이송펌프(14)를 통칭하여 이송수단이라고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5 제조장치(5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제5 제조장치(500)는 모노펌프(70) 및 제2 분리지그(25)를 적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제조장치(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의하면, 제5 제조장치(500)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제조하는 제조용 탱크(10)와 연결되는 제1 모노펌프(70a)를 포함한다. 제3 모노펌프(70c)에는 제조용 탱크(12)에서 제조된 제2 하이드로겔(G2)이 제2 분리지그(25)에서 혼합된 혼합 하이드로겔(G1, G2)이 흡입된다. 제3 모노펌프(70c)는 제1 모노펌프(70a)의 이송부(73)가 개념적으로 혼합부(74)로 대체된다. 제1 하이드로겔(G1)은 제1 밸브(11)를 거쳐 제1 모노펌프(70a)에 공급되고, 제2 하이드로겔(G2)은 제2 밸브(13)를 거쳐 제2 분리지그(25)에 공급된다. 제조용 탱크(10, 12) 내부는 하이드로겔(G1, G2)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공정조건을 갖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G1, G2)을 제1 모노펌프(70a) 및 제2 분리지그(25)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용 탱크(10, 12)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분리지그(25)는 제1 하이드로겔(G1)이 유동하는 제3 통로(26), 제2 하이드로겔(G2)이 유동하는 제4 통로(27)를 구비한다. 제3 통로(26)는 제3 직경(D3)을 가지고, 제4 통로(27)는 제4 직경(D4)을 가진다. 제3 직경(D3)이 제4 직경(D4)보다 크면, 제3 모노펌프(70c)에 유입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제2 하이드로겔(G2)보다 많다. 제3 직경(D3)이 제4 직경(D4)보다 작으면, 제3 모노펌프(70c)에 유입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제2 하이드로겔(G2)보다 작다. 제2 분리지그(25)를 활용하면,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차지하는 하이드로겔(G1, G2)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5 제조장치(500)는 제1 모노펌프(70a)가 없이 제3 모노펌프(70c)만 존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모노펌프(70a)는 하이드로겔(G1, G2)을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제1 하이드로겔(G1)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제조용 탱크(10)는 제2 분리지그(25)에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모노펌프(70a) 대신에 이송펌프(도 10의 14)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노펌프(70a) 및 이송펌프(14)를 통칭하여 이송수단이라고 한다.
도 8은 도 7의 제3 모노펌프(70c)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제5 제조장치(500)는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에 의하면, 제3 모노펌프(70c)의 혼합부(74)는 로터(74a) 및 스테이터(74b)를 포함한다. 로터(74a)는 스크류 형상으로써 스테이터(74b) 내부에 장착되며, 로터(74a)는 구동모터(71)에 의해 회전한다. 로터(74a)를 편심축 중심에 맞춰서 회전시키면, 로터(74a)는 스테이터(74b) 내부를 회전하면서 왕복운동함으로써, 흡입력이 발생하여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하이드로겔(G1, G2)을 토출측으로 배출한다. 상기 편심축 중심에 맞추어 회전하는 로터(74a)는 통상적으로 유니버셜조인트로 구현되며, 이러한 과정은 이미 공지되어 있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터(74a)가 회전하면, 겔흡입구(32)로부터 유입된 하이드로겔(G1, G2)의 점진적인 혼합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혼합의 초기(a)에는 하이드로겔(G1, G2)의 혼합이 적게 이루어지지만, 중기(b)에는 혼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다. 혼합의 말기(c)인 토출측 근처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전단계인 하이드로겔로 혼합된다. 상기 전단계인 하이드로겔의 색상패턴, 무늬는 혼합부(74)의 길이, 로터(74a)의 형상, 로터(74a)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설계된다. 예컨대, 로터(74a)의 회전속도가 적고 혼합부(74)의 길이가 짧은 경우와 회전속도가 크고 혼합부(74)의 길이가 긴 경우에서의 혼합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전단계 하이드로겔의 색상패턴, 무늬가 달라진다. 즉, 제3 모노펌프(70c)는 본 발명의 전단계 하이드로겔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제3 모노펌프(70c) 및 스테틱 믹서(40)를 연동하여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모노펌프(70c) 및 스테틱 믹서(40) 각각에서의 혼합정도를 달리하여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모노펌프(70c) 및 스테틱 믹서(40)를 활용하여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색상패턴, 무늬를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6 제조장치(6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제6 제조장치(600)는 제조용 탱크(60, 62)를 적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5 제조장치(5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의하면, 제6 제조장치(600)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63)이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제조용 탱크(60, 62)를 포함한다. 제조용 탱크(60)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제조하고, 제조용 탱크(62)는 제2 하이드로겔(G2)을 제조한다. 제조용 탱크(60, 62) 내부는 하이드로겔(G1, G2)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공정조건을 갖출 수 있다. 제1 하이드로겔(G1)은 제1 밸브(11)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되고, 제2 하이드로겔(G2)은 제2 밸브(13)를 거쳐 제1 분리지그(20)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G1, G2)을 제1 분리지그(20)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제조용 탱크(60, 62) 내부에는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지 위하여, 제조용 탱크(60, 62)의 상부에는 공기 또는 불활성기체를 불어넣는 기체 블로워(61)가 장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7 제조장치(7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제7 제조장치(700)는 이송펌프(14, 15) 및 분리공급부(80)를 활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제조장치와 동일하다.
도 10에 의하면, 제7 제조장치(700)는 이송펌프(14, 15) 및 분리공급부(80)를 포함한다. 제1 이송펌프(14)는 제조용 탱크(10)에서 제조된 제1 하이드로겔(G1) 및 제2 이송펌프(15)는 제조용 탱크(12)에서 제조된 제2 하이드로겔(G2)을 분리공급부(80)로 이송한다. 이송펌프(14, 15)는 소정의 점성을 가진 유체인 하이드로겔(G1, G2)을 분리공급부(80)로 이송하기에 적합한 고형물 이송펌프가 활용된다. 고형물 이송펌프는 스퍼트(spurt) 펌프, 로브(Lobe) 펌프 등이 있다. 상기 고형물 이송펌프 중에서, 회전수에 비례하여 정량토출이 가능하고 연속적이며 맥동이 없이 운전하고, 고효율이면서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로브 펌프가 바람직하다. 상기 로브 펌프는 크게 기어펌프(gear pump)와 베인펌프(vane pump)로 나뉘며, 상기 기어펌프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보통 평기어, 로브기어 등이 사용되어, 흡입구 쪽 기어의 끝에 하이드로겔(G1, G2)이 흡입되고, 흡입된 하이드로겔(G1, G2)은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분리공급부(80)로 보내진다.
분리공급부(80)는 유입관(81, 82), 분리용 탱크(83), 응집해체 임펠러(84) 및 분리공급관(87)을 포함한다. 분리용 탱크(83)에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85)이 장착되어, 분리용 탱크(8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유입관(81)은 제1 이송펌프(14)에 의해 공급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을 분리용 탱크(83)로 유입시킨다. 제2 유입관(82)은 제2 이송펌프(15)에 의해 공급되는 제2 하이드로겔(G2)을 분리용 탱크(83)로 유입시킨다. 분리용 탱크(83)로 유입된 하이드로겔(G1, G2)은 분리용 탱크(83) 하부의 다른 영역에 적재된다. 응집해체 임펠러(84)는 회전을 하면서, 분리용 탱크(83)에 적재된 하이드로겔(G1, G2)의 응집을 해체한다. 하이드로겔(G1, G2)의 응집이 해체되어야, 하이드로겔(G1, G2)은 제3 밸브(86)를 통하여 분리공급관(87)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응집해체 임펠러(84)는 분리용 탱크(83)의 저면에 대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84)가 상대적으로 제1 하이드로겔(G1) 방향으로 많이 치우치면, 분리공급관(87)에는 제1 하이드로겔(G1)이 보다 많이 유입된다. 다시 말해, 분리공급관(87)에서 제1 하이드로겔(G1)이 차지하는 평균직경(D5)이 제2 하이드로겔(G2)가 차지하는 평균직경(D6)보다 커서,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크다. 반대로, 임펠러(84)가 상대적으로 제2 하이드로겔(G2) 방향으로 많이 치우치면, 분리공급관(87)에는 제2 하이드로겔(G2)이 보다 많이 유입된다. 다시 말해, 분리공급관(87)에서 제2 하이드로겔(G2)이 차지하는 평균직경(D6)이 제1 하이드로겔(G1)가 차지하는 평균직경(D5)보다 커서, 제2 하이드로겔(G2)의 함량이 크다. 응집해체 임펠러(84)를 활용하면,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차지하는 하이드로겔(G1, G2)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제7 제조장치(700)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은 제3 모노펌프(70c) 및 스테틱 믹서(40)를 연동하여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모노펌프(70c) 및 스테틱 믹서(40) 각각에서의 혼합정도를 달리하여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모노펌프(70c) 및 스테틱 믹서(40)를 활용하여 마블 하이드로겔(MHG)의 색상패턴, 무늬를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7 제조장치(700)는 제3 모노펌프(70c)와 스테틱 믹서(40)가 연동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경우에 따라, 제7 제조장치(700)는 제3 모노펌프(70c)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리공급관(87)을 거치는 하이드로겔(G1, G2)는 유량제어부(40)에 유입되어, 스테틱 믹서(40)를 거친다. 다시 말해, 제7 제조장치(700)는 제3 모노펌프(70c)와 스테틱 믹서(40)가 연동될 수도 있고, 상기 연동이 없이 스테틱 믹서(40)를 단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제조하는 제8 제조장치(8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이때, 제8 제조장치(80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3 분리지그(90)를 적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제조장치(5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의하면, 제8 제조장치(80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조용 탱크(10, 12)는 지면에 대하여 가장 높이 위치하여, 제1 및 제2 밸브(11, 13)을 개방하면 제1 및 제2 하이드로겔(G1, G2)는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한다. 제8 제조장치(800)는 제3 분리지그(90)를 포함하며, 제3 분리지그(90)의 유입구는 제조용 탱크(10, 12)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분리지그(90)는 제1 하이드로겔(G1)이 유동하는 제5 통로(91), 제2 하이드로겔(G2)이 유동하는 제6 통로(92)를 구비한다. 제5 통로(91)는 제7 직경(D7)을 가지고, 제6 통로(92)는 제8 직경(D8)을 가진다. 제7 직경(D7)이 제8 직경(D8)보다 크면, 제3 분리지그(90)에 유입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제2 하이드로겔(G2)보다 많다. 제7 직경(D7)이 제8 직경(D8)보다 작으면, 제3 분리지그(90)에 유입되는 제1 하이드로겔(G1)의 함량이 제2 하이드로겔(G2)보다 작다. 제3 분리지그(90)를 활용하면, 마블 하이드로겔(MHG)을 차지하는 하이드로겔(G1, G2)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장치(100~800)에 적용된 제1 내지 제3 밸브(11, 13, 86)는 기계식으로 표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식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량센서(53)는 토출가이드(52)에 장착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토출부(5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12, 60, 62; 제조용 탱크
11, 13, 86; 제1 내지 제3 밸브
14, 15; 이송용 펌프
20, 25, 90; 제1 내지 제3 분리지그
21, 22, 26, 27, 91, 92; 제1 내지 제6 통로
30; 유량제어부
40, 41, 42; 스테틱 믹서
50; 토출부 51; 토출관
52; 토출가이드 53; 유량센서
63, 85; 이송수단
70; 모노펌프
70a, 70b, 70c; 제1 내지 제3 모노펌프
72; 겔흡입구 73; 이송부
74; 혼합부 80; 분리공급부
81, 82; 유입관 83; 분리용 탱크
84; 응집해체 임펠러 87; 분리공급관

Claims (18)

  1.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 각각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조용 탱크;
    상기 제조용 탱크 각각으로부터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공급받아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지그;
    상기 분리지그로 공급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혼합하여 불규칙한 색상패턴을 이루는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스테틱 믹서; 및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지그는 제1 직경(D1)의 제1 통로 및 제2 직경(D2)의 제2 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직경(D1, D2)는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차지하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용 탱크 및 상기 분리지그 사이에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용 탱크는 압력을 가하기 위한 기체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틱 믹서는 나선형 또는 미로형 중의 하나이며,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점진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틱 믹서에 의해 혼합되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은 최종적으로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은 짙음과 옅음의 조합, 다른 색깔의 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불규칙한 패턴을 이루고, 상기 짙음, 옅음 또는 다른 색깔 각각은 이수액에서의 유효성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지그 및 상기 스테틱 믹서 사이에는 마블 하이드로겔의 전단계인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모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펌프는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가 회전하여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점진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용 탱크는 지면에 대하여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1.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 각각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조용 탱크;
    상기 제조용 탱크 각각으로부터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공급받아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공급부;
    상기 분리공급부를 거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을 혼합하여 불규칙한 색상패턴을 이루는 마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스테틱 믹서; 및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급부와 상기 스테틱 믹서 사이에는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의 전단계인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모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급부는 분리용 탱크 및 분리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용 탱크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하부의 다른 영역에 적재되며, 상기 분리공급관은 상기 분리용 탱크로부터 유입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이 분리되어 상기 스테틱 믹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용 탱크로부터 제조된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은 고형물 이송펌프인 로브 펌프로 상기 분리공급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급부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의 응집을 해체하기 위한 응집해체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해체 임펠러는 분리용 탱크의 저면에 대하여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해체 임펠러는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을 차지하는 상기 색상이 다른 하이드로겔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블 하이드로겔은 짙음과 옅음의 조합, 다른 색깔의 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불규칙한 패턴을 이루고, 상기 짙음, 옅음 또는 다른 색깔 각각은 이수액에서의 유효성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KR1020210105006A 2021-08-10 2021-08-10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KR10238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06A KR102387771B1 (ko) 2021-08-10 2021-08-10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06A KR102387771B1 (ko) 2021-08-10 2021-08-10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771B1 true KR102387771B1 (ko) 2022-04-18

Family

ID=8139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06A KR102387771B1 (ko) 2021-08-10 2021-08-10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7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825B1 (ko) * 1999-11-10 2002-06-07 조쳉 화학제의 정밀한 혼합, 이송 및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234280A (ja) * 2012-05-10 2013-11-21 Sekisui Plastics Co Ltd ハイドロゲルの製造方法
JP2016141654A (ja) * 2015-02-03 2016-08-08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の製造方法
KR20210096494A (ko) * 2020-01-28 2021-08-05 코스맥스아이큐어 주식회사 두 개 이상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825B1 (ko) * 1999-11-10 2002-06-07 조쳉 화학제의 정밀한 혼합, 이송 및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234280A (ja) * 2012-05-10 2013-11-21 Sekisui Plastics Co Ltd ハイドロゲルの製造方法
JP2016141654A (ja) * 2015-02-03 2016-08-08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の製造方法
KR20210096494A (ko) * 2020-01-28 2021-08-05 코스맥스아이큐어 주식회사 두 개 이상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의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278B1 (ko) 완성된 페인트 제품의 계량 공급 및 연속 균질화를 위한 분배 장치
US5156301A (en) Constant ratio post-mix beverage dispensing valve
AU700603B2 (en) Multidie positive displacement metering apparatus and process
CN102596426B (zh) 用于将两种不同的粘合剂从单个计量装置或施加器同时分配到同一基板上的计量系统
CA1225280A (en) Gear pump-liquid gas mixer with improved gas introduction
KR20070086500A (ko) 고체, 액체 또는 가스성 물질을 액상으로 분산하기 위한장치
BRPI0611832A2 (pt) sistema dispensador de adesivo lìquido
CN106414244A (zh) 共计量设备与方法
KR102387771B1 (ko) 스테틱 믹서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US20070224064A1 (en) Pump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IE922776A1 (en) A machine for the metered pouring of fluid products
US4264214A (en) Gear motor/mixer
EP1387151A2 (en) Nutating pump,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JP6203487B2 (ja) 一体型の流量指示器を有する計量歯車ポンプ
CN101025166A (zh) 旋转泵、带旋转泵的流体动力混合器及旋转泵的用途
CN113426318B (zh) 一种方舱医院用负压消毒混合处理装置
JPS6024318B2 (ja) 混合装置
KR102387762B1 (ko) 모노펌프를 활용한 불규칙 색상패턴의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KR101624874B1 (ko) 컬러 블록 제조 장치
CN109183594A (zh) 一种公路划线机
CA2311098C (en) Pumping system for the injection of measured quantities of fluid into a fluid stream
CN103221121B (zh) 带有用于同步化两个流体流的装置的筒式系统
US7404705B2 (en) Blending pump assembly
JP4062439B2 (ja) 石膏ボード製造工程における泥漿比重調整方法及び泡量制御方法
CN103541879B (zh) 一种多通道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