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389B1 -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389B1
KR102387389B1 KR1020210123241A KR20210123241A KR102387389B1 KR 102387389 B1 KR102387389 B1 KR 102387389B1 KR 1020210123241 A KR1020210123241 A KR 1020210123241A KR 20210123241 A KR20210123241 A KR 20210123241A KR 102387389 B1 KR102387389 B1 KR 10238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sensor module
heat sink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영
최수현
Original Assignee
아브라텍 주식회사
마이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브라텍 주식회사, 마이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아브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3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25B2700/1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using an emitter and receiver, e.g. sensing by emitting light or other radiation and receiving reflection by a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removing frost of a refrigerator, which, as a portion of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on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ccording to circulation of a refrigerant, comprises: an evaporator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lates spaced from each other; a defrost sensor module partially inserted and installed in one end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to detect thickness of frost formed 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frost sensor module to control whether a defrost mode of the evaporator is turned on and off; and a defrost unit defrosting the frost by control of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defrosting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을 위한 구성 요소 중 열 교환기인 증발기에 착상되는 성에의 두께를 감지하여 적절한 시점에 제상을 진행할 수 있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defrosting at an appropriate time by detecting the thickness of frost on an evaporator, which is a heat exchanger, among components for a refrigeration cycle.

냉동은 저온의 물체에서 열을 빼앗아 고온 물체로 배출시키는 조작이다. 이런 냉동은 제빙, 식품의 냉장, 냉방, 각 종 식품 공업이나 화학 공업 등에 응용되고 있다. 냉동, 냉장, 냉방 등을 위한 시스템은 열 교환의 원리를 이용하여 일정한 공간을 특정 온도로 설정한 후 이를 유지시키는 장치 등의 의미한다. 이런 장치들은 지속적인 가동을 필요로 하는 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또한, 설치 장소의 특성상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상태인 바, 시스템을 구성하는 증발기에서 성에가 쉽게 발생한다. 그리고, 성에는 냉동 등 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는 바,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제상 운전을 하게 된다.Refrigeration is the operation of taking heat from a low-temperature object and discharging it to a high-temperature object. Such freezing is applied to ice making, food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and various food and chemical industries. A system for refrigeration,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etc. refers to a device that sets a certain space to a specific temperature and then maintains it using the principle of heat exchange. These devices require constant operation and consume a lot of power.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is low and the humidity is high due to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site, frost easily occurs in the evaporator constituting the system. And, since frost is a major cause of lowering the efficiency of a system such as refrigeration, a defros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move it.

종래 제상 운전은 예를 들어, 일정 시간(ex. 4시간) 냉동 모드를 진행하면, 그 후 일정 시간(ex. 30분) 냉동 모드를 정지시킨 후 제상 모드를 진행하는 즉, 설정된 시간 주기로 히터를 가동하여 제상을 수행하는 제어였다. 그러나, 이는 성에의 유무에 상관없이 정해진 시간에 제상 운전이 가동되어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고, 제상 운전 과정에서 냉동 등 시스템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efrosting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freezing mode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ex. 4 hours), the defrosting mode is performed after stopping the freezing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ex. 30 minutes), that is, the heater is operated at a set time period. It was controlled to operate and perform defrost. However, this has problems in that the defrosting operation is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frost, increas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raising the temperature in the system such as refrigeration during the defrosting operation process.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에를 감지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카메라 영상을 통한 성에의 인식, 정전식 센서를 통해 성에를 감지하는 방식, 증발기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진행하는 방법 등이다. 그러나, 이는 전반적으로 비용적 측면이나 효율적 측면에서 단점이 존재하는 실정이다.As a method to improve this, a method for detecting sex has been studied. Recognition of frost through camera image, method of detecting frost through capacitive sensor, method of performing defrosting operation by sensing the evaporator temperature, etc. However,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overall disadvantages exist in terms of cost or efficiency.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45789 (2006.01.17) 공기조화 냉동장치에서 자동제상 방법(AUTOMATIC FROST REMOVING METHOD IN REFRIGERATING MACHINE)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45789 (Jan. 17, 2006) Automatic defrosting method in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system (AUTOMATIC FROST REMOVING METHOD IN REFRIGERATING MACHIN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32435 (2004.04.17) 냉장고의 제상히터와 그 제어 방법(A DEFROSTING HEATER OF A REFRIGERATO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FROSTING HEATER)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32435 (2004.04.17) A Defrosting Heater of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한국등록특허공보 101906897 (2018.10.04) 항온 센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 제상시스템과 제상방법(CONSTANT TEMPERATURE SENSOR MODULE AND SMART REFRIGERATION MONITORING DEFROSTING SYSTEM, DEFROSTING METHOD THEREOF)Korea Patent Publication 101906897 (2018.10.04) Constant temperature sensor module and smart refrigeration monitoring defrosting system and defrosting metho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성에의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성에의 두께에 따라 제상 운전을 개시하고, 종료 시점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state of the frost, start the defrost oper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rost, and optimize the power consumption by variably adjusting the end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defrosting in refrigerators.

또한, 성에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측정하여, 제상 운전을 작동시키는 제어 알고리즘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rol algorithm that operates the defrost operation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frost step by step.

또한, 냉동 등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증발기에 적용 가능한 제상 센서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frost sensor module applicable to evaporators of various standards used in systems such as refrigeration.

또한, 자체 발열량이 낮아 성에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lf-heating amount is low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frost.

또한, 성에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난반사 등 성에의 특성(결정체)에 따른 측정상의 부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cting frost,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measurement inaccur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crystals) of the frost, such as diffuse reflection.

또한, 본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by facilitat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system,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conveni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냉매의 순환에 따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갖는 냉동기의 일부로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방열판의 일단에 부분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에 형성되는 성에의 두께를 검출하는 제상센서모듈; 상기 제상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에 대한 제상모드의 On/Off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성에를 제상하는 제상유닛;을 포함하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of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on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vapo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sinks spaced apart; a defrost sensor module partial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heat sink to detect the thickness of the frost formed on the heat sink;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frost sensor module and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he defrost mode for the evaporator is On/Off; and a defrosting unit configured to defrost the fro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이웃하는 상기 방열판 사이 빈 공간으로 삽입되며, 일 측에 복수 개가 이격 정렬되는 발광부; 및 타 측에 상기 발광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대향 정렬되며, 상기 제상센서모듈이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면 상기 방열판의 외측 공간에 노출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rost sensor modul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inserted into an empty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heat sink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is arranged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unit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is exposed to an outer space of the heat sink when the defrost sensor module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일 면에 배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부를 둘러싸고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홈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조립 결합되면, 상기 내측홈부를 내부공간부로 전환시키는 절곡끼움편;을 포함하며,The defrost sensor module may include: a body case part having an arrangement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and including at least one inner groove formed to surround the arrangement groov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case portion, the bent fitting piece for converting the inner groove portion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includes,

상기 배치홈부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높낮이는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disposed in the arrangement groove is changed in stages.

상기 방열판은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The heat sink has a plate shape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상기 발광부 중 상기 배치홈부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발광부에서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되는 빛의 경로가 상기 방열판의 가로 방향 대칭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rost sensor module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heat sink so that the path of light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groove among the light emitting units coincides with the horizontal line of symmetry of the heat sink. Do.

상기 제상센서모듈의 타 면이 상기 방열판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탄성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astic fixture dispos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is fixed to the heat sink.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작하며,The defrost sensor module operates at regular time interva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센서모듈이 어느 일 시각에서 동작하여, 상기 수광부 중 상기 배치홈부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수광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상모드를 On으로 전환시키고,The control unit, when the defrost sensor module operates at a certain point in time, and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based on the arrangement groove among the light receiving units,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to On,

상기 제상모드가 Off로 재전환되는 시점을 가변적으로 조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variably control the time when the defrost mode is re-switched to Off.

상기 배치홈부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대향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탄면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 사이에는 소정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위치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lat surfaces o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arrangement groov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formed between the flat surfaces,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located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is lowered or higher in step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exhibiting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는 성에의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성에의 두께에 따라 제상 운전을 개시하고 종료 시점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다.The automatic defrosting apparatus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timize power consumption by accurately measuring the state of frost, starting a defros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rost, and variably adjusting the end time.

또한, 성에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측정하여, 제상 운전을 작동시키는 제어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algorithm that operates the defrost operation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frost step by step.

또한, 냉동 등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증발기에 적용 가능한 제상 센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frost sensor module applicable to evaporators of various standards used in systems such as refrigeration.

또한, 자체 발열량이 낮아 성에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frost due to the low self-heating amount.

또한, 성에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난반사 등 성에의 특성(결정체)에 따른 측정상의 부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cting frost, measurement inaccurac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crystals) of frost, such as diffuse reflec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acilit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system,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y be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제상센서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후 바라 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제상센서모듈이 방열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를 일 측에서 바라 본 도면.
도 7은 도 5를 또 다른 일 측에서 바라 본 도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seen after cutting in the direction aa' of Figure 2;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frost sensor module of FIG. 2 is installed on a heat sink.
6 is a view of FIG. 5 viewed from one side.
FIG. 7 is a view viewed from another side of FIG. 5; FIG.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related known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상센서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후 바라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상센서모듈이 방열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를 일 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며, 도 7은 도 5를 또 다른 일 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defrost device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It is a front view seen after cutting in the a-a` direction of FIG. 2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frost sensor module of FIG. 2 is installed on a heat sink, FIG. 6 is a view seen from one side of FIG. 5 , and FIG. 7 is a view seen from another side of FIG. 5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는 증발기(100), 제상센서모듈(200), 제어부(300), 제상유닛(400), 탄성고정체(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automatic defrosting apparatus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aporator 100, a defrost sensor module 200, a control unit 300, a defrost unit 400, elasticity It may include a fixture 500 and the like.

본 시스템에서 증발기(100)는 냉매의 순환에 따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갖는 냉동기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일종의 열 교환기를 의미한다. 냉매는 증발하기 쉬운 액체로서 냉방 등 시스템 내에서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며 저온부의 열을 흡수하여 고온부로 운반, 방출하는 유체이다. 한편, 냉동 사이클은 냉동 작용을 위해 냉매의 상태 변화를 유발하는 사이클이다.In the present system, the evaporator 100 refers to a kind of heat exchanger as a part of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on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Refrigerant is a liquid that is easily evaporated, and it repeats the refrigeration cycle in a system such as cooling, absorbs heat from a low-temperature part, and transports and releases it to a high-temperature part.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ion cycle is a cycle that induces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refrigerant for the refrigeration action.

증발기(100)는 냉매가 열을 얻어 증발하고 주위는 저온으로 되도록 한다. 이런 증발기(100)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110)을 포함한다. 한편,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의 특성상 방열판(110) 표면에는 습기의 동결로 인해 시간에 경과에 따라 서서히 성에가 형성된다. 이런, 성에는 열 저항 및 공기 유동 저항을 증가시켜 냉동 효율의 감소를 초래한다.The evaporator 100 evaporates the refrigerant by obtaining heat, so that the surroundings become low temperature. The evaporato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sink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nature of the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frost is gradu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110 over time due to freezing of moisture. Such frost increases thermal resistance and air flow resistance, resulting in a decrease in refrigeration efficiency.

방열판(110)은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다. 방열판(110)은 일정 두께를 갖는다. 한편, 방열판(110)에 착상되는 성에는 방열판(110)의 양 측면에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다만, 냉기가 방열판(110)과 방열판(110) 사이를 통과하여 냉방 공간으로 유출되는 위치 즉, 방열판(110)의 단부에는 성에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성에의 성장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방열판(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성에는 방열판(11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 방향으로 완만하게 감소하는 유선형일 수 있다.The heat sink 110 has a plate shape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The heat sink 110 has a certain thickness. On the other hand, the frost to be implanted on the heat sink 110 is formed with a thin overall thickness on both sides of the heat sink 110 . However, the cold air passes between the heat sink 110 and the heat sink 110 and flows out into the cooling space, that is, at the end of the heat sink 110 , the frost is formed thicker.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rowth of frost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fluid. As a result, the frost formed at the end of the heat sink 110 may be a streamline that gently decreases from one end of the heat sink 110 to the other end.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방열판(110)의 일단에 설치되어 방열판(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성에의 두께를 단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상센서모듈(200)은 방열판(110)의 일단에 부분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방열판(110)에 형성되는 성에의 두께를 검출한다. 제상센서모듈(200)은 증발기(10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상센서모듈(200)은 예를 들어, 어느 일 방열판(110)(p1)과 이와 바로 이웃하는 방열판(110)(p2) 사이에 배치된다.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eat sink 110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frost formed at the end of the heat sink 110 in stages.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partial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heat sink 110 to detect the thickness of the frost formed on the heat sink 110 . A plurality of defrost sensor modules 200 may be installed in the evaporator 100 .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for example, disposed between any one heat sink 110 (p1) and the heat sink 110 (p2) adjacent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일부가 방열판(110)과 방열판(110)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상센서모듈(200)은 발광부(230)에서 빛이 조사되는 방향 즉, 제상센서모듈(200)의 길이 방향으로 예를 들어, 40 내지 60 퍼센트가 방열판(11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길이 방향으로 50 퍼센트가 방열판(11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rt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heat sink 110 and the heat sink 110 .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30 , that is, 40 to 60 per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 inserted into the heat sink 1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eat sink 110 in 50 percen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상센서모듈(200)은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센서는 서로 대향하며, 정렬되는 복수 개의 발광부(230)와 수광부(240)의 조합이다. 비접촉신 센서는 광센서 중 특히,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30)와 수광부(240)는 구조상 일렬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그 결과, 발광부(230)에서 조사되는 빛은 직진(직선) 이동하여 수광부(240)에서 감지될 수 있다.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uses a non-contact sensor. The non-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30 and light receiving units 24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non-contact sensor may be, in particular, an infrared sensor among optical sensors. 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line in structure. As a resul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move in a straight line (straight line) to be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

제상센서모듈(200)은 발광부(230), 수광부(240) 등을 포함한다. 발광부(230)는 이웃하는 방열판(110) 사이 빈 공간으로 삽입되며, 발광부(230)는 제상센서모듈(200)의 일 측에 복수 개가 이격 정렬된다. 이런, 발광부(230)는 일정 주파수의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230)는 적외선 LED와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230 , a light receiving unit 240 , and the lik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s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heat sinks 110 ,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 As such,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include an infrared LED and a lens.

또한, 수광부(240)는 타 측에 발광부(230)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대향 정렬되며, 제상센서모듈(200)이 방열판(110)에 설치되면 방열판(110)의 외측 공간에 노출된다. 수광부(240)는 발광부(230)에서 발산하는 빛을 받아들인다. 수광부(240)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디텍터와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is arranged to face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230 on the other side, and when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110 , it is exposed to the outer space of the heat sink 110 .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30 .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may include an infrared detector and a lens for detecting infrared rays.

발광부(230)에서 발산하여 직진하는 빛은 성에에 부딪쳐 반사되면 이 때, 수광부(240)는 빛을 감지할 수 없다. 즉, 성에의 존재로 인해 발광부(230)에서 조사되어 직진 이동하는 빛은 수광부(240)에서 감지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성에의 두께에 대한 단계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발광부(230)와 수광부(240) 사이에 성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된다.Whe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raveling straight is reflected by hitting the frost, at this time,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cannot detect the light. That i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moving straight due to the presence of frost cannot be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nables step-by-step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the frost. This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frost exists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

여기서, 단계별 측정은 복수 개의 발광부(230)와 수광부(240)를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상센서모듈(200)은 케이스부(210), 절곡끼움편(220), 내측홈부(260), 연통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210)는 일 면에 배치홈부(250)가 형성되고, 배치홈부(250)를 둘러싸고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홈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치홈부(250)와 내측홈부(260) 사이에는 격벽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런 케이스부(210)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Here, step-by-step measurement i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30 and light receiving units 240 . Specifically,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may include a case portion 210 , a bent fitting piece 220 , an inner groove portion 260 , a communication hole, and the like. The case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inner groove portion 260 having an arrangement groove portion 250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formed to surround the placement groove portion 250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ere, a partition wall or the like may be formed between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and the inner groove part 260 . In addition, the case portion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배치홈부(250)에는 발광부(230) 및 수광부(240)가 배치된다. 이 때, 배치홈부(250)에 배치되는 발광부(230) 및 수광부(240)의 높낮이는 단계적으로 달라진다. 또한, 배치홈부(250)에는, 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 빈 공간을 통해 복수 개의 발광부(230)와 수광부(240)가 각각 배치, 설치, 고정 등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ar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240 are disposed in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 At this time, the heights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disposed in the arrangement groove 250 are changed in stages. 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opening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arrangement groove 250,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30 and light receiving units 240 can be respectively arranged, installed, fixed, etc. through the empty space inside. A holding element may be formed.

또한, 배치홈부(250)에는 발광부(230) 및 수광부(240)가 대향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탄면(270)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고, 평탄면(270) 사이에는 소정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면(280)이 배치되어, 발광부(230) 및 수광부(240)가 위치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요소는 평탄면(270)의 상면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평탄면(270)은 냉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270 o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24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ined surfaces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lat surfaces 270 . 28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are positioned may be gradually lowered or higher. Here, the mounting element may be formed by limi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surface 270 . The flat surface 270 is preferably a rectangl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cold air is discharged.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홈부(250)에는 서로 대향하며, 정렬되는, 3세트의 발광부(230)와 수광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대향하는 발광부(230)와 수광부(240)는 한 세트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230)는 제1발광부(231), 제2발광부(232) 및 제3발광부(233)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수광부(240)는 제1수광부(241), 제2수광부(242) 및 제3수광부(243)일 수 있다.Three sets of light emitting units 230 and light receiving units 240 facing each other and aligned may be disposed in the arrangement groove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facing each other constitute a set. In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231 ,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2 , and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3 . Correspondingly,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may be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241 ,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242 , and a third light receiving unit 243 .

또한, 이를 위해 배치홈부(250)에는 배치홈부(250)를 기준으로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제1평탄면(271), 제2평탄면(272) 및 제3평탄면(27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치홈부(250)에는 제1평탄면(271)과 제2평탄면(272) 사이를 연결하는 제1경사면(281) 및 제2평탄면(272)과 제3평탄면(273) 사이를 연결하는 제2경사면(28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경사면(281)과 제2경사면(282)의 경사 각도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평탄면(271)에는 제1발광부(231) 및 제1수광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평탄면(272)에는 제2발광부(232) 및 제2수광부(2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평탄면(273)에는 제3발광부(233) 및 제3수광부(243)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flat surface 271 , the second flat surface 272 , and the third flat surface 273 are formed in the placement groove portion 250 , the height of which increases in stages based on the placement groove portion 250 . can In addition,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281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flat surface 271 and the second flat surface 272 and between the second flat surface 272 and the third flat surface 273 . A second inclined surface 282 connecting them may be formed,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8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8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 first light emitting unit 231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24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lat surface 271 .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2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24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lat surface 272 .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3 and a third light receiving unit 243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flat surface 273 .

그리고, 제1평탄면(271) 내지 제3평탄면(273)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거치요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거치요소에는 한 세트의 발광부(230)와 수광부(240)가 각각 설치된다. 즉, 일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발광부(230)와 수광부(240)는 배치홈부(250)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 중간 높이, 최고 높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상센서모듈(200)은 배치홈부(25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성에의 존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성에의 높이를 3단계로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mounting elements facing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flat surface 271 to the third flat surface 273 , respectively. Here, a set of light emitting units 230 and light receiving units 240 are installed on the pair of mounting elements, respectively. That is, in one embodiment, a set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the middle height, and the highest height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 As a result,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rost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arrangement groove 250 .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measure the height of the frost in three steps.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홈부(260)는 배치홈부(250)의 세 측면을 둘러싸는 'ㄷ'자 형태로 케이스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홈부(260)는 전술한 거치요소와 각각 연통되는 제1내측홈부(미도시) 및 제2내측홈부(264) 그리고, 제1내측홈부 및 제2내측홈부와 연통홀에 의해 각각 연통되는 제3내측홈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groove portion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case portion 210 in a 'C' shape surrounding three sides of the arrangement groove portion 250 . Specifically, the inner groove portion 260 is a first inner groove portion (not shown) and a second inner groove portion 264 that communicate with the above-described mounting element,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ner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groove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hole,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third inner groove portion 262 that communicates.

또한, 제3내측홈부(262)에는 발광부(230) 및/또는 수광부(240)와 전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내측홈부(262)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발광부(230) 및/또는 수광부(240)에 각각 연결되는 전선은 케이스부(2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or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through a wire or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inner groove 262 . 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inner groove portion 262 . Alternatively, the wir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nd/or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may extend outside the case unit 2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located outside.

또한, 배치홈부(250)가 형성되는 케이스부(210)의 일 면은 방열판(110)과 면접될 수 있다. 여기서, 제상센서모듈(200)은 방열판(110)의 일단에 부분적으로(ex. 50%) 삽입 설치되는 바, 케이스부(210)의 일 면 중 일부만이 방열판(110)과 면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10)의 일 면은 케이스부(210)의 길이 방향 즉, 냉기가 배출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가로상면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부(210)의 일 면은 케이스부(21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세로상면과 제3세로상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210 on which the arrangement groove portion 250 is formed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110 . Here,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partially (ex. 50%) inserted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eat sink 110 , and only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case unit 2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110 . Specifically, one surface of the case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upper surfac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unit 210 ,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cold air is discharged.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210 includes a second vertical upper surface and a third vertical upper surf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se portion (210).

여기서, 제2세로상면과 제3세로상면에는 배치홈부(250)에 형성되는 평탄면(270) 및 경사면(280)의 연장 방향으로 상측평탄면 및 상측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로상면과 제3세로상면에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제1상측평탄면(276), 제2상측평탄면(277) 및 제3상측평탄면(27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세로상면과 제3세로상면에는 제1상측경사면(286) 및 제2상측경사면(28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Here, an upper flat surface and an upper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vertical upper surface and the third vertical upper surfa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270 and the inclined surface 280 formed in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 A first upper flat surface 276, a second upper flat surface 277, and a third upper flat surface 278, each of which height increases in stages, are formed on the second vertical upper surface and the third vertical upp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spectively. can be In addition, a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286 and a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287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econd vertical upper surface and the third vertical upper surface.

배치홈부(250)가 형성되는 제상센서모듈(200)의 일 면이 방열판(110)에 면접되면, 제상센서모듈(200)의 일 면과 방열판(110) 사이에는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빈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상센서모듈(200)의 설치에 따른 냉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When one surface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on which the arrangement groove 250 is formed is interviewed with the heat sink 110, there is an empty gap between the one surface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nd the heat sink 110 for fluid movement. can be formed. This can facilitate the flow of cold ai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

한편, 케이스부(210)의 타 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부(210)에는 고정스토퍼(60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스토퍼(600)는 방열판(110)과 방열판(110)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제상센서모듈(20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한다. 이를 위해, 고정스토퍼(600)는 케이스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스토퍼(610)와 케이스의 타 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스토퍼(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스토퍼(610)는 케이스의 일 면에서 연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스토퍼(610)는, 배치홈부(250)의 바닥면과, 제1가로상면에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직 상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스토퍼(620)는 케이스의 타 면에서 연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고정스토퍼(620)는 케이스의 타면에서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고정스토퍼에는 냉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만곡홈(622)이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part 210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In this case, a fixing stopper 600 may be formed on the case portion 210 . The fixed stopper 600 limits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nserted between the heat sink 110 and the heat sink 110 . To this end, the fixed stopper 600 may include a first fixed stopper 6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a second fixed stopper 6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stopper 61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ase. The first fixing stopper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rangement groove part 250 and the first horizontal upper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and vertically upwar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stopper 62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The second fixing stopper 620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Here, a plurality of curved grooves 622 for smoothing the flow of cold air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stopp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는 제상센서모듈(200)의 타 면이 방열판(1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탄성고정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상센서모듈(200)의 두께는 증발기(100)에 배치되는 방열판(110)과 방열판(110)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고정체(50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고정체(500)는 제상센서모듈(200)이 방열판(110)과 방열판(110) 사이 공간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defrosting apparatus for defro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lastic fixing body 500 arrang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fixed to the heat sink 110 . The thickness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sink 110 and the heat sink 110 disposed in the evaporator 100 . The elastic fixture 500 may be, for example, a leaf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he elastic fixture 500 allows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to be more stably fixedly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heat sink 110 and the heat sink 110 .

제상센서모듈(200)은 발광부(230)의 조사 방향이 냉기가 배출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방열판(11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발광부(230) 중 배치홈부(250)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발광부(230)(제1발광부에 해당)에서 수광부(240)(제1수광부에 해당)를 향해 조사되는 빛의 경로가 방열판(110)의 가로 방향 대칭선(d)과 일치하도록 방열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30)는 제1발광부(231) 내지 제3발광부(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방열판(110)의 단부 중 특히, 가로 방향 대칭선에 착상되는 성에를 대상으로 성에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함이다.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110 so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cold air is discharged.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240 ( It may be installed on the heat sink 110 so that the path of the light irradiated toward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coincides with the horizontal symmetry line d of the heat sink 110 .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231 to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3 . This is in order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frost on the end of the heat sink 110 , in particular, on the frost formed on the horizontal line of symmetry.

절곡끼움편(220)은 케이스부(210)에 조립 결합되면, 내측홈부(260)를 내부공간부(미도시)로 전환시킨다. 절곡끼움편(22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이며 결합 부위에 대한 방수 및 방습을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절곡끼움편(220)이 케이스부(210)에 결합되면, 절곡끼움편(220)은 그 양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통해 케이스부(210)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내측홈부(260)는 내부공간부로 전환된다.When the bent fitting piece 220 is assembled to the case portion 210 , the inner groove portion 260 is converted into an inner space portion (not shown). The bent fitting piece 220 has a 'C' shape as a whole, and a configuration for waterproofing and moisture-proofing the coupling portion may be ad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ent fitting piece 220 is coupled to the case portion 210 , the bent fitting piece 220 may be screwed to the case portion 210 through fasten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t this time, the inner groove portion 260 is converted into an inner space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센서모듈(20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작한다. 제상센서모듈(200)은 성에의 두께를 일정 주기(예를 들어, 10초, 30초 등)로 검출하기 위해 발광부(230)에서 일정 주기로 빛을 조사한다.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irradiate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order to detect the thickness of the frost at a predetermined period (eg, 10 seconds, 30 seconds, etc.).

제어부(300)는 제상센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증발기(100)에 대한 제상모드의 On/Off 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제상센서모듈(200)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제상 운전이 필요한 경우, 제상모드를 On으로 전환시킨다. 제어부(300)는 제상센서모듈(200)을 통해 성에의 두께를 미리 설정되는 범위 단위로 측정하게 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는 성에의 두께를 제1두께범위, 제2두께범위 및 제3두께범위 중 어느 하나로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to control whether the defrost mode is On/Off for the evaporator 100 . The control unit 300 monitors a signal detected by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nd, when a defrost operation is required, switches the defrost mode to On. The control unit 300 measures the thickness of the frost in a preset range unit through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 That is, the automatic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the fr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ct the thickness of the frost in any one of the first thickness range, the second thickness range, and the third thickness range.

제어부(300)는 제상센서모듈(200)이 어느 일 시각에서 동작하여, 수광부(240) 중 배치홈부(250)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수광부(240)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상모드를 On으로 전환시키고, 제상모드가 Off로 재전환되는 시점을 가변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제상모드가 Off로 재전환되는 시점은 예를 들어, 제상센서모듈(200)의 동작에 따라 수광부(240) 중 적어도 배치홈부(250)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수광부(240)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일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at a certain point in time, an electrical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groove 250 among the light receiving units 240, It is possible to variably control the time when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to On and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back to Off. In additio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back to Off i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200, the light receiving unit 240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based on at least the arrangement groove 250 among the light receiving units 240. It may be a case where an electrical signal is detected.

따라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제1수광부(241)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상모드를 On으로 전환시킨다. 그 이후, 적어도 제1수광부(241)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상모드를 Off로 재전환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241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the defrosting mode is switched to On. After that,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detected from at least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241 , the defrost mode may be switched back to Off.

제상유닛(400)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성에를 제상한다. 즉, 제어부(300)는 제상유닛(400)에 대한 제상 개시 및 제상 종료 명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상유닛(400)은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제상히터일 수 있다. 제상히터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제상모드가 On으로 전환되면 작동한다. 이 때, 냉동 사이클을 통한 냉동모드는 Off가 된다. 제상유닛(400)에 의한 발열을 통해 성에가 녹아 증발하면서 제상되면 성에의 두께는 점차 낮아진다.The defrost unit 400 defrosts the fro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outputs defrost start and defrost end commands to the defrost unit 400 . Here, the defrost unit 400 may be, for example, a defrost heater capable of removing the frost. The defrost heater operates when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to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 At this time, the refrigeration mode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is Off. When the frost melts and evaporates through the heat generated by the defrosting unit 400, the defrost gradually decreases the thickness of the frost.

그 이후, 제1수광부(241)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상히터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제상모드가 Off로 전환되면서 작동이 정지된다. 이 때, 성에는 제상히터의 잔열에 의해 추가적인 제상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상모드의 Off와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 경과 이후에 냉동모드가 다시 On으로 변경된다.After that,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detected by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241 , the defrost heater is stopped while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to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 At this time, additional defrosting may proceed by residual heat of the defrost heater in the frost. And, the refrigeration mode is changed to On again at the same time as the defrost mode is Off 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se various func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증발기 200: 제상센서모듈
300: 제어부 400: 제상유닛
210: 케이스부 220: 절곡끼움편
230: 발광부 240: 수광부
500: 탄성고정체 600: 고정스토퍼
250: 배치홈부 270: 평탄면
280: 경사면 260: 내측홈부
262: 제3내측홈부 264: 제2내측홈부
110: 방열판
100: evaporator 200: defrost sensor module
300: control unit 400: defrost unit
210: case part 220: bent piece
230: light emitting unit 240: light receiving unit
500: elastic fixture 600: fixed stopper
250: arrangement groove 270: flat surface
280: inclined surface 260: inner groove
262: third inner groove 264: second inner groove
110: heat sink

Claims (7)

냉매의 순환에 따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냉동 사이클을 갖는 냉동기의 일부로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방열판의 일단에 부분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에 형성되는 성에의 두께를 검출하는 제상센서모듈;
상기 제상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에 대한 제상모드의 On/Off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성에를 제상하는 제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이웃하는 상기 방열판 사이 빈 공간으로 삽입되며, 일 측에 복수 개가 이격 정렬되는 발광부; 및 타 측에 상기 발광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대향 정렬되며, 상기 제상센서모듈이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면 상기 방열판의 외측 공간에 노출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일 면에 배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부를 둘러싸고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홈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조립 결합되면, 상기 내측홈부를 내부공간부로 전환시키는 절곡끼움편;을 포함하며, 상기 배치홈부에 배치되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높낮이는 단계적으로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As a part of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on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the evapo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sinks spaced apart;
a defrost sensor module partial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heat sink to detect the thickness of the frost formed on the heat sink;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frost sensor module and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he defrost mode for the evaporator is On/Off; and
Including; a defrosting unit for defrosting the fro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defrost sensor modul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inserted into an empty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heat sink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is arranged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unit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is exposed to an outer space of the heat sink when the defrost sensor module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The defrost sensor module may include: a body case part having an arrangement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and including at least one inner groove formed to surround the arrangement groov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case portion, a bending fitting piece that converts the inner groove portion into an inner space portion; Containing, the heigh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disposed in the arrangement groove portion is changed in stages. Automatic defrost for remov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제상센서모듈은,
상기 발광부 중 상기 배치홈부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발광부에서 상기 수광부를 향해 조사되는 빛의 경로가 상기 방열판의 가로 방향 대칭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sink has a plate shape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The defrost sensor module is
Defrost of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so that a path of light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based on the arrangement groove among the light emitting units is installed on the heat sink to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line of symmetry of the heat sink for automatic defros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센서모듈의 타 면이 상기 방열판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탄성고정체;를 포함하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defrosting a refrigerator comprising a; an elastic fixture dispos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defrost sensor module is fixed to the heat s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센서모듈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센서모듈이 어느 일 시각에서 동작하여, 상기 수광부 중 상기 배치홈부를 기준으로 최저 높이에 배치되는 수광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상모드를 On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상모드가 Off로 재전환되는 시점을 가변적으로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frost sensor module operates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defrost sensor module operates at a certain time and an electrical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disposed at the lowest height based on the arrangement groove among the light receiving units, the defrost mode is switched to On,
An automatic defrosting device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variably controls the time when the defrost mode is re-switched to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홈부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대향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탄면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 사이에는 소정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위치하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o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arrangement groov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formed between the flat surfaces, and the height at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are located is formed to be lowered or higher in stages.
KR1020210123241A 2021-09-15 2021-09-15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KR102387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41A KR102387389B1 (en) 2021-09-15 2021-09-15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41A KR102387389B1 (en) 2021-09-15 2021-09-15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389B1 true KR102387389B1 (en) 2022-04-15

Family

ID=8121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41A KR102387389B1 (en) 2021-09-15 2021-09-15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3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6692A (en) 2024-03-22 2024-04-09 류헌규 Evaporator frost detec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8687A (en) * 1981-11-20 1983-05-26 Matsushita Refrig Co Frost detector
KR19980021547U (en) * 1996-10-21 1998-07-15 배순훈 Refrigeration defrosting system
KR100973070B1 (en) * 2010-05-04 2010-07-29 (주)제일화인테크 Freezing removal apparatus of natural convention type evaporator for lowtemperature storehouse
KR20130034816A (en) * 2011-09-29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its defrost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8687A (en) * 1981-11-20 1983-05-26 Matsushita Refrig Co Frost detector
KR19980021547U (en) * 1996-10-21 1998-07-15 배순훈 Refrigeration defrosting system
KR100973070B1 (en) * 2010-05-04 2010-07-29 (주)제일화인테크 Freezing removal apparatus of natural convention type evaporator for lowtemperature storehouse
KR20130034816A (en) * 2011-09-29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its defrost control metho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32435 (2004.04.17) 냉장고의 제상히터와 그 제어 방법(A DEFROSTING HEATER OF A REFRIGERATO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FROSTING HEATER)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45789 (2006.01.17) 공기조화 냉동장치에서 자동제상 방법(AUTOMATIC FROST REMOVING METHOD IN REFRIGERATING MACHINE)
한국등록특허공보 101906897 (2018.10.04) 항온 센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 제상시스템과 제상방법(CONSTANT TEMPERATURE SENSOR MODULE AND SMART REFRIGERATION MONITORING DEFROSTING SYSTEM, DEFROS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6692A (en) 2024-03-22 2024-04-09 류헌규 Evaporator frost det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053B2 (en)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JP4937032B2 (en) Cooling device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US20170074577A1 (en)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6403426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iller and freezer uni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US1008817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87389B1 (en) Auto defrosting apparatus for removing frost of refrigerator
EP2578970B1 (en) Refrigerator
KR1007121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frost of a heat pump
CN102878745A (en) Refrigerator
CN108885050A (en) Refrigerator
KR101736869B1 (en) Apparatus for defrosting of evapo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3190747A1 (en) Environmental testing device
CN110940135A (en) Refrigerator and defrosting detection device and defrosting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89287A (en) Cooler
KR20090119084A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efrosting of refrigerator
KR101636700B1 (en) Heat pump air conditioner having defrost heater
US9459038B1 (en) System for defrost termination
JP5183729B2 (en)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KR20100132178A (en) Unit cooler
KR20200089916A (en) Unit cooler
JP5355761B2 (en) refrigerator
KR20190092829A (en) Control apparatus for sensing frost and defrosting in refrigeration cycle
JP2012007819A (en) Cooler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KR20200117645A (en) Unit cooler
KR101678437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