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305B1 -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305B1
KR102387305B1 KR1020180029403A KR20180029403A KR102387305B1 KR 102387305 B1 KR102387305 B1 KR 102387305B1 KR 1020180029403 A KR1020180029403 A KR 1020180029403A KR 20180029403 A KR20180029403 A KR 20180029403A KR 102387305 B1 KR102387305 B1 KR 10238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hidden layer
signal
layer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940A (ko
Inventor
최현수
유창동
강성훈
김준영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764,67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51214B2/en
Priority to PCT/KR2018/013824 priority patent/WO2019098644A1/ko
Publication of KR2019005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7Valid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ctive pattern learn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5Fusion techniques
    • G06F18/254Fusion techniques of classification results, e.g. of results related to same inpu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20Ensembl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06N3/04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딥러닝 등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 및 그 응용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인공지능 시스템 및 그 응용에 따라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으로,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와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하고,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LEARNING MULTIMODAL DATA}
개시된 실시예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및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서로 다른 도메인 신호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는 각 도메인 내에 존재하는 주요 맥락(context) 정보를 추출할 수 없고, 두 개의 도메인 간에서 계산되는 상관관계의 개수는 도메인의 개수가 N개로 늘어나는 경우, 연산량이 N(N-1)/2 로 늘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은,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와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은,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벡터를 포함하고, 제1 맥락 정보는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되고, 제2 맥락 정보는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학습 방법에 있어서,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LSTM(Long-Short term Memory)을 이용하고, 획득된 은닉층 정보는 제1 신호의 은닉층 정보, 제2 신호의 은닉층 정보, 그리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학습 방법에 있어서,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는,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관관계 값은 제1 신호의 은닉층 정보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상관관계 값과 제2 신호의 은닉층 정보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상관관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학습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와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판단부에서 맥락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학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학습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식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을 수행하는 cGRU(Contextual Gated Recurren Unit)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cGRU를 사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데이터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특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중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을 이용하는 대규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루는 테스크에 사용 가능한 학습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도메인 벡터를 갖는 복수의 신호를 처리하는 태스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도메인 벡터를 갖는 두 개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기재한 것일 뿐이며,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신호를 처리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로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이하, 장치)는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제 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 분류기(300) 및 수집부(Aggregation)(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은 제1 컨텍스트 판단부와 제2 컨텍스트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텍스트 판단부와 제2 컨텍스트 판단부는 각각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 X1과 X2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컨텍스트 판단부는 맥락 흐름 제어(Context Flow Control)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컨텍스트 판단부는 신호 X1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 1 맥락(Context) 정보 M1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컨텍스트 판단부는 수신된 신호 X1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1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생성하여, 신호 X1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1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제 1 맥락 정보 M1을 획득할 수 있다.
제 2 컨텍스트 판단부는 신호 X2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 2 맥락(Context) 정보 M2을 획득할 수 있다.
제 2 컨텍스트 판단부는 수신된 신호 X2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2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생성하여, 신호 X2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2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제 2 맥락 정보 M2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맥락 정보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모달리티 정보 중 중요한 정보라고 판단된 모달리티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중요한 정보란,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를 구성하는 시퀀스 신호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시점의 모달리티 정보일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세 개의 LSTM(Long-Short term Memory)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제1 학습네트워크 모델(100)에서 획득된 제 1 맥락 정보 M1과 제 2 맥락 정보 M2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된 제 1 맥락 정보 M1과 제 2 맥락 정보 M2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Z1, Zcommon, Z2)를 획득할 수 있다.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 1 맥락 정보 M1을 기초로 은닉층 정보 Z1을 획득할 수 있다.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 2 맥락 정보 M2을 기초로 은닉층 정보 Z2을 획득할 수 있다.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 1 맥락 정보 M1 및 제 2 맥락 정보 M2을 기초로 공통 은닉층 정보 Zcommon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획득한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Correlation Value)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은닉층 정보 Z1과 공통 은닉층 정보 Zcommon 간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은닉층 정보 Z2과 공통 은닉층 정보 Zcommon 간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를 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분류기(300)는 세 개의 소프트맥스(softmax)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맥스는 각 은닉층 정보를 수신하여 매칭되는 클래스로 매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맥스와 같은 분류기(classifier)에서 예상한 결과값들끼리의 상관 관계를 목적 함수에 추가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에 관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집부(400)는 매핑된 클래스를 수집(aggregation)하여 최종적으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 Ym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장치는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맥락 정보는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제2 맥락 정보는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장치는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와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LSTM(Long-Short term Memory)을 이용할 수 있다. 획득된 은닉층 정보는 제1 신호의 은닉층 정보, 제2 신호의 은닉층 정보, 그리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장치는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관관계 값은 제1 신호의 은닉층 정보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상관관계 값과 제2 신호의 은닉층 정보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상관관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장치는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하여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를 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판단부에서 맥락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텍스트 판단부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를 시간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텍스트 판단부는 수신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모든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정보만 추출하도록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텍스트 판단부는 서로 다른 각각의 모달리티를 포함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여 유의미한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컨텍스트 판단부는 이전 타임 스텝(time step)의 은닉층 (hidden state)과 교차 모달리티 (cross modality)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컨텍스트 판단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컨텍스트 판단부는 입력 모달리티 정보의 벡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마스크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신경망 네트워크는 시그모이드 활성화 함수(sigmoid activation function)를 사용하여, 0 부터 1 사이의 값을 갖는 마스크 벡터(mask vector) 와 입력 모달리티(input modality) 의 요소별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 연산을 통해 입력 모달리티(input modality)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위 계층(layer) 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네트워크 모델의 조합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의 기 설정된 클래스의 개수가 233개인 것을 예시로 한다.
acc@top1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개수가 1개인 것을 의미한다.
acc@top5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개수가 5개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을 사용하지 않는 베이스라인(Baseline)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4.1%, acc@top5인 경우, 86.8%이다.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만 사용한 CM_Joint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8.5%, acc@top5인 경우, 89%이다.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만 사용한 맥락 흐름 제어(Context Flow Control)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4.5%, acc@top5인 경우, 88.5%이다.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과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을 모두 사용하는 전체 프레임워크(Overall Framework)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9.0%, acc@top5인 경우, 89.7%이다.
도 4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과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을 모두 사용하는 전체 프레임워크(Overall Framework)모델을 이용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가 가장 높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500, 이하, 장치)는 프로세서(510) 및 메모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장치(500)는 프로세서(510) 및 메모리(520) 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600)는 프로세서(510) 및 메모리(520) 이외에 통신부(520) 및 출력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 따라, 장치(500)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여 전술한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와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제1 신호와 제2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제1 맥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프로세서(520)는 LSTM(Long-Short term Memory)이 포함된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획득된 은닉층 정보는 제1 신호의 은닉층 정보, 제2 신호의 은닉층 정보, 그리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20)는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하여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20)는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를 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프로세서(520)는 제1 신호의 은닉층 정보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상관관계 값과 제2 신호의 은닉층 정보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10)는 프로세서(5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520)는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할 데이터 학습부 및 데이터 인식부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 및 데이터 인식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공유할 수 있다.
통신부(530)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도 4의 서버 등) 및 기타 외부 장치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30)는 서버에 저장된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30)는 서버에 저장된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와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30)는 서버에 저장된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540)는 각 은닉층 정보를 수신하여 매칭되는 클래스로 매핑 매핑된 클래스를 수집(aggregation)하여 최종적으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장치(500)는 예를 들어, PC, 랩톱, 휴대폰,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스마트 폰, 웨어러블 단말기, 전자책 단말기, 가전기기, 자동차 내의 전자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치(500)는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710)는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맥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710)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를 구성하는 시퀀스 신호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시점의 모달리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710)는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한 값을 기준으로 맥락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710)는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는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710)는 은닉층 정보 간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의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인식부(720)는 데이터 학습부(710)를 통해 학습된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를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는 하나의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 중 하나는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710)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72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72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7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710) 및 데이터 인식부(72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학습부(71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학습부(710)는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전술한 구성 들 보다 적은 구성 요소로 데이터 학습부(710)가 구성되거나,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적으로 데이터 학습부(710)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810)는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맥락 정보를 멀티모달 학습 데이터로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획득부(810)는 데이터 학습부(710)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또는 데이터 학습부(710)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와 통신 가능한 외부의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이종 도메인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맥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81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전술한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 및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이종 도메인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맥락 정보로부터 획득한 은닉층 정보로부터 멀티모달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처리부(820)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에,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가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부(820)는 후술할 모델 학습부(840)가 학습을 위하여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는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는 모델 학습부(840)에 제공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는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모델 학습부(840)는 학습 네트워크 모델 내의 복수의 레이어에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 중 어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관 관계 값을 획득하거나, 이미지 내의 객체를 인식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 학습부(840)는 소프트 맥스의 목적 함수를 기초로, 어떠한 기준에 따라 추가 학습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생성할 지에 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델 학습부(84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 인식 모델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학습 데이터와 기본 학습 데이터의 관련성이 큰 데이터 인식 모델을 학습할 데이터 인식 모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학습 데이터는 데이터의 타입 별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 인식 모델은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지역,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학습 데이터의 크기, 학습 데이터의 장르, 학습 데이터의 생성자, 학습 데이터 내의 객체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으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840)는, 예를 들어, 학습에 따라 인식된 클래스가 올바른 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데이터 생성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생성 모델이 학습되면, 모델 학습부(840)는 학습된 데이터 생성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델 학습부(840)는 학습된 데이터 생성 모델을 데이터 획득부(810)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모델 학습부(840)는 학습된 데이터 생성 모델을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학습된 데이터 생성 모델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예를 들면,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 평가부(850)는 데이터 생성 모델에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평가 데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추가 학습 데이터의 생성 결과,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델 학습부(840)로 하여금 다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 데이터는 데이터 생성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학습 네트워크 모델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모델 평가부(750)는 각각의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대하여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고,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모델을 최종 학습 네트워크 모델로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710) 내의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 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는 하나의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 중 일부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810), 전처리부(820), 학습 데이터 선택부(830), 모델 학습부(840) 및 모델 평가부(85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식부(720)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식부(720)는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910)는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맥락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전처리부(920)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에,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가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부(920)는 후술할 인식 결과 제공부(940)가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획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는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특성 추출 또는 클래스 인식에 필요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는 인식 결과 제공부(84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인식 결과 제공부(940)는 선택된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적용하여 이종 도메인 신호들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거나, 이종 도메인 신호 내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이종 도메인 신호들을 입력하여 맥락 정보와 은닉층 정보를 추출하거나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4을 참고하여 전술한 방법과 대응될 수 있다.
인식 결과 제공부(940)는 이종 도메인 신호 내에 포함된 객체의 클래스를 인식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모델 갱신부(950)는 인식 결과 제공부(940)에 의해 제공되는 이종 도메인 신호 내의 객체의 클래스 인식 결과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학습 네트워크 모델에 포함된 종분류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 추출 레이어의 파라미터 등이 갱신되도록 평가에 대한 정보를 도 8을 참고하여 전술한 모델 학습부(8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인식부(720) 내의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뉴럴 네트워크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는 하나의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 중 일부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910), 전처리부(920), 인식 데이터 선택부(930), 인식 결과 제공부(940) 및 모델 갱신부(95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는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제 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 분류기(310),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 및 수집부(Aggregation)(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와 공통되지만, 총 3개의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200, 320)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도 10에 관한 설명 중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도메인 신호 X1, X2가 입력되고,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는 맥락 정보 조절 모듈을 통해 각 도메인 정보 내의 중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GRU(Gated Recurrent Unit) 또는 cGRU(Contextual Gated Recurrent Unit)을 통해 모델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은 제1 컨텍스트 판단부와 제2 컨텍스트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텍스트 판단부와 제2 컨텍스트 판단부는 각각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 X1과 X2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컨텍스트 판단부는 맥락 흐름 제어(Context Flow Control)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컨텍스트 판단부는 신호 X1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 1 맥락(Context) 정보 M1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컨텍스트 판단부는 수신된 신호 X1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1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생성하여, 신호 X1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1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제 1 맥락 정보 M1을 획득할 수 있다.
제 2 컨텍스트 판단부는 신호 X2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 2 맥락(Context) 정보 M2을 획득할 수 있다. 제 2 컨텍스트 판단부는 수신된 신호 X2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2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생성하여, 신호 X2의 도메인 벡터와 신호 X2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제 2 맥락 정보 M2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맥락 정보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모달리티 정보 중 중요한 정보라고 판단된 모달리티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은 세 개의 LSTM(Long-Short term Memory)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은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에서 획득된 제 1 맥락 정보 M1과 제 2 맥락 정보 M2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은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된 제 1 맥락 정보 M1과 제 2 맥락 정보 M2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Z1, Zcommon, Z2)를 획득할 수 있다.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 맥락 정보 M1을 기초로 은닉층 정보 Z1을 획득하고, 제2 맥락 정보 M2을 기초로 은닉층 정보 Z2을 획득하며, 제1 맥락 정보 M1 및 제2 맥락 정보 M2을 기초로 공통 은닉층 정보 Zcommon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획득한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Correlation Value)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은닉층 정보 Z1과 공통 은닉층 정보 Zcommon 간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은닉층 정보 Z2과 공통 은닉층 정보 Zcommon 간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분류기(310)의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분류기(310)의 목적 함수에서 상관관계를 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학습네트워크 모델(200)은, 최종 목적함수를 최소화하여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은닉층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분류기(Classifier)(310)는 소프트 맥스(softmax)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류기(310)는 총 세개의 소프트 맥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맥스는 각 은닉층 정보를 수신하여 매칭되는 클래스로 매핑할 수 있다.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은, 분류기(310)에서 예상한 결과값들끼리의 상관 관계를 목적 함수에 추가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은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의 LSTM에서 학습된 결과인 Z1, Z2과 공통 은닉층 정보인 Zcommon의 상관 관계를 학습하여 각 도메인으로 추정된 결과(prediction) 사이의 상관 관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에서 학습된 Z space의 상관 관계는 Representation의 Agreement를 수행한다면, 도메인에서 추정된 결과들(Z1, Zcommon, Z2)사이의 상관 관계는 추정 결과의 Agre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수집부(410)는 매핑된 클래스를 수집(aggregation)하여 최종적으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 Y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부(410)는 획득된 다수의 도메인 은닉층 정보(Z1, Z2)와 공통 은닉층 정보(Zcommon) 각각을 활용하여 주 태스크를 수행한 이후, 적응형 응집 방법(Adaptive Aggregation)으로 수집하여 주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는 각 도메인의 은닉층 정보(Z1, Z2)와 공통 은닉층 정보(Zcommon) 사이의 상관 관계와 각 도메인의 학습 결과, 즉 추정 결과(prediction)과 공통 추정 결과 사이의 상관 관계를 목적 함수에 추가하여 학습함으로써, 상관 관계의 최대화가 가능하도록 학습할 수 있다. 즉, Representation Space의 Agreement와 Prediction Agreement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학습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학습 네트워크 모델의 조합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가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은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래스의 개수가 233개인 것을 예시로 한다. Corr_Hidden 모델, Corr_Logit 모델, 및 Corr_HiddenLogit 모델은 모두 적응형 응집 방법(Adaptive Aggregation)을 통해 수집한 것이다.
acc@top1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개수가 1개인 것을 의미한다. acc@top5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개수가 5개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을 사용하지 않는 베이스라인(Baseline)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4.1%, acc@top5인 경우, 86.8%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및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을 사용하여 학습한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79%, acc@top5인 경우, 90.78%이다.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및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을 사용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만을 사용한 Corr_Logit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64%, acc@top5인 경우, 90.55%이다.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 및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을 모두 사용하는 Corr_HiddenLogit 모델(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80%, acc@top5인 경우, 90.79%이다.
도 11의 표를 참조하면, 도 10에서와 같이 각 도메인에서 학습되고 분류기(310, 도 10 참조)를 통해 추정된 결과, 즉 Z1, Z2와 Zcommon에 대하여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을 통해 추가적으로 상관 관계를 학습하여 출력된 데이터(Corr_HiddenLogit)의 정확도가 가장 높다. 이는, Corr_HiddenLogit의 경우 Representation Space의 Agreement와 Prediction Agreement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성능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을 수행하는 cGRU(Contextual Gated Recurren Unit)(1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cGRU(1200)는 교차 가이드 흐름 제어(Cross-guided flow control)를 통해 도메인 간 맥락 흐름(contextual flow)을 모델링할 수 있다. cGRU(1200) 내의 각 파라미터들은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5289166-pat00001
cGRU(1200)를 이용한 맥락 흐름 제어 모델링은 LSTM 과 달리 메모리 제어가 아닌 흐름 제어 기반의 순차 모델링(sequential modeling)으로서, 도메인 간 교차 가이드(cross-guided) 정보 교환으로 복수 도메인의 맥락 흐름(contextual flow)을 묘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는 cGRU(1200)를 통해서 도메인간 정보 흐름을 제어하며, 중요한 Time의 입력에 대해서 강조, Common Representation 모델링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cGRU를 사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데이터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3은 도 4 및 도 11과 마찬가지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의 기 설정된 클래스의 개수가 233개인 것을 예시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cGRU를 사용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를 통해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3.92%, acc@top5인 경우, 92.02%이다.
cGRU를 사용하지 않은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를 통해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90%, acc@top5인 경우, 90.79%이다.
cGRU를 사용하는 맥락 흐름 제어 모델링(Contextual Flow Modeling)으로서, Common representation에 해당하는 모델에는 cGRU를, 각 domain specific representation을 해당하는 모델에는 GRU를 사용할 수 있다.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는 cGRU를 통해서 도메인간 정보 흐름을 제어하며, 중요한 Time의 입력에 대해서 강조하여 Common Representation 모델링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된 데이터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표이다. 도 14에 도시된 표는 동영상 분류 데이터인 FCVID (Fudan-ColumbiaVideo Dataset)에 대한 모델의 성능을 측정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학습 네트워크 모델의 조합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가 도시된다. 도 14에 도시된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은 도 4, 도 11, 도 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래스의 개수가 233개인 것을 예시로 한다.
acc@top1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개수가 1개인 것을 의미한다. acc@top5은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개수가 5개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도 1 참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 도 1 참조)을 사용하지 않는 베이스라인(Baseline)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4.1%, acc@top5인 경우, 86.8%이다.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Corr_Base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한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6.29%, acc@top5인 경우, 88.04%이다.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고, Mean Aggregation을 사용하는 학습 모델인 Corr_Hidden을 통해 학습한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68.5%, acc@top5인 경우, 89%이다.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고, Projective Aggregation을 사용하는 학습 모델인 Projective Aggregation을 통해 학습한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0.47%, acc@top5인 경우, 89.5%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도 1 참조) 및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 도 1 참조)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적응형 수집(Adaptive Aggregation) 모델의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79%, acc@top5인 경우, 90.78%이다.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도 10 참조) 및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 도 10 참조)을 사용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만을 사용한 Corr_Logit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64%, acc@top5인 경우, 90.55%이다.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도 10 참조),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 도 10 참조), 및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 도 10 참조)을 모두 사용하는 Corr_HiddenLogit 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1.78%, acc@top5인 경우, 90.79%이다.
도 14에 도시된 표에서, Baseline, Corr_Base, Corr_Hidden, Projective Aggregation, Adaptive Aggregation, Corr_Logit, Corr_HiddenLogit은 모두 LST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순차적 모델링을 통해 학습한 결과이다. 도 14의 표에서 제1 학습 네트워크 모델(100), 제2 학습 네트워크 모델(200), 및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 이상 도 10 참조)을 모두 사용하고, LSTM 네트워크 대신 cGRU 또는 GRU를 사용하여 학습하여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상관 관계를 학습하는 모델(Final)의 정확도가 가장 높다. 즉, Final의 경우 최종적으로 결정된 이종 도메인 벡터 신호의 클래스의 정확도는 acc@top1인 경우, 73.92%, acc@top5인 경우, 92.02%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cGRU/GRU를 이용하여 각 도메인에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고, 은닉층 정보를 통해 추정된 결과인 Z1, Z2와 Zcommon에 대하여 제3 학습 네트워크 모델(320, 도 10 참조)을 통해 추가적으로 상관 관계를 학습하여 출력된 데이터(Final의 경우)의 정확도가 가장 높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맥락 정보와 상기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상기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은닉층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제1 은닉층 정보, 상기 제2 신호의 제2 은닉층 정보, 및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맥락 정보 및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관관계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에 포함되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맥락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상기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맥락 정보는 상기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상기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LSTM(Long-Short term Memory)을 이용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는,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상기 목적 함수에서 상기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 값은 상기 제1 은닉층 정보와 상기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상관관계 값과 상기 제2 은닉층 정보와 상기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상관관계 값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6.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1 맥락(Context) 정보와 제2 신호의 특성을 대표하는 제2 맥락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맥락 정보와 상기 제2 맥락 정보를 기초로 은닉층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은닉층 정보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관계 값 (Correlation Value)을 획득하여,
    상기 상관관계 값이 최댓값으로 도출되는 상기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획득된 은닉층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제1 은닉층 정보, 상기 제2 신호의 제2 은닉층 정보, 및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의 공통 은닉층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맥락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상기 제1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 맥락 정보는 상기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상기 제2 신호의 도메인 벡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크 벡터를 요소별로 곱(element-wise multiplication)하여 획득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학습 네트워크 모델은 LSTM(Long-Short term Memory)을 이용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목적 함수가 최솟값을 가질 때까지 상기 목적 함수에서 상기 상관관계 값을 빼는 연산을 반복하여 상기 은닉층 정보를 학습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관계 값은 상기 제1 은닉층 정보와 상기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상관관계 값과 상기 제2 은닉층 정보와 상기 공통 은닉층 정보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상관관계 값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029403A 2017-11-17 2018-03-13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238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64,677 US11651214B2 (en) 2017-11-17 2018-11-13 Multimodal data learning method and device
PCT/KR2018/013824 WO2019098644A1 (ko) 2017-11-17 2018-11-13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3972 2017-11-17
KR1020170153972 2017-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40A KR20190056940A (ko) 2019-05-27
KR102387305B1 true KR102387305B1 (ko) 2022-04-29

Family

ID=6667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403A KR102387305B1 (ko) 2017-11-17 2018-03-13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51214B2 (ko)
KR (1) KR102387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75B1 (ko) * 2019-05-23 2020-03-25 (주)지란지교시큐리티 악성코드 감염 유도정보 판별 시스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방법
KR102203617B1 (ko) * 2019-07-19 2021-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예측 모델링 위변조 방지를 위한 방법
US20210027157A1 (en) * 2019-07-24 2021-01-28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Unsupervised concept discovery and cross-modal retrieval in time series and text comments based 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KR102289668B1 (ko) * 2020-02-21 2021-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칭 신뢰도 기반 시멘틱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2455681B1 (ko) * 2020-12-16 2022-10-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긴 시퀀스 데이터 내 존재하는 관계 정보를 저장 가능한 분산 연관 메모리 네트워크 시스템
US20220245350A1 (en) * 2021-02-03 2022-08-04 Cambium Assessment, Inc. Framework and interface for machines
CN113094534B (zh) * 2021-04-09 2022-09-02 陕西师范大学 一种基于深度学习的多模态图文推荐方法及设备
KR20230029261A (ko) 2021-08-24 2023-03-03 (주)아크릴 모달별 중요도 기반 멀티모달 인공지능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704439B (zh) * 2021-09-06 2022-02-22 中国计量大学 一种基于多来源信息异构图的会话推荐方法
KR20230076596A (ko) 2021-11-24 2023-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모달 센싱 신호를 이용한 신호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9931A (ko) * 2022-01-14 2023-07-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스토리 질의 응답을 위한 트랜스포머 모델을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9777A1 (en) 2013-03-15 2014-09-18 Google Inc. Signal processing systems
US20170228642A1 (en) 2016-02-04 2017-08-10 Google Inc. Associative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21B1 (ko) 2006-12-15 2009-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특징 벡터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1219469B1 (ko) 2011-03-29 2013-0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멀티모달 학습 및 분류 방법
US8918352B2 (en) 2011-05-23 2014-12-23 Microsoft Corporation Learning processes for single hidden layer neural networks with linear output units
KR101901591B1 (ko) * 2011-11-01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인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200155A1 (ko) 2013-06-13 2014-12-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펙트럼내 중첩 피크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x선 형광 분석 장치
KR101646926B1 (ko) 2015-04-16 2016-08-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모달리티 데이터 복원을 위한 심층 개념망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60246B1 (ko) 2016-02-22 2022-02-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모달학습장치 및 멀티모달 학습 방법
US20190188567A1 (en) * 2016-09-30 2019-06-20 Intel Corporation Dynamic neural network surg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9777A1 (en) 2013-03-15 2014-09-18 Google Inc. Signal processing systems
US20170228642A1 (en) 2016-02-04 2017-08-10 Google Inc. Associative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40A (ko) 2019-05-27
US11651214B2 (en) 2023-05-16
US20200410338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305B1 (ko) 멀티모달 데이터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2425578B1 (ko)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1885B1 (ko) 클래스 인식을 위한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93438B1 (ko)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00017B1 (ko) 객체를 식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71582B1 (ko) 딥 뉴럴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문장이 속하는 클래스(class)를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2749B1 (ko) 약한 지도 학습에 기초한 뉴럴 네트워크의 계층적 학습 방법 및 장치
US11568245B2 (en) Apparatus related to metric-learning-based data classification and method thereof
US11170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object
Koppula et al. Learning human activities and object affordances from rgb-d videos
CN111782840B (zh) 图像问答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KR102607208B1 (ko) 뉴럴 네트워크 학습 방법 및 디바이스
CN113039555B (zh) 在视频剪辑中进行动作分类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200242404A1 (en) Image searching apparatus, classifier train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90029083A (ko) 신경망 학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US20200285965A1 (en) Neural network learning method and device
KR102352991B1 (ko) 인공지능 모델 생성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인공지능 모델 생성 방법
CN115131604A (zh) 一种多标签图像分类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238909A (zh) 一种基于联邦学习的数据价值评估方法及其相关设备
CN113449548A (zh) 更新物体识别模型的方法和装置
Saad et al. An integrated human computer interaction scheme for object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CN114707070A (zh) 一种用户行为预测方法及其相关设备
Hutsebaut-Buysse et al. Disagreement Options: Task Adaptation Through Temporally Extended Actions
CN117218728A (zh) 一种智能穿戴设备的身体姿势识别方法、系统及介质
KR20210096367A (ko) 제품의 개발을 보조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