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266B1 -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266B1
KR102387266B1 KR1020150145146A KR20150145146A KR102387266B1 KR 102387266 B1 KR102387266 B1 KR 102387266B1 KR 1020150145146 A KR1020150145146 A KR 1020150145146A KR 20150145146 A KR20150145146 A KR 20150145146A KR 102387266 B1 KR102387266 B1 KR 10238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slave
master
sig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509A (ko
Inventor
강기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266B1/ko
Priority to US15/297,601 priority patent/US9872224B2/en
Publication of KR2017004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 비콘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이 낮아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유지가 어려운 경우, 상기 마스터 비콘을 대신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효율성 있게 재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터 비콘이 자신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하기에 적절한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다른 마스터 비콘과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연결 시킴으로써,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Wireless network setup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 비콘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이 낮아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유지가 어려운 경우, 상기 마스터 비콘을 대신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효율성 있게 재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무선망은 점대점(Point to Point), 점대다점(Point to Multi Point)의 스타(Star)형 토폴로지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 유선망과 같은 다대다점(Multipoint to Multipoint)의 메쉬(Mesh)형 구조를 가지는 무선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의 특징은 유선망과의 연결없이 망 확장이 용이하며, 이에 따른 망 설치의 신속성 및 경제성, 다중 경로에 의한 Redundancy 제공 등, 망의 유연성 및 확장성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 유선 네트워크 환경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고 하여 중계기 또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 신호를 연결해가는 방식으로 모든 AP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다.
하지만 메쉬 네트워크는 대표 AP만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기존 무선 통신 기지국처럼 안테나 역할을 할 무선 통신 라우터들이 메쉬 노드가 되어 모든 구간을 무선으로 연결해가는 방식이다.
유선망 메쉬 형태의 네트워크 구조를 무선망에서도 같은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한 기술로 기존 무선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이를 테면 통신사들이 구축해놓은 핫스판존을 좀 더 넓은 범위로 확장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핫스팟 존이 어느 한 건물에 누구나 와이파이를 연결하여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게 해놓은 것이라면 메쉬네트워크는 그보다 넓은 리조트나 대형 공원, 항만 정도 규모의 무선망을 구축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기술 적용에 따라 훨씬 더 넓은 영역을 무선망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사용자는 와이파이를 접속하는 것과 유사한 절차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재난 상황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이나 유선망 구축이 어려운 오지에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은 물론이고, 홈 네트워킹에도 강점이 있어 수년 전부터 언급된 유비쿼터스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그런데 NFC는 통신 거리가 짧고 그 통신을 위해 별도의 무선 칩이 필요한 반면, 블루투스는 상대적으로 통신 거리가 길고 대부분의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비콘(Beacon)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안이 개발되고 있고, 상기 불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비콘 장치를 활용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하나의 마스터 비콘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하는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하나의 마스터 비콘은 최대 7개까지의 슬레이브 비콘의 관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기 연결된 마스터 비콘과 슬레이브 비콘이 무선 환경의 변화, 또는 기타 여러 상황에 의하여 더 이상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기존에는 이러한 경우, 수동으로 슬레이브 비콘의 위치를 파악하여 수동 조작에 의해 슬레이브 비콘을 다른 마스터 비콘에 연결 시키거나 스마트 비콘과 슬레이브 비콘의 송출 전력을 수동으로 조정하였던바,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재설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슬레이브 비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적으로 효율적인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재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702607호 (명칭: 통신 네트워크에서 노드간의 추가경로 결정 방법 및 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노드, 1998.08.05)
상술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스터 비콘이 자신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하기에 적절한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다른 마스터 비콘과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연결 시킴으로써,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 인 경우, 연결을 해지하기 전에 마스터 비콘 및 슬레이브 비콘 중 어느 하나의 송출 전력세기를 증가시켜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높아진다면, 송출 전력시기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슬레이브 비콘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비콘은 슬레이브 비콘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 비콘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 및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 상기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비콘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이 연결 해지 후 다른 마스터 비콘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연결 해지 요청 전에,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및 상기 마스터 비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한 후, 상기 신호 인지율을 재측정하고, 상기 재측정된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비콘 관리서버에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한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다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과 연결할 수 있고, 다른 슬레이브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신호 송출 세기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면서,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을 탐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은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비콘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 마스터 비콘으로부터 연결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의 송출 전력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마스터 비콘을 제외한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른 마스터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송출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탐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마스터 비콘이 일정 시간동안 슬레이브 비콘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동안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상기 신호가 감지된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비콘 관리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비콘이 연결 해지 후 다른 마스터 비콘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및 상기 마스터 비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인지율을 재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연결 해지 요청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마스터 비콘이 비콘 관리서버로부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청 메시지 전송 단계 이전에, 신호 송출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슬레이브 비콘을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슬레이브 비콘이 무선으로 연결된 마스터 비콘으로부터 연결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송출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마스터 비콘을 제외한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다른 마스터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송출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 비콘이 자신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하기에 적절한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다른 마스터 비콘과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연결 시킴으로써,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 인 경우, 연결을 해지하기 전에 마스터 비콘 및 슬레이브 비콘 중 어느 하나의 송출 전력세기를 증가시켜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높아진다면, 송출 전력시기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슬레이브 비콘 관리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비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비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0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서버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 기술을 이용한 기지국 성능 측정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데이터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NFC가 한정된 수십cm 이내에서만 이용 가능한 반면, 상기 블루투스 방식은 수십m의 범위로 동작할 수 있어, 그 활용 분야가 훨씬 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방식은 NFC처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서 태그 할 필요가 없이, 비콘 장치가 설치된 곳을 지나가기만 하더라도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고, 건물 내에서도 상세한 위치 이동을 읽어와 맞춤형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기지국 성능 측정 방법은 반드시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Zigbee, UWB (Ultra-WideBand), ANT, Wi-fi, NFC 등, PAN (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들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마스터 비콘 2개와 슬레이브 비콘이 1개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고, 상기 슬레이브 비콘은 제1마스터 비콘에 관리하에 있고, 제2마스터 비콘은 제1마스터 비콘과 슬레이브 비콘의 연결이 해지되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을 제1마스터 비콘 대신에 관리할 마스터 비콘을 나타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마스터 비콘과 제2마스터 비콘의 역할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마스터 비콘은 반드시 하나의 슬레이브 비콘만을 관리하고 있지 않으며, 복수의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설명을 위한 슬레이브 비콘 외에 다른 슬레이브 비콘이 제1 마스터 비콘의 관리하에 있을 수 있으며, 설명을 위한 슬레이브 비콘을 제1 마스터 비콘 대신 관리할 제2 마스터 비콘이 이미 관리하고 있는 복수의 다른 슬레이브 비콘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마스터 비콘과 슬레이브 비콘은 모두 복수 개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은 복수의 마스터 비콘(200), 슬레이브 비콘(300), 비콘 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비콘(200)은 슬레이브 비콘(300)과 BLE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AN 방식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마스터 비콘(200)과 비콘 관리서버(4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연동된다.
그러면 도1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통신망(100)은 복수의 마스터 비콘(200)과 비콘 관리서버(400)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통신망(1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마스터 비콘(2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마스터 비콘(200)과 연결되며, 마스터 비콘(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비콘 관리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고, 반대로 비콘 관리 서버(400)로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마스터 비콘(20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콘 관리서버(400)는 코어망(미도시)과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스터 비콘(200)과 복수의 슬레이브 비콘(300)은 통상의 비콘 서비스를 위해서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때, 비콘 신호는 마스터 비콘(200) 및 슬레이브 비콘(300)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 정보 혹은 위치 정보 등과 같은 비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콘 식별 정보는 단말장치(미도시)가 비콘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준이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마스터 비콘(200)은 슬레이브 비콘(300)과 근거리 통신망(PAN)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을 관리하고, 슬레이브 비콘(300)에 일정한 명령 메시지 또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슬레이브 비콘(300)을 제어한다.
여기서 하나의 마스터 비콘(200)이 반드시 하나의 슬레이브 비콘(300)을 관리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슬레이브 비콘(300)을 관리할 수 있으며, 다른 마스터 비콘(200)과 근거리 통신망(PAN)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비콘(200)은 통신망(100)을 통해 비콘 관리서버(4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슬레이브 비콘(300)은 마스터 비콘(200)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스터 비콘(200)의 제어를 받는다.
여기서, 마스터 비콘(200)과 슬레이브 비콘(300)은 페어링(pairing)과 본딩(bonding)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마스터 비콘(200)은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신호를 통해 슬레이브 비콘(300)의 신호 인지율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인지율이란,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을 말한다.
비콘 관리서버(400)는 마스터 비콘(200)으로부터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 받으면, 대체 경로를 탐색하여 연결 해지 요청을 승인하고, 연갤 해지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 가능한 다른 마스터 비콘(200)에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비콘 관리서버(400)는 비콘 관리서버(400)가 관리하고 있는 마스터 비콘(200)의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 및 연결 해지를 요청하며, 이로써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서버(4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관한 제1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되어 있는 제1마스터 비콘(200a)가 연결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비콘(300)이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한다(S1001).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슬레이브 비콘(300)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 즉,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S1003),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측정한다(S1005).
만약,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비콘 관리서버(400)에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을 해지하겠다는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고(S1007), 연결 해지 요청을 수신한 비콘 관리서버(400)는 제1마스터 비콘(200a)을 대신하여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되어 슬레이브 비콘(300)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게 된다.
즉, 연결 해지 요청을 수신한 비콘 관리서버(400)는 무선 네트워크의 대체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S1009).
비콘 관리서버(400)가 제1마스터 비콘(200a)을 대신하여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되어,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이하, '제2 마스터 비콘(200b)'라고 한다.) 을 찾아내면, 제2마스터 비콘(200b)에게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하라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1).
또한, 연결 해지 요청을 한 제1마스터 비콘(200a)에게는 연결 해지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13).
상기 연결 해지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을 해지하고(S1015), 비콘 관리서버(400)로부터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제2마스터 비콘(200b)은 페어링 과정을 통해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한다(S1017).
이 때, 제2마스터 비콘(200b)은 슬레이브 비콘(30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제2마스터 비콘(200b)의 신호 송출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비콘 관리서버(400)가 연결 요청을 한 슬레이브 비콘(300)을 탐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될 수 있다.
도3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관한 제2실시 예를 살펴보면,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되어 있는 제1마스터 비콘(200a)가 연결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비콘(300)이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한다(S2001).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슬레이브 비콘(300)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 즉,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S2003),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측정한다(S2005).
만약,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제1 마스터 비콘(200a)은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시키고(S2007), 슬레이브 비콘(300)에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2009).
다만, 반드시 S2007과 S2009 단계가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만약, 제1 마스터 비콘(200a)의 송출 전력 세기 증가만으로 신호 인지율을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면, S2009 단계를 생략할 수 있고, 반대로 슬레이브 비콘(300)의 송출 전력 세기 증가만으로 신호 인지율을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면, S2007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제2실시 예에서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제1마스터 비콘(200a) 및 슬레이브 비콘(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출전력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1마스터 비콘(200a)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할 것인지, 슬레이브 비콘(300)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할 것인지, 아니면 슬레이브 비콘(300)과 제1마스터 비콘(200a) 모두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할 것인지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상태 및 베터리 수명 및 베터리 잔량 등을 고려하여 더 효율적인 방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와 같이 슬레이브 비콘(300)과 제1마스터 비콘(200a)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시킨 후, 신호 인지율을 재측정한 결과, 상기 재측정된 신호 인지율이 여전히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1 실시예 혹은 제 3실시예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S2009 과정을 모두 마친 후, 신호 인지율이 여전히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제 1실시예의 S1007 단계부터 구현되거나, 후술할 제 3실시예의 S3007 단계부터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과 제1마스터 비콘(200a) 및 슬레이브 비콘(300)의 송출 전력 세기를 최대 얼마만큼 증가시킬 것인지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이 될 것이고, 이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 배터리 수명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제3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되어 있는 제1마스터 비콘(200a)가 연결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비콘(300)이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한다(S3001).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슬레이브 비콘(300)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 즉,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S3003),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측정한다(S3005).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제1마스터 비콘(200a)과 슬레이브 비콘(300)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슬레이브 비콘(300)에 연결 해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7).
연결 해지 메시지를 수신한 슬레이브 비콘(300)은 제1마스터 비콘(200a)을 대신하여 자신과 연결될 다른 마스터 비콘, 즉, 제2마스터 비콘(200b)을 탐색할 수 있다(S3009).
이 때, 슬레이브 비콘(300)은 신호 송출 전력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제2마스터 비콘(200b)을 탐색할 수 있고, 상기 송출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제2마스터 비콘(200b)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비콘(300)이 탐색하는 마스터 비콘(200) 대상에서 제1마스터 비콘(200a)은 제외되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제1마스터 비콘(200a)과 슬레이브 비콘(300)의 연결이 효율적이지 않거나 부적절한 경우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라 할 것이다.
슬레이브 비콘(300)의 송출 전력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제1마스터 비콘(200a) 대신에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될 적절한 마스터 비콘인 제2마스터 비콘(200b)을 탐색한 슬레이브 비콘(300)은 제2마스터 비콘(200b)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11).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마스터 비콘(200b)은 슬레이브 비콘(300)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스터 비콘(200b)과 연결된 슬레이브 비콘(300)은 제1마스터 비콘(200a)에 연결 해지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연결을 해지하게 된다(S3015).
여기서, S3013 단계와 S3015 단계가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고, S3015 단계가 S3013 단계보다 먼저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시스템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 시스템의 구성 중,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비콘(2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5는 마스터 비콘(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6 내지 도7은 앞서 상술한 제1, 3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비콘(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8은 앞서 상술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비콘(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비콘(200)은 저장모듈(210), 통신모듈(230), 제어모듈(250)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모듈(21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마스터 비콘(2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21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비콘(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25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통신모듈(230)은 통신망(100)을 통해 비콘 관리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무선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위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신 모듈(23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3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마스터 비콘(20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비콘 관리 서버(4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230)은 제1통신모듈(231)과 제2통신모듈(233)을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231)은 슬레이브 비콘(300)과 무선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제 1통신 모듈(371)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통신모듈(233)은 통신망(100)을 통해 비콘 관리서버(400)와 통신한다. 여기서 제2통신모듈(233)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250)은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50)은 마스터 비콘(200)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어 모듈(250)이 제어하는 마스터 비콘(200)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도6 내지 도8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6은 앞서 상술한 제1, 3실시 예에서 상기 마스터 비콘(200)이 제1 마스터 비콘(200a)의 역할로 동작할 때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제1통신모듈(231)을 통해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비콘(300)으로부터 무선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를 감지하면(S101),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한다(S103).
그리고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되고(S105), 만약,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라면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을 유지하고,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비콘 관리서버(400) 또는 슬레이브 비콘(300)에 해당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을 끊겠다는 연결 해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7).
그 후, 연결 해지 승인 메시지를 상기 비콘 관리서버(400) 또는 슬레이브 비콘(300)으로부터 수신하면(S109),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을 해지할 수 있다(S111).
도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3 실시 예에서 마스터 비콘(200)이 새로이 연결되는 제2마스터 비콘(200b)의 역할을 하는 경우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제2마스터 비콘(200b)은 비콘 관리서버(400) 또는 슬레이브 비콘(300)으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1).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마스터 비콘(200b)은 신호 송출 세기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1통신모듈(231)을 제어하면서, 연결 요청 대상인 슬레이브 비콘(300)을 탐색할 수 있다(S203).
상기 탐색 과정에 의하여 연결 대상인 슬레이브 비콘(300)을 찾으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에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여(S205),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할 수 있다(S207).
S201 과정에서 상기 제2마스터 비콘(200b)이 비콘 관리서버(4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S205 과정에서 슬레이브 비콘(300)에 전송하는 연결 메시지는 연결 요청 메시지일 것이며, 이에 대응하는 연결 승인 메시지를 슬레이브 비콘(300)으로부터 수신하면, 제2마스터 비콘(200b)과 슬레이브 비콘(300)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1 과정에서 수신한 연결 요청 메시지가 슬레이브 비콘(300)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 메시지라면, S205 과정에서 송신하는 연결 메시지는 연결 승인 메시지일 것이며,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슬레이브 비콘(300)이 수신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과 제2 마스터 비콘(200b)이 연결될 수 있다.
도8은 상술한 제2 실시 예에서 마스터 비콘(2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제1통신모듈(231)을 통해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비콘(300)으로부터 무선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를 감지하면(S301),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한다(S303).
그리고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되고(S305), 만약,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라면 현 상태를 연결을 유지하고,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제1 마스터 비콘(200a) 및 슬레이브 비콘(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7~S309).
이 때, S307~S309 과정은 둘 다 실행될 수 있고, S307~S309 중 어느 하나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S309 과정에서 슬레이브 비콘(300)의 송출 전력 세기 증가 요청 메시지를 슬레이브 비콘(300)에 전송하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300)은 상기 제1마스터 비콘(200a)의 관리하에 있으므로,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신호 송출전력을 증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송출 전력 세기가 증가하도록 제어한 후,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여, 여전히 측정된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연결 해지 요청을 비콘 관리서버(400) 또는 슬레이브 비콘(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하였음에도, 신호 인지율이 여전히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라면, 도6의 S107 이하의 과정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도6 내지 도8에서 설명하는 스마트 비콘(200)의 일련의 동작과정은 스마트 비콘(200)의 제어모듈(2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비콘(2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3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9는 슬레이브 비콘(3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10은 앞서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11은 앞서 상술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200)은 저장모듈(310), 통신모듈(330), 제어모듈(350)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모듈(31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비콘(3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31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비콘(3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35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통신모듈(330)은 마스터 비콘(200)과의 무선 연결 유지를 위한 신호 및 각종 데이터를 위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신 모듈(330)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350)은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50)은 슬레이브 비콘(300)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어 모듈(350)이 제어하는 슬레이브 비콘(300)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도10 내지 도11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10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3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슬레이브 비콘(300)이 통신모듈(330)을 통해 제1마스터 비콘(200a)으로부터 연결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고(S401), 제2마스터 비콘(200b)으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403), 각 메시지를 승인하여 제1마스터 비콘(200a)의 연결을 해지하고(S405), 제2마스터 비콘(200b)과 연결할 수 있다(S407).
도11은 상술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3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슬레이브 비콘(300)이 통신모듈(330)을 통해 제1마스터 비콘(200a)으로부터 연결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면(S501), 통신 모듈(330)의 신호 송출 전력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제1마스터 비콘(200a)을 대신하여 연결할 마스터 비콘을 탐색할 수 있다(S503). 이 때, 슬레이브 비콘(300)은 송출 전력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연결할 마스터 비콘을 탐색할 수 있다.
탐색 결과, 제1마스터 비콘(200a) 대신에 연결할 제2마스터 비콘(200b)을 찾으면, 상기 제2마스터 비콘(200b)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505), 제2 마스터 비콘(200b)이 이를 승인하면, 상기 제2마스터 비콘(200b)과 연결할 수 있다(S507).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제2 실시 예에서 슬레이브 비콘(300)은 제1마스터 비콘(200a)으로부터 송출 전력 세기 증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할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도10 내지 도11에서 설명하는 슬레이브 비콘(300)의 일련의 동작과정은 슬레이브 비콘(300)의 제어모듈(3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비콘(3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4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12는 비콘 관리서버(4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13은 앞서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서버(4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관리서버(400)는 저장모듈(410), 통신모듈(430), 제어모듈(450)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모듈(41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비콘 관리서버(4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41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관리서버(4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45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관리서버(400)의 저장모듈(410)은 각 마스터 비콘(200)과 슬레이브 비콘(30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정보, 무선 네트워크 연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는 각 마스터 비콘(200)이 관리하고 있는 슬레이브 비콘(300)에 관한 정보 및 연결 관계 정보, 각 마스터 비콘(200)과 각 슬레이브 비콘(300)의 신호 송출 전력 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30)은 통신망(100)을 통해 마스터 비콘(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신 모듈(43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43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비콘 관리서버(40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마스터 비콘(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430)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450)은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450)은 비콘 관리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어 모듈(450)이 제어하는 비콘 관리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도13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13은 앞서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 비콘 관리서버(4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비콘 관리서버(400)가 제1마스터 비콘(200a)으로부터 슬레이브 비콘(300)과의 연결을 해지하겠다는 연결 해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601), 저장 모듈(41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활용하여, 상기 제1마스터 비콘(200a) 대신 슬레이브 비콘(300)을 관리할 대체 마스터 비콘을 탐색할 수 있다.
즉, 무선 네트워크의 대체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탐색결과, 제1마스터 비콘(200a)을 대신할 대체 마스터 비콘인 제2마스터 비콘(200b)을 찾으면, 제1마스터 비콘에 연결 해지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605), 제2마스터 비콘(200b)에게 슬레이브 비콘(300)과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7).
상술하였듯이, 도13에서 설명하는 비콘 관리서버(400)의 일련의 동작과정은 비콘 관리서버(400)의 제어모듈(4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4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에서 기지국 성능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4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비콘 관리서버(4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통해 마스터 비콘(2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마스터 비콘(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를 통해 비콘 관리서버(400) 또는 슬레이브 비콘(3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8)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14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지국 성능 측성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 비콘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이 낮아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유지가 어려운 경우, 상기 마스터 비콘을 대신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효율성 있게 재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 비콘이 자신이 관리하는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하기에 적절한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다른 마스터 비콘과 상기 해지된 슬레이브 비콘을 연결 시킴으로써,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 인 경우, 연결을 해지하기 전에 마스터 비콘 및 슬레이브 비콘 중 어느 하나의 송출 전력세기를 증가시켜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높아진다면, 송출 전력시기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슬레이브 비콘을 관리할 다른 마스터 비콘을 탐색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슬레이브 비콘 관리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방법을 통해 비콘 서비스 산업 및 이동통신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통신망 200: 마스터 비콘 300: 슬레이브 비콘
400: 비콘 관리서버

Claims (16)

  1. 비콘 관리서버 및 슬레이브 비콘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 상기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비콘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이 연결 해지 후 다른 마스터 비콘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 해지 요청을 상기 비콘 관리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전송한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비콘.
  2. 비콘 관리서버 및 슬레이브 비콘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일정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 상기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비콘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비콘이 연결 해지 후 다른 마스터 비콘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비콘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슬레이브 비콘으로부터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비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연결 해지 요청 전에, 상기 슬레이브 비콘의 신호 및 상기 마스터 비콘의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출 전력 세기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한 후, 상기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비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다른 슬레이브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신호 송출 세기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면서,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비콘.
  5. 마스터 비콘이 일정 시간동안 슬레이브 비콘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일정 시간동안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상기 신호가 감지된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측정된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비콘 관리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을 해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비콘이 연결 해지 후 다른 마스터 비콘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6. 삭제
  7. 삭제
  8. 마스터 비콘이 일정 시간동안 슬레이브 비콘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일정 시간동안 기 설정된 신호세기 이상으로 상기 신호가 감지된 비율인 신호 인지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측정된 인지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비콘 관리서버 또는 상기 슬레이브 비콘으로 연결 해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비콘이 연결 해지 후 다른 마스터 비콘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비콘이 상기 비콘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슬레이브 비콘으로부터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과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다른 슬레이브 비콘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145146A 2015-10-19 2015-10-19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8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46A KR102387266B1 (ko) 2015-10-19 2015-10-19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5/297,601 US9872224B2 (en) 2015-10-19 2016-10-19 Method for constructing beacon topology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46A KR102387266B1 (ko) 2015-10-19 2015-10-19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509A KR20170045509A (ko) 2017-04-27
KR102387266B1 true KR102387266B1 (ko) 2022-04-15

Family

ID=5870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46A KR102387266B1 (ko) 2015-10-19 2015-10-19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268B1 (ko) * 2018-08-27 2023-04-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05127B2 (en) * 2019-04-25 2022-08-02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hanging a master node in a wired local area network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045A (ja) * 2000-08-12 201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ネットワークの伝送電力最適化方法
KR101278730B1 (ko) * 2012-11-16 2013-06-25 (주)이노비드 바이너리 cdma 통신의 주파수 간섭 회피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49674B1 (ko) 2012-12-12 2014-10-1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이동형 게이트웨이 및 이동형 게이트웨이의 센싱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13128T2 (de) 1995-08-07 2001-11-29 British Telecomm Wegsuche in kommunikationsnetzwerken
KR20120113495A (ko) * 2011-04-05 2012-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 있어서 경로 변경 방법 및 경로 변경 장치
KR101341990B1 (ko) * 2011-11-18 2013-12-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세스 포인트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475006B1 (ko) * 2013-05-30 2014-12-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그룹 통신시스템,무선그룹 통신시스템을 위한 무선그룹 통신장치,및 무선그룹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045A (ja) * 2000-08-12 201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ネットワークの伝送電力最適化方法
KR101278730B1 (ko) * 2012-11-16 2013-06-25 (주)이노비드 바이너리 cdma 통신의 주파수 간섭 회피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49674B1 (ko) 2012-12-12 2014-10-1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이동형 게이트웨이 및 이동형 게이트웨이의 센싱 데이터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509A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127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382896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TWI547188B (zh) 用於選擇用於無線網路探索的存取點之技術
WO2016161853A1 (zh) 中继节点切换方法及系统
EP2797379A1 (en) Repeating method of wireless repeating device, and wireless repeating device
WO20161383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mmunicating time varying data
KR102370286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41592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9888376B2 (en) Autonomous enhanced node B
US97064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multi-band based link in wireless LAN system
KR102387266B1 (ko)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984813B (zh) 数据直通处理方法、设备和系统
KR102310067B1 (ko) 복수의 비콘 장치 연결 방법 및 장치
US929424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mon control channe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386606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서 비콘 장치의 이상 상태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02036B1 (ko) 동적 비콘 네트워크 구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374409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310068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47462B1 (ko) 비콘 네트워크 구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396314B1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업그레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24073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pport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70078108A (ko) 무선 메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21014772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wb 기반의 통행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83125B2 (en) Radio routing agent, call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Muralidhar et al. A novel ferryinitiated message ferrying approach for data delivery in disconnected mobile ad hoc networks through native fer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