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978B1 -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978B1
KR102386978B1 KR1020200147120A KR20200147120A KR102386978B1 KR 102386978 B1 KR102386978 B1 KR 102386978B1 KR 1020200147120 A KR1020200147120 A KR 1020200147120A KR 20200147120 A KR20200147120 A KR 20200147120A KR 102386978 B1 KR102386978 B1 KR 102386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ath
port
failov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동
조영중
Original Assignee
(주)한드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드림넷 filed Critical (주)한드림넷
Priority to KR102020014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7Error correction, e.g. fault recovery or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3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using establishment or release of connections betwee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는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포트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제1 포트가 연결된 제1 경로에서 장애 발생 시,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포트가 연결된 제2 경로로 절체하는 제1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3 포트,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4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제1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와 제3 포트가 연결된 제3 경로를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4 포트가 연결된 제4 경로로 절체하는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ETHERNET PATH FAILOVER}
본 발명은 네트워크 보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더넷(Ethernet)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WAN(wide area network)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이더넷은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이더넷 허브(ethernet hub)는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한 대의 허브를 중심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가 마치 별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며, 같은 허브에 연결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는 모두 상호 간에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더넷 스위치는 허브와 목적이 거의 동일하지만, 훨씬 향상된 네트워크 속도를 제공한다. 이는 각 컴퓨터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가 허브처럼 다른 모든 컴퓨터에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만 전송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대부분의 이더넷 스위치는 전이중 통신방식(full duplex)을 지원하기 때문에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훨씬 향상된 속도를 제공한다. 이더넷 스위치는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고유한 MAC 주소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며, 이 주소를 통해 어떤 데이터가 어디로 전송되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한다.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포트 스위칭 허브(port switching hub)라고도 불린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20-0086507 호“이더넷 링크 절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는 복수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이 릴레이와 하트비트 패킷을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절체하는 이더넷 링크 절체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중화 네트워크 환경에서 링크 다운 혹은 경로 실패를 판별하고,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장이나 장애 발생시 빠른 시간 이내에 대체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패킷 흐름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는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포트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제1 포트가 연결된 제1 경로에서 장애 발생 시,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포트가 연결된 제2 경로로 절체하는 제1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3 포트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4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제1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와 제3 포트가 연결된 제3 경로를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4 포트가 연결된 제4 경로로 절체하는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각각은 서버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링크 스위치 모듈이 그룹 멤버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에 대한 핑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스위치 모듈의 장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핑 응답의 기설정된 요청 주기와 상기 기설정된 요청 주기 마다의 기설정된 요청 횟수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핑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링크 스위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해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포트들의 링크-업 상태, 경로 전환 상태 및 동작 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상기 제2 페일 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제1 경로에 대한 장애가 복구되어도,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에 따른 상기 제4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은 제어 모듈 및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을 포함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의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에 있어서,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포트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2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1 스위치와 제1 포트가 연결된 제1 경로에서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포트가 연결된 제2 경로로 절체하는 제1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3 포트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4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이,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제1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와 제3 포트가 연결된 제3 경로를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4 포트가 연결된 제4 경로로 절체하는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각각은 서버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링크 스위치 모듈이 그룹 멤버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에 대한 핑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스위치 모듈의 장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핑 응답의 기설정된 요청 주기와 상기 기설정된 요청 주기 마다의 기설정된 요청 횟수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핑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링크 스위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해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포트들의 링크-업 상태, 경로 전환 상태 및 동작 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상기 제2 페일 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경로에 대한 장애가 복구되어도,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에 따른 상기 제4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화 네트워크 환경에서 링크 다운 혹은 경로 실패를 판별하고,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장이나 장애 발생시 빠른 시간 이내에 대체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패킷 흐름을 복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은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100), 서버(10), PRI L2 스위치(20), SEC L2 스위치(30), 게이트웨이 L3 스위치(40) 및 통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NEGEMENT SYSTEM, NMS)(50)를 포함한다.
PRI 스위치(20) 및 상기 SEC 스위치(30) 각각은 서버(10)와 게이트웨이(40) 사이에 연결되고, 서버(10)가 상기 PRI 스위치(20) 및 상기 SEC 스위치(30)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게이트웨이(4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100)는 하나의 제어 모듈(CONTROL MODULE, CM)(110)과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LINK SWITCH MODULE, LSM)(120)들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110)은 CPU를 포함하고, 상위장비 감시기능을 이용하여 C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10)은 PRI 및 SEC 스위치(20, 30)의 개별 포트가 아닌 PRI 및 SEC 스위치(20, 30)와 게이트웨이(40)의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PRI 및 SEC 스위치(20, 30) 단위로 경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다른 데이터 통신 경로로 CM 포트 및 다수개의 LSM 포트들을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10)은 PRI 및 SEC 스위치(20, 30)와 게이트웨이(40)의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PRI 포트(120)와 PRI 스위치(20) 사이 통신 장애 감시, PRI 포트(120)에서 PRI 스위치(20)를 거쳐 게이트웨이(40) 사이의 통신 장애 감시 및 PRI 포트(120)에서 PRI 스위치(20), 게이트웨이(40), SEC 스위치(30)까지의 통신 장애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10)은 상기 통신 장애 감시에 따라 C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거나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 스위치 모듈(120)은 FPGA로 구성되어 자체적인 링크 감시를 이용하여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링크 스위치 모듈(120)은 제어 모듈(110)이 상위 PRI 및 SEC 스위치(20, 30)에 연결된 PRI 및 SEC 포트(111, 112)에서 감지하고, LSM 페일오버 동작 명령에 따라 PRI 포트(121)에서 SEC(123)포트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시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100)는 제어 모듈(110) 및 링크 스위치 모듈(120)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CONTROL MODULE, CM)(110)은 CPU를 내장하고, 상위장비 감시기능을 이용하여 C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M(110)은 PRI 스위치(20)와 연결된 PRI 포트(111) 및 SEC 스위치(30)와 연결된 SEC 포트(112)를 포함하고, 상기 SEC 스위치(112)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120)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PRI 스위치(20)와 PRI 포트(111)가 연결된 CM PRI 경로에서 장애 발생 시, 상기 SEC 스위치(30)와 상기 SEC 포트(112)가 연결된 CM SEC경로로 절체하는 C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 스위치 모듈(LINK SWITCH MODULE, LSM)(120)은 FPGA로 구성되어 자체적인 링크 감시를 이용하여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100)는 CM(110)에 의한 페일오버(Failover) 모드로 운영할 수 있고, LSM(120)의 자체적인 페일오버(Failover) 모드로 운영할 수도 있다.
CM(110)은 LSM(120) 초기화 및 LSM PRI, SRC 및 SEC 포트(121, 122, 123)를 초기화하고 운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CM(110)은 CM(110)의 PRI, SEC 포트(111, 112)를 통해 PRI 및 SEC 스위치(20, 30) 및 게이트웨이(40)에 대한 통신경로를 감시(Ping 응답)하여 감시대상 장치가 응답이 없을 경우 LSM(120)이 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RI 포트(111)는 상위 Primary Switch(20)에 연결되고, SEC 포트(112)는 상위 Secondary Switch(30)에 연결될 수 있다.
CM(110)은 PRI 포트(111)가 Active로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PRI 포트(111)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PRI 및 SEC 스위치(20, 30) 및 게이트웨이(40)에 대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PRI 및 SEC 포트(111, 112)는 CM Failover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동일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동일한 IP 및 MAC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PRI 및 SEC 포트(111, 112)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지만 포트간 통신은 루프방지를 위해 차단되어 있으며, PRI 및 SEC 포트(111, 112)가 모두 Link-up일 경우 PRI 및 SEC 스위치(20, 30)가 연결된 게이트웨이 L3 스위치(40)에서 MAC Flap이 발생하게 되므로 PRI 및 SEC 포트(111, 112)는 Active-Standby(Shutdown)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Active 포트가 link-up 이면 Standby 포트는 shutdown 시켜 강제로 link-dow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M(110)은 PRI 및 SEC 포트(111, 112)와 연결될 감시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CM(110)은 감시대상 장비의 IP 주소를 등록하며 복수개의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CM(110)은 각 감시대상 장비마다 Failure 감지조건인 Retry 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Failure 발생시 동작할 Action을 지정할 수 있고, 감시 path가 Primary path일 때와 Secondary path일때를 구분해서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CM(110)은 감시 대상을 그룹(Group)으로 설정할 수 있다.
CM(110)은 Failover 운영의 융통성을 위해 감시대상 중 일부 혹은 전체를 그룹(Group)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Group으로 설정된 모든 감시대상이 장애(Failure)발생시 A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M(110)은 감시대상 그룹(Group) 설정이 없을 경우 감시대상 중 하나라도 장애(Failure)가 발생하면 A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LSM(120)들은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LSM이 그룹 멤버로 설정될 수 있다.
CM(110)은 전체 감시대상 중 일부만 그룹(Group)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룹(Group)으로 설정된 모든 감시대상에서 장애(Failure) 발생시 혹은 그룹(Group)으로 설정되지 않은 감시대상에서 장애(Failure) 발생시 A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M(110)은 감시 경로(path)가 Primary path일 때와 Secondary path일때를 구분해서 별도로 감시대상 그룹(Group)을 설정할 수 있다.
CM(110)은 PRI 포트(111)의 Link 상태 감시 및 Primary 스위치(20)와 Secondary 스위치(30)로의 Ping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PRI 포트(111)의 Ping 응답을 확인하여 Primary 또는 Secondary 스위치(20, 30)에 대한 데이터 통신 경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상기 PRI 스위치(20)와 상기 SEC 스위치(30)에 대한 핑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LSM(120)의 장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ng 메시지의 기설정된 기본 전송주기는 500ms(0.5초)이며, 기설정된 연속된 기본 응답실패 횟수인 20개부터 Failure 처리될 수 있다. 전송주기 및 응답실패 횟수는 사용환경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CM(110)은 Monitor ping(ICMP Echo)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위 스위치 감시 및 통신경로가 유효한지 감시할 수 있다.
PRI 포트(111)와 SEC 포트(112)는 Active-Standby 모드로 동작하며 Standby 모드일 경우 Admin down 상태일 수 있다.
PRI 포트(111)는 기본적으로 Active 포트이고 Primary path가 Active path로 동작될 수 있다.
Active path가 Primary인 상태에서 장애(Failure) 발생이 감지되고 장애(Failure) 발생 감지 시 수행할 Action이 Failover로 설정되어 있으면 Active path는 PRI 포트(111) 에서 SEC 포트(112)로 전환될 수 있다.
CM(110)은 설정된 Interval 마다 Ping(ICMP Echo) 메시지를 전송하고, 연속하여 Retry개(설정가능) Ping 응답 미수신시 장애(Failure)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핑 응답의 기설정된 요청 주기와 상기 기설정된 요청 주기 마다의 기설정된 요청 횟수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핑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장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Interval * Retry 시간 동안 Ping 응답 메시지가 없으면 장애(Failure)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CM(110)은 CM 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M(110)은 장애(Failure) 발생 시, CM Failover 동작으로 알람과 페일오버 Action을 동작시킬 수 있다.
알람(Alarm)은 장애(Failure) 발생시 시스템 로그와 SNMP Trap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페일오버(Failover)는 장애(Failure) 발생시 전체 LSM(120)의 절체를 수행하고, 알람(Alarm)을 발생시킬 수 있다.
CM(110)은 Active 포트가 장애(Failure) 발생으로 link-down된 경우, 더 이상 상위장비 감시가 불가하며 이 경우 Alarm 혹은 Failover Action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Default로 Alarm 동작을 수행).
이 때, CM(110)은 PRI 포트(111)에서 Failure(Ping 응답 실패) 발생 시, CM Failover 기본 동작으로 PRI 포트(111)를 Shutdown 시키고, SEC 포트(112)의 Shutdown을 해제하여 SEC 포트(112)가 Link-Up되면 모든 LSM(120)의 통신 경로를 SEC 포트(112)로 강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통신경로 전환 후에, SEC 포트(112)를 통해 통신경로를 재감시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을 이용한 상위장비 감시 수행 시 동작하는 CM Failover 모드는 Restore-Once, Restore-Continue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Restore-Once 모드는 최초 장애(Failure) 발생 시에만 Failover 동작 수행하고, 이후 장애(Failure) 발생 시 알람(Alarm) 만 수행할 수 있다.
Restore-Continue 모드는 모든 장애(Failure) 발생 시마다 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M(110)은 Restore-Once 모드 사용 시 Failover 기능을 다시 동작 시키려면 관리자가 명령으로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CM(110)은 감시 대상이 그룹(Group)으로 설정된 경우, 그룹으로 설정된 감시 대상이 모두 Failure 발생된 경우에만, LSM(120)을 통해 LSM 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LSM(12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LSM(120)들에 대해 상기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그룹 멤버의 감지 대상 LSM(120) 중 어느 하나, 기설정된 개수 또는 모든 LSM에서 장애(Failure)가 발생한 경우, LS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SM 들이 12개이고, 그룹 멤버로 설정된 LSM이 8개 이면, CM(110)은 그룹 설정에 따라 그룹 멤버로 설정된 LSM 중 1개만 장애가 발생해도 LS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룹 멤버로 설정된 LSM 중 기설정된 개수인 4개 이상이면 LS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룹 멤버로 설정된 LSM 중 8개 모두 장애가 발생해야지만 LS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하도록 그룹 설정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CM(110)은 PRI 및 SEC 포트(111, 112) 별로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룹에 포함된 감시 대상에 장애(Failure) 발생 시 LS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람(Alarm)을 보낼 수 있다.
CM(110)은 Ping을 이용한 감시 중 PRI 포트(111) Link-down시 또는 Primary 스위치(20)의 Ping 응답 실패 및 Secondary 스위치(30)의 Ping 성공이 감지되면 설정된 처리절차에 따라 동작되며, Primary 스위치(20)의 Ping 실패 및 Secondary 스위치(30) Ping 실패 시에는 기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CM(110)은 Monitor p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onitor ping 동작 모드는 Restore-Once와 Restore-Continue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Restore-Once 모드는 Failover를 한 번만 수행하며 Failover를 수행한 이후에는 다시 Failure가 감지되어도 Failover를 수행하지 않고 Alarm 동작만 수행할 수 있다.
Restore-Continue 모드는 Failure가 감지될 때마다 Failover를 수행할 수 있다.
Monitor ping 동작 모드는 restar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M(110)은 명령어 수행 시 선택된 path로(pri/sec) Monitor Ping 기능을 재시작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기존에 발생한 장애(Failure)로 인해 변경된 Monitor 상태를 초기화 하고 모든 LSM(120)을 지정된 경로(path)로 Failover 시킨 후 Monitor ping 기능을 재시작할 수 있다.
CM(110)은 Monitor ping 동작으로 먼저 Monitor ping 동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SEC 포트(112)를 shutdown 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PRI 포트(111)로 각 감시대상에게 ICMP Echo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설정된 Interval 마다 ICMP Echo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ICMP Echo response 메시지를 Retry * Interval(ms)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장애(Failure)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Action이 Alarm일 경우 시스템 로그 및 SNMP Trap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CM(110)은 Alarm event가 발생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ICMP Echo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감시대상으로부터 ICMP Echo response 메시지를 수신 시 Alarm event 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CM(110)은 ICMP Echo response 메시지를 Retry * Interval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해 장애(Failure)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Action이 Failover일 경우 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Active 포트가 link-down된 경우 CM 감시포트 link-down시 Action이 Alarm 이면 Failover 동작 없이 Alarm event만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감시대상이 그룹(Group) 설정된 경우 Group에 포함된 일부 감시대상만 장애(Failure)가 발생한 경우에는 Alarm event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CM(110)은 Restore-Once 모드일 경우 Alarm event만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모든 LSM의 경로를 변경(기존 Primary path 일 경우 Secondary path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Active 포트를 shutdown 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Standby 포트를 no shutdown 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Standby 포트가 Link-up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Holding 상태)할 수 있다.
이 때, CM(110)은 Alarm event(시스템 로그 및 SNMP Trap 발생)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CM(110)은 변경된 Path로 Monitor p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onitor ping 동작 상태는 Disabled, Stable, Failover, Fault, Flapping 및 Holding을 포함할 수 있다.
Disabled는 Monitor ping 동작이 비활성화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Stable은 최초 활성화 후 Failover 없이 Primary path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 (Alarm event가 발생하여도 Failover가 없었으면 Stable 상태로 표기함)를 나타낼 수 있다.
Failover는 Failure가 발생하고 절체 조건에 의해 Active path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Fault는 Restore-Once 모드로 동작 시 Failover된 이후 다시 절체 조건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Flapping는 Restore-Continue 모드로 동작 시 Failover된 이후 다시 절체 조건이 발생하여 Active path를 변경한 경우(Flapping 상태에서 Active path를 계속 변경하여도 Flapping 상태로 계속 표기)를 나타낼 수 있다.
Holding은 ICMP Echo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Holding은 절체 동작 시 CM 포트를 변경 후 변경된 포트가 Link-up 되기까지 일시적으로 Monitor ping이 대기중인 상태(CM port changing)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Holding은 CM 포트 linkdown-action이 Alarm 설정이고 Active port가 Link down이 되어 Monitor ping이 비활성화 중인 상태(CM port down)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링크 스위치 모듈(120)은 FPGA로 구성되어 자체적인 링크 감시를 이용하여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SM(120)은 서버(10) 및 이중화 감시대상인 상위 Primary, Secondary 스위치(20, 30)를 연결할 수 있다.
LSM(120)은 서버(10)와 연결되는 SRC 포트(122), 상위 Primary 스위치(20)와 연결되는 PRI 포트(121), Secondary 스위치(30)와 연결되는 SEC 포트(123)를 포함하고, Active 포트와 Standby 포트의 Link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동작할 수 있다.
LSM(120)은 PRI 스위치(20)와 연결된 PRI 포트(121) 및 SEC 스위치(30)와 연결된 SEC 포트(122)를 포함하고, CM(110)의 CM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PRI 스위치(20)와 PRI 포트(121)가 연결된 LSM PRI 경로를 상기 SEC 스위치(30)와 상기 SEC 포트(123)가 연결된 LSM SEC 경로로 절체하는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SM(120)의 PRI 및 SEC 포트(121, 123)는 Active-Standby로 동작되며, 기본적으로 PRI 포트(121)가 Active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LSM(120)은 System 및 LSM(120) 장애 시 Bypass 기능을 지원하여 데이터 통신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Bypass는 기본적으로 'System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동작 중이던 LSM을 탈착한 경우', '관리자에 의한 Bypass on 명령'에 동작되며, Bypass 동작 시 연결 경로는 LSM(120)이 최종 동작되었던 포트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Bypass 기능이 활성화되면 하드웨어적인 Bypass 구조로 변경되므로 CM(110) 및 LSM(120)의 Failover 기능은 더 이상 동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
Bypass 동작에서 일반 상태로 복구(Bypass Off) 시에는 Bypass 동작 시와 마찬가지로 Bypass로 동작 중이던 포트가 Active로 동작되며, LSM(120)에 대한 관리자 설정이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설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공장초기화(Factory-default), CM(110) 및 LSM(120) 재시작 수행 시에는 LSM 초기화 후 PRI 포트(121)가 Active 포트로 변경될 수 있다.
LSM(120)은 LSM Auto 및 Manual 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uto Switch(Failover) 모드는 Active 포트 장애 시 Standby 포트로 자동적으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Manual Switch(Failover) 모드는 관리자 명령에 의해 지정한 포트로 강제 경로 전환할 수 있다.
LSM(120)는 LSM Failover 동작 후 복구 모드로 Latch 및 Restore 모드를 제공하며 LSM 동작모드가 Auto Switch로 설정된 경우에만 복구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Restore 모드는 Active 포트 장애 시 Standby 포트로 경로 전환된 후 Active 포트 장애가 복구되면 즉시 Active 포트로 다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Latch 모드는 Active 포트 장애 시 Standby 포트로 경로 전환된 후 Active 포트 장애가 복구되어도 Standby 포트로 통신하며, Standby 포트 장애 시 Active 포트로 다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LSM(120)은 그룹 모드(Group mode)를 지원할 수 있다.
CM(110)에 의해 원하는 LSM들이 그룹(Group)으로 설정된 경우, Group member중 어느 하나에서 경로전환이 발생할 경우 Group 내 나머지 LSM도 동일한 상태로 강제 경로 전환될 수 있다.
그룹(Group) 설정은 항상 유효하지만 그룹 동작은 기설정된 그룹 조건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그룹 조건은 그룹(Group) 내 LSM 들의 PRI/SEC/SRC 포트들이 모두 Link-up 상태를 만족해야 한다.
그룹 조건은 그룹(Group) 내 LSM 들의 경로 전환상태가 동일해야 한다(즉, Active 포트가 PRI 포트 또는 SEC 포트로 동일해야 한다).
그룹 조건은 그룹(Group) 내 LSM(120) 들은 Auto Switch 및 Latch Mode이어야 한다.
이 때, LSM(120)은 그룹 조건에 따라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LSM들의 포트들의 링크-업 상태, 경로 전환 상태 및 동작 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상기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LSM(120)은 상기 Latch Mode에 따라 CM PRI 경로 또는 LSM PRI 경로에 대한 장애가 복구되어도, 상기 LSM 페일오버 동작에 따른 상기 LSM SEC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10)와 상기 게이트웨이(40) 사이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CM(110)은 그룹(Group) 설정 시 상기 그룹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Warning 로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그룹(Group) 동작 모드는 Firmware에 의해 지원되므로 전체 경로 전환시간은 1초 이내 수행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은 먼저 운영 모드 및 그룹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210).
즉, 단계(S210)는 PRI 스위치(20)와 연결된 PRI 포트(111) 및 SEC 스위치(30)와 연결된 SEC 포트(112)를 포함하는 CM(110)이 상기 SEC 스위치(112)와 연결된 LSM들(120)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은 스위치 및 통신 경로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S220).
즉, 단계(S232)는 CM(110)이, 상기 제1 스위치와 제1 포트가 연결된 제1 경로에서 장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상기 PRI 스위치(20)와 상기 SEC 스위치(30)에 대한 핑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LSM(120)의 장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상기 핑 응답의 기설정된 요청 주기와 상기 기설정된 요청 주기 마다의 기설정된 요청 횟수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핑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은 장애(FAILURE)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S230).
즉, 단계(S230)는 장애 발생을 판단한 경우, C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S240), 장애 발생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은 C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0).
즉, 단계(S240)는 CM(110)이, 상기 SEC 스위치(30)와 상기 SEC 포트(112)가 연결된 SEC 경로로 절체하는 C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은 LSM 페일오버(FAILOV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50).
즉, 단계(S250)는 상기 PRI 스위치(20)와 연결된 PRI 포트(121) 및 상기 SEC 스위치(30)와 연결된 SEC 포트(123)를 포함하는 LSM(120)이, 상기 CM(110)의 상기 CM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PRI 스위치(20)와 PRI 포트(121)가 연결된 LSM PRI 경로를 상기 SEC 스위치(30)와 상기 SEC 포트(123)가 연결된 LSM SEC 경로로 절체하는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50)는 CM(110)이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LSM(12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LSM(120)들에 대해 상기 LSM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50)는 LSM(120)이 그룹 조건에 따라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LSM의 포트들의 링크-업 상태, 경로 전환 상태 및 동작 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LSM에 대한 상기 LSM 페일 오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50)는 상기 CM PRI 경로 또는 LSM PRI 경로에 대한 장애가 복구되어도, 상기 LSM 페일오버 동작에 따른 상기 LSM SEC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10)와 상기 게이트웨이(40) 사이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서버 20: PRI 스위치
30: SEC 스위치 40: 게이트웨이
50: NMS
100: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110: 제어 모듈 120: 링크 스위치 모듈

Claims (16)

  1.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포트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제1 포트가 연결된 제1 경로에서 장애 발생 시,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포트가 연결된 제2 경로로 절체하는 제1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3 포트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4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제1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와 제3 포트가 연결된 제3 경로를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4 포트가 연결된 제4 경로로 절체하는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이 그룹 멤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 중 장애가 발생한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해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각각은
    서버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에 대한 핑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스위치 모듈의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핑 응답의 기설정된 요청 주기와 상기 기설정된 요청 주기 마다의 기설정된 요청 횟수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핑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포트들의 링크-업 상태, 경로 전환 상태 및 동작 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상기 제2 페일 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제1 경로에 대한 장애가 복구되어도,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에 따른 상기 제4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9. 제어 모듈 및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을 포함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의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에 있어서,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포트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2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그룹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1 스위치와 제1 포트가 연결된 제1 경로에서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포트가 연결된 제2 경로로 절체하는 제1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3 포트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4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이,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제1 페일오버 동작 및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와 제3 포트가 연결된 제3 경로를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4 포트가 연결된 제4 경로로 절체하는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은
    상기 그룹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이 그룹 멤버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복수개의 링크 스위치 모듈들 중 장애가 발생한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해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각각은
    서버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에 대한 핑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그룹 멤버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 스위치 모듈의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장애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핑 응답의 기설정된 요청 주기와 상기 기설정된 요청 주기 마다의 기설정된 요청 횟수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핑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애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의 포트들의 링크-업 상태, 경로 전환 상태 및 동작 모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그룹 멤버에 포함된 모든 링크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상기 제2 페일 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경로에 대한 장애가 복구되어도, 상기 제2 페일오버 동작에 따른 상기 제4 경로를 통한 상기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방법.
KR1020200147120A 2020-11-05 2020-11-05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KR10238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20A KR102386978B1 (ko) 2020-11-05 2020-11-05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20A KR102386978B1 (ko) 2020-11-05 2020-11-05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978B1 true KR102386978B1 (ko) 2022-04-18

Family

ID=8139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120A KR102386978B1 (ko) 2020-11-05 2020-11-05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9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978A (ko) * 2001-07-27 2004-02-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페일오버 또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이용한 네트워크노드 페일오버
JP2007027954A (ja) * 2005-07-13 2007-02-01 Nec Corp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およびレイヤ2スイッチ
KR20140140973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가상 머신 기반의 무중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패킷 중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978A (ko) * 2001-07-27 2004-02-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페일오버 또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이용한 네트워크노드 페일오버
JP2007027954A (ja) * 2005-07-13 2007-02-01 Nec Corp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およびレイヤ2スイッチ
KR20140140973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가상 머신 기반의 무중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패킷 중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2508B1 (en) Monitoring link aggregation links
US6895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arting fault tolerance in a switch or the like
US66585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ymmetrically maintaining system operability
US7835265B2 (en) High availability Ethernet backplane architecture
CA2564057C (en) Method of switching between network connection devices using redundancy protocol and pseudo redundant configuration setting means and network system
US8930608B2 (en) Switch disk array, storage system and data storage path switching method
US8493840B2 (en) Fault-tolerant ethernet network
EP176832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load decentraliz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08118197A2 (en) Disabled state and state signaling for link aggregation
US20030233473A1 (en) Method for configuring logical connections to a router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WO2015007096A1 (zh) 主、备用设备切换方法及装置
WO2006102826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e sauvegarde de service de donnees
CN111510398A (zh) 用于控制平面网络中的冗余连接的控制设备和方法
US8711681B2 (en) Switch redundancy in systems with dual-star backplanes
JP2020088470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チーミングプログラム
KR102386978B1 (ko) 이더넷 경로 페일오버 장치 및 방법
JP2008199081A (ja) ファイアウォール装置およびファイアウォールシステム
JP2007027954A (ja)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およびレイヤ2スイッチ
Cisco Configuring LocalDirector Failover
Cisco LocalDirector Failover
Cisco Configuring LocalDirector Failover
Cisco Failover
Cisco LocalDirector Hot-Standby Failover
Cisco LocalDirector Hot-Standby Failover
Cisco LocalDirector Hot-Standby Fail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