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248B1 - A multi purpose broom - Google Patents

A multi purpose b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248B1
KR102386248B1 KR1020200142709A KR20200142709A KR102386248B1 KR 102386248 B1 KR102386248 B1 KR 102386248B1 KR 1020200142709 A KR1020200142709 A KR 1020200142709A KR 20200142709 A KR20200142709 A KR 20200142709A KR 102386248 B1 KR102386248 B1 KR 10238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erial
material contact
unit
auxiliary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798A (en
Inventor
오문섭
오다연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오문섭
오다연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062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20792A/en
Application filed by 오문섭, 오다연, 이예순 filed Critical 오문섭
Publication of KR2021012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798A/en
Priority to KR102022004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1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5Brushes with a telescopic or similarly moveable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02Scraping
    • A47L13/022Scrap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02Scraping
    • A47L13/08Scraping with scraping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Broom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다용도 빗자루가 제공된다.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물질 접촉부는, 이물질 접촉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 그리고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2 보조 쓸이부를 포함한다. A multi-purpose broom is provided. The multi-purpose broom includes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Her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the floor sweeping unit configured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located on the floor,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re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the plurality of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A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a blade of, and a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Description

다용도 빗자루{A MULTI PURPOSE BROOM}Multipurpose Broom {A MULTI PURPOSE BROOM}

본 발명은 청소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빗자루 형태의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tool in the form of a broom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빗자루는 가장 전통적인 청소 도구로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진공 청소기와 같은 전자 장비가 도입되기도 하였으나, 진공 청소기는 전력을 소비하므로 유선 연결을 통한 불편함 또는 주기적인 충전을 요구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소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특정한 경우에는 여전히 빗자루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빗자루는 바닥을 쓸 때 틈새로 먼지가 빠지기 때문에 여러 번을 쓸어야 하며 청소 후 빗자루를 물로 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측면을 개선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자루가 제안된 바 있으나, 제안된 고무 빗자루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나 타일 등의 청소에는 사용되지 못하며, 손잡이 길이를 조절할 수 없고, 좁은 장소 또는 높은 곳을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 broom has long been used as the most traditional cleaning tool. In recent years,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vacuum cleaners have been introduced, but vacuum cleaners consume power, so there is an inconvenience through wired connection or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periodic charging. There is a need. However, the conventional broom as shown in FIG. 8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wash the broom with water after cleaning, since dust falls out through a gap when the floor is used, and it has to be sweeped several times. In addition, although a broom as shown in FIG. 10 having improved this aspect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rubber broom cannot be used for cleaning glass or tiles as shown in FIG. 9,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cannot be adjusted, and the narr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a place or a high plac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46527 호 ("집게가 구비된 빗자루",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46527 ("Broom with tongs", Korea Transportation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빗자루를 개선하여 틈새로 먼지가 빠지는 일 없이 바닥에 밀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리나 타일과 같은 매끈한 표면에 액체를 도포하여 닦아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가구 바닥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용도 빗자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broom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by adhering to the floor without falling out of the gap, and at the same time, by applying a liquid to a smooth surface such as glass or tiles. It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broom that can perform a wiping function and can conven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even in narrow spaces such as furniture floors.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2 보조 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move the cleaning object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object;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t an end opposite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floor sweeper;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disposed on a first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dispos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surfac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청소 대상인 바닥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loor sweeping unit has a flat structure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is straigh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it is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from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greater stiffness than the floor sweeping unit.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는, 서로 상이한 개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may include a different number of blad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는,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고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blad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having blades having different stiffnesses, or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different stiffnesses from each other A blade may be provide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거울 또는 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청소 대상 표면에 도포된 액체를 제거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다른 하나는, 가구 하단을 포함하는 틈새 공간에 배치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is configured to remove th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c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ass, mirror, or til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crape foreign substances disposed in a gap space including the lower end of the furnitur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는, 미리 결정한 소정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내부 골격부; 및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골격부를 둘러 싸는 외부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or more a plate-shaped internal skeleton portion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nd an outer elastic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inner skeleton portio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골격부는, 복수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inner skeleton portion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nd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ner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ide of the inner skeleton portion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elastic materials to bond to each 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골격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양측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lat portion and bent portion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to improve rigidity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되었을 때 신규 몸체부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the floor sweeping portio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head part to which the body part is detachably coupled, and is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with a new body part when at least one of the floor sweep part, the first auxiliary sweep par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 part wears out. ca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폭을 가지는 로드 및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로드 및 상기 결합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ncludes a rod having a first width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the othe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ne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되었을 때 신규 몸체부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the floor sweeping portio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 fasten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portion detachably coupled with the fastening portion, the floor sweeping portio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with a new body por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wear out can b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may adjust the fastening angle through a bolt and a nut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can be combined as possibl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외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파이프는 스프링부를 구비하여 삽입 정도가 조절 가능한 걸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파이프는 상기 걸쇠부의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길이 조절 홀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andl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inner pipe includes a spring portion to provide a clasp with an adjustable degree of insertion. Including, the outer pi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holes capable of fixing the clasp.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may include a blade having a sawtooth distal en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in the blad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include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eeping part.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늘 기둥 형상은, 원 기둥 및 각형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needle pillar sha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ircular pillar and a prismatic pilla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돌출부들은, 하나의 열 내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may include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one row, or have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The branche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each including a protrusio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플랫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소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공간에 위치한 이물질을 긁어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직물에 배치된 털 또는 머리카락을 빗어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includes a blade formed with a flat end, and is configured to scrape and clean foreign substances located in a space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er The unit is provided with a blade having a sawtooth shape at the end,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art and provided with a blade configured to comb the hair or hair disposed on the fabric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for dismounting.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move the object to be cleaned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t an end opposite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floor sweeper; It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이 일 측면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고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청소 대상인 바닥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고, 바닥의 이물질에 대한 쓸기 또는 긁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loor sweep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sweeping or scratching of foreign substanc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인 상기 바닥 쓸이부의 상면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제 1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측면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loor sweeping unit has a fla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which is a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is straigh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second side,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have a thinner thickness from the handle portion direction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direction can be configure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및 제 1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의 내부에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 portion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 portion are coupled,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1 may include an internal skeletal portion disposed in a L-shape inside the auxiliary sweeping portion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rom being bent in excess of a predetermined degre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골격부는, 복수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inner skeleton portion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nd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ner skeleton portion and the second side of the inner skeleton portion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elastic materials to bond to each 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may adjust the fastening angle through a bolt and a nut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can be combined as possible.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상기 손잡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체결 각도가 조정되었을 때 상기 슬릿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sl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when the fastening angle is adjus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pproaches the handle, the slit is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accommodate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may include a blade having a sawtooth distal en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blade provided i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늘 기둥 형상은, 원 기둥 및 각형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needle pillar sha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ircular pillar and a prismatic pilla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인 상기 바닥 쓸이부의 상면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제 1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측면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하고,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판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move the object to be cleaned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t an end opposite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It includes a floor sweeping portion, wherein the floor sweeping unit has a fla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which is a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is straigh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second side,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have a thinner thickness from the handle portion direction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direction Is configure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is coupled, is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is disposed in a plate 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bent beyond a predetermined degree It may include an internal skeleton to prevent i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에 따르면, 종래의 빗자루를 개선하여 틈새로 먼지가 빠지는 일 없이 바닥에 밀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리나 타일과 같은 매끈한 표면에 액체를 도포하여 닦아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가구 바닥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broom is improv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removed by adhering to the floor without dust falling through gaps, and at the same time, liquid is applied to a smooth surface such as glass or tiles.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wiping off by applying a coating, an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even in a narrow space such as a furniture floor.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부드러운 고무를 이용하여 바닥을 청소할 수 있는 이물질 접촉부를 구성하고, 이물질 접촉부의 양 측면으로는 별도의 블레이드들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유리나 타일 등을 닦는 날을 형성하여 세면장의 유리나 타일, 거실 유리, 차량 유리 등에 액체를 도포하고 닦아낼 때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that can clean the floor is formed using soft rubber, and one or more separate blad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to form a blade for wiping glass or tiles, so that the glass or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applying and wiping liquids on tiles, living room glass, and car glass.

또한,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는 각도 및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 대상 구역에 따라 이물질 접촉부와 손잡이부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고, 손잡이부의 길이 역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서서 청소하는 것이 필요한 곳, 높은 곳 및 낮은 곳, 넓은 면적 및 구석진 곳을 편리하게 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art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veniently adjust the angle and length, so that the coupling angl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nd the handle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rea to be cleaned by the user,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part is also adjusted. You can conveniently clean the places where it is necessary to do it, high and low places, large areas and nooks.

또한, 이물질에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 부재로 제작되어 청소를 완료한 후 물로 씻어내기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 빗자루의 청결도를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in contact with foreign substances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so that it is convenient to wash with water after cleaning is completed, thereby enhancing the cleanliness of the multi-purpose broom.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이물질 접촉부의 내부 골격부의 예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내부 골격도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손잡이부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빗자루의 예시도이다.
도 9 는 바닥, 유리 및 타일의 청소 용구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일부 개선된 빗자루의 예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예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각도 변경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이물질 접촉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체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예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의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각도 변경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4 내지 2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6 내지 2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둥 형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first sid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a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cond sid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S. 1 and 2 .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ternal skelet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of FIG. 3 .
5 is a side view of the internal skeleton of FIG. 4 ;
6 is an exemplary view of a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handle of FIG. 6 .
8 is an exemplary view of a b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9 is an exemplary view of a cleaning tool for floor, glass and tile.
10 is an exemplary view of some improved brooms.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 11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emplary view of a handle portion and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gle change state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 15 .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of FIG. 18 ;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detailed view of the fastening part of FIG. 20 .
22 is an exemplary view of a handle portion and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gle change state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 22 .
24 to 25 are exemplary views of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sawtooth blad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to 27 are exemplary views of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blade in the form of a colum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빗자루는 가장 전통적인 청소 도구로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도입된 진공 청소기는 전력을 소비하므로 유선 연결을 통한 불편함 또는 주기적인 충전을 요구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소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특정한 경우에는 여전히 빗자루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oom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the most traditional cleaning tool, and recently introduced vacuum cleaners consume power, so there is an inconvenience through a wired connection or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periodic charging and generating noise. In certain cases, it is still necessary to use a broom.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빗자루는 바닥을 쓸 때 틈새로 먼지가 빠지기 때문에 여러 번을 쓸어야 하며 청소 후 빗자루를 물로 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러한 측면을 개선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자루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일부 개선된 고무 빗자루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나 타일 등의 청소에는 사용되지 못하며, 손잡이 길이를 조절할 수 없고, 좁은 장소 또는 높은 곳을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room as shown in FIG. 8 has a problem that it has to sweep several times because dust falls out through gaps when sweeping the floor, and it is difficult to wash the broom with water after cleaning. Although a broom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posed, some improved rubber brooms cannot be used for cleaning glass or tiles as shown in FIG. 9, the handle length cannot be adjusted,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a narrow or high place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빗자루를 개선하여 틈새로 먼지가 빠지는 일 없이 바닥에 밀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리나 타일과 같은 매끈한 표면에 액체를 도포하여 닦아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가구 바닥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용도 빗자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broom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by adhering to the floor without falling out of the gap, and at the same time, by applying a liquid to a smooth surface such as glass or tiles.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broom that can perform a wiping function and can conven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even in a narrow space such as a furniture floor.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100)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 (100) 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 (40 및 5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 (100) 및 손잡이부 (40 및 50) 의 크기는 단지 예시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손잡이부 (40 및 50) 가 도 6 에 도시된 것과 달리 더 큰 사이즈 또는 더 작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6 is an exemplary view of a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100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100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the user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40 and 50) that can be gripped by the. The siz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and the handle parts 40 and 50 of the multi-purpose broom shown in FIG. 6 is shown for illustration only, an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handle parts 40 and 50 are shown in FIG. Otherwise,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larger size or a smaller size.

관련하여,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도이며,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 (100) 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n relation to this, Figure 1 is a first sid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of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econd sid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of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of FIGS. 1 and 2 .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of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00) 는, 바닥 쓸이부 (10),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sweeping unit 10,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a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 25) may be included.

바닥 쓸이부 (10) 는, 이물질 접촉부 (100) 의 상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빗자루는 바닥을 쓸 때 틈새로 먼지가 빠지기 때문에 여러 번을 쓸어야 하며 청소 후 빗자루를 물로 씻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The floor sweeping unit 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located on the floo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broo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wash the broom with water after cleaning, since dust falls out through the gap when the floor is used, and it is necessary to sweep the broom several times.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 쓸이부 (10) 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쓸이부 (10) 가 바닥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하는, 바닥 쓸이부 (10) 의 이물질 접촉단은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존 빗자루와 같이 복수의 살을 구비하지 않고, 끝단이 매끈하게 일자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틈을 형성하지 않고 새어 나가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rel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sweeping unit 10 is, as shown in FIGS. 1 to 2, the floor sweeping unit 10 to contact the floo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the floo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of the sweeping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structure of a straight line shap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leaking out without forming a gap by not having a plurality of spokes like a conventional broom, and having the ends formed in a smooth line.

한편, 바닥 쓸이부 (10) 는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10) 의 탄성을 소정 강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바닥 쓸이부 (10) 의 바닥에 대한 밀착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 쓸이부 (10) 의 탄성은 바닥 쓸이부 (10) 의 형상을 조절하거나, 바닥 쓸이부 (10) 의 탄성 재료의 성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쓸이부 (10) 는 부드러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loor sweeping unit 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By controlling the elasticity of the floor sweeping unit 10 to a predetermined streng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ose contact for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10 to the floor. The elasticity of the sweeper 10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sweeper 10 or by 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elastic material of the sweeper 10 . For example, the floor sweeping unit 10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material.

또한, 바닥 쓸이부 (10) 는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갈수록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쓸이부 (10) 의 바닥에 접촉하는 이물질 접촉단 방향 끝단은 초박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두께의 증가는 바닥 쓸이부 (10) 의 소정 지점까지만 진행될 수 있으며, 일정 지점 이하로는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oor sweeping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towar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direction from the handle port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direction end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floor sweeping unit 10 may be configured in an ultra-thin shape, and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handle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thickness may proceed only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floor sweeping unit 10, and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same thickness below a predetermined point.

한편, 본 발명에서 상면 및 측면의 용어는 상면과 측면의 상호 구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용도 청소기의 이물질 접촉부 (100) 의 특정 방향에만 바닥 쓸이부 (10) 가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의 상면은 손잡이부 반대 방향의 말단을 나타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can be used for mutual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and the floor sweeping part 10 is provided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of the multi-purpose clean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ing.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may represent an end opposite to the handle portion.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이물질 접촉부 (100) 의 측면에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또는 제 2 보조 쓸이부 (25) 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or a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 25) can be provided.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0) 는, 이물질 접촉부 (100) 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제 2 보조 쓸이부 (25) 는, 이물질 접촉부 (100) 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00, and has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can Furthermore,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include one or more blades dispos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00 and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surface.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거울 또는 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청소 대상 표면에 도포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고,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다른 하나는 가구 하단을 포함할 수 있는 틈새 공간에 배치된 이물질을 긁어 내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25 may also be used to remove liquid applied to a surface to be cleaned, whic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ass, mirror or tile. There is, the other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also be used to scrape off foreign substances disposed in the interstitial space that may include the bottom of the furniture.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바닥을 쓸기 위한 바닥 쓸이부 (10) 이외에도 부가적인 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적인 쓸이부는 'ㄱ자 쓸이' 또는 '격자 쓸이'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보조 쓸이부 (20, 25) 는 이물질 접촉부 (100) 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닦는 날을 하나 이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적어도 하나는, 세면장 등의 유리 거울 또는 타일 또는 거실 유리 등을 닦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이나 벽체에 스프레이 등으로 물과 같은 액체를 도포하고 닦는데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을 면도할 때 면도날을 여러 개 구비하면 면도 성능이 하나의 날을 구비하는 것보다 향상되는 것과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한번의 쓸기로도 유리 등이 잘 닦이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sweeping unit in addition to the floor sweeping unit 10 for sweeping the floor. Such an additional writing un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letter writing' or 'lattice writing'. The auxiliary sweeping units 20 and 25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00 and manufactured to have one or more wiping bla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be used to wipe a glass mirror or a tile or living room glass in a washroom, etc. The same liquid can be applied and used for wiping. 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razor blades are provided when shaving a face, among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 the shaving performance is improved compared to having a single blade. At least on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so that the glass and the like can be easily wiped even with a single sweep.

한편,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는 바닥 쓸이부 (10) 와는 상이한 물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적어도 하나는, 바닥 쓸이부 (10) 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제거와 같은 용도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바닥의 먼지 제거를 위한 파트보다 좀더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상호 간에도 용도를 달리하도록 서로 상이한 물성 (예를 들어, 강성) 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는, 서로 상이한 개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0) 는 2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조 쓸이부 (25) 는 3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가 각각 배치되는 높이 역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는 각각 상이한 두께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가 서로 상이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보조 쓸이부 (20) 가 포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들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 제 2 보조 쓸이부 (25) 가 포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들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보조 쓸이부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물성을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 들을 조합하여 보조 쓸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floor sweeping unit 10 .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greater stiffness than the floor sweeping unit 10 . For applications such as liquid removal, it may be advantageous to have a higher rigidity than a part for dust removal on the floo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eg, rigidity) to have different uses between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be provided with a different number of blade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has two blades, and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has three blades. can be configured to According to one aspect, as shown in FIG. 3 ,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are respectively disposed may also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include blades of different thickness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a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or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0 ar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use of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25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lades included i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may have different rigiditie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lades included in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may have different rigidi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auxiliary sweeping unit, a plurality of blade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may be combined to constitute the auxiliary sweeping unit.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및 세면장 타일, 창문, 차량 외부 청소 등에 스프레이를 뿌리고 당그래처럼 긁어서 쓸고 물기를 쓸어 내리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소파 침대 밑 등과 같이 공간이 좁은 곳을 당그래처럼 긁으면서 쓸어지는 역할을 하여 일반 빗자루에 비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와 달리 소음 발생이 없이 청소가 가능하며 먼지가 덜 날리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is sprayed on glass and bathroom tiles, windows, vehicle exterior cleaning, etc. Can be used to drop off. Alternatively,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compared to general brooms by scouring while scratching like a dange in a narrow space, such as under a sofa bed. In addition, unlike electric vacuum cleaners, cleaning is possible without generating nois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less dust is blown.

도 4 는 도 3 의 이물질 접촉부의 내부 골격부의 예시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내부 골격도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 (100) 에 구비된 내부 골격부 (30) 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ternal skelet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of FIG. 3 , an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internal skeleton of FIG. 4 . Hereinafter, the internal skeleton part 30 provid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of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00) 는, 바닥 쓸이부 (10),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닥 쓸이부 (10),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는 몸체부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sweeping unit 10,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a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 25) may further include a body to which is coupled. Illustratively, the floor sweeping unit 10,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 (100) 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내부 골격부 (30) 및,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골격부 (30) 를 둘러 싸는 외부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composed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00 from being bent beyond a predetermined degree, and a plate-shaped inner skeleton portion 30, and an elastic material, and the inner skeleton It may include an outer elastic portion surrounding the portion (30).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골격부 (30) 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 (35a, 35b, 35c) 및 평면부의 양측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절곡부 (33a, 33b, 33c, 33d) 를 구비하여, 이물질 접촉부 (100) 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 (100) 의 몸체부의 가운데에는 휘지 않고 강도를 높혀주기 위하여 절곡된 강판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강판을 둘러싸고 있는 고무가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according to one side, the internal skeleton 30 includes at least one flat portion 35a, 35b, 35c and a bent portion 33a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33b, 33c, and 33d) may be provided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00 . In other words, for example, a bent steel plate to increase strength without being bent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 and a rubber surrounding the steel plate may be disposed.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골격부 (30) 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구멍 (31) 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 (100) 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상기 내부 골격부 (30) 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상기 내부 골격부 (30) 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골격부 (30) 를 형성하는 강판에는 가운데 큰 구멍 (60) 이외에도 양쪽 옆으로 작은 구멍 (31) 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가운데 큰 구멍 (60) 은 손잡이 연결 겸 볼트를 풀고 적당하게 조여서 손잡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다. 작은 구멍 (31) 들은 이물질 접촉부 (100) 를 제작 사출할 때 고무가 철판을 감싸고 철판의 작은 구멍들을 통해서 고무끼리 서로 결합되어 철판과 고무가 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internal skeleton part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as shown in Figs.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ner skeleton portion 30 and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of the inner skeleton portion 30 to engag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 plurality of small holes 3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el plate forming the internal skeleton 30 in addition to the large central hole 60 . The large hole 60 in the middle may be a hol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by loosening the handle connection and bolt and tightening it appropriately. The small holes 31 allow rubber to surround the iron plate whe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is manufactured and injected, and the rub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mall holes in the iron plate to prevent the iron plate and rubber from falling apart.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의 예시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손잡이부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 및 손잡이부 (40, 50) 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6 is an exemplary view of a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handle of FIG. 6 . Hereinafter, the multi-purpose broom and the handle parts 40 and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1 내지 2,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00) 는, 손잡이부 (40) 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 (60)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체결 구멍 (60) 은 이물질 접촉부 (100) 의 몸체부의 내부 골격부 (30) 역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to 2 and 5,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astening hole 60 for one end of the handle part 40 to be coupled. . For example, such a fastening hole 60 may be configured to also penetrate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30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00 .

한편, 이물질 접촉부 (100) 및 손잡이부 (40) 는, 체결 구멍 (60) 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 (100) 의 손잡이부 (40) 가 배치되는 곳에 체결 구멍 (60) 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체결 구멍 (60) 을 통해서 손잡이부 (40) 가 이물질 접촉부 (100) 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체결 구멍 (60) 에 결합된 볼트의 너트 (43) 를 풀고 조여서 손잡이부 (40) 가 이물질 접촉부 (100) 에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and the handle part 40 may be coupl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fastening angle through a bolt and a nut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60 . For example, a fastening hole 60 may be formed where the handle portion 40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100 is disposed, and the handle 40 may be connect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1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60 . can According to one aspect, by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nut 43 of the bolt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60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handle part 40 is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0 .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손잡이부 (40 및 50) 는, 외부 파이프 (50) 및 외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파이프 (40) 를 구비하여 손잡이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pipe 50 and an inner pipe 40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andle portion.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파이프 (40) 는 스프링부를 구비하여 삽입 정도가 조절 가능한 걸쇠부 (41) 를 포함하고, 외부 파이프 (50) 는 걸쇠부 (41) 의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길이 조절 홀 (51, 52, 53)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라, 내부 파이프 (40) 의 외부 파이프 (50) 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고, 원하는 길이에 따라 복수의 길이 조절 홀 (51, 52, 53) 중 어느 하나에 걸쇠부 (41) 가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부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걸쇠부 (41) 는 스프링부를 구비하여 삽입정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쇠부 (41) 와 연동된 사용자 조작 버튼 (45) 를 누르는 것에 의해 내부 파이프 (40) 안쪽으로 삽입되고, 사용자 조작 버튼 (45) 에 압력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부의 압력으로 다시 내부 파이프 (40)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ner pipe 40 is provided with a spring portion and includes a clasp portion 41 whose insertion degree can be adjusted, and the outer pipe 50 has a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holes 51 capable of fixing the clasp portion 41 . , 52, 53)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one side,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inner pipe 40 into the outer pipe 50 is adjusted, and the clasp 41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holes 51, 52, 53 according to a desired length. By being arranged and fixed, the length of the handle part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degree by the us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asp 41 is provided with a spring part so that the degree of insertion is adjustable, and by pressing the user operation button 45 interlocked with the clasp 41 , the inner pipe 40 inside It may be inserted and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inner pipe 40 again with the pressure of the spring portion by removing the pressure on the user operation button 45 .

한편, 도 6 또는 도 7 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잡이부 및/또는 내, 외부 파이프들을 사각 관 형태는 물로, 원통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ifferent from those exemplarily shown in FIG. 6 or FIG. 7 , the handle part and/or the inner and outer pip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water, cylindrical shape, polygonal shape, etc. there is.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는, 예를 들어 앞서 실시예 1 과 관련하여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손잡이부 (40 및 50) 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임의의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 11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1 and 12 is, for example,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andle parts 40 and 5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in rel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y handle portion.

즉,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도 11 의 1100) 와, 이물질 접촉부 (1100) 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 (도 6 의 40 및 5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 (100) 및 손잡이부 (40 및 50) 의 크기는 단지 예시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손잡이부 (40 및 50) 가 도 6 에 도시된 것과 달리 더 큰 사이즈 또는 더 작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at is, for example,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100 in FIG. 11)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and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100,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40 and 50 in Fig. 6)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siz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00 and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of the multi-purpose broom shown in FIG. 6 are shown for illustration only, an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are shown in FIG. Otherwise,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larger size or a smaller size.

도 11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100) 는, 바닥 쓸이부 (1110) 및 제 1 보조 쓸이부 (1120) 를 포함할 수 있다. 11 to 12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or sweep unit 1110 and a first auxiliary sweep unit 1120 .

바닥 쓸이부 (1110) 는, 이물질 접촉부 (1100) 의 상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 쓸이부 (1110) 는, 이물질 접촉단인 바닥 쓸이부의 상면이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쓸이부 (1110) 는 제 1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1111) 및 제 2 측면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 (1113) 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 (1111) 및 제 2 돌출부 (1113) 는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빗자루의 쓸어지는 부분이 양쪽으로 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빗자루를 들고 돌아다니면서 쓸지 않고서도 한 쪽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부 쓸어모을 수 있다. 즉, 오른쪽 빗자루 끝부분과 왼쪽 끝부분으로 양쪽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쓸고 좌측으로 쓸어, 편리하게 쓸어 모을 수가 있다. The floor sweeping unit 11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100,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loor sweep unit 1110 may have a flat structur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weep unit, which is a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the floor sweeping unit 1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1111 protruding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1113 protruding to the second side. 11 and 12 , the first protrusion 1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11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from the handle portion direction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direction. Accordingly, the sweeping portion of the broom is configured to be used on both sides, so that the user can sweep the broom from one side to the left and right without using it while walking around. That is, you can use both sides of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broom to sweep to the right and to the left, and you can sweep them conveniently.

한편, 도 11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1120) 는, 이물질 접촉부 (1100) 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돌출부 (1111), 제 2 돌출부 (1113) 및 제 1 보조 쓸이부 (1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석진 곳이나 넓은 곳을 구분하지 않고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1 to 12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120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100, and a blad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may be provided. The user can conven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1111 , the second protrusion 1113 ,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120 ,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a corner or a wide place.

다시 도 11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일 측면에 따르면, 이물질 접촉부 (1100) 는, 바닥 쓸이부 (1110) 및 제 1 보조 쓸이부 (1120) 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닥 쓸이부 (1110) 및 제 1 보조 쓸이부 (1120)는 몸체부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1 to 12 ,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1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1110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120 are coupled. Illustratively, the floor sweeping unit 1110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이물질 접촉부 (1100) 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1120) 의 내부에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 (1100) 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 (1130)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10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is disposed in a L-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1120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100 exceeds a predetermined degree It may include an internal skeleton portion 1130 to prevent bending.

도 11 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내부 골격부 (1130) 역시 제 1 실시예와 같은 결합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내부 골격부 (1130) 는, 복수의 결합 구멍 (도 1 내지 도 4 의 31) 을 구비하여, 이물질 접촉부 (1100) 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내부 골격부 (1130) 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내부 골격부 (1130) 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철판과 고무가 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1 , the internal skeleton part 1130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also have the same coupling hole as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internal skeleton 1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in FIGS. 1 to 4 ), and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ternal skeleton 1130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100 . and an elastic material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inner skeleton 1130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ron plate and the rubber from falling apart.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100) 도, 손잡이부 (40) 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 (60)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체결 구멍 (60) 은 이물질 접촉부 (1100) 의 몸체부의 내부 골격부 (1130) 역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fastening hole 60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art 40 . For example, such a fastening hole 60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1130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100 as well.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는, 예를 들어 앞서 실시예 1 과 관련하여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손잡이부 (40 및 50) 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임의의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3 may be used, for example, in combination with the handle parts 40 and 5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in rel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y handle part.

즉,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도 13 의 1300) 와, 이물질 접촉부 (1300) 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 (도 6 의 40 및 5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 (100) 및 손잡이부 (40 및 50) 의 크기는 단지 예시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손잡이부 (40 및 50) 가 도 6 에 도시된 것과 달리 더 큰 사이즈 또는 더 작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at is, for example,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300 in FIG. 13) configured to move the cleaning object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object,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300,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40 and 50 in Fig. 6)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siz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00 and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of the multi-purpose broom shown in FIG. 6 are shown for illustration only, an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are shown in FIG. Otherwise,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larger size or a smaller size.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300) 는, 바닥 쓸이부 (1310) 및 제 1 보조 쓸이부 (1320) 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or sweeping unit 1310 and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320 .

바닥 쓸이부 (1310) 는, 이물질 접촉부 (1300) 의 상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 쓸이부 (1310) 는, 이물질 접촉단이 일 측면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고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청소 대상인 바닥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고, 바닥의 이물질에 대한 쓸기 또는 긁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 쓸이부 (1310) 는 빗자루 끝의 쓸어지는 곳이 약간 각도를 주어 휘어지게 하여 쓸기도 하고 긁으면서 쓸기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floor sweeping unit 13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300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loor sweeping unit 1310 is forme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 may be configured to enable sweeping or scratching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That is, the floor sweeping unit 1310 may sweep the broom tip by giving it a slight angle and bending it to sweep or scrape while sweeping.

한편,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1320) 는, 이물질 접촉부 (1300) 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제 1 보조 쓸이부 (1320) 는 끝이 부드럽고 질긴 고무 재질로 제작하여 쇼파 및 침대 밑과 같이, 낮고 좁은 곳의 먼지 등을 긁어 쓸어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좁은 곳의 각진 곳을 바닥 쓸이부 (1310) 와 제 1 보조 쓸이부 (1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긁고 쓸어낼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320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300 and having a blad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ca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320 is made of a soft and tough rubber material and can be used to scrape off dust in a low and narrow place, such as under a sofa and a b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t least one of the floor sweeping unit 1310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320 to scrape and sweep the narrow angular place.

다시 도 13 을 참조하면, 일 측면에 따르면, 이물질 접촉부 (1300) 는, 바닥 쓸이부 (1310) 및 제 1 보조 쓸이부 (1320) 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닥 쓸이부 (1310) 및 제 1 보조 쓸이부 (1320)는 몸체부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3 ,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3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1310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320 are coupled. For example, the floor sweeping unit 1310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3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이물질 접촉부 (1300) 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1320) 의 내부에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 (1300) 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 (1330)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30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is disposed in a L-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1320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300 exceeds a predetermined degree It may include an internal skeleton 1330 to prevent bending.

도 13 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내부 골격부 (1330) 역시 제 1 실시예와 같은 결합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내부 골격부 (1330) 는, 복수의 결합 구멍 (도 1 내지 도 4 의 31) 을 구비하여, 이물질 접촉부 (1300) 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내부 골격부 (1330) 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내부 골격부 (1330) 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철판과 고무가 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3 , the internal skeleton part 1330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also have the same coupling hole as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internal skeleton 13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in FIGS. 1 to 4 ), and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ternal skeleton 1330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300 . and an elastic material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inner skeleton 1330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ron plate and the rubber from falling apar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300) 도, 손잡이부 (40) 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체결 구멍은 이물질 접촉부 (1300) 의 몸체부의 내부 골격부 (1330) 역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art 40 . For example, such a fastening hole may be configured to also penetrate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1330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300 .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1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는, 예를 들어 앞서 실시예 1 과 관련하여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손잡이부 (40 및 50) 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임의의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4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for example, the handle parts 40 and 5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in rel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y handle part.

즉,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도 14 의 1400) 와, 이물질 접촉부 (1400) 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 (도 6 의 40 및 5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다용도 빗자루의 이물질 접촉부 (100) 및 손잡이부 (40 및 50) 의 크기는 단지 예시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손잡이부 (40 및 50) 가 도 6 에 도시된 것과 달리 더 큰 사이즈 또는 더 작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at is, for example,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400 in FIG. 14)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and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400,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40 and 50 in Fig. 6)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siz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00 and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of the multi-purpose broom shown in FIG. 6 are shown for illustration only, an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s 40 and 50 are shown in FIG. Otherwise,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larger size or a smaller size.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400) 는, 바닥 쓸이부 (1410) 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물질 접촉부 (1400) 는, 이물질 접촉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1410)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 쓸이부 (1410) 는, 이물질 접촉단인 바닥 쓸이부의 상면이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쓸이부 (1410) 는 제 1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1411) 및 제 2 측면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 (1413) 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돌출부 (1411) 및 제 2 돌출부 (1413) 는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빗자루의 쓸어지는 부분이 양쪽으로 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빗자루를 들고 돌아다니면서 쓸지 않고서도 한 쪽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부 쓸어모을 수 있다. 즉, 오른쪽 빗자루 끝부분과 왼쪽 끝부분으로 양쪽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쓸고 좌측으로 쓸어, 편리하게 쓸어 모을 수가 있다. As shown in FIG. 14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or sweeping unit 1410 . That is,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4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may include a floor sweeping unit 1410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and the floor sweeping unit 1410 is a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The upper surface of the phosphor floor sweeping unit may have a flat structure and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the floor sweeper 141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411 protruding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1413 protruding to the second side, the first protrusion 14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41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from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ccordingly, the sweeping portion of the broom is configured to be used on both sides, so that the user can sweep the broom from one side to the left and right without using it while walking around. That is, you can use both sides of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broom to sweep to the right and to the left, and you can sweep them conveniently.

다시 도 14 를 참조하면, 일 측면에 따르면, 이물질 접촉부 (1400) 는, 바닥 쓸이부 (1410) 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닥 쓸이부 (1410) 는 몸체부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4 ,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4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1410 is coupled. Illustratively, the floor sweeping portion 14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이물질 접촉부 (1400) 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몸체부 내부에 판상으로 배치되어 이물질 접촉부 (1400) 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 (1430)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40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is disposed in a plate 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400 from being bent beyond a predetermined degree. It may include an internal skeleton portion 1430. there is.

도 14 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내부 골격부 (1430) 역시 제 1 실시예와 같은 결합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내부 골격부 (1430) 는, 복수의 결합 구멍 (도 1 내지 도 4 의 31) 을 구비하여, 이물질 접촉부 (1400) 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내부 골격부 (1430) 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내부 골격부 (1430) 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철판과 고무가 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4 , the internal skeleton 1430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also have the same coupling hole as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1430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in FIGS. 1 to 4 ), and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1430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400 . and an elastic material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inner skeleton 143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elastic material to engage with each oth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ron plate and the rubber from falling apart.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400) 도, 손잡이부 (40) 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체결 구멍은 이물질 접촉부 (1400) 의 몸체부의 내부 골격부 (1430) 역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art 40 . For example, such a fastening hole may be configured to also penetrate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1430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400 .

<제 5 및 제 6 실시예><Fifth and 6th embodiments>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며, 도 19 는 도 18 의 이물질 접촉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또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는, 임의의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of FIG.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fifth or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7 to 19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y handle part.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700) 는, 바닥 쓸이부 (1710),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1725) 를 포함할 수 있다. 17 to 19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7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or sweeping unit 1710,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720, and a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 1725) may be included.

바닥 쓸이부 (1710) 는, 이물질 접촉부 (1700) 의 상단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될 수 있고,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10) 의 이물질 접촉단은 예를 들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 쓸이부 (1710) 는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1710) 의 탄성을 소정 강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바닥 쓸이부 (1710) 의 바닥에 대한 밀착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쓸이부 (1710) 는 2 이상의 블레이드 (1711, 1713) 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 (1711) 및 블레이드 (1713) 는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가지거나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uni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700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of the floor sweeping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structure of, for example, a straight line. Meanwhile,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By controlling the elasticity of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to a predetermined streng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ose contact for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to the floor.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7 to 19,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may be formed by having two or more blades (1711, 1713). The blades 1711 and 1713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tiffnesses or different thicknesses from each other.

한편, 다시 도 17 내지 1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이물질 접촉부 (1700) 의 측면에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또는 제 2 보조 쓸이부 (1725) 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S. 17 to 19 ,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uxiliary sweep unit 1720 and/or a second auxiliary sweep unit 1725 on th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700 . ) can be provided.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는, 이물질 접촉부 (1700) 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1721, 1723) 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제 2 보조 쓸이부 (1725) 는, 이물질 접촉부 (1700) 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1726, 1727) 를 구비할 수 있다. 17 to 19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720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700, and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1721, 1723) may be provided. Furthermore,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1725 may include one or more blades 1726 and 1727 dispos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700 and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surface. there is.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1725)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거울 또는 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청소 대상 표면에 도포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고, 제 1 보조 쓸이부 (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5) 중 다른 하나는 가구 하단을 포함할 수 있는 틈새 공간에 배치된 이물질을 긁어 내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7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1725 may also be used to remove liquid applied to a surface to be cleaned, whic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ass, mirror, or tile. There is, the other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25 may also be used to scrape off foreign substances disposed in the interstitial space that may include the bottom of the furniture.

한편,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700) 는, 몸체부 (1780) 및 헤드부 (1790a, 1790b)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바닥 쓸이부 (1710),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1725)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되었을 때 몸체부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 (1780) 는 바닥 쓸이부 (1710),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1725) 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바닥 쓸이부 (1710),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1725) 가 일체로서 몸체부 (1780) 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7 to 19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17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art 1780 and head parts 1790a and 1790b, the floor sweeping part When at least one of the 1710,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7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1725 is worn, it may be configured to replace the body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78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1720 ,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1725 . Alternatively,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floor sweeping unit 1710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1720 ,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1725 may integrally form the body portion 1780 .

헤드부 (1790a, 1790b) 는 몸체부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 (1780) 및 헤드부 (1790a, 1790b)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폭을 가지는 로드 및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몸체부 (1780) 및 헤드부 (1790a, 1790b) 중 다른 하나는, 로드 및 결합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 (1780)는 제 1 폭을 가지는 로드와,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결합 돌기 (178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 (1790b)는 몸체부 (1780) 에 형성된 로드 및 결합 돌기 (1781) 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홈 (1791) 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몸체부 (1780) 의 결합 돌기 (1781) 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헤드부 (1790b) 에 형성된 결합 홈 (1791) 에 집어 넣어 밀어주는 방식으로 헤드부 (1790b) 에 몸체부 (1780) 를 착탈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몸체부 (1780) 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예를 들어 바닥과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므로, 반복되는 사용에 따라 예를 들어 바닥 쓸이부 (1710), 제 1 보조 쓸이부 (17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1725)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이 마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이처럼 마모된 몸체부 (1780) 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 빗자루의 사용 연한을 향상시키고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head parts 1790a and 1790b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1780 and the head portions 1790a and 1790b includes a rod having a first width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the body portion 1780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And the other one of the heads 1790a and 1790b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the body portion 1780 may include a rod having a first width and a coupling protrusion 1781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the head portion 1790b may include a rod formed in the body portion 1780 and a coupling groove 179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781 . Therefore, 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1781 of the body 17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791 formed in the head 1790b in a sliding manner and pushed to the head 1790b to the body 1780. can be detached.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178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for example, contact the flo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hus, according to repeated use, for example, a floor sweeper ( 1710), at least a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1720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1725 may be worn. According to the fifth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placing and using the worn body portion 1780 as described above, the useful life of the multi-purpose broom can be improved and consumers can use it economically.

헤드부 (1790a, 1790b) 는 몸체부 (1780) 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스틸, 스테인리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 의 제 5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드부 (1790a) 는 바 (ba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8 내지 도 19 의 제 6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드부 (1790b) 는 복수의 굴곡진 리드 (rid) 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헤드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head parts 1790a and 1790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than the body part 1780 . For example, the head part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stainless steel, or aluminum.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fth embodiment of FIG. 17 , the head part 1790a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as shown in the sixth embodiment of FIGS. 18 to 19 , the head part 1790b is It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curved leads, but the shape of the head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17 내지 도 19 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5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에도 내부 골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골격부는 몸체부 (1780) 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헤드부 (1790a, 1790b) 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 골격부 역시 제 1 실시예와 같은 결합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내부 골격부는, 복수의 결합 구멍 (도 1 내지 도 4 의 31) 을 구비하여, 이물질 접촉부 (1700) 의 몸체부 또는 헤드부의 사출 제작시 내부 골격부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사출 재료 및 내부 골격부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사출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철판과 고무, 또는 철판과 플라스틱이 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S. 17 to 19 , an internal skelet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fifth to sixth embodiments. For example, the internal skeleton por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780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ad portions 1790a and 1790b. Such an internal skeleton may also have a coupling ho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internal skeleton part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1 in FIGS. 1 to 4 ), and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interior that are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internal skeleton part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or the head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700 . It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injection material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skeleton to engage with each other. That i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el plate and the rubber, or the iron plate and the plastic from falling apart.

다시 도 17 내지 도 1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1700) 도, 손잡이부 (40) 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 (1760)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체결 구멍 (1760) 은 헤드부 (1790a, 1790b) 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7 to 19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700 according to the fifth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astening hole 1760 for one end of the handle part 40 to be coupled. can For example, such a fastening hole 1760 may be formed in the head parts 1790a and 1790b.

<제 7 실시예><Seventh embodiment>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의 사시도이고, 도 21 은 도 20 의 체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20 및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는 제 5 내지 제 6 실시예와 유사한 몸체부 (2080) 를 구비하되, 몸체부 (2080) 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 (2070) 를 더 구비하고, 체결부 (2070) 와 헤드부 (2090) 역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되었을 때 신규 몸체부로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1 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 5 내지 제 6 실시예에서와 같은 로드 및 결합 돌기 (2081) 가 몸체부 (2080) 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로드 및 결합 돌기 (2091) 가 헤드부 (2090) 에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 (2070) 는 몸체부의 로드 및 결합 돌기 (2081) 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홈과, 헤드부 (2090) 의 로드 및 결합 돌기 (2091) 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각각 구비하여, 몸체부의 착탈과 헤드부의 착탈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detailed view of the fastening part of FIG. 20 . 20 and 21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has a body portion 2080 similar to that of the fifth to sixth embodiments, bu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080. A portion 207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coupling portion 2070 and the head portion 2090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herefore, when at least one of the floor sweeping uni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is worn, it can be replaced with a new body portion. Referring to FIG. 21 , for example, a rod and coupling protrusion 2081 as in the fifth to sixth embodiments may be provided on the body 2080, and a rod and coupling protrusion 2091 similar thereto may be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2090 may be provided. The fastening part 2070 has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81 of the body part, and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91 of the head 2090, respectively, the body Bot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part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ead part are possible.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Sawtooth blade>

도 24 내지 2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톱니 형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4 내지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24 to 25 are exemplary views of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sawtooth blad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to 25 ,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may include a blade having a sawtooth distal end.

예를 들어, 도 24 내지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2400) 는, 바닥 쓸이부 (2410), 제 1 보조 쓸이부 (24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425)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쓸이부 (2410) 는, 이물질 접촉부 (2400) 의 상단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될 수 있고,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2410) 의 이물질 접촉단은 예를 들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 쓸이부 (2410) 는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2410) 의 탄성을 소정 강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바닥 쓸이부 (2410) 의 바닥에 대한 밀착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4 내지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쓸이부 (2410) 는 2 이상의 블레이드 (2411, 2413) 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 (2411) 및 블레이드 (2413) 는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가지거나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4 to 25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24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 sweep unit 2410 , a first auxiliary sweep unit 2420 and a second auxiliary It may include a sweeping portion 2425. Here, the floor sweeping unit 241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uni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2400 ,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of the floor sweeping unit 24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structure of, for example, a straight line. Meanwhile, the floor sweeping unit 24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By controlling the elasticity of the floor sweeping unit 2410 to a predetermined streng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ose contact for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2410 to the floor.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4 to 25, the floor sweeping portion 2410 may be formed by having two or more blades (2411, 2413). The blade 2411 and the blade 2413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tiffnesses or different thicknesses from each other.

한편, 다시 도 24 내지 2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이물질 접촉부 (2400) 의 측면에 제 1 보조 쓸이부 (2420) 및/또는 제 2 보조 쓸이부 (2425) 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 내지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420) 가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의 양쪽 면 중 한쪽 면에 형성될 수 있고,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카페트나 옷, 이불과 같이 다양한 직물에 달라붙은 이물질 (예를 들어, 애완동물의 털이나 사람의 머리카락 등) 을 긁어서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는 일 측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형성되는 톱니의 크기나 폭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블레이드 내에서도 다양한 크기의 톱니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S. 24 to 25 ,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uxiliary sweep unit 2420 and/or a second auxiliary sweep unit 2425 on the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2400 . ) can be provided. He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may include a blade having a serrated end at the e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4 to 25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420 may have a blade having a sawtooth shape at its distal end. Here, the blade having a serrated end may be formed, for example, on one of both sid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the serrated blade may be, for example, a foreign substance adhering to various fabrics, such as carpets, clothes, and comforters.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scrape and remove pet hair or human hair.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awtooth-shaped blade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size or width of the formed teeth may be variously provided. According to one aspect, the teeth of various sizes are provided in one blade, so that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use it according to the purpose.

도 24 내지 25에서는 예를 들어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접촉부가 몸체부 및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몸체부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이물질 접촉부에 포함된 블레이드가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24 내지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는 임의의 형태의 다용도 빗자루의 보조 쓸이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에 구비되는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형상의 빗자루 유사 형태의 청소 도구에 대해서 측면에 하나 이상의 보조 쓸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쓸이부가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이물질 접촉부는 임의의 형상의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In FIGS. 24 to 2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and a head portion, and the blade includ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replace the body portion has a sawtooth shape. Although shown as, the sawtooth-shaped blad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4 to 25 may be applied to the auxiliary sweeping portion of the multi-purpose broom of any shap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sweeping units provid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sawtooth-shaped blade. In addition, for example, for a cleaning tool of a broom-like shape of any shape a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 one or more auxiliary sweep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sweeping portion is a serrated bla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provided with a sawtooth-shaped blad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handle portion of any shape.

<기둥 형태의 블레이드><Pillar-shaped blade>

도 26 내지 2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둥 형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6 내지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26 to 27 are exemplary views of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blade-shaped colum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to 27, according to one side, the blad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e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s At least one of the ear par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art may b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예를 들어,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 (2600)는, 바닥 쓸이부 (2610), 제 1 보조 쓸이부 (2620) 및 제 2 보조 쓸이부 (26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쓸이부 (2610) 는, 이물질 접촉부 (2600) 의 상단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될 수 있고,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2610) 의 이물질 접촉단은 예를 들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 쓸이부 (2610) 는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쓸이부 (2610) 의 탄성을 소정 강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바닥 쓸이부 (2610) 의 바닥에 대한 밀착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6 to 27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260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 sweep unit 2610 , a first auxiliary sweep unit 2620 , and a second auxiliary unit 2600 . It may include a sweeping portion 2625 . Here, the floor sweeping portion 261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2600,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of the floor sweeping unit 26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structure of, for example, a straight line. Meanwhile, the floor sweeping unit 26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By controlling the elasticity of the floor sweeping unit 2610 to a predetermined streng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ose contact for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2610 to the floor.

한편, 다시 도 26 내지 2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자루는 이물질 접촉부 (2600) 의 측면에 제 1 보조 쓸이부 (2620) 및/또는 제 2 보조 쓸이부 (2625) 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 내지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620) 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제 1 보조 쓸이부 (2620)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플랫 형상의 날 뿐만 아니라 복수 기둥의 배열로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복수 기둥 기반의 보조 쓸이부는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의 양쪽 면 중 한쪽 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기둥 기반의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카페트나 옷, 이불과 같이 다양한 직물에 달라붙은 이물질 (예를 들어, 애완동물의 털이나 사람의 머리카락 등) 을 긁어서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기둥 기반의 블레이드는 일 측면에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6 내지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쓸이부 (2610) 는 2 열로 구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 내지 제 2 열의 돌출부들은 다른 열의 돌출부들과 서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이물질을 긁어내는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back to FIGS. 26 to 27 , the multi-purpose b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auxiliary sweep unit 2620 and/or a second auxiliary sweep unit 2625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2600 . ) can be provided. He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ad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e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sweeping units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26 to 27,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2620 is a blade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2620. may include A blade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flat blade, but also as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posts. The auxiliary sweeping portion based on the multi-post may be form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or example, and the blade based on the multi-post may be formed with foreign substances (e.g.,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scrape and remove pet hair or human hair.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illar-based blades may be provid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on one side. 26 to 27 ,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26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figured in two rows. The protrusions in the first row to the second row may be arranged to be out of position with the protrusions in the other r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craping off foreign matter.

일 측면에 따르면, 바늘 기둥 형상은, 원 기둥 및 각형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형성되는 기둥의 형상은 그 높이나 모양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돌출부들은, 하나의 열 내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열 내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들이 복수 열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열 내에 배열되는 돌출부의 개수나 돌출부의 간격,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역시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4 내지 27 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보조 쓸이부와 제 2 보조 쓸이부 중 어느 하나는 복수 돌출부 기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톱니 형상의 블레이드 및 복수 돌출부 기반의 블레이드를 전부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needle pillar sha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ircular pillar and a prismatic pillar. That is, the shape of the formed pillar is not limited to its height or shape. Furth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may include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one row, or have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The branche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each including a protrusion.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may be arranged in one row.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arranged in one row, the spacing of the protrusions, and the size may also be variously modified and configured. Although not shown in FIGS. 24 to 27 , any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has a blade based 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oth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awtooth blade. ,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ll of the sawtooth-shaped blade and the blade based 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한편, 도 26 내지 27에서는 예시적인 형상의 이물질 접촉부 및 손잡이의 형상을 기반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 돌출부 기반의 블레이드는 임의의 형태의 다용도 빗자루의 보조 쓸이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에 구비되는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돌출부 기반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형상의 빗자루 유사 형태의 청소 도구에 대해서 측면에 하나 이상의 보조 쓸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쓸이부가 복수 돌출부 기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돌출부 기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이물질 접촉부는 임의의 형상의 손잡이부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shap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nd the handle of an exemplary shape in FIGS. 26 to 27, the blade based 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uxiliary sweeping part of the multi-purpose broom of any shape. there i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sweeping parts provid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blade based 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addition, for example, for a cleaning tool of a broom-like shape of any shape a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 one or more auxiliary sweep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sweeping portion is based 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blade.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provided with a blade based 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handle portion of any shape.

한편,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는 보조 쓸이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구성이나, 복수의 기둥 형상의 돌출부들의 배열을 역시 포함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단차를 구비하지 않는 평판 형태의 구성으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lade"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auxiliary sweeping portion, for example, as a sawtooth configuration as previously salpinned, or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columnar-shaped protrusions. ,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flat plate configuration that does not have a step.

<블레이드 형태의 추가 실시 형태><Additional embodiment in the form of a blade>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플랫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소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공간에 위치한 이물질을 긁어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 2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제 2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직물에 배치된 털 또는 머리카락을 빗어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includes a blade formed with a flat end, and is configured to scrape and clean foreign substances located in a space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a predetermined width,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With a blade having a serrated end, or a blade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to comb off the hair or hair disposed on the fabric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여기서, 제 1 보조 쓸이부가 플랫 블레이드를, 제 2 보조 쓸이부가 톱니 또는 기둥 형상의 복수 돌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은 임의의 빗자루 관련 청소 도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접촉부에 구비되는 보조 쓸이부가 플랫 블레이드 및 톱니 또는 기둥 형상의 복수 돌출부를 양 측면에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형상의 빗자루 유사 형태의 청소 도구에 대해서 플랫 블레이드 및 톱니 또는 기둥 형상의 복수 돌출부를 양 측면에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has a flat blade,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has a plurality of sawtooth or columnar-shaped protrusions may be applied to any broom-related cleaning tool. For example, the auxiliary sweep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s described herei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blade and a plurality of sawtooth or columnar protrusions on both sides, respectively. can In addition, for example, for a cleaning tool of a broom-like shape of any shape a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lat blade and a plurality of toothed or pole-shaped protrusions on both sides, respectively.

즉, 종래의 빗자루와 같이 각양 각색의 모양 및 여러 형태로 이물질 접촉부가 구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바닥을 쓸어주기 위한 부분을 구비하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쇼파와 침대 주변의 틈새와 같은 좁은 공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긁어 쓸어주는 용도로 하나 이상의 보조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다른 한쪽 측면에 대해서는 톱니형, 원형 또는 각형의 기둥 (빗살) 등 임의의 형태를 포함한 한 줄 이상의 빗살을 형성하여 옷, 카페트, 이불과 같은 직물에 달라붙은 애완동물의 털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잘 긁어 떼어 내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빗살은 소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도록 조정되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떼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forms like a conventional broom, but for example, it has a part for sweeping one or more floors, and at least one of both sides has a sofa and a bed around it. One or more auxiliary blades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scraping away foreign substances located in narrow spaces such as gaps in the It can be used to scrape off foreign substances such as pet hair or hair that adhere to fabrics such as clothes, carpets, and blankets. Comb teeth of various shapes may be adjust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eight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손잡이부 결합 구조의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of the handle part coupling structure>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예시도이고, 도 16 은 도 15 의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각도 변경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15 is an exemplary view of a handle portion and a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gle change state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

도 15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결합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 에 도시된 결합 형태는 예를 들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을 포함하여, 임의의 이물질 접촉부와 손잡이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5 to 16 , a combined form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he coupling form shown in FIGS. 15 to 16 can be applied to coupling of any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the handle, including, for example, Examples 1 to 7 .

도 15 를 참조하면, 이물질 접촉부 (1500) 는, 손잡이부 (1510) 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 의 60) 을 포함하고, 이물질 접촉부 (1500) 및 손잡이부 (1510) 는, 체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 (1543) 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 (1510) 는 이물질 접촉부 (1500) 의 관계에서 자유롭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15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500 includes a fastening hole (eg, 60 in FIGS. 1 to 4 )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unit 1510,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500 And the handle portion 1510 may be coupl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fastening angle through the bolt and nut 1543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That is, the handle portion 1510 may be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angle can be freely adjusted in relation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500 .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손잡이부 (1510) 는, 이물질 접촉부 (1500) 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접촉부 (1500) 가 손잡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체결 각도가 조정되었을 때, 슬릿은 이물질 접촉부 (1500) 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이물질 접촉부 (1500) 를 완전히 접었을 때, 이물질 접촉부 (1500) 는 손잡이부 (1510) 의 슬릿으로 수납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andle portion 1510 may include a sl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500 .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when the fastening angle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500 approaches the handle, the slit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1500 . That is, whe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500 is completely folde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15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lit of the handle portion 1510 .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 (1500) 의 평철 (예를 들어, 몸체부) 을 손잡이 부분을 절곡하여 결합하는 힌지부에 양쪽으로 나누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를 180 도 움직여 일자로 접어서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용도 빗자루에 대한 포장 박스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 후 접어서 구석에 보관하기에도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손잡이 각도를 자유자재로 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로 접어서 포장 비용도 줄이고 이동 보관이 편리하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dividing the flat iron (e.g., body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500 into both sides of the hinge part to be coupled by bending the handle part, the handle can be moved 180 degrees to be folded in a straight line and accommodated. . Accordingly, the packaging box for the multi-purpose broom can be reduced, and it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in a corner after use. That is, the angle of the handle can be freely adjusted freely, and as shown in FIG. 16 , it can be folded in a straight line to reduce packaging costs and facilitate movement and storage.

일 측면에 따르면, 각도 조절 연결부가 위로 튀어 나와서 손잡이가 완전하게 접어지게 하여 제품 포장을 작게 줄일 수 있으며, 접어서 보관하기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접촉부 (1500) 에 결합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결합 구멍 (60) 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부와 결합을 달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angle adjustment connector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handle is completely folded, thereby reducing product packaging and making it convenient to fold and store. For example, a protrusion for coupling is formed i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500 , and a coupling hole 60 is formed in the protrusion to achieve coupling with the handle.

<손잡이부 결합 구조의 제 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of handle portion coupling structure>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예시도이고, 도 23 은 도 22의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각도 변경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22 is an exemplary view of a handle portion and a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gle change state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of FIG. 22 .

도 22내지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이물질 접촉부의 결합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2내지 도 23 에 도시된 결합 형태는 예를 들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을 포함하여, 임의의 이물질 접촉부와 손잡이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2 to 23 , a combined form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he coupling form shown in FIGS. 22 to 23 can be applied to coupling of an arbitrary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nd a handle, including Examples 1 to 7, for example.

도 22를 참조하면, 이물질 접촉부 (2200) 는, 손잡이부 (2210) 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 의 60)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구멍은 이물질 접촉부의 헤드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2 ,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2200 may include a fastening hole (eg, 60 in FIGS. 1 to 4 )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art 22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the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in the head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손잡이부 (2210) 는 이물질 접촉부 (2200) 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지부 (2230), 유지부와 결합하는 샤프트부 (2220a) 및 샤프트부와 상대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파지부 (2220b)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art 2210 includes a holding part 2230 rotatably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2200, a shaft part 2220a coupled to the holding part, and a gripping part 2220b coupled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shaft part. may include

이물질 접촉부 (2200) 및 유지부 (2230) 는 예를 들어 체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 (2243) 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지부 (2230) 는 이물질 접촉부 (2200) 와의 관계에서 자유롭게 결합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유지부 (2230) 는 이물질 접촉부 (2200) 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접촉부 (2200) 가 유지부 (2230) 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체결 각도가 조정되었을 때, 슬릿은 이물질 접촉부 (2200) 의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단, 슬릿에 수용되는 부분은 헤드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물질 접촉부 (2200) 의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용도 빗자루의 제품 포장 또는 미사용시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ntacting part 2200 and the holding part 2230 may be coupled to enable adjustment of a fastening angle through, for example, a bolt and a nut 2243 penetrating a fastening hole. That is, the holding part 2230 may be rotatably coupled so that the coupling angle can be freely adjusted in relation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2200 .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olding part 2230 may include a sl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2200 .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 when the fastening angle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2200 approaches the holding part 2230 , the slit accommodates at least a part of the head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2200 . can do. However, th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slit is not limited to the head portion, and various portions may b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2200 . Accordingly, the product packaging of the multi-purpose broom or storage when not in use can be facilitated.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 (2230) 와 샤프트부 (2220a) 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파지부(2220b)는 샤프트부 (2220a) 와의 관계에서 상대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 결합구조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2,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파지부 (2220b) 와 샤프트부 (2220a)는 각각 외부 파이프 (50) 및 외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파이프 (4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2와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220b) 내부로 샤프트부 (2220a) 가 최대한 가깝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용도 빗자루의 제품 포장을 간소화할 수 있고, 다용도 빗자루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2 , the holding part 2230 and the shaft part 2220a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olding part 2220b may be coupled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in relation to the shaft part 2220a is adjustable. there is. For exam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5 in relation to the handle portion coupling structure, the gripping portion 2220b and the shaft portion 2220a are respectively the outer pipe 50 and the inner that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It may correspond to the pipe 40 . Therefore, as previously exemplari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5, the length of the handle may be adjustable. 23, by allowing the shaft portion 2220a to be inserted as close as possible into the gripping portion 2220b, the product packaging of the multi-purpose broom can be simplified, and storage when the multi-purpose broom is not used is reduced. You can do it easily.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it does not mean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drawings or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들로 예시되어 설명되었으나, 각각의 실시예들이 반드시 각 실시예에 속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서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각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이 서로 결합한 형태로 사용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 포함되는 내부 골격부는 실시예 5 내지 7의 바닥 쓸이부의 몸체부 또는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손잡이부 결합 구조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은 임의의 이물질 접촉부에 대해서 적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ach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as a form including all components belonging to each embodiment, and som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internal skeleton part included in Embodiment 1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body part and the head part of the floor sweeping units of Embodiments 5 to 7. Also,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handle portion coupling structure may be applied to any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series of functional blocks, it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types of combinations may be provided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and/or necessity.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embodiments,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or at the same time as other step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are not exclusive,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e examples of various aspects. It is not possible to describe every possible combination for representing the various aspects, bu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other combin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all other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이물질 접촉부
10 : 바닥 쓸이부
20 : 제 1 보조 쓸이부
25 : 제 2 보조 쓸이부
30 : 내부 골격부
31 : 결합 구멍
60 : 체결 구멍
40 : 손잡이 내부 파이프
50 : 손잡이 외부 파이프
100: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10 : floor sweeper
20: 1st auxiliary writing part
25: second auxiliary sweeping part
30: internal skeleton
31: coupling hole
60: fastening hole
40: handle inner pipe
50: handle outer pipe

Claims (30)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2 보조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는,
미리 결정한 소정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의 내부 골격부; 및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골격부를 둘러 싸는 외부 탄성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
a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s a multipurpose broom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floor sweeping unit disposed at an end opposite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It is dispos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comprising a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portio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plate-shaped internal skeleton portion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rom being bent beyond a predetermined degree; and
A multipurpose broom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omprising an outer elastic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skelet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청소 대상인 바닥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or sweeping uni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has a flat structure in a straight lin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A multipurpose broom that is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from the handle portion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A multipurpose broom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greater stiffness than the floor sweeping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는,
서로 상이한 개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blad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는,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고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having blad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r
having a blade having different stiffness, or
A multipurpose broom having blad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different stiffn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거울 또는 타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청소 대상 표면에 도포된 액체를 제거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다른 하나는, 가구 하단을 포함하는 틈새 공간에 배치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removing a liquid applied to a surface to be cleaned, whic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ass, mirror or tile;
The other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is a multipurpose broom, configured to scrape foreign substances disposed in a gap space including a lower end of furnitu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골격부는,
복수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nal skelet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provided to allow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internal skeleton part and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internal skeleton part to be coupled to each other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Multipurpose b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골격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양측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nal skeleton,
A multipurpose broom comprising at least one flat portion and bent portion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configured to improve rigidity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되었을 때 신규 몸체부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part to which the body part is detachably coupled,
The multipurpose broom, which is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with a new body part when at least one of the floor sweep unit, the first auxiliary sweep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 unit wears ou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폭을 가지는 로드 및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로드 및 상기 결합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
11. The method of claim 10,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ncludes a rod having a first width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The othe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the multipurpose broom having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2 보조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 쓸이부, 제 1 보조 쓸이부 및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마모되었을 때 신규 몸체부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a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s a multipurpose broom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floor sweeping unit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disposed on a first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It is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mprises a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unit,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a fasten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The multipurpose broom, which is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with a new body part when at least one of the floor sweep unit, the first auxiliary sweep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 unit wears out.
삭제delete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2 보조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외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파이프는 스프링부를 구비하여 삽입 정도가 조절 가능한 걸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파이프는 상기 걸쇠부의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길이 조절 홀을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
a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s a multipurpose broom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floor sweeping unit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a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disposed on a first sid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It is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mprises a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econd sid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nd the handle part are coupl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fastening angle through a bolt and a nut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The handl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pip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andle portion,
The inner pipe is provided with a spring portion and includes a clasp having an adjustable degree of insertion, and the outer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holes capable of fixing the clas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blade having a serrated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A blad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A multipurpose broom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기둥 형상은,
원 기둥 및 각형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needle column shape is,
A multipurpose broo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ircular pole and a prismatic pol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 및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돌출부들은,
하나의 열 내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다용도 빗자루.
17. The method of claim 16,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unit may include:
including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one row, or
A multipurpose broom,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each comprising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플랫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소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공간에 위치한 이물질을 긁어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거나,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2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직물에 배치된 털 또는 머리카락을 빗어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provided with a blade formed with a flat end, is configured to scrape and clean foreign substances located in a space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a predetermined width,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lade having a serrated end at its end,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uxiliary sweep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blade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fabric A multipurpose broom, configured to be used for combing and removing old hair or hair.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 및 제 1 보조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의 내부에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
a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s a multipurpose broom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floor sweeping unit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It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mprises a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portion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are coupled,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composed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is disposed in a L-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rom being bent beyond a predetermined degree, including an internal skeleton portion A multi-purpose broom.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이 일 측면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고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청소 대상인 바닥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고,
바닥의 이물질에 대한 쓸기 또는 긁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빗자루.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floor sweeping uni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is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is configured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A multipurpose broom designed to sweep or scrape debris on the floo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인 상기 바닥 쓸이부의 상면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제 1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측면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floor sweeping unit,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which is a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has a flat structure in a straight lin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It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second sid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from the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the multipurpose broom.
삭제delet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골격부는,
복수의 결합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사출 제작시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1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 및 상기 내부 골격부의 제 2 측면에 위치하는 탄성 재료가 상호 결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internal skelet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provided to allow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internal skeleton part and the elastic material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internal skeleton part to be coupled to each other during injection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Multipurpose broom.
삭제delete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에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제 1 보조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체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상기 손잡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체결 각도가 조정되었을 때 상기 슬릿은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다용도 빗자루.
a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s a multipurpose broom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 floor sweeping unit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located on the floor;
It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comprises a first auxiliary sweeping portion having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irst sid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art and the handle part are coupl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fastening angle through a bolt and a nut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sl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The multipurpose broom, wherein the slit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when the fastening angle is adjus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pproaches the handl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는,
말단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용도 빗자루.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 multipurpose broom having a blade having a serrated en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바늘 기둥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 1 보조 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다용도 빗자루.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blade provided in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unit,
A multipurpose broom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needle column shap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sweeping part.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기둥 형상은,
원 기둥 및 각형 기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needle column shape is,
A multipurpose broo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ircular pole and a prismatic pole.
청소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청소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물질 접촉부; 및
상기 이물질 접촉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로서,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이물질 접촉부의 상기 손잡이부 반대 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바닥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바닥 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쓸이부는,
이물질 접촉단인 상기 바닥 쓸이부의 상면이 일직선 형태의 플랫 구조를 가지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제 1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측면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부터 상기 이물질 접촉단 방향으로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 접촉부는, 상기 바닥 쓸이부가 결합되는 몸체부를 더 구비하고, 소정 강도를 가지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 판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접촉부가 미리 결정한 정도를 초과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골격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자루.
a foreign material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o move the cleaning object; and
As a multipurpose broom coupled to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and includes a floor sweeper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materials located on the floor,
The floor sweeping unit,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sweeping unit, which is a foreign material contact end, has a flat structure in a straight lin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It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second sid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configur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foreign substance contact end from the direction of the handle,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to which the floor sweeping portion is coupled, is made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is disposed in a plate 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contact portion from being bent beyond a predetermined degree A multipurpose broom comprising an internal skeleton.
KR1020200142709A 2020-03-26 2020-10-30 A multi purpose broom KR102386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95A KR20220052869A (en) 2020-03-26 2022-04-08 A multi purpose b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89 2020-03-26
KR20200037089 2020-03-26
KR1020200106285A KR20210120792A (en) 2020-03-26 2020-08-24 A multi purpose broom
KR1020200106285 2020-08-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95A Division KR20220052869A (en) 2020-03-26 2022-04-08 A multi purpose b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798A KR20210120798A (en) 2021-10-07
KR102386248B1 true KR102386248B1 (en) 2022-04-13

Family

ID=781144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709A KR102386248B1 (en) 2020-03-26 2020-10-30 A multi purpose broom
KR1020220043995A KR20220052869A (en) 2020-03-26 2022-04-08 A multi purpose broo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95A KR20220052869A (en) 2020-03-26 2022-04-08 A multi purpose b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62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437B1 (en) 2022-03-04 2024-03-25 주식회사 유진커머스 Rotatable broom with sweeper and its method thereof
IL297142B2 (en) * 2022-10-06 2024-05-01 Tyroler Ltd A wiping to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714Y1 (en) * 2003-12-24 2004-03-12 승 욱 홍 Snow Cleaner for Automobile
KR200474749Y1 (en) * 2013-08-16 2014-10-13 (주) 주안레이저 Cleaning device for window
KR101509235B1 (en) * 2013-12-17 2015-04-07 광주광역시 광산구 Device for defrostation
KR101982453B1 (en) * 2018-12-19 2019-08-28 양혜정 Cleaner having assistance cleaning par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527B1 (en) 2013-02-21 2014-10-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Tongs with bro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714Y1 (en) * 2003-12-24 2004-03-12 승 욱 홍 Snow Cleaner for Automobile
KR200474749Y1 (en) * 2013-08-16 2014-10-13 (주) 주안레이저 Cleaning device for window
KR101509235B1 (en) * 2013-12-17 2015-04-07 광주광역시 광산구 Device for defrostation
KR101982453B1 (en) * 2018-12-19 2019-08-28 양혜정 Cleaner having assistance cleaning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869A (en) 2022-04-28
KR20210120798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5246A1 (en) Cleaning devices having feedback between different cleaning states
US10952573B2 (en) Cleaning devices with selectively flexible or rigid handles
KR20220052869A (en) A multi purpose broom
US9743747B2 (en) Multi-surface cleaning implement
US20060200929A1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US20070180640A1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US6202246B1 (en) Multi-purpose scrub mop
US6701567B2 (en) Cleaning attachment for converting a broom to a mop
EP2430964B1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WO2014116438A1 (en) Dustpan
US20040134009A1 (en) Cleaning device with multi-length bristles
CA3032405C (en) A brush head and cleaning apparatus for multiple surfaces
JP5433369B2 (en) Cleaning tool
US8347447B2 (en) Mop body having recessed side surfaces
KR20210120792A (en) A multi purpose broom
US20060075587A1 (en) Mop assembly and mop comprising such a mop assembly
JP7432269B1 (en) handheld brush for cleaning
JP4699437B2 (en) Cleaning tool
CN210124705U (en) Toilet brush
KR200482526Y1 (en) Push stick-type cleaning device
JP2022131991A (en) line brush
JP2001008856A (en) Toilet cleaner
KR20180000413U (en) Push stick-type cleaning device
JPH11164735A (en) Body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