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133B1 - 휴대용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133B1
KR102386133B1 KR1020210058707A KR20210058707A KR102386133B1 KR 102386133 B1 KR102386133 B1 KR 102386133B1 KR 1020210058707 A KR1020210058707 A KR 1020210058707A KR 20210058707 A KR20210058707 A KR 20210058707A KR 102386133 B1 KR102386133 B1 KR 10238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gas burner
portable gas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21005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133B1/ko
Priority to PCT/KR2022/003181 priority patent/WO2022234939A1/ko
Priority to CN202280033373.1A priority patent/CN117677798A/zh
Priority to EP22798985.2A priority patent/EP430685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23D14/583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of elongated shape, e.g. sl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being arranged for submerged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25Radiant burners heating a wall surface to incand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8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in association with a gaseous fuel source, e.g. acetylene generator, or a container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버너 {PORTABLE GAS BURNER}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버너는 본체와 본체 상단에 냄비 등을 올려두고 가스를 점화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의 중앙에 화구를 형성한 버너본체가 위치하고, 버너본체 위에 구이판이나, 냄비(pot) 등을 올려두고,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부탄가스통을 탈착할 수 있는 가스통장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스통장착부 전면에 배치되는 연료공급/점화스위치를 조작하여 부탄가스통의 연료를 공급하고, 압전소자의 압전전기를 발생시켜 화구로 연료 방출함과 동시에 화염을 점화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용 가스버너는 케이스를 포함한 버너 자체의 크기가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다소 거대하고 무거울 뿐 아니라, 냄비나 주전자, 구이판 등의 추가적인 도구들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용 가스버너는 화염을 견디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무게가 무거워지며, 소형화를 위하여 접거나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가 드물다.
특히, 캠핑을 하거나, 짐을 가지고 걸어서 산을 오르는 산행을 하는 경우에는 다른 짐들이 많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는 캠핑도구나 산행도구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또한, 산행을 하는 경우 간단하게 음료에 필요한 물을 가열하거나, 라면 또는 전투 식량 등을 조리하는데 필요한 물을 가열하는데 화구가 장착된 휴대용 가스버너 및 물을 끓이기 위한 냄비 등을 동시에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비화식 조리 방법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일회용 발열팩은, i) 1회용 쓰레기의 발생, ii) 부탄 가스 등보다 고가의 물품, iii) 기 조리된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정도의 적은 열량만을 발생하여 조리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 불가한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발열팩을 사용하여 라면을 조리하는 경우, 순간 발열량의 한계로 인하여 조리 시간이 15분 이상 소요되며, 이러한 경우 라면의 면이 불케되는 등 제대로 조리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백팩킹의 경우, 여러 개의 발열팩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무게와 부피가 상당하게 증가하게 된다.
한편, 물 등의 액체에 침수시킨 다음 화염을 일으키는 침수형 버너도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침수형 히터는 필연적으로 흡기와 배기가 수면 위쪽을 향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연소에 필요한 흡기 및 연소 후에 발생되는 배기가 물 위의 같은 방향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연소되는 가스를 위하여 흡기가 수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갔다가, 연소된 후 배기로서 수면 위쪽으로 상승해야 한다.
그런데, 물 안 쪽에 침수된 부분에서 연소되는 경우 연소 가스의 열로 인하여 뜨거운 가스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뜨거운 가스의 부력의 반대 방향으로 흡기를 순환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종이컵 예를 들어 150ml의 종이컵과 같은 소형 용기에 침수시켜 가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침수되는 부위의 크기가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 가스 통로 및 배기부의 굵기의 한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입부, 가스 통로 및 배기부의 굵기의 한정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침수식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연료는 가스 형태로 주입되고, 상기 제1 관에는, 상기 일단에서 주입되는 연료와 혼합되도록, 상기 일단에 인접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관의 일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관의 연료연통부에 연결되는 주입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관의 연료연통부로 주입되는 관의 내부 관경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제1 관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줄어들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가스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의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보다 짧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의 점화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관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 상기 제2 관의 일단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관의 타단에서 발생하는 연소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의 타단은, 상기 제1 관의 점화 장치에 의하여 연소되는 화염이 접촉하여 양 측으로 퍼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의 내측 공간은, 상기 연소구간에서 발생되는 연소에 의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의 외측면은, 외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1 이상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의 외경과 상기 제2 관의 내경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20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의 일단과, 상기 제2 관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20mm 이상 40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2 관은, 상기 제2 관의 외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을 덮도록 배치되는 가림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3 관의 일단을 막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막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공간을 이루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의 외측은, 외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은, 상기 제3 관이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제3 관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바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2 관의 타단은,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은, 상기 제1 관의 타단에서 발생하여 상기 연소구간으로 유입되는 화염이 상기 제3 관의 외경쪽으로 분산되도록 내측이 외경쪽으로 갈수록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3 관의 타단은, 상기 제3 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연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은, 상기 제3 관의 내부 공간을 2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하부는 연통되며, 상기 구획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 공간에는 상기 제1 관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구획부 하부의 연통부를 통하여 제2 공간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에는 측면 상단에 상기 제2 관이 관통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은, 일단은 상기 제1 관과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 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3 관의 타단쪽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2 관은, 상기 제1 관과 연결되는 제1 바디, 상기 제3 관의 개구부에 관통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디는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 및 제2 관을 연결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 관에 고정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제1 클램프와 결합되고, 상기 제2 관에 고정결합되는 제2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클램프는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어,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는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의 높이는 상기 제1 클램프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관에 형성되는 상기 가림막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서 상기 제1 관 및 상기 제2 관 사이에 끼움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더의 후단이 끼움되는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의 내측면에는 상기 홀더의 선단이 끼움되는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소형화로 이루어져 휴대성 높으며, 지속적인 연료 공급과 화염의 높은 온도로 인하여 충분한 양의 물을 끓는 점까지 올릴 수 있는 충분한 발열량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접적으로는 사용하는 용기가 금속이 아니어도 되어 가벼운 실리콘 용기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 가능한 실리콘 용기는 접힐 수 있는(foldable) 실리콘 용기 사용 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제1 관에 형성된 제1 개구부가 제2 관의 일단과 이격됨으로써, 제1 개구부로 충분한 공기가 인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차가운 액체 속에 침지되더라도, 화염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배출관이 상단으로 갈수록 개구된 부분이 제1 관 내지 제3 관의 외경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방향과 가까운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됨으로써, 배기가스가 좌우 방향으로 배출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사용자 및 제1 관 및 제2 관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 제2 면 및 사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3 관의 외측면에 의하여, 제3 관의 외측면과 액체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제3 관 내부의 열을 보다 빠르게 액체에 전달함으로써, 액체를 가열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제1 관, 제2 관 및 제3 관의 각각의 구조 및 서로 결합 관계를 통하여, 소형화된 휴대용 가스버너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관과 제2 관의 길이관계, 제1 관에 형성된 제1 개구부, 제2 관의 상단의 개구부, 제3 관의 연소구간 및 배출관 등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연장부가 제3 관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에서 제1 관 및 제2 관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중 다른 한 공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에 따르면, 구획부를 가지고 상부의 직경이 넓은 제3 관을 이용하여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큰 용기에 담긴 액체를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 관 및 제2 관의 크기에 비교적 구애받지 않고 제3 관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는 소형화된 제1 관, 제2 관 및 제3 관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크기의 그릇, 예를 들어 컵라면 용기나, 국그릇, 소형 종이컵 등에 침수시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버너는 직접 물(액체)에 침수시켜 가열하는 장치로 소형의 크기를 가지며, 휴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관의 연료연결부에 연결되는 연료통에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캔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부탄 가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야외에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관의 하단에서 점화 장치에 의하여 점화가 발생하는 경우, 점화된 화염은 제1 관의 하단쪽을 향한다. 이때, 제1 관의 단부가 제2 관의 단부보다 짧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관의 하단에서 발생하는 화염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휴대용 가스버너가 용기안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3 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 각각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 각각은 도 12에 도시된 클램프부를 이용하여 제1 관 및 제2 관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홀더를 이용하여 제1 관 및 제2 관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휴대용 가스버너(1000)가 용기(10)안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여러가지 용기(10), 예를 들어 실리콘 용기(10), 스티로폼 용기(10) 등의 그릇에 담긴 물이나 액체(12)에 휴대용 가스버너(1000)의 가열 부위인 제3 관(300)을 침수시켜 물(액체(12))을 직접 가열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1 관(100),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을 포함한다.
제1 관(100)은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1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관(100)은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110), 연료연통부(1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연료통(20)과 연결되는 연료연결부(109), 연료연통부(110)의 하단으로 이어지고 연료통(20)으로부터 연료가 주입되는 메인관(120)이 배치된다.
연료연결부(109)에는 유량조절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조절부(115)는 제1 관(100)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관(100)의 연료연통부(110)에 연결되는 주입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부(115)는 제1 관(100)의 연료연통부(110)로 주입되는 내측에 배치된 관의 내부 관경을 조절함으로써, 메인관(120)으로 주입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부(115)는 제1 관(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줄어들어 외부의 공기가 제1 개구부(130)를 통해 유입되도록 제1 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유량조절부(115)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다이얼(115a)과, 조절다이얼(115a)이 연결되는 조절축(115b)을 구비할 수 있다.
연료는 가스 형태로 주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통(20) 내부에 있는 연료는 액체(12)상태이나, 제1 관(100)의 내부로 주입되는 경우 가스로 기화되어, 제1 관(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메인관(120)은 연료연통부(110)의 하부로 이어진다. 메인관(120)에는 제1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관(120)의 하단에는 점화를 위한 점화 장치(18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100)에는 일단에서 주입되는 연료와 혼합되도록, 일단에 인접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1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100)의 메인관(120) 상단에 제1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관(120)의 상부에 1 이상의 제1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제1 관(1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인입된 공기는 제1 관(100)을 통해 흐르는 연료와 혼합된다. 공기와 혼합된 연료는 연소에 적합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개구부(130)는 제2 관(200)의 일단(201)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2 관(200)의 상부로 인입하는 공기로 인하여, 제1 개구부(130)로 충분한 공기가 인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130)가 제2 관(200)의 일단(201)과 이격됨으로써, 제1 개구부(130)로 충분한 공기가 인입될 수 있다.
제1 관(100)은 제1 관(100)의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1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관(100)의 타단의 내측에 점화 장치(180)가 배치된다. 점화 장치(180)는 메인관(120)으로 흐르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를 점화시켜 화염(F)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1 관(100)의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제1 관(100)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 제2 관(200)의 일단(201)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1 관(100)의 타단에서 발생하는 화염(F)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제1 관(100)의 하단에서 발생된 화염(F)에 지속적인 연소가 가능하다.
한편, 제1 관(100)의 타단은 제2 관(200)의 타단(202)보다 짧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관(100)의 타단인 제1 관(100)의 하단측이 제2 관(200)의 타단(202)인 제2 관(200)의 하단측 보다 짧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관(100)의 타단이 제2 관(200)의 타단(202)보다 짧음으로써, 제1 관(100)의 타단에 배치된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연료 및 공기의 혼합 기체에 화염(F)이 발생하는 경우 추가적인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관(100)의 하단에서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점화가 발생하는 경우, 점화된 화염(F)은 제1 관(100)의 하단쪽을 향하여 진행된다. 이때, 제1 관(100)의 단부가 제2 관(200)의 단부보다 짧게 이루어짐으로써, 제1 관(100)의 하단에서 발생하는 화염(F)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관(200)은 제1 관(100)에 연결되거나, 제1 관(100)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200)은 제1 관(100)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관(200)의 상단 및 제2 관(200)의 하단이 연통된다. 제2 관(200)의 상단으로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며, 제2 관(200)의 하단으로는 제1 관(100)의 하단에서 발생되는 화염(F)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2 관(200)은 제2 관(200)의 외측에서 돌출되고, 제3 관(300)의 타단(302)을 덮도록 배치되는 가림막(2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가림막(210)은 제2 관(200)의 상단에서 제3 관(300)의 상단의 개구부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덮도록 돌출될 수 있다. 가림막(210)을 통해, 제3 관(300)의 제3 개구부(33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제2 관(200)의 상단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만약 제2 관(200)의 상단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배기가스가 혼합되는 경우, 제2 관(200)의 상단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관(100)의 하단에서 점화되는 화염(F)에 공급되어 화염(F)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가림막(210)은 제2 관(200)의 상단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배기가스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관(100)의 외경과 제2 관(200)의 내경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20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관(100)의 메인관(120)의 외경과 제2 관(200)의 내측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관(100)의 외경과 제2 관(200)의 내경 사이의 거리가 1mm 보다 작은 경우,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a2)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가 좁아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100)의 외경과 제2 관(200)의 내경 사이의 거리가 20mm 보다 큰 경우에는 본 발명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서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의 고정이 느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100)의 외경과 제2 관(200)의 내경 사이의 거리가 1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100)의 일단과, 제2 관(200)의 일단(201) 사이의 거리는 20mm 이상 40mm 이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관(100)의 일단, 구체적으로 제1 관(100)의 메인관(120)의 상단과 제2 관(200)의 일단(201)인 제2 관(200)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20mm 이상 4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100)의 일단과 제2 관(200)의 일단(201) 사이의 거리가 20mm 보다 작은 경우, 제1 관(100)에 형성된 제1 개구부(130)가 형성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관(100)과 제2 관(200)이 서로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의 거리가 40mm 이상으로 커지면, 제1 관(100) 내부에 흐르는 기화된 연료 및 제1 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 관(100)의 하단으로 가는 길이가 길어져 제1 관(100) 내부에 연료 및 공기의 혼합 기체가 충분하게 하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관(300)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제2 관(200)의 타단(202)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일단(301)인 상단은 개구되고, 제3 관(300)의 타단(302)인 하단은 제2 관(200)의 타단(202)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제3 관(300)의 타단(302)은 제2 관(200)의 하단과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100)의 하단에서 발생된 화염(F)은 제2 관(200)의 하단 및 제3 관(300)의 하단 사이에서 연소된다. 제1 관(100)의 하단에서 제3 관(300)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연소구간(303)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관(300)의 내부에는 연소구간(303)이 형성된다. 제3 관(300)의 타단(302)의 내측에는 제1 관(100)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303)이 형성된다.
연소구간(303)에서 연소된 화염(F)은 제3 관(300)과 제2 관(2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연소구간(303)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제3 관(300) 및 제2 관(2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고온의 배기가스가 제3 관(300)과 제2 관(200) 사이를 통과하며, 제3 관(300)의 내측면(300a) 및 외측면(300b)을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관(300)의 하단면 및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은 고온으로 가열되며, 가열된 제3 관(300)의 하단면 및 제3 관(300)의 외측면(300b)과 용기(10)에 담긴 액체(12)가 열교환하며, 액체(12)가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제3 관(300)에는 차단막(3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300)의 상단에 차단막(310)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310)은 제3 관(300)의 일단(301)인 상단에 배치되고, 제3 관(300)의 상단을 막도록 형성된다. 차단막(310)은 제3 관(300)에서 올라오는 배기가스가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관(300)은 차단막(3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배출관(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20)은 차단막(3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공간을 이룬다.
배출관(320)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20)은 제3 관(300)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320)을 통해 휴대용 가스버너(1000)에서 연소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관(320)이 외부를 향해 절곡됨으로써 고온의 배기가스가 연료통(20),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의 상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배출관(320)의 일단은, 상측으로 갈수록 제1 관(100) 및 제2 관(200)과 이격거리가 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20)은 상단으로 갈수록 개구된 부분이 제1 관(100) 내지 제3 관(300)의 외경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방향과 가까운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출관(3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을 향하거나, 상부를 향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사용자 및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을 보호할 수 있다.
제3 관(300)은 제3 관(300)이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제3 관(300)의 타단(302)에서 돌출되어 바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타단(302)인 제3 관(300)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바닥까지 지지부(390)가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390)는 바닥에 대하여 제1 관(100) 내지 제3 관(300)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390)는 3개 이상의 다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390)의 각 다리는 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390)는 용기(10)의 바닥이 편평하지 않아도 지지부(390)의 각 다리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관(300)의 타단(302)은 제1 관(100)의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연소되는 화염(F)이 접촉하여 양 측으로 퍼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관(100)의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발화된 화염(F)이 제3 관(300)의 하단면에 접촉되고, 접촉된 화염(F)은 양측으로 퍼지도록 제1 관(100)의 점화 장치(180)의 위치 및 제3 관(300)의 타단(30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하단면에 접촉된 화염(F)이 양측으로 퍼지기 용이하도록 제3 관(300)의 하단면은 중앙부분이 편평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위쪽으로 절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가스버너(1000) 내부에 발생되는 화염(F)은 제3 관(300) 내부에 효과적으로 퍼져 제3 관(3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제3 관(300)의 내부의 온도는 용기(10) 내부에 채워진 액체(12)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100),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은 결합 수단(400)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은 제1 결합부재(41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10)는 제2 관(200)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볼트가 삽입되고, 볼트는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고정되며,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관(200) 및 제1 관(1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볼트는 제2 관(20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제1 관(100)의 외측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수단(400)은 상술한 제1 결합부재(410)와 동일한 특징으로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을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20)는 제3 관(30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볼트가 삽입되고, 볼트는 회전되어 제2 관(200)의 외측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의 외측면에는 상술한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정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연료, 공기 및 배기가스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료연통부(110)를 통해 연료통(20)으로부터 연료가 메인관(1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연료는 기화된 연료일 수 있다.
메인관(120)에서는 연료연통부(110)로부터 유입되는 기화된 연료와 제1 개구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a1)가 혼합될 수 있다. 편의상 이를 제1 유입공기(a1)라 할 수 있다.
이때, 메인관(120)을 통과하는 연료가 제1 개구부(13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는 메인관(120)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게 형성되어, 베르누이 법칙(Bernoulli's theorem)에 의하여, 제1 개구부(130)를 통해 외부에서의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메인관(120)의 하부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b2)가 흐를 수 있다. 메인관(120) 하부에 배치된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가 점화될 수 있다.
한편, 제2 관(20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편의상 이를 제2 유입공기(a2)라고 할 수 있다.
메인관(120) 하부에 배치된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연료와 공기 혼합된 기체에 점화되는 경우 추가적인 공기가 필요할 수 있는데, 상술한 제2 유입공기(a2)가 점화된 화염(F)에 공급되어 화염(F)이 유지될 수 있다.
제3 관(300)의 내측의 연소구간(303)에서 연소되는 화염(F)은 휴대용 가스버너(10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 관(300)의 내측에서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배기가스(c1)는 제2 관(200) 및 제3 관(3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에 배출될 수 있다(c2).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관(320)에 의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가림막(210)에 의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부를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1 관(100),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의 각각의 구조 및 서로 결합 관계를 통하여, 소형화된 휴대용 가스버너(100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관(100)과 제2 관(200)의 길이관계, 제1 관(100)에 형성된 제1 개구부(130), 제2 관(200)의 상단의 개구부, 제3 관(300)의 연소구간(303) 및 배출관(320) 등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함으로써 사용상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소형화된 제1 관(100),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크기의 그릇, 예를 들어 컵라면 용기(10)나, 국그릇, 소형 종이컵 등에 침수시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직접 물(액체(12))에 침수시켜 가열하는 장치로 소형의 크기를 가지며, 휴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관(100)의 연료연결부(109)에 연결되는 연료통(20)에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캔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부탄 가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야외에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3 관(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제3 관(300)의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 유사하므로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의 제3 관(300)은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은 외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1 이상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의 절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면(300b1),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배치되는 제2 면(3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00b1) 및 제2 면(300b2)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구비된다.
절곡부는 제1 면(300b1) 및 제2 면(300b2)의 돌출된 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제1 면(300b1) 및 제2 면(300b2) 사이에 사이공간(300b3)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공간(300b3)에 용기(10) 내부의 액체(12)가 유입, 유출됨에 따라 제3 관(300) 내부의 열을 전달받는 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액체(12)가 보다 빠르게 가열될 수 있다.
제1 면(300b1), 제2 면(300b2) 및 사이공간(300b3)으로 이루어지는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에 의하여, 제3 관(300)의 외측면(300b)과 액체(12)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된다. 이를 통해 제3 관(300) 내부의 열을 보다 빠르게 액체(12)에 전달함으로써, 액체(12)를 가열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이 곡선으로 굴곡된 외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이 곡선으로 이룸으로써 운반 및 보관의 경우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을 파지하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에 접촉되어 가열되는 액체(12)가 보다 부드럽게 유동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이 지속적으로 절곡되는 것이 아니라, 제3 관(300)의 하단부만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면(300b1)보다 제3 관(300)의 하단쪽의 제2 면(300b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면(300b2)의 하단부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면(300b2)의 굴곡을 통하여, 제3 관(300)의 하단면에 접촉되는 화염(F)이 바깥쪽을 향해 퍼져나갈 수 있다.
한편, 제2 관(200)의 타단(202)은,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배출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관(300)의 타단(302)은, 제1 관(100)의 타단에서 발생하여 연소구간(303)으로 유입되는 불꽃이 제3 관(300)의 외경쪽으로 분산되도록 내측이 외경쪽으로 갈수록 상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관(200)의 타단(202)은 제2 관(200)의 다른 부분 보다 직경이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관(200)의 타단(202)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을 통과하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 기체가 제2 관(200)의 타단(202)부를 통해 집중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관(300)으로 인입하는 화염(F)이 넓게 펼쳐지지 않아 화염(F)의 세기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관(200)의 타단(202)부의 직경이 줄어듦으로써,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집중될 수 있다. 집중된 혼합기체에 화염(F)이 점화됨으로써 화염(F)이 안정적이고 집중되며 강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은 절곡되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타단(302)은 제3 관(300)의 일단(301)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연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관(300)의 연장부(302a)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관(300)은 제1 관(100)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다가, 연장되는 방향의 수직한 어느 한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관(300)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관(200) 또한, 제3 관(30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관(200)의 연장부(20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바닥의 면적이 넓은 용기(10)에도 침수/침지 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수한 액체(12)와의 접촉 표면적이 증가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액체(12)를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관(100)의 하단부에서 발생되는 화염(F)은 제2 관(200)의 바깥까지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관(100)의 하단부에서 발생되는 화염(F)은 매우 빠른 속도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화염(F)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c1a) 또한 화염(F)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매우 빠르게 토출된다(c1b). 따라서, 배기가스가 제2 관(200)의 연장된 부분을 타고 제3 관(300)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c1b).
제3 관(300)으로 배출된 배기가스(c1c)는 제2 관(200) 및 제3 관(3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c1)는 제3 관(300) 상부를 향해 배출된다(c2).
배기가스의 온도가 높으므로, 이러한 배기가스에 의하여 제3 관(300)이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제3 관(300)은 액체(12)와 열교환을 통하여 액체(12)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제3 관(300)의 외측면(300b)은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이 가로로 길게 연장됨으로써, 넓은 용기(10)에 담긴 액체(12)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가 넓은 경우, 제1 관(100)과 결합되는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이 상술한 절곡되어 길게 연장되는 관을 사용함으로써 큰 용기(10)에 담긴 액체(12)도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1 관(100) 및 제3 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1 관(100)은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180)를 포함한다. 제3 관(300)은 상단이 개구되고, 타단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300)은 제3 관(300)의 내부 공간을 2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관(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획부(350)의 하부는 연통된다. 그리고, 구획부(350)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 공간(308)에는 제1 관(100)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303)이 형성된다.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구획부(350) 하부의 연통부를 통하여 제2 공간(305)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배기가스(c1)는 제3 개구부(330)를 통해 배출된다(c2).
이때, 제2 공간(305)은 배출구간이 될 수 있다. 배출구간으로 전달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제3 관(300)을 가열하고, 가열된 제3 관(300)은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액체(12)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100) 은 제3 결합부재(430)를 통해 제3 관(30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결합부재(430)는 제1 관(100)을 감싸는 스트링(432)과 스트링(432)를 제3 관(300)의 외측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100) 은 제3 결합부재(430)를 통해 제3 관(3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관(100)에 형성되는 가림막(140)을 통해 제3 관(300)의 단부에 걸쳐질 수도 있다. 가림막(140)이 제3 관(300)의 단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3 결합부재(430)를 통해 제1 관(100) 및 제3 관(3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획부(350)는 제3 관(300)의 내부에서 제1 공간(308) 및 제2 공간(305)을 구획하는 구획면(351) 및 제3 관(300)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는 연장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100) 은 제1 공간(308) 또는 제2 공간(30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100) 이 배치되는 공간의 맞은편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될 수 있다.
연장부가 제3 관(300)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제1 공간(308) 또는 제2 공간(305)에서 제1 관(100) 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제1 공간(308) 및 제2 공간(305) 중 다른 한 공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관(300)은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300)의 하부 직경은 제3 관(300)의 상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305)을 통해 배기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 제1 공간(308)의 상부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며, 이러한 경우 화염(F)에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화염(F)이 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구조를 통하여 제3 관(300)의 제1 공간(308)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화염(F)이 연소를 지속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305)으로 배기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에 따르면, 구획부(350)를 가지고 상부의 직경이 넓은 제3 관(300)을 이용하여 액체(12)를 가열함으로써, 큰 용기(10)에 담긴 액체(12)를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 관(100) 의 크기에 비교적 구애받지 않고 제3 관(300)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 각각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4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 각각은 도 12에 도시된 클램프부(440)를 이용하여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이 서로 결합하는 구조 및/또는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결합하는 구조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1 관(100),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을 포함하고, 제3 관(300)에는 측면 상단에 제2 관(200)이 관통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 관(200)은 일단이 제1 관(100)과 연결되며,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3 관(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3 관(300)의 타단(302)쪽으로 연장된다.
제1 관(100)은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180)를 포함한다.
제2 관(200)은 제1 관(100)에 연결되거나, 제1 관(100)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 관(200)은 일단이 제1 관(100)과 연결되며,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3 관(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3 관(300)의 타단(302)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관(300)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제2 관(200)의 타단(202)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300)을 포함한다.
이때, 제3 관(300)에는 측면 상단에 제2 관(200)이 관통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관(300)의 측면 상단쪽에는 제2 관(200)이 관통되어 끼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3 관(300)의 상단에는 제2 가림막(340)이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림막(340)은 제3 관(300)을 파지하거나, 제3 관(300)이 용기(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침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여,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관(200)은 제1 관(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은 서로 클램프부(44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100)의 아래쪽 단부와 제2 관(200)의 상부 단부가 서로 클램프부(44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00)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100)을 통과하며, 연료와 외부의 공기가 혼합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제1 개구부(13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제1 관(100)에서 제2 관(200)으로 유입된 연료 및 외부 공기가 혼합된 기체는 제2 관(200)에 형성된 제2 개구부(230)을 통해 추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관(200)의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연소에 필요한 추가적인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2 개구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3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점화 장치(18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개구부(230)는 항상 개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덮개(231)가 열림 상태가 되는 경우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개구부덮개(231)가 닫힘 상태가 되는 경우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 장치(180)가 제2 관(2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장치(180)는 제2 관(200)의 중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점화된 화염(F)은 제3 관(300)의 내부로 일부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화염(F)에 의하여 생성되는 배기가스는 화염(F)의 속도 및 진행방향에 의하여, 제2 관(200)을 따라 제3 관(300)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배기가스가 제2 관(200)의 역방향으로 올라오지 않고, 제2 관(200)을 타고 하부로 유입된 뒤에 제3 관(30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이유는, 점화 장치(180)에 의하여 발생되는 화염(F)은 매우 고온, 고속으로 연료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11a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2 관(200) 및 제3 관(300)은 서로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연료통(20)과 연결된 제1 관(100)을 제2 관(200)과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탈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관(100)은 제2 관(200) 내부로 인입되어 제1 관(100)의 상단부가 제2 관(200)의 상단부에 클램프부(44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100)의 일부가 제2 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부(440)의 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을 연결하는 클램프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클램프부(440)는, 제1 관(100)에 고정되는 제1 클램프(441), 제1 클램프(441)와 결합되고, 제2 관(200)에 고정결합되는 제2 클램프(4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441)는 클립부(442)를 포함한다. 클립부(44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어, 제1 클램프(441) 내부의 공간이 확보된다. 클립부(442)는 제1 클립(442a) 및 제2 클립(442b)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1 클립(442a) 및 제2 클립(442b)을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1 클램프(441)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여 제1 관(100)을 삽입할 수 있다.
또는, 제1 클램프(441)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여,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경우, 제1 클램프(441)를 이용하여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클램프(441) 및 제2 클램프(446)는 서로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클램프(441)의 웰딩-라인(445, welding line)을 따라, 제1 클램프(441) 및 제2 클램프(446)가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제2 클램프(446)의 높이(d2)는 제1 클램프(441)의 높이(d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446)의 높이(d2)는 제1 클램프(441)의 높이(d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클램프(441) 및 제2 클램프(446) 사이의 높이차로 인하여 제2 관(200) 상단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제1 클램프(441) 및 제2 클램프(446)를 외기에 의하여 식힐 수 있다. 즉, 제1 클램프(441) 및 제2 클램프(446)가 지나치게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클램프(446)는 제1 클램프(441)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446b), 상기 라운드부(446b)의 양 단에서 라운드부(446b)와 연직되게 연장되는 날개부(446a), 및 날개부(446a)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부(446a)와 연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46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클램프(446)는 제2 관(200)에 형성되는 가림막(210)에 고정될 수 있다.
라운드부(446b)에 제1 클램프(441)가 용접되어 결합된다. 라운드부(446b)와 제1 클램프(441) 사이에는 웰딩-라인(445) 이외에는 접촉되지 않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으로 외기가 순환하며 제1 클램프(441) 및 제2 클램프(446)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날개부(446a)는 클램프부(4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446a)는 수평부(446c)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날개부(446a)는 날개부(446a) 전면과 날개부(446a) 후면의 공간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관(200)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눌 필요가 있는 경우, 날개부(446a)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수평부(446c)는 제2 관(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림막(2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수평부(446c)에 형성되는 개구홀(446c1)을 통하여 볼트(449) 등을 통해 클램프부(440) 및 제2 관(200)을 결합할 수 있다.
제2 관(200)은 제1 관(100)과 연결되는 제1 바디, 제3 관(300)의 개구부에 관통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 및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제3 바디는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c를 참조하면, 제2 관(200)의 제1 바디는 제1 관(100)과 클램프부(44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부(440)의 제1 클램프(441)가 제1 관(100)과 결합되고, 클램프부(440)의 제2 클램프(446)가 제2 관(200)의 가림막(210)에 결합된다.
제2 바디는 제3 관(300)의 개구부에 관통되어 제3 관(30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는 제3 관(300)의 개구부를 통해 제3 관(300)의 내측에서 제3 관(300)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는 제2 바디가 제3 관(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영역에 끼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의 단부 내에 제3 바디가 결합되고, 제3 바디의 내측으로 제1 바디가 끼움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것과 달리, 제3 바디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바디의 단부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바디는 제2 바디의 단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홀더(450)를 이용하여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는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에 끼움되는 홀더(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홀더(450)는 하나의 홀더(450)의 선단(450a)과, 홀더(450)의 선단(450a)으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는 홀더(450)의 후단(450b)을 포함한다. 다만, 홀더(450)의 형상이 이에 한하지 않는다. 홀더(450)는 H 형상이나,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100) 및 제2 관(200)에는 홀더(450)가 끼움될 수 있는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00)의 외측면에는 홀더(450)의 후단(450b)이 끼움되는 제1 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450)의 후단(450b)이 끼움될 수 있도록 제1 홈(120a)은 서로 이격되어 2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200)의 내측면에는 홀더(450)의 선단(450a)이 끼움되는 제2 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200a)은 제2 관(200)의 내측면에 홀더(450)의 선단(450a)이 끼움될 수 있도록 1개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20a) 및 제2 홈(200a)은 홀더(450)가 2개소 끼움되는 경우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에 홀더(450)가 3개소 이상 배치되는 경우에 제1 홈(120a) 및 제2 홈(200a)은 3개소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에 홀더(450)가 끼움되고,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외력을 가하면, 홀더(450)와 함께 제1 관(100)이 밀려서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버너(1000)는 제1 관(100) 및 제2 관(200) 사이에 끼움되는 홀더(450)를 포함함으로써, 볼트나 너트를 사용하는 구조보다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1 관(100) 및 제2 관(200)의 상대적 위치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상대적 위치를 서로 변경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버너에 사용되는 연료는, 부탄 가스통 등에 포함된 연료 뿐만 아니라, 대기압과 유사한 기압의 통에 포함되는 액화연료(예를 들어, 휘발유나 알코올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휴대용 가스버너에는 액체로 된 휘발유나 알코올 등이 통과하며 기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기화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F 화염
a1 제1 유입공기
a2 제2 유입공기
d2 제2 클램프의 높이
d1 제1 클램프의 높이
10 용기
12 액체
20 연료통
1000 휴대용 가스버너
100 제1 관
109 연료연결부
110 연료연통부
115 유량조절부
115a 조절다이얼
115b 조절축
120 메인관
120a 제1 홈
130 제1 개구부
140 가림막
180 점화 장치
200 제2 관
201 제2 관 일단
202 제2 관 타단
200a 제2홈
202a 제2 관의 연장부
210 가림막
230 제2 개구부
300 제3 관
300a 내측면
300b 외측면
300b1 제1 면
300b2 제2 면
300b3 사이공간
301 제3 관의 일단
302 제3 관의 타단
302a 제3 관의 연장부
303 연소구간
305 제2 공간
308 제1 공간
310 차단막
320, 320' 배출관
330 제3 개구부
340 제2 가림막
350 구획부
351 구획면
352 연장부
390 지지부
400 결합 수단
410 제1 결합부재
420 제2 결합부재
430 제3 결합부재
431 고정부재
432 스트링
440 클램프부
441 제1 클램프
442 클립부
442a 제1 클립
442b 제2 클립
445 웰딩-라인
446 제2 클램프
446a 날개부
446b 라운드부
446c 수평부
446c1 개구홀
450 홀더
450a 홀더의 선단
450b 홀더의 후단

Claims (25)

  1.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은,
    상기 제2 관의 외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을 덮도록 배치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가스 형태로 주입되고,
    상기 제1 관에는,
    상기 일단에서 주입되는 연료와 혼합되도록, 상기 일단에 인접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관의 일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관의 연료연통부에 연결되는 주입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관의 연료연통부로 주입되는 관의 내부 관경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제1 관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줄어들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도록 상기 제1 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가스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의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보다 짧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의 점화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관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 상기 제2 관의 일단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관의 타단에서 발생하는 연소로 유입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의 타단은,
    상기 제1 관의 점화 장치에 의하여 연소되는 화염이 접촉하여 양 측으로 퍼지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의 내측 공간은,
    상기 연소구간에서 발생되는 연소에 의한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의 외측면은,
    외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1 이상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의 외경과 상기 제2 관의 내경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20mm 이하인,
    휴대용 가스버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의 일단과, 상기 제2 관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20mm 이상 40mm 이하인,
    휴대용 가스버너.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3 관의 일단을 막는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막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공간을 이루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면;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배치되는 제2 면; 및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구비하고,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에 액체의 유출입이 가능한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은,
    상기 제3 관이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제3 관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바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의 타단은,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의 타단은, 상기 제1 관의 타단에서 발생하여 상기 연소구간으로 유입되는 화염이 상기 제3 관의 외경쪽으로 분산되도록 내측이 외경쪽으로 갈수록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의 타단은,
    상기 제3 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연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19.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은,
    상기 제3 관의 내부 공간을 2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하부는 연통되며,
    상기 구획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 공간에는 상기 제1 관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가 발생되는 연소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구획부 하부의 연통부를 통하여 제2 공간으로 전달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20. 일단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연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된 연료의 연소를 일으키는 점화 장치를 포함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1 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관;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관의 타단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제3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관에는 측면 상단에 상기 제2 관이 관통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은,
    일단은 상기 제1 관과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 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3 관의 타단쪽으로 연장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은,
    상기 제1 관과 연결되는 제1 바디;
    상기 제3 관의 개구부에 관통되어 연장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디는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버너.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 및 제2 관을 연결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 관에 고정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제1 클램프와 결합되고, 상기 제2 관에 고정결합되는 제2 클램프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버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어,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는 제1 클립 및 제2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의 높이는 상기 제1 클램프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관에 형성되는 상기 가림막에 고정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 및 상기 제2 관 사이에 끼움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더의 후단이 끼움되는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의 내측면에는 상기 홀더의 선단이 끼움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휴대용 가스버너.
KR1020210058707A 2021-05-06 2021-05-06 휴대용 가스버너 KR10238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07A KR102386133B1 (ko) 2021-05-06 2021-05-06 휴대용 가스버너
PCT/KR2022/003181 WO2022234939A1 (ko) 2021-05-06 2022-03-07 휴대용 가스버너
CN202280033373.1A CN117677798A (zh) 2021-05-06 2022-03-07 便携式燃气炉具
EP22798985.2A EP4306851A1 (en) 2021-05-06 2022-03-07 Portable gas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07A KR102386133B1 (ko) 2021-05-06 2021-05-06 휴대용 가스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133B1 true KR102386133B1 (ko) 2022-04-14

Family

ID=8121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07A KR102386133B1 (ko) 2021-05-06 2021-05-06 휴대용 가스버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06851A1 (ko)
KR (1) KR102386133B1 (ko)
CN (1) CN117677798A (ko)
WO (1) WO202223493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9294A (ja) * 2006-08-07 2008-02-21 Covalent Materials Corp ラジアントチューブとそれに使用するセラミック織布製製断熱筒
KR20110044418A (ko) * 2009-10-23 2011-04-29 한인복 가스연소기의 기화촉진장치
JP2018162935A (ja) * 2017-03-27 2018-10-18 東邦瓦斯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
JP6861848B2 (ja) * 2017-12-25 2021-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645C2 (sv) * 1997-09-29 2000-04-17 Ssd Innovation Ab Portabel bränna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9294A (ja) * 2006-08-07 2008-02-21 Covalent Materials Corp ラジアントチューブとそれに使用するセラミック織布製製断熱筒
KR20110044418A (ko) * 2009-10-23 2011-04-29 한인복 가스연소기의 기화촉진장치
JP2018162935A (ja) * 2017-03-27 2018-10-18 東邦瓦斯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
JP6861848B2 (ja) * 2017-12-25 2021-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77798A (zh) 2024-03-08
WO2022234939A1 (ko) 2022-11-10
EP4306851A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7065B2 (ja) 毛管供給ボイラ
US7600510B2 (en) Lightweight, portable cooking stove
US8268027B2 (en) Meltable fuel gas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60061456A1 (en) Portable burner
US7246614B2 (en) Lightweight, portable cooking stove
KR100370373B1 (ko) 휴대용 순간 온수기
US20090314274A1 (en) Lightweight, portable cooking stove
KR102386133B1 (ko) 휴대용 가스버너
US5080580A (en)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usting a pressurized fuel
US5713343A (en) Recreational survival light/stove water heater unit
US20150164277A1 (en) Charcoal Igniter
US5098283A (en) Combustion method for combusting a pressurized fuel
US20060144389A1 (en) Cooking implement for portable gas ranges
US200900903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Contained Heating Vessel
US4126117A (en) Portable single burner campstove
KR102390179B1 (ko)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USRE31738E (en) Portable single burner campstove
KR200365743Y1 (ko) 휴대용 가스 포트의 가스통 구조
US20080233526A1 (en) Heating Apparatus
CN213362573U (zh) 一种野外用军粮加热装置
KR200259817Y1 (ko) 휴대용 음료수 열기기
KR200427837Y1 (ko) 무 버너 고체연료통 받침대
JPH0120569Y2 (ko)
KR200313640Y1 (ko) 가열수단을 겸비한 휴대용 포트
KR820001305Y1 (ko) 오일 곤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