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825B1 -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 Google Patents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25B1
KR102385825B1 KR1020200013585A KR20200013585A KR102385825B1 KR 102385825 B1 KR102385825 B1 KR 102385825B1 KR 1020200013585 A KR1020200013585 A KR 1020200013585A KR 20200013585 A KR20200013585 A KR 20200013585A KR 102385825 B1 KR102385825 B1 KR 10238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lo
coal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9792A (en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2020001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25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이로 내에 복수의 지점에 다수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의 온도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공급받아 분사하여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부가 형성된 서모커플유닛(100)과; 상기 사이로에 저장된 석탄의 적재량을 측정하여 사이로의 피이더로부터 석탄이 수용된 높이를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의 석탄 레벨값을 산출 전송하고, 상기 서모커플유닛이 산출된 석탄의 레벨값에 따라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의 내외부 위치 관계를 인식하여 서모커플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레벨측정부(200)와; 상기 서모커플유닛의 온도측정에 대한 국부적인 각 지점에서 확대된 지점까지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흡입 측정하는 CO 검출부(300)와;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의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레벨값을 비교판단하여 측정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통한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며,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의한 사이로 내부 화재진압 중 어느 하나로 선택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된 메인컨트롤러(400);로 형성됨으로써, 사이로 내부의 다수의 지점의 온도를 동시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를 감시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모커플을 지점에 해당되는 깊이 내지는 높이로 결합하여 화재감시가 가능하고, 소화부를 함께 형성하여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소화액을 분사하여 초기에 진압이 가능한 서모커플과 서모커플의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레벨측정부에 의한 석탄의 레벨값과의 비교제어를 통한 국부적 화재감시가 가능함은 물론, CO 측정부에 의한 일산화탄소농도 측정을 통한 국부적 위치에서 보다 확대된 위치의 화재감시를 통해 사이로 전체 화재감시 및 진압의 판단 정확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in a coal silo of a thermal power plant. It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silo to sense the temperature at each installation point, and when a fire occurs, fire extinguishing liquid is supplied and sprayed to enable initial fire suppression. a thermocouple unit 100 with a fire extinguishing unit formed therein; Measuring the loading amount of coal stored in the silo, measuring the height at which the coal is accommodated from the feeder of the silo, calculating the level value of the coal inside the silo, and transmitting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according to the level value of the coal calculated by the thermocouple unit a level measuring unit 200 provided to recogn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CO detection unit 300 for inhaling and measuring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from each local point to the expanded point for the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thermocouple unit;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unit 100 and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re compared to determine the level value of the coal accommodated therein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and the CO detection unit 300 measured The main controller 400 is formed with a control unit that monitors and judges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based on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selects and controls either fire suppression by means of extinguishing liquid or by calculating the speed of coal discharge in the silo to suppress the fire in the silo due to coal discharge. );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multiple points inside the silo at the same time to monitor and suppress fires caused by spontaneous ignition that may occur inside the silo, a plurality of thermocouples are placed at a depth or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int. It is possible to monitor fire by combining the thermocouple and the level measuring uni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and the thermocouple, which can be extinguished at the initial stage by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hat may occur inside the silo by forming the extinguishing unit together. Not only is local fire monitoring possible through comparison control with the level value of coal, but also the accuracy of overall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judgment through fire monitoring from a local location to an expanded loc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of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by the CO measurement unit. It relates to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the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given.

Description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을 저장하는 사이로(Silo)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에 저장된 석탄 내부에서 자연발화에 따른 화재를 감시하고, 예상치 못한 발화로 인해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빠르게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서모커플의 측정값의 신뢰성을 석탄의 적재량에 따른 레벨과 일산화탄소 측정기를 통해 확보하여 소화액을 통한 화재진압 내지 사이로의 석탄의 배출에 따른 화재진압 유무를 빠르게 결정이 가능하고, 서모커플의 파손이나 손상에 따른 오작동 유무를 빠르게 판단하여 빠른 교체를 통한 화재감시의 시간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in a coal silo of a thermal power plant, and more particularly,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a silo for storing coal, monitoring a fire due to spontaneous ignition in the coal stored inside the silo, , by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ocouple, which is formed to enable rapid initial suppression of fires generated inside the silo due to unexpected ignition, through the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and the carbon monoxide meter,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a fire is extinguish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It relates to the suppression system.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운전원료로 석탄이 사용되고 있고, 운전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석탄을 소모하기 때문에 전기 생산을 위한 운전의 연속성을 위해서는 원료의 저장을 통한 지속적인 공급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어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야적장이나 밀페된 저장고 내지는 별도의 사이로(Silo)에 저장하고 있다. In general, coal is used as an operating raw material for generating electricity in thermal power plants, and since a significant amount of coal is consumed in the operation process, continuous supply through storage of raw materials is required for continuity of operation for electricity production. Therefore, fossil fuels such as coal are stored in yards, closed storage, or separate silos.

통상 석탄 사이로는 화력발전을 위한 운전에 있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최종 단계에서의 저장부분으로 운전에 필요한 석탄을 필요에 따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통상 원통형의 저장부와 호퍼형의 배출부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사이로의 저장고 형태는 화력발전의 석탄을 저장하기 위한 부분 이외에도 곡물이나 다양한 분체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석탄 사이로의 경우 화력발전을 위한 다량의 석탄을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규모의 크기로 제작이 되고 있다. Normally, the coal silo is a storage part in the final stage for supplying fuel in operation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is formed of a cylindrical storage part and a hopper-type discharge part so that the coal required for operation can be quickly discharged as needed. do. This type of silo storage is used for storing grains or various powders in addition to the part for storing coal of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al silo, a large amount of coal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can be stored and discharged. Because it has to have a function, it is being manufactured on a fairly large scale.

그러나 석탄은 가연성 물질이고, 석탄의 구성 분자가 공기 중의 산소를 흡착하면 국소적으로 저장된 석탄의 일부분에서 발열 산화반응을 하게 되며, 이때 발열 산화반응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충분히 방출되지 않으면 사이로 내부에 저장된 석탄의 내부 온도의 상승과 함께 산소가 계속적으로 공급될 경우 발열 산화반응이 점차 가속되면서 사이로 내부의 자연 발화로 인한 화재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However, coal is a combustible material, and when its constituent molecules adsorb oxygen in the air, an exothermic oxidation reaction occurs in a part of the locally stored coal. If oxygen is continuously supplied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al stored in the silo, the exothermic oxidation reaction is gradually accelerat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posure to the risk of fire due to spontaneous combustion inside the silo.

이와 같은 자연 발화의 원인과 영향 인자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기가 쉽지 않으며 일단 발생하면 대부분 석탄 사이로 내부에서부터 발생되기 때문에 저장된 석탄의 연소가 완료되기 전에는 화재의 진압이 상당히 어려워 원료의 손실과 장비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고, 무엇보다 화력발전을 위한 운전의 연속성에 문제를 주게 될 수 있다. Since the caus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uch spontaneous ignition are very complex, it is not easy to prevent them in advance. It may cause equipment loss, and above all, may cause problems in the continuity of operation for thermal power generation.

또한, 석탄은 다공성 물질이기 때문에 단위 무게당 산소의 흡착량이 많아 산화 반응에 유리한 반면 열전도도가 낮아서 한 번 열이 발생하면 외부로 방출이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자연 발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경우 가스 폭발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즉, 석탄이 저장된 사이로 내의 자연 발화는 분진 폭발을 유도할 수도 있어 자연발화에 의한 사이로 내부의 화재감시가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coal is a porous material, it has a high adsorption amount of oxygen per unit weight, which is advantageous for oxidation reactions, bu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is difficult to release heat once heat is generated due to low thermal conductivity. If not released, it can also cause a gas explosion. That is, spontaneous combustion in the silo where coal is stored may induce dust explosion, so fire monitoring inside the silo by spontaneous i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이러한 화재감시를 통한 자연발화의 방지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자연 발화 가능성을 추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특성치로 자연발화온도(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SIT)이며 이는 자연 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의 온도를 말한다.In order to prevent spontaneous ignition through fire monitoring,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SIT) is the most widely used characteristic value for estimating the possibility of spontaneous ignition, which is the lowest temperature that can cause spontaneous ignition.

여기서, 자연발화온도는 물질 계수가 아니며 실험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세히는 자연발화온도는 저장 파일의 모양이나 크기(체적에 대한 표면적, 높이, 압착정도 등), 석탄의 종류와 품질(탄소 함량, 휘발분, 탄화기간 등), 석탄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화학적 성분, 발열량, 열 전도성, 입자 분포, 수분 함량, 충진밀도 등), 공기의 유동, 기후 조건(습도, 온도 등), 저장 기간 등 다양한 인자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예를 들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분탄은 600℃ 정도의 고온에서 착화되지만, 이것이 퇴적되어 쌓여있는 경우에는 200℃ 정도의 저온에서 자연 발화된다.Here, the autoignition temperature is not a material coefficient, it can be determined by experimentation, and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 detail,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is the shape or size of the storage file (surface area to volume, height, compression degree, etc.), the type and quality of coal (carbon content, volatile matter, carbonization period, etc.), 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al (chemical composition). , calorific value, thermal conductivity, particle distribution, moisture content, packing density, etc.), air flow, climatic conditions (humidity, temperature, etc.), storage period, etc. Silver ignites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600°C, but when it is deposited and piled up, it spontaneously ignites at a low temperature of about 200°C.

또한, 퇴적 분진의 경우에 있어서도 분진의 퇴적층이 두꺼울수록 착화 온도는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 즉, 석탄 사이로 내부에 저장된 석탄의 양(높이)에 따라 자연발화온도가 변화하여 사이로 내에 저장된 석탄간 마찰 압력에 의해 자연발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ccumulated dust,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ignition temperature is rapidly lowered as the deposited layer of dust is thicker. That is,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height) of the coal stored in the coal silo,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pontaneous ignition occurs due to the frictional pressure between the coals stored in the silo.

이러한 석탄 중에서 무연탄(Anthracite)은 자연 발화 가능성이 거의 없고, 역청탄(Bituminous)은 장기 저장 시, 자연 발화 가능성이 높으며, 유연탄(Lignite)은 자연 발화 되기 가장 쉽다. 따라서 석탄의 적재 높이는 저휘발분 석탄의 경우는 제한이 없고, 휘발분 석탄(15~40%)의 경우는 8m가 최대 적재 높이이다. 적재된 석탄의 온도가 10℃ 상승하면 산화 반응성은 두배 높아지고 반응 속도는 50% 이상 상승하게 되므로 여름철엔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Among these coals, anthracite has little chance of spontaneous combustion, bituminous coal has a high probability of spontaneous ignition during long-term storage, and bituminous coal is most likely to spontaneously ignite. Therefore, the loading height of coal is not limited in the case of low volatile matter coal, and in the case of volatile coal (15-40%), the maximum loading height is 8 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aded coal increases by 10℃, the oxidation reactivity is doubled and the reaction rate rises by more than 50%, so caution is required in summer.

상술한 바와 같은 자연발화는 대부분 사이로에서 보다는 야적장이나 석탄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고 등에서 주로 발생되지만 그렇다고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되지 않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 즉, 사이로 내에 저장된 석탄은 앞서의 조건에서도 자연발화의 가능성이 있지만, 사이로 하부의 호퍼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에서의 마찰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자연발화의 위험성, 계절별 주변 온도 상승에 의한 밀폐된 사이로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자연발화의 위험성 등이 더욱 큰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석탄 사이로의 자연발화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야적장이나 저장고와 같이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를 통해 관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석탄 사이로 내부의 온도 감시가 필요하다. Spontaneous ignition as described above mostly occurs in a closed storage yard stored in the form of a coal pile rather than in a silo, but caution is required because it does not occur in the silo. In other words, the coal stored in the silo has a possibility of spontaneous ignition even under the above conditions, but there is a risk of spontaneous ignition due to the temperature increase due to friction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rough the hopper under the silo, and the inside of the closed silo due to the seasonal increase in ambient temperature The risk of spontaneous ignition due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is emerging as a bigger problem.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pontaneous combustion in the coal silo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al silo instead of being able to observe it through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camera such as a yard or a storage shed.

이러한 조치로 사이로의 높이에 따라 서모커플(열전대 ; thermocouple, 熱電對)이 다수가 결합된 형태의 온도측정장치가 사이로 내부에 설치되고, 설치된 서모커플의 각 지점에 해당되는 사이로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ilo,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with a number of thermocouples is installed inside the silo,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silo corresponding to each point of the installed thermocouple is detected. It is used to prevent fires caused by spontaneous ignition.

단, 상기와 같은 온도측정을 위한 서모커플은 사이로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깊이 내지는 높이에 따라 다수가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유닛에서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서모커플이 손상되거나 오작동에 따른 측정오류가 발생되면 전체를 교체하거나 일부의 보수를 위해 전체를 사이로로부터 인양 후 검수를 통해 보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은 교체시간 동안 화재에 노출되어 있는 취약점과 보수 내지는 교체과정이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숙련된 인력의 필요성과 비용이 발생되어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thermocouples for temperature measurement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a silo and are installed as a single unit depending on the depth or height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thermocouple for measuring any one temperature in the entire unit is When a measurement error occurs due to damage or malfunction,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that the whole must be replaced or repaired through inspection after the whole is lifted from the silo for partial repair. The exposed vulnerabilities and repair or replacement process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due to the necessity and cost of skilled manpower.

더욱이, 종래의 사이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화재의 감시를 위한 서모커플은 단순히 온도만을 측정하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자연발화가 이미 진행된 후에는 이를 진압하기 위한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게 더욱 문제로 다가오고 있고, 화재가 발생되면 사이로 내부의 석탄을 빠르게 배출하여 화재를 진압해야 하기 때문에 원료의 손실도 발생되며, 사이로의 장치의 손상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재 진압을 위한 별도의 소화설비 내지는 소화장치를 갖추어야 함에 따라 추가적인 설비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since the thermocouple for monitoring the fire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ventional silo simply performs the role of measuring only the temperature, the fact that there is no other way to suppress it after spontaneous ignition has already progressed is approaching more problematic. , when a fire occurs, the coal inside the silo must be expelled quickly to extinguish the fire, resulting in loss of raw materials and damage to the silo equipmen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equipment costs are generated as a separat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or fire extinguishing device must be provided for extinguishing a fire.

또한, 앞서도 잠시 언급하였지만 화재가 발생되면 사이로의 특성상 저장된 석탄 내부에서의 화재가 발생되고 이는 화재 진압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빠른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의 감시와 함께 화재 진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s mentioned briefly above, when a fire occurs, a fire occurs inside the stored coal due to the nature of the silo,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apid fire suppression is difficult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There is a need for a configuration in which fire suppress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이와 같은 실정에 맞춰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151호, 서모커플 교체형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용 유닛을 통해 달성하였고, 현재 개시되고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는 사이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와이어로프 둘레를 따라 다수의 서모커플이 삽입결합되도록 슬롯튜브를 구성하고, 슬롯튜브 사이에 소화액튜브를 배치한 후, 고정튜브로 슬롯튜브와 소화액튜브가 하나로 뭉쳐지도록 고정튜브로 감싸 고정한 후, 하우징튜브에 삽입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슬롯튜브가 와이어로프 둘레를 따라 배치될 때, 전체 하우징튜브의 길이에 대하여 각각의 지점으로 위치를 달리 구성하여 결합됨에 따라 사이로에 저장된 석탄 내부로 위치되는 하우징튜브가 석탄 내부의 수직선상에서 다수의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결과에 따라 석탄 내부 온도의 자연발화 가능성을 사전에 점검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e applicant'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64151, a thermocouple replacement type was achieved through a unit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and is currently being disclosed. The registered patent of the present applicant constitutes a slot tube such that a plurality of thermocouples are inserted and coup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wire rope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ilo, and after disposing the extinguishing solution tube between the slot tubes, the slot tube is used as a fixed tube.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tube after being wrapped and fixed with a fixing tube so that the and extinguishing fluid tube is bundled together. The housing tub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oal stored in the silo,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 number of points on a vertical line inside the coal as it is combined. it is composed

하지만, 상기 서모커플 교체형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용 유닛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는 사이로의 석탄 내부에 삽입 시 또는 삽입 과정 내지는 삽입 후에 슬롯튜브간의 슬립성으로 인해 슬롯튜브의 말단이 하우징튜브 내부에서 위치되어야 할 부분을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슬롯튜브에 결합된 서모커플이 측정해야 할 석탄 내부의 특정 위치의 온도값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슬롯튜브의 슬립성 이외에도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튜브의 슬립이나 고정튜브의 하우징튜브 내에서의 슬립으로 인해 서모커플의 위치가 변경되어 원하는 석탄 내부의 온도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와 이로 인한 화재 진압 위치의 정확한 위치 선정의 문제가 발생된다.However, the thermocouple replacement type unit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d of the slot tube deviates from the part to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tube due to the slip property between the slot tubes during insertion into the coal in the silo or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or after insertion, and this causes the A problem arises that the thermocouple cannot detect the temperature value of a specific location inside the coal to be measured.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lip property of the slot tube, the position of the thermocouple is changed due to the slip of the extinguishing liquid tube for fire suppression or the slip of the fixed tube in the housing tube. The problem of select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suppression position arises.

또한, 두번째로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을 사용처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 석탄이 사이로 하부측으로 배출되기 시작하면 서모커플 교체형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용 유닛의 가장 외측으로 구성되면서 석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하우징 튜브로 석탄 배출과 함께 하부로 잡아당겨지는 강한 인장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하우징 튜브가 전체 유닛으로부터 벗겨져 이탈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al contained in the silo is to be discharged to the place of use for the second time, when the coal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lo, it is configured as the outermost of the unit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between the thermocouple replacement type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al. A strong tensile force is generated along with the coal discharge to the housing tube, and accordingly, the housing tube is peeled off from the entire uni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즉, 석탄의 사이로 내부에서 하부측으로 배출될 때, 석탄 내부속에 있는 서모커플 교체형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용 유닛은 와이어로프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를 통해 정위치에 유지하려고 하고, 전체 유닛 주변의 석탄은 사이로 하향 배출에 따라 아래측으로 이동하려는 작용으로 인해 가장 최 외측을 구성하는 하우징 튜브에 석탄의 배출량에 따른 배출유속 등에 따른 하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하향 인장력의 발생으로 인해 하우징 튜브의 단순 결합만으로는 석탄 배출에 따른 하향 인장력을 견디기에는 한계가 있고, 한계점이 넘어서면 하우징 튜브는 전체 유닛에서 이탈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하우징 튜브와 고정튜브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슬롯튜브 등과의 결합이 약할 경우에는 석탄 배출에 따른 하향 인장력의 발생으로 인해 하우징 튜브와 고정튜브가 동시에 이탈 내지는 위치가 변화되어 슬롯튜브 등의 나머지 구성이 석탄 내부측에 노출되어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when the coal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silo to the lower side, the unit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between the thermocouple replacement type in the inside of the coal tries to maintain it in place through the ring formed at the top of the wire rope, and the coal around the entire unit Due to the action of moving downward according to the downward discharge through the silver, a downward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housing tube that constitutes the outermost according to the discharge flow ra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coal. There is a limit to withstanding the downward tensile force caused by coal discharge only by coupling, and when the limit is exceeded, the housing tube may be separated from the entire unit or changed in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ousing tube and the fixed tube is strong and the coupling with the slot tube is weak, the housing tube and the fixed tube are simultaneously separated or the position is changed due to the generation of downward tensile force due to the coal discharge, so that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slot tube, etc.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n error in the measurement value was generated by exposure to the inside of the coal.

나아가, 세번째로 써모커플은 온도만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실상 석탄이 수용된 사이로 내부에 위치되어 있어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단순히 온도측정값만으로는 써모커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아니면 석탄 배출에 따른 하향 인장력에 의한 위치변화로 인해 원하는 위치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는 지 알 수 없고, 더더욱이 제품의 파손이나 써모커플의 오작동을 하는 지 측정된 온도만으로는 사이로 내부의 화재감시가 정확히 이루어지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Furthermore, the third thermocouple is to measure only the temperature, in fact, it is located inside the silo in which the coal is accommodated, so it is impossible to visually confirm it.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thermocouple operates normally only with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r whether the correct temperature is measured at the desired location due to the change in position due to the downward tensile force due to coal disch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onitor the fire inside the silo only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예를 들어 특정 위치의 써모커플이 측정하는 온도값이 계속적으로 상승중이어도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고, 파손이나 오작동에 의한 온도값일 경우 섣부른 판단으로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분사하게 되면 사이로 내부를 다시 정비해야함에 따른 경제적,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잔존하는 불씨의 확인을 위한 화재진압의 확인과정을 위해 불필요한 인력 및 장비의 투입에 따른 비용낭비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For example, even if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a thermocouple at a specific location is continuously rising, a fire does not actually occur. It causes economic and manpower wastage due to the need to re-maintenance, and there is a problem of wasting costs due to the input of unnecessary manpower and equipment for the confirmation process of fire suppression for the confirmation of the remaining embers.

따라서, 써모커플에 의한 온도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화재감시 및 진압에 따른 올바른 판단을 통해 경제적이점과 유지보수의 간편성 및 온도측정에 따른 화재감시의 국부적 감시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이로 전체의 화재감시 및 진압의 정확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by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emperature measurement by thermocouples, through correct judgment according t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economical advantages, simplicity of maintenance,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local monitoring of fire monitoring according to temperature measurement, fire monitoring of the entire silo and the accuracy of suppression is required.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771호, 공개일자 2009년 9월 1일.1.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8771, published on September 1, 2009.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151호, 등록일자 2017년 7월 27일.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64151, registration date July 27, 20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사이로 내부의 다수의 지점의 온도를 동시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를 감시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모커플을 지점에 해당되는 깊이 내지는 높이로 결합하여 화재감시가 가능하고, 소화부를 함께 형성하여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소화액을 분사하여 초기에 진압이 가능한 서모커플유닛과 서모커플의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레벨측정부에 의한 사이로 내부의 석탄이 수용된 레벨값과의 비교제어를 통한 국부적 화재감시가 가능함은 물론, CO 측정부에 의한 일산화탄소농도 측정을 통한 국부적 위치에서 보다 확대된 위치의 화재감시를 통해 사이로 전체 화재감시 및 진압의 판단 정확성을 부여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points inside the silo,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suppress fires caused by spontaneous ignition that may occur inside the silo.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fire by combining the thermocouples of the thermocouple at a depth or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int, and by forming a fire extinguishing unit together, a fire that may occur inside the silo is sprayed with an extinguishing liquid to initially extinguish the fire.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local fire monitoring is possible through comparison control with the level value of the coal inside the silo by the level measuring unit, and it is also expanded from the local location through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by the CO measuring uni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thermal power plants that can provide the accuracy of judgment of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of the entire silo through fire monitoring at the designated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감시에 따른 화재지점의 레벨값에 따라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소화액에 의한 진압 내지는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의 배출에 따른 진압유무를 간편하게 결정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인력낭비를 방지하고, 화재진압의 빠른 대처가 가능한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xtinguish the fire by the extinguishing liquid or by the discharge of the coal contained in the silo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value of the fire point according to the fire monitoring, thereby reducing cost and wasting manpow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the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that can quickly respond to fire suppression.

나아가, 본 발명은 화재감시 및 진압이 가능한 써모커플유닛을 교체형으로 형성하여 빠른 유지보수를 통한 화재감시의 공백을 최소화하여 화재감시의 공백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ermocouple unit capable of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in a replaceable type to minimize the gap in the fire monitoring through quick maintenance, thereby minimizing the risk of fire due to the gap in the fire monitoring coal of a thermal power plant. It aims to provide a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은 상기 사이로 내에 복수의 지점에 다수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의 온도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공급받아 분사하여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부가 형성된 서모커플유닛(100)과; 상기 사이로에 저장된 석탄의 적재량을 측정하여 사이로의 피이더로부터 석탄이 수용된 높이를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의 석탄 레벨값을 산출 전송하고, 상기 서모커플유닛이 산출된 석탄의 레벨값에 따라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의 내외부 위치 관계를 인식하여 서모커플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레벨측정부(200)와; 상기 서모커플유닛의 온도측정에 대한 국부적인 각 지점에서 확대된 지점까지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흡입 측정하는 CO 검출부(300)와;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의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레벨값을 비교판단하여 측정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통한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며,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의한 사이로 내부 화재진압 중 어느 하나로 선택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된 메인컨트롤러(4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in a coal silo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silo to sense the temperature at each installation point, and in case of a fire,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s supplied and sprayed. a thermocouple unit 100 in which a fire extinguishing unit is formed to enable initial fire suppression; Measuring the loading amount of coal stored in the silo, measuring the height at which the coal is accommodated from the feeder of the silo, calculating the level value of the coal inside the silo, and transmitting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according to the level value of the coal calculated by the thermocouple unit a level measuring unit 200 provided to recogn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CO detection unit 300 for inhaling and measuring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from each local point to the expanded point for the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thermocouple unit;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unit 100 and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re compared to determine the level value of the coal accommodated therein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and the CO detection unit 300 measured The main controller 400 is formed with a control unit that monitors and judges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based on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selects and controls either fire suppression by extinguishing liquid or by calculating the rate of coal discharge inside the silo to suppress the fire inside the silo by coal discharge. );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여기서, 상기 CO 검출부(300)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측정하는 확대된 지점은 서모커플유닛의 온도측정범위로부터 사이로 중심까지 내지는 전체의 범위로 각 CO 검출부의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평균값이 300ppm 이상일 때는 화재가 발생, 미만일 경우에는 화재 미발생으로 기준되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expanded point at which carbon monoxide of the CO detection unit 300 is sucked and measured is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ange of the thermocouple unit to the center or the entire rang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measured by each CO detection unit is 300ppm or m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judged on the basis of non-occurrence of fire when is less than.

한편,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각 지점의 서모커플의 기준레벨값과 일산화탄소의 기준농도값이 저장된 기준값 저장부(410)와; 사이로 내부의 각 지점의 서모커플(100)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석탄 레벨값을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서모커플의 기준레벨값과 비교하여 서모커플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사이로 내부의 온도값에 대한 국부위치 화재 발생유무를 판단하거나 서모커플(100)의 오작동 내지는 파손확인과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420)와; 각 지점의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서모커플(100)의 온도값 검출위치인 국부위치를 제외한 확대된 지점에서 흡입검출된 일산화탄소 농도값을 전송받아 평균값을 연산하는 CO농도 연산부(430)와; 상기 CO 농도 연산부(430)를 통해 연산된 일산화탄소의 평균농도값과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화재발생유무에 따른 기준농도값과 비교하여 화재감시유무를 판단하고, 각 지점에서의 검출된 농도값과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기준농도값 이상의 지점의 화재발생유무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440)와; 상기 제1판단부(420)를 통해 검출된 온도값과 레벨값에 따른 국부위치의 화재유무의 판단과 제2판단부(440)의 CO 농도값에 의한 서모커플의 각 지점의 국부적 측정위치를 벗어난 사이로의 절반 내지는 전체의 위치에서의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소화액을 통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따른 화재진압 중 화재진압 시간에 있어서 가장 유리한 어느 하나로 화재진압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60)와; 상기 사이로 내부의 서모커플(100)의 측정된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에 의한 레벨값, CO 검출부(300)를 통해 전송된 값이 실시간 표시되고, 표시된 실시간 측정값에 대한 화재감시 및 진압과 제어부(460)의 화재발생에 따른 감시 및 진압에 따른 상황을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4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ler 400 includes a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in which the referenc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at each point and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of carbon monoxide are stored;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100 at each point inside the silo and the coal level value of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of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A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silo to determine whether a local fire occurs or whether to replace the thermocouple 100 with a malfunction or damage check and replacement; A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that receives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detected by inhalation at the enlarged point except for the local value, which is the temperature value detection position of the thermocouple 100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at each point, and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 By compa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of carbon monoxide calculated through the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and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fire monitoring has occurred, and th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detected at each point a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that compares the concentration values to determine whether a fire occurs at a point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re at the local loc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level value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and the local measurement position of each point of the thermocouple by the CO concentration value of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Monitoring and judg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half or all of the silo out of the silo, and when it is judg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rate of coal discharge is calculated while the coal supply inside the silo is stopped a control unit 460 for controlling the fire suppression to be performed at any one of the most advantageous fire suppression times during fire suppression;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100 inside the silo, the level value by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are displayed in real time, and fire monitoring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display unit 470 for guiding the driver of the suppression and monitoring of the fire occurrence of the control unit 460 and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여기서,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의 기준값 저장부(410)에 사이로의 피이더에서 석탄의 배출시간이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값으로 기준 배출레벨값이 저장되고; 레벨측정부(200)를 통해 사이로 내부의 피이더로부터의 수용된 석탄의 레벨값을 전송받아 상기 기준값저장부(410)에 저장된 석탄의 기준배출레벨값과 비교하여 기준배출레벨값 이하에서 화재발생시 석탄의 공급을 제한하고 석탄을 빠르게 사이로로부터 배출하여 화재진압하도록 하며, 기준배출레벨값 이상에서는 서모커플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통해 화재를 초기 진압하도록 판단하는 제3판단부(45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of the main controller 400 as a level value at which the discharge time of coal from the silo feeder can be made faster than the fire suppression by the extinguishing liquid; Receive the level value of the coal received from the feeder inside the silo through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nd compare it with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of the coal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When a fire occurs below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coal A third determination unit (450) that limits the supply of and rapidly discharges coal from the silo to extinguish the fire, and determines that the fire is initially extinguished through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for the thermocouple fire suppression above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한편, 상기 기준배출레벨값은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량을 피이더의 배출용량으로 나누어진 값을 60을 곱하여 얻어진 값에서 60분씩 차감하여 시간을 구한 총배출시간의 1/2 내지 1/3에 해당되는 레벨값을 기준배출레벨값으로 설정하고, 화재의 확대속도에 따라 1/4~1/5로 기준배출레벨값이 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1/2 to 1/3 of the total emission time obtained by subtracting 60 minutes from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by the emission capacity of the feeder by 6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is set as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an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can be changed from 1/4 to 1/5 according to the rate of expansion of the fire.

본 발명은 사이로 내부의 다수의 지점의 온도를 동시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를 감시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모커플을 지점에 해당되는 깊이 내지는 높이로 결합하여 화재감시가 가능하고, 소화부를 함께 형성하여 사이로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소화액을 분사하여 초기에 진압이 가능한 서모커플과 서모커플의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레벨측정부에 의한 사이로 내부의 석탄 레벨값과의 비교제어를 통한 국부적 화재감시가 가능함은 물론, CO 측정부에 의한 일산화탄소농도 측정을 통한 국부적 위치에서 보다 확대된 위치의 화재감시를 통해 사이로 전체 화재감시 및 진압의 판단 정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plurality of thermocouples at a depth or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int to monitor and suppress a fire caused by spontaneous ignition that may occur inside the silo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points inside the silo.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form a fire extinguishing unit together, so that the fire that can be generated inside the silo can be suppressed in the initial stage by spraying the extinguishing liquid. Local fire monitoring is possible through comparison control with the coal level value, as well as overall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accuracy through fire monitoring from a local location to an expanded loc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of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by the CO measurement unit.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감시에 따른 화재지점의 레벨값에 따라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소화액에 의한 진압 내지는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의 배출에 따른 진압유무를 간편하게 결정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인력낭비를 방지하고, 화재진압의 빠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화재감시 및 진압이 가능한 써모커플유닛을 교체형으로 형성하여 빠른 유지보수를 통한 화재감시의 공백을 최소화하여 화재감시의 공백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xtinguish the fire by the extinguishing liquid or by the discharge of the coal contained in the silo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value of the fire point according to the fire monitoring, thereby reducing cost and wasting manpower. , it is effective to respond quickly to fire suppression, and the thermocouple unit capable of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is formed in a replaceable type to minimize the gap in fire monitoring through quick maintenance to minimize the risk of fire due to the gap in fire monitoring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전체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메인컨트롤러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ler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the terms used (mention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or includ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전체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메인컨트롤러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n overall system diagram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ler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flowchart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은 기존의 서모커플에 의한 온도측정값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서모커플의 오작동이나 파손 등에 따른 교체시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감시의 공백의 최소화와 함께 국부적인 화재감시에 제한적이였던 서모커플의 한계를 사이로 내부의 일산화탄소 농도의 측정을 통한 사이로 전체의 화재감시와 더불어 상호복합적으로 감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화재감시가 가능하다. The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among the coals of the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by the existing thermocouple, and can check the replacement time due to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thermocouple, and More efficient fire monitoring is possible by monitoring the limits of thermocouples, which were limited to local fire monitoring with minimization, with the overall fire monitoring of the silo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silo.

또한, 화재발생지점에 따른 소화액을 이용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의 석탄 수용량에 대하여 사이로 피이더의 개방에 따른 배출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화재진압을 판단하기 용이하여 단순히 소화액을 이용한 화재진압에 따른 사이로 내부의 점검 및 인력투입에 의한 잔불확인 절차 등의 작업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여 보다 경제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judge a more reasonable fire suppression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the discharge tim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silo feeder with respect to the fire suppression using the extinguishing liquid or the coal capacity of the silo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more economically by minimizing the hassle of tasks such as inspection of the inside of the silo and the procedure for checking the remaining balance due to the input of manpower.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모커플유닛(100), 레벨측정부(200), CO 검출부(300), 메인컨트롤러(4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the coals of the thermal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is a thermocouple unit 100, a level measurement unit 200, a CO detection unit 300, a main controller ( 400) can be achieved.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은 사이로의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국부적인 온도측정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이로 전체에 상하 좌우로 등간격 배열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다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은 상기 사이로 내에 복수의 지점에 다수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의 온도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공급받아 분사하여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은 교체형으로 형성하여 서모커플의 오작동이나 파손으로 인한 온도값의 신뢰성이 상실되면 이를 교체가 용이하도록 교체형이 바람직하다. The thermocouple unit 100 is to measure the local temperature of the coal accommodated inside the silo.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position to be measured by arranging them at equal intervals up, down, left and right throughout the silo. Do. A plurality of the thermocouple units 100 ar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within the silo to sense the temperature at each installation point, and when a fire occurs, a fire extinguishing unit is form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s supplied and sprayed to enable initial fire suppression. In addition, the thermocouple unit 100 is formed in a replaceable type so that when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is lost due to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thermocouple, the replacement type is preferable so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에서 측정된 사이로 내부의 온도측정에 있어서는 정상위치에서 정상작동한다라는 가정하에는 그 정확성이 우수하나 통상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은 피이더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되는 과정에서 사이로 내부에 잔존하는 석탄이 항상 서모커플을 덮은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석탄이 배출된 시점에서 서모커플 자체가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 상측으로 위치하여 사이로 내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이로 인한 석탄 내부의 화재발생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온도측정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measurement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silo measured by the thermocouple unit 100, the accuracy is excellent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operates normally at the normal position, but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is discharged continuously through the feeder. During the process, the coal remaining inside the silo does not always cover the thermocouple, and when the coal is discharged, the thermocouple itself is located above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causing a problem in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silo. This leads to an error in temperature measurement to monitor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side the coal.

따라서, 후술되는 레벨측정부에 의해 사이로 내부에 적재된 석탄의 레벨값을 측정함으로써, 서모커플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이 사이로 내부의 온도인지 사이로 내부에 적층수용된 석탄 내부의 화재감시를 위한 실질적 온도값인지에 대하여 서모커플(100)의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특정위치의 서모커플이 검출한 온도값이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한 특정위치의 서모커플의 레벨값이 서모커플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어 있고, 석탄의 레벨값이 서모커플 주변에 차 있는 상태라고 하면 서모커플에서 검출된 온도값의 신뢰성은 확보되지만 서모커플 주변에 석탄이 차 있지 않은 상태이면 서모커플로부터 얻어진 측정값은 석탄 내부의 온도가 아닌 사이로 내의 온도에 해당되는 값으로서, 서모커플의 온도값의 신뢰성은 상실되기 때문에 석탄을 공급하여 사이로 내부의 레벨값을 높이거나 신뢰성이 상실된 서모커플의 온도값을 화재감시를 위한 제어연산에서 제외하는 등의 방법을 거쳐 화재감시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서모커플의 파손 또는 오작동일 경우에는 교체를 실시하여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by measuring the level value of the coal loaded inside the silo by a level measur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whether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from the thermocouple is the temperature inside the silo is the actual temperature value for fire monitoring inside the coal stacked inside the sil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100 can be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 recognition. For example, while the temperature value detected by the thermocouple at a specific location is continuously rising, th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at the specific location measured by the level measurement unit is located exactly at the location of the thermocouple, and the level value of coal is Assuming that the thermocouple is filled around the thermocouple,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detected from the thermocouple is secured, but if there is no coal around the thermocouple, the measured value obtained from the thermocouple corresponds to the temperature in the silo, no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al. Since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is lost, coal is supplied to increase the level inside the silo, or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whose reliability has been lost is excluded from the control calculation for fire monitoring. The reliability of fire monitoring must be ensu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thermocouple, it is desirable to correct it by replacing it.

여기서, 서모커플유닛(10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은 후술되는 메인컨트롤러(400)의 제1판단부(420)로 전송되고, 기준값 저장부(410)에 저장된 초기 서모커플 레벨값과 레벨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사이로 내부의 석탄의 수용높이의 레벨값을 비교한 오차범위를 계산하거나 온도값의 신뢰성에 대한 한계치가 정해지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를 통한 소화액 분사 또는 석탄배출을 통한 화재진압의 판단기준의 하나로 작용되도록 한다. Here,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hermocouple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of the main controller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itial thermocouple level value and level measurement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 Calculate the error range comparing the level value of the accommodation height of the coal inside the silo measured by the department, or set the limit value for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After that, it is made to act as one of the judgment criteria for fire suppression through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njection or coal discharge through the control unit.

상기 레벨측정부(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이로 내부의 석탄의 수용된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사이로 하측에 로드셀에 의한 무게를 측정하여 사이로에 수용되는 석탄의 수용높이를 계산하는 방법 또는 사이로 상단에 레이저를 통한 석탄의 레벨값을 측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선택하여 사이로 내부의 석탄 레벨값을 측정하게 된다. 즉, 측정된 석탄 레벨값에 의해 서모커플유닛이 석탄 원료 내부에 위치되어 측정된 온도값인지 아니면 석탄 레벨값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사이로 내부의 온도값을 측정한 것인지 여부를 석탄 레벨값을 통해 판단함으로써, 서모커플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의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서, 레벨측정부(200)에 의해 검출된 레벨값은 제1판단부(420)와 후술되는 제3판단부(450)로 전송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measures the accommodated height of the coal inside the silo, and measures the weight by a load cell on the lower side of the silo to calculate the accommodation height of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The level value of the coal inside the silo is measured by selecting one of the methods of measuring the level value of coal through the laser at the top. That is, whether the thermocouple unit is located inside the coal raw material and measured by the measured coal level value or whether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silo is measured by being located above the coal level value is determined through the coal level valu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Here, the level value detected by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and the third determination unit 4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CO 검출부(300)는 서모커플에 의한 사이로 내부의 온도측정을 통한 국부적 화재감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서모커플의 커버링하는 내부에 흡입관이 형성되어 사이로 내부 전체의 화재감시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CO 검출부(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서모커플의 온도측정에 대한 국부적인 각 지점에서 확대된 지점까지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흡입 측정하여 CO 농도 연산부(430)로 전송한다. The CO detection unit 300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local fire monitoring through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inside of the silo by the thermocouple, and a suction pipe is formed inside the covering of the thermocouple to enable monitoring of the entire inside of the silo will be. Here, as mentioned above, the CO detection unit 300 absorbs and measures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from each local point to the expanded point for the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thermocouple and transmits it to the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

여기서, 일산화탄소는 불완전연소로 인해 일반적인 공기보다는 가벼워 사이로 상측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있다. 즉, 사이로의 상측에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석탄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지점이 존재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사이로 내부 상측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수용된 석탄의 불완전연소하는 화재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Here, carbon monoxide is lighter than general air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and is concentrated upwards through the air. That is, a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on the upper side of the silo increases, it can be indirectly inferred that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inside the coal is indirectly inferred. is confirmed to be occurring.

따라서, 사이로 전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알 수 있다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게 되어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CO 검출부(300)는 서모커플 내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각 지점에 해당되는 위치에서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하고, 각 지점에서 흡입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평균농도값으로 구하여 기준 일산화탄소 농도값의 화재발생유무를 300ppm의 기준을 초과유무에 따라 결정하게 됨에 따라 사이로 전체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일산화탄소의 농도측정에 의한 사이로 내부의 화재감시는 화재가 발생되는 특정위치를 명확히 확인하는 데에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서모커플을 통한 국부적인 온도값의 검출을 통한 위치확인과 병행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화재감시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erefore, i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f the entire silo is known, the occurrence of a fire can be detected and effective fire suppress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CO detecto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hales carbon monox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oint in a state mounted inside the thermocouple, and obtain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haled at each point as an average concentration value of the referenc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entire silo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andard of 300 ppm is exceeded. However, since the fire monitoring inside the silo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s limited in clearly confirming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ectively monitor and It is configured to enable suppression.

한편,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로 외부에 구성되어 상기 서모커플(100), 레벨측정부(200), CO 검출부(300)로부터 전송된 측정값을 기준값과 대비하여 화재감시 및 진압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서모커플(100)의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석탄 레벨값의 측정값을 통한 서모커플의 레벨값을 비교판단하여 측정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통한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며,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의한 사이로 내부 화재진압 중 어느 하나로 선택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로 전송되는 서모커플, 레벨측정부, CO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는 유무선으로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전송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main controller 400 is configured outside the silo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thermocouple 100 ,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 and the CO detection unit 300 . To determine whether to monitor and suppress fire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alue, th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through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100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coal level value of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is compared and determined.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is ensur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is monitored and judged through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measured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and the fire suppression by the extinguishing liquid or the coal discharge rate inside the silo is calculated and the silo caused by coal discharge. A control unit that selects and controls any one of the internal fire suppression is formed. Here, the data detected through the thermocouple, the level measurement unit, and the CO detection unit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by wire or wireless.

이와 같은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60)를 포함한 기준값 저장부(410), 제1판단부(420), CO 농도 연산부(430), 제2판단부(4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배출속도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판단을 위해 추가적으로 제3판단부(450)를 더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main controller 400 includes a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including a control unit 460 , a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 a CO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430 , and a second determination unit ( 440). In such a configuration, a third determination unit 450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to determine fire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discharge rate of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상기 기준값 저장부(410)는 각 지점의 서모커플의 기준레벨값과 일산화탄소의 기준농도값이 저장된다. 또한, 사이로의 피이더에서 석탄의 배출시간이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값으로 기준 배출레벨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 저장부(410)의 서모커플의 위치는 최초 설치시 서모커플의 좌표위치를 레벨값으로 정하여지거나 설치표준 좌표를 통해 설정하고, 상기 CO 검출부(300)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측정하는 확대된 지점은 서모커플의 온도측정범위로부터 사이로(silo) 내주연에 이르는 전체의 범위로 각 CO 검출부의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평균값과 비교하기 위하여 300ppm 이상일 때는 화재가 발생, 미만일 경우에는 화재 미발생으로 기준되어 판단가능하도록 저장된다.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stores the referenc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at each point and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of carbon monoxide. In addition,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stored as a level value at which the discharge time of coal from the silo feeder can be made faster than the fire suppression by the extinguishing liquid. Here, the position of the thermocouple of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coordinate position of the thermocouple as a level value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or set through the installation standard coordinates, and the CO detection unit 300 is measured by inhaling carbon monoxide. The expanded point is the entire range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ange of the thermocouple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ilo, and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f each CO detector, a fire occurs when it is more than 300ppm, and no fire occurs when it is less than 300ppm. It is stored as a standard so that it can be judged.

상기 제1판단부(4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모커플의 온도값과 사이로(silo)에 수용된 석탄(원료)의 레벨측정값을 기준으로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화재감시 여부의 판단이나 서모커플의 교체의 판단기준으로 제어확인하는 것으로, 사이로 내부의 각 지점의 서모커플(100)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사이로(silo)에 저장된 석탄(원료)의 레벨값을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서모커플의 기준레벨값과 비교하여 서모커플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사이로 내부의 온도값에 대한 국부위치 화재 발생유무를 판단하거나 서모커플(100)의 오작동 내지는 파손확인과 교체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모커플이 정상적으로 석탄(원료)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의 온도값인지 아니면 석탄의 배출로 변화된 레벨값에 의해 서모커플이 사이로(silo) 내부의 석탄 외부로 위치된 상태에서의 온도값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1판단부에서는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국부적인 화재감시를 판단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confirms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and the level measurement value of the coal (raw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ilo. As a control check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monitor fire or replacing a thermocouple,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100 at each point inside the silo and the coal stored in the silo of the level measuring unit 200 By comparing the level value of (raw material) with the referenc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ocal fire occurrence for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silo, or the thermocouple (100) to determine whether malfunction or damage and replacement. That is, is it a temperature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thermocouple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coal (raw material), or is it a temperature value in a state where the thermocouple is located outside the coal inside the silo by the level value changed by the discharge of coal? ,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local fire monitoring by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상기 CO 농도 연산부(430)는 온도값의 신뢰성이 각 지점의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서모커플(100)의 온도값 검출위치인 국부위치를 제외한 확대된 지점에서 흡입검출된 일산화탄소 농도값을 전송받아 평균값을 연산한다. 여기서, 통상 일산화탄소 농도값은 일산화탄소의 특성상 불완전연소에 의해 공기보다 가벼워 사이로 상측으로 갈수록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일산화탄소를 흡입하여 검출하는 위치가 중간이나 하측에 위치하는 데도 불구하고 상측에서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면 화재발생의 기준값인 300ppm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주의를 기울여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The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is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detected by inhalation at the expanded point except for the local value where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is the temperature value detection position of the thermocouple 100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at each point. Receive and calculate the average value. Here, in general,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is lighter than air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carbon monoxide, and the concentration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Therefore,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from the upper side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from the upper side even though the location for detecting and inhaling carbon monoxide is located in the middle or lower side, pay attention even if it does not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300 ppm for fire occurrence. .

상기 제2판단부(440)는 앞서 설명한 상기 CO 농도 연산부(430)를 통해 연산된 일산화탄소의 평균농도값과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화재발생유무에 따른 기준농도값과 비교하여 화재감시유무를 판단하고, 각 지점에서의 검출된 농도값과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기준농도값 이상이 되면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에서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고 있는 상태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서모커플로부터 얻어지는 온도값과 더불어 화재지점을 확인한다. 또한,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사이로 내부 상측에서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보다 사이로 내부 중간이나 하부측에서 상부측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일산화탄소 농도가 검출되면 이 역시 화재가 발생될 수 있음을 판단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지점을 확인하여 빠른 화재진압을 행하도록 한다.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compares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of carbon monoxide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with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to determine whether fire monitoring is present, and ,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value detected at each point with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and when it exceeds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it proves that incomplete combustion is occurring in the coal accommodated inside the silo. do.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s detected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upper side in the middle or lower side of the silo tha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at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silo,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may also occur. Check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check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quickly extinguish the fire.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제1판단부(420)를 통해 검출된 온도값과 레벨값에 따른 국부위치의 화재유무의 판단과 제2판단부(440)의 CO 농도값에 의한 서모커플의 각 지점의 국부적 측정위치를 벗어난 사이로의 절반 내지는 전체의 위치에서의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소화액을 통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따른 화재진압 중 화재진압 시간에 있어서 가장 유리한 어느 하나로 화재진압을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46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re at the local loc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level value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and the angle of the thermocouple by the CO concentration value of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Monitoring and judg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half or all of the locations out of the local measurement location of the point. It is calculated and controlled so that fire suppression is carried out in one of the most advantageous time for fire suppression time among fire suppression caused by coal emission.

상기 디스플레이부(470)는 상기 사이로 내부의 서모커플(100)의 측정된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에 의한 레벨값, CO 검출부(300)를 통해 전송된 값이 실시간 표시되고, 표시된 실시간 측정값에 대한 화재감시 및 진압과 제어부(460)의 화재발생에 따른 감시 및 진압에 따른 상황을 운전자에게 안내한다. The display unit 470 displays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100 inside the silo, the level value by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in real time, and the displayed real time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of the measured values, and the control unit 460 guides the driver of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and suppression of the fire.

여기서, 상기 안내상황은 주의나 긴급을 요할 경우 인터넷망이나 유무선망을 통해 해당 관공서 및 사용자에게 비상상태를 호출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국가안전망을 통한 주변 국민에게 주의문자 및 경고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when caution or urgency is required in the guidance situation, the emergency state can be called to the relevant government office and user through the Internet or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warning text and warning sound can be displayed to nearby citizens through the national safety net. there is.

한편,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의 기준값 저장부(410)에 사이로의 피이더에서 석탄의 배출시간이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값으로 기준 배출레벨값이 저장되고, 레벨측정부(200)를 통해 사이로 내부의 피이더로부터의 수용된 석탄의 레벨값을 전송받아 상기 기준값저장부(410)에 저장된 석탄의 기준배출레벨값과 비교하여 기준배출레벨값 이하에서 화재발생시 석탄의 공급을 제한하고 석탄을 빠르게 사이로로부터 배출하여 화재진압하도록 하며, 기준배출레벨값 이상에서는 서모커플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통해 화재를 초기 진압하도록 판단하는 제3판단부(450)가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discharge time of coal from the feeder between the reference values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of the main controller 400 can be made faster than the fire suppression by the extinguishing liqui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stored as the level value, and the level value of the coal received from the feeder inside the silo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of the coal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and In comparison, when a fire occurs below the standard emission level value, the supply of coal is limited and the coal is quickly discharged from the silo to extinguish the fir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hird determination part 450 is further formed.

즉, 상기 제3판단부(450)가 없을 경우에는 제어부(460)에서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량을 기준으로 배출속도와 비교하여 얻어진 시간을 계산하여 화재진압보다 사이로 내부의 석탄 배출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경우 제어부에서는 이를 판단하여 소화액 내지는 석탄 배출 중 선택하도록 하지만, 상기 제3판단부(450)의 구성을 형성시에는 기준배출레벨값에 따라 소화액 내지는 석탄배출의 기준점이 됨에 따라 보다 빠르게 판단이 이루어져 화재진압을 보다 빠르게 진압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absence of the third judging unit 450, the control unit 460 calculates the time obtained by comparing the discharge rate with the amount of coal inside the silo to determine that coal discharge from the inside of the silo is more advantageous than extinguishing the fir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is and selects either extinguishing liquid or coal discharge, but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determination unit 450 is formed, the determination is made faster as it becomes a reference point for extinguishing liquid or coal emiss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t can be a standard that can suppress the suppression more quickly.

즉, 상기 기준배출레벨값은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량을 피이더의 배출용량으로 나누어진 값을 60을 곱하여 얻어진 값에서 60분씩 차감하여 시간을 구한 총배출시간의 1/2 내지 1/3에 해당되는 레벨값을 기준배출레벨값으로 설정하고, 화재의 확대속도, 확대방향에 따라 1/4~1/5로 기준배출레벨값이 변동될 수 있다. That is,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1/2 to 1/3 of the total emission time obtained by subtracting 60 minutes from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by the emission capacity of the feeder by 60 The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is set as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an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can be changed from 1/4 to 1/5 depending on the speed and direction of expansion of the fire.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은 다음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The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the coals of the thermal power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

일예로서, 사이로의 석탄수용량은 최대 850톤이고, 사이로에 피이더로부터 석탄의 배출용량은 시간단 150톤이다. 여기에, CO 검출부와 레벨측정부가 탑제된 서모커플의 센서는 사이로의 하부에서 상부로 총 7개가 설치구성되어 각 센서의 초기 해당되는 레벨값이 기준값 저장부로 전송되어 초기 서모커플의 레벨값이 되고, 화재발생유무의 일산화탄소 농도 기준 300ppm이 기준 일산화탄소 농도값으로 셋팅되며, 레벨측정부에 의해 석탄의 사이로 수용높이를 제1판단부, 제2판단부,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As an example, the coal capacity of the silo is up to 850 tonnes, and the coal discharge capacity from the silo feeder is 150 tonnes per hour. Here, a total of 7 sensors of the thermocouple equipped with the CO detection unit and the level measuring unit are install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ilo, and the initial level value of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to become the level value of the initial thermocouple. , 300ppm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standard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is set as the referenc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accommodation height between the coals by the level measurement un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이와 같은 초기 기준값의 셋팅과 함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서모커플은 온도값, 레벨측정부는 석탄의 레벨값을 전송하고, CO 검출부는 사이로 내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하여 평균 농도값을 산출하여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온도값, 석탄의 레벨값, 일산화탄소 농도값의 화재발생유무시,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 없이 계속적인 검출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면서 화재감시 및 감지를 한다. As shown in FIG. 3 with the setting of such an initial reference value, the thermocouple transmits the temperature value in real time, the level measurement unit transmits the level value of coal, and the CO detection unit inhales carbon monoxide in the silo to calculate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send. In the absence of fire occurrence of the above temperature value, coal level value,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if there is no special issue, fire monitoring and detection is performed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detection without special measures.

이후, 특정 위치의 서모커플에서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온도값이 계속해서 상승되는 값을 메인컨트롤러의 제1판단부로 전송된다. 이때, 제1판단부에서는 상승하는 온도값과 함께 전송되는 사이로에 저장된 석탄(원료)의 량에 따른 레벨값을 전송받아 비교한다. Thereafter, the temperature is continuously increased in the thermocouple at a specific position, and a value in which the temperature value is continuously increase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of the main controller. At this time,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receives and compares the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raw material) stored in the silo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rising temperature value.

여기서, 비교결과 서모커플의 온도가 계속상승되고, 석탄의 량에 따른 레벨값이 기준값 저장부의 서모커플 레벨값과 비교하여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의 레벨이 서모커플을 덮은 상태에서 석탄 내부의 온도를 정상적으로 측정한 결과이면 정상이며,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서모커플의 온도값이 계속적으로 상승하면 이는 특정 위치의 서모커플 주변에서 현재 화재가 감지됨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화재 진압을 시행하게 된다. 단, 상기 서모커플의 온도가 계속 상승중이지만 레벨측정부로부터 전송된 사이로 내부의 석탄(원료)의 량에 따른 레벨값이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서모커플 레벨값과 비교하였을 때, 서모커플 레벨보다 하향된 결과의 석탄 레벨값이 검출되면 서모커플이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서모커플의 오작동이나 파손, 손상에 따른 문제로 인식하여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화재감지의 공백을 최소화한다. 또한, 서모커플의 오작동이나 손상, 파손이 아닐 경우에는 석탄량이 기준보다 사이로 내부에 적게 남아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보충하여 석탄(원료)를 사이로 내부로 공급하여 서모커플이 정상적으로 석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couple continues to rise, and the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is compared with th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and the level of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i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al in the state that the thermocouple is covered. If the measurement result is normal, if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continues to rise despite it being normal, it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that a current fire is detected around the thermocouple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e control unit implements fire suppression. However, al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couple continues to rise, the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raw material) inside the silo transmitted from the level measurement unit is lower than the thermocouple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thermocouple level valu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If the resultant coal level value is detected, the thermocouple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to minimize In addition, if there is no malfunction, damage or breakage of the thermocouple, the amount of coal remains inside the silo less than the standard. make it possible

이후, 화재진압에 있어서 제어부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진압할 지, 사이로 내부에 화재가 감지된 영역까지의 석탄 배출시간을 고려하여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이 유리한지 판단하여 선택 진압하게 된다. Thereafter, in fire suppress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fire suppression through coal discharge is advantageous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o extinguish the fire b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liquid and the coal discharge time to the area where the fire is detected inside the silo, and selects and suppresses the fire.

여기서, 제어부의 선택 화재진압에 있어서 기준은 각 지점의 서모커플의 온도값과 레벨측정부의 석탄의 레벨값 및 CO 검출부의 일산화탄소 농도값에 따른 사이로 내부의 화재지점의 위치가 석탄의 배출속도에 따른 시간계산시 화재의 확산속도와 확산방향보다 빠르다고 판단되는 기준을 두고 선택하게 되고, 또한, 사이로의 기준배출레벨값을 두어 기준배출레벨값보다 작으면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을 그렇지 않으면 소화액을 통한 화재진압을 선택하도록 한다. Here, in the selective fire suppression of the control unit, the standard is betwee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at each point, the coal level value of the level measurement unit, and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of the CO detection unit. In the time calculation, the selection is made based on the standard judged to be faster than the spread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fire. Also, if the standard emission level value is set between the silos and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emission level value, fire suppression through coal discharge is performed. Choose firefighting.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교결과 서모커플의 온도가 계속 상승되긴 하나, 주변 석탄의 량에 따른 레벨값이 정상 이하로 서모커플 자체가 석탄 내부에 묻힌 것이 아니라 석탄 배출에 따라 사이로 내부 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면 특정 위치의 서모커플의 오작동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이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화재감시의 공백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정상작동이 경우에는 석탄의 추가적 공급을 통해 석탄 레벨값이 정상범위에 도달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couple continues to ris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in the vicinity is below normal, and the thermocouple itself is not buried in the coal, but in the inner space of the silo according to the coal emission. If it is in the exposed state, a problem such as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thermocouple at a specific location has occurred, and it is quickly replaced to minimize the gap in fire monitoring. to reach the normal range.

따라서, 레벨측정부에 의한 사이로(silo)의 석탄량에 대한 레벨값을 통해 서모커플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사이로 내부의 화재감시에 보다 정확한 감지가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hermocouple is ensured through the level value for the amount of coal in the silo by the level measuring unit, so that a more accurate detection of the fire inside the silo is possible.

또한, CO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일산화탄소는 CO 농도 연산부로 전송되어 각 지점에서 검출된 일산화탄소를 농도를 CO농도 연산부(430)를 통해 전체 평균으로 나누어 얻어지 일산화탄소 농도의 평균값을 제2판단부(440)에서 기준값 저장부(4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300ppm 농도의 일산화탄소 농도와 비교하여 판단한다. 여기서, 평균값으로 나온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의 기준농도값보다 높게 나오면 사이로 내부 어딘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라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데 이는 사이로 내부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석탄의 특성상 일산화탄소가 발생되게 되어 화재발생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이를 감지함으로써,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산화탄소의 농도의 평균값이 300ppm을 넘지 않는다 하더라도 특정 부위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증가되면 이 또한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불완전연소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서모커플에서 전송된 온도값의 변화된 부분을 고려하여 제어부에서는 화재감지로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arbon monoxide detected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btained by divid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detected at each point by the overall average through the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 in comparison with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f 300 ppm concentration pre-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is determined. Here, if the averag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of 300 ppm, it means that a fire has occurred somewhere inside the silo. As a result,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creases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by detecting this, the occurrence of a fire can be detected. In addition, even if the average value o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does not exceed 300 ppm,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a specific area increases rapidly, this also means that incomplete combustion of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is occurring,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d part of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Therefore, the control unit takes follow-up measures by detecting the fire.

따라서, 기준 농도 300ppm을 벗어나 이상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검출되면 이는 화재가 발생되었다 판단하고, 각각의 CO 검출부에서 검출된 개별적인 일산화탄소 농도를 역 추적하고, 서모커플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값과 비교하여 화재발생지점을 추정하게 된다. 즉, 앞서 상술한 서모커플의 경우에는 국부적인 온도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화재감시영역의 위치확인이 정밀하지만, 일산화탄소 농도 측정에 따른 화재감시는 서모커플에 비해 보다 확장된 넓은 감지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정확한 화재발생위치를 확인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양자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화재감시의 정밀성을 향상시키면서 화재감시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f a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exceeding the reference concentration of 300 ppm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the individual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detected by each CO detector is traced back and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hermocouple to the point of fire occurrence. will be estima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thermocouple, the location of the fire monitoring area is precise because only the local temperature is detected. Although there are advantages, it is somewhat difficult to confirm the exact location of the fi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fire monitoring area while improving the precision of fire monitoring by applying both.

또한, 화재감시만으로는 사이로의 석탄 내부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은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서모커플에 소화부가 구비된 형태를 구성하여 국부적인 위치에서의 화재발생시에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extinguish a fire that occurs inside the coal in the silo only by fire monitoring, the thermocouple is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ing uni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따라서, 소화액의 분사를 통한 화재진압과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 중 빠르게 화재진압이 가능한 부분을 선택하여 판단하는 것이 후속작업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보다 경제적이며, 운전정지 없이 계속적인 원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follow-up work by selecting and judging the part that can be quickly extinguished between fire suppression through the injection of extinguishing liquid and fire suppression through coal discharge, and it is more economical and allows continuous consumption of raw materials without stopping operation. supply will be possible.

이를 위해 본원 발명에서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감시가 서모커플, 레벨측정부, CO 검출부를 통해 확인되면 화재발생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화재위치가 파악된 상태에서 서모커플의 사이로의 각 부위에서 측정된 석탄의 원료량과 사이로 피이더에서 배출되는 배출용량을 기준으로 배출시간이 제어부에서는 계산된다. 배출시간이 계산되었을 때, 화재의 확산속도에 대비하여 화재발생지점에서의 배출이 유리하면 이를 배출을 통해 화재진압함으로써, 사이로의 소화액에 따른 정비의 필요가 없게 되어 계속적인 석탄의 투입이 가능하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e monitoring is confirmed through the thermocouple, the level measurement unit, and the CO detection unit, the location of the fire is identified. With the fire location identified, the discharge time is calculated in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amount of raw material of coal measured at each part of the silo of the thermocouple and the discharge capacity discharged from the silo feeder. When the discharge time is calculated, if the discharge at the point of fire is favorable in preparation for the rate of fire spread, the fire is extinguished by discharging it,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fire extinguishing solution in the silo, allowing continuous input of coal. .

앞서 일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벨측정부와 CO 검출부가 탑제된 서모커플을 사이로의 위치별로 총 7개를 두고, 사이로 피이더에서의 배출용량이 시간된 150톤으로 적용했을 때의 배출시간을 [표 1]과 함께 설명한다.As shown in the previous example, a total of 7 thermocouples equipped with a level measurement unit and a CO detection unit were placed for each silo position, and the discharge time when the discharge capacity from the silo feeder was applied as a timed 150 tons [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able 1].

  사일로
배출시간
silo
discharge time
A
배출시간
A
discharge time
B
배출시간
B
discharge time
C
배출시간
C
discharge time
D
배출시간
D
discharge time
E
배출시간
E
discharge time
F
배출시간
F
discharge time
G
배출시간
G
discharge time
WW 844.93 844.93 650.55 650.55 562.19 562.19 473.83 472.83 385.47 385.47 297.12 297.12 208.76 208.76 132.18 132.18 배출 용량discharge capacity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150.00 계산Calculation 5.63 5.63 4.34 4.34 3.75 3.75 3.16 3.16 2.57 2.57 1.98 1.98 1.39 1.39 0.88 0.88 시간time 5.00 5.00 4.00 4.00 3.00 3.00 3.00 3.00 2.00 2.00 1.00 1.00 1.00 1.00 0.00 0.00 minute 37.00 37.00 20.00 20.00 44.00 44.00 9.00 9.00 34.00 34.00 58.00 58.00 23.00 23.00 52.00 52.00 candle 58.00 58.00 13.00 13.00 52.00 52.00 31.00 31.00 11.00 11.00 50.00 50.00 30.00 30.00 52.00 52.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모커플 A~G까지 사이로에 상하 위치별로 구성되어 석탄의 레벨값에 따른 량을 산출하여 표시하였다. 피이더를 통한 배출용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0ton/hr로 고정하였고, 이에 따른 배출시간을 산출하면 각 서모커플이 측정한 석탄의 양/배출용량=계산값이 산출되고, 계산값×60분으로 다시 계산하여 나온 값에서 1시간은 60분으로 차감하여 시간을 얻고, 남은 시간은 분과 초로 표기한 것이다.As shown in [Table 1], thermocouples A to G were configured for each upper and lower position in the silo, and the amount according to the level value of coal was calculated and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capacity through the feeder was fixed at 150 ton/hr, and when the discharge time is calculated accordingly, the amount of coal measured by each thermocouple/discharge capacity = calculated value is calculated, calculated value × 60 minutes 1 hour is subtracted by 60 minutes from the calculated value again to obtain the time, and the remaining time is expressed in minutes and seconds.

이에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순히 배출속도만을 고려한다면 화재가 G 부분에서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바로 배출하면 바로 화재진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A 부분에 화재가 발생되면 배출까지는 4시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화재가 확산 및 방향성을 고려한다면 빠르게 소화액을 분사하여 진압하는 것이 유리하다. Accordingly, as shown in [Table 1], if only the discharge rate is considered, it can be confirmed that if a fire occurs in the G part,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the fire immediately by discharging it immediately. On the other hand, when a fire occurs in part A, it takes more than 4 hours to discharge, so it is advantageous to extinguish the fire by quickly spraying the extinguishing liquid in consideration of the spread and direction of the fire.

하지만, 상기 A와 G 부분은 사실상 극명하게 나뉘는 부분이기 때문에 쉽게 판단이 가능하나 그렇지 못한 구간인 C, D, E 구간은 판단이 쉽지 않다. 이와 같이 쉽지 않은 구간에서는 가급적이면 소화액을 분사하여 진압되는 것 보다는 배출을 통한 진압쪽을 우선시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유는 과도한 소화액 분사로 인하여 석탄(원료)의 연소에 어려움이 따르고, 소화액으로 인한 사이로 내부 전체의 정비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이로 인한 운전정지 및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의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 However, since parts A and G are actually sharply divided, it can be easily determined, but sections C, D, and E, which are not sections, are not easy to judge. In this difficult section, if possible, the suppression through discharge is prioritized rather than suppressed by spraying fire extinguishing liquid. The reason is that the combustion of coal (raw material) is difficult due to excessive spraying of the extinguishing liquid, and the problem of internal maintenance may occur due to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which may result in operation stop and waste of manpower, time and money. .

하지만, C, D, E 구간의 판단이 쉽지 않아 단순히 석탄의 배출로 화재진압만을 고집한다면 가령 C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진압을 위한 석탄의 배출까지 시간이 3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화재가 단순히 발생한 지점에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는 원료를 태우면서 확산을 하는 특성상 확산속도와 방향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더욱이, 밀폐된 사이로에서의 화재는 방향성이 없이 원료의 특성에 따라 방향성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화재의 확산방향 역시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할 때, 사실상 C 구간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액으로 빠르게 초기진화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However,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sections C, D, and E, so if you insist on extinguishing the fire by simply discharging coal, for example, if a fire occurs at point C, it takes 3 hours to discharge the coal for extinguishing the fire. However, since the fire is not limited to the point where the fire simply occurs, the rate and direction of diffusion must be considered due to the nature of the fire spreading while burning raw materials. Moreover, since fire in a closed silo has no directionality and has no choice but to have directiona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the direction of fire spread must also be considered. Considering this part, if a fire actually occurs in section C, it is more advantageous to quickly extinguish the initial fire with extinguishing fluid.

따라서,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의 최대 요건은 D 구간의 화재발생부분부터 적용하게 되면 큰 무리 없이 석탄 배출에 따른 화재 진압이 가능할 것이지만, 이 역시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재의 확산속도와 확산방향을 고려하여 보다 하향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f the maximum requirement for fire suppression through coal discharge is applied from the fire occurrence part of section D, fire suppression due to coal discharge will be possible without much difficult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djust more downwar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이와 같이 배출속도에 기준을 통해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 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앞서 C, D, E 구간과 같은 판단의 어려움이 있어 빠른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배출레벨값을 두어 기준배출레벨값보다 작은 석탄 레벨값일 경우에는 무조건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판단이 되도록 제3판단부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사이로에 석탄이 완충된 상태라고 판단할 때는 기준배출레벨값을 통해 아래쪽 위치에 화재발생시에는 석탄배출을 위쪽 위치에 화재발생시에는 소화액 분사를 통해 화재진압하도록 함으로써, 화재진압의 판단을 빠르게 할 수 있어 보다 빠른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판단오류없이 명확한 기준이 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judging whether or not to extinguish a fire through coal emission based on the emission rate criteria, there is a difficulty in judging as in sections C, D, and E, so it may be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However, as shown in Figs. 4 and 5, in the case of a coal level value smaller than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by setting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rough the third determination unit so that the fire suppression determination is made through coal emission unconditionally. When it is judged that the coal in the silo is in a buffered state, the fire extinguishing judgment can be made faster by using the standard emission level value to extinguish the fire by discharging coal in the case of a fire in the lower position and spraying the extinguishing liquid in the case of a fire in the upper position. This enables faster fire suppression and can be a clear standard without judgment error.

즉, [표 1]을 두고 기준배출레벨값을 표기하고자 할 때에는 D 구간을 통상 전체 용량의 1/2~1/3 구간을 선정하게 된다. 따라서, D 구간을 기준배출레벨값으로 표시하게 되면 D 구간 이하는 모두 석탄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이 되고, 이상은 모두 소화액을 통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빠르게 판단하여 화재의 초기진압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령 화재의 확산속도나 화재의 확산방향이 명확하게 드러날 경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부를 통해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배출레벨값에 대하여는 E 또는 F 지점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when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indicated in Table 1, the D section is usually selected as a section from 1/2 to 1/3 of the total capacity. Therefore, when section D is displayed as a standard emission level value, all fires under section D are extinguished through coal discharge, and fire suppression is performed through extinguishing fluid above section D. to enable initial suppression of For example, when the rate of fire spread or the direction of fire spread is clearly reveale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controller can be adjusted to point E or F.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감시에 있어서, 사이로 내부의 국부적 위치와 확대된 전체의 화재감시가 가능하고, 화재감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화재감시가 가능하여 화재진압에 있어서도 빠른 화재진압 및화재진압에 있어서 소화액 내지는 석탄 배출에 따른 진압여부의 빠른 판단이 가능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화재감시의 공백 없이 서모커플의 교체 및 부분교체의 용이성 확보됨은 자명한 것이며, 화재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되어 운전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fire monitoring,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local location inside the silo and the expanded overall fire, and by secur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fire monitoring, more objective and specific fire monitoring is possible, so that even in fire suppression. In rapid fire suppression and fire suppress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coal is discharged, making it more economical, and it is self-evident that the thermocouple replacement and partial replacement are easily secured without a gap in fire monitoring. This can be secured to increase the driving efficienc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one embodime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lear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nd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and practical equivalents will be included.

100 : 서모커플유닛 200 : 레벨측정부
300 : CO 검출부 400 : 메인콘트롤러
410 : 기준값 저장부 420 : 제1판단부
430 : CO농도 연산부 440 : 제2판단부
450 : 제3판단부 460 : 제어부
470 : 디스플레이부
100: thermocouple unit 200: level measurement unit
300: CO detection unit 400: main controller
410: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20: first determination unit
430: CO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440: second determination unit
450: third judgment unit 460: control unit
470: display unit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이로 내에 복수의 지점에 다수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의 온도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공급받아 분사하여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소화부가 형성된 서모커플유닛(100)과; 상기 사이로에 저장된 석탄의 적재량을 측정하여 사이로의 피이더로부터 석탄이 수용된 높이를 측정하여 사이로 내부의 석탄 레벨값을 산출 전송하고, 상기 서모커플유닛이 산출된 석탄의 레벨값에 따라 사이로에 수용된 석탄의 내외부 위치 관계를 인식하여 서모커플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레벨측정부(200)와; 상기 서모커플유닛의 온도측정에 대한 국부적인 각 지점에서 확대된 지점까지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흡입 측정하는 CO 검출부(300)와; 상기 서모커플유닛(100)의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레벨값을 비교판단하여 측정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통한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며,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의한 사이로 내부 화재진압 중 어느 하나로 선택판단하여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된 메인컨트롤러(400);로 형성되고, 상기 CO 검출부(300)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측정하는 확대된 지점은 서모커플유닛의 온도측정범위로부터 사이로 중심까지 내지는 전체의 범위로 각 CO 검출부의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평균값이 300ppm 이상일 때는 화재가 발생, 미만일 경우에는 화재 미발생으로 기준되어 판단하되,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각 지점의 서모커플의 기준레벨값과 일산화탄소의 기준농도값이 저장된 기준값 저장부(410)와; 사이로 내부의 각 지점의 서모커플(100)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의 석탄 레벨값을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서모커플의 기준레벨값과 비교하여 서모커플으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사이로 내부의 온도값에 대한 국부위치 화재 발생유무를 판단하거나 서모커플(100)의 오작동 내지는 파손확인과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420)와; 각 지점의 상기 CO 검출부(300)를 통해 서모커플(100)의 온도값 검출위치인 국부위치를 제외한 확대된 지점에서 흡입검출된 일산화탄소 농도값을 전송받아 평균값을 연산하는 CO농도 연산부(430)와; 상기 CO 농도 연산부(430)를 통해 연산된 일산화탄소의 평균농도값과 기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화재발생유무에 따른 기준농도값과 비교하여 화재감시유무를 판단하고, 각 지점에서의 검출된 농도값과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기준농도값 이상의 지점의 화재발생유무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440)와; 상기 제1판단부(420)를 통해 검출된 온도값과 레벨값에 따른 국부위치의 화재유무의 판단과 제2판단부(440)의 CO 농도값에 의한 서모커플의 각 지점의 국부적 측정위치를 벗어난 사이로의 절반 내지는 전체의 위치에서의 화재발생유무를 감시판단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소화액을 통한 화재진압 내지는 사이로 내부의 석탄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석탄배출속도를 계산하여 석탄배출에 따른 화재진압 중 화재진압 시간에 있어서 가장 유리한 어느 하나로 화재진압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60)와; 상기 사이로 내부의 서모커플(100)의 측정된 온도값과 레벨측정부(200)에 의한 레벨값, CO 검출부(300)를 통해 전송된 값이 실시간 표시되고, 표시된 실시간 측정값에 대한 화재감시 및 진압과 제어부(460)의 화재발생에 따른 감시 및 진압에 따른 상황을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4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In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in a coal silo of a thermal power plant, a fire extinguishing unit is formed so as to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within the silo to sense the temperature at each installation point, and to receive and spray a fire extinguishing solution in case of a fire to enable initial fire suppression Thermocouple unit 100 and; Measure the loading amount of coal stored in the silo, measure the height at which the coal is accommodated from the feeder of the silo, calculate and transmit the coal level value inside the silo, and the thermocouple unit receives the coal accommodated in the sil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level value of the coal a level measuring unit 200 provided to recogn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CO detection unit 300 for inhaling and measuring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from each local point to the expanded point for the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thermocouple unit;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unit 100 and the level value of the coal accommodated therein between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re compared and determine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and the CO detection unit 300 measured The main controller 400 is formed with a control unit that monitors and judges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based on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selects and controls either fire suppression by extinguishing liquid or by calculating the rate of coal discharge inside the silo to suppress the fire inside the silo by coal discharge. ); is formed, and the expanded point measured by inhaling carbon monoxide of the CO detection unit 300 is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range of the thermocouple unit to the center or the entire range. The average value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measured by each CO detection unit is If it is more than 300ppm, a fire has occurred, and if it is less than 300ppm, it is judged as a non-fire.
The main controller 400 includes a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in which the referenc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at each point and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of carbon monoxide are stored;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100 at each point inside the silo and the coal level value of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level value of the thermocoupl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of the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from the thermocouple. A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silo to determine whether a local location fire occurs, or whether to check the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thermocouple 100 and replace it; A CO concentration calculating unit 430 that receives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value detected by inhalation at the enlarged point except for the local value, which is the temperature value detection position of the thermocouple 100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at each point, and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 By compa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of carbon monoxide calculated through the CO concentration calculator 430 and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fire monitoring has occurred, and th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detected at each point a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that compares the concentration values to determine whether a fire occurs at a point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re at the local loc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and level value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420 and the local measurement position of each point of the thermocouple by the CO concentration value of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40 Monitoring and judg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half or all of the silo that is outside the silo,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rate of coal discharge is calculated in the state where the coal supply in the silo is stopped a control unit 460 for controlling the fire suppression to be performed at any one of the most advantageous fire suppression times during fire suppression;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of the thermocouple 100 inside the silo, the level value by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CO detection unit 300 are displayed in real time, and fire monitoring and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display unit 470 for guiding the driver of the suppression and the monitoring and suppression of the fire by the control unit 46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의 기준값 저장부(410)에 사이로의 피이더에서 석탄의 배출시간이 소화액에 의한 화재진압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값으로 기준 배출레벨값이 저장되고;
레벨측정부(200)를 통해 사이로 내부의 피이더로부터의 수용된 석탄의 레벨값을 전송받아 상기 기준값저장부(410)에 저장된 석탄의 기준배출레벨값과 비교하여 기준배출레벨값 이하에서 화재발생시 석탄의 공급을 제한하고 석탄을 빠르게 사이로로부터 배출하여 화재진압하도록 하며, 기준배출레벨값 이상에서는 서모커플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통해 화재를 초기 진압하도록 판단하는 제3판단부(45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is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of the main controller 400 as a level value at which the discharge time of coal from the silo feeder can be made faster than the fire suppression by the extinguishing liquid;
Receive the level value of the coal received from the feeder inside the silo through the level measurement unit 200 and compare it with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of the coal stored in the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410. When a fire occurs below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coal A third determination unit 450 that limits the supply of the silo and rapidly discharges coal from the silo to extinguish the fire, and determines that the fire is initially extinguished through the extinguishing liquid for fire suppression of the thermocouple above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thermal powe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배출레벨값은 사이로 내부에 수용된 석탄의 량을 피이더의 배출용량으로 나누어진 값을 60을 곱하여 얻어진 값에서 60분씩 차감하여 시간을 구한 총배출시간의 1/2 내지 1/3에 해당되는 레벨값을 기준배출레벨값으로 설정하고, 화재의 확대속도에 따라 1/4~1/5로 기준배출레벨값이 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의 석탄 사이로 화재감시 및 진압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corresponds to 1/2 to 1/3 of the total emission time obtained by subtracting 60 minutes from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coal accommodated inside the silo by the value divided by the emission capacity of the feeder by 60 A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between coals of a thermal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ard emission level value is set as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and the reference emission level value can be changed from 1/4 to 1/5 according to the rate of expansion of the fire.
KR1020200013585A 2020-02-05 2020-02-05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KR102385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85A KR102385825B1 (en) 2020-02-05 2020-02-05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85A KR102385825B1 (en) 2020-02-05 2020-02-05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92A KR20210099792A (en) 2021-08-13
KR102385825B1 true KR102385825B1 (en) 2022-04-11

Family

ID=7731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585A KR102385825B1 (en) 2020-02-05 2020-02-05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795B1 (en) * 2015-05-06 2016-04-11 비디아이 주식회사 Coal silo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JP2018024493A (en) * 2016-08-09 2018-02-1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Spontaneous ignition preventive coal delivery method for coal storage tank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99Y1 (en) 2008-02-27 2010-03-30 한국중부발전(주) Gas Turbin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KR101764151B1 (en) 2017-04-28 2017-08-02 (주)아이스메카텍 Replacement type thermocouple unit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of sil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795B1 (en) * 2015-05-06 2016-04-11 비디아이 주식회사 Coal silo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JP2018024493A (en) * 2016-08-09 2018-02-1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Spontaneous ignition preventive coal delivery method for coal storage tank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92A (en)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795B1 (en) Coal silo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CA2301628C (en) Inerting method for preventing and extinguishing fires in enclosed spaces
US6739399B2 (en) Iner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extinguishing fires in enclosed spaces
CN113593194B (en) Early warning method and early warning fire-fighting system for thermal runaway of energy storage lithium ion battery
US4582100A (en) Filling of acetylene cylinders
US20150021054A1 (en) Automatic fire targeting and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US9220937B2 (en) Inerting method and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CN101378811B (en) Multistage inerting method for preventing and extinguishing fires in enclosed spaces
CN102170942A (en) Inert gas fire extinguisher for reducing the risk and for extinguishing fires in a protected space
CA2594796C (en) Inerting method for preventing fires
US4657055A (en) Filling of acetylene cylinders
CN102582984A (en) Safety protection system and safety protection method for floating-roof oil tank based on active nitrogen filling
KR102385825B1 (en) Coal silo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
US10933262B2 (en) Oxygen-reduc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xygen-reducing installation
CN202575116U (en) Floating-roof oil tank safeguard system based on active filling of nitrogen
AU2013276275B2 (en) Fire prevention in storage silos
RU2318567C2 (en) Fire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GB2493460A (en) Fire Prevention in Storage Silos
KR101346037B1 (en) Inside temperature sencer of coal silo
CN114695987A (en) Energy storage area space thermodynamic degre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207623760U (en) A kind of calcium carbide stove exhaust safety detection and automated ignition system
CN215741507U (en) Fire-fighting system of power station
CN220294041U (en) Raw coal bin intelligent fire extinguishing device
CN108386866B (en) Self-inerting and stable powder supply system of pulverized coal boiler
KR102076107B1 (en) Thermocouple replacement type with minimized measurement error due to slip prevention and heat resistance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