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591B1 -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 Google Patents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591B1
KR102385591B1 KR1020210028776A KR20210028776A KR102385591B1 KR 102385591 B1 KR102385591 B1 KR 102385591B1 KR 1020210028776 A KR1020210028776 A KR 1020210028776A KR 20210028776 A KR20210028776 A KR 20210028776A KR 102385591 B1 KR102385591 B1 KR 10238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upper cover
module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to KR102021002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5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5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hair including a coupling seat module which can stably maintain a coupling state without separate components such as a bolt or a joint by coupling a coupling unit through a separate fixing washer. The chair including a coupling seat module comprises: a fram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frame laterally connected on the vertical frames to form a closed loop of a prescribed area, wherein the vertical frames and the horizontal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ramework; a backrest module having a prescribed area and coupled to the frame module to support the back portion of a user; and a seat modul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ncluding an upper cover of which at least a portion encloses th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 low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cover underneath the horizontal frame and enclosing and fixing th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to prevent separation,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Description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본 발명은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판모듈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상하방향으로 프레임모듈에 결합 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좌판모듈을 프레임모듈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including a combined seat module, wherein the seat module includes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and is coupled to the frame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by the seat module can be coupled to the frame module in a simple manner. It relates to a chair comprising a module.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의자 다리부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In general, a chair has a structure including a seat part for supporting the buttocks of a occupant, a back pa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occupant, and a chair leg part for supporting the seat part and the backrest part.

한편, 의자에 앉아 고정된 자세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의 혈액 및 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며, 특히 잘못된 자세의 척추는 정상적인 척추 라인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또한, 착석자의 체중이 큰 경우 좌판의 내구성 및 안정성 역시 중요하며, 올바르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허리와 엉덩이 등에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sit on a chair and work for a long time in a fixed position, the blood and nutrient supply to the intervertebral cartilage is cut off and becomes stiff over time. In addition,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eat plate are also important when the occupant's weight is large, and when used in an improperly coupled state, it causes pain in the back and hips.

따라서, 의자에 앉은 착석자가 편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상에 좌판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 seat plate is stably coupled to the frame in order for the seated person to use it comfortably.

이러한 안정성의 확보를 위해 프레임에 좌판의 결합 시 이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의 체결이나 조인트의 결합 등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n order to secure such stability, when the seat plate is coupled to the frame,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bolt fastening or joint coupling are required to fix it.

따라서 프레임과 좌판의 결합 시 파손률을 저감시키고 고정성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의자에 대해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a chair that can reduce the breakage rate when the frame and the seat plate are combined, solve the problem of fixability,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판모듈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및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프레임모듈을 감싸며 상호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볼트 없이 간단하게 프레임모듈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and the seat module includes an upper cover, a lower cover, and a coupling part, a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surround the frame module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it is simple without a separate bolt It is to provide a chair including a coupling type seat module that can be coupled to the frame modu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정 면적의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호 연결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모듈,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는 상부커버,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서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좌판모듈을 포함한다.A chair including a coupled sea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i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losed loop of a certain area conn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vertical frame a frame modul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forming an upper cover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 low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cover at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mutually coupl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t includes a seat module including a coupling unit.

또한, 상기 좌판모듈은 상기 상부커버 또는 상기 하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또한, 상기 하부커버는 둘레에 따른 끝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ver may include a lower contact portion formed to be curved upwardly from an end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to contact and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둘레에 따른 끝단부가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may include an upper contact portion formed so that an end along the circumference is curved in the lower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to contact and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에 접촉하는 전방 굴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s formed to be curved in the lower direc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ben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frame together with the support unit.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둘레의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상부커버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upper cove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 portion of the periphery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the support unit is the upper portion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ower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또한, 상기 결합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유닛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at least some of i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pport unit.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는, 프레임모듈, 등받이모듈 및 좌판모듈을 포함하며, 좌판모듈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단순 결합만으로 프레임모듈과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으며, 결합유닛이 별도의 고정와셔를 통해 결합 됨으로써 별도의 볼트나 조인트 등의 구성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chair including a coupled sea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module, a back module and a seat module, and the seat module is fixed to the frame module only by simple coupling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does not come off, and the coupling unit is By being combined through a separate fixing washer,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combined state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bolts or joints.

또한, 좌판모듈에서 상부커버, 하부커버 및 지지유닛을 통해 수평프레임과 3점 지지형태로 결합되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 시 수평프레임의 횡 방향에 대한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at module is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frame in a three-point support form through the upper cover, the lower cover and the support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easily fixed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mbined. there is.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서 구성별 분리된 상태를 12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좌판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서, 좌판모듈의 다른 각도에 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좌판모듈에서 하부커버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좌판모듈에서 결합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chair including a combined sea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separated by configuration 12 in the chair including the coupled seat module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at module of the chair including the coupling-type seat module of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at module at different angles in the chair including the combined seat module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ver is coupled in the seat module of FIG. 1; 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unit in the seat module of Figure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front/rear or upper/lower are thos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to indicate a relative direction, so that the scope of rights is I'd say it's not limited.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hair including a coupled sea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크게 프레임모듈(100), 등받이모듈(200) 및 좌판모듈(300)을 포함한다.As shown,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frame module 100 , a backrest module 200 , and a seat module 300 .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전체적인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전체를 지지하며, 상기 좌판모듈(300)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frame module 100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n overall skeleton, and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to support the whole, and the seat module 300 is supported from the lower part so that a user can be seated therein.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나 목제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한다.The frame module 100 is generally made of metal, synthetic resin, or wood to support a user's load.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module 100 includes a vertical frame 110 and a horizontal frame 120 . ) is included.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길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전체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4개로 구성되어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수평프레임(120)이 안착된다.The vertical frame 110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vertical frames 110 are spaced apart to support the w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110 consists of four and is arrang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s seated thereon.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유사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연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상에 후술하는 상기 좌판모듈(300)이 안착 고정된다.The horizontal frame 12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vertical frame 110 , and is interconnect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and disposed on the vertical frame 110 . And the seat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and fixed on the horizontal frame 12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부재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부분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vertical frame 110 are each configured independently and ar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separate members are connected, but unlike this, at least som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vertical frame 110 are configured to be partially coupled with one member. may be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10) 중 일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등받이모듈(2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일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연결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모듈(200)이 결합된다.Here, a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ackrest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hereto. That is, as shown, a part of the vertical frame 110 extends upwar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so that the backrest module 200 is coupled.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상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며, 일정 면적의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고, 상기 좌판모듈(300)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horizontal frame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vertical frame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interconnected, and form a closed loop of a certain area, and the seat module 300 is coupled to allow the user to sit. make it possib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사각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다각형 또는 타원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각형태의 폐루프 형상이 아닌 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120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formed to be curved in a rectangular shape.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lygonal or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other polygonal shape instead of a rectangular closed loop shap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상기 좌판모듈(300) 및 상기 등받이모듈(200)이 결합되고, 일정 수준이상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ame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at plate module 300 and the backrest modul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support a load of a certain level or more and maintain the shap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모듈(200)은 사용자의 등 부분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프레임모듈(100)에서 후방에 편향된 상태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좌판모듈(300)에 안착된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module 200 is configured to contact and support the user's back, and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biased to the rear of the frame module 100, and is seated on the seat module 300.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모듈(200)은 금속, 목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모듈(100)에 연결되며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모듈(10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사용자를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backrest module 200 is made of metal, wood, synthetic resin, etc., at least par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module 100 and protrudes upward,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module 100 to provide a user with sup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등받이모듈(200)은 일체로 구성되어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나 이와 달라 복수 개의 부재가 결합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지며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모듈(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ckrest module 200 is integrally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ixed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0, but differently from this, a plurality of members are coupled or at least some have elasticity and tilt backward It may be coupled to the frame module 100 to be possible.

한편, 상기 좌판모듈(300)은 상기 프레임모듈(10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써, 횡 방향을 따라 일정면적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모듈(100)상에서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frame module 100 to seat the user, has a predetermined area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it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rame module 100 . is combined with

구체적으로, 상기 좌판모듈(300)은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에서 이를 감싸며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크게 상부커버(310), 하부커버(320), 지지유닛(340)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330)을 포합니다.Specifically, the seat module 3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horizontal fram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largely include an upper cover 310, a lower cover 320, a support unit 340 and these It includes a coupling unit (330) for coupling.

상기 상부커버(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둔부가 상면에 안착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됩니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310)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이 형성하는 폐 루프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됩니다.As shown, the upper cover 310 is made of general synthetic resi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it. Here, the upper cover 310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horizontal frame 120 , and is coupled to surround a 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커버(310)는 하면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둘레에 따른 끝단부가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외측면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접촉부(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10)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340)과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접촉하는 전방 굴곡부(31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310 is formed such that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is inserted and seated, and the end along the circumference is formed to be curved in the lower direc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is outside the horizontal frame 120 . It includes an upper contact portion 312 formed to surround the side. And the upper cover 31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s formed to be curved in the lower direc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frame 120 together with the support unit 340. and an anterior bend 314 .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310)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상기 상부접촉부(312)가 형성되며, 전방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전방 굴곡부(3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상기 전방굴곡부(314)는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전방 및 측 후방의 측면에 접촉하여 횡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contact portion 312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310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front bent portion 314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long in front to be curved forward. do. At this time, the upper contact part 312 and the front curved part 314 contact the front and side rear side surfaces of the horizontal frame 120, respectively,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즉, 상기 상부커버(310)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적어도 둘레의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상부커버(310)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상에서 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at is, the upper cover 31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coup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so that the upper cover 31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 ), so as not to deviate from i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커버(310)의 상면에는 별도의 쿠션(C)이 구비되며, 다양한 소재 또는 형태로 마감되어 사용자의 둔부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cushion (C)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310, and may be finished in various materials or shape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buttocks.

한편, 상기 하부커버(320)는 상술한 상기 상부커버(310)와 함께 좌판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상부커버(310)와 결합되고, 둘레에 따른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cover 320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seat plate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upper cover 310, ha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310, the circumference A part along the side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커버(320)는 상기 상부커버(310)와 일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310)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결합되며 둘레를 감싸며 횡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Specifically, the lower cover 32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cover 31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together with the upper cover 310, surrounds the perimeter, and prevents separ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커버(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폐 루프에 대응 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둘레의 끝단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특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ver 3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op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s shown and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circumference, so tha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20 is It is configured to be wrapped in contact with a special surface.

이때, 상기 하부커버(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따른 끝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접촉부(322)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lower cover 320 is curved upwardly from the end along the circumference as show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contact portion 322 is formed so as to contact and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 is included.

즉, 상기 하부커버(320)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커버(310)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외측면을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함께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횡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That is, the lower cover 320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310 with the horizontal frame 120 as a center, and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together with the upper contact part 312 . Prevents devi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320)는 상기 상부커버(3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커버(310)와 결합된다.As such, the lower cover 3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cover 31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cover 310 with the horizontal frame 12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지지유닛(340)은,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접하며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가 상기 수평프레임(120)상에서 횡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한다.The support unit 3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are The horizontal movement on the horizontal frame 120 is limited.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340)은, 상기 상부커버(310) 또는 상기 하부커버(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외측면이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상기 하부접촉부(322)에 접촉하고, 내측면에 상기 지지유닛(340)에 접촉 함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상기 좌판모듈(300)의 횡 방향이동을 제한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잇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340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Accordingly, the horizontal frame 120 has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ortion 312 and the lower contact portion 322 and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unit 340, thereby forming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seat plate. The lateral movement of the module 300 is restricted so that it can be stably fix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310)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둘레에 따른 끝단부에서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상기 지지유닛(340) 사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부커버(320)가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unit 34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upper cover 310 as show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along the circumferen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ower cover 32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in a state where it is seated between the upper contact part 312 and the support unit 340 and is stably fixed.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점으로 접촉하여 상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Here, the horizontal frame 120 is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stably fixed by being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ree points as shown in FIGS. 3 and 4 .

특히, 상기 지지유닛(340)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일측에 접촉하고,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상기 하부접촉부(322)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상기 하부접촉부(322)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단면에 따른 지름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support unit 340 contacts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and the upper contact part 312 and the lower contact part 322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and the upper contact 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312 and the lower contact part 3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diameter along the cross-s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

이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가 후술하는 상기 결합유닛(3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접촉부(312)와 상기 하부접촉부(322)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120)이 상기 지지유닛(340)과 함께 3점 지지되며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are vertically coupled by the coupling unit 3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contact portion 312 and the lower contact portion 322 is increased. and thus the horizontal frame 120 is supported at three points together with the support unit 340 and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fixed state.

한편, 상기 결합유닛(330)은,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 사이에서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20)이 형성하는 폐루프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unit 330 is arranged in a closed loop area formed by the horizontal frame 120 in a configuration to be mutually coupled between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and coupl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유닛(3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 사이에 배치되어 치합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본 발명에서는 크게 돌출부(332), 삽입부(334) 및 고정와셔(33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units 33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and coupled in a meshing manner. ) and a fixing washer 336 .

상기 돌출부(332)는 상기 상부커버(310) 또는 상기 하부커버(320) 중 어느 하나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34)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삽입부(334)는 상기 돌출부(332)에 대향하는 유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332)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같은 내졍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32)가 삽입된다.The protrusion 33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either the upper cover 310 or the lower cover 320 ,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334 .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334 is disposed to face the deciduous teeth opposite to the protrusion 332 , and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or equal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332 , and the protrusion 332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돌출부(332)와 상기 삽입부(334)는 각각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결합 시 억제력을 통해 이탈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332 and the insertion part 334 are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and are configured to be impossible to separate through a restraining force when combined. Do.

상기 고정와셔(336)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34) 내부에 고정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와셔(336)는 내경을 따라 복수 개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다. The fixing washer 336 is formed in a ring shape,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is fixedly disposed inside the insertion part 334 . Here, the fixing washer 33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long the inner diameter.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32)가 상기 삽입부(33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332)는 상기 고정와셔(336)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며 삽입되고, 상기 고정와셔(336)의 돌기는 상기 돌출부(33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일부 밴딩되며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와셔(336)는 일부가 탄성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332)의 삽입 시 외력에 의해 휘어짐과 동시에 돌출부(332)의 측면을 가압하고, 상기 돌출부(33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when the protrusion 3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334 , the protrusion 332 penetrates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washer 336 and is inserted, and the projection of the fixing washer 336 . is partially bent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3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fixing washer 336 is partially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and when the protrusion 332 is inserted, it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332, and the protrusion 332 is separated. to prevent

즉 상기 고정와셔(336)는 상기 삽입부(33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332)의 삽입 시 돌출부(332)가 관통된 상태로 돌기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fixing washer 336 is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part 334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protrusion part 332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the protrusion in a penetrating state when the protrusion part 332 is inser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32)는 상기 하부커버(3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상부커버(31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32)의 삽입 시 상기 고정와셔(336)의 돌기는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332)의 측면을 가압해 하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33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320, the insertion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310, and when the protrusion 332 is inserted, the fixing washer ( The protrusion of 336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332 in a state where it is bent at a certain angle in the upward direction to suppress the devi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결합유닛(330)은 상기 돌출부(332), 상기 삽입부(334) 및 상기 고정와셔(336)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를 결합시키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유닛(330)은 복수 개가 상기 지지유닛(340)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호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310)와 상기 하부커버(32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In this way, the coupling unit 330 includes the protrusion 332 , the insertion part 334 and the fixing washer 336 to couple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 and in this embodiment In an example, a plurality of the coupling units 3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support unit 340 , thereby stably coupling the upper cover 310 and the lower cover 32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상기 프레임모듈(100), 상기 등받이모듈(200) 및 상기 좌판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좌판모듈(300)이 상부커버(310)와 하부커버(320)의 단순 결합만으로 상기 프레임모듈(100)과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으며, 상기 결합유닛(330)이 별도의 고정와셔(336)를 통해 결합 됨으로써 별도의 볼트나 조인트 등의 구성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rame module 100, the backrest module 200, and the seat module 300, and the seat module 300 includes an upper cover 310 and a lower cover ( 320) is fixed with the frame module 100 and does not separate, and the coupling unit 330 is coupled through a separate fixing washer 336, so that it is stably coupled without a separate bolt or joint configuration. can keep

또한, 상기 좌판모듈(300)에서 상기 상부커버(310), 상기 하부커버(320) 및 상기 지지유닛(340)을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3점 지지형태로 결합되어 상부커버(310)와 하부커버(320)의 결합 시 수평프레임(120)의 횡 방향에 대한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seat module 300 , the upper cover 310 , the lower cover 320 and the support unit 340 are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in a three-point support form through the upper cover 310 . When the and the lower cover 320 is combin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simply fix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프레임모듈
110: 수직프레임
120: 수평프레임
200: 등받이모듈
300: 좌판모듈
310: 상부커버
320: 하부커버
330: 결합유닛
340: 지지유닛
100: frame module
110: vertical frame
120: horizontal frame
200: backrest module
300: seat module
310: upper cover
320: lower cover
330: coupling unit
340: support unit

Claims (7)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정 면적의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호 연결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모듈;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는 상부커버,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서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좌판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상부커버 또는 상기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 및 링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가 관통 삽입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와셔는 내경을 따라 복수 개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접촉하며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A frame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on the vertical frame to form a closed loop of a predetermined area, and interconnected to form a skeleton;
a backrest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coupled to the frame module to support a user's back; and
An upper cover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surrounds a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 low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cover a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the a seat module including a coupling unit coupled to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ncludes,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any one of the upper cover or the lower cover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an insertion part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protrusion at a position facing the protrusion to be inserted;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is fixedly arranged inside the insertion part, and includes a fixing washer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 chair comprising a coupled sea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wash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long the inner diameter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prevent sepa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모듈은,
상기 상부커버 또는 상기 하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module is
A chair including a coupled-type sea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uni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n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둘레에 따른 끝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접촉부를 포함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cover,
A chair including a coupled-type seat module including a lower contact portion formed to be curved upwardly from an end along the circumferen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to contact and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둘레에 따른 끝단부가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접촉부를 포함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cover,
A chair comprising a coupled-type seat module including an upper contact portion formed to be curved at an end along the circumferen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to contact and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에 접촉하는 전방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cover,
It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s formed to be curved in the lower direction, and is form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ncludes a combined seat plat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ront bent part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frame together with the support unit. chai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둘레의 일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상부커버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rizontal frame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upper cove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The support unit is formed to protrude in a downward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cover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유닛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결합형 좌판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unit is
A chair comprising a coupled-type seat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at least some of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pport unit.
KR1020210028776A 2021-03-04 2021-03-04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KR1023855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776A KR102385591B1 (en) 2021-03-04 2021-03-04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776A KR102385591B1 (en) 2021-03-04 2021-03-04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591B1 true KR102385591B1 (en) 2022-04-14

Family

ID=8121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776A KR102385591B1 (en) 2021-03-04 2021-03-04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59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782A (en) * 1999-11-09 2001-05-15 Okamura Corp Seat plate for chair
KR200331334Y1 (en) * 2003-07-29 2003-10-23 정중자 Chair which a seat-board is snapped
JP6436750B2 (en) * 2014-12-03 2018-12-12 コクヨ株式会社 Chair
KR102189085B1 (en) * 2020-05-15 2020-12-17 조효석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KR102212282B1 (en) * 2020-08-27 2021-02-05 주식회사 퍼맥스 Frame chai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782A (en) * 1999-11-09 2001-05-15 Okamura Corp Seat plate for chair
KR200331334Y1 (en) * 2003-07-29 2003-10-23 정중자 Chair which a seat-board is snapped
JP6436750B2 (en) * 2014-12-03 2018-12-12 コクヨ株式会社 Chair
KR102189085B1 (en) * 2020-05-15 2020-12-17 조효석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KR102212282B1 (en) * 2020-08-27 2021-02-05 주식회사 퍼맥스 Fram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060B1 (en) Chair backrest
US4390204A (en) Portable furniture
US4510634A (en) Infant carrier
US7356861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US8727448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KR102385591B1 (en) Chair with Combined seat module
JP2011101762A (en) Backrest device for chair
US3425745A (en) Motorcycle armchair safety seat
KR101559952B1 (en) A chair table
TWI578939B (en) With a tiltable working chair
KR20220107687A (en) Chair with backrest module
JP4890299B2 (en) Chair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JPH08301070A (en) Inner belt structure
JP2024033948A (en) Chair
JP3240391U (en) chairs
JP2537760Y2 (en) Plastic chair
KR920002671Y1 (en) A dismountable chair
WO2022045205A1 (en) Connection device and chair set
US20240057782A1 (en) Support assembly
JP4189543B2 (en) Infant highchair
JP2009106419A (en) Chair
WO2012153408A1 (en) Chair back device
KR200465384Y1 (en) Sync. tilt type chair
KR101198956B1 (en) Chair
JP3925195B2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