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16B1 -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 Google Patents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16B1
KR102385416B1 KR1020210173604A KR20210173604A KR102385416B1 KR 102385416 B1 KR102385416 B1 KR 102385416B1 KR 1020210173604 A KR1020210173604 A KR 1020210173604A KR 20210173604 A KR20210173604 A KR 20210173604A KR 102385416 B1 KR102385416 B1 KR 10238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washing
space
housing
puls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유선
김나연
이희애
Original Assignee
박유선
김나연
이희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선, 김나연, 이희애 filed Critical 박유선
Priority to KR102021017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tact lens case. The contact len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configured such that a cleaning space accommodating a cleaning liquid therein and a gear space in which a train of gears is disposed are formed; a scooping net which accommodates a contact lens therein, and which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for immersing the contact lens in the cleaning liquid of the cleaning space, or for scooping the contact lens from the cleaning liquid of the cleaning space; and a pulsator which is disposed in the cleaning space, and which is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train of gears.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세척이 가능한 콘택트렌즈 케이스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Contact lens case with washable contact lenses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 기능이 마련되는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case having a cleaning function.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란, 눈의 각막 겉면에 붙여 안경과 같은 구실을 하도록 제작된 작은 렌즈를 일컫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는 크게 하드 콘택트렌즈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구성된다.In general, a contact lens refers to a small lens tha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a of the eye to act like glasses.

소프트 및 하드 콘택트렌즈는 단백질 제거제가 함유된 보존액(이하, 세척액)이 저수된 케이스에 침지시켜 보관될 수 있고, 세척액은 렌즈에 묻어있는 단백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콘택트렌즈에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한다.Soft and hard contact lenses can be stored by immersing them in a case in which a preservative solution (hereafter,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a protein remover is stored, and the cleaning solution removes proteins from the lense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bacteria from inhabiting the contact lenses. .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콘택트렌즈 케이스로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22317호의 렌즈 케이스(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된 바 있다.As a contact lens   case that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 lens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22317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렌즈 케이스는 콘택트렌즈를 세척액에 단순 침지시켜 보관할 수 있을 뿐 동력을 이용한 세척이 불가능하므로, 미세먼지 등의 비단백질성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lens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be stored by simply immersing the contact lens in a cleaning solution and cannot be washed using power, so there is a limitation in removing non-proteinace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본 발명은 동력을 이용한 콘택트렌즈의 세척 및 콘택트렌즈의 보관을 수행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cleaning and storing contact lenses using power.

본 발명은 전기적 동력이 불필요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 lens case that can be operated manually so that no electrical power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콘택트렌즈 케이스는 세척액이 수용되는 세척공간 및 기어열이 배치되는 기어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콘택트렌즈가 수용되고, 콘택트렌즈를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액에 침지시키거나 콘택트렌즈를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액에서 건져내도록 마련되는 뜰채; 및 세척액을 휘젓도록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열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act lens cas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leaning space in which a cleaning solution is accommodated and a gear space in which a gear train is disposed; The contact lens is accommodated, the contact lens is immersed in the washing solution of the washing space or the contact lens is provided to take out the washing solution of the washing space; and a pulsator that is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to stir the washing liquid and is rotated by power transmitted by the gear train.

상기 기어열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상기 구동기어의 일부분에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기어열이 구동될 수 있다.The gear train may include a driving gear par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gear train may be driven by a rotational force applied by a user to a part of the driving gea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세척액이 담긴 튜브 및 콘택트렌즈를 집도록 마련되는 집개 중 적어도 하나가 수납되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t least one of the tube containing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holder provided to pick up the contact lens is accommodated, the drawer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케이스는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수동으로 콘택트렌즈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lens case can be cleaned manually without using separate electrical energy.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케이스는 전기소자 및 복잡한 회로구성 없이 간단한 부품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lens case can be manufactured with only simple parts without electrical elements and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케이스는 전기소자 및 복잡한 회로구성 없이 간단한 부품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lens case can be manufactured with only simple parts without electrical elements and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s,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contact lens case and improving por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세척공간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뜰채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
4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solution is supplied to a cleaning space of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is detached.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on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a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pper", "lower", "upper", "lower", etc. used below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세척공간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뜰채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 4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solution is supplied to a cleaning space of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lens case shown in FIG. 1 is detached.

도 1 내지 5를 참조할 때, 콘택트렌즈 케이스(1)는 콘택트렌즈(L1,L2)를 보관하고 세척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케이스(1)는 하우징(10), 커버(30), 수납부(20), 뜰채(50), 펄세이터(60), 및 기어열(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 contact lens case 1 can store and wash the contact lenses L1 and L2. The contact lens case 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using 10 , a cover 30 , a receiving unit 20 , a garden chae 50 , a pulsator 60 , and a gear train 40 .

하우징(10)은 콘택트렌즈 케이스(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세척공간(과 기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콘택트렌즈 케이스(1)는 세척공간(10a,10b)과 기어공간(10c)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ntact lens case 1 . The housing 10 may form a cleaning space (and a gear space). In other words, the contact lens case 1 may include cleaning spaces 10a and 10b and a gear space 10c.

하우징(10)은 상방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하우징의 전후좌우면을 형성하는 외측벽(11)과, 외측벽(11)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우징(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벽(12)과, 외측벽(11)과 바닥벽(12)에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세척공간(10a,10b)과 기어공간(10c)을 구분하는 구획격벽(13)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11)은 복수(예: 4개)의 외측벽(1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공간(10a,10b)은 세척액 및/또는 콘택트렌즈(L1,L2)를 수용할 수 있고, 기어공간(10c)은 기어열(40)을 수용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have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The housing 10 includes an outer wall 11 form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housing, a bottom wall 12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outer wall 11 and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an outer wall 11 and a bottom It is dispos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12 and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3 that separates the washing spaces 10a and 10b and the gear space 10c. The outer wall 11 may include a plurality (eg, four) of the outer wall 11 . The cleaning spaces 10a and 10b may accommodate the cleaning liquid and/or the contact lenses L1 and L2 , and the gear space 10c may accommodate the gear train 40 .

커버(3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는 하우징(예: 외측벽(11))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는 하우징(예: 외측벽)의 상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30 may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10 . The cov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eg, the outer wall 11). The cover 30 may be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housing (eg, an outer wall).

수납부(2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부(20)는 하우징(1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수납부(20)에는 세척액이 담긴 튜브(T)(이하, "세척액 튜브(T)") 및/또는 콘택트렌즈를 파지하도록 마련되는 집개가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disposed under the housing 10 . The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In the receiving unit 20, a tube T (hereinafter, “cleaning solution tube (T)”) containing a cleaning solution and/or a clip provided to hold a contact lens may be accommodated and stored.

수납부(2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어(21)와, 드로어(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로어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프레임(22)은 하우징(10)의 하면(또는, 바닥벽(12)에 결합될 수도 있고, 하우징의 바닥벽(12) 및/또는 외측벽(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20 may include a drawer 21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and a drawer frame 22 to which the drawer 21 is slidably coupled. The drawer frame 2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r the bottom wall 12 ) of the housing 10 ,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wall 12 and/or the outer wall 11 of the housing.

하우징(10)은 외측벽(11)을 관통하도록 외측벽(11)에 형성되고 기어열(40)의 일부(예: 구동기어(41))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11a)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a)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include a slit 11a formed on the outer wall 11 so as to penetrate the outer wall 11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gear train 40 (eg, the driving gear 41) can be inserted. The slit 11a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구획격벽(13)은 세척공간(10a,10b)을 형성하고 세척공간(10a,10b)과 기어공간(10c)을 구획하는 한 쌍의 세척공간형성부(13a,13b)와, 한 쌍의 세척공간형성부(13a,13b) 사이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뜰채거치부(13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세척공간형성부(13a,13b)는 제1 세척공간형성부(13a)와 제2 세척공간형성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뜰채거치부(13c)는 제1 세척공간형성부(13a) 및 제2 세척공간형성부(13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2 세척공간형성부(13a,13b)와 뜰채거치부(13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3 includes a pair of washing space forming parts 13a and 13b that form washing spaces 10a and 10b and partition the washing spaces 10a and 10b and the gear space 10c, and a pair of washing spaces. It is disposed between the space forming portion (13a, 13b) and may include a yard chaejireul portion (13c) that protrudes upward. The pair of washing space forming parts 13a and 13b may include a first washing space forming part 13a and a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 13b. The yard holder 13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ashing space forming part 13a and the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 13b.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s (13a, 13b) and the yard holder (13c) may be integrally formed.

제1,2 세척공간형성부(13a,13b)는 세척공간(10a,1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세척공간형성부(13a)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또는, "제1 세척공간(10a)")에는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L1) 및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L2) 중 하나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세척공간형성부(13b)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또는, "제2 세척공간(10b)")에는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L1) 및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L2) 중 나머지가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units 13a and 13b may form washing spaces 10a and 10b. One of the left eye contact lens L1 and the right eye contact lens L2 may be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space (or "first cleaning space 10a") formed by the first cleaning space forming part 13a. and the rest of the left eye contact lens L1 and the right eye contact lens L2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or "second washing space 10b") formed by the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 13b. can be

구획격벽(13)(예: 세척공간형성부(13a,13b))에 의하여 기어공간(10c)과 세척공간(10a,10b)은 구획되며, 기어공간(10c)은 세척공간(10a,10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공간(10c)은 하우징(10)의 바닥벽(12)과 하우징(10)의 구획격벽(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공간(10c)은 하우징의 외측벽(11), 하우징의 바닥벽(12), 및 하우징의 구획격벽(13)의 하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고, 세척공간(10a,10b)은 하우징의 외측벽(11), 및 하우징의 구획격벽(13)의 상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The gear space 10c and the washing spaces 10a and 10b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3 (eg, the washing space forming parts 13a and 13b), and the gear space 10c is the washing space 10a, 10b. It may be disposed under the The gear space 10c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wall 12 of the housing 10 and the partition wall 13 of the housing 10 . The gear space 10c may correspond to a space surround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1 of the housing, the bottom wall 12 of the housing, and the partition wall 13 of the housing, and the cleaning spaces 10a and 10b are the housings. It may correspond to a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11 of th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13 of the housing.

뜰채(50)는 콘택트렌즈(L1,L2)를 수용할 수 있고 콘택트렌즈를 세척공간(10a,10b)의 세척액에 침지시키거나 세척액에서 건져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뜰채(50)는 구획격벽(13)의 뜰채거치부(13c)에 거치될 수 있다. Tulchae 50 can accommodate the contact lenses (L1, L2), the contact lenses can be immersed in the washing solution of the washing space (10a, 10b) or can be provided to be retrieved from the washing solution. The yard chae 50 may be mounted on the yard chae holder (13c) of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13).

뜰채(50)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한 쌍의 그물부(51,52)와, 한 쌍의 그물부(51,52)를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는 파지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물부(51,52)와 파지부(53)는 금속 소재(예: 스테인리스 등)의 와이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Yardchae 50 includes a pair of net portions 51 and 52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a grip portion 53 that connects the pair of net portions 51 and 52 and can be gripped by a user. can The net parts 51 and 52 and the grip part 53 may be formed of a wire made of a metal material (eg, stainless steel, etc.).

한 쌍의 그물부(51,52)는 제1 세척공간(10a)에 배치 가능한 제1 그물부(51)와 제2 세척공간(10b)에 배치 가능한 제2 그물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물부(51)에는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 및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 중 하나가 놓여질 수 있고, 제2 그물부(52)에는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 및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 중 나머지가 놓여질 수 있다.The pair of net parts 51 and 52 may include a first net part 51 disposed in the first washing space 10a and a second net part 52 disposed in the second washing space 10b. there is. One of a left eye contact lens and a right eye contact lens may be placed on the first mesh portion 51 , and the other of the left eye contact lens and the right eye contact lens may be placed on the second mesh portion 52 .

파지부(53)는 금속 소재 와이어가 상방을 향해 볼록하도록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53)는 뜰채거치부(13c)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53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뜰채(50)는 파지부(53)에 의하여 형성되고 뜰채거치부(13c)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53a)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art 53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metal wire so as to be convex upward. The grip part 53 may form a coupling groove 53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trellis holder 13c is inserted and coupled. That is, the yard chae 50 is formed by the holding part 53 and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53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yard chae holder 13c is inserted and coupled.

파지부(53)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뜰채거치부(13c)의 상단이 결합홈(53a)에 삽입될 때 뜰채(50)는 제1,2 그물부(51,52) 모두가 제1,2 펄세이터(6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구획격벽(13)(예: 뜰채거치부(13c))에 거치될 수 있다.When the holding part 53 is pressed down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yard chae holder part 13c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3a, the yard chae 50 is the first and second net parts 51 and 52 all first and second. It may be mounted on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13 (eg, the yard holder 13c)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ulsator 60 .

펄세이터(60)는 세척공간에 배치되어 세척공간에 수용된 세척액을 휘저을 수 있다. 펄세이터(60)는 세척공간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펄세이터(60)는 복수의 펄세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펄세이터는 제1 세척공간(10a)에 배치되는 제1 펄세이터(61)와 제2 세척공간(10b)에 배치되는 제2 펄세이터(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lsator 60 may be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to stir the washing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The pulsator 6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space. The pulsator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lsators. The plurality of pulsators may include a first pulsator 61 disposed in the first washing space 10a and a second pulsator 62 disposed in the second washing space 10b.

펄세이터(60)는 블레이드(61a,62a)와 회전축(61b,62b)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 펄세이터의 블레이드(61a)와 회전축(61b)을 각각 제1 블레이드와 제1 회전축으로 지칭할 수 있고, 제2 펄세이터의 블레이드(62a)와 회전축(62b)을 각각 제2 블레이드와 제2 회전축으로 지칭할 수 있다.The pulsator 60 may include blades 61a and 62a and rotating shafts 61b and 62b. The blade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The blades 61a and the rotation shaft 61b of the first pulsator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blade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respectively, and the blade 62a and the rotation shaft 62b of the second pulsator are the second blade and the second blade, respectively. 2 It can be referred to as the axis of rotation.

블레이드(61a,62a)는 세척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축(61,62b)은 세척공간의 바닥면(또는, 세척공간형성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축은 제1 세척공간형성부를 관통할 수 있고, 제2 회전축은 제2 세척공간형성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1,2 회전축의 하단은 기어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The blades 61a and 62a may be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and the rotation shafts 61 and 62b may be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sp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space forming unit). The first rotating shaft may pass through the first washing space form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may pass through the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may be exposed to the gear space.

기어열(40)은 기어공간(10c)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열(40)은 펄세이터(60)((예: 회전축(61b,62b))와 결합될 수 있고 펄세이터(60)에 동력을 전달하여 펄세이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열(40)이 구동될 때 제1,2 펄세이터(61,62)가 회전될 수 있다.The gear train 40 may be disposed in the gear space 10c. Gear train 40 may be coupled to the pulsator 60 (eg, rotating shafts 61b and 62b) and transmit power to the pulsator 60 to rotate the pulsator. Gear train 40 When this is driven, the first and second pulsators 61 and 62 may be rotated.

기어열(40)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는 구동기어(41)와 피동기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동기어(42)는 복수의 피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41)는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전력을 피동기어(42)로 전달함으로써 기어열(40)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gear train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The plurality of gears may include a driving gear 41 and a driven gear 42 . The driven gear 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en gears. The driving gear 41 may drive the gear train 40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formed by the user to the driven gear 42 .

제1 펄세이터(61)와 제2 펄세이터(62)는 기어열(40)의 기어들(41,42)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pulsator 61 and the second pulsator 62 may be rotated by being coupled to the gears 41 and 42 of the gear train 40 .

예를 들어, 제1 펄세이터(61)의 제1 회전축은 구동기어(4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기어(41)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제2 펄세이터(62)의 제2 회전축은 구동기어(41)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기어(4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피동기어(4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펄세이터의 제1 회전축은 구동기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피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1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제2 펄세이터의 제2 회전축은 구동기어 및/또는 제1 피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피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2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otational shaft of the first pulsator 6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iving gear 4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gear 41,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of the second pulsator 62 is It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n gear 42 ,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driving gear 41 ,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en gear 42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rotational shaft of the first pulsato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first driven gear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driving gear and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driven gear, The second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pulsator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driven gear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gear and/or the first driven gea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driven gear.

구동기어(41)의 일부는 하우징의 슬릿(11a)을 통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동기어(41)의 복수의 이(tooth) 중 일부는 하우징의 슬릿(11a)을 통해 하우징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A part of the driving gea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slit 11a of the housing. Some of the plurality of teeth of the driving gear 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slit 11a of the housing.

사용자는 하우징(10) 외부에 노출된 구동기어(41)의 일부분을 파지하여 이 부분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기어(41)가 회전됨에 따라 기어열(40)이 구동될 수 있다.A user may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is portion by gripping a portion of the driving gear 4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as the driving gear 41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gear train 40 is can be driven

사용자는 콘택트렌즈가 뜰채(50)에 안착된 상태에서 뜰채를 뜰채거치부(13c)에 거치시킴으로써 콘택트렌즈를 세척공간에 담긴 세척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펄세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펄세이터에 의하여 세척공간 내부의 세척액에 형성되는 수류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로부터 콘택트렌즈에 묻은 먼지 및/또는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파지부를 잡고 뜰채를 들어올림으로써 손쉽게 세척액으로부터 콘택트렌즈를 건져낼 수 있다. 콘택트렌즈 세척 과정에서, 뜰채는 콘택트렌즈를 펄세이터로부터 이격시키므로 콘택트렌즈가 회전되는 펄세이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can immerse the contact lens in the clean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washing space by mounting the tteulchae on the tteulchae holder 13c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lens is seated on the tteulchae 50 . In this state, the user can operate the pulsator by rotating the drive gear. The user can remove dust and/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ontact lenses by using the water flow formed in the cleaning solution inside the cleaning space by the pulsator. When cleaning is complete,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contact lens from the cleaning solution by holding the gripper and lifting the net.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contact lens, since the jigchae separates the contact lens from the puls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lens from being damaged by the rotating pulsator.

사용자는 세척공간의 세척액이 부족한 때 수납부에 수납된 세척액 튜브(T)를 사용하여 세척공간의 세척액을 보충할 수 있다.When the washing solution in the washing space is insufficient, the user may replenish the washing solution in the washing space by using the washing solution tube (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 콘택트렌즈 케이스
10; 하우징
20; 수납부
30; 커버
40; 기어열
50; 뜰채
60; 펄세이터
One; contact lens case
10; housing
20; storage department
30; cover
40; gear train
50; landing net
60; pulsator

Claims (3)

세척액과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는 제1 세척공간, 세척액과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가 수용되는 제2 세척공간, 및 기어열이 배치되는 기어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 및 상기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가 놓여지고, 상기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 및 상기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를 각각 상기 제1,2 세척공간의 세척액에 침지시키거나 상기 제1,2 세척공간의 세척액에서 건져내도록 마련되는 뜰채;
세척액을 휘젓도록 상기 제1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열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 펄세이터; 및
세척액을 휘젓도록 상기 제2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열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2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열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는 구동기어로서,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구동기어의 일부분에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제1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제2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전후좌우면을 형성하는 외측벽;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벽;
상기 외측벽과 상기 바닥벽에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세척공간과 상기 기어공간을 구분하는 구획격벽; 및
상기 외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제1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제1 세척공간형성부;
상기 제2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제2 세척공간형성부; 및
상기 제1,2 세척공간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뜰채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뜰채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세척공간에 배치 가능하며, 상기 왼쪽 눈용 콘택트렌즈가 놓여지는 제1 그물부;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세척공간에 배치 가능하며, 상기 오른쪽 눈용 콘택트렌즈가 놓여지는 제2 그물부; 및
상기 제1 그물부와 상기 제2 그물부를 연결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부로서, 상기 뜰채거치부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뜰채거치부의 상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상기 뜰채는 상기 제1 그물부가 상기 제1 펄세이터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그물부는 상기 제2 펄세이터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구획격벽에 거치되는 콘택트렌즈 케이스.

a housing having a first cleaning space accommodating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contact lens for the left eye, a second cleaning space accommodating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contact lens for the right eye, and a gear space in which the gear train is disposed;
The left eye contact lens and the right eye contact lens are placed, and the left eye contact lens and the right eye contact lens are respectively immersed in the washing solu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spaces or the washing solu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spaces. A yard that is prepared to be retrieved from;
a first pulsator disposed in the first washing space to stir the washing liquid and rotated by power transmitted by the gear train; and
A second pulsator disposed in the second washing space to stir the washing liquid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gear train;
The gear train is
a driving gear par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driving gear being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applied by a user to a part of the driving gea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rotating the first pulsator; and
Including; and a driven gear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gear and rotates the second pulsator.
the housing is
an outer wall form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housing;
a bottom wall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partition partition wall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and the bottom wall and dividing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spaces and the gear space; and
a slit formed on the outer wall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driving gear is inser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artition wall is
a first washing space forming part forming the first washing space;
a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 forming the second washing space; and
It includes 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space forming part and protrudes upwardly,
The yard is
a first n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nd disposed in the first washing space, in which the contact lens for the left eye is placed;
a second n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washing space, the contact lens for the right eye is placed; and
Containing; as a gripp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net portion and the second net portion and is gripped by the user, the grip portion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garden holder is inserted and coupled;
When the gripper is pressed down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yard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yard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ne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ulsator and the second net portion is the second pulsator. A contact lens case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세척액이 담긴 튜브 및 콘택트렌즈를 집도록 마련되는 집개 중 적어도 하나가 수납되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contact lens case comprising a; at least one of a tube containing a cleaning solution and a holder provided to pick up a contact lens, which is provided under the housing, and a drawer provided to be sli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KR1020210173604A 2021-12-07 2021-12-07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KR102385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04A KR102385416B1 (en) 2021-12-07 2021-12-07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04A KR102385416B1 (en) 2021-12-07 2021-12-07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416B1 true KR102385416B1 (en) 2022-04-12

Family

ID=8118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04A KR102385416B1 (en) 2021-12-07 2021-12-07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19Y1 (en) * 2002-04-15 2002-11-13 조한주 A Centrifugal force use portable and airball Soft contact lens clean machine
KR20120084600A (en) * 2011-01-20 2012-07-30 김응복 Contact lens case
KR20150070570A (en) * 2013-12-17 2015-06-25 여효주 Safety contact lens storage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19Y1 (en) * 2002-04-15 2002-11-13 조한주 A Centrifugal force use portable and airball Soft contact lens clean machine
KR20120084600A (en) * 2011-01-20 2012-07-30 김응복 Contact lens case
KR20150070570A (en) * 2013-12-17 2015-06-25 여효주 Safety contact lens storag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64875A1 (en) Cosmetic Brush Cleaner and Dryer
US10092381B2 (en) Orthodontic retainer cleaning case
US20130104932A1 (en) Cleaning kit for jewelry and intricate objects
KR102385416B1 (en) Contact lens case capable of washing contact lens
US5213121A (en) Paint brush washing machine
US6821355B1 (en) Automatic eyewear cleaner
US4852594A (en) Contact lens washing apparatus
JP2019063759A (en) Ultrasonic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1046134A (en) Container for preserving contact lens
KR200166658Y1 (en) Implement for cleaning contact lenses
KR20190036088A (en) Sludge removal apparatus for aquarium
US5080117A (en) Device for cleaning contact lenses
US9248476B2 (en) Multispeed device for polishing and cleaning jewelry
US20230133098A1 (en) Jewelry Cleaning Device
CA2454558A1 (en) Contact lens cleaning and storage device
JPH071620Y2 (en) Cleaning equipment for contact lenses
CN215089542U (en) Tank cleaning device
CN213154539U (en) Multifunctional contact lens box
JPH06130334A (en) Automatic contact lens cleaning unit
WO2024037534A1 (en) Automatic contact lens care device
US20210215954A1 (en) Contact Lens Cleaner
KR900008485Y1 (en) Contact lens washing apparatus
JP2010115430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CN114007661A (en) Cleaner for contact lens
KR200272151Y1 (en) Ultrasonic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