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306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306B1
KR102385306B1 KR1020210188933A KR20210188933A KR102385306B1 KR 102385306 B1 KR102385306 B1 KR 102385306B1 KR 1020210188933 A KR1020210188933 A KR 1020210188933A KR 20210188933 A KR20210188933 A KR 20210188933A KR 102385306 B1 KR102385306 B1 KR 10238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rved
sliding
gear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일
김성진
조효순
최진아
오은지
박태찬
김창윤
홍민기
Original Assignee
텍스트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트솔루션(주) filed Critical 텍스트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2000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으로 대출됐던 도서를 반납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시스에 관한 것으로, 반납되는 도서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도서 반납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Book Loan Return KIOSK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대출됐던 도서를 반납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관 이용자들의 요구 및 도서관의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증진에 의하여 도서의 예약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이에 대한 기능을 갖춘 장비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지하철 역에 설치된 도서 대출 시스템은, 대출 권수가 48권 내지 100권 이하로 제한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부피 대비 효율이 저하되었다. 즉, 큰 부피에 비하여 많은 양의 도서를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는 도서를 효율적으로 수용하지 못하였고, 수용된 도서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없는 구조 때문에 발생 되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도서 대출 시스템은, 단순히 도서를 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편의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5165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3295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무인으로 대출됐던 도서를 반납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는, 반납되는 도서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도서 반납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는, 도서를 대출받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가 대출받은 도서의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도서를 반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내부 공간으로 도서를 받아들이기 위한 도서 수납 게이트가 전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서 수납 게이트는, 수납되는 도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 함체; 상기 수납 함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는 수납 도어; 상기 수납 함체의 내부 공간을 수납된 도서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 공간과 상기 하부 수용 공간 이외의 상부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며 후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 플레이트;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도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전단으로 노출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되는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도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전단으로 노출되거나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되는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 및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전단과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각 전단에 의해 하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전단과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전단으로 노출되어 반납되는 도서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전단과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되면서 반납되는 도서를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시키는 수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일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곡선형 레일;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 및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단으로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타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2 곡선형 레일;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 및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단으로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플레이트는, 도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바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축이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기어;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축이 상기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동 기어와 상기 제2 회동 기어의 각 회전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수평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일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바디;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제1 레일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기 제1 레일 바디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하단 렉기어; 및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제1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하단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기어;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상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의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하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전단 지지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되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에 상기 제1 회동 기어가 설치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전단이 상기 제1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진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전진시켜 주고,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후진시켜 주는 제1 하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타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바디;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제2 레일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기 제2 레일 바디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하단 렉기어; 및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2 하단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 기어;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상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의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하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2 전단 지지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되는 제2 구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에 상기 제2 회동 기어가 설치되는 제2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전단이 상기 제2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진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전진시켜 주고,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후진시켜 주는 제2 하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인으로 대출됐던 도서를 반납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키오스크 장치의 식별 코드 리더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키오스크 장치를 통한 도서의 반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수납 게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의 도서 수납 게이트를 이용한 도서의 반납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5의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수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과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과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제1 곡선형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제1 곡선형 레일과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0의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과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0의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과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0의 제2 곡선형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0의 제2 곡선형 레일과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10)는, 키오스크 장치(10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장치(100)는, 반납되는 도서(P)에 부착된 식별 코드(Q)를 스캐닝하여 도서 반납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1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서(P)를 대출받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키오스크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가 대출받은 도서(P)의 정보를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 코드(Q)는, QR 코드, 바코드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장치(100)는, 식별 코드(Q)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장치(100)는, 도서를 반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인으로 대출됐던 도서를 반납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장치(100)는, 내부 공간으로 도서를 받아들이기 위한 도서 수납 게이트(300)가 전단이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수납 게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서 수납 게이트(300)는, 수납 함체(310), 수납 도어(320), 격벽 플레이트(330),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 및 수납 플레이트(600)를 포함한다.
수납 함체(310)는, 수납되는 도서(P)를 수용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장치(1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수납 도어(320)는, 수납 함체(3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납 함체(310)의 상부 전단에 설치된다.
격벽 플레이트(330)는, 수납 함체(310)의 내부 공간을 수납된 도서(P)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 공간과 하부 수용 공간 이외의 상부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며 후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 함체(3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는, 수납 함체(3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단이 수납 도어(320)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단으로 노출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전단이 수납 함체(310)로 수납된다.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는,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와 대향하면서 수납 함체(3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단이 수납 도어(320)를 통해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단으로 노출되거나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전단이 수납 함체(310)로 수납된다.
수납 플레이트(600)는,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의 전단과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의 각 전단에 의해 하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지지되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의 전단과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가 신장됨에 따라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단으로 노출되어 반납되는 도서(P)가 안착되도록 하고,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의 전단과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가 수축됨에 따라 수납 함체(310)로 수납되면서 반납되는 도서(P)를 수납 함체(310)로 수납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는, 제1 곡선형 레일(410),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 및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430)을 포함한다.
제1 곡선형 레일(410)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수납 함체(310)의 상부 일측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은, 제1 곡선형 레일(410)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곡선형 레일(4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제1 곡선형 레일(41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430)은,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단으로 수납 플레이트(60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는, 제2 곡선형 레일(510),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 및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제2 곡선형 레일(510)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수납 함체(310)의 상부 타측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은, 제2 곡선형 레일(510)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곡선형 레일(5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제2 곡선형 레일(51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530)은,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단으로 수납 플레이트(600)의 하부 타측을 지지한다.
도 11은 도 5의 수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납 플레이트(600)는, 플레이트 바디(610), 제1 회동 기어(620) 및 제2 회동 기어(6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바디(610)는, 도서(P)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회동 기어(620)는, 플레이트 바디(6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축이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43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된다.
제2 회동 기어(630)는, 플레이트 바디(61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축이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53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납 플레이트(600)는, 제1 회동 기어(620)와 제2 회동 기어(630)의 각 회전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플레이트 바디(610)의 수평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과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은, 제1 메인 프레임(421), 제1 슬라이딩 기어(422), 제1 상부 슬라이딩홈(423), 제1 하부 슬라이딩홈(424), 제1 전단 지지 스프링(425) 및 제1 구동 와이어(426)를 포함한다.
제1 메인 프레임(421)은,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412)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4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 기어(422)는, 제1 하단 렉기어(41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제1 메인 프레임(421)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제1 메인 프레임(421)의 후단 하측에 설치된다.
제1 상부 슬라이딩홈(423)은,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430)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메인 프레임(421)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1 하부 슬라이딩홈(424)은, 제1 상부 슬라이딩홈(423)의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1 전단 지지 스프링(425)은, 제1 하부 슬라이딩홈(424)의 전단에 설치된다.
제1 구동 와이어(426)는, 일단이 제1 슬라이딩 기어(422)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기어(42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 기어(422)에 권취되거나 제1 슬라이딩 기어(422)로부터 권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430)은, 제1 서브 프레임(431) 및 제1 하부 돌기(43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프레임(431)은, 제1 상부 슬라이딩홈(423)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제1 상부 슬라이딩홈(423)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상부 슬라이딩홈(42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에 제1 회동 기어(620)가 설치된다.
제1 하부 돌기(432)는, 제1 서브 프레임(431)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하부 슬라이딩홈(424)에 안착되어 전단이 제1 전단 지지 스프링(425)에 의해 지지되며, 제1 구동 와이어(426)의 타단이 전단에 설치되며, 제1 구동 와이어(426)가 제1 슬라이딩 기어(422)에 권취됨에 따라 제1 하부 슬라이딩홈(424)을 따라 전진되어 제1 서브 프레임(431)을 전진시켜 주고, 제1 구동 와이어(426)가 제1 슬라이딩 기어(422)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제1 전단 지지 스프링(425)에 의해 후진되어 제1 서브 프레임(431)을 후진시켜 준다.
도 14는 도 10의 제1 곡선형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곡선형 레일(410)은, 제1 레일 바디(411),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412), 제1 하단 렉기어(413) 및 제1 슬라이딩 유도홈(414)을 포함한다.
제1 레일 바디(411)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수납 함체(310)의 상부 일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500)와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412)은,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420)의 전단이 제1 레일 바디(41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레일 바디(411)의 내측을 따라 제1 레일 바디(411)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제1 하단 렉기어(413)는,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412)의 하측을 따라 설치된다.
제1 슬라이딩 유도홈(414)은, 제1 메인 프레임(421)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 돌기(421a)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41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16은 도 10의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과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은, 제2 메인 프레임(521), 제2 슬라이딩 기어(522), 제2 하부 슬라이딩홈(524),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5) 및 제2 구동 와이어(526)를 포함한다.
제2 메인 프레임(521)은,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 기어(522)는, 제2 하단 렉기어(51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제2 메인 프레임(521)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제2 메인 프레임(521)의 후단 하측에 설치된다.
제2 상부 슬라이딩홈(523)은,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430)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메인 프레임(521)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하부 슬라이딩홈(524)은, 제2 상부 슬라이딩홈(523)의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5)은, 제2 하부 슬라이딩홈(524)의 전단에 설치된다.
제2 구동 와이어(526)는, 일단이 제2 슬라이딩 기어(522)에 설치되어 제2 슬라이딩 기어(52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슬라이딩 기어(522)에 권취되거나 제2 슬라이딩 기어(522)로부터 권출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530)은, 제2 서브 프레임(531) 및 제2 하부 돌기(532)를 포함한다.
제2 서브 프레임(531)은, 제2 상부 슬라이딩홈(523)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제2 상부 슬라이딩홈(523)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상부 슬라이딩홈(52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에 제2 회동 기어(630)가 설치된다.
제2 하부 돌기(532)는, 제2 서브 프레임(531)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하부 슬라이딩홈(524)에 안착되어 전단이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5)에 의해 지지되며, 제2 구동 와이어(526)의 타단이 전단에 설치되며, 제2 구동 와이어(526)가 제2 슬라이딩 기어(522)에 권취됨에 따라 제2 하부 슬라이딩홈(524)을 따라 전진되어 제2 서브 프레임(531)을 전진시켜 주고, 제2 구동 와이어(526)가 제2 슬라이딩 기어(522)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5)에 의해 후진되어 제2 서브 프레임(531)을 후진시켜 준다.
도 18은 도 10의 제2 곡선형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 곡선형 레일(510)은, 제2 레일 바디(511),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 제2 하단 렉기어(513) 및 제2 슬라이딩 유도홈(514)을 포함한다.
제2 레일 바디(511)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수납 함체(310)의 상부 타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400)와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520)의 전단이 제2 레일 바디(51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레일 바디(511)의 내측을 따라 제2 레일 바디(511)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
제2 하단 렉기어(513)는,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의 하측을 따라 설치된다.
제2 슬라이딩 유도홈(514)은, 제2 메인 프레임(431)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 돌기(421a)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51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100: 키오스크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도서 수납 게이트
400: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
500: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
600: 수납 플레이트

Claims (5)

  1. 반납되는 도서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여 도서 반납을 수행하는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내부 공간으로 도서를 받아들이기 위한 도서 수납 게이트가 전단이 구비되며,
    상기 도서 수납 게이트는,
    수납되는 도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 함체;
    상기 수납 함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전단에 설치되는 수납 도어;
    상기 수납 함체의 내부 공간을 수납된 도서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 공간과 상기 하부 수용 공간 이외의 상부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며 후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 플레이트;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도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전단으로 노출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되는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도어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전단으로 노출되거나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전단이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되는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 및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전단과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각 전단에 의해 하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전단과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장치의 전단으로 노출되어 반납되는 도서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의 전단과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되면서 반납되는 도서를 상기 수납 함체로 수납시키는 수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일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곡선형 레일;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 및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단으로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는,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타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2 곡선형 레일;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 및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곡선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단이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단으로 상기 수납 플레이트의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는,
    도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바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축이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기어;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축이 상기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동 기어와 상기 제2 회동 기어의 각 회전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수평이 제어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레일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일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바디;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제1 레일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기 제1 레일 바디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하단 렉기어; 및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일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제1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하단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기어;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상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의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하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전단 지지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되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상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에 상기 제1 회동 기어가 설치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전단이 상기 제1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진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전진시켜 주고,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후진시켜 주는 제1 하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곡선형 레일은,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 함체의 상부 타측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다단 거치대와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바디;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이 상기 제2 레일 바디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상기 제2 레일 바디의 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하단 렉기어; 및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슬라이딩 터널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2 하단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 기어;
    상기 제2 일측 곡선형 프레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상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의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하부 슬라이딩홈;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2 전단 지지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되거나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되는 제2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도서를 대출받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로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가 대출받은 도서의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 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및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도서를 반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측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상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에 상기 제2 회동 기어가 설치되는 제2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전단이 상기 제2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진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전진시켜 주고,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슬라이딩 기어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지지 스프링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후진시켜 주는 제2 하부 돌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KR1020210188933A 2021-12-23 2021-12-27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KR102385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08A KR102385308B1 (ko) 2021-12-23 2022-01-04 도서대여가 가능한 무인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80 2021-12-23
KR20210185480 2021-1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08A Division KR102385308B1 (ko) 2021-12-23 2022-01-04 도서대여가 가능한 무인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306B1 true KR102385306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933A KR102385306B1 (ko) 2021-12-23 2021-12-27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KR1020220000708A KR102385308B1 (ko) 2021-12-23 2022-01-04 도서대여가 가능한 무인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08A KR102385308B1 (ko) 2021-12-23 2022-01-04 도서대여가 가능한 무인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5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896B1 (ko) * 2022-12-13 2023-03-10 주식회사 통컴퍼니 쇼핑몰 배너 디자인 자동 생성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65B1 (ko) 2010-10-06 2011-02-17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대출 반납 장치 및 이를 갖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KR2018013736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이씨오 무인 도서관 시스템
KR102008194B1 (ko) * 2018-05-14 2019-08-07 유비벨록스(주) 안면 인식을 이용한 도서 무인 대출 자동화 방법 및 무인 대출 자동화 시스템
KR102215663B1 (ko) * 2020-07-14 2021-02-15 주식회사이씨오 도서관 자료 비대면 제공 장치
KR102232957B1 (ko) 2020-12-22 2021-03-26 주식회사 채움씨앤아이 감정인식을 활용한 도서관 회원 맞춤형 도서추천 키오스크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65B1 (ko) 2010-10-06 2011-02-17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대출 반납 장치 및 이를 갖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KR2018013736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이씨오 무인 도서관 시스템
KR102008194B1 (ko) * 2018-05-14 2019-08-07 유비벨록스(주) 안면 인식을 이용한 도서 무인 대출 자동화 방법 및 무인 대출 자동화 시스템
KR102215663B1 (ko) * 2020-07-14 2021-02-15 주식회사이씨오 도서관 자료 비대면 제공 장치
KR102232957B1 (ko) 2020-12-22 2021-03-26 주식회사 채움씨앤아이 감정인식을 활용한 도서관 회원 맞춤형 도서추천 키오스크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896B1 (ko) * 2022-12-13 2023-03-10 주식회사 통컴퍼니 쇼핑몰 배너 디자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529525B1 (ko) * 2022-12-13 2023-05-08 주식회사 통컴퍼니 배너 제작 시스템
KR102529529B1 (ko) * 2022-12-13 2023-05-08 주식회사 통컴퍼니 쇼핑몰 홍보를 위한 배너 디자인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308B1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3137A1 (en) Method for managing flash memory module and associated flash memory controller and electronic device
US10714141B2 (en) Method for accessing shingled magnetic recording SMR disk, and server
US10459635B2 (en) Window based mapping
US20090310412A1 (en) Methods of data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related non-volatile memory systems
KR102358053B1 (ko) 복수의 불휘발성 메모리 칩들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KR10238530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서대출 반납 키오스크
US10725902B2 (en) Methods for scheduling read commands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US10089225B2 (en) Improving garbage collection efficiency by reducing page table lookups
US20220197788A1 (en) Data storage device with spare blocks for replacing bad block in super bloc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00117559A1 (en)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1276259A (zh) 信息处理设备
US939077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201601884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garbage collection in filesystems
US20200089423A1 (en) Memory system data management
CN103076993A (zh) 一种密集型系统中的存储系统及方法
CN102135943A (zh) 闪存数据的存储、访问方法及装置
US20200310981A1 (en) Controller,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955116A1 (en) Memory controller, and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50106573A1 (en) Data processing system
US20210157578A1 (en) Method of updating control unit for vehicle
US10528116B2 (en) Fast resume from hibernate
US20140122793A1 (en) Magnetic disk device and data writing method
KR102493778B1 (ko) 건축 미술품 심의 및 관리 시스템
CN104298469B (zh) 存储设备配置装置和存储设备配置方法
US9086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S expander to electronically connect to a RAID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