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09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090B1
KR102385090B1 KR1020160001217A KR20160001217A KR102385090B1 KR 102385090 B1 KR102385090 B1 KR 102385090B1 KR 1020160001217 A KR1020160001217 A KR 1020160001217A KR 20160001217 A KR20160001217 A KR 20160001217A KR 102385090 B1 KR102385090 B1 KR 10238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ouch
light
visual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059A (ko
Inventor
권용우
용승지
최재훈
박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0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불투광 영역의 일부 및 상기 투광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도어 커버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시각정보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본체의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컨트롤 유닛은 통상적으로 본체에 구비되었으며, 기 결정된 행정만을 온/오프 방식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나 노브가 구비되었다.
이러한, 도어와 컨트롤 유닛의 이분화는 의류처리장치의 심플한 외관에 저해가 되었으며, 의류처리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가 저차원 방식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도어에 컨트롤 유닛을 위치시키고, 컨트롤 유닛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089호 (2011.12.05. 공개)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264호(2015.01.16. 공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들을 비롯한 선행특허에서는 후술하는 기술들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먼저, 도어에 터치스크린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어 커버의 투광 영역에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가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상에 도어 커버의 투광 영역이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도어의 투광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와 투광 영역 간의 정렬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어 커버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지점과 터치 센서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대응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터치감의 저하를 불러오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도어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이 요구되는 모드들이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터치 입력 구조 내지 방식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 상에 도어 커버의 투광 영역이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도어의 투광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와 투광 영역 간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도어 커버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지점과 터치 센서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대응이 맞지 않는 경우, 이를 교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도어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구조에서, 새로운 터치 입력 구조 내지 방식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불투광 영역의 일부 및 상기 투광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도어 커버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시각정보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투광 영역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불투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상기 불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시각정보에는 상기 시각정보의 위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시각정보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좌표축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좌표축을 이루는 각 축의 양단에는 경계 이미지가 표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좌표축이 상기 투광 영역의 중심에 위치할 때, 상기 경계 이미지는 상기 투광 영역 내에 모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시각정보에는 상기 시각정보의 이동과 관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각정보의 출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각정보의 출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투광 영역 내의 일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각정보가 회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외곽 이미지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주변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주변 이미지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부분에 시각정보를 미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연동하여, 상기 출력되는 시각정보에 대한 센싱된 터치지점의 상대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조정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완료된 이후에 진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조정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두 개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되며, 상기 그래픽 객체들에 대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되는 지점과 상기 터치 센서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들 간의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조정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 중 상기 불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및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불투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가 가해지면, 특정 모드로 진입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불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서 시각정보의 출력 위치가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터치 조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와 투광 영역 간의 정렬을 맞출 수 있다.
아울러,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의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연동하여, 상기 출력되는 시각정보에 대한 센싱된 터치지점의 상대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지점과 터치 센서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대응이 맞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교정을 통하여,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 모드로의 진입은 도어 커버의 불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불투광 영역과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추가적인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 통상의 사용을 위해 예견되는 일반적인 터치 조작(즉, 투광성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서는 상기 특정 모드로의 진입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의 배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제2투광 영역을 통하여 보이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11은 도 3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의 일부가 불투광 영역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12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를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를 보인 개념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보인 개념도들.
도 14 및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16은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한 처리 방법을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 상태 및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 완료 상태로 나누어 보인 개념도들.
도 17은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에 대한 센싱된 터치지점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한 터치 센서 조정 모드를 보인 개념도.
도 18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센서의 정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9는 도어 커버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에 의해, 특정 모드로 진입된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20a)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본체(20) 및 도어(1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20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20a)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2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전원 버튼(2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22)이 미구비되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어(10)는 의류 투입구(20a)를 개폐하도록 본체(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는 힌지 유닛(30)에 의해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2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2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도어(10)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이에 인접한 본체(2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0)의 개방시 도어(10)가 본체(2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유닛(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0)의 일측에 힌지 유닛(3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0)의 타측에는 도어(10)를 본체(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0)에는 윈도우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부(11)는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부(11)를 통하여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0)는 도어 프레임(110), 도어 윈도우(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 도어 커버(14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0)에는 본체(2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 유닛(30)이 장착되나, 본 도면에서는 힌지 유닛(30)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0)가 원형(정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둥근 형태를 포함)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30)이 도어 프레임(110)과 본체(20)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성들이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으로 지칭되는 이유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10) 자체만을 놓고 보았을 때, 아우터 프레임(111)은 본체(20)의 외부를 향하고, 이너 프레임(112)은 본체(20)의 내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별 없이,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각각 지칭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110a)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111b)를 구비한다. 제1개구부(110a)에 도어 윈도우(12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1개구부(110a)는 도어 윈도우홀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11b)에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2개구부(111b)는 디스플레이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개구부(111b)는 제1개구부(11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부(110a)는 아우터 프레임(111)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111a)와 이너 프레임(112)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1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개구부(111b)는 아우터 프레임(111)에 형성된다. 이너 프레임(112)의 후방측 개구(112a) 상에는 연통부(1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112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0)는 제1개구부(110a)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도어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에서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어 프레임(110)에는 터치 센서(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통과 가능한 FPCB홀(111c)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개구부(111b)의 일측에 FPCB홀(111c)이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40)가 결합된다. 도어 커버(14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는 불투광 영역(143)과, 불투광 영역(143) 내에서 제1개구부(110a)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141) 및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광 영역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은 반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과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 커버(140)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어진 벤딩부에 의해 벤딩부 양측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커버(14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 또한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투광 영역(141)이 제1커버부와 벤딩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이 제2커버부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제2투광 영역(142)은 제2개구부(111b)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시 제2개구부(11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구부(111b)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은 제2개구부(11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투광 영역(14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불투광 영역(13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다른 일부를 덮어 가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원형의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원형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132)에 비하여 가격이 높으며, 그 형태상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가 어려워 조립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따르면, 보다 저렴한 비용을 가지며,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132)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원형으로 보이는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제2투광 영역(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감싸지므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외곽 이미지는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은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0)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뿐만 아니라 외곽 이미지도 출력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132)의 일부만 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132)의 전체가 구동되는 앞선 예에 비하여, 디스플레이(132)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140)의 배면도이다.
도어 커버(14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2)는 터치 센서(16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12)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은, 의류처리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의류처리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선택 및 변경은 디스플레이부(12)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또는 터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도어(10)에는 터치 센서(160)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160)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 12)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160)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160)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16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기로 보내진다.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기는, 제어부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제어부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touch), 스와이프 터치(swype touch),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포함하는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제2투광 영역(142)과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은 제2투광 영역(142)뿐만 아니라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까지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이용한 다양한 UI 또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터치 센서(160)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터치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40)와 디스플레이 모듈(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필름으로 기 공지된 ITO 필름(Indium-Tin Oxide film), CNT 필름(Carbon Nano Tube fil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필름이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FF(Glass-Film-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3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필름이 하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1F(Glass-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 커버(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별도의 터치필름 없이 메탈 와이어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직접 패터닝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G2: Glass only)].
또는,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2)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on-cell), 디스플레이(13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cell).
한편, 의류처리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2)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즉,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온/오프, 시각정보나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며, 터치 센서(16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이 필요한 상태와 불필요한 상태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상기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의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는 커버 바디(140a) 및 차폐 레이어(140b)를 포함한다.
커버 바디(140a)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 바디(140a)는 투광성의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140a)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 레이어(140b)는 커버 바디(140a)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한다. 차폐 레이어(140b)는 커버 바디(140a)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가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 인쇄되어 차폐 레이어(140b)를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잉크에는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을 가지는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에는 차폐 레이어(140b)가 미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차폐 레이어(140b)에 의해 덮이지 않고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로 남겨지는 투명한 부분이다.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16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한정하는 차폐 레이어(140b)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 중 제1투광 영역(141)을 한정하는 차폐 레이어(140b)는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투명도가 점차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투광 영역(141)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이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점차 투명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폐 레이어(140b)는 제1투광 영역(141)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140b')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140b')은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제1투광 영역(141)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불투광 영역(143)에서 제1투광 영역(141)까지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제2투광 영역(142)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경계선의 형태로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 차폐 레이어(140b)가 인쇄되는 앞선 제1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2140a)의 후면에 불투광 영역(2143)을 형성하기 위한 필름(2140b)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2140b)은 불투광 영역(2143)에 대응되는 불투광부(2140b3), 제1투광 영역(2141)에 대응되는 제1투광부(2140b1) 및 제2투광 영역(2142)에 대응되는 제2투광부(2140b2)를 포함한다. 불투광부(2140b3)는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는 불투광부(2140b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여기서, 불투광부(2140b3)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 커버(2140)를 불투명하게 하는 차폐 레이어로서 기능하여, 불투광 영역(214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와 함께 각각 제1 및 제2투광 영역(2141, 2142)을 형성한다.
즉, 앞선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1 및 제2투광 영역(2141, 2142)은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에 필름(2140b)의 투명한 부분인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가 각각 배치됨에 의해 형성된다.
제2투광부(2140b2)에 대응되는 필름(2140b)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216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부(2140b2)를 한정하는 불투광부(2140b3)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앞선 제2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3140a)의 후면에 차폐 레이어(3140b)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3140b)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140b)은 불투광 영역(3143)에 대응되는 불투광부(3140b3), 제1투광 영역(3141)에 대응되는 제1홀(3140b1) 및 제2투광 영역(3142)에 대응되는 제2홀(3140b2)을 포함한다. 불투광부(3140b3)는 제1 및 제2홀(3140b1, 3140b2)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홀(3140b1, 2140b2)은 불투광부(3140b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여기서, 불투광부(3140b3)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 커버(3140)를 불투명하게 하는 차폐 레이어로서 기능하여, 불투광 영역(314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3141, 314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홀(3140b1, 2140b2)이 형성되어 필름(3140b)이 미배치되고, 투광성의 커버 바디(3140a)로 남겨진다.
제2투광 영역(3142)에 대응되는 커버 바디(3140a)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316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3160)는 제2홀(3140b2)을 한정하는 불투광부(3140b3)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10)에 터치스크린(12)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어 커버(140)의 제2투광 영역(142)에 터치 센서(160) 및 디스플레이(132)가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32)는 제2투광 영역(142)뿐만 아니라 제2투광 영역(142)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32)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시각정보(132a)를 출력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시각정보(132a)의 일부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가려져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도어 커버(140)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지점과 터치 센서(160)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대응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터치감의 저하를 불러오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고려한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에 대한 보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가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보이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을 앞선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의 배면 상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장착 프레임(131) 및 디스플레이(132)를 포함한다.
장착 프레임(131)은 일면에 디스플레이(132)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디스플레이(132)에 대응된 형태로 장착 프레임(13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여 리세스된 공간이거나, 디스플레이(132)의 둘레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리브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31)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는 장착 프레임(131)에 장착되고, 시각정보(132a)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3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 그 중에서도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서로 다른 장방형의 디스플레이(132)가 사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방형 디스플레이는 원형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저가이고,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꼭지점을 구비,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다름)으로 인하여 장착 프레임(131)에 장착시 정확한 장착 위치를 잡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132)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2)의 가로와 세로 중 짧은 부분의 길이는 제2투광 영역(142)의 지름[만일, 제2투광 영역(142)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제2투광 영역(142)의 장축]보다는 길어야 한다. 상기 조건에 의할 때, 제2투광 영역(142) 전체에 시각정보(132a)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로 장방형의 디스플레이(132)가 사용되지만, 도어 커버(140)에 디스플레이(132)에 오버랩되는 원형의 제2투광 영역(142)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원형의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는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는 상태, 모드 등에 따라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스크린(12)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상태, 모드의 진입, 모드의 진입 해제 등은 사용자의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특정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시각정보(132a)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는 해당 기능과 관련된 모드로 진입하며, 디스플레이(132)에서 상기 모드와 관련된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에는 세탁 행정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픽 객체들 중 "Wool" 및 이와 관련된 기호로 구성되는 그래픽 객체(132a1)에 터치가 가해지면, 의류처리장치(1)는 울세탁 모드로 진입하고, 디스플레이(132)에는 울세탁 모드와 관련된 시각정보(132a)가 출력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는 제2투광 영역(142) 및 불투광 영역(143)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어야, 사용자에게 상기 시각정보(132a)가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다.
제2투광 영역(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감싸지므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132a)가 미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주변 이미지(132b", 도 16의 (b) 참조)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이미지(132b")는 불투광 영역(143)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은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32) 중 불투광 영역(14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132a)뿐만 아니라 주변 이미지(132b")도 출력되지 않는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32)의 일부만 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132)의 전체가 구동되는 앞선 예에 비하여, 디스플레이(132)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일부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위치가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지 않을 경우, 시각정보(132a)의 일부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가려져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132)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10)과 제2투광 영역(142)이 형성되는 도어 커버(140) 간의 조립 공차에 주로 기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132)의 세팅 문제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가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전부 출력되지 못할 경우,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보정[또는 교정(calibration)]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보정을 위한 특정 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모드에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와, 터치 센서 조정 모드가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32) 상의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32) 상의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연동하여 상기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 대한 센싱된 터치 지점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와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 대해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2) 상에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를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를 보인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32) 상의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도어 커버(140)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제2투광 영역(132) 및 불투광 영역(14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디스플레이(132)가 온(ON)인 상태, 예를 들어,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시각정보(132a)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된 상태에서, 도어 커버(140)에 기설정된 터치가 가해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32)가 오프(OFF)인 상태에서는 도어 커버(140)에 기설정된 터치가 가해지더라도,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되지 않는다. 이를 고려하여,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2)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32)가 오프인 상태에 있더라도, 도어 커버(140)에 기설정된 터치가 가해지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2)의 온/오프와 관계없이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132)의 오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132)가 온 상태일 때보다 터치 입력의 감지를 위한 구동 전류가 흐르는 주기가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160)의 구동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 진입되면, 디스플레이(132)에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와 관련된 시각정보(132a)가 출력된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와 관련된 시각정보(132a)에는 상기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 조절과 관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32a2)이 포함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132a2)에 대하여 터치가 가해지면, 이에 대응하여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일부가 좌측의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가려진 경우[즉,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주변 이미지(132b")의 우측 부분이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보이는 경우], "Right 1px"의 그래픽 객체(132a2)에 터치가 가해지면, 시각정보(132a)는 1픽셀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위치를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의 (b) 내지 (d)는 "Right 1px"의 그래픽 객체(132a2)에 대한 복수 회의 터치에 의해, 시각정보(132a)가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도록 보정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 통상의 사용을 위해 예견되는 일반적인 터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되지 않도록,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다양한 터치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60)는 투광 영역 전체와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터치 센서(160)는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제2투광 영역(142) 및 불투광 영역(14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한다. 즉,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구성되거나,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구성되거나, 제2투광 영역(142)과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의 터치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숏 터치, 롱 터치, 멀티 터치, 드래그 터치, 플리크 터치, 핀치-인 터치, 핀치-아웃 터치, 스와이프 터치, 호버링 터치 등)를 포함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2)를 통하여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터치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정된 터치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복수 회의 숏 터치가 될 수 있다. 만일, 복수 회의 숏 터치가 일정 시간 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2투광 영역(142)은 복수의 가상의 영역들(132a3')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터치는 상기 복수의 가상의 영역들(132a3')에 대하여 특정 순서에 따라 인가되는 터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는 이러한 가상의 영역들(132a3')을 구획하기 위한 가상의 분할선(132a3)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정된 터치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 또는 상기 터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터치는 플리크 터치 또는 드래깅 터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플리크 터치와,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플리크 터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일정 시간 내에 플리크 터치들의 조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되는 예들을 보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통하여도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터치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좌측에서 우측로의 플리크 터치와,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플리크 터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후,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숏 터치가 가해지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터치들의 조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 진입된 이후에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변형예들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제2투광 영역(142) 상의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는 플리크 터치 또는 드래깅 터치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의 일부가 좌측의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가려진 경우[즉,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주변 이미지(132b")의 우측 부분이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보이는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시각정보(132a)는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시각정보(132a)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정도는 터치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터치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디스플레이(132) 상에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는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보다 멀리 이동된 위치에 출력되게 된다.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는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와 관련된 가이드 이미지(132a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이미지(132a4)는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 조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는 시각정보(132a)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을 이용하여,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는 상기 시각정보(132a)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 이미지(132a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이미지(132a5)는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경계선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의 각 단에 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가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될 때, 경계 이미지(132a5)는 제2투광 영역(142) 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경계 이미지(132a5)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조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이 제2투광 영역(142)의 중심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의 각 단에 표시된 경계 이미지(132a5)들은 모두 제2투광 영역(142) 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는 제2투광 영역(142)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는 시각정보(132a)의 회전과 관련된 가이드 이미지(132a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이미지(132a4)는 시각정보(132a)의 회전 조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시각정보(132a)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132a4)는, 앞서 설명한 시각정보(132a)의 출력 위치 조절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132a4)와 동일 또는 다른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는 시각정보(132a)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을 이용하여 제2투광 영역(142)의 중심에 대한 시각정보(132a)의 회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좌표축(132a4)을 가이드 라인으로 이용하여 시각정보(132a)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투광 영역 내의 일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시각정보(132a)가 회전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플리크 터치 또는 드래깅 터치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가 제2투광 영역(142)의 중심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좌측)으로 회전된 상태에 놓인 경우,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시계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시각정보(132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시각정보(132a)가 회전되는 정도는 시계 방향으로의 제1지점과 제2지점 간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시각정보(132a)는 보다 많이 회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시각정보(132a)의 이동(상,하,좌,우,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시각정보(132a)의 회전(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은 어느 하나의 보정이 완료된 후, 다른 하나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정보(132a)의 이동과 관련된 보정이 완료된 후에, 시각정보(132a)의 회전과 관련된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각정보(132a)의 이동을 통한 보정과 시각정보(132a)의 회전을 통한 보정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터치 입력의 종류, 방향 등에 의해 시각정보(132a)의 이동 및 시각정보(132a)의 회전과 관련된 보정이 구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시각정보(132a)를 출력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한 처리 방법을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 상태 및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 완료 상태로 나누어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2)에는 시각정보(132a)와 함께 상기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132b')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출력되는 외곽 이미지(132b')는 불투광 영역(143)과는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광 영역(143)이 블랙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때,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출력되는 외곽 이미지(132b')는 레드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외곽 이미지(132b')가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보이는 경우에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시각정보(132a)의 정렬이 완전히 완료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곽 이미지(132b')를 이용하여,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시각정보(132a)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조정이 완료되면(즉,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132)에는 출력 위치가 조절된 시각정보(132a)와 함께 상기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주변 이미지(132b")가 출력된다. 주변 이미지(132b")는 불투광 영역(143)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불투광 영역(143)이 블랙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때, 디스플레이 조정 완료 후 출력되는 주변 이미지(132b")는 블랙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시각정보(132a)의 정렬이 다소 맞지 않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 이미지(132b")가 제2투광 영역(142)을 통하여 노출됨을 인식하기 어렵도록 하여, 보다 심플한 터치스크린(12)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조정이 완료되면[즉,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132)는 시각정보(132a)를 감싸는 부분에 시각정보(132a)가 미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에서 시각정보(132a)가 미출력되는 부분은 블랙 계열의 색상으로 보이게 되며, 이 경우 앞서 설명한 효과와 더불어, 디스플레이(132)의 일부만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160)에 대한 보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 대한 센싱된 터치지점의 상대 위치를 조절 가능한 터치 센서 조정 모드를 보인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132) 상의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지점과 터치 센서(160)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서는, 상기 상대 위치를 보정하여,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지점과 터치 센서(160)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대응 관계를 맞추도록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완료된 이후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 진입되면, 디스플레이(132)에는 그래픽 객체(132a6', 132a6")가 출력된다. 상기 그래픽 객체(132a6', 132a6")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132) 상에서 그래픽 객체(132a6', 132a6")가 출력되는 지점과 상기 터치 센서(160)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 간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상대 위치에 대한 보정을 위하여, 디스플레이(132)에는 터치 센서(160)의 조정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132a6', 132a6")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출력될 수 있다.
도 18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의 정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의 보정을 위한 특정 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모드에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와, 터치 센서 조정 모드가 포함된다.
먼저, 투광 영역 및 불투광 영역(14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특정 모드로 진입된다(S10). 상기 특정 모드는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수행된 이후, 터치 센서 조정 모드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32) 상의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S20, S30).
디스플레이(132)의 조정이 완료되면, 터치 센서 조정 모드로 진입된다.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32) 상의 시각정보(132a)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연동하여 상기 출력되는 시각정보(132a)에 대한 센싱된 터치 지점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S40, S50).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의 조정은 조립 과정 또는 검수 과정에서 수행되고, 조정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재조정을 수행할 필요가 거의 없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의 조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특정 모드로의 진입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의 조정이 완료되면, 터치 센서(160) 중 불투광 영역(143)에 대응되는 부분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S60). 이는 특정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특정 모드로의 진입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특정 모드로의 재진입이 필요할 경우가 있음을 고려하여,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모드로의 재진입이 필요한 경우,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을 통하여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감지를 활성화시킨 후, 투광 영역 및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의 조합으로 상기 특정 모드로 진입하여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의 보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에 의해, 특정 모드로 진입된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제2투광 영역(142) 및 불투광 영역(14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가 가해지면, 의류처리장치(1)는 특정 모드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모드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와 터치 센서 조정 모드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의 각종 세팅과 관련된 세팅 모드, 의류처리장치(1)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업데이트 모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상태 점검과 관련된 체크 모드 등 다양한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불투광 영역(143)의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가 특정 모드에 진입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설정된 터치는 불투광 영역(143) 내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불투광 영역(143)의 좌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복수 회의 숏 터치가 될 수도 있다. 이때, 불투광 영역(143) 내의 제1부분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와 제2부분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는 서로 다른 모드로의 진입을 야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앞서 도 13c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터치는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터치 및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의류처리장치(1)는, 불투광 영역(143)의 제1지점에서 제2투광 영역(142)의 제2지점으로의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졌을 때, 특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1)가 특정 모드에 진입하면, 특정 모드에 대응되도록 시각정보가 변경되어 출력된다. 상기 변경된 시각정보에는 상기 특정 모드의 상세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32a7)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9의 (b)에서는, 특정 모드에 진입하였을 때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32a7)이 출력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32a7)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32a7)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132a7)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본 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관련된 "UPDATE" 그래픽 객체(132a7)가 터치되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Claims (20)

  1.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불투광 영역의 일부 및 상기 투광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도어 커버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도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시각정보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로의 진입은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불투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및 상기 불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시각정보에는 상기 시각정보의 위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시각정보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좌표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좌표축을 이루는 각 축의 양단에는 경계 이미지가 표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좌표축이 상기 투광 영역의 중심에 위치할 때, 상기 경계 이미지는 투광 영역 내에 모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시각정보에는 상기 시각정보의 이동과 관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각정보의 출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각정보의 출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투광 영역 내의 일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는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연속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각정보가 회전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외곽 이미지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시각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주변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주변 이미지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부분에 시각정보를 미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터치 센서 조정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됨에 연동하여, 상기 출력되는 시각정보에 대한 센싱된 터치지점의 상대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조정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정 모드가 완료된 이후에 진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조정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두 개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되며,
    상기 그래픽 객체들에 대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되는 지점과 상기 터치 센서에서 감지하는 터치지점들 간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조정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 중 상기 불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및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 영역 및 상기 불투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기설정된 터치가 가해지면, 특정 모드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불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또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01217A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KR10238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17A KR102385090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17A KR102385090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59A KR20170082059A (ko) 2017-07-13
KR102385090B1 true KR102385090B1 (ko) 2022-04-12

Family

ID=5935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17A KR102385090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0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040A (ko) * 2009-10-05 201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150059504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전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59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66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855495B2 (ja)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衣類処理装置に備えられるドアの製造方法
EP316294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85090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