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884B1 -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 Google Patents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884B1
KR102384884B1 KR1020190144024A KR20190144024A KR102384884B1 KR 102384884 B1 KR102384884 B1 KR 102384884B1 KR 1020190144024 A KR1020190144024 A KR 1020190144024A KR 20190144024 A KR20190144024 A KR 20190144024A KR 102384884 B1 KR102384884 B1 KR 10238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emergency exit
occurrence
emergency
exi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7356A (en
Inventor
정태호
이종훈
정지혜
표경수
김유정
황우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4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884B1/en
Publication of KR2021005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장소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비상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하는 재난 발생 검출부, 상기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는 재난 발생 알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상기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 처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which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pecific place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guides an emergency escape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device comprising: a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the specific location; A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that propagates the disaster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rough a network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are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about the disaster, and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feedback on the notification for emergency evacuation of the user It includes an emergency escape handling unit that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Description

액티브 비상구 장치 {ACTIVE EMERGENCY EXIT DEVICE}Active EMERGENCY EXIT DEVICE

본 발명은 재난 대피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취약계층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재난을 알리고 가장 적절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saster evacua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capable of notifying a disaster through a smart device of a safety-vulnerable class and providing the most appropriate evacuation route.

현재 각종 건물이나 시설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비상 유도 시설은 비상 유도등과 비상 유도 표지판 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들의 주된 기능은 비상 사태 발생시 대피로를 확보하고 탈출구를 표시하여 사람들이 신속 정확하게 탈출 및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최소로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비상구 장치들은 정보를 단순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하여 재난 상황에서 안전취약계층에 적절한 정보를 제시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Emergency guidance facilities currently installed and operated in various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unt for almost all emergency guidance lights and emergency guidance signs. Their main function is to secure an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n emergency and mark the exit, so that people can escape and evacuat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by reducing human casualties to a minimum. However, current emergency exit devices are only at the level of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sent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safety-vulnerable class in a disaster situ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100451(2003.12.30)호는 비상구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나 비상사태 발생시 경보등과 경보음 및 안내방송을 통해 건물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비상구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 유도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100451 (December 30, 2003) relates to an emergency exit guidance system. In the event of a fire or emergency, it provides an alarm, sound, and announcement so that people in a building can quickly evacuate through the emergency exit. An emergency exit guidance system is disclos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100451(2003.12.3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100451 (2003.1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전취약계층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재난을 알리고 가장 적절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capable of notifying a disaster through a smart device of the safety-vulnerable layer and providing the most appropriate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난 발생시 다른 비상구 장치들과 임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재난 발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대피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ropagating a disaster and dynamically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y forming a temporary network with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when a disaster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대피경로를 갱신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capable of updating an evacuation route by dynamically determining an emergency escape direction based on a response feedback periodically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실시예들 중에서, 액티브 비상구 장치는 상기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하는 재난 발생 검출부, 상기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는 재난 발생 알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상기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 처리부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includes a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the specific place, a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for propagating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rough a network, and the disaster occurrenc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n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that is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a feedback on the notification for providing an emergency evacuation of the user.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재난 발생을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a preliminary disaster signal from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installed at the specific location, and a second step of detecting abnormalities in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a plurality of sensors when the preliminary disaster signal is received. a third step of confirming the detection of an abnormality in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when an abnormality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Four steps can be performed.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기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하는 제3 단계,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통해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정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A first step of genera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ors by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a second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a third step of propagat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e Normal pattern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through a fourth step of generating distribution data related to the abnormality detection us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another emergency exit device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learning on the distribution data can create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와 상기 전파를 위한 임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may form a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for the radio wave with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when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is detected.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를 루트 노드로 하는 방사형 트리로서 상기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may form the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as a radial tree with an emergency exit device closest to the disaster occurrence as a root node.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사전 설정된 특정 거리 이내의 알림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로서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상기 특정 장소를 벗어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ergency evacua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an execution cod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response feedback to a user terminal existing in a notification area within a preset specific distance on the condition of receipt confirmation as a message about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until leaving the specific place A notification message can be provided.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상기 응답 피드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알림 영역 내에서의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고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대피경로 상에서 갱신할 수 있다.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dynamically determines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within the notification area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sponse feedback, propagates it to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and updates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received from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on the evacuation route. can do.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동적으로 결정된 상기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비상 탈출맵 상에 출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may output the dynamically determined emergency escape direction on a three-dimensional emergency escape map for the notification area and provide it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장치는 재난 발생시 다른 비상구 장치들과 임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재난 발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대피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opagate the disaster and dynamically determine an evacuation route by forming a temporary network with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when a disaster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대피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pdate an evacuation route by dynamically determining an emergency evacuation direction based on a response feedback periodically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emergency ex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tive emergency exit providing process performed in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ctive emergency exit providing process performed by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shown in FIG. 1 .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emergency exi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외부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ctive emergency exit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a database 150 , and an external system 170 .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ed by a us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조명, 음향, 디스플레이 및 통신 모듈(예를 들어, AP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hat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guides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with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in everyday situations, and a lighting, sound, display and communication module (eg, an AP module) for guiding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 can be implemented.

또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재난 발생시 재난을 알리고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notifying a disaster and providing an evacuation route when a disaster occurs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150 . Meanwhile, unlike FIG. 1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database 150 therein. In addition,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데이터베이스(15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상황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된 응답 피드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난 발생을 알리고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The database 150 may store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response feedback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forms a disaster occurrence and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can be stored.

외부 시스템(170)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을 통해 재난 발생 검출, 알림 및 대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170)은 특정 장소(예를 들어, 영화관, 백화점, 지하철 등)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을 감시하는 재난 감시 시스템 또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The external system 17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detect, notify, and respond to a disaster through interworking. actions can be performed for For example, the external system 170 may correspond to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or a fire monitoring system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a movie theater, a department store, a subway, etc.)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도 2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step in the process in which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operates,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the memory 230 ) can schedule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in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the flow of data therebetween. can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an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access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 재난 발생 알림부(330), 비상 탈출 처리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include a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 a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 an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 and a control unit 370 .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영화관, 백화점, 지하철 등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a specific place.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place, such as a movie theater, a department store, a subway,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to minimize disaster damage by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specific place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재난 발생을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receives a preliminary disaster signal from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installed at a specific place. In the second step of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third step of confirming the detection of anomaly in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and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distribution of abnormality detection and the pre-learned normal pattern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determined A fourth step may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제1 단계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재난 감시 시스템은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구현된 외부 시스템(170)에 해당할 수 있고,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감시하고 재난 발생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전파를 위한 예비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재난 발생 검출 동작의 전단계로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a first step,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receive a preliminary disaster signal from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The disaster monitoring system may correspond to the external system 170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system, and monitor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specific place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preliminary disaster signal for risk propagation when there is a risk of disaster occurrence. ca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receive a preliminary disaster signal from the disaster monitoring system as a pre-step of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operation and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next step.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단계로서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검출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특정 장소에 관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황정보 중에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이상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preliminary disaster signal,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s a second step.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provide context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can create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ccording to whether information out of a normal range exists among the situation information.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제3 단계로서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는 복수의 비상구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고,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주변의 다른 비상구 장치들로부터 이상 검출에 관한 결과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에 관한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자체의 오류로 인해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라면 다른 비상구 장치들에서는 이상 검출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so, as a third step,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check the detection of an abnormality in another emergency exit device when an abnormality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plurality of emergency exit devices may b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receive a result of abnormality detection from other nearby emergency exit devices and perform a comparison operation on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f an abnormality in situ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due to an error i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t is highly likely that abnormal detection does not occur in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By confirming the det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제4 단계로서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재난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검출의 분포는 각 비상구 장치들에서 검출된 이상 유무를 미리 정의된 좌표 공간상에 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정상 패턴은 정상 상황에서 수집된 상황정보를 기초로 도출되는 이상 검출의 분포를 학습하여 생성될 수 있다. 기준값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비상구 장치들로부터 도출되는 이상 검출의 분포가 정상 패턴이 아닐 확률이 높고, 결과적으로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lso, as a fourth step,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distribution of abnormality detection and the pre-learned normal pattern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distribution of abnormality detection may be generated by arran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detected by each emergency exit device on a predefined coordinate space. The normal pattern may be generated by learning the distribution of abnormal detection derived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normal situation.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and when the similari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distribution of abnormality detection derived from emergency exit devices is not a normal pattern, and consequently,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disaster is high. can be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하는 제3 단계,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통해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정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performs a first step of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sensors, a second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ntext information, and a second step of propagat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In step 3, a fourth step of generating distribution data related to anomaly detection us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another emergency exit device, and a fifth step of learning about the distribution data, a normal pattern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abnormality detection is obtained. can create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황정보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되고 특정 장소의 현재 상황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황정보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이상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generat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sensors. That is, the contex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integrating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may include overal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in a specific place.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tect whether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abnormal.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ccording to whether information out of a normal range exists among the situation information.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할 수 있다.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된 이상 검출 결과는 이상 검출의 분포를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분포 데이터는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에 해당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좌표 공간에서 각 비상구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상 유무에 따른 결과가 표시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Also,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propagate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propagated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may be utilized to derive the distribution of abnormality detectio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generate distribution data related to anomaly detection by using an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another emergency exit device. In this case, the generated distribution data may correspond to a distribution related to the detection of an abnormality, and may be expressed in a form in which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emergency exit device in a predefined coordinate space.

마지막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통해 정상 패턴, 즉 정상적인 상황에서 일반적인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검출 결과가 반영되는 이상 검출의 분포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학습을 통해 정상 패턴을 생성하고 재난 발생의 결정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Finally,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learn about distribution data. Accordingly,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derive a normal pattern, that is, a distribution pattern of abnormality detection in which an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generated due to a general error in a normal situation is reflected, through learning on the distribution data. As a result,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may generate a normal pattern through learning about the distribution of abnormal detection and utilize it i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rmination process.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주변 비상구 장치들에게 재난 발생 상황을 전파함으로써 다른 비상구 장치들을 통해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이 병렬적으로 처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may propagat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rough a network.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may induce a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to be processed in parallel through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by disseminating the disaster occurrence situation to nearby emergency exit devices.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다른 비상구 장치와 전파를 위한 임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재난 상황에서 재난 발생을 신속히 전파하기 위하여 비상구 장치들 간에 형성되는 동등 계층 간의 네트워크망에 해당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이 검출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를 중심으로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 및 교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may form a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for propagation with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when a disaster occurrence is detected. The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may correspond to a peer-to-peer network formed between emergency exit devices in order to rapidly propagat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n a disaster situation.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may form a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centering on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in which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has been detected to quickly process data transmission and exchange between devices.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를 루트 노드로 하는 방사형 트리로서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는 재난 발생을 최초로 검출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방사형 트리는 특정 루트 노드를 중심으로 외부로 확장되는 형태의 트리에 해당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상황의 신속한 전파를 위하여 네트워크 구축과 정보 전송에 효과적인 방사형 트리 형태의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may form a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as a radial tree with an emergency exit device closest to the disaster occurrence as a root node. For example, the emergency exit device closest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may correspond to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that firs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lso, the radial tree may correspond to a tree in a form that is extended to the outside around a specific root node.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may form a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in the form of a radial tree that is effective for network construc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rapid propagation of a disaster situation.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에 의해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안전한 장소로의 대피를 위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대피경로로서 지도 상에 이동경로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emergency evacuation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a notification regard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and provide an evacuation route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on the notification for the user's emergency evacuatio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a notification regard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the user terminal 110 when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detected by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and, together with this, an evacuation route for evacuation to a safe place. can provide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an evacuation route by displaying a movement route on a map.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대피경로로서 각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문자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대피경로로서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문자 메시지와 함께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음성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a text message regarding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110 as an evacuation route. Also,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a voice message regarding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along with a text message regarding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as an evacuation route.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사전 설정된 특정 거리 이내의 알림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로서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특정 장소를 벗어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알림 영역은 각 비상구 장치 별로 정의되는 공간으로서 재난 알림을 위한 데이터 전송 가능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평면 상의 2차원 영역 또는 공간 상의 3차원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알림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를 강제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mergency evacuation processing unit 350 periodically provides response feedback to the user terminal 110 existing in the notification area within a preset specific distance, subject to receipt confirmation, as a message about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until leaving the specific place. You can provide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the executable code to be sent to. Here, the notification area is a space defined for each emergency exit device and may correspond to a data transmission available area for disaster notification, and may be defined as a two-dimensional area on a plane or a three-dimensional area on a space.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forcibly transmit a message regard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notification area.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와 함께 주기적인 응답 피드백을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실행코드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백그라운드 앱처럼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고 특정 장소를 벗어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응답 피드백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응답 피드백은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정보, 현재 위치, 이동 경로, 이동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transmit an execution code for transmitting a periodic response feedback together with a notification message regard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this time, the execution code may operate like a background app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when a message is confirmed by the user, it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periodically transmits response feedback until leaving a specific place. . The response feedback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a current location, a moving route, and a moving time.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응답 피드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알림 영역 내에서의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고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상 탈출 방향을 대피경로 상에서 갱신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변화를 추적할 수 있고, 알림 영역 내에서 주기적으로 수신한 복수의 응답 피드백을 이용하여 위치 변화의 흐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각 알림 영역별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정보를 대피경로 상에서 업데이트함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동적으로 결정되는 대피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dynamically determines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within the notification area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sponse feedback, propagates it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and uses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received from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as an evacuation route. can be updated o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track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based on the response feedba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use a plurality of response feedbacks periodically received within the notification area to locate the location. A flow of change can be derived. 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provide the user with an evacuation route that is dynamically determined in a disaster situation by updating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for each notification area received from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on the evacuation route.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동적으로 결정된 비상 탈출 방향을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비상 탈출맵 상에 출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비상 탈출맵은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모델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비상 탈출 방향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비상 탈출맵 상에 비상 탈출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비상 탈출맵 상에 표시되는 비상 탈출 방향은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되는 3차원 객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탈출 방향은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공간 상에서 3차원 화살표 객체로 표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output the dynamically determined emergency escape direction on a three-dimensional emergency escape map related to the notification area and provide it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 Here, the three-dimensional emergency escape map may correspond to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notification area, 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a position at which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confirm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may display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on the emergency escape map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In this case,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displayed on the emergency escape map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disposed on a three-dimensional space. For example, the emergency escape direction may be expressed as a three-dimensional arrow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related to the notification area.

제어부(37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재난 발생 검출부(310), 재난 발생 알림부(330) 및 비상 탈출 처리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and manage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 and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 .

도 4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tive emergency exit providing process performed in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 S410).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알림부(330)를 통해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할 수 있다(단계 S430).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비상 탈출 처리부(3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50).Referring to FIG. 4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step S410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propagate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rough the network through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330 (step S430).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provides a notification regard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and an evacuation that is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for the user's emergency evacuation. A route may be provided (step S450).

도 5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ctive emergency exit providing process performed by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of FIG. 1 .

도 5를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외부 시스템(170)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시스템(170)은 재난 상황을 감시하는 재난 감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재난 발생 검출부(310)를 통해 재난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재난 발생을 다른 비상구 장치(131)들로 전파할 수 있고, 알림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을 알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receive a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from the external system 170 . Here, the external system 170 may correspond to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that monitors a disaster situation. When receiving a preliminary disaster signal,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rough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 When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detected,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propagate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131 and notify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o the user terminal 110 existing in the notification area.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해당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면 응답 피드백이 주기적으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an execution code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response feedback on the condition of acknowledgment of receipt. That is, when the user checks the corresponding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he response feedback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background process on the user terminal 110 . there is.

또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알림 영역에 관한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동적으로 결정된 비상 탈출 방향을 다른 비상구 장치(131)들로 전파할 수 있고, 다른 비상구 장치(131)들로부터 수신된 각 알림 영역별 비상 탈출 방향을 대피경로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대피경로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갱신되는 대피경로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510). 이 때, 대피경로는 각 알림 영역 별로 동적으로 결정된 비상 탈출 방향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dynamically determine an emergency exi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otification area based on a response feedba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can propagate the dynamically determined emergency exit direction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131, and reflect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for each notification area received from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131 in the evacuation route. Can be updated.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may transmit an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may periodically transmit a dynamically updated evacuation route (S510). In this case, the evacuation route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emergency escape directions dynamically determined for each notification area.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액티브 비상구 장치
131: 다른 비상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외부 시스템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재난 발생 검출부 330: 재난 발생 알림부
350: 비상 탈출 처리부 370: 제어부
100: active emergency exit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1: other emergency exit device
150: database 170: external system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disaster detection unit 330: disaster notification unit
350: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70: control unit

Claims (8)

특정 장소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비상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하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
상기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는 재난 발생 알림부(33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상기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 처리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재난 발생을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
An emergency exit devic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pecific place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guide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the emergency exit device comprising:
a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t the specific place;
a disaster notification unit 330 for distributing the disaster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through a network; and
An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350 that provides a notification regarding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and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that is dynam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on the notification for the user's emergency escape; ,
In the first step of receiving the preliminary disaster signal from the disaster monitoring system installed in the specific place, the disaster occurrence detection unit 310 detects abnormalities in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a plurality of sensors when the preliminary disaster signal is received. a second step of, when an abnormality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third step of confirming the detection of an abnormality in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and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and the pre-learned normal pattern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130,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the fourth step of determin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기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하는 제3 단계,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통해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정상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aster detection unit
A first step of generating th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plurality of sensors, a second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context information, a third step of propagat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to other emergency exit devices, and receiving from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and generating a normal pattern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through a fourth step of generating distribution data related to the abnormality detection by us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result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learning on the distribution data A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와 상기 전파를 위한 임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aster occurrence notification unit
and forming a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for the radio wave with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when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is det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를 루트 노드로 하는 방사형 트리로서 상기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aster notification unit
and forming the temporary peer-to-peer network as a radial tree with an emergency exit device closest to the disaster occurrence as a root n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사전 설정된 특정 거리 이내의 알림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로서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상기 특정 장소를 벗어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Providing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an execution cod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response feedback as a message regarding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o a user terminal existing in a notification area within a preset specific distance until leaving the specific place, subject to acknowledgment of receipt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상기 응답 피드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알림 영역 내에서의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고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대피경로 상에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response feedback,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within the notification area is dynamically determined, propagated to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and the emergency exit direction received from the other emergency exit device is updated on the evacuation rout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동적으로 결정된 상기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비상 탈출맵 상에 출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mergency escape processing unit
The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ynamically determined emergency exit direction is outputted on a three-dimensional emergency escape map related to the notification area and provided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KR1020190144024A 2019-11-12 2019-11-12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KR102384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24A KR102384884B1 (en) 2019-11-12 2019-11-12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24A KR102384884B1 (en) 2019-11-12 2019-11-12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56A KR20210057356A (en) 2021-05-21
KR102384884B1 true KR102384884B1 (en) 2022-04-08

Family

ID=7615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24A KR102384884B1 (en) 2019-11-12 2019-11-12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8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48A (en) * 2007-07-20 2009-02-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Evacuation guiding system
JP2012252689A (en) * 2011-05-12 2012-12-20 Hochiki Corp Alarm linkage system, alarm linkage method and alarm device
JP2019096018A (en) * 2017-11-22 2019-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48A (en) * 2007-07-20 2009-02-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Evacuation guiding system
JP2012252689A (en) * 2011-05-12 2012-12-20 Hochiki Corp Alarm linkage system, alarm linkage method and alarm device
JP2019096018A (en) * 2017-11-22 2019-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56A (en)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US20170358188A1 (en) Systems including a smart device for receiving a prerecorded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prerecorded message to a detector
US20230020380A1 (en) Alarm and first respond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20130083224A (en) Intelligent fire alarm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based on fire location information
CN112949790A (en) High-rise fire escape path planning system, method, equipment and medium
WO2023056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robots for perimeter protection
KR102384884B1 (e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KR102518678B1 (en) Digital twin evacuation platform that provides saf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in case of fire or disaster through digital twin
KR202000494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on building
US12009855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202100554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KR102492453B1 (en) Fire receiver and fire extinguish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KR1026285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KR20220085160A (en) Cloud-based disaster detection method and disaster analysis system that performing the same
JP5954731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JP2017199098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702907B1 (en) Apparatus for guding management disaster
KR20150055972A (en) Ship's real time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TRA
KR102430954B1 (en) Route marker device for pedestrian guidance and disaster response method using the same
KR102673088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f gas and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safety of gas
KR102543102B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accident prevention service based on digital twin technology
KR10170291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isasters of earthquake of school building
JP6984946B2 (en) Nod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