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461B1 - 배낭 - Google Patents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461B1
KR102384461B1 KR1020210095740A KR20210095740A KR102384461B1 KR 102384461 B1 KR102384461 B1 KR 102384461B1 KR 1020210095740 A KR1020210095740 A KR 1020210095740A KR 20210095740 A KR20210095740 A KR 20210095740A KR 102384461 B1 KR102384461 B1 KR 10238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pole
fixing
back plate
p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환
Original Assignee
유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환 filed Critical 유태환
Priority to KR102021009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61B1/ko
Priority to PCT/KR2022/001100 priority patent/WO202327728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0Pack-frames carried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에 수용되는 물품 등을 배낭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물품의 부피나 하중이 클 경우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낭(600)은 배낭 등판(615)의 양측에 어깨끈(630,630)을 구비하는 배낭부재(610,620)와, 상기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벨트(658,671,672)와, 상기 배낭부재가 어깨로 부터 처지지 않도록 상기 배낭을 고박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615)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다수의 폴대(710,720,730,740,770) 내에 신축부재(790)가 끼워져 상기 각 폴대를 일체로 탄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된 폴대에는 적어도 상기 배낭의 벨트가 지지되는 1곳 이상의 벨트 지지구(751,76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낭{BACKPACK}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배낭에 수용되는 물품 등을 배낭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물품의 부피나 하중이 클 경우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고박할 수 있는 배낭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담아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낭은,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그 용도 및 형태가 다양화 되고 있다.
한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에 기재된 종래 배낭(500)은 도 1과 같이 양측에 어깨끈(530)을 구비하는 제1 배낭부재(510)와, 상기 제1 배낭부재 배면에 구성되는 제2 배낭부재(520)와,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의 저면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고정되는 보조적재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배낭부재(510)와 상기 제2 배낭부재(520)의 양측부를 서로 결합하는 버클(550)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적재부(540)는 적어도 하부가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의 외부로 상시 노출되고, 그 보조적재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끈 유도로(541a,542a)에 끼워진 노끈(541,542)의 양단을 잡아당겨 상기 보조적재부의 폭을 콤팩트하게 축소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노끈 유도로에 끼워진 노끈의 양단을 잡아당겨 상기 보조적재부의 폭이 임의의 폭이 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펼침 가능하며 상기 노끈에 의하여 임의의 폭으로 고정된 보조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하였을 때 상기 배낭의 무게 중심이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511,521은 슬라이드파스너이고, 512,522은 배낭의 수납부재(수납공간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배낭(500)은 보조적재부에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 어깨에 멘 배낭이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낭의 수납공간부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이즈가 큰 물품을 배낭에 적재하거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경우 그 적재 물품이나 부상자를 간편하게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고,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배낭은, 배낭 등판의 양측에 어깨끈을 구비하는 배낭부재와, 상기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배낭부재가 어깨로 부터 처지지 않도록 상기 배낭을 고박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다수의 폴대 내에 신축부재가 끼워져 상기 각 폴대를 일체로 탄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된 폴대에는 적어도 상기 배낭의 벨트가 지지되는 1곳 이상의 벨트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축부재는 고무줄 이나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낭의 등판 양측에는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의 일부 폴대가 수용되는 폴대 고정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폴대 고정수단은 상기 폴대의 일부를 억지끼움할 수 있는 일자형의 주머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폴대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폴대에는 상기 배낭 이용자의 머리 받침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낭의 고박수단은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다수의 폴대 내에 신축부재가 끼워져 각 폴대를 일체로 탄지하도록 구성되고,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된 폴대에는 적어도 배낭에 구성된 물품 고정용 벨트가 지지되는 1곳 이상의 벨트 지지구를 구비함으로써, 사이즈가 큰 물품을 배낭에 적재하거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경우 그 적재 물품이나 부상자를 간편하게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고,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배낭의 고박수단은 다수의 폴대를 신축부재로 연결하여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박수단의 설치,분리가 쉽고, 분리 후에는 고박수단을 구성하는 일부 폴대 등의 부품을 분실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낭의 한 예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낭을 뒤쪽 우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낭을 뒤쪽 좌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낭을 앞쪽 우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적재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낭에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배낭에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이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적재부에 적재되는 물품을 고정하는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허리지지대 및 등지지대 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를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의 덮개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배낭부재에 구성된 수납공간부의 이용 상태로 배낭을 어깨에 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고박용 돌출프레임에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6은 도 15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배낭에 있어서 제2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와 보조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어깨에 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고박용 돌출프레임에 다른 예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8은 도 17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배낭에 있어서 제2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와 보조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어깨에 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고박용 돌출프레임에 또 다른 예의 머리 받침대가 구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배낭의 기술구성 및 작용은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낭(600)은 도 2, 도 3, 도 4, 도 5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 제1 배낭부재의 등판(615)에 구성되는 한쌍의 어깨끈(630), 상기 제1 배낭부재와 제2 배낭부재의 저면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조적재부(640)로 이루어진다.
제1 배낭부재(610)는 파스너(611) 등에 의하여 개방이 가능한 수납공간부(612)가 구성된다. 상기 제1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612)에 구성되는 파스너(611)는 수납공간부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구성되어야 보조적재부의 사용에 관계 없이 상기 제1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612)에 물품을 용이하게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다. 제1 배낭부재(610)의 하단 양측면에는 물품을 외측에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 주머니(619)가 구성된다.
또, 제1 배낭(610)의 어깨끈(630,630)이 구성된 등판(615) 상측에서 중앙부에 걸쳐 양쪽으로 어깨지지대(641,642)가 고정된다. 제1 배낭부재(610)의 어깨끈(630,630)이 구성된 등판 하측에는 도 9와 같이 허리지지대(650)가 등판(615)으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허리지지대를(650)를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배낭부재(610)의 등판(615) 중앙과 허리지지대(650)의 배면에는 벨크로(650a,650b)가 각각 구성된다.
허리지지대(650)의 중앙에는 제1 배낭부재(610)의 등판(615)에 고정된 허리지지벨트(656)를 끼워 체결할 수 있도록 허리지지벨트 고정구(657)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된다. 상기 허리지지대(650)의 중앙에는 등지지대(655)가 구성된다.
또,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 사이에는 보조적재부(640)가 구성된다. 이 보조적재부(640)는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양쪽 하단부에 재봉이나 별도의 힌지(도시생략)를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보조적재부(640)는 표면이 노출가능한 상태에서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보조적재부(640)는 정해진 폭 범위 내에서 그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선등록 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에 기재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적재부(640)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2883호에 기재된 구조 외에 도 5와 같이 중앙부(점선 표시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쌍의 얇은 패널(640a,640b)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적재부를 구성하는 얇은 패널(640a,640b)은 접혀혔을 때 그 접힌 위치가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으로 접혀 포개질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도 5의 구조를 보면 보조적재부(640)가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하측 끝단에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다.
보조적재부(640)의 고정 위치는 도 5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적재부(640)에 물품을 적재하였을 때 그 보조적재부가 물품 하중의 영향으로 아래 방향으로 처져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하단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감안하여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상측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보조적재부(64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의 고정은 도 5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에 구성된 다수의 보조 고정벨트(658)와, 상기 보조 고정벨트(658)에 대응하여 제2 배낭부재(610)에 구성된 다수의 버클(659)을 서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보조 고정벨트(658)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적재부(64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 배낭부재(610)와 제2 배낭부재(620)를 서로 고정하는 다른 방법은 도 12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 테두리(610b)와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 테두리(620b) 부분에 파스너(631)를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671,672)는 보조적재부(640)에 물품을 적재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671,672)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 배낭부재(610)의 등판(615)과 보조적재부(640) 하측,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 내측을 거치도록 배치된다. 즉, 보조적재부(640)에 적재되는 물품을 제1 배낭부재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 보조적재부(640) 사이에서 완전히 감싸 제1 배낭부재(610)에 고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배낭(600)은 도 5와 같이 상기 보조적재부(6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의 테두리(610b)와, 상기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의 테두리(620b)에 U자형의 탄성봉(680,690)이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U자형의 탄성봉은 강철로 구성하는 경우 지름이 3mm 정도면 충분하지만 배낭의 사이즈나 강도에 따라 3~10mm범위 내의 지름을 갖는 강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은 직물, 부직포, 가죽 등 얇고 가변운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을 구성하는 재질은 얇고 가변운 것을 사용하더라도 U자형의 탄성봉(680,690)이 제1 배낭부재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을 외측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하여 평탄하게 잡아당기므로 제1 배낭부재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이 항상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품의 적재로 인하여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의 형상이 일시적으로 변형되더라도 물품이 제거된 후에는 곧바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낭의 본래 모습을 유지하는 장점이있다. 또, 상기 제1 배낭부재(610)의 배면(610a)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을 두꺼운 패널 등의 재질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낭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 도 5 및 도 9와 같이 배낭의 등판(615)에 고정되어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으로 이루어진 고박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고박수단을 구성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상기 배낭의 등판(615) 양쪽에 프레임(710,720, 730,740)을 길게 억지끼움하여 등판(615)에 고정할 수 있는 주머니형 홈(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상기 주머니형 홈에 착탈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 배낭부재 및 제2 배낭부재에 적재되는 물품의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커서 배낭이 처지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한 예로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이 양측에 일자로 세워지는 좌,우측 폴대(710,720,730,740)와 최상단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가로 폴대(770)와,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좌,우측 폴대(710,730) 상단 또는 가로 폴대(770)에 제1 배낭부재 및 제2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보조적재용 메인 고정벨트(671)와 보조 고정벨트(658) 중 선택되는 벨트가 지지되는 벨트 지지구(751,761)가 1곳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 지지구(751,761)는 가로 폴대(770) 및 좌우측 폴대(710,730)를 고정하기 위한 폴대 결합뭉치(750,760)에 구성될 수 있다.
우측 폴대(710,720)는 우측 폴대(720)에 형성된 폴대 이음구(705)를 우측 폴대(710)를 끼워 서로 결합되고, 좌측 폴대(730,740)는 마주하는 단부에 폴대 이음구(706)를 끼워 서로 결합된다.
우측의 폴대 결합뭉치(750)와 우측의 폴대(710)는 양쪽 단부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되고, 좌측의 폴대 결합뭉치(760)와 좌측의 폴대(730)는 양쪽 단부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된다.
가로 폴대(770)는 양쪽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폴대 결합뭉치(750)의 나사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상기 각 폴대 내에 고무줄(790) 이나 인장스프링 등의 신축부재가 끼워져 상기 각 폴대를 일체로 탄지하도록 구성되고, 고무줄(790)의 양 끝단은 고무줄 지지구(725,745)에 고정된다.
상기 고무줄 지지구(725,745)는 폴대(720,740)의 단부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폴대 내에 고무줄(790) 등의 신축부재를 끼워 상기 각 폴대를 일체로 탄지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배낭으로부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을 분리하여 해체하였을 때 배낭에 넣어 보관이 가능한 정도로 부피를 작게할 수 있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배낭부재(620)는 파스너(621) 등에 의하여 개방이 가능한 덮개부재(625)를 구비하는 수납공간부(622)가 구성된다. 상기 제2 배낭부재의 수납공간부(622)에 구성되는 파스너(621)는 수납공간부 앞쪽 가장자리 쪽을 따라 구성한다. 즉, 파스너(621)를 이동시켜 덮개부재(625)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의 앞면 전체가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제2 배낭부재(620)에 구성되는 수납공간부(622)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은 도 10 및 도 1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납공간부(622)는,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베이스부재)에 적어도 일단이 고정되어 펼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칸막이패드(320)와,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상하면에 고정되어 펼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는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의 베이스부재의 중앙부에 일측 단면을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상하측으로 회전시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조 칸막이패드(331)는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상측 중앙부에 일측 단면을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좌우측으로 회전시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조 칸막이패드(332)는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하측 중앙부에 일측 단면을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좌우측으로 회전시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메인 칸막이패드(320)의 상하측에 구성된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회전시켜 접은 후 메인 칸막이패드(320)를 제2 배낭부재(620)의 전면(620a)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의 베이스부재 쪽으로 접으면 도 10과 같은 구조가 된다.
도 10의 상태에서 메인 칸막이패드(320)를 90도 회전시켜 펼친 후 상하측의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좌우측으로 90도 회전시켜 펼치면 도 11과 같은 구조로 수납공간부(622)가 복수의 소형 수납공간부(622a,622b,622c,622d)로 구획된다.
소형 수납공간부(622a,622b,622c,622d)로 구획하기 위해 메인 칸막이패드(320)와 보조 칸막이패드(331,332)를 펼친 후에는 보조 칸막이패드(331,332)의 일측 단부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제2 배낭부재의 전면(620a)과 일체로 구성되는 배면부)와 만나는 당접부는 도시되지 않은 벨크로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 및 보조 칸막이패드(331,332)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를 둘러싸는 수납공간부(622)의 상하측부재(351,352)와 좌우측부재(361,362)와 만나는 당접부도 도시되지 않은 벨크로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납공간부(622)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는 제1 배낭부재(620)가 콤팩트한 구조를 갖도록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힌다. 반으로 접힌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는 도 12, 도 13과 같이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에 구성된 벨크로(335)를 이용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칸막이패드(320)는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에 재봉 등에 의하여 펼침 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메인 칸막이패드(320) 및 보조 칸막이패드(331,332)의 분실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 메인 칸막이패드(320) 및 보조 칸막이패드(331,332)의 펼침 및 접힘이 매우 간단하다.
배낭의 수납공간부(622)를 이용할 때는 벨크로(335)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를 펼치면 된다.
상기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는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드들이 구성되어 그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 예로 천으로 구성되는 상측부재(351)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51a,351b)가 구성되고, 하측부재(352)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52a,352b)가 구성되고, 좌측부재(361)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61a,361b)가 구성되고, 우측부재(362) 내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패드(362a,362b)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 등으로 구성되는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 내에 한쌍의 지지패드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는 지지패드가 마주하는 경계부분을 기준으로 반으로 쉽게 접힐 수 있도로 틀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2 배낭부재(620)를 콤팩트하게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620a의 배면부)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수납공간부(622)를 사용할 때는 수납공간부(622)가 쉽게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접혀 수납공간부의 베이스부재 쪽으로 밀착된 후에는 벌어지지 않도록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의 표면에 구성된 다수의 벨크로(335)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지지패드는 상하측부재(351,352) 및 좌우측부재(361,362)가 반으로 접혔을 때 서로 접촉하거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하측부재(351,352)의 각 지지패드(351a,351b,352a,352b)의 양단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되어 제거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수납공간부(622)에 구성되는 메인 칸막이패드(320)가 베이스부재의 중앙에 1개만 구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메인 칸막이패드(320)를 배낭의 사이즈에 따라 상하로 복수개 구성하여 소형 수납공간의 수를 확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낭(600)은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에 물품을 넣어 사용하는 상태로 배낭을 꾸려 어깨에 메면 도 14와 같은 구조가 된다. 물론 도 14는 제2 배낭부재(620)의 수납공간부(622)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낭의 적재 중량이 적어 배낭이 처질 염려가 없을 경우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을 배낭으로터 분리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고박수단을 구성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700)은 도 7 및 도 8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 도 16, 도 17, 도 18과 같이 배낭의 상부로 돌출된 가로 폴대(770)에 다양한 구조의 머리 받침대(800)를 설치하여 배낭 이용자의 머리나 목을 받쳐줄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머리 받침대(800)가 설치되는 가로 폴대(770)는 도 19와 같이 본 발명의 고박수단에서 제외될 수 있고, 머리 받침대(800)는 상측의 우측 폴대(710), 상측의 좌측 폴대(730)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향한 구조의 머리 받침대(800)는 부피, 중량 등을 감안하여 공기주입식 튜브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배낭(600)은 상기 예시된 도면 구조 및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낭에 수용되는 물품 등을 배낭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물품의 부피나 하중이 클 경우 배낭이 처지지 않도록 고박하는데 이용된다.
320 - 메인 칸막이패드
331,332 - 보조 칸막이패드
335,650a,650b - 벨크로
351 - 상측부재
351a,351b - 상측부재의 지지패드
352 - 하측부재
352a,352b - 하측부재의 지지패드
361 - 좌측부재
361a,361b - 좌측부재의 지지패드
362 - 우측부재
362a,362b - 우측부재의 지지패드
500,600 - 배낭
510,610 - 제1 배낭부재
511,521,611,621,631 - 파스너
512,522,612,622 - 수납공간부
622a,622b,622c,622d - 소형 수납공간부
520,620 - 제2 배낭부재
530,630 - 어깨끈
540,640 - 보조적재부
550,659 - 버클
610a - 제1 배낭부재의 배면
610b - 제1 배낭부재의 배면의 테두리
615 - 등판
619 - 보조 주머니
620a - 제2 배낭부재의 전면
620b - 제2 배낭부재의 전면의 테두리
641,642 - 어깨지지대
640a,640b - 보조적재부의 패널
650 - 허리지지대
655 - 등지지대
656 - 허리지지벨트
657 - 허리지지벨트 고정구
658 - 보조 고정벨트
671,672 - 보조적재부용 메인 고정벨트
680,690 - U자형 탄성봉
700 - 고박용 돌출프레임
750,760 - 폴대 결합뭉치.
751,761 - 벨트 지지구
800 - 머리 받침대

Claims (7)

  1. 배낭 등판의 양측에 어깨끈을 구비하는 배낭부재와, 상기 배낭부재를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배낭부재가 어깨로 부터 처지지 않도록 상기 배낭을 고박하는 고박수단을 구비하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고박수단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고정되어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되는 고박용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다수의 폴대 내에 신축부재가 끼워져 상기 각 폴대를 일체로 탄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낭의 상측으로 노출된 폴대에는 적어도 상기 배낭의 벨트가 지지되는 1곳 이상의 벨트 지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신축부재의 양단은 상기 다수의 폴대 중 그 신축부재의 양쪽 끝단에 위치하는 폴대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폴대는 상기 배낭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신축부재가 끼워져 일체로 링크된 상태에서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은 상기 배낭의 등판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고무줄 또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낭의 등판 양측에는 상기 고박용 돌출프레임의 일부 폴대가 수용되는 폴대 고정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 고정수단은 상기 폴대의 일부를 억지끼움할 수 있는 일자형의 주머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에는 상기 배낭 이용자의 머리 받침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KR1020210095740A 2021-07-01 2021-07-21 배낭 KR10238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40A KR102384461B1 (ko) 2021-07-21 2021-07-21 배낭
PCT/KR2022/001100 WO2023277288A1 (ko) 2021-07-01 2022-01-21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40A KR102384461B1 (ko) 2021-07-21 2021-07-21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461B1 true KR102384461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40A KR102384461B1 (ko) 2021-07-01 2021-07-21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4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174B1 (ko) * 2014-05-26 2015-05-18 주식회사 블랙야크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KR101644026B1 (ko) * 2015-07-17 2016-07-29 김성준 우산 내장형 배낭
KR20180110750A (ko) * 2017-03-30 2018-10-11 한인석 다기능 배낭
KR102162883B1 (ko) 2020-01-21 2020-10-07 유태환 배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174B1 (ko) * 2014-05-26 2015-05-18 주식회사 블랙야크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KR101644026B1 (ko) * 2015-07-17 2016-07-29 김성준 우산 내장형 배낭
KR20180110750A (ko) * 2017-03-30 2018-10-11 한인석 다기능 배낭
KR102162883B1 (ko) 2020-01-21 2020-10-07 유태환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292B1 (ko) 배낭
US6651853B2 (en) Backpack frame, suspension, seat and cot
US6179175B1 (en) Child's knapsack harnes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6533150B1 (en) Multipurpose adjustable portable carry pouch
US9320341B2 (en) Interior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4884731A (en) Backpack with detachable auxiliary packs
KR102162883B1 (ko) 배낭
US4817791A (en) Combination suitcase-garment bag
US4466124A (en) Backpack and sleeping bag system
US10021949B2 (en) Collapsible travel neck support tube
US3860157A (en) Back pack and frame
US6135334A (en) Backpack attachment device
KR20000075957A (ko) 배낭이 달린 의자
US4327852A (en) Backpack harness
US9700124B2 (en) Article carrier
US4574990A (en) Carrier and bag attachment for folding stools
US20110017793A1 (en) Adaptable wearable flexible tubular carrier and travel pillow
US20130043292A1 (en) Load management system for backpacks and other wearable packs with shoulder straps
KR102342208B1 (ko) 배낭
US4244499A (en) Foldable pack belt
US4327853A (en) Foldable pack belt
KR102384461B1 (ko) 배낭
US4809896A (en) Backpack harness
KR102380967B1 (ko) 배낭
KR20230170369A (ko) 들것 기능을 구비하는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