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020B1 - 기능성 팬티 - Google Patents

기능성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020B1
KR102384020B1 KR1020210154148A KR20210154148A KR102384020B1 KR 102384020 B1 KR102384020 B1 KR 102384020B1 KR 1020210154148 A KR1020210154148 A KR 1020210154148A KR 20210154148 A KR20210154148 A KR 20210154148A KR 102384020 B1 KR102384020 B1 KR 10238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crotum
user
cover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은
Original Assignee
김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은 filed Critical 김제은
Priority to KR102021015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본체의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기능성 팬티로서, 본체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통로와, 상부 몸체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하부 몸체가 상기 통로를 전방을 커버하는 덮개부와, 하부 몸체의 후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통로를 통과한 사용자의 음경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음경 수용부와, 전단이 하부 몸체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후단이 통로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낭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음낭 지지부 및, 덮개부를 기준으로 음낭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덮개부의 전후로 관통되어 통로와 음낭 지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통기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팬티{FUNCTIONAL PANTY}
본 발명은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경과 음낭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습기 발생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낭을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팬티는 삼각팬티와 트렁크로 일컬어지는 사각팬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근래에 들어 위생과 건강 및 패션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남성용 기능성 팬티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기능성 팬티 중에는 음낭을 분리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음경과 음낭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팬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팬티는 음경과 음낭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종래의 기능성 팬티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음낭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음낭 수용부 등으로 구성되며, 기능성 팬티를 착용한 사용자의 음낭이 음낭 수용부의 내부에 분리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기능성 팬티는 음경을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사용자가 활동시 음낭과 음경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었고, 음경과 음낭의 접촉시 발생하는 낭습에 의해 가려움, 냄새, 땀띠, 백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음낭 수용부의 내부에 음낭이 수용된 상태로 착용되므로 음낭을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8575호(2015년 08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경과 음낭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습기 발생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낭을 적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팬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는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기능성 팬티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통로와, 상부 몸체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하부 몸체가 상기 통로를 전방을 커버하는 덮개부와, 상기 하부 몸체의 후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한 사용자의 음경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음경 수용부와, 전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통로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낭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음낭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음낭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후로 관통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음낭 지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경 수용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1메쉬홀 및, 상기 음낭 지지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음낭 지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2메쉬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통로는 하방이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통로와 연통되고, 상방이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는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착용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음낭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후로 관통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덮개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보조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경과 음낭이 분리 수용되므로 음경과 음낭에 습기가 차지 않아 가려움, 냄새, 땀띠, 백선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사용자의 음낭을 적정 온도(33.5도 등)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음낭 지지부가 사용자의 음낭과 대응하는 형태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착용감과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보조 통기홀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보조 통기홀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덮개 밴드부와 신축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덮개 밴드부와 신축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보조 통기홀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보조 통기홀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덮개 밴드부와 신축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덮개 밴드부와 신축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는 착용공간(11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본체(100)의 하부에 한 쌍의 삽입부(120)가 형성되는 기능성 팬티로서, 통로(200)과, 덮개부(300)와, 음경 수용부(400)와, 음낭 지지부(500) 및, 한 쌍의 통기홀(6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사용자(10)의 인체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신축 가능한 섬유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기 위한 띠 형상의 허리 밴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20)는 사용자(10)의 다리가 각각 통과되도록 본체(100)의 양측 하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10)가 본체(10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10)의 음경(20)과 음낭(30)이 삽입부(120)들의 사이에 위치된다.
통로(200)는 본체(100)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어 착용공간(110) 내에 위치한 사용자(10)의 음경(20)과 음낭(30)을 본체(1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며, 통로(200)의 전방은 후술될 덮개부(300)에 의해 커버된다. 여기서 통로(200)의 형상과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덮개부(300)는 본체(100)의 전면에서 사용자의 음경(20)와 음낭(30)을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부(300)는 통로(20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300)는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봉재 등)되는 상부 몸체(310) 및, 상부 몸체(3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몸체(32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는 통로(2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몸체(310)는 양측이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재봉 등)되고, 상부 몸체(310)의 후면은 본체(10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사용자의 음경(20)을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몸체(320)는 상단이 상부 몸체(31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 몸체(320)는 통기홀(20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320)는 통기홀(200)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거나, 통기홀(200)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 몸체(320)는 본체(100)의 전면과 분리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하부 몸체(320)의 후면과 본체(10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공기가 소통될 수 있고, 외부의 공기와 착용공간(110)의 공기가 통로(200)를 통해 소통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310)와 덮개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통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통로(330)의 하부는 수용공간(410) 및 통로(200)과 연통되고, 보조 통로(330)의 상부는 상부 몸체(310)와 본체(100)의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개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경우 보조 통로(330)를 통해 음경(20)을 통과시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사용자(10)는 본체(100)의 상단을 내리지 않고도 용이하게 소변을 볼 수 있다.
한편, 상부 몸체(310)의 상단에는 도 7과 8에서처럼 덮개 밴드부(3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덮개 밴드부(340)는 상부 몸체(310)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부 몸체(310)의 상단이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즉, 덮개 밴드부(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몸체(310)의 상단이 본체(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보조 통로(330)의 출구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조 통로(330)의 상부를 통해 음경(20)을 노출시키는 경우, 덮개 밴드부(340)의 길이가 신장되므로 보조 통로(330)의 출구를 넓게 확장시킬 수 있다.
음경 수용부(400)는 사용자의 음경(2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몸체(320)의 후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통로(200)을 통과한 사용자(10)의 음경(20)이 상방을 통해 내부에 삽입되도록 수용공간(410)이 상부로 개방되며, 수용공간(410)의 상부는 통로를 통해 착용공간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음경 수용부(400)는 양측단과 하측단이 상부 몸체(110)의 후면에 결합(봉재 등)될 수 있고, 음경 수용부(400)의 상단이 상부 몸체(310)의 후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410)은 상부로 개방되므로 본체(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통로(200)을 통해 음경 수용부(400)의 수용공간(410)으로 음경(20)을 삽입시킬 수 있고, 수용공간(410)의 상부는 통로(200)을 통해 착용공간(101)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음경 수용부(400)의 상단은 사용자의 음경(20)을 수용공간(410)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부로 오목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음경(20)을 수용공간(410)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음낭(30)은 통로(200)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사용자(10)의 음경(20)과 음낭(30)은 음경 수용부(400)에 의해 상호 구획되므로 서로 접하지 않게 되고, 음경(20)과 음낭(30)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음경(20)과 음낭(30) 사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음경 수용부(400)에는 수용공간(410)과 통로(200)을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메쉬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쉬홀(420)은 공기가 소통되도록 수용공간(410)과 후술될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 안착공간으로 관통될 수 있다.
즉, 제1메쉬홀(420)은 수용공간(410)과 후술될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 안착공간을 연통시키므로, 수용공간(410)에 위치된 음경(20)과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에 지지된 음낭(3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낭 지지부(500)는 사용자(10)의 음낭(30)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단이 하부 몸체(3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후단이 통로(200)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사용자(10)의 음낭(30)을 하방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음낭 지지부(500)는 사용자의 음낭(30)을 하방에서 감쌀 수 있도록 상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공간은 음낭(30)과 대응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낭 지지부(500)에는 상부의 안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메쉬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메쉬홀(510)은 공기가 소통되도록 음낭 지지부(500)의 양면으로 관통될 수 있다. 즉 제2메쉬홀(510)은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 안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므로, 안착공간에 위치된 음낭(3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기홀(600)은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 안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덮개부(300)를 기준으로 음낭 지지부(5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덮개부(300)의 전후로 관통되어 통로(200)과 덮개부(30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여기서, 통기홀(600)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보조 통기홀(70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통기홀(600)의 가장자리는 봉재 등의 방식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체(10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낭(30)이 음낭 지지부(500)에 지지되고, 음낭(30)의 일부분이 통기홀(6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통기홀(600)의 폭방향은 사용자(10)의 음낭(3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통기홀(600)을 통해 공기가 소통되므로,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에 지지된 음낭(3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0)를 기준으로 음낭 지지부(5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덮개부(300)의 전후로 관통되어 통로(200)과 덮개부(30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보조 통기홀(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통기홀(700)은 도 7과 8에서처럼 통기홀(6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통기홀(600)의 측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통기홀(700)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보조 통기홀(70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보조 통기홀(700)의 가장자리는 봉재 등의 방식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체(10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낭(30)이 음낭 지지부(500)에 지지되고, 음낭(30)의 일부분이 보조 통기홀(7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보조 통기홀(700)의 폭방향은 사용자(10)의 음낭(3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통기홀(700)을 통해 공기가 소통되므로,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에 지지된 음낭(3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팬티는 도 7과 8에서처럼 음낭 지지부(500)의 하부는 절개부(50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고, 절개부(501)에는 신축부재(520)가 결합될 수 있다.
절개부(501)는 신축부재(52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양측이 통기홀(600)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고, 절개부(501)에 의해 통기홀(600)의 마주하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으며, 절개부(501)를 기준으로 음낭 지지부(500)의 하면이 전후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신축부재(520)는 절개부(501)에 대응되는 형상을 결합되는 것으로, 신축부재(520)의 전단이 절개부(501)의 전단에 결합되고, 신축부재(520)의 후단이 절개부(501)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통기홀(600)들의 마주하는 일측이 신축부재(520)의 양측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부재(52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탄성 밴드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체(10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낭(30)이 음낭 지지부(500)에 지지되고, 음낭 지지부(50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신축부재(520)가 전후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신축부재(5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음낭 지지부(500)의 하면이 음낭(30)의 하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사용자가 활동시 음낭(30)이 과도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낭 지지부(500)의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신축부재(520)의 폭이 가변되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음낭(30)을 대응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고, 음낭 지지부(500)가 사용자의 음낭(30)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10)의 음경(20)과 음낭(30)이 분리 수용되므로 음경(20)과 음낭(30)에 습기가 차지 않아 가려움, 냄새, 땀띠, 백선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사용자의 음낭(30)을 적정 온도(33.5도 등)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음낭 지지부(500)가 사용자의 음낭(30)과 대응하는 형태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착용감과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덮개 밴드부(340)에 의해 상부 몸체(310)의 상단이 본체(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보조 통로(330)의 출구가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20: 음경
30: 음낭 100: 본체
110: 착용공간 120: 삽입부
130: 허리 밴드부 200: 통로
300: 덮개부 310: 상부 몸체
320: 하부 몸체 330: 보조 통로
340: 덮개 밴드부 400: 음경 수용부
410: 수용공간 420: 제1메쉬홀
500: 음낭 지지부 501: 절개부
510: 제2메쉬홀 520: 신축부재
600: 통기홀 700: 보조 통기홀

Claims (5)

  1.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기능성 팬티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는 통로;
    상부 몸체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하부 몸체가 상기 통로를 전방을 커버하는 덮개부;
    상기 하부 몸체의 후면에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한 사용자의 음경이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음경 수용부;
    전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통로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낭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음낭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음낭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후로 관통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음낭 지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통기홀;을 포함하되,
    상기 음낭 지지부는 사용자의 음낭을 하방에서 감쌀 수 있도록 상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은 음낭과 대응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음경 수용부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1메쉬홀 및,
    상기 음낭 지지부의 양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공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통로와 상기 음낭 지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2메쉬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기홀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팬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통로는 하방이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통로와 연통되고, 상방이 상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팬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는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착용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팬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음낭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전후로 관통되어 상기 통로와 상기 덮개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보조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팬티.
KR1020210154148A 2021-11-10 2021-11-10 기능성 팬티 KR10238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48A KR102384020B1 (ko) 2021-11-10 2021-11-10 기능성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48A KR102384020B1 (ko) 2021-11-10 2021-11-10 기능성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020B1 true KR102384020B1 (ko) 2022-04-08

Family

ID=8118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48A KR102384020B1 (ko) 2021-11-10 2021-11-10 기능성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03U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코앤컴 허리밴드를 구비한 팬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14U (ko) * 1996-06-14 1998-03-30 최도환 팬티
KR200224678Y1 (ko) * 2000-11-11 2001-05-15 임채철 남성의 국부 보호용 팬티
US20040154078A1 (en) * 2002-12-30 2004-08-12 Yvan Auger Men's sports brief
KR200400989Y1 (ko) * 2005-08-08 2005-11-15 진성복 남성용 건강 팬티
KR20130103032A (ko) * 2012-03-09 2013-09-23 임채철 남성용 국부 단련 팬티
KR200475692Y1 (ko) * 2014-08-08 2014-12-2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KR20150003114U (ko) * 2014-02-07 2015-08-18 이승헌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180000457U (ko) * 2016-08-05 2018-02-19 휠라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팬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14U (ko) * 1996-06-14 1998-03-30 최도환 팬티
KR200224678Y1 (ko) * 2000-11-11 2001-05-15 임채철 남성의 국부 보호용 팬티
US20040154078A1 (en) * 2002-12-30 2004-08-12 Yvan Auger Men's sports brief
KR200400989Y1 (ko) * 2005-08-08 2005-11-15 진성복 남성용 건강 팬티
KR20130103032A (ko) * 2012-03-09 2013-09-23 임채철 남성용 국부 단련 팬티
KR20150003114U (ko) * 2014-02-07 2015-08-18 이승헌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75692Y1 (ko) * 2014-08-08 2014-12-2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KR20180000457U (ko) * 2016-08-05 2018-02-19 휠라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팬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03U (ko)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코앤컴 허리밴드를 구비한 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273B2 (en) Easy access dryness enhanced men's undergarment
US5237706A (en) Male garment with scrotal pouch
US7958571B2 (en) Underwear garment for a male
US10542782B2 (en) Men's briefs
KR102198590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384020B1 (ko) 기능성 팬티
US20180070650A1 (en) Underwear system
US20240148080A1 (en) Men's functional briefs provided with one pair of scrotal bands
US6026517A (en) Men's underpants
KR200490703Y1 (ko) 기능성 팬티
KR101391527B1 (ko) 기능성 팬티
KR102351642B1 (ko) 기능성 팬티
JP6697098B2 (ja) パンツ
KR200493298Y1 (ko) 남성용 기능성 속옷
KR200230530Y1 (ko) 음경 포켓을 갖는 남성 팬티
KR102083630B1 (ko) 음경 및 음낭의 보호 기능과 통기성이 강화된 팬티
KR200485849Y1 (ko) 분리형 남성속옷
JP3245461U (ja) 男性用下着
WO2000045655A1 (en) Male genitals protecting underpants
KR102396722B1 (ko) 기능성 팬티
KR101401092B1 (ko) 기능성 팬티
KR102486325B1 (ko) 기능성 팬티
KR20130002519U (ko) 남성용 위생팬티
US202401728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undergarment
KR102509671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