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628B1 -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628B1
KR102383628B1 KR1020210106067A KR20210106067A KR102383628B1 KR 102383628 B1 KR102383628 B1 KR 102383628B1 KR 1020210106067 A KR1020210106067 A KR 1020210106067A KR 20210106067 A KR20210106067 A KR 20210106067A KR 102383628 B1 KR102383628 B1 KR 10238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nspection
power generation
wind power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갑
박하영
윤호근
민설희
송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포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포미트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B64C2201/1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80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ind Mo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하여,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통하여 발전설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처리 및 전송을 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상기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관리하고, 획득 영상을 DB화하고 획득 영상을 3D 모델 변환하고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on and management of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ased on drone}
본 발명은 발전 설비 점검 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공해문제로부터 자유롭고 고갈될 염려가 없는 영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가운데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풍력발전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함과 동시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소음과 진동에 의한 환경피해가 속출하고 발전용량이 대형화되고,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집약적으로 집단화시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다.
풍력발전기는 공기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Rotor)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것으로, 현재 경제성이 양호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선두주자 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기술이다.
풍력발전시스템은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블레이드(Blade), 블레이드와 허브(Hub)로 구성된 회전자, 회전을 증속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증속장치(Gear Box), 발전기 및 각종 안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전력 제어 장치 및 철탑 등으로 구성된다.
블레이드는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에서 유용한 공력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공력 토크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가 장기간 회전하면서 외부에 손상이 발생되거나 벼락과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홀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블레이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로프, 고소사다리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해당 블레이드에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고소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따른다.
특히 해상풍력발전기의 경우, 육상풍력발전기에 비해 파랑 등의 제약 사항이 추가되어 접근이 어렵고 점검 시의 위험도도 훨씬 더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하여 블레이드 점검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블레이드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검출하여 블레이드의 손상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블레이드의 손상 부위가 정확히 어느 위치인지, 손상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53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95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12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직접 해당 블레이드에 접근하지 않고 풍력발전설비 점검을 위한 영상 획득을 드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에서 드론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분석툴을 제공하고, 점검 이력 관리 및 모델별 개소별 점검 결과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결함 분석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 세트 선택, 3D 모델 표시, 선택된 부위 확대 표시, 마크업 추가 작성 및 관리 부위의 길이 측정, 통계 정보 확인의 과정을 통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하여,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통하여 발전설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처리 및 전송을 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상기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관리하고, 획득 영상을 DB화하고 획득 영상을 3D 모델 변환하고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부터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점검비행 경로정보를 제공받아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수행하는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와,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풍력발전설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발전설비 영상 촬영부와, 발전설비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및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는,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점검비행 경로정보를 제공하여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관리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와,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DB화하여 저장하는 획득 영상 DB화부와,획득 영상을 3D 모델에 매핑하는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와, 획득 영상을 분석하여 결함을 찾아내는 결함 분석부와,획득 영상을 3D 모델 변환하여 제공하는 3D 모델 변환 구축부와,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점검 이력 관리부와, 관리자 단말로 영상 분석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영상 분석툴 제공부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하여 풍력발전설비 모델 및 발전소별 결함 통계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모델별/개소별 통계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한 비행 제어를 위한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관리부와,비행 경로 제어 및 촬영 조건 제어를 위한 기후 데이터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관리부와, 점검 관리 대상이 되는 개별 발전 설비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발전 설비 모델 정보 관리부와,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드론 정보 관리부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대상이 정해지면,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반영하여 점검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점검비행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는, 점검 영상에서 배경과 점검 대상을 구분하여 배경을 절단하여 삭제하고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하고, 입체 텍스쳐 매핑 과정을 통한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는 자료 관리부와,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의 고도값을 분석하여 파일 순서를 재정렬하는 파일 순서 재정렬부와, 파일 순서가 재정렬된 사진별 오류를 분석하는 오류 분석 수행부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자료 선택 및 조회를 하는 자료 선택 및 조회부와,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3D 모델 영상을 제공하는 3D 모델 화면 제공부와, 3D 모델 화면 제공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3D 화면에서 관리 부위를 선택하는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부와, 선택된 3D 모델 관리 부위의 영상 분석을 통하여 결함 분석을 하는 결함 분석부와, 결함 분석 과정에서 관리자의 선택에 의한 마크업 리포트 작성을 지원하는 마크업 리포트 작성부와, 결함 분석에 따른 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통계그래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대상이 정해지면,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반영하여 점검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해당 풍력발전설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통계그래프를 제공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에서 3D 모델 화면 제공을 위하여,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를 통하여 점검 영상에서 배경과 점검 대상을 구분하여 배경을 절단하여 삭제하고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하고, 입체 텍스쳐 매핑 과정을 통한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화면은,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 목록이 출력되고 선택 시 다른 패널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패널과, 제 1 패널에서 선택한 풍력발전설비의 모델과 드론 이미지로 구성된 텍스쳐가 매핑되는 제 2 패널과, 제 2 패널의 모델에서 관리 부위를 선택하면 해당 부위에 해당하는 실제 드론 이미지 목록이 출력되고 리포트 기록이 있다면 '위험도'와 '이미지' 컬럼에 수치가 출력되는 제 3 패널과, 제 3 패널의 리스트에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드론 이미지가 출력되는 제 4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라디오 버튼을 통해 관리 부위의 방향을 선택하여 4가지 방향 중 한 방향의 드론 이미지를 확인하고, 리포트 작성 항목을 채워 저장도 가능하고,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가 트리 형태로 출력되고 시설 형태, 지역, 날짜 순서로 그룹화되어 표시되고 날짜를 선택해야 데이터 세트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패널은, 모델 배경 색상 선택,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날개 회전 선택, 날개에서 원하는 부위 선택, 클릭으로 관리 부위 선택 및 좌클릭 후 드래그로 풍력 모델 Y축 회전, 우클릭 후 드래그로 모델 Panning, 휠 조작으로 모델 Zoom in/out하는 마우스 조작 가능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3 패널은, 드론 이미지에 기록된 위험도 정보, 드론 이미지에 부가적인 마크업 이미지에 대한 유무 정보, 드론 이미지 정보 및 원본 파일명 항목을 갖고, 드론 이미지 정보는 날개 번호, 관리 부위, 날개 방향, 이미지 출력 순서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4 패널은, 이미지 마크업 내부 패널,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을 포함하고, 이미지 마크업 내부 패널 세부 구성은, 마크업 삽입 전 마우스로 줌/패닝이 가능한 드론 이미지 출력 창, 마크업 이미지 초기화 버튼, 마크업 그리기 버튼, 선택했던 관리 부위에서 방향 선택 라디오 버튼, 형태, 굵기, 색상의 마크업 그리기 설정, 관리 부위의 길이 측정 및, 현재 사진 1장만 빠르게 검사하는 사진 분석, 선택된 관리 부위의 4방향 모든 사진을 검사 항목을 갖는 결함 분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 세부 구성은, 손상 종류,심각도,상황설명,처리 기한,상세 설명 및 작성한 현재 이미지에 대한 리포트를 저장 및 작성한 기존 리포트를 제거 및 현재 관리 부위에 대한 모든 리포트를 취합하여 통계그래프 출력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통계그래프 출력 항목에서, 통계그래프는 기간별로 최대 손상 정도와 손상 수를 동시에 보여주며 그래프의 끝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을 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고, 통계그래프 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드론 영상을 포함한 점검데이터를 수신하고,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은 일정한 양식의 폴더 구조를 가지며 폴더 구조를 통해 날개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판별하고, 고도 자료를 이용해 사진이 촬영된 높낮이 순서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직관적으로 사진이 나열될 수 있도록 사진 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 드론 영상을 포함한 점검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하면 관리자 대화상자가 표시되고, 데이터 타입 선택, 데이터 타입별 세부 정보 선택, 입력데이터의 촬영 날짜 선택, 서버로 입력할 원본 데이터 위치 선택 및 수행 버튼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작업자가 직접 해당 블레이드에 접근하지 않고 풍력발전설비 점검을 위한 영상 획득을 드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에서 드론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분석툴을 제공하고, 점검 이력 관리 및 모델별 개소별 점검 결과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결함 분석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 세트 선택, 3D 모델 표시, 선택된 부위 확대 표시, 마크업 추가 작성 및 관리 부위의 길이 측정, 통계 정보 확인의 과정을 통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설비의 블레이드 촬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a 내지 도 4n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의 화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e는 점검 영상의 정제 및 DB화를 위하여 배경과 블레이드를 구분하여 배경을 삭제하고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하는 구성 그리고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화면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각 단계별 처리 동작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에서 드론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분석툴을 제공하고, 점검 이력 관리 및 모델별 개소별 점검 결과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결함 분석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 세트 선택, 3D 모델 표시, 선택된 부위 확대 표시, 마크업 추가 작성, 통계 정보 확인의 과정을 통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하여,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통하여 발전설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처리 및 전송을 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100)과,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100)을 관리하고, 획득 영상 DB화하고 획득 영상을 3D 모델 변환하고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200)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100)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200)로부터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점검비행 경로정보를 제공받아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수행하는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10)와,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해당 풍력발전설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발전설비 영상 촬영부(11)와, 발전설비 영상 촬영부(11)에서 촬영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및 전송부(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의 전송은 비행 및 촬영 중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비행 및 촬영을 수행하고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100)에 내장된 저장 장치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10)를 통한 비행 및 촬영 제어 이외에 실시간 영상을 통한 원격 비행 제어 및 촬영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200)는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점검비행 경로정보를 제공하여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100)을 관리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20)와,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100)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DB화하여 저장하는 획득 영상 DB화부(21)와, 획득 영상을 3D 모델에 매핑하는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22)와, 획득 영상을 분석하여 결함을 찾아내는 결함 분석부(23)와,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점검 이력 관리부(24)와, 관리자 단말(300)로 영상 분석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영상 분석툴 제공부(25)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하여 풍력발전설비 모델 및 발전소별 결함 통계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모델별/개소별 통계정보 관리부(26)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300)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는 자료 관리부(30)와,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의 고도값을 분석하여 파일 순서를 재정렬하는 파일 순서 재정렬부(31)와, 파일 순서가 재정렬된 사진별 오류를 분석하는 오류 분석 수행부(32)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자료 선택 및 조회를 하는 자료 선택 및 조회부(33)와,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받은 3D 모델 영상을 제공하는 3D 모델 화면 제공부(34)와, 3D 모델 화면 제공부(34)를 통하여 제공되는 3D 화면에서 관리 부위를 선택하는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부(36)와, 선택된 3D 모델 관리 부위의 영상 분석을 통하여 결함 분석을 하는 결함 분석부(37)와, 결함 분석 과정에서 관리자의 선택에 의한 마크업 리포트 작성을 지원하는 마크업 리포트 작성부(38)와, 결함 분석에 따른 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통계그래프 제공부(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20)의 상세 구성 및 풍력발전설비의 블레이드 촬영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설비의 블레이드 촬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20)는 도 2a에서와 같이,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한 비행 제어를 위한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관리부(20a)와, 비행 경로 제어 및 촬영 조건 제어를 위한 기후 데이터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관리부(20b)와, 점검 관리 대상이 되는 개별 발전 설비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발전 설비 모델 정보 관리부(20c)와,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드론 정보 관리부(20d)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대상이 정해지면,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반영하여 점검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점검비행 경로 관리부(20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2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 과정의 일 예는 도 2b에서와 같다.
①점검대상.풍력발전기를 ㅅ형으로 멈춤
②블레이드.B 2회 촬영, 블레이드A 4회 촬영(B1→B4, A1→A2→A3→A4)
③드론 복귀 및 배터리 교체
④블레이드C가 제일 위로 오도록 120도회전
⑤블레이드C 4회 촬영, 블레이드B 2회 촬영(C1→C2→C3→C4, B3→B2)
다른 예로는,
A1→A2→A3→A4, B1→B2→B3→B4, C1→C2→C3→C4의 순서로 촬영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낸 영상 획득을 위한 비행 및 촬영 조건은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은 크게,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대상이 정해지면,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반영하여 점검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와, 해당 풍력발전설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자 단말(300)을 통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통계그래프를 제공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S301),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S302) 고도값 분석 및 파일 순서 재정렬(S303)을 하고 사진별 오류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S304), 자료 선택 및 조회(S305), 3D 모델 출력(S306),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S307) 결함 분석을 하고(S308), 마크업 리포트 작성(S309), 통계그래프 출력 요청에 의해(S310) 관리 부위별 통계그래프 출력을 하는 과정(S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300)의 상세 화면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n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4a는 메인 화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①②③④은 각각 1번 패널,2번 패널,3번 패널,4번 패널이다.
①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 목록이 출력되고 선택 시 2, 3, 4번 패널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② 1번 패널에서 선택한 풍력발전설비의 모델과 드론 이미지로 구성된 텍스쳐가 매핑된다.
③ 2번 패널의 모델에서 관리 부위를 선택하면 해당 부위에 해당하는 실제 드론 이미지 목록이 출력되고 리포트 기록이 있다면 '위험도'와 '이미지' 컬럼에 수치가 출력된다.
④ 3번 리스트에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드론 이미지가 출력된다.
라디오 버튼을 통해 관리 부위의 방향을 선택하여 4가지 방향 중 한 방향의 드론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하단의 리포트 작성 항목을 채워 저장도 가능하다.
그리고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가 트리 형태로 출력되고 시설 형태, 지역, 날짜 순서로 그룹화 되어 표시된다. 날짜를 선택해야 데이터 세트가 완료된다.
도 4b는 메인 화면에서의 2번 패널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① 모델 배경 색상 선택
② 날개 회전 (시계방향, 반시계 방향)
③ 날개에서 원하는 부위 선택
④ 마우스 조작 가능
좌클릭: 관리 부위 선택, 좌클릭 후 드래그 : 풍력 모델 Y축 회전, 우클릭 후 드래그 : 모델 Panning, 휠 조작: 모델 Zoom in/out
도 4c는 메인 화면에서의 3번 패널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① 드론 이미지에 기록된 위험도 정보
② 드론 이미지에 부가적인 마크업 이미지에 대한 유무 정보
③ 드론 이미지 정보 및 원본 파일명
그리고 드론 이미지 정보는 공백 기준으로 {날개 번호 (A, B, C)}, {관리 부위 (0~9)}, {날개 방향 (LW:우측, LE:정면, WW:좌측, TE:후면,)}, {이미지 출력 순서 (높은 숫자일수록 날개 중심에 가까움)}의 요소를 포함한다.
도 4d는 메인화면에서의 4번 패널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① 이미지 마크업 내부 패널, ②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이다.
도 4e는 4번 패널의 ① 이미지 마크업 내부 패널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① 드론 이미지 출력 창 (마크업 삽입 전 마우스로 줌/패닝 가능)
② 마크업 이미지 초기화 버튼, 마크업 그리기 버튼
③ 선택했던 관리 부위에서 방향 선택 라디오 버튼
④ 마크업 그리기 설정 (형태, 굵기, 색상)
⑤ 결함 분석
사진 분석: 현재 사진 1장만 빠르게 검사
부위 검사: 선택된 관리 부위의 4방향 모든 사진을 검사 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점검사항에 관한 마크업을 통하여 길이 측정을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4f는 4번 패널의 사진 분석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진 분석' 항목은 현재 사진 1장만 빠르게 검사하는 것을 현재 사진을 대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버튼이다.
도 4g는 4번 패널의 부위 검사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부위 검사' 항목은 선택된 관리 부위의 4방향 모든 사진을 검사하는 것으로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부위에 해당하는 다수의 사진을 원클릭으로 모두 검사할 수 있는 기능이다.
현재 관리 부위에는 결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도 4h는 4번 패널의 ②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 설명을 위한 것이다.
① 손상 종류/심각도/상황설명/처리 기한/상세 설명
② 저장: 작성한 현재 이미지에 대한 리포트를 저장
삭제: 작성한 기존 리포트를 제거
③ 현재 관리 부위에 대한 모든 리포트를 취합하여 통계그래프 출력 항목이다.
도 4i는 4번 패널의 ②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에서 통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통계그래프는 기간별로 최대 손상 정도와 손상 수를 동시에 보여주며 그래프의 끝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을 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고, 통계그래프 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다.
도 4j는 데이터 관리 화면 구성 나타낸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접속하여 드론 영상을 포함한 점검데이터를 수신한다.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은 일정한 양식의 폴더 구조를 가지며 풍력발전소의 경우 폴더 구조를 통해 날개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판별한다.
그 이후 고도 자료를 이용해 사진이 촬영된 높낮이 순서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직관적으로 사진이 나열될 수 있도록 사진 정렬을 수행한다.
드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USB 디스크를 통해 저장되며 이를 서버로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도 4j의 메뉴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한다.
데이터 가져오기를 수행하면 도 4k에서와 같이 사용자 대화상자가 표시되고 각항목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데이터 타입 선택
② 데이터 타입별 세부 정보 선택
③ 입력데이터의 촬영 날짜 선택
④ 서버로 입력할 원본 데이터 위치 선택 및 수행 버튼 항목을 포함한다.
도 4l은 데이터 삭제를 위한 화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파일 메뉴에서 '데이터 삭제하기'를 선택하면 현재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 목록이 표시되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삭제 또는 취소 버튼을 통해 대화상자를 닫을 수 있다.
도 4m은 메뉴에서 데이터 삭제하기를 수행했을 시 대화상자이다.
① 서버에 등록된 데이터 선택
② 실행 및 취소 버튼 항목을 포함한다.
도 4n은 데이터 삭제하기 목록 표시 예시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점검 영상의 정제 및 DB화를 위하여 배경과 블레이드를 구분하여 배경을 삭제하고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하는 구성 그리고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점검 영상의 정제 및 DB화를 위하여 배경과 블레이드를 구분하여 배경을 삭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배경과 블레이드를 구분하여 배경을 절단하여 삭제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배경이 삭제된 점검 대상 블레이드 영상을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c 내지 도 5e는 입체 텍스쳐 매핑 과정을 통한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각 단계별 처리 동작 화면 구성도이다.
도 6a는 데이터 선택을 위한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부위 선택후 마크업 작업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점검 리포트 작성에 관한 화면 구성이고, 도 6d는 통계 그래프 제공 화면 구성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자료를 분석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데이터 세트 선택, 3D 모델 표시, 선택된 부위 확대 표시, 마크업 추가 작성, 통계 정보 확인의 과정을 통하여 신재생 발전설비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점검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200.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300. 관리자 단말

Claims (17)

  1.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하여,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통하여 발전설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처리 및 전송을 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상기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관리하고, 획득 영상을 DB화하고 획득 영상을 3D 모델 변환하고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는,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점검비행 경로정보를 제공하여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관리하는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와,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DB화하여 저장하는 획득 영상 DB화부와, 획득 영상을 3D 모델에 매핑하는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와, 획득 영상을 분석하여 결함을 찾아내는 결함 분석부와, 결함 분석에 따른 점검 이력 관리를 하는 점검 이력 관리부와, 관리자 단말로 영상 분석을 위한 툴을 제공하는 영상 분석툴 제공부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하여 풍력발전설비 모델 및 발전소별 결함 통계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모델별/개소별 통계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는, 점검 영상에서 배경과 점검 대상을 구분하여 배경을 절단하여 삭제하고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하고, 입체 텍스쳐 매핑 과정을 통한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부터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점검비행 경로정보를 제공받아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수행하는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와,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풍력발전설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발전설비 영상 촬영부와,
    발전설비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 처리 및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풍력발전설비 관리 드론 관리부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획득을 위한 비행 제어를 위한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관리부와,
    비행 경로 제어 및 촬영 조건 제어를 위한 기후 데이터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관리부와,
    점검 관리 대상이 되는 개별 발전 설비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발전 설비 모델 정보 관리부와,
    설비점검비행 및 촬영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드론 정보 관리부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대상이 정해지면,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반영하여 점검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점검비행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는 자료 관리부와,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의 고도값을 분석하여 파일 순서를 재정렬하는 파일 순서 재정렬부와,
    파일 순서가 재정렬된 사진별 오류를 분석하는 오류 분석 수행부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자료 선택 및 조회를 하는 자료 선택 및 조회부와,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3D 모델 영상을 제공하는 3D 모델 화면 제공부와,
    3D 모델 화면 제공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3D 화면에서 관리 부위를 선택하는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부와,
    선택된 3D 모델 관리 부위의 영상 분석을 통하여 결함 분석을 하는 결함 분석부와,
    결함 분석 과정에서 관리자의 선택에 의한 마크업 리포트 작성을 지원하는 마크업 리포트 작성부와,
    결함 분석에 따른 통계그래프 제공을 지원하는 통계그래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7.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대상이 정해지면, 발전소별 위치 및 지형 정보, 발전소별 기후데이터, 발전 설비 모델 정보,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관리 드론 정보를 반영하여 점검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해당 풍력발전설비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풍력발전설비의 영상을 전송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영상 자료의 입력 및 삭제 관리를 하고, 3D 모델 관리 부위 선택을 하여 결함 분석을 하고, 3D 모델 화면 제공 및 마크업 리포트 작성, 통계그래프를 제공하는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에서 3D 모델 화면 제공을 위하여, 3D 모델-영상 매핑 구축부를 통하여 점검 영상에서 배경과 점검 대상을 구분하여 배경을 절단하여 삭제하고 3D 모델에 입체 텍스쳐 매핑하고, 입체 텍스쳐 매핑 과정을 통한 병합 및 절단 일치율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화면은,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 목록이 출력되고 선택 시 다른 패널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패널과,
    제 1 패널에서 선택한 풍력발전설비의 모델과 드론 이미지로 구성된 텍스쳐가 매핑되는 제 2 패널과,
    제 2 패널의 모델에서 관리 부위를 선택하면 해당 부위에 해당하는 실제 드론 이미지 목록이 출력되고 리포트 기록이 있다면 '위험도'와 '이미지' 컬럼에 수치가 출력되는 제 3 패널과
    제 3 패널의 리스트에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드론 이미지가 출력되는 제 4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라디오 버튼을 통해 관리 부위의 방향을 선택하여 4가지 방향 중 한 방향의 드론 이미지를 확인하고,
    리포트 작성 항목을 채워 저장도 가능하고, 서버에 등록된 모든 데이터가 트리 형태로 출력되고 시설 형태, 지역, 날짜 순서로 그룹화되어 표시되고 날짜를 선택해야 데이터 세트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패널은,
    모델 배경 색상 선택,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날개 회전 선택, 날개에서 원하는 부위 선택, 클릭으로 관리 부위 선택 및 좌클릭 후 드래그로 풍력 모델 Y축 회전, 우클릭 후 드래그로 모델 Panning, 휠 조작으로 모델 Zoom in/out하는 마우스 조작 가능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 3 패널은,
    드론 이미지에 기록된 위험도 정보, 드론 이미지에 부가적인 마크업 이미지에 대한 유무 정보, 드론 이미지 정보 및 원본 파일명 항목을 갖고,
    드론 이미지 정보는 날개 번호, 관리 부위, 날개 방향, 이미지 출력 순서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제 4 패널은,
    이미지 마크업 내부 패널,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을 포함하고,
    이미지 마크업 내부 패널 세부 구성은,
    마크업 삽입 전 마우스로 줌/패닝이 가능한 드론 이미지 출력 창, 마크업 이미지 초기화 버튼, 마크업 그리기 버튼, 선택했던 관리 부위에서 방향 선택 라디오 버튼, 형태, 굵기, 색상의 마크업 그리기 설정, 관리 부위의 길이 측정 및,
    현재 사진 1장만 빠르게 검사하는 사진 분석, 선택된 관리 부위의 4방향 모든 사진을 검사 항목을 갖는 결함 분석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리포트 작성 내부 패널 세부 구성은,
    손상 종류,심각도,상황설명,처리 기한,상세 설명 및 작성한 현재 이미지에 대한 리포트를 저장 및 작성한 기존 리포트를 제거 및 현재 관리 부위에 대한 모든 리포트를 취합하여 통계그래프 출력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통계그래프 출력 항목에서,
    통계그래프는 기간별로 최대 손상 정도와 손상 수를 동시에 보여주며 그래프의 끝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을 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고, 통계그래프 창을 늘리고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은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드론 영상을 포함한 점검데이터를 수신하고,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은 일정한 양식의 폴더 구조를 가지며 폴더 구조를 통해 날개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판별하고,
    고도 자료를 이용해 사진이 촬영된 높낮이 순서를 판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직관적으로 사진이 나열될 수 있도록 사진 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 서버로 드론 영상을 포함한 점검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하면 관리자 대화상자가 표시되고,
    데이터 타입 선택, 데이터 타입별 세부 정보 선택, 입력데이터의 촬영 날짜 선택, 서버로 입력할 원본 데이터 위치 선택 및 수행 버튼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방법.
KR1020210106067A 2021-08-11 2021-08-11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8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67A KR102383628B1 (ko) 2021-08-11 2021-08-11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67A KR102383628B1 (ko) 2021-08-11 2021-08-11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28B1 true KR102383628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67A KR102383628B1 (ko) 2021-08-11 2021-08-11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35B1 (ko) * 2016-03-24 2017-08-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의 노이즈 인식 장치 및 풍력 발전기의 제어 방법
JP2018021491A (ja) * 2016-08-02 2018-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ステム及び飛行ルート生成方法
KR102058120B1 (ko) 2018-04-04 2019-1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기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시스템
KR102089562B1 (ko) 2019-03-12 2020-03-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점검방법
KR20200031860A (ko) * 2018-09-17 2020-03-25 윈디텍 주식회사 안전점검 기준표와 분류별 결함 데이터를 활용한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98263B1 (ko) * 2019-11-21 2020-04-08 주식회사 에이투엠 웹기반 풍력발전 블레이드 관리 시스템
KR102142540B1 (ko) * 2019-04-25 2020-08-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 및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용복합재 블레이드의 손상 검사 방법
KR102245359B1 (ko) 2019-11-13 2021-04-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535B1 (ko) * 2016-03-24 2017-08-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의 노이즈 인식 장치 및 풍력 발전기의 제어 방법
JP2018021491A (ja) * 2016-08-02 2018-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ステム及び飛行ルート生成方法
KR102058120B1 (ko) 2018-04-04 2019-12-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기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시스템
KR20200031860A (ko) * 2018-09-17 2020-03-25 윈디텍 주식회사 안전점검 기준표와 분류별 결함 데이터를 활용한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9562B1 (ko) 2019-03-12 2020-03-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점검방법
KR102142540B1 (ko) * 2019-04-25 2020-08-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 및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용복합재 블레이드의 손상 검사 방법
KR102245359B1 (ko) 2019-11-13 2021-04-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KR102098263B1 (ko) * 2019-11-21 2020-04-08 주식회사 에이투엠 웹기반 풍력발전 블레이드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8056B2 (en) Drone inspection analytics for asset defect detection
US20200158092A1 (en) Method of condition monitoring one or more wind turbines and parts thereof and performing instant alarm when needed
CN103812052B (zh) 一种用于无人机输电线路巡检的集中监控系统及监控方法
LU501999A1 (en) Pumped storage power station comprehensive management method, platform and system, device and medium
EP23091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ind turbine operation
US8041540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acoustic and visual monitoring of a wind turbine
CN108693888A (zh) 一种用于无人机输电线路巡检的集中监控系统
JP2018021491A (ja) システム及び飛行ルート生成方法
DE212016000186U1 (de) Simulationssystem
CN103941745A (zh) 用于无人机输电线路巡检的移动子站及工作方法
CN207691309U (zh) 一种用于输电线路大型无人机进行巡检工作的装置
CN111428629A (zh) 变电站运行监测方法、状态确定方法及无人机巡检系统
CN109816349A (zh) 一种测试验证管理平台
CN112069580A (zh) 抽水蓄能电站数字化交付方法、平台、系统、设备和介质
CN116258980A (zh) 一种基于视觉的无人机分布式光伏电站巡检方法
KR102383628B1 (ko) 드론 기반의 풍력발전설비 점검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561085B (zh) 一种大型水电站百米级引水竖井健康检测装备及方法
CN207424682U (zh) 一种用于无人机输电线路巡检的集中监控系统
US20190114725A1 (en) Utility network monitoring with a device and an unmanned aircraft
CN112102490A (zh) 一种用于变电站三维模型的建模方法
CN116385693A (zh) 海上风电可视化展示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42062A (zh) 资源环境动态数字监测控制系统及方法、信息数据处理终端
CN108492367A (zh) 一种风电场展示方法以及风电场展示系统
CN113705001A (zh) 输电线路故障检测方法、系统及嵌入式设备
JP7378564B1 (ja) 風力発電装置のスマートパ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