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15B1 -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15B1
KR102383015B1 KR1020200035265A KR20200035265A KR102383015B1 KR 102383015 B1 KR102383015 B1 KR 102383015B1 KR 1020200035265 A KR1020200035265 A KR 1020200035265A KR 20200035265 A KR20200035265 A KR 20200035265A KR 102383015 B1 KR102383015 B1 KR 10238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tube
bioreactor
disposabl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8692A (ko
Inventor
박주양
신자원
오대양
Original Assignee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15B1/ko
Priority to JP2022555669A priority patent/JP7450985B2/ja
Priority to EP21776172.5A priority patent/EP4130232A1/en
Priority to CN202180023156.XA priority patent/CN115298300A/zh
Priority to PCT/KR2021/002836 priority patent/WO2021194127A1/ko
Priority to US17/910,577 priority patent/US20230167389A1/en
Publication of KR2021011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8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disposable or single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0Manifolds; Distribution 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6Means for fast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9/00Means for cleaning the apparatus or avoiding unwanted deposits of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volume or 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22Means for packing or storing viable microorg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와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에서, SU 1회용 튜브 연결 시 웰딩 공정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고, SS 시스템 및 SU 시스템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지 이송 라인 내 흐름성을 향상시켜, 배지 이송 라인 내에 응축수(condensate) 등의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지 오염이 사전 차단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SU 시스템 단독 사용에 따른 복잡한 파이핑(piping)을 제외할 수 있고, 기존의 SS 시스템 단독 사용 대비 오염에 강한 장점이 있어, 공정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Hybrid Aseptic Connecting System for Production of Antibody Pharmaceuticals and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의약품은 크게 바이오 신약, 개량 바이오 의약품(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화학적 합성 의약품과 비교할 때 부작용이 적고 연구개발 시 전임상 요구 자료가 적으며, 제품 효능과 안전성 예측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임상성공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적극적인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 의약품 제조 과정은 초기 후보 물질 및 세포주 개발, 배양 공정(upstream processing, USP), 정제 공정(downstream processing, DSP), 및 완제 공정 단계로 이루어지며, 특히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제품 생산의 경우, 배양 공정(USP) 및 정제 공정(DSP)에서의 공정 최적화(processing optimization)는 가격경쟁력과 직결되므로, 저비용, 고순도 및 고수율로 바이오시밀러를 제조하는 공정 최적화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중 배양 공정은 세포주를 해동한 다음, 초기 1리터 미만의 플라스크 단계에서부터 최종 15,000리터 이상의 생산 바이오리액터 단계까지 약 6주간 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의 개체 수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는 과정에 해당하며, 이 때 사용되는 배양 방법으로는 회분식 배양(batch culture), 유가식 배양(fed-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continuous culture), 관류식 배양(perfusion culture) 등이 있다.
한편, 정제 공정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및 필터의 조작 사용을 통해 세포 및 세포 찌꺼기가 혼재된 배양액으로부터 의약품으로 사용될 단백질을 고순도, 고효율로 추출해내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및 필터 사용을 통해 컬럼 정제, 바이러스 제거, 한외/정용여과 등의 공정이 수행된다.
한편, 위와 같은 배양 및 정제 공정에서 사용되는 구성 및 장치는 재질 측면에서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SS)과 1회용 백 또는 튜브를 사용하는 싱글 유즈(Sigle-Use, SU)로 구분될 수 있고, 이 중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장치 구성을 포함하는 SS 공정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큰 스케일(large scale) 구현이 용이하며, 운전 비용(operation cost)이 저렴하고, 자동화(automation)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오염에 취약하며,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생물반응기) 대규모 스케일화에 따른 정제 공정에서의 병목 현상(downstream bottleneck phenomenon)이 발생하기 쉽다.
최근에 들어 도입되기 시작한 SU 공정 시스템은 장치 구성으로서, 0.1 부터 2,000리터 사이의 부피를 가지는 1회용 백 또는 튜브를 이용하며, SS 공정 시스템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설치 비용, 오염 시 해당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오염에 강한 장점이 있으나, 스케일 업(scale up)에 제한점이 있고, 백의 잦은 교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운전 비용, 장비 교체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오늘날 바이오파마(biopharma) 분야에서는 임상시험, 상업용 의약품을 수탁생산(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CMO)을 제공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세포주 개발부터 공정 개발, 스케일업, 상업생산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선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목적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배양 공정에서는 세포 배양, 미생물 배양을 위한 영양물질 혼합물인 배지가 사용되고, 배지 준비 탱크로부터 배지 저장 탱크로 전달된 배지는 다시 바이오리액터로 전달된다. 이때, 배지를 공급하는 배지 저장 탱크(media hold tank)는 스테인레스스틸(SS) 재질로, 배지를 공급받는 바이오리액터(bioreactor)는 싱글 유즈(Sigle-Use, SU) 1회용 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연결은 완전한 무균성을 담보한 상태로 연결되어야 하며, 무균성이 담보되지 않는 경우 배지 오염 또는 오염원의 유입으로 인해 목적하는 항체 의약품 생산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SS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와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에서,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도록, SU 1회용 튜브 연결 시 웰딩 공정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고, SS 시스템 및 SU 시스템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지 이송 라인 내 흐름성을 향상시켜, 배지 이송 라인 내에 응축수(condensate) 등의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지 오염이 사전 차단되도록 한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배지 준비 탱크(media preparation tank)로부터 배지를 전달받아 배지를 저장하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media hold tank);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배지를 전달받고, 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 개체수를 늘려나가는, 교반 장치를 구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및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배출된 배지 스트림이 바이오리액터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배지 이송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배지 이송 라인은, 배지 저장 탱크의 일단에 구비된 배출 라인의 말단에 형성되는 체결부; 일단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배출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이오리액터와 연결되는 SU(Sigle-Use) 1회용 튜브; 및 상기 튜브 상에 구비되며, 스팀 멸균 공정에 의한 튜브의 팽창 및 수축을 방지하는 벤트 필터(vent filter); 를 포함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배출 라인 및 상기 SU 1회용 튜브는 각각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호 연결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체결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핀치 클램프(pinch clamp)를 구비하는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 를 더 포함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SU 1회용 튜브는 체결부와 사전 연결된 튜브 및 바이오리액터에 구비된 튜브를 웰딩(welding)하여 형성된 것인,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무균 연결 시스템은 아바고보맙(abagovomab), 압식시맙(abciximab), 아달리무맙(adalimumab), 아데카투무맙(adecatumumab),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알투모맙(altumomab), 알투모맙 펜테테이트(altumomab pentetate), 아나투모맙(anatumomab),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anatumomab mafenatox), 아르시투모맙(arcitumomab), 아틀리주맙(atlizumab), 바실리지맙(basiliximab), 벡투모맙(bectumomab), 엑투모맙(ectumomab), 벨리무맙(belimumab), 벤랄리주맙(benralizu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브렌툭시맙(brentuximab), 카나키누맙(canakinumab), 카프로맙(capromab), 카프로맙 펜데티드(capromab pendetide), 카투마조맙(catumaxomab), 세르톨리주맙(certolizumab),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제탄(clivatuzumab tetraxetan), 다클리주맙(daclizumab), 데노수맙(denosumab), 에쿨리주맙(eculizumab), 에드레콜로맙(edrecolomab), 에팔리주맙(efalizumab), 에타라시주맙(etaracizumab), 에르투마조맙(ertumaxomab), 파놀레소맙(fanolesomab), 폰톨리주맙(fontolizumab), 겜투주맙(gemtuzumab), 기렌툭시맙(girentuximab), 골리무맙(golimumab),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이고보맙(igovo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이플리무맙(ipilimumab), 라베투주맙(labetuzumab), 메폴리주맙(mepolizumab), 무로모납(muromonab), 무로모납(muromonab)-CD3, 나탈리주맙(natalizumab), 네시투무맙(necitumumab), 니모투주맙(nimotuzu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오말리주맙(omalizumab), 오레고보맙(oregovomab), 팔리비주맙(palivizumab), 파니투무맙(panitum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리툭시맙(rituximab), 사투모맙(satumomab), 술레소맙(sulesomab),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이브리투모맙 티욱제탄(ibritumomab tiuxetan), 토실리주맙(tocilizumab), 토시투모맙(tositumoma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비실리주맙(visilizumab), 보투무맙(votumumab), 잘루투무맙(zalutumumab), 브로달루맙(brodalumab), 안루킨주맙(anrukinzumab), 바피네우주맙(bapineuzumab), 달로투주맙(dalotuzumab), 뎀시주맙(demcizumab), 가니투맙(ganitumab), 이노투주맙(inotuzumab), 마브릴리무맙(mavrilimumab), 모제투모맙 파수도톡스(moxetumomab pasudotox), 릴로투무맙(rilotumumab), 시팔리무맙(sifalimumab), 타네주맙(tanezumab), 트랄로키누맙(tralokin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우렐루맙(urelumab), 아도르나제알파(adornase alfa), 레비프(Rebif), 베카플레르민(becaplermin), 알테플라제(alteplase), 라로니다제(laronidase), 알레파셉트(alefacept),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 락시바쿠맙(Raxibacumab), 다르베포에틴 알파(darbepoetin alfa), 베카플레르민 농축물(Becaplermin Concentrate),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1b, 보툴리늄 독소 유형(Botulinum Toxin Type) A, 라스부리카제(rasburicase),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에포에틴 알파(epoetin alfa), 에타네르셉트(etanercept), 아갈시다제 베타(agalsidase beta), 인터페론 알파콘(interferon alfacon)-1,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fa)-2a, 아나킨라(anakinra), 보툴리늄 독소 유형(Botulinum Toxin Type) B, 페그필그라스팀(pegfilgrastim), 오프렐베킨(oprelvekin), 필그라스팀(filgrastim), 데닐레우킨 디프티톡스(denileukin diftitox), 페긴테르페론 알파(peginterferon alfa)-2a, 알데스레우킨(aldesleukin), 도르나제 알파(dornase alfa),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1a, 베타플레르민(becaplermin), 레테플라제(reteplase),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fa)-2,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드로트레코긴 알파(drotrecogin alfa), 릴로나셉트(rilonacept), 로미플로스팀(romiplostim),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ethoxypolyethylene glycol)-에포에틴 베타(epoetin beta), C1 에스테라제(esterase) 저해제, 이두르술파제(idursulfase), 알글루코시다제 알파(alglucosidase alfa), 아바타셉트(abatacept), 갈술파제(galsulfase), 팔리페르민(palifermin) 및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1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체 의약품 배양 공정의 배지 공급에 적용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으로서, (a)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바이오리액터로 배지가 이송된 후, 기사용된 SU 1회용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체결부에 새로운 1회용 튜브를 사전 연결한 다음, 배지 저장 탱크, 배출 라인 및 상기 1회용 튜브를 세척(cleaning in place)하고, COA(clean and oil free air)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고온 스팀(steam)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 후, 상기 1회용 튜브와 새로이 준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구비된 튜브를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으로서, (a)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바이오리액터로 배지가 이송된 후, 기사용된 SU 1회용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일단에는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벤트 필터(vent filter)가 구비된 새로운 1회용 튜브를 준비하고, 이를 세척(cleaning in place)하고, COA(clean and oil free air)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고온 스팀(steam)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 후, 상기 1회용 튜브의 다이어프램 밸브가 위치한 쪽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배지 저장 탱크의 배출 라인과 연결하고, 벤트 필터가 구비된 쪽의 단부는 새로이 준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구비된 튜브와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에 따르면, SS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와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에서, SU 1회용 튜브 연결 시 웰딩 공정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고, SS 시스템 및 SU 시스템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은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지 이송 라인 내 흐름성을 향상시켜, 배지 이송 라인 내에 응축수(condensate) 등의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지 오염이 사전 차단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은, 기존의 SU 시스템 단독 사용에 따른 복잡한 파이핑(piping)을 제외할 수 있고, 기존의 SS 시스템 단독 사용 대비 오염에 강한 장점이 있어, 공정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SS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와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 간 웰딩 공정을 통해 완전한 무균성이 담보된 연결이 이루어진 무균 연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의 체결부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의 체결부 내 다이어프램 밸브 구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층 또는 요소가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 또는 요소가 직접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 또는 요소가 각 층 사이, 대상체, 기재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은, 배지 준비 탱크(media preparation tank)로부터 배지를 전달받아 배지를 저장하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media hold tank);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배지를 전달받고, 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 개체수를 늘려나가는, 교반 장치를 구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및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배출된 배지 스트림이 바이오리액터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배지 이송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배지 이송 라인은, 배지 저장 탱크의 일단에 구비된 배출 라인의 말단에 형성되는 체결부; 일단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배출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이오리액터와 연결되는 SU(Sigle-Use) 1회용 튜브; 및 상기 튜브 상에 구비되며, 스팀 멸균 공정에 의한 튜브의 팽창 및 수축을 방지하는 벤트 필터(vent filter); 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은 초기 후보 물질 및 세포주 개발, 배양 공정(USP), 정제 공정(DSP), 및 완제 공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중 배양 공정(USP)은 세포주를 해동한 다음, 초기 1리터 미만의 플라스크 단계에서부터 최종 15,000리터 이상의 생산 바이오리액터 단계까지 약 6주간 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의 개체 수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는 과정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양 유닛(cultivation unit)은 배양 공정을 위한 장치 구성의 집합으로서, 배지를 사전에 준비하는 배지 준비 탱크(media preparation tank), 배지 준비 탱크로부터 배지를 전달받아, 배지를 저장하는 배지 저장 탱크(media hold tank), 해동된 세포 및 배지(culture media)를 포함하는 피딩 스트림(feeding stream)을 바이오리액터로 유입시키는 공급 라인, 피딩 스트림으로부터 해동된 세포 및 배지를 전달받고, 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 개체수를 늘려나가는, 교반 장치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바이오리액터, 상기 바이오리액터에서 배양된 세포를 포함한 배양액이 유출 스트림(effluent stream)으로 배출되는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양 및 정제 공정에서 사용되는 구성 및 장치는 재질 측면에서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SS)과 1회용 백 또는 튜브를 사용하는 싱글 유즈(Sigle-Use, SU)로 구분될 수 있고, 이 중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장치 구성을 포함하는 SS 공정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큰 스케일(large scale) 구현이 용이하며, 운전 비용(operation cost)이 저렴하고, 자동화(automation)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오염에 취약하며,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생물반응기) 대규모 스케일화에 따른 정제 공정의 병목 현상(downstream bottleneck phenomenon)이 발생하기 쉽다.
최근에 들어 도입되기 시작한 SU 공정 시스템은 장치 구성으로서, 0.1 부터 2,000리터 사이의 부피를 가지는 1회용 백 또는 튜브를 이용하며, SS 공정 시스템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설치 비용, 오염 시 해당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오염에 강한 장점이 있으나, 스케일 업(scale up)에 제한점이 있고, 백의 잦은 교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운전 비용, 장비 교체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투입된다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본 발명자들은 SS 시스템과 SU 시스템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배양 공정(USP)에 있어서, 배지를 공급하는 배지 저장 탱크(media hold tank)는 스테인레스스틸(SS) 재질로, 배지를 공급받는 바이오리액터(bioreactor)는 싱글 유즈(Sigle-Use, SU) 1회용 백으로 구성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에서,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도록, SU 1회용 튜브 연결 시 웰딩 공정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고, SS 시스템 및 SU 시스템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배지 이송 라인이 배출 라인, 체결부, SU 1회용 튜브, 벤트 필터 및 스팀 트랩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가 "Y" 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지 이송 라인 내에 응축수(condensate) 등의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지 오염이 사전 차단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지 이송 라인이, 배지 저장 탱크의 일단에 구비된 배출 라인의 말단에 형성되는 체결부; 일단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배출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이오리액터와 연결되는 SU(Sigle-Use) 1회용 튜브; 및 상기 튜브 상에 구비되며, 스팀 멸균 공정에 의한 튜브의 팽창 및 수축을 방지하는 벤트 필터(vent filter);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라인 및 상기 SU 1회용 튜브는 각각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 라인 및 SU 1회용 튜브는 각각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서, 체결부를 통해 상호 "V" 자 형태를 이루며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은 체결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핀치 클램프(pinch clamp)를 구비하는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 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배출 라인과 SU 1회용 튜브를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플랜지(Flange), 트라이클램프(Tri-Clamp), 캡(Cap) 및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s)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장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중 플랜지(Flange)는 회전을 통해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 구성일 수 있으며, 트라이클램프(Tri-Clamp)는 체결을 위한 장치 구성이고, 캡(Cap)은 튜브의 밀폐를 위한 구성이며,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s)는 라인 개폐 및 유량 조절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도 2 내지 3 참조).
한편, 벤트 필터는 스팀 멸균 공정에 의한 튜브의 팽창 및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례로 0.2㎛ pore size의 캡슐 벤트 필터(Capsule vent filter)일 수 있다. 스팀 트랩 튜브는 스팀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핀치 클램프는 멸균 공정이 끝난 후 제거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출 라인 및 SU 1회용 튜브는 각각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서, 체결부를 통해 상호 "V" 자 형태를 이루며 연결되고, 나아가, 체결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핀치 클램프(pinch clamp)를 구비하는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 를 더 포함하는 경우,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 라인 및 SU 1회용 튜브가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경우 Gravity와 소정 각도에 의한 미끄러짐 때문에, 종래의 "T"자 형상의 일반적 장치 구성 대비 배지 이송 라인 내 유체 흐름성이 향상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 라인 및/또는 SU 1회용 튜브를 포함한 배지 이송 라인 내에 응축수(condensate) 등의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지 오염이 사전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U 1회용 튜브는 체결부와 사전 연결된 튜브 및 바이오리액터에 구비된 튜브가 웰딩(welding) 공정에 의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모두가 SS 재질인 SS 공정 시스템의 경우 복잡한 파이핑이 없기는 하나, 오염에 취약하며, 공정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모두가 SU 재질인 SU 공정 시스템의 겨우, 오염에는 강하나, 복잡한 파이핑(piping)과 스케일 업이 어려우며, 비싼 운전 비용이 문제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SS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와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경우, 상술한 SS 공정 시스템과 SU 공저 시스템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기는 하나,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라인 개방(Open)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멸균 공정에 이어,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SU 1회용 튜브 간 접합이 이루어지므로, 완전한 무균성이 담보된 접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라인 개방에 따른 배지 오염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웰딩 공정은 웰더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방법 및 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균 연결 시스템은 아바고보맙(abagovomab), 압식시맙(abciximab), 아달리무맙(adalimumab), 아데카투무맙(adecatumumab),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알투모맙(altumomab), 알투모맙 펜테테이트(altumomab pentetate), 아나투모맙(anatumomab),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anatumomab mafenatox), 아르시투모맙(arcitumomab), 아틀리주맙(atlizumab), 바실리지맙(basiliximab), 벡투모맙(bectumomab), 엑투모맙(ectumomab), 벨리무맙(belimumab), 벤랄리주맙(benralizu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브렌툭시맙(brentuximab), 카나키누맙(canakinumab), 카프로맙(capromab), 카프로맙 펜데티드(capromab pendetide), 카투마조맙(catumaxomab), 세르톨리주맙(certolizumab),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제탄(clivatuzumab tetraxetan), 다클리주맙(daclizumab), 데노수맙(denosumab), 에쿨리주맙(eculizumab), 에드레콜로맙(edrecolomab), 에팔리주맙(efalizumab), 에타라시주맙(etaracizumab), 에르투마조맙(ertumaxomab), 파놀레소맙(fanolesomab), 폰톨리주맙(fontolizumab), 겜투주맙(gemtuzumab), 기렌툭시맙(girentuximab), 골리무맙(golimumab),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이고보맙(igovo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이플리무맙(ipilimumab), 라베투주맙(labetuzumab), 메폴리주맙(mepolizumab), 무로모납(muromonab), 무로모납(muromonab)-CD3, 나탈리주맙(natalizumab), 네시투무맙(necitumumab), 니모투주맙(nimotuzu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오말리주맙(omalizumab), 오레고보맙(oregovomab), 팔리비주맙(palivizumab), 파니투무맙(panitum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리툭시맙(rituximab), 사투모맙(satumomab), 술레소맙(sulesomab),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이브리투모맙 티욱제탄(ibritumomab tiuxetan), 토실리주맙(tocilizumab), 토시투모맙(tositumoma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비실리주맙(visilizumab), 보투무맙(votumumab), 잘루투무맙(zalutumumab), 브로달루맙(brodalumab), 안루킨주맙(anrukinzumab), 바피네우주맙(bapineuzumab), 달로투주맙(dalotuzumab), 뎀시주맙(demcizumab), 가니투맙(ganitumab), 이노투주맙(inotuzumab), 마브릴리무맙(mavrilimumab), 모제투모맙 파수도톡스(moxetumomab pasudotox), 릴로투무맙(rilotumumab), 시팔리무맙(sifalimumab), 타네주맙(tanezumab), 트랄로키누맙(tralokin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우렐루맙(urelumab), 아도르나제알파(adornase alfa), 레비프(Rebif), 베카플레르민(becaplermin), 알테플라제(alteplase), 라로니다제(laronidase), 알레파셉트(alefacept),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 락시바쿠맙(Raxibacumab), 다르베포에틴 알파(darbepoetin alfa), 베카플레르민 농축물(Becaplermin Concentrate),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1b, 보툴리늄 독소 유형(Botulinum Toxin Type) A, 라스부리카제(rasburicase),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에포에틴 알파(epoetin alfa), 에타네르셉트(etanercept), 아갈시다제 베타(agalsidase beta), 인터페론 알파콘(interferon alfacon)-1,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fa)-2a, 아나킨라(anakinra), 보툴리늄 독소 유형(Botulinum Toxin Type) B, 페그필그라스팀(pegfilgrastim), 오프렐베킨(oprelvekin), 필그라스팀(filgrastim), 데닐레우킨 디프티톡스(denileukin diftitox), 페긴테르페론 알파(peginterferon alfa)-2a, 알데스레우킨(aldesleukin), 도르나제 알파(dornase alfa),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1a, 베타플레르민(becaplermin), 레테플라제(reteplase),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fa)-2,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드로트레코긴 알파(drotrecogin alfa), 릴로나셉트(rilonacept), 로미플로스팀(romiplostim),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ethoxypolyethylene glycol)-에포에틴 베타(epoetin beta), C1 에스테라제(esterase) 저해제, 이두르술파제(idursulfase), 알글루코시다제 알파(alglucosidase alfa), 아바타셉트(abatacept), 갈술파제(galsulfase), 팔리페르민(palifermin) 및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1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체 의약품 배양 공정의 배지 공급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이오 신약, 개량 바이오 의약품(바이오베터) 및 바이오시밀러와 같은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은, (a)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바이오리액터로 배지가 이송된 후, 기사용된 SU 1회용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체결부에 새로운 1회용 튜브를 사전 연결한 다음, 배지 저장 탱크, 배출 라인 및 1회용 튜브를 세척(cleaning in place)하고, COA(clean and oil free air)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고온 스팀(steam)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 후, 상기 1회용 튜브와 새로이 준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구비된 튜브를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은, (a)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바이오리액터로 배지가 이송된 후, 기사용된 SU 1회용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일단에는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벤트 필터(vent filter)가 구비된 새로운 1회용 튜브를 준비하고, 이를 세척(cleaning in place)하고, COA(clean and oil free air)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고온 스팀(steam)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 후, 상기 1회용 튜브의 다이어프램 밸브가 위치한 쪽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배지 저장 탱크의 배출 라인과 연결하고, 벤트 필터가 구비된 쪽의 단부는 새로이 준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구비된 튜브와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완전한 무균성이 담보된 연결을 위해, 상기 (c) 단계에서, 다이어프램 밸브가 위치한 쪽의 단부가 체결부를 통해 배지 저장 탱크의 배출 라인과 연결된 다음, 접합부를 멸균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에 따르면, SS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와 SU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가 채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에서, SU 1회용 튜브 연결 시 웰딩 공정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지 저장 탱크와 바이오리액터 간 완전한 무균 연결을 담보할 수 있고, SS 시스템 및 SU 시스템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은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지 이송 라인 내 흐름성을 향상시켜, 배지 이송 라인 내에 응축수(condensate) 등의 불순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지 오염이 사전 차단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은, 기존의 SU 시스템 단독 사용에 따른 복잡한 파이핑(piping)을 제외할 수 있고, 기존의 SS 시스템 대비 오염에 강한 장점이 있어, 공정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배지 준비 탱크(media preparation tank)로부터 배지를 전달받아 배지를 저장하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배지 저장 탱크(media hold tank);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배지를 전달받고, 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 개체수를 늘려나가는, 교반 장치를 구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및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배출된 배지 스트림이 바이오리액터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배지 이송 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배지 이송 라인은, 배지 저장 탱크의 일단에 구비된 배출 라인의 말단에 형성되는 체결부; 일단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배출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이오리액터와 연결되는 SU(Sigle-Use) 1회용 튜브; 상기 튜브 상에 구비되며, 스팀 멸균 공정에 의한 튜브의 팽창 및 수축을 방지하는 벤트 필터(vent filter);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핀치 클램프(pinch clamp)를 구비하는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라인 및 상기 SU 1회용 튜브는 각각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서, 체결부를 통해 상호 "V"자 형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 라인, SU 1회용 튜브 및 스팀 트랩 튜브(steam trap tube)는 체결부를 통해 상호 "Y"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U 1회용 튜브는 체결부와 사전 연결된 튜브 및 바이오리액터에 구비된 튜브를 웰딩(welding) 하여 형성된 것인,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균 연결 시스템은 아바고보맙(abagovomab), 압식시맙(abciximab), 아달리무맙(adalimumab), 아데카투무맙(adecatumumab),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알투모맙(altumomab), 알투모맙 펜테테이트(altumomab pentetate), 아나투모맙(anatumomab),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anatumomab mafenatox), 아르시투모맙(arcitumomab), 아틀리주맙(atlizumab), 바실리지맙(basiliximab), 벡투모맙(bectumomab), 엑투모맙(ectumomab), 벨리무맙(belimumab), 벤랄리주맙(benralizumab), 베바시주맙(bevacizumab), 브렌툭시맙(brentuximab), 카나키누맙(canakinumab), 카프로맙(capromab), 카프로맙 펜데티드(capromab pendetide), 카투마조맙(catumaxomab), 세르톨리주맙(certolizumab), 클리바투주맙 테트라제탄(clivatuzumab tetraxetan), 다클리주맙(daclizumab), 데노수맙(denosumab), 에쿨리주맙(eculizumab), 에드레콜로맙(edrecolomab), 에팔리주맙(efalizumab), 에타라시주맙(etaracizumab), 에르투마조맙(ertumaxomab), 파놀레소맙(fanolesomab), 폰톨리주맙(fontolizumab), 겜투주맙(gemtuzumab), 기렌툭시맙(girentuximab), 골리무맙(golimumab),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이고보맙(igovomab), 인플릭시맙(infliximab), 이플리무맙(ipilimumab), 라베투주맙(labetuzumab), 메폴리주맙(mepolizumab), 무로모납(muromonab), 무로모납(muromonab)-CD3, 나탈리주맙(natalizumab), 네시투무맙(necitumumab), 니모투주맙(nimotuzu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오말리주맙(omalizumab), 오레고보맙(oregovomab), 팔리비주맙(palivizumab), 파니투무맙(panitum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리툭시맙(rituximab), 사투모맙(satumomab), 술레소맙(sulesomab), 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이브리투모맙 티욱제탄(ibritumomab tiuxetan), 토실리주맙(tocilizumab), 토시투모맙(tositumoma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비실리주맙(visilizumab), 보투무맙(votumumab), 잘루투무맙(zalutumumab), 브로달루맙(brodalumab), 안루킨주맙(anrukinzumab), 바피네우주맙(bapineuzumab), 달로투주맙(dalotuzumab), 뎀시주맙(demcizumab), 가니투맙(ganitumab), 이노투주맙(inotuzumab), 마브릴리무맙(mavrilimumab), 모제투모맙 파수도톡스(moxetumomab pasudotox), 릴로투무맙(rilotumumab), 시팔리무맙(sifalimumab), 타네주맙(tanezumab), 트랄로키누맙(tralokinumab),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우렐루맙(urelumab), 아도르나제알파(adornase alfa), 레비프(Rebif), 베카플레르민(becaplermin), 알테플라제(alteplase), 라로니다제(laronidase), 알레파셉트(alefacept),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 락시바쿠맙(Raxibacumab), 다르베포에틴 알파(darbepoetin alfa), 베카플레르민 농축물(Becaplermin Concentrate),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1b, 보툴리늄 독소 유형(Botulinum Toxin Type) A, 라스부리카제(rasburicase),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에포에틴 알파(epoetin alfa), 에타네르셉트(etanercept), 아갈시다제 베타(agalsidase beta), 인터페론 알파콘(interferon alfacon)-1,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fa)-2a, 아나킨라(anakinra), 보툴리늄 독소 유형(Botulinum Toxin Type) B, 페그필그라스팀(pegfilgrastim), 오프렐베킨(oprelvekin), 필그라스팀(filgrastim), 데닐레우킨 디프티톡스(denileukin diftitox), 페긴테르페론 알파(peginterferon alfa)-2a, 알데스레우킨(aldesleukin), 도르나제 알파(dornase alfa), 인터페론 베타(interferon beta)-1a, 베타플레르민(becaplermin), 레테플라제(reteplase), 인터페론 알파(interferon alfa)-2,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드로트레코긴 알파(drotrecogin alfa), 릴로나셉트(rilonacept), 로미플로스팀(romiplostim),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ethoxypolyethylene glycol)-에포에틴 베타(epoetin beta), C1 에스테라제(esterase) 저해제, 이두르술파제(idursulfase), 알글루코시다제 알파(alglucosidase alfa), 아바타셉트(abatacept), 갈술파제(galsulfase), 팔리페르민(palifermin) 및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1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의 배지 공급에 적용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7. 제 1 항의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으로서,
    (a)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바이오리액터로 배지가 이송된 후, 기사용된SU 1회용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체결부에 새로운 1회용 튜브를 사전 연결한 다음, 배지 저장 탱크, 배출 라인 및 상기 1회용 튜브를 세척(cleaning in place)하고, COA(clean and oil free air)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고온 스팀(steam)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 후, 상기 1회용 튜브와 새로이 준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구비된 튜브를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
  8. 제 1 항의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으로서,
    (a) 상기 배지 저장 탱크로부터 바이오리액터로 배지가 이송된 후, 기사용된 SU 1회용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일단에는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벤트 필터(vent filter)가 구비된 새로운 1회용 튜브를 준비하고, 이를 세척(cleaning in place)하고, COA(clean and oil free air)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고온 스팀(steam)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c) 상기 멸균 후, 상기 1회용 튜브의 다이어프램 밸브가 위치한 쪽의 단부는 체결부를 통해 배지 저장 탱크의 배출 라인과 연결하고, 벤트 필터가 구비된 쪽의 단부는 새로이 준비한 SU(Single-Use) 1회용 백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구비된 튜브와 웰딩(welding) 공정을 통해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 무균 연결 방법.
KR1020200035265A 2020-03-23 2020-03-23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KR10238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265A KR102383015B1 (ko) 2020-03-23 2020-03-23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JP2022555669A JP7450985B2 (ja) 2020-03-23 2021-03-08 抗体医薬品製造工程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無菌連結システムおよび無菌連結方法
EP21776172.5A EP4130232A1 (en) 2020-03-23 2021-03-08 Hybrid aseptic connection system and aseptic connection method for antibody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ocess
CN202180023156.XA CN115298300A (zh) 2020-03-23 2021-03-08 用于抗体医药品制备工序的混合无菌连接系统及无菌连接方法
PCT/KR2021/002836 WO2021194127A1 (ko) 2020-03-23 2021-03-08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US17/910,577 US20230167389A1 (en) 2020-03-23 2021-03-08 Hybrid aseptic connection system and aseptic connection method for antibody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265A KR102383015B1 (ko) 2020-03-23 2020-03-23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92A KR20210118692A (ko) 2021-10-01
KR102383015B1 true KR102383015B1 (ko) 2022-04-05

Family

ID=7789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265A KR102383015B1 (ko) 2020-03-23 2020-03-23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67389A1 (ko)
EP (1) EP4130232A1 (ko)
JP (1) JP7450985B2 (ko)
KR (1) KR102383015B1 (ko)
CN (1) CN115298300A (ko)
WO (1) WO202119412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69B1 (ko) * 2007-04-24 2007-10-17 김대환 배양기
KR102000200B1 (ko) * 2018-04-30 2019-07-16 한국과학기술원 일체형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3800A1 (en) * 2007-08-22 2009-02-26 Julie Friend Biomass Treatment Apparatus
US8999702B2 (en) * 2008-06-11 2015-04-07 Emd Millipore Corporation Stirred tank bioreactor
JP5962790B1 (ja) * 2015-01-30 2016-08-03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培養における複数容器間の送液方法
WO2017207822A1 (en) * 2016-06-03 2017-12-07 Lonza Limited Single use bioreactor
KR20180047404A (ko) * 2016-10-31 2018-05-10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세포 배양 배지에서 원치 않는 배양 부산물을 감소시키는 공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69B1 (ko) * 2007-04-24 2007-10-17 김대환 배양기
KR102000200B1 (ko) * 2018-04-30 2019-07-16 한국과학기술원 일체형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92A (ko) 2021-10-01
US20230167389A1 (en) 2023-06-01
JP7450985B2 (ja) 2024-03-18
EP4130232A1 (en) 2023-02-08
JP2023518361A (ja) 2023-05-01
WO2021194127A1 (ko) 2021-09-30
CN115298300A (zh)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375B1 (ko) 시드 트레인 공정 및 그 용도
US11920120B2 (en) Integrated continuous isolation of fluid streams from sterile process vessels
US20180051054A1 (en) Methods of processing a fluid including a recombinant therapeutic protein and use thereof
KR102383015B1 (ko)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무균 연결 시스템 및 무균 연결 방법
KR102370142B1 (ko) 항체 의약품 제조를 위한 배양 및 정제 공정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383013B1 (ko)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제균 필터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409145B1 (ko) 항체 의약품 제조 공정을 위한 버퍼 조제 및 이송 시스템
Vermasvuori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and monoclonal antibodies-Techno-enonomical evalu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s
Muth Production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