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729B1 -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 Google Patents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729B1
KR102382729B1 KR1020210095559A KR20210095559A KR102382729B1 KR 102382729 B1 KR102382729 B1 KR 102382729B1 KR 1020210095559 A KR1020210095559 A KR 1020210095559A KR 20210095559 A KR20210095559 A KR 20210095559A KR 102382729 B1 KR102382729 B1 KR 10238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usbar
wireless
energy
wireless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더원에코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원에코파워텍 filed Critical (주)더원에코파워텍
Priority to KR102021009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E05Y2900/6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바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이용하고, 부스바의 상태를 파악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는, 부스바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절연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수집하는 에너지집진부와; 상기 에너지집진부에 결합되고,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무선송신기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와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전력설비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무선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스바의 통전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외부화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너지집진부 및 무선송신기는 상기 절연튜브에 의해 상기 부스바와 비접촉하여 절연되고,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부스바에 연결된 절연애자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상기 절연애자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며,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에너지집진부에서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 ENERGY HARVESTING WIRELESS POWER ON-LINE INDICATOR AND HIGH VOLTAGE POWER FACILITY HAVING THEREOF }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스바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이용하고, 부스바의 상태를 파악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한전으로부터 154kV의 초고압을 수전 받아서 6.6kV의 고전압으로 강압하거나, 22.9kV의 특고압을 직접 수전받아서 380V 또는 440V의 저압반으로 전력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이상기온에 따른 냉난방 설비의 증가, 전기 설비의 대형화 등 전력수요 증가에 따라 배전반이 점차 고전압화 되는 추세이다.
전압 상승에 따라 매년 감전사고 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고, 무엇보다 전압 강도의 증가로 사망 또는 중증 상해 등의 감전 사고의 피해 정도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통전표시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통전표시기는 배전반 등을 포함하는 고전압 전력설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전압 전력설비 내부의 통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도어를 열고, 고전압 전력설비 내부의 부스바에 설치된 통전표시기의 LED나 통전중 글자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고전압 전력설비 내부가 밝지 않아서 작업자가 도어 개방후 육안 확인 중 예기치 못한 감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81805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전압 전력설비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고전압 전력설비 내부에 설치된 부스바의 통전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서도 부스바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부품을 작동시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는, 고전압 전력설비의 내부에 배치된 부스바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부스바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절연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수집하는 에너지집진부와; 상기 에너지집진부에 결합되고,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무선송신기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와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전력설비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무선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스바의 통전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외부화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너지집진부 및 무선송신기는 상기 절연튜브에 의해 상기 부스바와 비접촉하여 절연되고,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부스바에 연결된 절연애자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상기 절연애자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며,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에너지집진부에서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일면이 상기 절연튜브에 접하는 금속재질의 정전유도 전하집진판과; 상기 전하집진판에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전력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력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전하집진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절연애자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변환부과 무선송신기는 상기 전하집진판에서 유도되어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내부에 상기 전하집진판, 전력변환부, 무선송신기가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절연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하집진판은 상기 절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튜브에 접한다.
상기 절연튜브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하집진판은 부하상태 및 무부하상태에서도 상기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면 정전유도방식으로 상기 부스바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절연하우징은, 상기 부스바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전하집진판, 전력변환부, 무선송신기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부스바의 하면에 배치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부스바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하집진판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서브바디에는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서브바디에 결합된 상기 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는 상기 부스바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부스바의 상면과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통전표시기가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는, 내부에 부스바가 설치된 고전압 전력설비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또는 부스바에 결합된 무선통전표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통전표시기는 상술한 무선통전표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폐를 허여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변환시켜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장치가 잠금상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외력으로 강제 개방되려고 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장치를 작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너지집진부의 전하집진판에 의해 부스바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 후 이러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송신기 등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부스바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서도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무선송신기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집진부를 절연애자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도록 함으로서, 수집되는 에너지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고전압 전력설비의 외부에서 외부화면부를 통해 부스바의 통전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 개폐감지센서 등에 의해,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작업자가 임의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전력설비의 측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전력설비의 평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의 구성도.
본 발명의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집진부(10)와, 무선송신기(20)와, 무선수신기(30)와, 외부화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너지집진부(10)는 부스바(15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전반 등의 고전압 전력설비(100)의 내부에는 부스바(15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부스바(150)의 외주면에는 절연튜브(155)가 감싸여져 있다.
상기 에너지집진부(10)는 상기 부스바(15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상기 절연튜브(1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스바(150)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15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수집한다.
상기 에너지집진부(10)는, 절연하우징(11)과, 전하집진판(12)과, 전력변환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하우징(11)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부스바(150)에 결합된다.
상기 전하집진판(12)은 상기 절연하우징(11)의 하부에서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전하집진판(12)은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이 상기 절연튜브(155)에 접하여, 정전유도방식에 의해 상기 부스바(150)에서 누설되는 전하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 절연튜브(155)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하집진판(12)은 부스바(150)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부스바(150), 절연튜브(155) 및 전하집진판(12)의 적층구조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면서, 상기 전하집진판(12)에서 누설전하를 포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하집진판(21)은 정전유도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상기 부스바(150)에 전류가 인가되는 부하상태 뿐만 아니라, 상기 부스바(15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서도 상기 부스바(150)에 전압만 인가되어 있으면 정전유도방식으로 상기 부스바(150)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서도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이렇게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무부하상태에서도 상기 부스바(150)의 통전여부 등을 상기 무선송신기(20), 무선수신기(30) 및 외부화면부(40)를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13)는 상기 절연하우징(11)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전하집진판(12)에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킨다.
상기 절연하우징(11)은 본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구조 이외에 다양한 방식 및 구조로 상기 부스바(15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하우징(11)은, 메인바디(11a)와 서브바디(11b)와 연결바디(11c)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11a)는 상기 부스바(150)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전하집진판(12), 전력변환부(13), 무선송신기(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서브바디(11b)는 상기 부스바(15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스바(15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디(11c)는 상기 부스바(15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1a)와 서브바디(11b)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메인바디(11a)와 서브바디(11b)와 연결바디(11c)에 의해, 상기 절연하우징(11)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방향으로 개방된 형상 즉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하집진판(12)은 상기 메인바디(11a)의 하부에서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서브바디(11b)에는 볼트(15)가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연하우징(11)이 상기 부스바(150)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바디(11b)에 결합된 상기 볼트(1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볼트(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15)는 상기 부스바(150)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부스바(150)의 상면과 상기 메인바디(11a)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하우징(11)을 상기 부스바(15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스바(150)는 절연애자(16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에너지집진부(10)는 상기 부스바(150)를 지지하면서 상기 부스바(150)에 연결된 상기 절연애자(160)에 연결된다.
상기 에너지집진부(10)는 상기 절연애자(160)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변환부(13)는 일단이 상기 전하집진판(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절연애자(16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변환부(13)는 상기 절연애자(160)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어 접지된다.
위와 같이 상기 에너지집진부(10)가 상기 절연애자(160)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에너지집진부(10)에서 수집되는 전기에너지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13)는 상기 전하집진판(12)에서 정전유도되어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에너지집진부(10)에 결합되고, 상기 부스바(150)의 통전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전력변환부(13)에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150)의 통전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상기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에너지집진부(10)에서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전력변환부(13)와 함께 상기 전하집진판(12)에서 정전유도되어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송신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외부전원이 필요없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에너지집진부(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전력변환부(13)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 전하집진판(12), 전력변환부(13), 무선송신기(2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집진부(10) 및 무선송신기(20)는 상기 절연튜브(155)에 의해 상기 부스바(150)와 비접촉하여 절연된다.
상기 무선수신기(30)는 상기 무선송신기(20)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150)의 통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수신기(30)에는 수신된 통전 상태 신호를 외부로 보낼 수 있는 485 통신, 이더넷 등의 통신포트가 장착된다.
상기 외부화면부(40)는 상기 무선수신기(30)와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전력설비(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외부화면부(40)는 상기 무선수신기(30)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스바(150)의 통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스바(150)의 통전여부를 외부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외부화면부(40)는 통전상태 등을 약 1초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고전압 전력설비(100)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외부화면부(40)를 통해 부스바(150)의 통전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150)에 주변의 누설전하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부(13), 무선송신기(20) 등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자가발전을 통한 에너지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수신기(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85 통신, 이더넷 등의 통신포트가 장착되어, 상기 외부화면부(40)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에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수신기(30)와 외부화면부(40)는 별도의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전압 전력설비(100)은 배전반, 변압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와, 도어(120)와, 잠금장치(130)와, 제어부(140)와, 무선통전표시기(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부스바(150)와 절연애자(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130)는 상기 본체(110)에 대한 상기 도어(120)의 개폐를 허여한다.
즉, 상기 잠금장치(130)가 잠금상태에서 상기 도어(120)는 개방되지 않게 되고, 해제상태에서 상기 도어(120)는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잠금장치(130)가, 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무선통전표시기(1)는 상기 본체(110) 또는 부스바(150)에 결합되고, 상술한 본 발명의 무선통전표시기(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부스바(150)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130)를 잠금상태로 변환시켜 상기 도어(120)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전압 전력설비(100)는 경우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130)와 제어부(130)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감지센서(170)와, 경보장치(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센서(170)는 상기 도어(120)가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경보장치(180)는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잠금장치(130)가 잠금상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감지센서(170)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외력으로 강제 개방되려고 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장치(18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해제버튼을 눌러 상기 잠금장치(130)가 해제상태로 변환되도록 하고, 이 경우에는 상기 도어(120)를 개방하여도 상기 경보장치(180)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부스바(150)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장치(130)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도어(120)를 개방한 후 상기 부스바(150) 등을 통해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개폐감지센서(170)에서 상기 도어(120)가 외력에 의해 강제 개방되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경보장치(180)를 작동시킴으로서 작업자가 현재 부스바(150)에 전압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에너지집진부(10)의 전하집진판(12)에 의해 부스바(150)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 후 이러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송신기(20) 등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부스바(15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서도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무선송신기(20)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집진부(10)를 절연애자(160)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도록 함으로서, 수집되는 에너지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고전압 전력설비(100)의 외부에서 외부화면부(40)를 통해 부스바(150)의 통전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130), 개폐감지센서(170) 등에 의해, 부스바(150)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작업자가 임의로 도어(120)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인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무선통전표시기,
10 : 에너지집진부, 11 : 절연하우징, 11a : 메인바디, 11b : 서브바디, 11c : 연결바디, 12 : 전하집진판, 13 : 전력변환부, 15 : 볼트,
20 : 무선송신기, 30 : 무선수신기, 40 : 외부화면부,
100 : 고전압 전력설비, 110 : 본체, 120 : 도어, 130 : 잠금장치, 140 : 제어부, 150 : 부스바, 155 : 절연튜브, 160 : 절연애자, 170 : 개폐감지센서, 180 : 경보장치.

Claims (9)

  1. 고전압 전력설비의 내부에 배치된 부스바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부스바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절연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수집하는 에너지집진부와;
    상기 에너지집진부에 결합되고,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무선송신기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와;
    상기 무선수신기와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전력설비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무선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스바의 통전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외부화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너지집진부 및 무선송신기는 상기 절연튜브에 의해 상기 부스바와 비접촉하여 절연되고,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상기 부스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부스바에 연결된 절연애자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상기 절연애자의 접지측 연결부를 통해 함께 단락되며,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에너지집진부에서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에너지집진부는,
    일면이 상기 절연튜브에 접하는 금속재질의 정전유도 전하집진판과;
    상기 전하집진판에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부와;
    내부에 상기 전하집진판, 전력변환부, 무선송신기가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절연하우징;을 포함하여 루어지며,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전력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스바의 통전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전력변환부는 일단이 상기 전하집진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절연애자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변환부과 무선송신기는 상기 전하집진판에서 유도되어 수집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전하집진판은 상기 절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튜브에 접하며,
    상기 절연하우징은,
    상기 부스바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전하집진판, 전력변환부, 무선송신기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부스바의 하면에 배치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부스바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하집진판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서브바디에는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서브바디에 결합된 상기 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는 상기 부스바를 상방향으로 밀어 상기 부스바의 상면과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연튜브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하집진판은 부하상태 및 무부하상태에서도 상기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면 정전유도방식으로 상기 부스바 주위의 누설전하를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5. 삭제
  6. 내부에 부스바가 설치된 고전압 전력설비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또는 부스바에 결합된 무선통전표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통전표시기는 청구항1의 무선통전표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전표시기가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폐를 허여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전표시기가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변환시켜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전표시기가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장치가 잠금상태로 변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외력으로 강제 개방되려고 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전표시기가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KR1020210095559A 2021-07-21 2021-07-21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KR10238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59A KR102382729B1 (ko) 2021-07-21 2021-07-21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59A KR102382729B1 (ko) 2021-07-21 2021-07-21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729B1 true KR102382729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559A KR102382729B1 (ko) 2021-07-21 2021-07-21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03B1 (ko) * 2022-09-27 2023-02-06 주식회사 건국 세이프티 유닛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585902B1 (ko) 2023-05-23 2023-10-06 (주)더원에코파워텍 배전반 안전스크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055B1 (ko) 2005-12-30 2008-03-31 유영국 통전 표시기
KR20130029975A (ko) * 2011-09-16 2013-03-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유전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표유 전계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공급 장치
KR20160035769A (ko) * 2014-09-24 2016-04-01 주식회사 페니엘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KR20160143999A (ko) * 2015-06-07 2016-12-15 주식회사 현태 배전반의 부스 바에서 전력에너지 상태감시 및 안전 시스템
KR20170044309A (ko) * 2015-10-15 2017-04-25 박지영 배전반 또는 부스덕트의 부스바 온도 모니터링용 무전원 송수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055B1 (ko) 2005-12-30 2008-03-31 유영국 통전 표시기
KR20130029975A (ko) * 2011-09-16 2013-03-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유전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표유 전계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공급 장치
KR20160035769A (ko) * 2014-09-24 2016-04-01 주식회사 페니엘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KR20160143999A (ko) * 2015-06-07 2016-12-15 주식회사 현태 배전반의 부스 바에서 전력에너지 상태감시 및 안전 시스템
KR20170044309A (ko) * 2015-10-15 2017-04-25 박지영 배전반 또는 부스덕트의 부스바 온도 모니터링용 무전원 송수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303B1 (ko) * 2022-09-27 2023-02-06 주식회사 건국 세이프티 유닛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585902B1 (ko) 2023-05-23 2023-10-06 (주)더원에코파워텍 배전반 안전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729B1 (ko)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전표시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KR102382939B1 (ko)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전력미터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KR100932187B1 (ko)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CN103366479B (zh) 变压器防破坏防盗窃远程监控装置
CN101593938A (zh) 数字化低压综合配电箱
CN210574143U (zh) 一种配电变压器的防盗报警器
CN210898273U (zh) 一种矿用隔爆型移动变电站
CN112504353A (zh) 高压断路器及其状态监控装置
CN207925942U (zh) 一种弧光保护智能快切型铠装移开式开关柜
KR102547992B1 (ko) 전자기에너지 하베스터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센서가 장착된 전력설비
CN205809234U (zh) 一种智能电缆绝缘监视箱
KR102626362B1 (ko) 전기패널의 안전감지 및 이상점검이 가능한 시스템
CN211017829U (zh) 一种具有防触电功能的高压出线柜
CN203846895U (zh) 机车人孔盖安全防护装置
CN103337798A (zh) 矿用隔爆型高压真空配电装置
CN209232114U (zh) 一种高压带电感应报警装置
CN214377985U (zh) 一种带有防盗装置的户外变压器
CN208013320U (zh) 具有无线遥控功能的井下电网远方漏电保护试验装置
CN207459538U (zh) 一种验电接地手车装置
CN207282360U (zh) 一种开关柜防误闭锁装置
CN202512680U (zh) 一种变压器防破坏防盗窃远程监控装置
CN207424152U (zh) 配电室高压电缆单相接地报警装置
CN205882450U (zh) 多功能开关柜防误闭锁装置
CN210835123U (zh) 网压检测单元
KR102547990B1 (ko) 전자기에너지 하베스터에 의해 작동하는 냉각팬이 장착된 전력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