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156B1 -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156B1
KR102382156B1 KR1020200170261A KR20200170261A KR102382156B1 KR 102382156 B1 KR102382156 B1 KR 102382156B1 KR 1020200170261 A KR1020200170261 A KR 1020200170261A KR 20200170261 A KR20200170261 A KR 20200170261A KR 102382156 B1 KR102382156 B1 KR 10238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hollow tube
long hole
hook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모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28Tools for removing or installin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2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plit pins or circlips
    • B25B27/205Pliers or tweezer type tools with tow actua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25B33/005Chuck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공과 손잡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 배치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양측단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의하여 조립 설치되는 웜과, 상기 웜을 정역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웜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웜의 회전에 따라 하나는 중공관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중공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훅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압력 발생 설비 및 기관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의 교체 및 정비 시에 용이하게 분해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Pressure seal ring dis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압력 발생 설비 및 기관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의 교체 및 정비 시에 용이하게 분해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은,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실용 제20-0459237호 “피스톤 링 분해장치”등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링 분해장치"는, 피스톤 링의 분해를 위해 앤드갭을 벌려 피스톤 링을 확장시킬 때, 홀더의 삽입편과 고정편이 피스톤 링을 고정하여 작업중 피스톤 링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고 하고 있지만, 차량 엔진의 피스톤에 조립된 피스톤 링처럼 소형 링 분해용으로 적합하고 발전소의 대형 설비의 피스톤에 조립된 대형 피스톤 링 등처럼 규격이 큰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의 분해 작업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해장치는, 앤드갭 기준으로 고정편이 닺는 부분까지 피스톤 링이 펴지도록 하는 작용이 이루어져 핸들이 움직일 때나 작업자세가 좋지 못해 움직임 있는 경우 피스톤 링의 복원 탄성력에 의하여 피스톤 링이 쉽게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링의 이탈 시 피스톤 표면의 손상과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과 피스톤 링처럼 고온, 고압 등 극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약간의 흠집이나 찍힘에 의해서도 기밀성이 저하되고, 계속된 운전 시 흠집 및 틈 주변으로 와류를 형성시켜 설비의 침식과 파손을 가속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제20-0459237호 "피스톤 링 분해장치" (공고 2012.03.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압력이 발생하는 설비에서 기밀을 유지 하는 실링의 교체 및 정비 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설비에 설치된 실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링의 앤드부를 직선 이동을 통해 쉽게 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된 틈새 홈에 대응하도록 한 한쌍의 훅크부를 이용하여 실링의 앤드부를 벌려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을 안전하게 벌릴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훅크는 중공관에 형성된 장공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픽싱 훅크는 중공관의 타측단에 부착시켜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 훅크을 통해 실링을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공관 내에 베어링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웜에 슬라이딩 훅크가 기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웜의 회전시 슬라이딩 훅크의 이동이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훅크의 반대측 중공관에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실링 분해장치를 안정된 자세로 잡고 실링 분해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웜의 일측 단에 조작핸들을 설치함으로써, 웜의 정역회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핸들의 회전을 통해 실링의 간극을 벌려 분해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공관에 형성된 손잡이를 안정되게 잡고서 실링의 분해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실리의 분해 및 조립시 실링의 탄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0도 내에서 훅크가 움직일 수 있도록 훅크에 회동 제한 면을 형성함으로써,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된 틈새 홈에 걸린 훅크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 핀과 평행핀 만 분리하면 훅크부의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실링의 앤드부 변경에 따라 준비된 맞춤 훅크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링의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공과 손잡이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 배치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양측단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의하여 조립 설치되는 웜과, 상기 웜을 정역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웜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웜의 회전에 따라 하나는 중공관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중공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훅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훅크부는, 중공관의 장공을 웜의 회전시 이동하여 실링의 일측 앤드부를 벌릴 수 있도록 중공관에 조립 설치되는 슬라이딩 훅크와, 상기 슬라이딩 훅크에 대응하여 실링의 타측 앤드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공의 일측 끝단 중공관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픽싱 훅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훅크는, 중공관의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 설치되는 슬라이더부와,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된 앤드갭에 밀어 넣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부에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평행핀으로 조립 설치되는 벌림 걸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중공관의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형성되는 안내 목판과, 안내 목판의 하단에 웜과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는 기어판과, 상기 안내 목판의 상단에 장공 이동을 보조하고 장공의 선상 기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중심선상에 돌출되고 안장형 몸체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핀홀이 뚫려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 훅크는, 중공관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부에 대응하도록 일측 중공관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픽싱몸체와,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된 앤드갭에 밀어 넣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픽싱몸체에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평행핀으로 조립 설치되는 벌림 걸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 몸체는, 장공의 일측 끝단 중공관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면서 장공의 선상 기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중심선상에 돌출되고 안장형 몸체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핀홀이 뚫려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벌림 걸쇠부는, 안착 가이드에 삽입되고 평행핀으로 통공을 통해 조립 설치되면서 실링의 앤드부가 안착되도록 실링 앤드 시트가 형성되는 안장형 몸체와, 상기 안장형 몸체의 실링 앤드 시트 양측에 실링의 앤드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호측판과,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되는 앤드갭에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실링 앤드 시트의 일측 단부상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훅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장형 몸체는, 실링을 벌릴 때 실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실링을 지지하도록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평행핀과 분할핀으로 설치되되, 지지턱에 걸려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회전 제한 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에 의하면, 압력이 발생하는 설비에서 기밀을 유지 하는 실링의 교체 및 정비 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 설비에 설치된 실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실링의 앤드부를 직선 이동을 통해 쉽게 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된 틈새 홈에 대응하도록 한 한쌍의 훅크부를 이용하여 실링의 앤드부를 벌려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을 안전하게 벌릴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훅크는 중공관에 형성된 장공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픽싱 훅크는 중공관의 타측단에 부착시켜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 훅크을 통해 실링을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공관 내에 베어링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웜에 슬라이딩 훅크가 기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웜의 회전시 슬라이딩 훅크의 이동이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훅크의 반대측 중공관에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실링 분해장치를 안정된 자세로 잡고 실링 분해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어링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웜의 일측 단에 조작핸들을 설치함으로써, 웜의 정역회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핸들의 회전을 통해 실링의 간극을 벌려 분해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공관에 형성된 손잡이를 안정되게 잡고서 실링의 분해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실리의 분해 및 조립시 실링의 탄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30도 내에서 훅크가 움직일 수 있도록 훅크에 회동 제한 면을 형성함으로써, 실링의 앤드부에 형성된 틈새 홈에 걸린 훅크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 핀과 평행핀 만 분리하면 훅크부의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실링의 앤드부 변경에 따라 준비된 맞춤 훅크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링의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A-A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슬라이딩 훅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2)과 손잡이(14)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 배치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중공관(10)과, 상기 중공관(10)의 양측단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22)에 의하여 조립 설치되는 웜(20)과, 상기 웜(20)을 정역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웜(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30)과, 상기 웜(20)의 회전에 따라 하나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중공관(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훅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훅크부(40)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웜(20)의 회전시 이동하여 실링(4)의 일측 앤드부(6)를 벌릴 수 있도록 중공관(10)에 조립 설치되는 슬라이딩 훅크(50)와, 상기 슬라이딩 훅크(50)에 대응하여 실링(4)의 타측 앤드부(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공(12)의 일측 끝단 중공관(10)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픽싱 훅크(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훅크(50)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 설치되는 슬라이더부(52)와, 실링(4)의 앤드부(6)에 형성된 앤드갭에 밀어 넣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부(52)에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평행핀(42)으로 조립 설치되는 벌림 걸쇠부(h)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부(52)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형성되는 안내 목판(52a)과, 안내 목판(52a)의 하단에 웜(20)과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53)가 형성되는 기어판(52b)과, 상기 안내 목판(52a)의 상단에 장공(12) 이동을 보조하고 장공(12)의 선상 기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2c)과, 상기 지지턱(52c)의 중심선상에 돌출되고 안장형 몸체(h1)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핀홀(54)이 뚫려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5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픽싱 훅크(60)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부(52)에 대응하도록 일측 중공관(10)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픽싱몸체(62)와, 실링(4)의 앤드부(6)에 형성된 앤드갭에 밀어 넣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픽싱몸체(62)에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평행핀(42)으로 조립 설치되는 벌림 걸쇠부(h)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픽싱 몸체(62)는, 장공(12)의 일측 끝단 중공관(10)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면서 장공(12)의 선상 기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지지턱(62c)과, 상기 지지턱(62c)의 중심선상에 돌출되고 안장형 몸체(h1)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핀홀(54)이 뚫려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6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벌림 걸쇠부(h)는, 안착 가이드(52d,62d)에 삽입되고 평행핀(42)으로 통공(55)을 통해 조립 설치되면서 실링(4)의 앤드부(6)가 안착되도록 실링 앤드 시트(h2)가 형성되는 안장형 몸체(h1)와, 상기 안장형 몸체(h1)의 실링 앤드 시트(h2) 양측에 실링(4)의 앤드부(6)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호측판(h3)과, 실링(4)의 앤드부(6)에 형성되는 앤드갭에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실링 앤드 시트(h2)의 일측 단부상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훅 돌기(h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장형 몸체(h1)는, 실링(4)을 벌릴 때 실링(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실링(4)을 지지하도록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평행핀(42)과 분할핀(44)으로 설치되되, 지지턱(52c,62c)에 걸려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회전 제한 면(h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압력 발생 설비 및 기관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의 교체 및 정비 시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2)를 준비한다. 그리고 훅크부(40)의 슬라이딩 훅크(50)와, 픽싱훅크(60)를 실링(4)의 앤드부(6)에 밀어 넣는다. 이때 훅돌기(h4)들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앤드부(6)의 그루브(실선 화살표의 지시부분)에 진입시켜 걸리도록 한다.
상기 훅크부(40)의 훅돌기(h4)들이 걸린 것을 확인하였으면, 조작핸들(30)을 역회전시켜 본다. 이때 앤드부(6)가 훅돌기(h4)에 걸려 힘을 받으면 정확하게 걸린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조작핸들(30)을 계속해서 역회전시켜 슬라이딩 훅크(50)가 조작핸들(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조작핸들(30)을 역회전시키면 웜(20)이 역회전하고 웜(20)에 결합된 랙기어(53)를 통해 기어판(52b)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기어판(52b)을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슬라이더부(52)는 중공관(10)에 형성된 장공(12)을 타고 조작핸들(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부(52)가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딩 훅크(50)는, 픽싱훅크(60)에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실링(4)의 앤드부(6)는, 슬라이딩 훅크(50)의 이동 간격만큼 벌어지게 된다. 실링(4)이 벌어지면 앤드부(6)는, 벌림 걸쇠부(h)에 형성된 실링 앤드 시트(h2)에 안정적으로 닿게 되고, 주변의 보호측판(h3)은 실링(4)의 앤드부(6)가 탄성력에 의하여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링(4)의 앤드부(6)가 벌어지면, 피스톤 등 압력형성 부품에서 분리한다. 실링(4)이 분리되면, 조작핸들(30)을 정회전시켜 웜(20)에 랙기어(53)로 결합된 슬라이더부(52) 상부의 슬라이딩 훅크(50)가 픽싱 훅크(60)에 근접하도록 한다. 슬라이딩 훅크(50)가 픽싱 훅크(60)에 근접하면, 실링(4)은 앤드부(6)의 간격이 좁혀짐에 따라 탄성력이 해소되고 실링 분해장치(2)에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준비된 실링(4) 새것을 실링 분해장치(2)에 분리 역순 작업을 통해 거치시킨 다음 압력 발생 설비 및 기관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부품에 조립하면 된다. 즉, 대형 압력 발생 설비 및 기관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부품에 실링 분해장치를 이용하면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실링의 정비 점검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4: 실링 6: 앤드부
10: 중공관 12: 장공
14: 손잡이 20: 웜
22: 베어링 30: 조작핸들
40: 훅크부 42: 평행핀
44: 분할핀 50: 슬라이딩 훅크
52: 슬라이더부 52a: 안내 목판
52b: 기어판 52c: 지지턱
52d: 안착 가이드 53: 랙기어
54: 핀홀 55: 통공
60: 픽싱 훅크 62: 픽싱몸체
62c: 지지턱 62d: 안착 가이드
h: 벌림 걸쇠부 h1: 안장형 몸체
h2: 실링 앤드 시트 h3: 보호측판
h4: 훅 돌기 h5: 회전 제한 면

Claims (8)

  1. 장공(12)과 손잡이(14)가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 배치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중공관(10)과,
    상기 중공관(10)의 양측단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22)에 의하여 조립 설치되는 웜(20)과,
    상기 웜(20)을 정역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웜(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30)과,
    상기 웜(20)의 회전에 따라 하나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중공관(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훅크부(40)를 포함하되,
    상기 훅크부(40)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웜(20)의 회전시 이동하여 실링(4)의 일측 앤드부(6)를 벌릴 수 있도록 중공관(10)에 조립 설치되는 슬라이딩 훅크(50)와,
    상기 슬라이딩 훅크(50)에 대응하여 실링(4)의 타측 앤드부(6)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공(12)의 일측 끝단 중공관(10)의 외주면에 부착 설치되는 픽싱 훅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훅크(50)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 설치되는 슬라이더부(52)와,
    실링(4)의 앤드부(6)에 형성된 앤드갭에 밀어 넣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부(52)에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평행핀(42)으로 조립 설치되는 벌림 걸쇠부(h)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52)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형성되는 안내 목판(52a)과,
    안내 목판(52a)의 하단에 웜(20)과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53)가 형성되는 기어판(52b)과,
    상기 안내 목판(52a)의 상단에 장공(12) 이동을 보조하고 장공(12)의 선상 기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2c)과,
    상기 지지턱(52c)의 중심선상에 돌출되고 안장형 몸체(h1)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핀홀(54)이 뚫려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5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훅크(60)는,
    중공관(10)의 장공(12)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부(52)에 대응하도록 일측 중공관(10)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픽싱몸체(62)와,
    실링(4)의 앤드부(6)에 형성된 앤드갭에 밀어 넣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픽싱몸체(62)에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평행핀(42)으로 조립 설치되는 벌림 걸쇠부(h)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몸체(62)는,
    장공(12)의 일측 끝단 중공관(10)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면서 장공(12)의 선상 기준에서 양쪽으로 돌출되는 지지턱(62c)과,
    상기 지지턱(62c)의 중심선상에 돌출되고 안장형 몸체(h1)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핀홀(54)이 뚫려 형성되는 안착 가이드(6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 걸쇠부(h)는,
    안착 가이드(52d,62d)에 삽입되고 평행핀(42)으로 통공(55)을 통해 조립 설치되면서 실링(4)의 앤드부(6)가 안착되도록 실링 앤드 시트(h2)가 형성되는 안장형 몸체(h1)와,
    상기 안장형 몸체(h1)의 실링 앤드 시트(h2) 양측에 실링(4)의 앤드부(6)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호측판(h3)과,
    실링(4)의 앤드부(6)에 형성되는 앤드갭에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실링 앤드 시트(h2)의 일측 단부상에 돌출시켜 형성되는 훅 돌기(h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형 몸체(h1)는,
    실링(4)을 벌릴 때 실링(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실링(4)을 지지하도록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평행핀(42)과 분할핀(44)으로 설치되되, 지지턱(52c,62c)에 걸려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회전 제한 면(h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KR1020200170261A 2020-12-08 2020-12-08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KR10238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61A KR102382156B1 (ko) 2020-12-08 2020-12-08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61A KR102382156B1 (ko) 2020-12-08 2020-12-08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156B1 true KR102382156B1 (ko) 2022-04-04

Family

ID=8118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261A KR102382156B1 (ko) 2020-12-08 2020-12-08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814A (ko) * 2021-01-14 2022-07-21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플런저의 슬리브 접촉링 교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9778A (zh) * 2011-06-03 2011-09-14 彭峻崎 快速台虎钳
KR200459237Y1 (ko) 2007-11-15 2012-03-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피스톤 링 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37Y1 (ko) 2007-11-15 2012-03-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피스톤 링 분해장치
CN102179778A (zh) * 2011-06-03 2011-09-14 彭峻崎 快速台虎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814A (ko) * 2021-01-14 2022-07-21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플런저의 슬리브 접촉링 교체장치
KR102483588B1 (ko) 2021-01-14 2023-01-02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기용 플런저의 슬리브 접촉링 교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156B1 (ko) 압력 기밀 유지용 실링 분해장치
US5106129A (en) Flexible coupling for transferring a fluid between two fluid conduits
GB2269651A (en) Parallel-sided gate valve
KR910020348A (ko) 분할식 기계면시일
RU2696665C2 (ru) Клапан с параллельной задвижкой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клапана с параллельной задвижкой
KR101656982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US7458559B2 (en) Bi-directional knife gate valve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31427A (ko) 나이프 게이트 밸브
JP6084892B2 (ja) ガスシール装置
MA35126B1 (fr) Bride de raccordement d'une tuyauterie hydraulique ou pneumatique d'une machine industrielle
JPS6326469A (ja) 弁シ−ル装着方法及び装置
KR870008124A (ko) 특히 유압식 로울축수 발출장치의 내부실린더를 로울러저널상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어닛 폐쇄기구를 가진 축저어널
JP2005121009A (ja) ターボジェット軸対称ノズルの制御ホットフラップシャッタ
US4215870A (en) Rotatable shaft seal
NO342526B1 (en) Replaceable seat pocket assembly
US10030694B2 (en) Adjustable joints
JP2014059039A (ja) メカニカルシール
KR102493911B1 (ko) 팁 홀딩장치
KR200469901Y1 (ko) 가스켓의 센터링 장치
JP2009210101A (ja) ガス栓
JP6759510B2 (ja) 無摺動弁
JP2006214451A (ja) 筐体装置
JP2012241833A (ja) 軸封装置
CN220673346U (zh) 插接箱安装组件
CN213686878U (zh) 一种可剖分式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