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068B1 -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068B1
KR102382068B1 KR1020220025307A KR20220025307A KR102382068B1 KR 102382068 B1 KR102382068 B1 KR 102382068B1 KR 1020220025307 A KR1020220025307 A KR 1020220025307A KR 20220025307 A KR20220025307 A KR 20220025307A KR 102382068 B1 KR102382068 B1 KR 10238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site
educational
category
terminal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to KR102022002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website that provides learners with an environment for us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for learning}
본 발명은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환경을 교사에게 지원하여 학습자와 교사가 소통할 수 있는 교육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에듀테크(Education Technology)시장은 확대되고 있으나 그 성장세는 세계시장 대비 낮고, 영세사업자 비중이 높다.
예컨대, 소수의 대형사업자들에게 매출이 집중되는 한편, 전체 사업자 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영세사업자의 매출은 1.6%에 불과해 산업 내 양극화가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형 에듀테크 기업은 기존 에듀테크 스타트업을 인수하면서 유망 에듀테크 스타트업을 직접 발굴 및 지원하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학습 서비스, 게임기반 학습, 외국어 교육, 코딩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고, 비대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는 에듀테크 확산을 위해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으며, 국내 교육서비스 및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코로나19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에게 자사 서비스 무료 이용 혜택을 주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도, 세계 에듀테크 시장규모가 2025년 3,420억 달러로 예상되어 2018년 1,530억 달러 대비 2배 이상 확대될 것이며,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상장기업도 100개 이상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가운데, 종래 학교 및 학원 교육은 다수의 학습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용인원의 한계와 학습효율성 하락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수준별 눈높이 학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방송 매체인 TV 등을 이용한 교육에서는 상호간 쌍방향 교류 혹은 질의응답이 이루어질 수 없고, 불특정 다수에게 교육을 진행함으로 인해 학습자의 구체적인 여건 등을 고려할 수 있다는 문제점 등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상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제안되어 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
온라인 교육 서비스 이용자(즉, 학습자)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교육 콘텐츠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도 대부분 학습자의 학습능력, 학습특성이나 학습일정에 관계없이, 학습자가 선택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기설정된 방법에 따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하는 과목의 교사 또는 강사가 칠판 앞에 서서 미리 설정된 학습일정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는 동영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능력, 학습일정에 따라 적절한 교육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을지라도, 학습자는 정해진 온라인 교육시간 내내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과 문제풀이 모습을 보게 되므로, 학습자와 교사의 양방향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는 지루한 수업환경을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즉, 오프라인 상의 교육과 같은 원활한 소통방식의 양방향 교육을 실현하면서도,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코로나 사태 이후, 직접 서로 대면하게 될 오프라인 교육에서도 흥미로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웹사이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6822호(2019.12.1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이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환경을 교사에게 지원하여 학습자와 교사가 소통할 수 있는 교육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사가 자발적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교육용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는 교육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학습자, 학부모, 교사 및 판매자가 포함된 사용자와 상기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ID와 비밀번호를 전송받는 로그인 관리부; 상기 교육 웹사이트의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단말이 교육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상기 교육 웹사이트를 이루는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카테고리 설정부; 상기 교육 웹사이트에 등록될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용 콘텐츠를 연산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웹사이트는, 상기 학습자 및 교사에게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웹사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웹사이트로 액세스되도록 상기 복수의 웹사이트와 연동된 메인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환경을 교사에게 지원하여 학습자와 교사가 소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용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여 교사가 자발적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과활동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활동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활동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자료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자료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웹사이트의 제작 및 액세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동영상 업로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100)(이하에서는 '관리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단말(10) 및 교육 웹사이트(2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로그인 관리부(110), 프로토콜 설정부(120), 연산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카테고리 설정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단말(10)은 상기 교육 웹사이트(20)를 이용할 학습자가 구비한 학습자 단말(11), 학부모가 구비한 학부모 단말(12), 교사가 구비한 교사 단말(13), 교육상품 및/또는 복지상품의 판매자가 구비한 판매자 단말(14), 상기 관리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구비한 관리자 단말(15)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은 학습자, 학부모, 교사 및 판매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와 관리자의 수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자는 초등학교 1~6학년까지의 저학년 아동일 수 있고,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 뿐만 아니라, 상기 교육 웹사이트(20)를 운영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상기 단말(10)은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교육 웹사이트(20)를 표시하고,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가입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ID로 로그인하여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일 예로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1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 웹사이트(20)는 메인 웹사이트(21),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 블로그 웹사이트(23),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 교육 연수 웹사이트(27), 쇼핑몰 웹사이트(28) 및 학급소통 웹사이트(29)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은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구성되는 웹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웹사이트에 액세스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3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로그인 관리부(110)는 상기 네트워크(30)를 통해 상기 단말(10)로부터 사용자와 관리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ID 정보가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ID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ID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ID 및 비밀번호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단말(10)이 교육 웹사이트(20)에 액세스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그인 관리부(110)는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ID가 로그인되지 않고,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로그인 카테고리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로그인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 제어신호는 상기 단말(10)의 디스플레이 터치 또는 마우스, 리모컨 등의 외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로그인 관리부(110)는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ID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ID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10)에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회원가입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 후, 회원가입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한다.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120)는 상기 단말(10)이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포함된 각 웹사이트들의 프로토콜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은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120)의 프로토콜 설정을 통해 상기 메인 웹사이트(21),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 블로그 웹사이트(23),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 교육 연수 웹사이트(27), 쇼핑몰 웹사이트(28) 및 학급소통 웹사이트(29) 중 적어도 하나의 웹사이트에 액세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메인 웹사이트(21)는 나머지 상기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 블로그 웹사이트(23),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 교육 연수 웹사이트(27), 쇼핑몰 웹사이트(28) 및 학급소통 웹사이트(29)와 연동됨으로써, 상기 단말(10)이 상기 메인 웹사이트(21)에 액세스된 후, 상기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 블로그 웹사이트(23),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 교육 연수 웹사이트(27), 쇼핑몰 웹사이트(28) 및 학급소통 웹사이트(29) 중 적어도 하나의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교육용 콘텐츠를 연산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데, 상기 상기 연산부(130)가 교육용 콘텐츠를 연산 및 분류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교과활동 콘텐츠(2110)를 연산하여 학년, 학기 및 과목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교과활동 콘텐츠를 교과서 및 상기 교과서의 단원별로 2차 분류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체험활동 콘텐츠(2210)를 연산하여 세부 체험활동 카테고리(2201)에 포함된 교육 테마별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놀이용 콘텐츠(2310)를 연산하여 세부 여가활동 카테고리(2301)에 포함된 놀이 테마별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평가자료 콘텐츠(2410)를 연산하여 학년, 학기, 과목 및 단원별로 분류하고, 상기 교사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문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시험지(2441)를 연산하여 학년, 학기, 과목 및 단원별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교육자료(2510)를 연산하여 세부 교육자료 카테고리(2501)에 포함된 자료 테마별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를 통해 교사가 개인 또는 다른 교사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블로그를 연산하여 상기 블로그를 운영하는 교사의 ID별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를 통해 교사가 부여받는 채널을 연산하여 상기 채널을 호스트별로 분류하고,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 업로드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교육 동영상(2710)을 연산하여 학년 및 과목별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여형 콘텐츠(2810)를 참여형 테마로 분류하며, 상기 참여형 테마는 구체적인 일 예로 퀴즈, 토의/토론, 게시 주제에 대해 상기 교사와 학습자의 소통을 유도하기 위한 게시보드, 상기 교사가 설정한 평가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기 위한 워크시트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상품(2910)을 연산하여 금액 및 교구 테마별로 분류한다.
더 나아가,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교육 연수 웹사이트(27)에 등록되는 교육 연수 콘텐츠를 연산하여 교육 연수 테마별로 분류하고,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28)에 등록되는 교육상품, PB상품 및 복지상품을 금액, 사용 연령대 및 사용 대상별로 분류하며, 상기 학급소통 웹사이트(28)에 등록되는 가정통신문과 알림장을 연산하여 클래스 및 학교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연산부(130)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카테고리 설정부(150)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를 이루는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설정부(150)로부터 설정되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카테고리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계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한정되지 아니하나, 본 발명에서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카테고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웹사이트(21)를 이루는 카테고리로는 교과활동 카테고리(2100), 체험활동 카테고리(2200), 여가활동 카테고리(2300), 평가자료 카테고리(2400), 교육자료 카테고리(2500), 블로그 카테고리(2600), 교육 동영상 카테고리(2700), 참여형 콘텐츠 카테고리(2800) 및 상품 구매 카테고리(290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웹사이트(21)에는 상기 단말(10)이 상기 교육 연수 웹사이트(27)에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 연수 카테고리(27a), 상기 단말(10)이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28)에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쇼핑몰 카테고리(28a) 및 상기 단말(10)이 상기 학급소통 웹사이트(29)에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학급소통 카테고리(29a)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육 연수 웹사이트(27)는 교사에게 직무 연수와 자율 연수 등의 교육 연수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이다.
또한,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28)는 학습자의 학습을 위한 교육상품과 학습자, 학부모, 교사의 복지를 위한 복지상품이 등록되고, 상기 교육상품에는 교사와 판매자가 기획 및 제작한 PB상품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쇼핑몰 웹사이트(28)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PB상품을 제작한 교사 및 판매자의 ID에 교육상품 및/또는 복지상품의 구매 금액을 할인시키는 쿠폰인 포인트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급소통 웹사이트(29)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학습자, 학부모 및 상기 학습자가 소속된 학급의 교사가 소통할 수 있고, 소통을 통해 인쇄물로 전달되었던 가정통신문 및 알림장을 상기 단말(10)로 전달받게 되는 웹사이트일 수 있다.
상기 교과활동 카테고리(21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 액세스되며,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과활동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의 카테고리로는 세부 학년 카테고리(2101), 세부 학기 카테고리(2102) 및 세부 과목 카테고리(2103)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부 학년 카테고리(2101)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학습자의 학년인 초등학교 1~6학년 중 적어도 한 학년의 교과활동 콘텐츠(2110)가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세부 학기 카테고리(2102)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1학기 및 2학기 중 적어도 한 학기의 교과활동 콘텐츠(2110)가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세부 과목 카테고리(2103)는 상기 세부 학년 카테고리(2101)를 통해 학년이 설정된 후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설정된 학년의 필수 과목과 관련된 교과활동 콘텐츠(2110)가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세부 학년 카테고리(2101), 세부 학기 카테고리(2102) 및 세부 과목 카테고리(2103) 각각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는 학년, 학기 및 과목이 설정된 교과활동 콘텐츠(2110)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교과활동 콘텐츠(2110)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는 상기 교과활동 콘텐츠(2110)의 교과서 및 단원별로 구분하기 위한 교과서 및 단원 카테고리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교과서 및 단원 카테고리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교과활동 콘텐츠(2110)는 교과서 및 단원별로 구분된 상태로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에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과활동 콘텐츠(2110)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단말(10)에 저장되는 문서 또는 상기 교과활동 웹페이지(210) 상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과활동 콘텐츠(2110)는 본 발명에서 학습자 지도안, 활동지, 반응형 인터랙티브 및 제작 동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자 지도안은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학습을 위한 교육 방향성을 교사에게 제시하기 위한 문서이고, 상기 활동지는 과목 및 단원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문제와 상기 문제의 답안 및 풀이가 포함된 문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형 인터랙티브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문제 및/또는 해답이 표시되는 반응형 미디어이고, 상기 제작 동영상은 교사가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서 업로드한 교육 동영상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체험활동 카테고리(22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체험활동 웹페이지(211)에 액세스되며, 상기 체험활동 웹페이지(21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활동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험활동 웹페이지(211)의 카테고리로는 세부 체험활동 카테고리(2201)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부 체험활동 카테고리(2201)는 계기 교육, 안전·건강 교육, 인성 교육, 진로 교육, 민주 시민 교육, 인권 교육, 다문화 교육, 통일 교육, 독도 교육, 경제·금융 교육,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 정보 통신 활용 교육, 한자 교육,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체험 활동의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부 체험활동 카테고리(2201)는 상기 카테고리의 그룹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기 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되지 않은 특정 주제에 대해 이루어지는 교육이며, 본 발명에서는 1~12월까지의 특정 기념일에 대한 교육을 의미한다.
상기 세부 체험활동 카테고리(2201)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체험활동 웹페이지(211)에는 상기 카테고리의 교육 정보가 포함된 체험활동 콘텐츠(2210)가 생성된다.
상기 체험활동 콘텐츠(2210)는 상기 체험활동 웹페이지(211) 상에 생성되는 뷰어창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이거나, 상기 단말(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상기 체험활동 웹페이지(211)에 표시되는 문서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여가활동 카테고리(23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여가활동 웹페이지(212)에 액세스되며, 상기 여가활동 웹페이지(21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활동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활동 웹페이지(212)의 카테고리로는 세부 여가활동 카테고리(2301)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부 여가활동 카테고리(2301)는 애니메이션, 음악, 미술, 동화 등의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부 여가활동 카테고리(2301)는 상기 카테고리의 그룹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여가활동 카테고리(2301)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여가활동 웹페이지(212)에는 상기 카테고리의 놀이 테마가 포함된 놀이용 콘텐츠(2310)가 생성된다.
상기 놀이용 콘텐츠(2310)는 학습자가 여가시간에 체험 가능하며 창의성을 자극하는 콘텐츠로서, 상기 여가활동 웹페이지(212) 상에 생성되는 뷰어창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이거나, 상기 단말(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상기 여가활동 웹페이지(212)에 표시되는 문서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평가자료 카테고리(24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에 액세스되며,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자료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의 카테고리로는 세부 학년 카테고리(2401), 세부 학기 카테고리(2402), 세부 과목 카테고리(2403), 세부 단원 카테고리(2404) 및 평가 기준 카테고리(2405)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부 학년 카테고리(2401)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학습자의 학년인 초등학교 1~6학년 중 적어도 한 학년의 평가자료 콘텐츠(2410)가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에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세부 학기 카테고리(2402)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1학기 및 2학기 중 적어도 한 학기의 평가자료 콘텐츠(2410)가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에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세부 과목 카테고리(2403)는 상기 세부 학년 카테고리(2401) 및 세부 학기 카테고리(2402)를 통해 학년 및 학기가 설정될 때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에 생성되고, 상기 평가자료 콘텐츠(2410)가 설정된 학년 및 학기의 필수 과목별로 구분되도록 한다.
상기 세부 단원 카테고리(2404)는 상기 세부 학년 카테고리(2401) 및 세부 학기 카테고리(2402)를 통해 학년 및 학기가 설정될 때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에 생성되고, 상기 평가자료 콘텐츠(2410)가 설정된 학년,학기 및 과목의 단원별로 구분되도록 한다.
상기 평가 기준 카테고리(2405)는 상기 평가자료 콘텐츠(2410)로 학습자의 학습(성취)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카테고리의 그룹이며, 상기 카테고리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과목, 단원, 학기 등으로 평가하기 위한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가자료 콘텐츠(2410)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상, 중, 하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계획서, 상기 평가 계획서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문제가 포함된 시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험지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문제 정보의 조합으로 생성된 콘텐츠일 수 있으나, 교사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213)의 카테고리에는 교사가 상기 시험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평가 문제은행 카테고리(2406)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가 문제은행 카테고리(2406)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단말(10)이 반응형의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에 액세스되도록 한다.
상기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의 카테고리로는 제1 반응형 카테고리(2420), 제2 반응형 카테고리(2430) 및 제3 반응형 카테고리(244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의 이미지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0)은 상기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에 액세스될 때 상기 제1 반응형 카테고리(2420)가 선택된 상태의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 액세스된다.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서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학년/학기(2421), 과목(2422), 단원(2423), 전체 문항수/각 문항의 난이도(2424)가 포함된 시험지의 출제조건이 입력(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원(2423)은 하나 이상으로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전체 문항수/각 문항의 난이도(2424)에서 전체 문항수는 10, 15, 20, 25개 또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직접 입력되는 개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문항의 난이도는 상, 중, 하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는 시험지의 생성을 취소하기 위한 이전 아이콘(2425)과 상기 시험지를 생성하기 위한 다음단계인 제2 제작 슬라이드(22b)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다음 아이콘(2426)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교사가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다음 아이콘(2426)에 이벤트 제어신호를 입력할 때, 상기 단말(10)은 제2 반응형 카테고리(2430)가 선택된 상태의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 액세스된다.
상기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서는 상기 시험지의 문제(2431)와 문제 목록(2432)이 생성된다.
상기 문제(24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문제 정보 중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서 설정된 단원에 포함된 문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문제 목록(2432)에는 각 문제의 유형, 난이도 및 배점이 표시되며, 상기 각 문제는 교사가 상기 단말(10)을 통해 교체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문제의 유형에는 단답형, 선다형, 서술형이 나누어질 수 있으며, 난이도는 상, 중, 하로 나누어질 수 있고, 배점은 각 문제의 점수로서 총 문제의 배점합계와 난이도에 따라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목록(2432)에서 문제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단말(10)에 문제와 관련된 검색어의 입력이 가능한 뷰어창이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뷰어창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문제 정보 중 상기 검색어와 음절이 중복되는 문제 정보가 상기 뷰어창에 표시되도록 하며, 교사는 상기 뷰어창에 표시된 문제 정보를 선택하여 문제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서의 출제조건이 동일하다 하여도 상기 단말(10)이 상기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 액세스될 때마다 문제(2431) 및 문제 목록(2432)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는 상기 단말(10)이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이전 아이콘(2433)과 시험지를 생성하기 위한 다음단계인 제3 제작 슬라이드(22c)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다음 아이콘(2434)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교사가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다음 아이콘(2434)에 이벤트 제어신호를 입력할 때, 상기 단말(10)은 제3 반응형 카테고리(2440)가 선택된 상태의 제3 제작 슬라이드(22c)에 액세스된다.
상기 제3 제작 슬라이드(22c)에서는 상기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서 상기 문제(2431) 및 문제 목록(2432)의 설정을 통해 제작된 시험지(2441)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작 슬라이드(22c)에는 상기 단말(10)이 상기 제2 제작 슬라이드(22b)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이전 아이콘(2442)과 상기 시험지(2441)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와 상기 단말(10)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저장 아이콘(2443)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2, 3 제작 슬라이드(22a, 22b, 22c)에는 상기 단말(10)이 상기 교사의 ID로 제작된 시험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4 제작 슬라이드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시험지 관리 카테고리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 제작 슬라이드(22c)에 표시된 시험지 관리 카테고리(2444)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시험지 관리 카테고리(2444)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단말(10)이 상기 제4 제작 슬라이드에 액세스되도록 하여 상기 교사의 ID로 제작한 시험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험지의 저장이 가능토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10)이 상기 시험지 관리 카테고리(2444)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4 제작 슬라이드로 액세스될 때, 상기 제1, 2, 3 제작 슬라이드(22a, 22b, 22c)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작 중인 시험지의 문제 및 상기 문제의 순서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시험지에 대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자료 카테고리(25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교육자료 웹페이지(214)에 액세스되며, 상기 교육자료 웹페이지(21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자료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교육자료 웹페이지(214)의 카테고리로는 학습자의 교육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기 위한 세부 자료 카테고리(2501)와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교육자료 콘텐츠(2510)의 제작을 요청하기 위한 제작 요청 카테고리(2502)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부 자료 카테고리(2501)는 교사가 관리하는 학급의 경영에 필요한 학급경영 자료, 학습자의 교과활동과 연계된 퀴즈 또는 게임용 자료, 상기 학습자의 교육을 위해 필요한 수업도구, 지역별 특성 교과자료, 온라인 수업 자료의 양식을 제공하기 위한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부 자료 카테고리(2501)는 상기 카테고리의 그룹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자료 카테고리(2501)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교육자료 웹페이지(214)에는 상기 카테고리의 자료로 이루어진 교육자료 콘텐츠(2510)가 생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블로그 카테고리(26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블로그 웹사이트(23)에 액세스되며,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는 홈 카테고리(2601), 인기 카테고리(2602), 구독 카테고리(2603) 및 스크랩 카테고리(260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 카테고리(2601)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날짜 또는 조회수를 기준으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등록된 블로그 게시물(2610)이 정렬된 상태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인기 카테고리(2602)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1일, 1주일, 1달, 현재까지의 조회수를 기준으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등록된 블로그 게시물(2610)이 정렬된 상태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표시되도록 하고, 구독자 수, 게시글 수, 좋아요 수를 기준으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등록된 블로그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구독 카테고리(2603)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로그인된 ID로 구독 설정한 블로그가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랩 카테고리(2604)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로그인된 ID로 스크랩한 블로그 게시물(2610)이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는 표시될 블로그의 테마를 설정하기 위한 태그(2605)가 포함되며, 상기 태그(2605)에 표시된 테마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테마의 블로그 게시물(2610)이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는 교사가 개인 또는 공동으로 운영할 블로그의 개설을 신청하기 위한 블로그 신청 카테고리(2606)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블로그 웹사이트(23)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교사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트는 상기 블로그 게시물(2610)이 등록될 때마다 상기 블로그 게시물(2610)을 등록한 교사에게 부여되고, 상기 블로그 게시물(2610)의 주제가 될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할인시키는 특정 할인율의 쿠폰 또는 상기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일정 금액만큼 차감하기 위한 쿠폰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 동영상 카테고리(27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 액세스되며,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의 이미지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의 이미지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는 교육 동영상(2710)의 시청, 업로드 및 공유가 가능한 웹사이트로서,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을 통해 테마 카테고리(2701)에 포함된 테마가 선택되거나 검색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은 교과활동, 체험활동, 여가활동과 같이 학습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동영상과 학급의 운영방법과 같이 교사에게 제시하기 위한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고, 교사에 의해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 업로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는 교사가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호스트 신청 카테고리(2702) 및 등록 카테고리(2703)가 구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호스트 신청 카테고리(2702)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이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에 액세스되도록 하고,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 상에 신상 정보(2720)를 입력하여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호스트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신상 정보(2720)에는 교사의 이름, 소속 학교, 이메일, 휴대폰 번호, 공유할 교육 동영상의 주제 및 주소(URL)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신상 정보(2720)가 적절한지 판단하고, 상기 신상 정보(2720)가 적절한 교사에게 호스트로서 교육 동영상(2710)을 촬영/편집하여 연재할 수 있는 채널을 부여하며, 상기 교사에게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제작에 필요한 지원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제작에 필요한 지원비라 함은 일정 금액의 현금일 수 있으나,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주제가 될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할인시키는 특정 할인율의 쿠폰 또는 상기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일정 금액만큼 차감하기 위한 쿠폰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등록 카테고리(2703)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이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215)에 액세스되도록 하고,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215) 상에 교육 동영상 정보(2730)를 입력하여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교육 동영상(2710)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에는 교육 동영상(2710)의 주소(URL), 썸네일, 제목, 카테고리 그룹 및 카테고리, 대상 학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가 적절한지 판단하고, 학습자가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서 교육 동영상(2710)의 시청이 가능토록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가 등록된 교육 동영상(2710)을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 업로드한다.
더 나아가,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 교육 동영상(2710)이 업로드될 때,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업로드를 요청한 교사의 ID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트는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주제가 될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할인시키는 특정 할인율의 쿠폰 또는 상기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일정 금액만큼 차감하기 위한 쿠폰일 수 있으나,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에 포함된 대상 학년의 정보에 따라 다르게 지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포인트는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대상 학년이 초등학교 1학년 또는 2학년일 때 2 %, 초등학교 3학년일 때 4 %, 초등학교 4학년일 때 6 %, 초등학교 5학년일 때 8 %, 초등학교 6학년일 때 10%만큼 차감하는 쿠폰일 수 있고,
즉, 상기 포인트는 대상 학년이 고학년일수록,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주제가 될 교육상품의 금액을 크게 차감하는 쿠폰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교육상품의 금액 차감율을 달리하는 것은 대상 학년이 고학년일수록,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수준이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상기 포인트의 부여는 교사에게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의 제작 및 등록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는 다양한 유형의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을 시청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게 되고, 상기 교사를 제외한 다른 교사들은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을 시청하여 학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참여형 콘텐츠 카테고리(28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교사와 학습자 간 실시간 소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2810)를 제작 및 제공하기 위한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에 액세스되며, 상기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의 이미지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는 교사에게 상기 참여형 콘텐츠(2810)를 직접 용이하게 제작 가능한 맞춤형 제작환경을 지원하고, 학습자에게 상기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형 콘텐츠(2810)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지원함으로써, 상기 참여형 콘텐츠(2810)의 이용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자에게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는 검색창(2801)에 검색어가 입력되거나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을 통해 태그 카테고리(2802)에 포함된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참여형 콘텐츠(281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참여형 콘텐츠(2810)에는 교사가 설정하는 퀴즈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퀴즈 콘텐츠, 교사가 설정하는 토의/토론 주제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유도하는 방식의 토의/토론 콘텐츠, 교사가 설정하는 게시 주제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 간 소통을 유도하는 방식의 게시보드 콘텐츠 및 교사가 설정하는 평가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워크시트 콘텐츠가 포함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구매 카테고리(2900)에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10)은 교사 또는 학습자가 구매 가능한 상품(2910)을 제공하기 위한 상품 구매 웹페이지(216)에 액세스되며, 상기 상품 구매 웹페이지(21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웹페이지의 이미지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구매 웹페이지(216)는 이벤트 제어신호의 입력을 통해 세부 상품 카테고리(2901)에 포함된 상품 카테고리가 선택되거나 검색창(2902)에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상품(2910)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품(2910)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 협업하는 업체에서 단독 제작한 PB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2910)의 구매 금액은 학습자, 학부모 및 교사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활동 정도에 따라 교사끼리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제작 및 액세스 방법(S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웹사이트의 제작 및 액세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교육 웹사이트 제작 및 액세스 방법(S10)에서는 카테고리 설정단계(S11), 교육용 콘텐츠 저장단계(S12), 프로토콜 설정단계(S13), 로그인단계(S14), ID 및 비밀번호 판단단계(S15), 회원가입 안내단계(S16) 및 교육 웹사이트 액세스단계(S17)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카테고리 설정부(150)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를 이루는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S11).
그 후, 교육용 콘텐츠인 교과활동 콘텐츠(2110), 체험활동 콘텐츠(2210), 여가활동 콘텐츠(2310), 평가자료 콘텐츠(2410), 교육자료 콘텐츠(2510), 참여형 콘텐츠(2810) 및 상품(2910)은 상기 교육 웹사이트(20)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고, 교사가 등록하는 블로그의 게시물(2610) 및 교육 동영상(2710)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면,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연산 및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S12).
그 후,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120)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포함되는 메인 웹사이트(21),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 블로그 웹사이트(23),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26), 교육 연수 웹사이트(27), 쇼핑몰 웹사이트(28) 및 학급소통 웹사이트(29)의 프로토콜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S13).
그 후, 상기 단말(10)은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로그인할 수 있고(S14), 상기 로그인 관리부(110)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액세스한 단말(10)의 ID 및 비밀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ID의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
이때 만약, ID 및 비밀번호의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S15-NO), 상기 로그인 관리부(110)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의 회원가입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상기 단말(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한 후, 상기 단말(10)이 회원가입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만약, ID 및 비밀번호의 매칭이 이루어지는 경우(S15-YES), 상기 로그인 관리부(110)는 상기 단말(10)이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액세스되도록 한다(S17).
이하에서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포함된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를 이용한 시험지 생성 방법(S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지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시험지 생성 방법(S20)에서는 제1 반응형 카테고리 액세스단계(S21), 출제조건 입력단계(S22), 제1 이벤트 제어신호 입력단계(S23), 시험지 생성 취소단계(S24), 제2 반응형 카테고리 액세스단계(S25), 문제 순서 및 배점 검토단계(S26), 제2 이벤트 제어신호 입력단계(S27) 및 시험지 검토 및 저장단계(S28)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22)에 액세스될 때 상기 제1 반응형 카테고리(2420)가 선택된 상태의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 액세스될 수 있다(S21).
그 후, 상기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22a)에서 학년/학기(2421), 과목(2422), 단원(2423) 및 전체 문항수/각 문항의 난이도(2424)가 포함된 시험지의 출제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S22).
그 후, 상기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시험지의 생성을 취소하기 위한 이전 아이콘(2425)과 상기 시험지를 생성하기 위한 다음단계인 제2 제작 슬라이드(22b)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다음 아이콘(2426)에 이벤트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23).
이때 만약, 상기 이전 아이콘(2425)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23-NO), 상기 시험지의 생성 과정은 취소될 수 있다(S24).
이와 달리 만약, 상기 다음 아이콘(2426)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23-YES), 상기 단말(10)은 제2 반응형 카테고리(2430)가 선택된 상태의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 액세스될 수 있다(S25).
그 후, 상기 교사는 상기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 표시된 문제(2431)와 문제 목록(2432)을 통해 문제의 순서 및 배점을 검토할 수 있다(S26).
그 후, 상기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제1 제작 슬라이드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이전 아이콘(2433)과 시험지를 생성하기 위한 다음단계인 제3 제작 슬라이드(22c)로 액세스되도록 하기 위한 다음 아이콘(2434)에 이벤트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27).
이때 만약, 상기 이전 아이콘(2433)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27-NO), 상기 단말(10)은 상기 제2 반응형 카테고리가 선택된 제2 제작 슬라이드(22b)에 액세스될 수 있다(S25).
이와 달리 만약, 상기 다음 아이콘(2434)에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27-YES), 상기 단말(10)은 제3 반응형 카테고리(2440)가 선택된 상태의 제3 제작 슬라이드(22c)에 액세스되고, 상기 교사는 상기 문제(2431) 및 문제 목록(2432)의 설정을 통해 제작된 시험지(2441)를 검토한 후 저장할 수 있다(S28).
이하에서는, 상기 교육 웹사이트(20)에 포함된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를 이용한 교육 동영상 업로드 방법(S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동영상 업로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교육 동영상 업로드 방법(S30)에서는 호스트 신청단계(S31), 신상 정보 판단단계(S32), 신상 정보 수정 요청단계(S33), 채널 부여 및 지원비 제공단계(S34), 교육 동영상 제작단계(S35), 교육 동영상 등록 요청단계(S36), 교육 동영상 정보 판단단계(S37), 교육 동영상 정보 수정 요청단계(S38) 및 교육 동영상 업로드 및 포인트 부여단계(S39)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25)에 신상 정보(2720)를 입력하여 호스트를 신청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교육 동영상(2710)의 호스트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S31).
그 후,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신상 정보(2720)가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S32).
이때 만약, 상기 신상 정보(2720)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S32-NO),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교사에게 신상 정보(2720)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S33).
이와 달리 만약, 상기 신상 정보(2720)가 적절한 경우(S32-YES), 상기 교사에게 호스트로서 상기 교육 동영상(2710)을 연재하기 위한 채널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교육 동영상의 제작에 필요한 지원비를 제공할 수 있다(S34).
그 후, 상기 교사는 학습자가 또는 다른 교사들이 시청할 교육 동영상(2710)을 제작할 수 있다(S35).
그 후, 상기 교사는 상기 단말(10)을 통해 상기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215) 상에 교육 동영상 정보(2730)를 입력하여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교육 동영상(271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36).
이때 만약,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S37-NO),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상기 교사에게 교육 동영상 정보(2730)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S38).
이와 달리 만약,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가 적절한 경우(S37-YES),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 또는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학습자 또는 다른 교사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가 등록된 교육 동영상(2710)을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24)에 업로드할 수 있고,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2730)에 포함된 대학 학년에 따라 교사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S39).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단말, 11: 학습자 단말,
12: 학부모 단말, 13: 교사 단말,
14: 판매자 단말, 15: 관리자 단말,
20: 교육 웹사이트, 21: 메인 웹사이트,
22: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 23: 블로그 웹사이트,
24: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 25: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
26: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 27: 교육 연수 웹사이트,
28: 쇼핑몰 웹사이트, 29: 학급소통 웹사이트,
30: 네트워크, 100: 관리 시스템,
110: 로그인 관리부, 120: 프로토콜 설정부,
130: 연산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카테고리 설정부, 210: 교과활동 웹페이지,
211: 체험활동 웹페이지, 212: 여가활동 웹페이지,
213: 평가자료 웹페이지, 214: 교육자료 웹페이지,
215: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 216: 상품 구매 웹페이지,
2100: 교과활동 카테고리, 2200: 체험활동 카테고리,
2300: 여가활동 카테고리, 2400: 평가자료 카테고리,
2500: 교육자료 카테고리, 2600: 교사 블로그 카테고리,
2700: 교육 동영상 카테고리, 2800: 참여형 콘텐츠 카테고리,
2900: 상품 구매 카테고리.

Claims (1)

  1.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학습자, 학부모, 교사 및 판매자가 포함된 사용자와 상기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ID와 비밀번호를 전송받는 로그인 관리부;
    상기 교육 웹사이트의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단말이 교육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상기 교육 웹사이트를 이루는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카테고리 설정부;
    상기 교육 웹사이트에 등록될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용 콘텐츠를 연산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웹사이트는,
    상기 학습자 및 교사에게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웹사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웹사이트로 액세스되도록 상기 복수의 웹사이트와 연동된 메인 웹사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웹사이트는,
    상기 단말이 교육 동영상의 시청, 업로드 및 공유가 가능한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교육 동영상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학습자의 교과활동을 학년, 학기, 과목, 교과서 및 단원별로 구분한 교과활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과활동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교과활동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학습자의 창의성을 자극하기 위한 체험활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체험활동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체험활동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학습자가 여가시간에 체험 가능한 놀이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여가활동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여가활동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교사가 이용 가능한 교육자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자료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교육자료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교사와 학습자의 소통을 유도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참여형 콘텐츠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참여형 콘텐츠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교사 또는 학습자가 구매 가능한 상품을 제공하는 상품 구매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상품 구매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교사의 교육 연수를 위한 교육 연수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교육 연수 카테고리;
    상기 단말이 상기 학습자의 학습을 위한 교육상품과 상기 학습자, 학부모 및 교사의 복지를 위한 복지상품의 구매를 위한 쇼핑몰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쇼핑몰 카테고리;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학습자, 학부모 및 상기 학습자가 소속된 학급의 교사가 소통하면서 가정통신문 및 알림장을 전달받기 위한 학급소통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학급소통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상품에는, 상기 교사와 판매자가 기획 및 제작한 PB상품이 포함되며,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관리자에게 호스트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호스트 신청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호스트 신청 카테고리;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교육 동영상의 업로드를 요청하기 위한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등록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동영상 등록 웹페이지는,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에 업로드될 교육 동영상의 주소, 썸네일, 제목, 카테고리 그룹 및 카테고리 및 대상 학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교육 동영상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관리자는,
    상기 교육 동영상이 상기 교육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에 업로드되는 경우, 상기 교육 동영상의 업로드를 요청한 교사의 ID에 상기 교육 동영상의 주제가 될 교육상품의 금액을 할인시키는 특정 할인율의 쿠폰 또는 상기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일정 금액만큼 차감하기 위한 쿠폰인 포인트를 부여하고,
    상기 PB상품을 기획 및 제작한 교사와 판매자의 ID에 상기 교육상품 및/또는 복지상품의 구매 금액을 할인시키는 쿠폰인 포인트를 부여하며,
    상기 포인트는,
    상기 교육 동영상의 주제가 될 교육상품의 금액을 할인시키는 특정 할인율의 쿠폰 또는 상기 교육상품의 구매 금액을 일정 금액만큼 차감하기 위한 쿠폰인 경우, 상기 교육 동영상 정보에 포함된 대상 학년이 초등학교 1학년 또는 2학년일 때 2 %, 초등학교 3학년일 때 4 %, 초등학교 4학년일 때 6 %, 초등학교 5학년일 때 8 %, 초등학교 6학년일 때 10 %만큼 상기 교육상품의 금액을 차감시킴에 따라 상기 대상 학년이 고학년일수록 금액 차감율이 커지게 되는 쿠폰으로서 상기 교육 동영상의 업로드를 요청한 교사의 ID에 부여되고,

    상기 메인 웹사이트는,
    상기 단말이 상기 교사가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자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평가자료 웹페이지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평가자료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자료 콘텐츠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상, 중, 하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계획서; 및
    상기 평가 계획서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정보의 조합으로 생성된 시험지;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자료 웹페이지는,
    이벤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시험지를 생성하기 위한 반응형의 시험지 제작 웹사이트에 액세스되도록 하는 평가 문제은행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7A 2021-08-26 2022-02-25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38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307A KR102382068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71A KR102372363B1 (ko) 2021-08-26 2021-08-26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7A KR102382068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371A Division KR102372363B1 (ko) 2021-08-26 2021-08-26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68B1 true KR102382068B1 (ko) 2022-04-04

Family

ID=8081623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371A KR102372363B1 (ko) 2021-08-26 2021-08-26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10A KR102382071B1 (ko) 2021-08-26 2022-02-25 교사가 자발적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교육용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9A KR102382070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자와 교사가 소통할 수 있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7A KR102382068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11A KR102382072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8A KR102382069B1 (ko) 2021-08-26 2022-02-25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환경을 교사에게 지원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371A KR102372363B1 (ko) 2021-08-26 2021-08-26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10A KR102382071B1 (ko) 2021-08-26 2022-02-25 교사가 자발적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교육용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혜택을 부여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9A KR102382070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자와 교사가 소통할 수 있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311A KR102382072B1 (ko) 2021-08-26 2022-02-25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KR1020220025308A KR102382069B1 (ko) 2021-08-26 2022-02-25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환경을 교사에게 지원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3723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48A (ko) * 2003-04-12 2004-10-20 조달현 교육시스템
KR100620622B1 (ko) * 2005-02-04 2006-09-13 (주)엔알시스템스 개인 웹사이트를 이용한 개인간 전자상거래 중개방법 및시스템
KR20140082560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19748B1 (ko) * 2015-06-18 2016-05-16 주식회사 청암아이티 온톨로지 기반의 스마트 학습 또는 수업 공유 시스템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40029A (ko)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동영상 강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48A (ko) * 2003-04-12 2004-10-20 조달현 교육시스템
KR100620622B1 (ko) * 2005-02-04 2006-09-13 (주)엔알시스템스 개인 웹사이트를 이용한 개인간 전자상거래 중개방법 및시스템
KR20140082560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19748B1 (ko) * 2015-06-18 2016-05-16 주식회사 청암아이티 온톨로지 기반의 스마트 학습 또는 수업 공유 시스템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40029A (ko)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동영상 강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71B1 (ko) 2022-04-04
KR102372363B1 (ko) 2022-03-10
KR102382069B1 (ko) 2022-04-04
KR102382072B1 (ko) 2022-04-04
KR102382070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rgadinata et al. Student’s responses on learning in the early COVID-19 pandemic
Pandit et al. Exploring challenges of online education in COVID times
Shelton et al. Who are online teacherpreneurs and what do they do? A survey of content creators on TeachersPayTeachers. com
Lee Media education in the School 2.0 era: Teaching media literacy through laptop computers and iPads
Sobaih et al. To use or not to use? Social media in higher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Crompton et al. The mobile learning training needs of educators in technology-enabled environments
Fee et al. Teaching computer science through problems, not solutions
Koris et al. Student-customer orientation at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perspective of undergraduate business students
Coryell et al. Implementing e-learning components with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Vital factors and lessons learned
Faruk Islim et al. The use of digital storytelling in elementary Math teachers’ education
Widodo et al. The impact of a blend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n teacher educators’ professional identity: Towards sustainabl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Blewitt et al. Service learning as a high-impact practice: Integrating business communication skills to benefit others
Woodward Building a path to college success: Advocacy, discovery and OER adoption in emerging educational models
Che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usage of a Facebook group
Ajayi et al. Mobile learning and accounting students’ readiness in tertiary and professional institutions in Nigeria
van Rensburg et al. Teachers’ use of Facebook motivating Vietnamese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learning
Wang et al. Understanding students’ participation of intelligent teaching: an empirical study consid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fulness, interactive reward, satisfaction, university support and enjoyment
Brown et al. LinkedIn to classroom community: assessing classroom community on the basis of social media usage
Doo et al. An investigation of under-represented MOOC populations: motivation, self-regulation and grit among 2-year college students in Korea
Mendez-Carbajo et al. Flipping the classroom with econlowdown. org
KR102382069B1 (ko)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제작환경을 교사에게 지원하는 교육 웹사이트의 관리 시스템
Stewart-McKoy " Digitize Me": Generating E-Learning Profiles for Media and Communication Students in a Jamaican Tertiary-Level Institution.
Elenurm Training business students to use online networking for self‐development
Kumar Enriching blended learning and teaching through the use of digital market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ner The role of the university library in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A survey of practices across UK univers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