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012B1 -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012B1
KR102382012B1 KR1020210133772A KR20210133772A KR102382012B1 KR 102382012 B1 KR102382012 B1 KR 102382012B1 KR 1020210133772 A KR1020210133772 A KR 1020210133772A KR 20210133772 A KR20210133772 A KR 20210133772A KR 102382012 B1 KR102382012 B1 KR 10238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astic
pump
main body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준
윤여선
강영구
강현구
Original Assignee
윤여준
윤여선
강영구
강현구
(주)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준, 윤여선, 강영구, 강현구, (주)성덕 filed Critical 윤여준
Priority to KR102021013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12B1/ko
Priority to PCT/KR2022/011523 priority patent/WO20230588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05B11/3045
    • B05B11/3059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홀에 끼워져 본체의 상단에 걸림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하부파이프; 상기 하부파이프 상측에 구비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숄더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통공 내에 하우징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마련된 상부파이프; 상기 숄더부와 상부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파이프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 및 상기 상부파이프 상측에 결합되는 펌핑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PUMP TYPE CONTAINER WITH PLASTIC SPRING}
본 발명은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펌핑버튼부의 누름동작에 의해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누름동작이 수행된 펌핑버튼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철재의 스프링 구조를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로 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유체형태의 생활용품을 담은 용기에는 수동식 소형 펌프가 장치되어 있어서 단순히 펌프를 누름에 의해 내용물이 일정한 양씩 밖으로 토출되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장치는 일명 '디스펜서(dispenser)'라고 하는데, 펌프를 누르면 펌프 내부의 챔버(chamber)안에 들어있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밖으로 토출된다.
이때, 펌프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용기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펌프가 상방으로 원상복귀하면서 용기안의 내용물이 펌프내의 챔버(chamber)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의 예로, 샴푸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샴푸용액을 일정량씩 간편하게 배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과거에는 일반적인 뚜껑으로 덮여져 있고 샴푸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캡이 사용되어 왔으나, 샴푸용기를 가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여 오늘날 샴푸용액의 배출 편리성과 과다한 배출을 억제하여 샴푸용액의 낭비를 방지한다는 구조상의 이점에 의해 대부분의 삼푸 용기에 장착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펌프 용기는 누름동작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펌핑버튼부가 구비되되, 상기 펌핑버튼부가 원상복귀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철재형 스프링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철재형 스프링은 탄성력이 우수하여 펌핑버튼부가 원활하게 원상복귀되도록 하였으나, 대부분의 펌프 용기는 전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만료된 펌프 용기를 분리수거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와 금속 재질의 스프링을 분리하여 버리기가 어려우며, 이에, 펌프 용기 폐기시 재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철재형 스프링은 용기에 수용된 액체의 내용물과 접촉시 부식에 대한 위험성이 있으며, 부식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943(2006.10.10.) 등록특허공보 제10-2200505호(2021.01.04.) 등록특허공보 제10-2293225호(2021.08.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누름동작이 수행된 펌핑버튼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철재의 스프링 구조를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로 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데,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펌핑버튼부의 끝단에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부를 형성함으로써,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 탄성부의 노출된 면을 따라 펌핑버튼부의 상,하 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가 하단부와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리브로 구성되되, 탄성리브는 하단부와 상단부 각각에 3점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가 압축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펌핑버튼부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편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홀이 형성된 본체; 개구홀에 끼워져 본체의 상단에 걸림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하부파이프; 하부파이프 상측에 구비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숄더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통공 내에 하우징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마련된 상부파이프; 숄더부와 상부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파이프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 및 상부파이프 상측에 결합되는 펌핑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탄성부는 스프링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누름동작이 수행된 펌핑버튼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철재의 스프링 구조를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로 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이며, 부식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데,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펌핑버튼부의 끝단에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부를 형성함으로써,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 탄성부의 노출된 면을 따라 펌핑버튼부의 상,하 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가 하단부와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리브로 구성되되, 탄성리브는 하단부와 상단부 각각에 3점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가 압축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펌핑버튼부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편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본체, 하부파이프, 숄더부 및 기밀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숄더부, 상부파이프, 탄성부 및 펌핑버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를 나타낸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기밀부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는 펌핑버튼부(600)의 누름동작에 의해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누름동작이 수행된 펌핑버튼부(6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철재의 스프링 구조를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로 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이며, 부식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본체, 하부파이프, 숄더부 및 기밀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숄더부, 상부파이프, 탄성부 및 펌핑버튼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500)가 구비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접근이 가능한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100), 하부파이프(200), 숄더부(300), 상부파이프(400), 탄성부(500), 펌핑버튼부(600) 및 기밀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00), 하부파이프(200), 숄더부(300), 상부파이프(400), 탄성부(500) 및 펌핑버튼부(600)로 구성된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는 구성 전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폐기시 분리수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는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도면부호 미표시)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배출수단은 본체(100), 하부파이프(200), 숄더부(300), 상부파이프(400), 탄성부(500) 및 펌핑버튼부(600)로 이루어진 구성들 간 유기적인 동작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되, 펌핑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 자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체(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홀(110)이 형성되는 것으로, 개구홀(110) 및 수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상측에 개구된 개구홀(110)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측으로 펌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측에 수결합부(120)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숄더부(300)와 본체(10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수결합부(1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0)의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본체(100)의 세로축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0)가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10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수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본체(100)가 사각형과 같이 다수의 각을 갖는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체(100)의 세로축 단면을 기준으로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 사이의 길이 중 가장 짧은 길이와 수결합부(120)의 지름이 같거나 또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결합부(120)의 외경은 본체(100)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수결합부(120)에 후술되는 숄더부(300)의 암결합부(35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암결합부(350)의 내측으로 수결합부(120)가 끼워지게되는데, 이때, 암결합부(350)가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체(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이 선택적으로 개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도면부호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는 본체(100)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본체(100)의 하측 개구된 공간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체(100)의 상측에 구성되는 하부파이프(200), 숄더부(300), 상부파이프(400), 탄성부(500) 및 펌핑버튼부(600)에 의해 상측 개구홀(110)을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하측 공간을 개방시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충전하거나 또는 본체(100) 내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부파이프(200)는 본체(100)에 형성된 개구홀(110)에 끼워져 본체(100)의 상단에 걸림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통공(210)이 형성되는 것으로, 개구홀(110) 및 걸림턱(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파이프(200)는 후술되는 상부파이프(400)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여 배출수단이 마련되도록 하되, 하측에 개구된 공간을 통해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부파이프(400)를 지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걸림턱(22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파이프(200) 상단에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파이프(200)가 본체(100)의 개구홀(110)로 끼워지면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걸림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수결합부(120) 상단에 걸림된다.
이에, 하부파이프(200)는 본체(10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지 않고, 상단에 걸림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체(100)의 상단면과 걸림턱(220) 사이에는 기밀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결합부(12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결합부(120)가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수결합부(120) 상단면과 걸림턱(22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여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기밀부재(700)는 테프론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바람직하게는, 펌프형 용기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폐기시, 용기 전체와 함께 분리수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숄더부(300)는 하부파이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후술되는 탄성부(500)의 하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관통공(310), 연장부(320), 외벽(330), 끼움결합부(340) 및 암결합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숄더부(300)는 수결합부(120)와 결합되어 상기 수결합부(120)와 하부파이프(200)를 외측에서 차단함으로써, 외부에서 육안상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술되는 탄성부(500)의 하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통공(310)은 숄더부(300)의 상,하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후술되는 상부파이프(400)가 관통되어 하부파이프(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연장부(320)는 본체(100) 상측에 지지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장부(320)는 외주연과 내주연 각각에 후술되는 외벽(330)과 끼움결합부(34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0)에 의해 외벽(330)과 끼움결합부(34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연장부(320)는 하부파이프(200)의 걸림턱(220) 상측에 지지되되, 후술되는 탄성부(50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벽(330)은 연장부(320)의 외측 외주연을 따라 상,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측 개구된 공간은 후술되는 펌핑버튼부(600) 일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외측에 용기의 캡(도면부호 미표시)이 결속되도록 하며,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본체(100)의 수결합부(120)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끼움결합부(340)는 연장부(320)의 내측 내주연을 따라 상,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310)에 후술되는 상부파이프(400)가 관통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후술되는 탄성부(500)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500)가 연장부(320)에 지지되면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하부파이프(200)의 관통공(310)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암결합부(350)는 외벽(33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100)의 수결합부(120)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결합부(120)와 맞물려 본체(100)와 숄더부(30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수결합부(120)와 암결합부(350)는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 나사산 체결에 의한 결합, 돌출부가 홈에 끼워지는 결합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수결합부(120)와 암결합부(350)가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결합부(120)의 외경이 암결합부(350)의 내경과 같거나 크게 이루어져 암결합부(350)에 수결합부(120)가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지도록 구성되거나, 다른 예로, 수결합부(120)와 암결합부(350)가 나사산 체결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결합부(120)의 외주면과 암결합부(350)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00)로부터 숄더부(300)를 회전시켜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또 다른 예로, 수결합부(120)와 암결합부(350)가 돌출부가 홈에 끼워지는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결합부(12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암결합부(350)의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돌출부가 홈에 끼워져 본체(100)와 숄더부(3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파이프(400)는 숄더부(300)의 관통공(310)을 관통하되, 후술되는 탄성부(500)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310)에 끼워져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하부파이프(200)의 통공(210) 내에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마련되는 것으로, 펌핑동작부(410) 및 돌출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파이프(4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핑동작부(410)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파이프(400)의 상단에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탄성부(500)의 상단에 지지된다.
즉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500)는 숄더부(300)의 연장부(320)와 상기 숄더부(300)의 관통공(310)에 끼워진 상부파이프(400)의 펌핑동작부(41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부파이프(400)는 숄더부(300)의 관통공(310)을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이동 과정에서 누름 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고, 탄성부(500)의 탄성에 의해 상측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돌출링(420)은 펌핑동작부(410)의 내부 공간의 측면에 내부 공간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측면은 상부파이프(40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된 배출수단이 결합되어, 상부파이프(400)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배출수단이 함께 상,하 이동됨에 따라, 펌핑에 의해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돌출링(420)의 상측면은 후술되는 펌핑버튼부(600)의 누름벽(620)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펌핑버튼부(600)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누름동작에 의해 펌핑버튼부(600)와 상부파이프(400)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후술되는 탄성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버튼부(600)와 상부파이프(40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자리로 복귀됨으로써,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숄더부(300)와 상부파이프(40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500)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를 나타낸 평면측 단면도이다.
탄성부(500)는 숄더부(300)와 상부파이프(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파이프(400)를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단부(510), 상단부(520) 및 탄성리브(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펌프 용기 폐기시 탄성부(500) 이외의 구성들과 함께 재활용이 가능하여 분리수거가 용이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하단부(510)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숄더부(300)의 연장부(320) 상측에 지지된다.
상단부(520)는 하단부(510)에 대응되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파이프(400)의 펌핑동작부(410) 하측면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리브(530)는 하단부(510)와 상단부(520)를 연결하되,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부(500)가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500)는 숄더부(300)와 상부파이프(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파이프(400)를 탄성지지함으로써, 누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상부파이프(4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펌핑 동작이 이루어져 상부파이프(400)에 마련된 배출수단에 의해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50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로 이격되어 3개 구비되되, 하단부(510)와 상단부(520) 각각에 3점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나선 형태의 탄성리브(530) 3개가 서로 이격되어 하단부(510)와 상단부(5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3개의 탄성리브(530)가 서로 이격되어 하단부(510)와 상단부(520)에 3점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500)가 압축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부파이프(400) 및 후술되는 펌핑버튼부(600)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편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펌핑버튼부(600) 전체를 하측으로 누르는 것이 아닌 펌핑버튼부(6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편심되어 누르는 경우, 탄성리브(530)가 하단부(510) 및 상단부(520) 각각에 3점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균일하게 누르는 힘을 지지하여 압축이 이루어짐으로써, 편심에 의해 펌핑버튼부(600)가 누르는 동작이 유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하단부(510), 상단부(520) 및 탄성리브(530)로 이루어진 탄성부(500)는 스트로크(stroke)가 4.5 내지 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500)의 스트로크는 4.7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로크(stroke)는 왕복 운동 기관에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500)가 압축되었다가 복귀되는 길이의 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탄성부(500)의 스트로크가 4.5mm 보다 작으면, 탄성부(500)의 탄성력이 강하여 사용자가 후술되는 펌핑버튼부(600)를 누르는 과정에서 많은 힘을 소모하게 되어 펌핑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탄성부(500)의 스트로크다 5mm 보다 크면, 탄성부(500)의 탄성력이 낮아 누름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상부파이프(400) 및 펌핑버튼부(6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힘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탄성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520)의 상,하측 두께가 하단부(510)의 상,하측 두께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3개의 탄성리브(530)가 서로 이격되어 하단부(510)와 상단부(520)에 3점식으로 연결됨으로써, 후술되는 펌핑버튼부(600)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편심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펌핑버튼부(600)가 하측으로 눌러지는 과정에서 보다 하단부(510) 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상단부(520)에 1차적으로 누르는 힘이 전달되고, 얇은 두께에 의해 누르는 힘에 저항하는 힘이 감소되어 상단부(520)는 유연하게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편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탄성부(500)의 탄성리브(5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외측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5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531)은 후술되는 펌핑버튼부(600)의 내벽(610)이 누름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531)에 접촉되어 하측으로 유연하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500)가 압축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벽(610)의 하단면이 탄성리브(530)의 상측면에 걸림되어 탄성부(500)의 정상복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누름동작에 의해 펌핑버튼부(600)가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내벽(610)이 탄성부(500)의 탄성리브(530)에 걸림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탄성부(500)는 상,하측이 관통된 원형 단면을 갖는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단부(510)에서 상단부(520)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탄성부(500)가 압축되는 경우, 상측에서 눌러지는 힘에 의해 상단부(52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은 단면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단부(520)에 편심이 가해지더라도 외측으로 밀리는 정도를 제한하여 원활하게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단부(520)가 하단부(510)의 측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심히 가해지더라도 탄성부(500)의 압축과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펌핑버튼부(600)는 상부파이프(400) 상측에 결합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내벽(610) 및 누름벽(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펌핑버튼부(60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름동작에 의해 상부파이프(400)에 마련된 배출수단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게 되고, 상기 펌핑버튼부(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내벽(610)은 펌핑버튼부(6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파이프(400)와 숄더부(300)의 외벽(330) 사이에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끼워진다.
이때, 내벽(6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끝단 하측단 일부분이 외벽(330)의 내측에 끼워진 형태가 유지되어 숄더부(300)와 상부파이프(40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누름동작시 숄더부(300)의 외벽(330) 상측 공간으로 내벽(610)이 인입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내벽(61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 내주면에 끝단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611)는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펌핑버튼부(60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500)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때,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펌핑버튼부(600)의 끝단에 형성된 테이퍼부(611)가 배부름이 발생한 탄성부(500)의 탄성리브(530)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하 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벽(610)과 탄성리브(530)가 서로 걸림되어 탄성부(50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테이퍼부(611)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탄성부(500)의 압축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누름벽(620)은 펌핑버튼부(600)의 내측 공간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파이프(400)의 상측 개구된 공간으로 끼워지되, 상기 상부파이프(400)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링(420)의 상측에 지지된다.
이에, 사용자가 펌핑버튼부(600)를 누르는 과정에서 누름벽(620)은 돌출링(420)을 하측으로 누르게되고, 결과적으로 펌핑버튼부(600)와 상부파이프(400)가 함께 탄성부(500)에 지지된채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에서 기밀부재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기밀부재(70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면과 하부파이프(200)의 걸림턱(220) 사이에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기밀부재(7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0)의 상단면과 하부파이프(200)가 전체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파이프(200)의 상단에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0)은 끝단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상단면은 링 형태의 기밀부재(700) 하측면에 밀접하고, 하부파이프(200)의 외주면은 기밀부재(700)의 내측 외주면에 밀접하며, 걸림턱(220)의 하측면은 기밀부재(700)의 상측면에 밀접하고, 연장부재(221)의 내측 외주면은 기밀부재(700)의 외측 외주면에 밀접하게 됨으로써, 본체(100)와 하부파이프(200) 사이에 기밀부재(700)가 밀폐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기밀부재(7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는 종래에 누름동작이 수행된 펌핑버튼부(6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철재의 스프링 구조를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500)로 치환하여 구성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이며, 부식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500)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데,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펌핑버튼부(600)의 내벽(610) 끝단에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부(611)를 형성함으로써,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 탄성부(500)의 노출된 면에 접촉되어 내벽(610)과 탄성부(500)가 상호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부(500)의 노출된 면을 따라 펌핑버튼부(600)의 상,하 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500)가 하단부(510)와 상단부(520) 및 상기 하단부(510)와 상단부(52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리브(530)로 구성되되, 탄성리브(530)는 하단부(510)와 상단부(520) 각각에 3점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500)가 압축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펌핑버튼부(600)를 균형있게 지지하여 편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펌핑버튼부(600)의 어떠한 부분을 누르더라도 펌핑버튼부(600) 전체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되어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개구홀
120 : 수결합부
200 : 하부파이프 210 : 통공
220 : 걸림턱 221 : 연장부재
300 : 숄더부 310 : 관통공
320 : 연장부 330 : 외벽
340 : 끼움결합부 350 : 암결합부
400 : 상부파이프 410 : 펌핑동작부
420 : 돌출링
500 : 탄성부 510 : 하단부
520 : 상단부 530 : 탄성리브
531 : 경사면
600 : 펌핑버튼부 610 : 내벽
611 : 테이퍼부 620 : 누름벽
700 : 기밀부재

Claims (10)

  1.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홀(110)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개구홀(110)에 끼워져 본체(100)의 상단에 걸림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통공(210)이 형성된 하부파이프(200);
    상기 하부파이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하측으로 관통된 관통공(310)이 형성된 숄더부(300);
    상기 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통공(210) 내에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이 마련된 상부파이프(400);
    상기 숄더부(300)와 상부파이프(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파이프(4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500); 및
    상기 상부파이프(400) 상측에 결합되는 펌핑버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500)는
    스프링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파이프(200)는
    상단에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턱(22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숄더부(300)는
    상기 본체(100) 상측에 지지되는 링 형태의 연장부(320);
    상기 연장부(320)의 외측 외주연을 따라 상,하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외벽(330); 및
    상기 연장부(320)의 내측 내주연을 따라 상,하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끼움결합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파이프(400)는
    상단 외측에 외주연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펌핑동작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320)와 펌핑동작부(410) 사이에 탄성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장부(320)에 지지되는 하단부(510);
    상기 펌핑동작부(4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단부(520); 및
    상기 하단부(510)와 상단부(520)를 연결하는 나선 형태의 탄성리브(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리브(530)는
    서로 이격되어 3개 구비되되,
    상기 하단부(510)와 상단부(520) 각각에 3점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단부(520)의 상,하측 두께는 하단부(510)의 상,하측 두께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싱기 탄성리브(530)는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외측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53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500)는 상,하측이 관통된 원형 단면을 갖는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파이프(4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에 배출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측면에 내부 공간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펌핑버튼부(600)는
    상기 상부파이프(400)와 외벽(330) 사이에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끼워지는 내벽(610); 및
    상기 돌출링(420)의 상측에 지지되는 누름벽(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벽(610)은
    하단 내주면에 끝단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부(61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테이퍼부(611)는
    상기 상부파이프(400)와 펌핑버튼부(600)가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리브(53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과 걸림턱(220) 사이에 구비되는 기밀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단에 본체(10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수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숄더부(300)는
    상기 외벽(330)의 하측에 구비된 암결합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결합부(120)와 암결합부(350)는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 나사산 체결에 의한 결합, 돌출부가 홈에 끼워지는 결합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3772A 2021-10-08 2021-10-08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KR10238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772A KR102382012B1 (ko) 2021-10-08 2021-10-08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PCT/KR2022/011523 WO2023058871A1 (ko) 2021-10-08 2022-08-04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772A KR102382012B1 (ko) 2021-10-08 2021-10-08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12B1 true KR102382012B1 (ko) 2022-04-08

Family

ID=8118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772A KR102382012B1 (ko) 2021-10-08 2021-10-08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2012B1 (ko)
WO (1) WO20230588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71A1 (ko) * 2021-10-08 2023-04-13 윤여준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KR102633089B1 (ko) 2023-03-07 2024-02-02 주식회사 두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990A (en) * 1995-04-19 1998-10-13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Dispensing pump made of plastic for paste-like materials
KR200428943Y1 (ko) 2006-07-20 2006-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디스펜서
KR20160097607A (ko) *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KR20200080209A (ko) * 2020-06-26 2020-07-06 신은주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102200505B1 (ko) 2020-08-07 2021-01-08 이재환 내용물 누액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KR102293225B1 (ko) 2020-11-18 2021-08-25 주식회사 창신 펌프조립체의 결합력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36B1 (ko) * 2019-12-12 2020-12-03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382012B1 (ko) * 2021-10-08 2022-04-08 윤여준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990A (en) * 1995-04-19 1998-10-13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Dispensing pump made of plastic for paste-like materials
KR200428943Y1 (ko) 2006-07-20 2006-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디스펜서
KR20160097607A (ko) * 2015-02-09 2016-08-18 (주)연우 펌핑식 용기의 스프링구조
KR20200080209A (ko) * 2020-06-26 2020-07-06 신은주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용기 핸드펌프
KR102200505B1 (ko) 2020-08-07 2021-01-08 이재환 내용물 누액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펌프
KR102293225B1 (ko) 2020-11-18 2021-08-25 주식회사 창신 펌프조립체의 결합력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71A1 (ko) * 2021-10-08 2023-04-13 윤여준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KR102633089B1 (ko) 2023-03-07 2024-02-02 주식회사 두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71A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012B1 (ko)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KR101390993B1 (ko) 내용물 배출펌프
US9668562B2 (en)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US20210000240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convenient refill structure
JP6217975B2 (ja) 二種内容物混合容器
US10231530B2 (en)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discharge pump having short working stroke
KR102116648B1 (ko) 펌프 용기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AU2020297401B2 (en) Pump assembly and container having content discharge function
KR20080002044U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KR20180085253A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200294064Y1 (ko) 혼합식 화장품 용기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KR20090007715U (ko) 튜브 내장형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110008194U (ko)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KR10224338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CN216187535U (zh) 能够快速出液的按压泵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CN211418160U (zh) 防滴液按压泵
KR100875906B1 (ko) 액체용기의 간헐펌핑장치
KR20090008477U (ko) 접시형 디스펜서 용기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JP3197254U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101486012B1 (ko) 가압식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