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746B1 -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746B1
KR102380746B1 KR1020210194005A KR20210194005A KR102380746B1 KR 102380746 B1 KR102380746 B1 KR 102380746B1 KR 1020210194005 A KR1020210194005 A KR 1020210194005A KR 20210194005 A KR20210194005 A KR 20210194005A KR 102380746 B1 KR102380746 B1 KR 10238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case
water
air
cooling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금영
Original Assignee
이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영 filed Critical 이금영
Priority to KR102022003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117A/en
Priority to KR1020220037380A priority patent/KR20220045120A/en
Priority to KR1020220037378A priority patent/KR20220045119A/en
Priority to KR1020220037374A priority patent/KR20220045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6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both counter-current and cross-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A cooling tower is disclosed. The cooling tower comprises: a case; a filling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case; a sprinkler disposed above the filling material to spray water to the filling material; an air inlet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case to allow air outside the case to be introduced into the case to come in contact with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inkler; and an air outlet formed in an upper end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e fill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case.

Description

소음 발생이 저감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same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감소 및 열교환 효율이 개선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oling tower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tower with improved noise reduction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 또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사용되는 냉동기나 열교환기는 폐열을 수반하며, 이 폐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각매체를 이용하여 폐열을 대기로 방출시켜야 한다. 냉각탑의 냉각방식은 피냉각 유체 보다 온도가 낮은 대기 상의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유체를 냉각시키는 방식과,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에 의한 증발 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In general, a refrigerator or a heat exchanger used in an air conditioner or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accompanies waste heat, and in order to remove this waste heat, the waste heat must b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using a cooling medium. The cooling method of the cooling tower includes a method of cooling the fluid by forced convection of air in the atmosphere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fluid to be cooled, and a method of using latent heat of evaporation due to contact between cooling water and air.

통상의 냉각탑은 공기의 유동 방향과 냉각수의 유동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 냉각탑과, 공기의 유동 방향과 냉각수의 유동 방향이 수직한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탑과,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한 하이브리드형 냉각탑이 있다. A typical cooling tower includes a counter flow type cooling tower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flow direction of cooling water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the flow direction of cooling wate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 is a hybrid cooling tower that combines two methods.

공기의 방향과 무관하게 냉각탑의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케이스의 바닥에 냉각수가 떨어지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케이스의 외부로 냉각수가 튈 수 있다. 최근, 냉각수가 떨어지는 소음 및 냉각수가 케이스 외부로 튀는 것을 최소화 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air, the cooling water of the cooling tower falls from top to bottom, and noise may occur as the cooling water falls to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cooling water may splash out of the case. Recently, there is a demand to minimize the noise of the cooling water falling and the splashing of the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소음이 저감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냉각수가 케이스 외부로 튀는 것이 최소화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ooling tower in which splashing of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is minimized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로 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충진재의 위에 배치되는 살수기와,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충진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와, 상기 제1충진재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로, 상기 공기 유입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제2충진재를 지나 상기 제1충진재로 흐르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2충진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물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1충진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se, a filler disposed in the case, a sprinkler disposed on the filler to spray water to the filler, and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is introduced into the case and an air inlet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case to be in contact with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an air outlet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fill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 filler comprising: A first filler disposed above the air inlet and a second filler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adjacent to the air inlet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flows through the second filler to the first filler It may include a second filler and a third filler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inkler falling on the bottom of the case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ler.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제2충진재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filler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filler.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충진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first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wall of the case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to fix the second filler to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수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 박스는, 상기 제3충진재를 고정시키도록 위를 향해 돌출되는 제2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water collection box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so that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can be collected, wherein the water collection box includes a second fixing that protrudes upward to fix the third filler. protrusions may be included.

상기 제2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한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The second filler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air inlet.

상기 제2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집수 박스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물이 상기 집수 박스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관통 형성되는 배수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and the third filler are disposed on the water collecting box, and the third filler is a drain hole formed through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to easily flow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may include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충진재를 지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수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 박스로 떨어질 때의 물의 소리 크기를 센싱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구성되는 소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water collecting box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to collect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passing through the filler, and a noise sensor configured in the case to sense the sound level of water when it falls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can do.

상기 집수 박스 내의 수위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water level in the water collecting box.

상기 냉각탑은 상기 소음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과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소음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소음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소음센싱값 및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위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냉각수수위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냉각수수위센싱값 및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cooling tow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nsing value from the noise sensor and the water level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noise sensing value and a warning phr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sensing value sensed through the nois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noise value transmits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do so,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level sensed value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value,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cooling water level sensing value and a warning message may transmit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to output

상기 충진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면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ller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surface thereof may be seated on the bottom of the case.

상기 충진재는 대향류형 충진재에 해당되고 상기 충진재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충진재와, 직교류형 충진재에 해당되고 상기 충진재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may include a first filler that corresponds to a counter-flow filler and forms an upper end of the filler, and a second filler that corresponds to a cross-flow filler and forms a lower end of the filler.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 상부에 배치되는 살수기와,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 하부에 마련되는 집수 박스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과 상기 케이스 내의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 및 접촉시간을 크게하도록 상기 살수기와 상기 집수 박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와, 상기 제1충진재 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제2충진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집수 박스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2충진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se, a water sprinkl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a sidewall of the case so that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flows into the cas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 air inlet, an air outle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ase so that air inside the ca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 water collecting box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to collect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the water dispenser and a filler disposed between the water sprinkler and the water collection box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sprayed in the case and the air in the case, wherein the filler comprises a first filler disposed above the air inlet; ,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the second fill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under the second filler It may include a third filler disposed.

상기 제2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집수 박스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충진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 박스는, 상기 제3충진재를 고정시키도록 위를 향해 돌출되는 제2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and the third filler are disposed on the water collecting box, and the case is a first fixing that protrudes from the sidewall of the case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so as to fix the second filler to the inside of the case. It includes a protrusion, and the water collecting box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fix the third filler.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응축기와, 증발기와, 팽창기와, 상기 응축기를 지난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탑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케이스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케이스 상부에 마련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상기 냉각탑 내부로 분사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되는 냉각수 배출구와, 상기 냉각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분사하는 살수기와,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및 상기 분사된 물과 상기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상기 살수기 아래에 배치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제2충진재를 지나 상기 제1충진재로 흐르도록 상기 측벽에 인접하며, 환형을 포함하는 제2충진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1충진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 expander, and a cooling tower through which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oling tower includes: a case; A cooling water inle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s in, a cooling water outl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water sprayed into the cooling tower, and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oling water inlet is sprayed into the case an air inle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so that air flows into the cas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an air outlet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so that air inside the case is discharged; and and a filler disposed under the water dispenser to widen an area in which the sprayed water and the air are in contact, wherein the filler includes a first filler disposed above the air inlet,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is 2, adjacent to the side wall to flow through the second filler to the first filler, the second filler including an annular shape and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case, the first filler It may include a third filler disposed under the.

상기 제2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한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The second filler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air inle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충진재를 통해 열교환 효율이 증가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ling tower with increased heat exchange efficiency through a plurality of fillers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충진재를 통해 소음이 저감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ling tower in which noise is reduced through a plurality of fillers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충진재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냉각수가 튀는 것이 최소화된 냉각탑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ling tower in which splashing of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se is minimized through a plurality of fillers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서 충진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to 3 are views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ler in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front",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냉각탑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냉각탑에 적용될 수 있다.A cooling tower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is not limited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cooling towers.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압축기(10)와, 증발기(40)와, 응축기(20)와, 팽창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may include a compressor 10 , an evaporator 40 , a condenser 20 , and an expander 30 .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한 뒤 응축기(20)로 보낼 수 있다. 응축기(20)로 흐른 냉매 는 냉동 사이클 장치(1)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응축기(20)를 지난 냉매는 팽창기(30)를 지나 증발기(40)로 흐를 수 있다. 증발기(40)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증발기(40)를 지난 냉매는 다시 압축기(10)로 흐를 수 있다.The compressor 10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and then send it to the condenser 20 .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ndenser 20 may radiate heat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0 may flow through the expander 30 to the evaporator 40 . The evaporator 40 may absorb heat.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0 may flow back to the compressor 10 .

이 때, 냉동 사이클 장치(1)가 지속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냉동 사이클 장치(1)에는 폐열이 누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1)는 폐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탑(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탑(100)은 응축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냉각탑(100)과 응축기(20)는 냉각 매체인 물을 이용하여 폐열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20) 내에서 냉매와 냉각수를 열교환 시킨 뒤, 냉각수를 냉각탑(100)에서 다시 냉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s continuously operated, waste heat may be accumulat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tower 100 to remove waste heat. The cooling tow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er 20 .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condenser 20 may treat waste heat using water as a cooling medium. For example, after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and the cooling water in the condenser 20 , the cooling water may be cooled again in the cooling tower 100 .

도 2 내지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2 to 3 are views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nd a filler 150 . ), a water collecting box 160 ,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included.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Fiber Reinforced Plastics)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Fiber Reinforced Plastics).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루버(116)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6)는 공기 유입구(111) 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고르게 해주고 액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루버(116)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루버(116)는 메쉬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uver 116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louver 116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111 to equalize the incoming air and remove droplets. In addition, the louver 116 can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o the case 110 . The louver 116 may include a mesh shape.

케이스(110)는 사다리(113)와 하부 지지구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다리(113)는 케이스(110)의 상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사다리(113)는 사용자가 팬 어셈블리(120)를 점검하거나, 냉각탑(100) 내부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지지구조(114)는 케이스(110) 하부에 위치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구조(114)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113 and a lower support structure 114 . The ladder 11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10 . The ladder 113 may allow the user to check the fan assembly 120 or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100 .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14 may be positioned under the case 110 to support the case 110 .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1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살수기(130)는 노즐 행어(131)와, 노즐 파이프(132)와, 노즐(135)과, 냉각수 파이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행어(131)는 노즐 파이프(132)와 노즐(135) 등을 거치 및 지지할 수 있다. 노즐 행어(131)는 살수기(130)에서 상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노즐 파이프(132)는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각수 유입구(134)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노즐(135)로 전달할 수 있다. 노즐 파이프(132) 및/또는 냉각수 파이프(133)는 PVC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dispenser 130 may include a nozzle hanger 131 , a nozzle pipe 132 , a nozzle 135 , and a cooling water pipe 133 . The nozzle hanger 131 may mount and support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 The nozzle hanger 13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dispenser 130 . In the nozzle pipe 132 ,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receive cooling water from the cooling water inlet 134 and deliver it to the nozzle 135 . The nozzle pipe 132 and/or the coolant pipe 133 may be formed of PVC.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노즐(135)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0b)에 의해 케이스(11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b)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provided above the nozzle 135 . The eliminator 140 may be supported in the cas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0b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10b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Th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and wood material.

충진재(150)는 케이스(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원통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충진재(15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ller 150 may includ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ller 1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충진재(150)는 살수기(130)의 아래에 배치되어 냉각수가 머무를 수 있다. 충진재(150)는 공기 유입구(111)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충진재 지지대(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필터로 지칭될 수 있다. The filler 150 is disposed under the water sprinkler 130 so that the cooling water may stay. The fill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air inlet 111 . The filler 150 may be supported by the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150 may be referred to as a filter.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냉각탑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설명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5에 도시된 냉각탑에도 적용될 수 있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eanwhile,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S. 2 to 4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S. 2 to 4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5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 filler 150 , It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box 160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루버(116)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루버(116)는 공기 유입구(111) 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고르게 해주고 액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루버(116)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루버(116)는 메쉬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uver 116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louver 116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111 to equalize the incoming air and remove droplets. In addition, the louver 116 can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o the case 110 . The louver 116 may include a mesh shape.

케이스(110)는 사다리(113)와 하부 지지구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다리(113)는 케이스(110)의 상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사다리(113)는 사용자가 팬 어셈블리(120)를 점검하거나, 냉각탑(100) 내부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지지구조(114)는 케이스(110) 하부에 위치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구조(114)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ladder 113 and a lower support structure 114 . The ladder 11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10 . The ladder 113 may allow the user to check the fan assembly 120 or the inside of the cooling tower 100 .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14 may be positioned under the case 110 to support the case 110 .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1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살수기(130)는 노즐 행어(131)와, 노즐 파이프(132)와, 노즐(135)과, 냉각수 파이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행어(131)는 노즐 파이프(132)와 노즐(135) 등을 거치 및 지지할 수 있다. 노즐 행어(131)는 살수기(130)에서 상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노즐 파이프(132)는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각수 유입구(134)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노즐(135)로 전달할 수 있다. 노즐 파이프(132) 및/또는 냉각수 파이프(133)는 PVC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dispenser 130 may include a nozzle hanger 131 , a nozzle pipe 132 , a nozzle 135 , and a cooling water pipe 133 . The nozzle hanger 131 may mount and support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 The nozzle hanger 13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dispenser 130 . In the nozzle pipe 132 ,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receive cooling water from the cooling water inlet 134 and deliver it to the nozzle 135 . The nozzle pipe 132 and/or the coolant pipe 133 may be formed of PVC.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Th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and wood material.

충진재(150)는 케이스(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원통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충진재(15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ller 150 may includ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ller 1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 및 충진재(15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공기 유입구(111) 및/또는 루버(116)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냉각수가 바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를 지나는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흐르고 냉각수는 수직 방향으로 흐르므로, 공기와 냉각수가 흐르는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고 볼 수 있다. 충진재(150)는 필터로 지칭될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liminator 140 and a filler 150 . The eliminator 140 and the filler 15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air inlet 111 and/or the louver 116 . The filler 150 may allow direct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air inlet 111 and the cooling water.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ler 150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oling water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ions in which the air and the cooling water flow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filler 150 may be referred to as a filter.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충진재(150)를 지나는 공기 중 냉각수를 머금은 공기에서 물방울을 제거하도록 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유입구(111), 충진재(150)를 지난 공기가 그 다음으로 엘리미네이터(140)를 지나도록 충진재(15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disposed on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to remove water droplets from the air containing the cooling water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ler 150 . For example, the eliminator 1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ller 150 such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inlet 111 and the filler 150 then passes through the eliminator 140 .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냉각탑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설명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6에 도시된 냉각탑에도 적용될 수 있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6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S. 2 to 4 and/or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5 unless it conflicts with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S. 2 to 4 and/or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5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6 unless they conflict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 filler 150 , and It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box 160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노즐(135)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0b)에 의해 케이스(11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b)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provided above the nozzle 135 . The eliminator 140 may be supported in the cas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0b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10b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Th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and wood material.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서, 충진재(15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150)는 제1충진재(151), 제2충진재(152), 제3충진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ler 1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fillers 150 may include a first filler 151 , a second filler 152 , and a third filler 153 .

제1충진재(151) 상하방향을 따라 살수기(130)와 공기 유입구(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filler 1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sprinkler 130 and the air inlet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제2충진재(152)는 제1충진재(151)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지난 공기가 제2충진재(152)를 지나 제1충진재(151)로 흐르도록 공기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커버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151 .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111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11 flows to the first filler 151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 The second filler 152 may cover the air inlet 111 .

제3충진재(153)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되어 제1충진재(151)를 지난 물이 케이스(110)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제1충진재(15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충진재(153)는 제2충진재(15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는 각각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filler 153 is to be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151 so as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ler 151 falling on the floor of the case 110 . can The third filler 15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ler 152 .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may be respectively formed or integrally formed.

제1 충진재(151) 및/또는 제 3 충진재(153)는 대향류형 충진재에 해당될 수 있고, 제2 충진재(152)는 직교류형 충진재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1 충진재(151)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제1 충진재(151)는 제2 충진재(15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filler 151 and/or the third filler 153 may correspond to a counter-flow filler, and the second filler 152 may correspond to a cross-flow fill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filler 152 may guide the air introdu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air inlet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first filler 151 is the second filler 152. The air guided by the can be guided upward.

충진재(150)는 케이스(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원통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충진재(15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ller 150 may includ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ller 1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에서 분사되어 제1충진재(151)를 지난 냉각수는 케이스(110)의 바닥에서 튀어 공기 유입구(111) 또는 루버(116)를 통해 외부로 흐를 수도 있는데,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냉각수가 튀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가 제2충진재(152) 및 제3충진재(153)에 머무르므로, 제2충진재(152) 및 제3충진재(153)를 지나는 공기와 더욱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탑(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151 may bounce off the bottom of the case 110 and 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 111 or the louver 116, and the second filler 152 and Splashing of th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third filler 153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coolant stays in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 more smooth heat exchange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may be achieved.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ncluding the same can be increased.

또한, 제3 충진재(153)는 다공성 수지 소재로 형성되므로 제1 충진재(151)에서 낙하하는 냉각수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10) 바닥이나 집수 박스(160) 바닥에 충돌하는 경우보다 제3 충진재(153)에 충돌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훨씬 작을 수 있다. 또한, 제3 충진재(153)는 케이스(110) 바닥이나 집수 박스(160)보다 제1 충진재(151)에 인접하므로 제3 충진재(153)에서 낙하하는 냉각수가 케이스(110) 바닥이나 집수 박스(160)로 낙하하는 경우보다 제3 충진재(153)로 낙하하는 경우 낙하 거리가 짧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훨씬 작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ird filler 153 is formed of a porous resin material, the third filler than when the cooling water falling from the first filler 151 collides with the floor of the case 110 or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in which the flat surface is formed. In case of colliding with (153), the noise generated may be much smaller. In addition, since the third filler 153 is closer to the first filler 151 than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the cooling water falling from the third filler 153 is the case 110 floor or the water collection box ( In the case of falling to the third filler 153 than in the case of falling to 160), the falling distance may be shorter, and thus the noise generated may be much smaller.

제3충진재(153)를 지난 냉각수는 집수 박스(160)로 흐를 수 있고,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파이프(133)를 통해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 한편 제3 충진재(153)에서 낙하하는 냉각수는 케이스(110) 바닥이나 집수 박스(160)와 인접하므로 낙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 발생되는 소음이 거의 없을 수 있다.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filler 153 may flow 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and 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condenser 20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 Meanwhile, since the cooling water falling from the third filler 153 is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the falling distance is relatively short, so that there may be little noise generated.

충진재 지지대(115)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 지지대(115)는 제1지지대(115) 및 제2지지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대(115a)는 제1충진재(1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충진재(15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지지대(115b)는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를 지지하도록 제3충진재(153)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ller supports 115 may also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filler supports 115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15 and a second support 115 . The first support 115a is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151 to support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support 115b includes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It may be disposed under the third filler 153 to support the.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센서(181, 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81, 182)는 소음 센서(181)와 집수 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sensors 181 and 182 .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nsors 181 and 182 may include a noise sensor 181 and a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소음 센서(181)는 집수 박스(160)로 떨어지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소음 센서(18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noise sensor 181 may sense noise caused by the cooling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noise sensor 181 may be dispos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noise sensor 181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noise sensor 18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 내에 냉각수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집수 센서(182)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sense the amount of coolant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냉각탑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6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설명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7에 도시된 냉각탑에도 적용될 수 있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7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6 unless it conflicts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6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7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 filler 150 , It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box 160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노즐(135)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0b)에 의해 케이스(11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b)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provided above the nozzle 135 . The eliminator 140 may be supported in the cas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0b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10b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Th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and wood material.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센서(181, 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81, 182)는 소음 센서(181)와 집수 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sensors 181 and 182 .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nsors 181 and 182 may include a noise sensor 181 and a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소음 센서(181)는 집수 박스(160)로 떨어지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소음 센서(18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noise sensor 181 may sense noise caused by the cooling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noise sensor 181 may be dispos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noise sensor 181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noise sensor 18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 내에 냉각수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집수 센서(182)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sense the amount of coolant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케이스(110)는 고정돌기(110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10c)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충진재(150)를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110c)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2충진재(152)를 케이스(11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돌기(110c)는 제2충진재(152)의 고정 홈(152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0c)는 제1고정돌기(110c)가 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110c. The fixing protrusion 110c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 fix the filler 150 inside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xing protrusion 110c may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to fix the second filler 152 in the case 110 . The fixing protrusion 110c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152a of the second filler 152 . The fixing protrusion 110c may b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0c.

제2충진재(152)는 고정 홈(15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152a)은 제2충진재(152)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고정 홈(152a)은 케이스(110)의 고정돌기(110c)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52a)은 제1고정 홈(152a)이 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152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groove 152a. The fixing groove 152a may be depr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ler 152 . The fixing groove 15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 110c of the case 110 . The fixing groove 152a may be the first fixing groove 152a.

제1고정돌기(110c)와 제1고정 홈(152a)을 통해 제2충진재(152)가 안정적으로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냉각탑(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filler 152 can be stably disposed in the case 110 throug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0c and the first fixing groove 152a,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ncluding the same of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냉각탑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7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설명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8에 도시된 냉각탑에도 적용될 수 있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8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7 unless it conflicts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7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8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8을 참조하면, 제2충진재(152)는 경사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충진재(152)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52b)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충진재(152)는 하부로 갈수록 공기 유입구(111)와 멀어질 수 있다. 경사부(152b) 상광하협(上廣下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econd filler 152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152b. For example,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inclined. The inclined portion 152b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further away from the air inlet 111 toward the bottom. The inclined portion 152b may have a top-gwang-ha-gyu (上廣下峽) shape.

이를 통해, 공기 유입구(111)와 경사부(152b)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공기 유입구(111)를 지나는 공기는 보다 원활히 유입될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유입으로 인해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탑(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Through this,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11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ir inlet 111 and the inclined portion 152b can be introduced more smoothly,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can be made better due to the smooth air inflow. there is.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ncluding the same can be increased.

또한, 지지대(115)는 경사 지지대(115c)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지지대(115c)는 경사부(152b)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15 may include an inclined support 115c. The inclined support 115c may support the inclined portion 152b.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냉각탑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8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설명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9에 도시된 냉각탑에도 적용될 수 있다.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9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8 unless it conflicts with the content to be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8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9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9를 참조하면, 제3충진재(153)는 배수홀(153a)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153a)은 제3충진재(153)를 지나는 냉각수가 보다 용이하게 집수 박스(160)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배수홀(153a)은 제3충진재(15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충진재(151)를 통과한 후 낙하하는 냉각수는 먼저 제 3 충진재(153)와 충돌하여 감속 및/또는 정지될 수 있으며, 제 3 충진재(153)에 안착된 냉각수 중 적어도 일부는 배수홀(153a)로 유동하여 배수홀(153a)을 통해 낙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third filler 153 may include a drain hole 153a. The drain hole 153a may allow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third filler 153 to more easily flow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drain hole 153a may be formed through the third filler 153 . Specifically, the cooling water that fall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ler 151 may first collide with the third filler 153 to be decelerated and/or stopped, and at least some of the coolant seated in the third filler 153 is It may flow into the drain hole 153a and fall through the drain hole 153a.

냉각수가 제3충진재(153)를 빠져나가지 못하여 제3충진재(153) 측에 쌓이고,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지 못할 수 있는데, 배수홀(153a)은 이를 방지하도록 냉각수를 원활히 집수 박스(160) 측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does not escape the third filler 153 and accumulates on the third filler 153 side,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air may not be increased. ) can flow to the side.

배수홀(153a)을 통해 집수 박스(160)로 냉각수가 낙하하는 경우 제 1 충진재(151)에서 직접적으로 집수 박스(160)로 냉각수가 낙하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서 낙하하는 것에 해당되므로 낙하하는 냉각수가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cooling water falls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through the drain hole 153a, it falls from a relatively low heigh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oling water directly falls from the first filler 151 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The amount of noise generated when the falling coolant collides with the floor (or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of the case 110 may be relatively reduced.

배수홀(153a)로 인해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냉각탑(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Since heat exchange between cooling water and air may be better achieved due to the drain hole 153a,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ncluding the same may be increased.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냉각탑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7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및/또는 도 8에 도시된 냉각탑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 및/또는 도 8에 도시된 냉각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설명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10에 도시된 냉각탑에도 적용될 수 있다.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7 and/or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8 unless it conflicts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7 and/or the description of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8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oling tower illustrated in FIG. 10 unless they conflict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 filler 150 , It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box 160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노즐(135)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0b)에 의해 케이스(11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b)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provided above the nozzle 135 . The eliminator 140 may be supported in the cas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0b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10b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Th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and wood material.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서, 충진재(15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150)는 제1충진재(151), 제2충진재(152), 제3충진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ler 1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fillers 150 may include a first filler 151 , a second filler 152 , and a third filler 153 .

제1충진재(151) 상하방향을 따라 살수기(130)와 공기 유입구(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filler 1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sprinkler 130 and the air inlet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제2충진재(152)는 제1충진재(151)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지난 공기가 제2충진재(152)를 지나 제1충진재(151)로 흐르도록 공기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151 .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111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11 flows to the first filler 151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

제3충진재(153)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되어 제1충진재(151)를 지난 물이 케이스(110)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제1충진재(15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충진재(153)는 제2충진재(15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는 각각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filler 153 is to be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151 so a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and passing the first filler 151 falling on the floor of the case 110 . can The third filler 15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ler 152 .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may be respectively formed or integrally formed.

충진재(150)는 케이스(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원통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충진재(15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ller 150 may includ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ller 1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에서 분사되어 제1충진재(151)를 지난 냉각수는 케이스(110)의 바닥에서 튀어 공기 유입구(111) 또는 루버(116)를 통해 외부로 흐를 수도 있는데,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냉각수가 튀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가 제2충진재(152) 및 제3충진재(153)에 머무르므로, 제2충진재(152) 및 제3충진재(153)를 지나는 공기와 더욱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탑(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151 may bounce off the bottom of the case 110 and 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 111 or the louver 116, and the second filler 152 and Splashing of th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third filler 153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water stays in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 more smooth heat exchange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may be achieved.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ncluding the same can be increased.

제3충진재(153)를 지난 냉각수는 집수 박스(160)로 흐를 수 있고,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파이프(133)를 통해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filler 153 may flow 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and 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condenser 20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

충진재 지지대(115)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 지지대(115)는 제1지지대(115) 및 제2지지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대(115a)는 제1충진재(1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충진재(15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지지대(115b)는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를 지지하도록 제3충진재(153)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ller supports 115 may also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filler supports 115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15 and a second support 115 . The first support 115a is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151 to support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support 115b includes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It may be disposed under the third filler 153 to support the.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센서(181, 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81, 182)는 소음 센서(181)와 집수 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sensors 181 and 182 .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nsors 181 and 182 may include a noise sensor 181 and a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소음 센서(181)는 집수 박스(160)로 떨어지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소음 센서(18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noise sensor 181 may sense noise caused by the cooling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noise sensor 181 may be dispos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noise sensor 181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noise sensor 18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 내에 냉각수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집수 센서(182)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sense the amount of coolant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서 충진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ler in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예: 도 6에 도시된 냉각탑)에서,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cooling tower 100 (eg, the cooling tower shown in FIG. 6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filler 152 and a third filler 153 .

제2충진재(152)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충진재(153)는 제2충진재(152)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는 각각 형성 후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2충진재(152)와 제3충진재(15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충진재(153)는 제2충진재(152)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152 may include an annular shape. The third filler 15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ler 152 .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may be respectively formed and then combined, but the second filler 152 and the third filler 153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third filler 153 may support the second filler 152 .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내용은 생략한다.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overlapping part with the above-mention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2를 참조할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 filler 150 , and , a water collecting box 160 ,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included.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노즐(135)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0b)에 의해 케이스(11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b)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provided above the nozzle 135 . The eliminator 140 may be supported in the cas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0b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10b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Th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and wood material.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에서, 충진재(15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150)는 제1충진재(151), 제2충진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ler 1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fillers 150 may include a first filler 151 and a second filler 152 .

제1 충진재(151)는 대향류형 충진재에 해당될 수 있고, 제2 충진재(152)는 직교류형 충진재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1 충진재(151)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제1 충진재(151)는 제2 충진재(152)에 의하여 안내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filler 151 may correspond to a counter-flow filler, and the second filler 152 may correspond to a cross-flow fill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filler 152 may guide the air introdu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air inlet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first filler 151 is the second filler 152. The air guided by the can be guided upward.

제1충진재(151) 상하방향을 따라 살수기(130)와 공기 유입구(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rst filler 1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sprinkler 130 and the air inlet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제2충진재(152)는 제1충진재(151)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지난 공기가 제2충진재(152)를 지나 제1충진재(151)로 흐르도록 공기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충진재(152)는 공기 유입구(111)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2충진재(152)는 집수 박스(1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151 .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111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111 flows to the first filler 151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 The second filler 152 may cover the air inlet 111 . Also,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제2충진재(152)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되어 제1충진재(151)를 지난 물이 케이스(110)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제1충진재(15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충진재(151)와 제2충진재(152)는 각각 형성되어 이격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충진재(151)와 제2충진재(15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충진재(151)와 제2충진재(152) 간의 이격되는 공간이 없을 수 있다 (도 13 참조). 제1 충진재(151)와 제2 충진재(15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충진재(150)라고 지칭되며 충진재(150)를 지지하는 충진대 지지대(151) 역시 케이스(110)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filler 152 is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151 falls on the bottom of the case 110 to reduce noise and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placed under In the drawings,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filler 152 are respectively formed and spaced ap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re may be no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filler 152 (see FIG. 13 ). When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filler 152 are integrally formed, it is referred to as the filler 150, and the filler support 151 supporting the filler 150 may also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제2 충진재(152)(또는, 충진재(150))의 하면은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충진재(152)(또는, 충진재(150))의 하면은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충진재(152)의 하면을 통해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ler 152 (or the filler 150 ) may extend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ler 152 (or the filler 150 ) may be seated on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Accordingly, noise generation due to the coolant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prevented.

충진재(150)는 케이스(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원통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충진재(15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ller 150 may includ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ller 15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충진재(151, 152)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와 냉각수의 열교환 면적 및 시간을 크게 하므로,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Since the fillers 151 and 152 are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and time between the air and the cooling water,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구체적으로, 살수기(130)에서 분사되어 제1충진재(151)를 지난 냉각수는 케이스(110)의 바닥에서 튀어 공기 유입구(111) 또는 루버(116)를 통해 외부로 흐를 수도 있는데, 제2충진재(152)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냉각수가 튀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가 제2충진재(152) 에 머무르므로, 제2충진재(152)를 지나는 공기와 더욱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냉각탑(100)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151 may bounce off the bottom of the case 110 and 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 111 or the louver 116, but the second filler ( Splashing of th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152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coolant stays in the second filler 152 , more smooth heat exchange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may be achieved.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oling tower 100 and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1 including the same can be increased.

제2충진재(152)를 지난 냉각수는 집수 박스(160)로 흐를 수 있고,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파이프(133)를 통해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ler 152 may flow 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and 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condenser 20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

충진재 지지대(115)도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충진재 지지대(115)는 제1지지대(115) 및 제2지지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대(115a)는 제1충진재(1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충진재(15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지지대(115b)는 제2충진재(152) 를 지지하도록 제2충진재(15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ller supports 115 may also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filler supports 115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15 and a second support 115 . The first support 115a is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151 to support the first filler 151, and the second support 115b is a second filler to support the second filler 152 ( 152).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센서(181, 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81, 182)는 소음 센서(181)와 집수 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sensors 181 and 182 .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nsors 181 and 182 may include a noise sensor 181 and a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소음 센서(181)는 집수 박스(160)로 떨어지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소음 센서(18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noise sensor 181 may sense noise caused by the cooling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noise sensor 181 may be dispos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noise sensor 181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noise sensor 18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 내에 냉각수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집수 센서(182)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sense the amount of coolant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개략도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내용은 생략한다.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overlapping part with the above-mention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케이스(110)와, 팬 어셈블리(120)와,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와, 냉각수 배출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 a fan assembly 120 , a water dispenser 130 , an eliminator 140 , a filler 150 , It may include a water collecting box 160 and a cooling water outlet 170 .

케이스(110)는 냉각탑(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원통 형상 및/또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살수기(130)와, 엘리미네이터(140)와, 충진재(150)와, 집수 박스(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F.R.P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1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se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ooling tower 100 . Case 110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and/or ann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includ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eliminator 140 , the filler 15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10 . The case 110 may be formed of F.R.P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케이스(110)는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 및 루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 an air outlet 112 and a louver 116 .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111 may allow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2)에는 팬 어셈블리(1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12 may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10 .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e fan assembly 120 may be disposed at the air outlet 112 .

케이스(110)는 충진재 지지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후술하는 충진재(150)가 케이스(11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충진재(1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충진재 지지대(115)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support 115 . The filler support 115 may allow the fi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ort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positioned under the filler 150 . The filler support 115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팬 어셈블리(120)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20)는 팬(121)과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121)과 모터(122)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1)과 모터(122)는 공기 배출구(112)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22)는 팬(121)을 구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121)은 기류를 형성하여 케이스(110)로의 공기 유출입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팬(12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an assembly 120 may blow air. The fan assembly 120 may form an airflow. The fan assembly 120 may include a fan 121 and a motor 122 .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fan 121 and the motor 122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112 . The motor 122 may provide power to drive the fan 121 . The fan 121 may form an airflow so that air flows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an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수기(13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수기(130)는 충진재(150) 및/또는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water dispenser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dispenser 130 may spray cooling water into the air inside the filler 150 and/or the case 110 .

냉각수 파이프(133)는 냉동기(예: 응축기(2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133)를 지난 냉각수는 노즐 파이프(132) 및 노즐(135)을 차례로 거쳐 케이스(11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135)은 케이스(110) 내부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5)은 복수도 가능하며 도면과 달리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to supply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133 may be inject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nozzle pipe 132 and the nozzle 135 in turn. The nozzle 135 may inject cooling water into the case 110 . A plurality of nozzles 135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drawing, only one nozzle 135 may be provided.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34)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구(134)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도가 될 수 있다.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inlet 134 may be 37 degrees.

냉각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고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므로, 냉각수와 공기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nce coolant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air flows from bottom to top, coolant and air can flow in opposite directions.

엘리미네이터(ELIMINATOR)(140)는 공기 흐름에 실려 비산되는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배출구(112)를 지나는 공기 중의 물방울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미네이터(14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냉각탑(100)에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구성요소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iminator (ELIMINATOR) 140 may remove water droplets scattered by being carried in an air stream. The eliminator 140 may minimize water drople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112 . In addition, the eliminator 14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eliminator 140 is a compon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cooling tower 10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엘리미네이터(140)는 노즐(135)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엘리미네이터(140)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0b)에 의해 케이스(110)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b)는 케이스(110)의 측벽(110a)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eliminator 140 may be provided above the nozzle 135 . The eliminator 140 may be supported in the cas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0b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 The support protrusion 110b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110a of the cas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

충진재(150)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전열매체가 될 수 있다. 충진재(150)는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는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50)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나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The filler 150 may be a heat transfer medium. The filler 150 may be porous. For example, the filler 150 may include a mesh shape. Filler 150 may include PP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wood material.

충진재(150)는 살수기(130)와 공기 유입구(111)의 사이에 공기와 냉각수 간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충진재(150)는 살수기(130)로부터 케이스(110)의 바닥까지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150)의 외주면은 공기 유입구(111)를 커버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air and the cooling water between the water sprinkler 130 and the air inlet 111 . The filler 150 may be dispos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ler 150 may cover the air inlet 111 .

충진재(150)의 하면이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도록 충진재(1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 있다. 충진재(150)의 하면은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재(150)의 하면을 통해 케이스(110)의 바닥(또는, 집수 박스(160)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er 150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er 150 may be seated on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Accordingly, noise generation due to the coolant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ller 150 can be prevented.

충진재(15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물이 케이스(110)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충진재(150)는 살수기(130)로부터 케이스(110)의 바닥까지 빈 공간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150)의 하단부는 집수 박스(1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ller 150 may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falling on the bottom of the case 110 and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The filler 150 may have no empty space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filler 150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박스(160)는 살수기(130)에서 분사된 냉각수를 집수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 내에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케이스(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박스(16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 박스(1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집수 공간(160a)에는 냉각수가 집수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collec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130 .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110 .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10 , but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ase 110 . Cooling water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집수 공간(160a)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17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는 32도가 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170)를 지난 냉각수는 다시 냉동기(예: 응축기(20))로 흐를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160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The coolant may flow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170 may be 32 degrees.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outlet 170 may flow back to the refrigerator (eg, the condenser 20 ).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센서(181, 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81, 182)는 소음 센서(181)와 집수 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sensors 181 and 182 .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ensors 181 and 182 may include a noise sensor 181 and a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소음 센서(181)는 집수 박스(160)로 떨어지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센서(181)는 케이스(11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소음 센서(181)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noise sensor 181 may sense noise caused by the cooling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noise sensor 181 may be disposed in the case 110 . For example, the noise sensor 181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noise sensor 18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 내에 냉각수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수 센서(182)는 집수 박스(16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집수 센서(182)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sense the amount of coolant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14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의 일부 구성의 블록도이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14 is a block diagram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도 14를 참조할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100)은 집수 센서(182)와 소음 센서(181)로부터 신호 및/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200)와, 사용자 단말(2)과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입력부(예: 터치 패널)와 출력부(예: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cooling t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200 that receives signals and/or information from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and the noise sensor 181 , and the user terminal 2 .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300 to The user terminal 2 may include an input unit (eg, a touch panel) and an output unit (eg, a display and/or a speaker).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and a storage device. Here, the processor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 memory and/or a storage device. The processor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memory and the storage device may be composed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as read only memory (ROM) and/or random access memory (RAM).

통신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300)은 제어부(200)와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2)과 제어부(200) 사이의 신호 및/또는 정보의 송수신을 매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transmit/receive signals and/or information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by wire and/or wirelessly.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transmit/receive signals and/or information to and from the control unit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mediate transmission/reception of signals and/or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 and the control unit 200 .

통신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2)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00 includes a user terminal 2 and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5G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nd a Local Area Network (LAN).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wifi network,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may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소음 센서(181)는 집수 박스(160)로 떨어지는 냉각수에 의한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소음 센서(181)는 마이크로폰의 일종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oise sensor 181 may sense noise caused by the cooling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 The noise sensor 181 may correspond to a type of micro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집수 센서(182)는 무게 측정 센서에 해당될 수도 있고 수위 측정 센서에 해당될 수도 있다. 집수 센서(182)는 다양한 메커니즘과 원리에 기반하여 집수 박스(160) 내의 냉각수의 양을 센싱할 수 있으면 족하다. 예를 들어, 집수 센서(182)는 수위 센서일 수 있고, 집수 박스(160) 내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correspond to a weight sensor or a water level sensor. It is sufficient if the water collecting sensor 182 can sense the amount of coolant in the water collecting box 160 based on various mechanisms and principles. For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may be a water level sensor, and may sense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

제어부(200)는 소음 센서(181)를 통하여 냉각수의 낙하에 의한 소음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 센서(181)를 통하여 센싱되고 제어부(200)에 의하여 결정된 소음의 크기를 소음센싱값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e level of noise caused by the fall of the coolant through the noise sensor 181 . In this way, the level of noise sensed by the noise sensor 181 and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200 may be referred to as a noise sensing value.

제어부(200)는 집수 센서(182)를 통하여 집수 박스(160)에 집수된 냉각수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수 센서(182)를 통하여 센싱되고 제어부(200)에 의하여 결정된 집수 박스(160) 내부의 냉각수의 양을 냉각수유량센싱값(또는, "냉각수수위센싱값")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coolant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through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In this way, the amount of cool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on box 160 sensed by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and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200 may be referred to as a cooling water flow rate sensing value (or “cooling water level sensing value”).

제어부(200)는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소음값과 소음 센서(181)를 통하여 센싱된 소음센싱값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유량값(또는, "기준수위값")과 집수 센서(182)를 통하여 센싱된 냉각수유량센싱값을 비교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compare a preset reference noise value with a noise sensed value sensed through the noise sensor 181 . The controller 200 may compare a preset reference flow rate value (or “reference water level value”) with a coolant flow rate sensed value sensed through the water collection sensor 182 .

소음센싱값이 기준소음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2)이 소음센싱값 및 제1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통신 모듈(300)을 매개로 사용자 단말(2)로 출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고문구는 "과도한 소음이 발생되고 있습니다"와 같은 문장이 적힌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sensing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noise value, the control unit 200 sends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2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so that the user terminal 2 outputs the noise sensing value and the first warning phrase. can send The first warning phrase may correspond to an image in which a sentence such as "excessive noise is being generated" is written.

냉각수유량센싱값이 기준유량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사용자 단말(2)이 냉각수유량센싱값 및 제2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통신 모듈(300)을 매개로 사용자 단말(2)로 출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고문구는 "냉각수 배출이 원활하지 않습니다"와 같은 문장이 적힌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flow rate sensed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value,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to the user terminal 2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so that the user terminal 2 outputs the coolant flow rate sensed value and the second warning phrase. signal can be transmitted. The second warning phrase may correspond to an image in which a sentence such as "coolant discharge is not smooth" is written.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냉동 사이클 장치
100: 냉각탑
110: 케이스
120: 팬 어셈블리
130: 살수기
140: 일리미네이터
150: 충진재
160: 집수 박스
170: 냉각수 배출구
1: Refrigeration cycle device
100: cooling tower
110: case
120: fan assembly
130: sprinkler
140: Eliminator
150: filler
160: catchment box
170: coolant outlet

Claims (16)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충진재;
상기 충진재로 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충진재의 위에 배치되는 살수기;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물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충진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충진재를 지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수 박스;를 포함하는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
상기 제1충진재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로, 상기 공기 유입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제2충진재를 지나 상기 제1충진재로 흐르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2충진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물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1충진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충진재, 상기 제2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집수 박스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제2충진재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충진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 박스는,
상기 제3충진재를 고정시키도록 위를 향해 돌출되는 제2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충진재는,
상기 제1고정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2충진재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한 상기 케이스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부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와 멀어지고,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물이 상기 집수 박스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관통 형성되는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탑은,
상기 제3충진재를 통과하여 상기 집수 박스로 떨어질 때의 물의 소리 크기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소음 센서;
상기 집수 박스 내의 수위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수위 센서;
상기 소음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과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소음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소음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소음센싱값 및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위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냉각수수위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냉각수수위센싱값 및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냉각탑.
case;
a filler disposed in the case;
a water dispenser disposed on the filler to spray water to the filler;
an air inlet formed in a sidewall of the case so that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flows into the cas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 air outle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l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In the cooling tower comprising;
The filler is
a first filler disposed above the air inlet;
a second filler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and adjacent to the air inlet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flows to the first filler through the second filler; and
A third filler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inkl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ler falling on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first filler, the second filler, and the third filler,
It is provided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air,
The second filler and the third filler,
disposed above the water collecting box,
The third filler is
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ler,
The case is
Containing; and a first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from the sidewall of the case to fix the second filler to the inside of the case,
The water collecting box is
Includes; a second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fix the third filler;
The second filler is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projection and includes a fixing groove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ler into which the first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and to facilitate the inflow of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air inle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so as to be further away from the air inlet toward the lower part,
The third filler is
Including; and a drainage hole formed through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to easily flow into the water collection box,
The cooling tower is
a nois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sound level of water when it passes through the third filler and falls into the collecting box;
a water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water level in the water collection box;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nsing value from the noise sensor and the water level sensor; and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sensing value sensed through the nois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noise value,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to output the noise sensing value and a warning phr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level sensed value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value,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to output the coolant level sensed value and a warning message cooling t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위치되는 냉각탑.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sensor is a cooling tow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집수 박스의 하단에 위치되는 냉각탑.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level sensor is a cooling tower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on box.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냉각탑.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tower containing the filler i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대향류형 충진재에 해당되고, 상기 제2충진재는 직교류형 충진재에 해당되는 냉각탑.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filler and the third filler correspond to a counter-flow filler, and the second filler corresponds to a cross-flow fi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고르게 하고 액적을 제거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루버;를 더 포함하는 냉각탑.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The cooling tower further comprising; a louver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to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to equalize the incoming air and remove dropl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F.R.P 수지(Fiber Reinforced Plastics)로 형성되는 냉각탑.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a cooling tower formed of FRP resin (Fiber Reinforced Plastic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압축기와, 응축기와, 증발기와, 팽창기와, 상기 응축기를 지난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탑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충진재;
상기 충진재로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충진재의 위에 배치되는 살수기;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된 냉각수와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충진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충진재를 지난 냉각수가 집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수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
상기 제1충진재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로, 상기 공기 유입구를 지난 공기가 상기 제2충진재를 지나 상기 제1충진재로 흐르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에 인접한 제2충진재; 및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냉각수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제1충진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충진재, 상기 제2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냉각수와 공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려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충진재 및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집수 박스의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제2충진재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충진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 박스는,
상기 제3충진재를 고정시키도록 위를 향해 돌출되는 제2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충진재는,
상기 제1고정 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제2충진재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한 상기 케이스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부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입구와 멀어지고,
상기 제3충진재는,
상기 살수기에서 분사되어 상기 제1충진재를 지난 냉각수가 상기 집수 박스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관통 형성되는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탑은,
상기 제3충진재를 통과하여 상기 집수 박스로 떨어질 때의 냉각수의 소리 크기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소음 센서;
상기 집수 박스 내의 수위를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수위 센서;
상기 소음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과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소음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소음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소음센싱값 및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위 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냉각수수위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냉각수수위센싱값 및 경고문구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 expander;
The cooling tower is
case;
a filler disposed in the case;
a water dispenser disposed on the filler to spray cooling water to the filler;
an air inlet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case so that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 air outle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l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nd a water collecting box disposed under the case so that the cooling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passed through the filler can be collected;
The filler is
a first filler disposed above the air inlet;
a second filler disposed below the first filler and adjacent to the air inlet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flows to the first filler through the second filler; and
A third filler disposed under the first filler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cooling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inkl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ler falling on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first filler, the second filler, and the third filler,
It is provided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nd/or contact tim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air,
The second filler and the third filler,
disposed above the water collecting box,
The third filler is
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ler,
The case is
Containing; and a first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from the sidewall of the case to fix the second filler to the inside of the case,
The water collecting box is
Includes; a second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fix the third filler;
The second filler is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projection and includes a fixing groove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ler into which the first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and to facilitate the inflow of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air inle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so as to be further away from the air inlet toward the lower part,
The third filler is
and a drain hole that is formed so that the coolant sprayed from the water dispenser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filler to easily flow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and
The cooling tower is
a nois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sound level of the coolant when it passes through the third filler and falls into the water collecting box;
a water level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water level in the water collecting box;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nsing value from the noise sensor and the water level sensor; and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sensing value sensed through the nois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noise value,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to output the noise sensing value and a warning phr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level sensed value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value,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n outpu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to output the coolant level sensed value and a warning message which is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위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noise sensor is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집수 박스의 하단에 위치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ater level sensor is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on box.
KR1020210194005A 2021-12-31 2021-12-31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80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71A KR20220045117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80A KR20220045120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8A KR20220045119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4A KR20220045118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976 2021-12-31
KR1020210193977 2021-12-31
KR20210193977 2021-12-31
KR20210193976 2021-12-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80A Division KR20220045120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1A Division KR20220045117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8A Division KR20220045119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4A Division KR20220045118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746B1 true KR102380746B1 (en) 2022-04-08

Family

ID=8118304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005A KR102380746B1 (en) 2021-12-31 2021-12-31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4A KR20220045118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80A KR20220045120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8A KR20220045119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1A KR20220045117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74A KR20220045118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80A KR20220045120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8A KR20220045119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220037371A KR20220045117A (en) 2021-12-31 2022-03-25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3807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085A (en) * 1999-08-05 2001-03-15 서종대 Combined flow type cooling tower
KR20080022651A (en) *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카엘 Dual spray nozzle type cooling tower
JP2011099624A (en) * 2009-11-06 2011-05-19 Kobelco Eco-Solutions Co Ltd Cooling tower
KR20140143260A (en) * 2013-06-05 2014-12-16 이금영 Monitoring System For Cooling Tow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085A (en) * 1999-08-05 2001-03-15 서종대 Combined flow type cooling tower
KR20080022651A (en) *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카엘 Dual spray nozzle type cooling tower
JP2011099624A (en) * 2009-11-06 2011-05-19 Kobelco Eco-Solutions Co Ltd Cooling tower
KR20140143260A (en) * 2013-06-05 2014-12-16 이금영 Monitoring System For Cooling T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120A (en) 2022-04-12
KR20220045119A (en) 2022-04-12
KR20220045117A (en) 2022-04-12
KR20220045118A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2392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633992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346904B1 (en) Air conditioner
KR102380746B1 (en) Cooling tower with reduced nois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38619B1 (en) Air conditioner
CN105821632A (en) Clothes dryer
US7028500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06132493A1 (en) Portable water-cooled air conditioner
CN203550069U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0249466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60020786A (en) Cooling tower and cooling system
KR20190083888A (en) Movable air conditioner
CN101283228A (en) Condensation water drainage disk for evaporator unit
JP2008134027A (en) Air conditioner
KR101987788B1 (en) Dehumidifying apparatus
CN106765598B (en) Cabinet air conditioner
CN220852409U (en) Dehumidifier
KR101280689B1 (en) Air conditioner
JP2007045326A (en) Air conditioner
KR101281929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43632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90084528A (en) Movable air conditioner
KR20190084589A (en) Movable air conditioner
CN211290678U (en) Small refrigerator with dry inner cavity
JP7302613B2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