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215B1 -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215B1
KR102380215B1 KR1020200033177A KR20200033177A KR102380215B1 KR 102380215 B1 KR102380215 B1 KR 102380215B1 KR 1020200033177 A KR1020200033177 A KR 1020200033177A KR 20200033177 A KR20200033177 A KR 20200033177A KR 102380215 B1 KR102380215 B1 KR 10238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unit
electrical
main body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377A (ko
Inventor
임동희
신주용
신길용
Original Assignee
(주)디지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링크 filed Critical (주)디지링크
Priority to KR1020200033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2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인체의 혈액순환을 돕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 및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며, 또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회복을 위한 전기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와 본체가 일체로 구성되며, 이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에 의하여 전극패드에 인체 접착용 젤이 필요없는 탄성체 복합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탄성체 복합자극기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 및 출력하기 위한 본체, 본체의 전기적 출력을 인체에 인가하는 전극수단, 본체 및 전극수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접속하는 탄성체 연결수단, 본체 상부면 케이스 및 하부면 케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요소로써 전기적 신호로 변조하는 제어부, 기능 모드 및 모드 선택을 조작하는 조작부, 맥파센서와 인체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상태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기기의 작동에 반영하는 감지부, 충전밧데리와 충전회로로 구성된 전원부, 전기출력파형을 생성하는 전기출력 파형부, 상기 전기출력파형부의 선택된 출력을 인체에 인가하는 신호출력부,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인체 인가시 신호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Flexible Multi Stimulator using Electric Stimulation and control method}
이 발명은 인체의 혈액순환을 돕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 및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며, 또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회복을 위한 전기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와 본체가 일체로 구성되며, 이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에 의하여 전극패드에 별도로 부착해야 하는 패드와 인체의 접착용 젤이 필요없는 전기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 신호 출력으로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미세전류, 광선(LED, LD)의 전기신호가 출력되며, 이 전기신호 출력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출력을 제공한다. 또한 온열 기능 및 모터를 이용한 진동 기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능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며 건강, 피부미용, 통증 개선에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본체와 패드가 별도의 연결 케이블이 없이 형상기억합금 탄성체 또는 충분한 강성과 탄성을 가진 구조물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탄성체의 끝 양단에는 전기 신호가 출력되는 전극패드가 구성되며 이 전극패드는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자유로이 탄성체에 교체 탈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 본체와 전극패드는 통전이 가능한 형상기억합금 등의 탄성체로 연결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두 개 이상의 전극패드는 탄성체의 끝 양단에 각각 또는 잭 또는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인체에 인가되며, 사용자가 본체의 모드 스위치 또는 휴대전화 어플로 기능 모드 등을 선택 조작하여 출력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와 전극 일체형 복합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극, 치료란 인체에 미세한 전류, 또는 저주파, 초음파 등을 인가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기요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전기자극은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전기치료와 저주파 전기자극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저주파는 수 Hz 내지 1,000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중주파는 1KHz 내지 10KHz를 사용하며 고주파는 100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또한 초음파는 20KHz~1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인체심부조직에 진동을 가하며 열효과를 이용하여 연부 조직 손상의 회복등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하고 진동에너지로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조직내로 주입시키는 치료에도 사용된다. 또한 광선치료는 광선의 파장대별 적용이 다르나 적외선 파장대의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D)로 피부에 조사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환부를 치료하거나 통증치료, 600nm내외의 적광을 조사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400nm내외의 광선을 조사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증 완화 및 요통, 관절염, 척추염, 운동으로 인한 손상등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회복용으로 사용하는 치료기에는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등의 전기적 치료 및 초음파, 광선치료기등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품은 본체와 패드가 케이블로 연결되어서 본체는 인체와 별도로 놓여지고 패드가 인체에 부착되어 그 기능을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기는 전극 패드를 인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인체 부착용 소모성 젤(GEL)을 패드에 붙인 다음 인체에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사용 시마다 젤을 다시 구매해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과, 전극 패드에 젤을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젤이 피부에 닿을 경우의 불쾌감, 이물감 등이 느껴지는 큰 단점과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기를 오래 사용할 경우 기기의 노후와 인체의 염분 및 수분으로 인한 패드가 손상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후 패드를 다시 구입하거나, 또는 기기 전체를 다시 구입해야 하는 비용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기는 복부, 허리등의 평평한 부위에는 전기자극장치의 패드대신 천이나 기타 고무재질로 된 복대형 벨트를 이용하여 소모성 젤이 없이 전극을 고정할 수 있으나 이는 복대형 벨트로 한정되어 인체의 복부, 허리등 특정부위에만 사용되어지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기는 각 질환에 따라 예를 들어 허리 통증이나 관절질환, 외상, 타박상의 경우 그에 대응되어 본체와 패드가 한 조로 구성된 각각의 독립적인 저주파기, 중주파기, 고주파기, 초음파기기, 광선치료기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기능이 내장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 단자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고비용의 복합기기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구입하는 기기의 각종 기능 중에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기능도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과 효율적 관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료기는 본체에 수동 조작스위치(택트스위치)로 이루어져 있고 그 출력 표시부가 본체에 붙어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전문가의 도움없이 개인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인체에 전극패드를 붙인 상태에서 그 출력 상태를 보기 위하여는 전극을 인체에서 떼어내어 보아야 하기 때문에 더욱 불편하고 통증의 정도에 맞는 출력레벨을 설정하거나 조정하기가 힘들며, 각종 인체 상태 감지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KR10-2017-0004341 출원번호 KR10-2013-0068425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각 기능의 치료기 본체, 연결 케이블, 패드로 구성되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과, 소모성 젤(Gel)의 매 사용시 구매 및 교환시 비용 및 번거로움, 불쾌감, 이물감의 문제점이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극 패드에 젤이 없이 인체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써 복대 또는 벨트형의 전기 자극기 구조가 있으나 이는 복부, 허리등의 한정적인 특수 부위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사용 범위의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초음파, 광파등의 전기적 출력 단자를 각각으로 동시에 구비한 한 개의 단일 복합기기로 구성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무겁고, 이동하기에 불편하며, 휴대용으로는 부적하며, 가격이 비싸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수동 조작으로 된 본체 기능으로 인하여 기능 조작의 불편함과 인체 접촉 감지, 체온감지, 맥파 감지등 인체 상태 감지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 발명은 본체와 전극이 일체로 하여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미세전류, 광선, 온열, 진동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하여 휴대전화 앱을 이용하여 제어 및 센서 데이터 관리, 분석을 제공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와 충격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 상태의 적절성 분석 및 휴대전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분석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맥파 센서 및 인체접촉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의 상태 분석 및 관리, 기기의 작동에 반영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블루투스 휴대전화 어플(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서 감지되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 상태를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 컨디션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하고 적합한 치유를 할 수 있다.
이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특성을 가진 탄성체를 이용하여 인체 부착용 젤(Gel)이 필요없는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탄성체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인체에 부착되는 전극패드는 젤을 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영구적 사용가능하며 탄성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후 세척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 및 전극패드는 탄성체 끝 양단에서 별도의 연결 케이블없이 통전이 되는 요철(
Figure 112020500607183-pat00001
) 콘넥타 또는 잭홈에 의해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소형으로 된 본체와 블루투스 어플(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전화, 그리고 충전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고 일상 활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한 본체와 탄성체를 착탈이 가능한 전기자극기를 제공함으로서 휴대와 사용이 불편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주파, 레이저다이오드(LD) 및 엘이디(LED) 광조사파형을 출력하는 치료기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패드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전원스위치, 모드스위치, 출력 강약 조절 스위치, 전원 및 출력표시 엘이디(LED)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충전밧데리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와, 본체의 내측면에는 통전이 되는 출력용 전극 콘넥타 또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출력용 전극콘넥타 또는 잭에 결합되어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패드, 상기 전극패드 내측면에는 본체의 콘넥타 또는 잭에 결합되어지는 콘넥타홈 또는 잭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을 포함한 자가 출력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기자극기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는 블루투스 휴대전화 어플(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주기, 레벨, 시간등의 내용을 사용자가 질환의 종류 또는 인체 부위 또는 사용자 컨디션 및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 치유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와 본체와, 인체 접촉 전극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이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의 압력에 의하여 전극패드가 인체에 부착되는, 즉 전극부에 인체 접착용 젤이 필요없는 탄성체 복합자극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서의 치료기 본체, 연결 케이블, 전극패드가 각각으로 구성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매 사용시마다 구매해야 하는 소모성 젤(Gel) 비용 및 번거로움, 불쾌감, 이물감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서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미세전류, 온열신호, 광조사, 모터를 이용한 진동 자극 및 광조사 등 사용자가 증상에 따라 원하는대로 증상별 기능 모드를 선택,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통증완화, 혈행 개선, 온열 치료, 인체 진동 마사지 등 다양한 기능의 복합 자극 기능을 제공받으며, 이로 인하여 비용절감, 적정한 치료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가속도 센서와, 충격센서, 맥파센서, 인체 접촉 센서를 통하여 인체 및 기기의 사용상태 및 적절성 분석 등을 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그 상태를 제공하며, 이 기능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발명은 또한 수동 모드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원격조작모드가 구비되어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히며, 조작의 운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휴대전화 어플에서 출력을 분석하여 상태를 확인하면서 조작할수 있기 때문에 기기를 끄거나 인체에서 떼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원하는 기능 및 출력 조정 및 출력모드를 운용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표시 출력부가 잘 보이지 않거나 손이 닿지 않는 허리, 등, 어깨 부위에는 매우 효과적으로 운용할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전기 자극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인체 착용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전체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상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등의 초탄성체와 본체, 전극패드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 전극 일체형 다기능 전기 자극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저주파 자극기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독립된 종래의 본체 저주파기기와, 연결케이블, 전극패드1) 및 인체에 전극패드를 접착하는 접착제 젤(Gel) 로 구성된다. 이 도1에 따르면 본체에서 저주파가 출력되며 별도로 구성된 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전극체 전극패드에 출력이 인가된다. 종래의 이러한 기기는 인체에 전극체 전극패드를 인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전극체 후면에 젤(Gel)을 접착시켜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별도로 본체에 연결해야 하는 연결 케이블이 있어야 하고 인체 부착용 소모성 젤(Gel)을 매번 구매해야 하는 비용과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인체 부착시 이물감, 불쾌감이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인체 착용 개념도이다
이 개념도에 따르면 본 전기자극기는 본체(50)와 탄성체(40)와 전극패드(40-2)가 일체화되어 인체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탄성체(40)는 형상기억합금의 초탄성 특성을 이용하여 인체의 착용한 부위에서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부위를 적절한 압력으로 인체에 밀착 부착되어 사용된다. 즉 종래의 복대 자극기나 벨트형 자극기 등은 인체에 접착되도록 하는 전극 패드 접착용 젤(Gel)이 필요하다. 이 발명은 전극부(40)가 연결탄성체(60)의 초탄성 특성에 의하여 인체에 부착되기 때문에 별도의 젤이 필요없다. 또한 본체(50)와 전극부가 이 연결탄성체(60)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체는 허리, 팔, 얼굴 등의 사용되는 부위, 부착면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 및 형상의 여러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배면도이다.
도 3, 도 4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를 제어 및 출력하기 위한 본체(50)와, 본체의 전기적 출력을 인체에 인가하는 전극부(40), 상기 본체 및 전극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접속하는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탄성체(60)가 일체의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연결탄성체(60)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이며, 각각 좌, 우측 연결탄성체(60-1, 60-2)와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된다. 이 연결탄성체(60)의 좌, 우측 양끝 일단은 본체 하부케이스(50-2)의 내부에 있는 좌, 우측 콘넥타(50-3, 50-4)에 접속된다(이 내부의 좌, 우측 콘넥타는 도시를 생략함). 이 좌, 우 연결 탄성체(60-1, 60-2)의 표면은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피복을 씌워서 탄성체 보호 및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본체(50)는 상부 케이스(50-1)와, 하부 케이스(50-2)로 이루어지며 이 상부와 하부는 일명 똑딱이 단추 등으로 연결되어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좌, 우 연결탄성체(60-1, 60-2)의 일측단은 상기 하부케이스(50-2)의 좌, 우측 끝단 내부의 접속콘넥타(50-3, 50-4)(도 4에 도시를 생략함)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하부 케이스 공간에 임의로 밀어 넣고 당기는 것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5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출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출력강도 조절부(70)가 위치한다. 또한 전극부(40)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된 전극접속부(40-2)와, 실리콘으로 된 전극(40-1)로 구성되며. 이 전극접속부(40-2)와 전극(40-1)이 일체로 결합되어 연결 탄성체(60)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50)는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충전지를 충전하는 충전용 단자(80)와, 본체 내부면에 위치하여 연결탄성체(60)와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통전 접속콘넥터(50-3, 50-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탄성체(60)는 형상기억합금의 초탄성을 이용한 탄성체이며, 이 초탄성 특성에 의하여 인체에 별도의 젤 접착제(Gel)없이 상기 전극부(40)의 전극(40-1)이 인체에 부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전기적 회로 블록은 입력 신호를 제어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조하는 제어부(130),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 가속도 센서와 인체에 인가되는 신호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로 구성된 센서부(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변조된 신호를 인가받아 전기출력파형을 생성하는 전기출력 파형부(160), 상기 전기출력파형부의 선택된 출력을 인체에 인가하는 신호출력부(180), 기능 모드 및 모드 선택을 조작하는 조작부(140) 및 맥파센서와 인체접촉 센서로 구성된 감지부(170)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140)는 블루투스(90) 또는 와이파이등의 무선 송수신수단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거나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작부(140)에 의하여 모드 및 동작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120)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의 상세 블록도이다도 6에 따르면 제어부(130)은 신호를 제어하고 처리를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1)와, 제어된 신호를 변조 변환하는 변조부(130-2)와, 전기출력파형을 생성하는 전기출력 파형부(160-1)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출력 파형부는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및 미세전류 신호(160-1)를 출력한다. 또한 온열신호(160-2), 광조사 출력(160-3), 모터 진동 신호(160-4)를 출력한다. 상기의 이러한 각각의 신호들은 출력부(180)의 전극단자, 온열히타, 광조사(LED, LD 등), 진동모터를 그 수단으로 하여 그 신호가 인체에 인가, 입력된다.
또한 인체에 인가되는 순간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00-1)와, 인체인가되는 신호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00-2)로 구성되어 사용상태의 적절성분석 및 앱을 이용한 사용자 교육을 하기 위한 센서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가속도 센서와 추격센서의 감지된 신호의 상태에 의해 사용자에게 인체 상태내용을 블루투스 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을 시킨다. 상기 조작부(140)는 블루투스(90) 또는 와이파이등의 무선 송수신수단에 의하거나 수동으로 기기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충전밧데리(110-1)와, 충전회로(110-2)로 구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10)로 구성된다.
또한 인체 맥파를 감지하는 맥파센서(170-1), 인체접촉을 감지하는 신체접촉 센서(170-2)를 이용하여 인체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기기의 작동에 반영하는 감지부(170)로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복합자극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에 따르면 사용자 시작 구동후 전원을 조작하여 작동 시작이 되면 기기를 초기화 하고 센서 모듈의 구성을 확인하는 단계(S1), 조작스위치를 작동 입력하는 단계(S2), 상기 조작스위치를 작동 입력한 후 입력이 확인되면 광선조사, 온열, 진동, 전기자극, 센서측정 및 측정치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설정시간동안 신호 출력 후 종료하는 단계(S3), 조작스위치를 입력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경보, 충전등 기본기능을 확인하고 실시하는 단계(S4), 상기 조작스위치 입력 여부 단계(S2)후 경보, 충전등 기본기능을 확인하고 실시하고 블루투스를 연결하는 단계(S5), 상기 블루투스 연결이 되면 스마트폰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센서 측정 데이터 및 소정의 다른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종료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블루투스 연결이 안되면 다시 센서모듈 구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 조작 스위치를 입력하는 단계(S2)로 되돌아가서 신호 신호 발생 및 감지 센서 동작을 거쳐 앱에 전송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연결체, 기기 본체, 전극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형상기억합금 등의 탄성에 의하여 전극을 인체에 밀착시키므로 인체에 접착하는 젤(GEL)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젤로 인한 불쾌감, 이물감, 구매 비용, 관리 비용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탄성체 복합자극기를 제공한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미세전류, 온열기능, 진동 인체 마사지 자극기능이 포함되어 조합된 다기능 복합자극기로써 이와 같은 기능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기 신호 기능의 한 기능과, 온열기능, 진동 기능을 동시에 작동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에 내장된 프로그램 제어방법 및 블루투스 앱에 의하여 스마트폰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사용자 상태의 적절성 분석 및 습득 교육을 할 수 있다.
이상 이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적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의 지식을 가진 기술인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전극부
40-1 : 전극 40-2 : 전극접속부
50 : 본체
50-1, 50-2 : 상, 하부 케이스
50-3, 50-4 : 좌, 우 접속콘넥타
60 : 연결 탄성체
60-1, 60-2 : 좌, 우 연결 탄성체
70 : 출력 강도조절부 80 : 충전 잭
90 : 블루투스 100 : 센서부
110 : 전원부 120 : 표시부
130 : 제어부
130-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30-2 : 변조부
140 : 조작부 150 : 경보부
160 : 전기출력파형부 170 : 감지부
180 : 출력부

Claims (6)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적 자극신호를 생성하여 2개의 접속 커넥터로 출력하기 위한 본체;
    사용자 인체에 상기 전기적 자극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한쌍의 전극부;
    형상기억합금의 초탄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소정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일단에 상기 한쌍의 전극부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 접속 커넥터와 연결되어 전극부에 전기적 자극신호를 연결하는 제1 연결 탄성체; 및
    형상기억합금의 초탄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소정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일단에 상기 한쌍의 전극부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 접속 커넥터와 연결되어 전극부에 전기적 자극신호를 연결하는 제2 연결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는 똑딱이 단추형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입력 신호를 제어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조하는 제어부와,
    기능 모드 및 모드 선택을 조작하는 조작부와,
    맥파센서와 인체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기기의 작동에 반영하는 감지부와,
    충전밧데리와 충전회로로 구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의 변조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기적 자극신호의 전기출력파형을 생성하는 전기출력파형 생성부와,
    상기 전기출력파형 생성부의 선택된 출력을 인체에 인가하는 신호출력부와,
    상기 조작에 의하여 모드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탄성체와 상기 제2 연결 탄성체는 일측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좌, 우측 끝단 내부의 접속 커넥터에 각각 접속되어 사용자가 하부 케이스 공간에 임의로 밀어 넣고 당기는 것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와 제1 연결 탄성체 및 제2 연결 탄성체의 결합 형상과 열결 탄성체의 초탄성 특성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전극부를 인체에 밀착시켜 별도의 젤(Gel) 접착제 없이도 상기 전기적 자극신호를 인체에 인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스마트폰의 앱과 연동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KR1020200033177A 2020-03-18 2020-03-18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KR10238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77A KR102380215B1 (ko) 2020-03-18 2020-03-18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77A KR102380215B1 (ko) 2020-03-18 2020-03-18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377A KR20210117377A (ko) 2021-09-29
KR102380215B1 true KR102380215B1 (ko) 2022-03-30

Family

ID=7792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177A KR102380215B1 (ko) 2020-03-18 2020-03-18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338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피티브로 턱관절 질환으로 인한 두통 및 통증 완화 장치
KR102518047B1 (ko) * 2022-09-28 2023-04-06 (주)영인바이오텍 쌍방향 통신 장치를 활용한 의료 및 미용용 패드의 식별 감응 장치의 작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30Y1 (ko) * 2009-04-23 2010-01-25 정덕필 허리 가압복대
KR101784298B1 (ko) * 2016-08-29 2017-10-12 한국기계연구원 형상기억합금부재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와 이것의 제어시스템
US20180036531A1 (en) * 2015-02-18 2018-02-08 Wearable Life Science Gmbh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timul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108B1 (ko) 2011-12-15 2013-11-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성코드 경유-유포지의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4341A (ko) 2015-07-02 2017-01-11 최동환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저주파 자극 치료 겸용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KR102166290B1 (ko) * 2018-05-10 2020-10-15 (주)디지링크 스마트 웨어러블 미세전류 치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30Y1 (ko) * 2009-04-23 2010-01-25 정덕필 허리 가압복대
US20180036531A1 (en) * 2015-02-18 2018-02-08 Wearable Life Science Gmbh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timuli
KR101784298B1 (ko) * 2016-08-29 2017-10-12 한국기계연구원 형상기억합금부재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와 이것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377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3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lood pressure
US11986646B2 (en) Resilient head mounted device for neurostimulation and sensing of body parameters
KR102380215B1 (ko) 전기자극 및 광원을 이용한 탄성체 구조의 다기능 자극기 및 제어 방법
US10974047B2 (en) Adjustable TMJ headband
US118653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crocurrent-stimulation therapy
CN111787889B (zh) 热垫和/或冷垫
US20140277323A1 (en) Oral neural stimulator
JP6406554B2 (ja) 身体接触携帯用治療器
US20220409916A1 (en) Device for supporting height growth by using pulsed micro-electromagnetic field, and method for driving device
KR20190100655A (ko) 광선을 포함한 자가 프로그래밍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8893B1 (ko) 다기능 레이저 치료 장치
KR20210057344A (ko) 착탈 일체형 웨어러블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92931B1 (ko) 신체심부 측정진단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의료용 투열기
KR20190004049A (ko) 자가 프로그래밍과 교차 착탈이 가능한 전기치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8841B1 (ko) 눈의 피로회복 및 안구검사 장치
KR102600036B1 (ko) 파동중첩형 전류 생체인가 장치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3256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초음파 자극체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
RU2792204C2 (ru) Доставка тепловой и холодовой энергии к телу человека или животного
KR102649216B1 (ko) 고탄성체 아암을 이용한 다기능 전기자극기
KR200359450Y1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20210055840A (ko) 미세전류와 광원을 이용한 일체형 다기능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888647A (zh) 一种穿戴式膝关节智能康复理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