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590B1 -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590B1
KR102379590B1 KR1020210014250A KR20210014250A KR102379590B1 KR 102379590 B1 KR102379590 B1 KR 102379590B1 KR 1020210014250 A KR1020210014250 A KR 1020210014250A KR 20210014250 A KR20210014250 A KR 20210014250A KR 102379590 B1 KR102379590 B1 KR 10237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streaming
network
state
stream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옥
원종회
Original Assignee
윤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옥 filed Critical 윤종옥
Priority to KR102021001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을 실행하는 복수 개의 회원단말; 및 외부서버에서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에 기 설정된 보안마크를 코딩하여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행단말과의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 및 상기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이 실행되는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Streaming service platform with security features and system and method that support the same}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영상정보의 오·남용 및 사생활 침해 등이 증가됨에 따라, 개인영상정보 보호 원칙과 처리 단계별 기준 등을 규정하고 피해 구제 제도를 강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서, 영상에 대한 보안과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기술기반 대책 방안이 필요하다. 즉,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을 배포할 수 있는 시스템들은 필수 기능으로 영상 보안 및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마스킹 기능을 탑재하여야 한다.
다만 영상 보안 또는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마스킹 기능을 적용함에 있어서, 딥러닝을 이용한 단순 객체 탐지 및 영상 인코딩 과정이 필요하나 컴퓨터 자원에 따라 성능이 결정되는 이러한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에 대한 마스킹 기능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본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에서 원본 영상 파일을 복사한 후 별도의 PC에서 영상에 대한 마스킹 기능을 적용하기 때문에, 원본 영상에 대한 관리 및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092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시스템은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복수 개의 회원단말; 및 외부서버에서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에 기 설정된 보안마크를 코딩하여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과의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실행한 회원단말의 스트리밍 세션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의 트래픽을 분석한 후, 분석된 트래픽을 통해 회원단말들 마다의 경로 네트워크 상태를 혼잡 상태, 일반 상태, 원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인지하되, 상기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는 전파 환경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Rx, Tx, 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전송률,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회원단말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기 설정된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상기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 상태로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의 오차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일반 상태로 인지하고,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회원 단말로의 트래픽 전송 중 개별 네트워크 상태(물리계층(Physical Layer), RF 계층, MAC 계층, IP 계층 등 다앙한 계층)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정보, 스트리밍 세션상태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에 따라 시간당 송출되는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의 단위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할 경우, 상기 회원단말의 회원이 가입한 학회에서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허용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참여시간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시청시간을 기록하고, 기 설정된 기간동안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에 사용되거나 또는 제작에 참여한 의료기기, 의약품을 지원한 제휴업체의 업체정보를 가상의 전시공간 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학회 포스터, 세미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방법은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하는 단계;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회원단말의 세션참여 권한 및 상기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세션참여 권한 및 상기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이 세션참여 허용조건에 만족하면 해당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을 승인하는 단계; 스트리밍 세션이 승인된 회원단말로 미디어 콘텐츠을 스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이 진행되는 동안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단말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혼잡상태일 경우, 스트리밍 지연 버퍼링이 최소화되도록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의 트래픽을 분석한 후, 분석된 트래픽을 통해 회원단말들 마다의 경로 네트워크 상태를 혼잡 상태, 일반 상태, 원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인지하되, 상기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는 전파 환경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Rx, Tx, 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전송률,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회원단말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기 설정된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상기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 상태로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의 오차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일반 상태로 인지하고,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회원 단말로의 트래픽 전송 중 개별 네트워크 상태(물리계층(Physical Layer), RF 계층, MAC 계층, IP 계층 등 다앙한 계층)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정보, 스트리밍 세션상태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에 따라 시간당 송출되는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의 단위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방법은 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의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복수 개의 외부서버로부터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 내에 워터마크(RW: Robust Watermark) 및/또는 연약한 워터마크(FW: Fragile Watermark)가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활용하면, 의료연구물, 의료세미나, 학회연구발표 등에 대한 미디어 정보에 대한 복제 및 배포로 인한 무분별한 온라인 노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회원이 가입되거나 소속된 학회, 병원, 연구소 등에서 제작하거나 발표한 보건/의료시술영상, 보건/의료 학술영상, 학회논문, 세미나 자료 등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참여를 허용함으로써, 비회원 또는 비전문성을 갖는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차단시키고, 이를 통해 보건/의료시술영상, 보건/의료 학술영상, 학회논문, 세미나 자료에 대한 보안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세션참여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세션로그기록을 기초로 회원의 학회, 세미나 등에 대한 참여율을 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의 세부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회원단말(200) 및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단말(200) 및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기 설정된 통신망으로 통신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 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 (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실맹단말(200)이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 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할 것이다.
먼저, 회원단말(200)은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을 통해 후술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워터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회원이 가입된 학회에서 진행하는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회원단말(200)은 학회회원임을 입증하기 위한 회원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회원단말(200)의 세션참여가 승인되면,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은 해당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세션참여시간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시청시간을 기록한다.
한편, 상기 회원단말(200)은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을 통해 기 설정된 기간동안 해당 학회에서 진행하는 세미나, 강의, 회의 등에 대한 동영상 스트리밍의 세션참여에 대한 참여율 정보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을 통해 해당 학회에서 진행하는 세미나, 강의, 회의에 대한 포스터, 논문자료 등을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요청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 내에 사용되거나 또는 제작에 참여한 의료기기, 의약품을 지원한 제휴업체의 업체정보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회원단말(200)은 보안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을 통해 후술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로 물리적 사양정보, 네트워크 환경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회원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은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 학회 포스터/논문/세미나 자료 등을 열람 및 다운하는 서비스, 의료연구와 관련된 학회회원들의 보고서 등을 열람하는 서비스, 요청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 내에 사용되거나 또는 제작에 참여한 의료기기, 의약품을 지원한 제휴업체의 업체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및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참가한 시점부터 종료시점가지의 로그정보를 기록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외부서버에서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에 기 설정된 보안마크를 코딩하여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행단말과의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 및 상기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이 실행되는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회원단말에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할 경우, 상기 회원단말의 회원이 가입한 학회에서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허용을 승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복수 개의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정보, 스트리밍 세션상태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에 따라 시간당 송출되는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단위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회원단말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참여시간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시청시간을 기록하고, 기 설정된 기간동안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 내에 사용되거나 또는 제작에 참여한 의료기기, 의약품을 지원한 제휴업체의 업체정보를 가상의 전시공간 내에 노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에 대한 학회 포스터, 세미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워터마크 처리부(310), 세션승인부(320), 데이터 관리부(330), 세션로그 기록부(340),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 및 산출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마크 처리부(310)는 복수 개의 외부서버로부터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 내에 워터마크(RW: Robust Watermark) 및/또는 연약한 워터마크(FW: Fragile Watermark)가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마크 처리부(310)는 주파수 변환평면의 특성을 이용한다. 이에 사용될 수 있는 변환으로는 웨이블렛 변환(WT: Wavelet Transform) 및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 있으며, 이 변환은 주로 압축 알고리즘에서 영상의 공간적인 정보의 불필요한 부분 (Redundancy)을 제거하기 위해 서 사용되는 변환이다.
먼저, 웨이블렛변환은 신호의 변화가 심한 부분에서는 샘플링 간격을 작게 하고, 신호의 변화가 완만한 부분에서는 간격을 크게 하여 신호의 특성을 추출하는데 유리한 변환방식으로, 이에 대해서는 Yang Yan 및 Zhang Dong 저 'Enh ancement of Algorithms via M-Band Wavelet Transform' Proceedings of SPIE Biomedical Photonics and Opt oelectronic Imaging, 165-169, 2000. 에 개시되어 있다.
웨이블렛 변환은 푸리에 변환과 더불어 1990년대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신호처리 방법이다. 웨이블렛 변환에서는 주파수가 높은 신호는 시간축상에서 윈도우 사이즈를 작게, 주파수가 낮은 신호인 경우 시간축상에서 윈도우 사이즈를 크게해서 신호를 분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웨이블렛변환을 이용하면 주파수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정보도 각 대역별로 알 수 있다. 또한 대역별로 신호를 나눌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처리할 수 있다. DCT 변환은 이차원 공간의 데이터를 2차원 주파수 평면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이다. DCT 변환의 결과 발생되는 2차 원 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갖고 실수 값으로만 표현된다. 또한, 대부분의 영상신호가 저주파 영역에 집중되어 있어, 대 부분의 영이 아닌 계수들은 저주파수 대역부분에 모여있고, 고주파수 성분들의 계수들은 대부분 영 또는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의 의미있는 계수만을 취하여 이를 이산 코사인 역변환 (IDCT) 하면 영상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영상신호가 얻어진다. 따라서, 공간영역에서의 각 픽셀들의 계수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것보다 DCT변 환을 한 후 저주파 대역의 계수들을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하는 것이 훨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워터마크 삽인 기술은 공지된 기술에 불과함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션승인부(320)는 회원단말(200)의 스트리밍 세션요청에 대해 회원권한, 회원단말의 물질적 사양 및 네트워크 트랙핑 환경을 확인한 후, 세션승인을 처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션승인부(320)는 회원단말(200)에서 지정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할 경우, 회원이 상기 지정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을 지원한 학회회원인지를 확인하고, 이후, 후술하는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로부터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 및 회원단말과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 간의 네트워크 트랙핑 환경상태를 확인한 후,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면 회원단말로 요청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을 승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관리부(330)는 의료분야별 학회에서 발표된 보건/의료시술영상,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스터, 세미나 자료 등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33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ur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거래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빅데이터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ur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션로그 기록부(340)는 세션승인부(320)에서 승인된 회원단말의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참여시간 및 종료시간에 대한 로그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는 회원단말의 트래픽 환경을 모니터링, 예컨대, 회원단말에서 실행된 미디어 콘텐츠의 실행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는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의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단말로 전송된 미디어 콘텐츠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는 회원단말의 트래픽을 분석한 후, 분석된 트래픽을 통해 회원단말들 마다의 경로 네트워크 상태를 혼잡 상태, 일반 상태, 원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인지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는 전파 환경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Rx, Tx, 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전송률,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회원단말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기 설정된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한다.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 상태로 인지하고,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의 오차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일반 상태로 인지한다.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는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회원 단말로의 트래픽 전송 중 개별 네트워크 상태(물리계층(Physical Layer), RF 계층, MAC 계층, IP 계층 등 다앙한 계층)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환경 제어부(350)는 회원단말(200)의 물리적 사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송출부(360)는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정보, 스트리밍 세션상태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에 따라 시간당 송출되는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단위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세션 참여율 산출부(370)는 상기 세션로그 기록부(340)로부터 회원이 기 설정된 기간동안 참여한 스트리밍 세션의 로그정보를 제공받아, 참여한 스트리밍 세션들의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S700)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통해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S700)은 회원단말(200)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의 스트리밍 세션참여를 요청(S710)하면,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에서 상기 회원단말(200)의 세션참여 권한 및 상기 회원단말(200)의 물리적 사양,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세션참여 권한 및 상기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이 세션참여 허용조건에 만족하면 해당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을 승인(S720)하고, 스트리밍 세션이 승인된 회원단말(200)로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S730)하며,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회원단말(200)에서 스트리밍이 진행되는 동안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S740)한다.
이때, 상기 회원단말(200)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혼잡상태일 경우, 스트리밍 지연 버퍼링이 최소화되도록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S750)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S700)은 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의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S700)은 상기 S710 단계 이전에,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300)에서 복수 개의 외부서버로부터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미디어 콘텐츠(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 포함)을 포함) 내에 워터마크(RW: Robust Watermark) 및/또는 연약한 워터마크(FW: Fragile Watermark)가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활용하면, 의료연구물, 의료세미나, 학회연구발표 등에 대한 미디어 정보에 대한 복제 및 배포로 인한 무분별한 온라인 노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회원이 가입되거나 소속된 학회, 병원, 연구소 등에서 제작하거나 발표한 보건/의료시술영상, 보건/의료 학술영상, 학회논문, 세미나 자료 등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참여를 허용함으로써, 비회원 또는 비전문성을 갖는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차단시키고, 이를 통해 보건/의료시술영상, 보건/의료 학술영상, 학회논문, 세미나 자료에 대한 보안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세션참여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세션로그기록을 기초로 회원의 학회, 세미나 등에 대한 참여율을 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200: 회원단말
300: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310: 워터마크 처리부
320: 세션승인부
330: 데이터 관리부
340: 세션로그 기록부
350: 트래픽 환경 제어부
360: 세션 참여율 산출부

Claims (9)

  1.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복수 개의 회원단말; 및
    외부서버에서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에 기 설정된 보안마크를 코딩하여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과의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실행한 회원단말의 스트리밍 세션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의 트래픽을 분석한 후, 분석된 트래픽을 통해 회원단말들 마다의 경로 네트워크 상태를 혼잡 상태, 일반 상태, 원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인지하되,
    상기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는 전파 환경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Rx, Tx, 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전송률,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회원단말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기 설정된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상기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 상태로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의 오차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일반 상태로 인지하고,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회원 단말로의 트래픽 전송 중 개별 네트워크 상태(물리계층(Physical Layer), RF 계층, MAC 계층, IP 계층 등 다앙한 계층)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정보, 스트리밍 세션상태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에 따라 시간당 송출되는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의 단위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에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할 경우, 상기 회원단말의 회원이 가입한 학회에서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허용을 승인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의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참여시간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시청시간을 기록하고,
    기 설정된 기간동안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에 사용되거나 또는 제작에 참여한 의료기기, 의약품을 지원한 제휴업체의 업체정보를 가상의 전시공간 내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학회 포스터, 세미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7.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세션을 요청하는 단계;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회원단말의 세션참여 권한 및 상기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세션참여 권한 및 상기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 네트워크 트래픽 환경이 세션참여 허용조건에 만족하면 해당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세션을 승인하는 단계;
    스트리밍 세션이 승인된 회원단말로 미디어 콘텐츠을 스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이 진행되는 동안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단말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혼잡상태일 경우, 스트리밍 지연 버퍼링이 최소화되도록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의 트래픽을 분석한 후, 분석된 트래픽을 통해 회원단말들 마다의 경로 네트워크 상태를 혼잡 상태, 일반 상태, 원할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인지하되,
    상기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는 전파 환경 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인 Rx, Tx, Ec/Io,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전송률, 스트리밍 세션에 참여한 회원단말의 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기 설정된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상기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 상태로 인지하고, 상기 파라미터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을 비교하여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상태 임계값의 오차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일반 상태로 인지하고,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회원 단말로의 트래픽 전송 중 개별 네트워크 상태(물리계층(Physical Layer), RF 계층, MAC 계층, IP 계층 등 다앙한 계층)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보건/의료시술영상 및 보건/의료 학술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회원단말의 물리적 사양정보, 스트리밍 세션상태 및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에 따라 시간당 송출되는 보안마크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의 단위 시간당 송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크기를 분할하여 송출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회원단말에서 스트리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의 누적 시청시간을 점수화하여 스트리밍 세션 참여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복수 개의 외부서버로부터 수집한 미디어 콘텐츠 내에 워터마크(RW: Robust Watermark) 및/또는 연약한 워터마크(FW: Fragile Watermark)가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KR1020210014250A 2021-02-01 2021-02-01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7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50A KR102379590B1 (ko) 2021-02-01 2021-02-01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50A KR102379590B1 (ko) 2021-02-01 2021-02-01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590B1 true KR102379590B1 (ko) 2022-03-28

Family

ID=8099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50A KR102379590B1 (ko) 2021-02-01 2021-02-01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5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910A (ko) * 2003-12-09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시청 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5820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트리밍 서비스 장치
KR100510908B1 (ko) * 2002-11-21 2005-08-25 류봉균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안방법
KR100936124B1 (ko) * 2008-01-16 2010-01-12 주식회사 마크애니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40024650A (ko)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사업자별 정보를 이용한 적응적 비실시간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정책 제공 장치
KR20140140928A (ko)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마크애니 워터마크 삽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워터마크 검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문서 보호 시스템
KR20200101047A (ko) * 2019-02-19 2020-08-27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캐싱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08B1 (ko) * 2002-11-21 2005-08-25 류봉균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안방법
KR20050055910A (ko) * 2003-12-09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시청 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55820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트리밍 서비스 장치
KR100936124B1 (ko) * 2008-01-16 2010-01-12 주식회사 마크애니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40024650A (ko)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사업자별 정보를 이용한 적응적 비실시간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정책 제공 장치
KR20140140928A (ko)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마크애니 워터마크 삽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워터마크 검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문서 보호 시스템
KR20200101047A (ko) * 2019-02-19 2020-08-27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캐싱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tyanarayanan The emergence of edge computing
US105947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propagation of statistical models within threat intelligence communities
CN106462577B (zh) 用于移动设备和移动云服务的同步的基础设施
US86602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video fingerprinting using local descriptors
Hossain Framework for a cloud-based multimedia surveillance system
CN112104892B (zh) 一种多媒体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8234280B1 (en) Dynamic bitwise sharding of live stream comment groups
CN103678372B (zh) 一种用于获取页面的应用性能的方法和设备
US10638135B1 (en) Confidence-based encoding
US202001106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ssertion management in cloud media processing
Arka et al. Collaborative compressed I-cloud medical image storage with decompress viewer
WO2023103897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109656A1 (en) Method to preserve video data obfuscation for video frames
KR102379590B1 (ko) 보안기능을 갖는 미디어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플랫폼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405442B2 (en) Dynamic rotation of streaming protocols
Mishra et al. Trade-offs involved in the choice of cloud service configurations when building secure, scalable, and efficient Internet-of-Things networks
CN113762040B (zh) 视频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20240048465A1 (en) 3d collaborative visual command line system to visualize and manage networked endpoints
US202202455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biased interviewing
US20230082679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program, data extraction device, data extraction method, and data extraction program
US11508155B2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managing incidents occurring in areas monitored by low data-rate monitoring devices using the low data-rate monitoring devices
US20240137594A1 (en) Video definition grade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server, storage medium and system
Lu et al. The user-context module: A new perspective on future internet design
US20220385727A1 (en) Cross-device data distribution with modular architecture
WO2024118118A1 (en) Recommending configurable controls to an 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