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387B1 -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387B1
KR102379387B1 KR1020200074128A KR20200074128A KR102379387B1 KR 102379387 B1 KR102379387 B1 KR 102379387B1 KR 1020200074128 A KR1020200074128 A KR 1020200074128A KR 20200074128 A KR20200074128 A KR 20200074128A KR 102379387 B1 KR102379387 B1 KR 10237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metal thin
mask
microcurren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481A (ko
Inventor
진석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38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필터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또는 머리에 장착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미세섬유 구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미세섬유 여과부 및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Mask comprising microcurrent module}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곰팡이, 병원균, 미생물, 먼지 및 미세입자를 여과하는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위생용 마스크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황사 등의 미세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유해 세균이나 질병에 감염된 환자의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염병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위생용 마스크의 재질은 섬유 또는 펄프로 되어있고, 구성적인 측면으로는, 유해 세균 차단을 목적으로 활성탄, 은 나노 물질 등이 함유된 충진제가 구성된 필터 교체 방식과, 마스크 재질의 공극을 이용한 안면부 여과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모든 마스크는 재질의 종류 및 구성상의 구분과 관계없이 모두 인체의 코와 입에 근접하여 접촉되므로 마스크의 청결은 중요한 위생관리 인자이다.
세균은 땅속, 물속, 공기 속, 사람의 몸속 등 어느 곳에나 양분이 있으면 기생한다. 세균이 서식 및 증식하기 위해서는, 양분과 함께 알맞은 온도와 습도 및 산소가 필요하다. 한편, 세균을 사멸하기 위한 소독방법으로는, 화학성분의 항균제나 광선에 의한 소독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마스크는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러한 소독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상기의 소독 과정을 거쳐 살균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된 마스크는, 호흡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습도와 온도로 인하여 세균이 서식하기에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며, 이러한 연유로 장시간 사용한 마스크는 위생상 유해하므로 일회용 사용이 권장되고 이는 경제적 부담과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화학물질에 의한 소독방법에서는, 알콜 또는, 염소계 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나, 이러한 물질은 일정 시간 외기에 노출되면 소독 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으며 한편, 재질의 공극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균을 걸러주는 마스크 방식은, 유행하는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크기보다 마스크 재질의 공극이 작아야 바이러스를 걸러주는 효과가 있는 방식이므로,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은 초기 전염병의 확산 방지와 예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독 효과의 지속시간이 짧은 마스크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소독 효과의 지속성이 있는, 광 촉매가 도포된 항균 재질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광 촉매는 조사되는 광선에 반응하여 공기 중의 부유 유해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부유 세균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나, 광 촉매에 일정 광량의 광선이 직접 조사되어야 그 효과가 발현되는데, 야간이나 실내와 같은 광량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그 효과가 반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시적 목적은,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미세전류를 이용한 집진방식의 미세섬유 모듈과 미세섬유구조를 적용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시적 목적은, 상기 필터부에 정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기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시적 목적은, 마스크에 덧대어 탈착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마스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필터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장착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미세섬유 구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미세섬유 여과부; 및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미세전류 모듈은, 양극금속박막; 상기 양극금속박막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금속박막; 상기 양극금속박막과 음극금속박막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살균성 금속 또는 살균성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메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살균성 금속은, 구리, 은, 금, 청동 및 황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성 금속합금은, 구리 합금, 금 합금, 은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전도성 극세사 와이어 또는 은나노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양극금속박막은 은 또는 동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상기 음극금속박막은 아연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기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은 곰팡이, 병원균 및 미생물, 먼지 및 미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미세전류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에 따르면, 자체적으로 생체 내의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때 생성된 부직포에 흐르는 미세전류를 통해 집진방식으로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 및 유해 바이러스 등을 차단하기 때문에 기존의 정전기, 필터식 또는 정전기와 필터식을 결합한 방식의 마스크보다 더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및 유해 바이러스를 차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세전류 모듈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재질이 서로 다른 양극금속박막과 음극금속박막을 활용하여 통상의 마스크에 부착시 효과적으로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를 차단 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필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세전류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착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시 양극금속박막과 음극금속박막이 착용자의 얼굴 피부에 닿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인" 및 "선택적으로"의 표현들은 이어서 설명된 사건이나 환경이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과 그 설명이 사건이나 환경이 일어난 경우와 일어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막, 층,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층,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나노"의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nm 범위인 대상을 말한다. 나노 크기의 대상은 광범한 형상들 중 어느 것을 가질 수 있고, 광범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나노와이어, 나노튜브, 나노플라트렛, 나노입자, 및 다른 나노구조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로"의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μm 범위인 대상을 말한다. 전형적으로 마이크로 크기의 대상의 각 치수는 μm 범위이거나 μm 범위를 넘는다. 마이크로 크기의 대상은 광범한 형상들 중 어느 것을 가질 수 있고, 광범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와이어, 마이크로튜브, 마이크로입자, 및 다른 마이크로구조들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110),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필터부(120), 및 마스크 본체(110)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장착되는 걸이부(130)를 포함하는 마스크(100)를 제공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필터부(120)는 미세섬유 구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미세섬유 여과부(140) 및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미세전류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안면부위를 덮도록 얼굴 전면에 씌워지며, 마스크(100)가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었을 때 마스크 본체(110)는 상기 착용자의 입, 코, 또는 입과 코 부위를 덮도록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110)의 양단에 착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는 걸이부(130)는 일반적인 와이어 형상의 귀걸이를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마스크 본체(110)의 양단에 머리 뒤쪽을 감싸는 좌우측 밴드부를 구비하고, 그 좌우측 밴드부에 각각 암수 밸크로테이프를 결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함도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섬유 여과부(140)는 곰팡이, 병원균 및 미생물, 먼지 및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을 포획하여 여과시키는데 유용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은 공기의 흐름과 관계없이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브라운 운동을 하다 미세섬유 여과부(140)의 미세섬유 구조에 흡착되면서 걸러질 수 있다. 미세섬유 여과부(140)의 재질은 미세 무기섬유(inorganic fiber), 고분자 합성 섬유(synthetic fiber), 고분자 마이크로 섬유(microfiber), 폴리올레핀(polyolefin) 마이크로 섬유(microfibe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섬유 여과부(140)를 구성하는 섬유는 직경이 0.01 내지 10㎛인 섬유 웹 형태의 미세섬유층으로서 방직, 제직이나 편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계조작이나 열접착 등 기계, 화학처리로 섬유 조직을 접착 또는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인 펠트 및 섬유상 웹과 같은 섬유성 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미세섬유층은 실질적으로 단일의 층으로 구성하거나, 별개의 층을 연속적으로 밀착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터부(120)는 여과 기능 향상을 위하여 별도의 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층은 300nm 이하 크기의 입자를 99% 이상 제거해주는 헤파 필터, 헤파 필터로 걸러낼 수 있는 입자보다 더 미세한 입자까지 제거해주는 울파 필터, 탈취 효과 및 포름알데히드나 벤젠 등의 일부 공해물질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는 활성탄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세전류 모듈(150)은 양극금속박막(160), 양극금속박막(16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금속박막(170),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직포(180)의 양 끝단에 얼굴 피부와 닿을 수 있는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이 형성되어 생체전류를 이용한 미세전류가 부직포(180)에 흐를 수 있다. 미세전류 모듈(150)은 자체적으로 생체 내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집진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은 부직포(180)의 일단에 형성되어 (+)극을 형성한다. 또한, 음극금속박막(170)은 부직포(180)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극을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박막은, 금속성 분말 인쇄로 형성할 수 있고, 전도성 잉크 인쇄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금속 박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부직포의 양 끝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재질이 서로 다른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전지의 정(正)극 및 부(負)극과 같은 역할로 작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생체전류를 활성화하고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체내에 흘려보내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포(180)의 양 끝단에 연결된 서로 재질이 다른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얼굴 피부에 닿아 인체에서 생성된 생체전류(Body Current, 生體電流)인 미세전류를 부직포(180)에 전달한다. 인체는 세포간 물질 이동 과정에서 나트륨, 칼륨 등의 양이온과 염소 등 음이온 전극을 띤 물질들이 끊임없이 이합집산하며 전위차에 의해 약 40~60㎂ 범위의 생체전기를 발생시킨다. 생체 내 미세전류는 이렇게 세포막이 이온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며, 우리 몸의 미세전류는 약 40~60μA로 원활한 신체건강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인체에는 60Hz의 주파수가 흐르며 그 크기가 전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신경 이외에도 피부 점막 또는 망막 등의 상피조직이나 샘(腺)등에서는 물질의 능동적 또는 수동적인 수송이나 분비 등과 관계있는 전위가 기록되며, 정지전위나 활동전위는 보통 10~100Mv 정도이다. 활동전위(活動電位)는 생물체의 세포나 조직이 활동할 때 일어나는 전압 변화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나트륨·칼륨 등은 이온 펌프 활동을 통해 세포 안팎의 이온 조성 차이를 지속시킨다. 이러한 이온 조성차로 세포막 내부 쪽이 60∼90㎷의 음전위(정지전위)를 띠게 된다. 신경·근육 등의 흥분성 세포가 작용하면 세포막 안팎의 극성이 변하여 세포 안이 30∼40㎷의 양전위로 전위되는데, 이때의 전위를 활동전위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는 양극과 음극의 전류를 이용해서 같은 극에서 서로 밀고 반대쪽 극은 서로 잡아당기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인체에 있는 신경은 온 몸을 연결하는 전기 도선과 같으므로, 신경세포에서는 전기를 띤 이온들이 이동하면서 전압에 해당되는 활동 전위차를 만들고, 외부 자극이 생기면 이 전기신호를 해당 부위에 빠르게 이동시킨다.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생체 내 생성된 미세전류를 받아 부직포(180)에 전달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인체에 밀착이 용이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재질은 전도성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카본 전도성 물질,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산질화물 등 도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 은 또는 동으로 이루어지고, 음극금속박막(170)은 아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벌집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벌집형의 셀 구조로 형성되어 부직포(18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미세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포(180)는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부직포(180)는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으로부터 미세전류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전기 집진 방식을 통해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에 (+)전하를 주어서 (-)전하를 띠고 있는 집진판에 흡착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일반 먼지뿐 아니라 담배연기, 자동차 매연 등을 제거하는 기능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필터 방식은 필터의 성능에 따라 집진력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300nm 크기까지 집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바이러스나 초미세먼지등의 나노입자는 현실적으로 집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입자를 가진 모든 물질에 대해 집진이 가능하다. 즉,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나노입자까지도 완벽한 수준으로 집진 및 제거가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포(180)는 살균성 금속 또는 살균성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이란 탄성체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받았을 때 휘는 성질로서, 메쉬 구조는 대부분의 미세 입자를 여과하는 것에도 매우 효과적이며, 살균성 금속 또는 살균성 금속합금은 살균 및 공기 정화 작용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살균성 금속은, 구리, 은, 금, 청동 및 황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성 금속합금은, 구리 합금, 금 합금, 은 합금 및 살균성 금속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직포(180)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굵기가 나노 크기의 전도성 극세사 혹은 은나노 와이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모듈(150)은 마스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이종 금속인 양극금속박막(160)과 음극금속박막(170)을 포함하는 미세전류 모듈(150)을 통상의 마스크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약 1볼트 정도의 미세전류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b를 참조하면, 필터부(120)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기 여과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 여과부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물질인 지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 여과부는 지자체를 사용하여 정전기를 일으켜 초미세먼지나 유해 바이러스를 차단한다. 미세섬유 여과부를 구성하는 섬유는 극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지자체와 닿을 때 마다 정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아무리 작은 먼지라도 극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미세섬유 여과부를 통과하더라도 정전기에 의해 섬유에 달라붙고, 최종적으로 깨끗해진 공기를 착용자가 마실 수 있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전기 여과부(290)는 25,000V 이상의 초고압 전류로 정전 처리된 정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여과부에서 생성된 정전기는 서로 다른 극의 자석이 달라붙듯 양전하나 음전하로 극성을 띠고 있는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을 붙잡는다. 여기서, 야외활동을 방해하는 미세먼지 대부분은 토양 입자나 해염 입자, 꽃가루, 균류의 포자 같은 자연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과 교통, 산업 활동 등으로 생기는 질산염(NO3-), 암모늄(NH4+), 황산염(SO4 2-)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들 입자는 모두 극성을 띠고 있어서 초고압의 정전기로 처리된 필터에 고루 분포된 양전하와 음전하에 의해 서로 밀어내는 척력, 끌어당기는 인력에 따라 섬유 조직에 흡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여과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고전압의 정전기가 균일하게 정전 필터에 분포되어 있으며, 미세섬유 여과부 및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필터부에서 미세섬유 및 미세전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전기를 더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에서 미세섬유 여과부 및 미세섬유 모듈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이, 미세섬유 모듈이 마스크 본체의 안쪽(얼굴과 닿는 쪽)에 배치될 수도 있고, 마스크 본체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정전기 여과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의 경우에도 정전기 여과부, 미세섬유 여과부 및 미세섬유 모듈이 배치되는 순서에는 제한이 없이 모든 경우의 수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마스크
110: 마스크 본체
120: 필터부
130: 걸이부
140: 미세섬유 여과부
150: 미세전류 모듈
160: 양극금속박막
170: 음극금속박막
180: 부직포
290: 정전기 여과부

Claims (9)

  1.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필터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장착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미세섬유 구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미세섬유 여과부; 및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전류 모듈은,
    양극금속박막;
    상기 양극금속박막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금속박막; 및
    상기 양극금속박막과 음극금속박막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는 살균성 금속 또는 살균성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메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성 금속은, 구리, 은, 금, 청동 및 황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성 금속합금은, 구리 합금, 금 합금, 은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는 전도성 극세사 와이어 또는 은나노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금속박막은 은 또는 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금속박막은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기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 모듈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마스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구성된 미세전류 모듈로서,
    양극금속박막;
    상기 양극금속박막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금속박막; 및
    상기 양극금속박막과 음극금속박막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는 살균성 금속 또는 살균성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메쉬로 이루어지고,
    자체적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모듈.
KR1020200074128A 2020-06-18 2020-06-18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237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28A KR102379387B1 (ko) 2020-06-18 2020-06-18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28A KR102379387B1 (ko) 2020-06-18 2020-06-18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81A KR20210156481A (ko) 2021-12-27
KR102379387B1 true KR102379387B1 (ko) 2022-03-28

Family

ID=7917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28A KR102379387B1 (ko) 2020-06-18 2020-06-18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3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8082A (ja) 2007-02-01 2008-08-21 Nisshinbo Ind Inc マスク
JP2009226711A (ja) 2008-03-21 2009-10-08 Acoustic Engineering Kk マスク
JP2011104553A (ja) 2009-11-20 2011-06-02 Mitsufuji Seni Kogyo Kk 殺菌フィルター及び当該フィルターを用いたマスク
KR102153826B1 (ko) 2019-07-03 2020-09-08 홍성태 미세 먼지 제거용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77A (ja) * 1993-07-09 1995-01-27 Asia Waasu Kk マスク
KR20150115588A (ko) *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광세로 호흡이 원활한 미세 먼지 제거용 마스크
KR20160004280U (ko) * 2015-06-04 2016-12-14 강규진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8082A (ja) 2007-02-01 2008-08-21 Nisshinbo Ind Inc マスク
JP2009226711A (ja) 2008-03-21 2009-10-08 Acoustic Engineering Kk マスク
JP2011104553A (ja) 2009-11-20 2011-06-02 Mitsufuji Seni Kogyo Kk 殺菌フィルター及び当該フィルターを用いたマスク
KR102153826B1 (ko) 2019-07-03 2020-09-08 홍성태 미세 먼지 제거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81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5844B (zh) 多功能电子口罩
CN106474640B (zh) 口罩
KR20070003900A (ko) 개인용 공기 필터 및 이온화 시스템
KR20170025527A (ko) 전기집진 살균 마스크
CN111387603A (zh) 一种可替换内芯的防护口罩
CN205250400U (zh) 口罩
JP2011104553A (ja) 殺菌フィルター及び当該フィルターを用いたマスク
CN103829408A (zh) 抗菌防霾口罩
CN102578725A (zh) 防可入肺颗粒物口罩
CN111869962A (zh) 除菌防尘多功能电子口罩
CN210143880U (zh) 一种杀菌防臭口罩
KR102379387B1 (ko) 미세전류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CN208972708U (zh) 一种具有双重抑菌功能的防雾霾口罩
CN111296942A (zh) 一种基于地杆菌蛋白质纤维的新式口罩
CN111436685A (zh) 一种可长期持续荷电再生的抗菌口罩
BG3922U1 (bg) Филтър на маска за лице срещу патогени и вируси
CN205866062U (zh) 一种纳米抗菌、抑菌口罩
CN206008243U (zh) 一种滤布、滤芯及滤清器
US20220240605A1 (en) Face Mask Having a Combined Biocidal and Electrostatic Treatment
CN212728879U (zh) 一种可长期持续荷电再生的抗菌口罩
CN211268751U (zh) 一种物理与生物的双重防护口罩
BG113208A (bg) Филтър на маска за лице срещу патогени и вируси
US20230249010A1 (e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2728880U (zh) 一种基于地杆菌蛋白质纤维的新式口罩
CN219903670U (zh) 一种高效过滤自清洁熔喷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