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345B1 - Food waste analysis system - Google Patents

Food waste analysi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345B1
KR102379345B1 KR1020210149141A KR20210149141A KR102379345B1 KR 102379345 B1 KR102379345 B1 KR 102379345B1 KR 1020210149141 A KR1020210149141 A KR 1020210149141A KR 20210149141 A KR20210149141 A KR 20210149141A KR 102379345 B1 KR102379345 B1 KR 10237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ftovers
leftover
weight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욱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팅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팅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팅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4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3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includes: a leftover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leftovers; an image capturing unit which captures an imag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a weight measuring unit which measures the weight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the weight measuring unit. The control unit considers a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leftovers include solid food ingredients and liquid food ingredients from the image of the leftovers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s made of the solid food ingredients excluding the liquid food ingredients from the remainder through the weight measurement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leftovers.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Food waste analysis system}Food waste analysis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잔반으로부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a final residue made of a solid food material excluding the liquid food material from the food waste.

전 세계적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문제가 되고 있다. Food waste produced around the world is a problem.

따라서, 각국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방법을 고안해 내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countries are devising various method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된 후에 처리하는 것보다는, 근본적인 관점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하나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However, rather than disposing of food waste after it is generated, from a fundamental point of view, reducing the generation of food waste may be a fundamental solution.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However, a method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food waste is still insufficie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적정 식수량을 예측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즉, 잔반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in which the amount of food waste, that is, leftovers, can be minimized by predic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정 식수량을 예측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for predic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잔반의 양을 최소화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that minimizes the amount of leftov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은, 잔반을 수용하는, 잔반 수용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및 상기 이미지 촬영부 및 상기 무게 측정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를 고려하되, 상기 이미지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이 고상 식재료 및 액상 식재료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부를 통하여 상기 잔반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includes a leftover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eftovers, an image captur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weight measur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the weight measur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siders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unit, and the image captur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image of the leftovers taken through the leftovers that the leftovers contain the solid food and liquid ingredient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s made of the solid food materials excluding the liquid food from the leftovers through the weight measurement unit can be calculated.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 중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의 구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하는, 바람 토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람 토출부를 제어하되, 상기 바람 토출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바람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고, 상기 잔반의 무게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에 해당하는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further includes a wind discharging unit that provides win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s among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wind. Control the wind discharging unit to do so, but determining the region flowing by the win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ing unit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nd subtracting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material from the weight of the remaining remainder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can be calcul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 중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의 구별을 위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경사 형성부를 제어하되, 상기 경사 형성부를 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경사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고, 상기 잔반의 무게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에 해당하는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further includes a slope forming unit configured to form an inclina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s among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inclination is formed The inclination forming part is controlled so as to be possible, but the region flowing by the inclination formed through the inclination forming part is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nd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material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can be calcul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N 번째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 차 잔반, 및 상기 제N 차 잔반보다 차 순위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1 차 잔반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N+1 차 잔반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의 차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further includes a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a light to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defined as the Nth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1th leftovers, which are defined as the Nth tea leftovers and the N+1th tea remainders, which are defined as the remainders accommodated in a higher order than the Nth tea remainders,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the Nth for the N+1th tea remainders The light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light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t of tea leftover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은, 잔반을 수용하는, 잔반 수용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잔반 상태 구별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이미지 촬영부, 상기 무게 측정부,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 및 상기 조명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 중 고상 식재료 및 액상 식재료의 구별을 위하여, 바람을 제공하는 바람 토출부, 및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를 고려하되, 상기 이미지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부를 통하여 상기 잔반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되, 상기 바람 토출부로부터 바람이 제공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바람 토출부에서 제공하는 바람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고, 상기 경사 형성부로부터 경사가 형성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경사 형성부를 통하여 형성되는 경사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며, 상기 잔반 수용부에, N 번째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 차 잔반, 및 상기 제N 차 잔반보다 차 순위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1 차 잔반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N+1 차 잔반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의 차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includes a leftover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eftovers, an image captur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weight measuring unit, a leftover state distinguishing unit for distinguishing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ing to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nd the image capturing unit, the weight measuring unit , the leftover state discrimin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lighting unit, wherein the leftover state distinguishing unit provides wi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solid food and the liquid food among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and a slope forming unit for forming a slop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siders the state of the remaining residue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receiving unit, and from the image of the remaining residue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the remaining residue is the solid phas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quid food material is included,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made of the solid food material excluding the liquid food material is calculated from the residual food material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and the wind is controlled so that the wind is provided from the wind discharge unit, the wind The region flowing by the wind provided by the discharge unit is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nd the slope is controlled to be formed from the slope forming unit, and the region flowing by the slope formed through the slope forming unit is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n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the Nth tea leftover defined as the Nth leftover accommodated, and the N+1th tea leftover defined as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next order than the Nth tea leftover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When it is determined, the light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light to an area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set of the Nth order remainder with respect to the N+1th order remaind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잔반을 수용하는, 잔반 수용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및 상기 이미지 촬영부 및 상기 무게 측정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를 고려하되, 상기 이미지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이 고상 식재료 및 액상 식재료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부를 통하여 상기 잔반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ftover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eftovers, an image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nd the weight measur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siders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image that the leftovers contain solid food and liquid food, the weight measurement unit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made of the solid food except for the liquid food from the leftover food waste analysis system provided can b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최종 잔반 무게를 산출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액상 소스, 국물 등과 같은 액상 식재료의 무게는 잔반의 무게에서 제외하고, 예를 들어, 고기와 같은 고상 식재료의 무게를 최종 잔반 무게로 산출함으로써, 최종 잔반의 무게로부터 적정 식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lculating the final weight of the leftovers, for example, the weight of liquid ingredients such as liquid sauce and broth is excluded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r example, solid ingredients such as meat By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as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it is possible to predict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from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또한 상기와 같이 적정 식수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즉, 잔반의 양이 최소화되어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by accurately predict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as described abo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mount of food waste, that is, leftovers, can be minimized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improved.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2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shapes and thicknesses of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step, configur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re i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이 설명된다. Hereinafter,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은, 남은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적정 식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may be provided to analyze the amount of leftover food waste and predict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through this.

한편, 여기에서 음식물 쓰레기라 함은, 자율 배식이 이루어지는 급식 환경에서, 자율 배식이 완료되었으나, 취식 전에 남은 음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자율 배식이 이루어지는 급식 환경에서, 취식자가 미 취식한 상태에서 남은 음식 즉, 잔반(이하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잔반이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 “food waste” herein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food left over before eating even though the autonomous distribution has been completed in a catering environment in which autonomous distribution is performed.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food waste may refer to food leftover from an uneaten state by the eater, ie, leftovers (hereinafter, food waste is referred to as leftovers) in a catering environment in which autonomous distribution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최종 잔반량 즉, 최종 잔반의 무게라 함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으로부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무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amount of leftovers, that i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s,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the weight of the solid food material excluding the liquid food material from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containe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최종 잔반 무게를 산출함에 있어서, 제육볶음을 예를 들어 보면, 상기 제육볶음의 고추장 소스와 같은 액상 식재료의 무게는 잔반의 무게에서 제외하고, 상기 제육볶음의 고기와 같은 고상 식재료의 무게를 최종 잔반 무게로 산출함으로써, 상기 최종 잔반의 무게로부터 적정 식수량을 예측하기 위함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the final weight of the leftovers, for example, the weight of liquid ingredients such as the red pepper paste sauce of the stir-fried Jeyuk is excluded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and the meat of the stir-fried Jeyuk. By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solid food, such as the final residue weight, it is to predict the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from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이하에서 액상 식재료는, 상기 잔반에서 액상으로 이루어진 식재료 예를 들어, 액상 소스, 국물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고상 식재료는 상기 잔반에서 고상으로 이루어진 식재료 예를 들어, 고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liquid food material is a concept including a liquid food material, for example, a liquid sauce, a broth, etc. made from the leftover food, and a solid food material is a concept including a solid food material made from the leftover food, for example meat, etc. can be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은, 잔반 수용부(50), 스테이지(100), 이미지 촬영부(200), 조명부(270), 무게 측정부(30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 제어부(500), 디스플레이부(600), 및 잔반 상태 구별부(7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includes a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 a stage 100 , an image capturing unit 200 , a lighting unit 270 , and a weight measuring unit ( 300 ), a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 a control unit 500 , a display unit 600 , and at least one of a remaining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

이하, 각 구성이 설명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s described.

잔반leftover 수용부receptacle (50)(5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잔반(lf)을 수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accommodate the leftover food lf.

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트레이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3 ,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ay.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잔반(lf)이 수용되는 몸체(52) 및 상기 몸체(52)의 상 측을 덮는 덮개(5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ncludes a body 52 in which the leftover lf is accommodated and a cover 53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body 52 . It may be made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m.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52) 내부에는, 상기 잔반(lf)이 수용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as)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an accommodating space as having a depth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eftover lf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52 .

이에 따라, 상기 몸체(52)의 수용공간(as)에 상기 잔반(lf)이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ainder lf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s of the body 52 .

한편, 상기 덮개(5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53)를 관통하는 중공(o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잔반(lf)은 상기 중공(op)을 통해 상기 몸체(52)의 수용공간(as)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cover 53 , a hollow op penetrating through the cover 53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3 . Accordingly, the remainder lf may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s of the body 52 through the hollow op.

한편, 상기 중공(op)은, 상기와 같이 잔반(lf)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s)의 상 측이 후술되는 이미지 촬영부(200)에 노출되도록 상기 덮개(5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op)은, 상기 수용공간(as)의 단면적과 동일하도록 단면적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ollow op may be formed in the cover 53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s in which the leftover lf is accommodated is expos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hollow (op)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space (as).

이는, 상기 수용공간(as)에 수용된 잔반(lf)에 대한 후술되는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한 이미지 촬영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as)에 수용된 잔반(lf) 중 미 촬영되는 잔반(lf)이 최소화되도록 고려된 것이다.This is, in the image photographing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for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s), the remaining residue (lf) that is not photographed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s). ) is considered to be minimized.

한편, 상술된 잔반 수용부(50)의 실시 예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상기 잔반(lf)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eftover food lf. of course there is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잔반 수용부(50)의 내면 일 측에는, 상기 수용공간(as)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된, 바람 토출부(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a wind discharging part 70 extending in length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as) may b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스테이지(100)stage (100)

상기 스테이지(100)에는, 상기 잔반 수용부(50)가 안착될 수 있다. On the stage 100 ,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seated.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지(1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S. 2 and 3 , at least on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1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한편, 상기 스테이지(100)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명확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age 100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position is adjusted by th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to acquire a clear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accommodating part 5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지(100)의 하부 일 측에는, 후술되는 무게 측정부(300)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경사 형상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2 , on one lower side of the stage 100 , an inclined shape portion 170 extending in length in a direction from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is provided. can b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이미지 image 촬영부cinematographer (200)(200)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may take an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렌즈(미 도시), 셔터(미 도시), 촬상면(미 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촬상면은, 상기와 같은 카메라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에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may include a lens (not shown), a shutter (not shown), and an imaging surface (not shown). Meanwhile, the imaging surface may be an image sensor such as a photodiode when the camera as described above is a digital camera.

한편,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상기와 같은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 촬영에 있어서, 촬영 영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영역 설정부는, 조리개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영 영역 설정부의 상기와 같은 가변적인 촬영 영역 조절은, 상기 조리개의 열림 정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촬영 영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further includes a captur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for variably adjusting the capturing area in the image capturing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as described above. can do.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area sett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perture. In this case, the variable capturing area adjustment of the capturing area setting unit may include variabl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aphragm. Meanwhile, the photograph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may be controlled to variably adjust the photographing area as described above by th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의 상기와 같은 가변적인 촬영 영역 조절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상태 예를 들어, 고상 또는 액상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액상 식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조리개의 열림 정도가 크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고상 식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조리개의 열림 정도가 작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shooting area adjustment as described above by the shoot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may depend on, for example, the state of the food material contained in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for example, solid or liquid. can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iaphragm as described above is large when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includes a liquid food material. . On the other hand, for another example, the photograph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contains solid foo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iaphragm as described above is small. can be controlled.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액상 식재료인 경우와 고상 식재료인 경우에 군집도가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잔반(lf)은 액상 식재료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고상 식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군집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clustering may be different in the case of liquid food and solid foo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ingredients included in the leftover lf. More specifically,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cluster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higher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solid food than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liquid foo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에 의하면, 상기 잔반(lf)이 상대적으로 군집도가 높은 고상 식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액상 식재료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상기와 같은 조리개의 열림 정도가 크도록 제어됨에 따라, 상기 잔반(lf) 별 상태에 따른 촬영 영역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ftover lf includes a solid food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lustering, it is higher than when the liquid food material is included. A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same diaphragm is controlled to be large, the photographing area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maining lf can be variably adjusted.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adjust the angle by th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이미지 촬영부(200)의 각도 조절에 의하여, 사각지대가 최소화되도록 고려된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blind spot is minimiz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한 잔반(lf)의 이미지 촬영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as)에 수용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에 미 포함되는 잔반(lf)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aking an image of the leftover lf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the remaining leftover lf that is not included in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s can be minimized. .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의 상 측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may be disposed above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op)은, 상기와 같이 잔반(lf)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s)의 상 측이 후술되는 이미지 촬영부(200)에 노출되도록 상기 덮개(53)에 형성되는 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한 잔반(lf)의 이미지 촬영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as)에 수용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에 미 포함되는 잔반(lf)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op) is,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53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s) in which the remainder (lf) is accommodated is expos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image taking of the leftover lf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he remaining leftover lf not included in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s is minimized. can

한편,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하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잔반(lf)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lf)의 메뉴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s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in th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leftover food from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is captured. The menu of (lf) can be identifi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조명부lighting department (270)(270)

상기 조명부(27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270 may illuminate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이를 위해, 상기 조명부(27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기구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ighting unit 27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ighting device that irradiates the light to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부(270)는, 상기와 같이 조명을 조사하는 광원(미 도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각도 조절부(미 도시), 및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양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광량 조절부(미 도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ghting unit 270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for irradiating illumination as described above, an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provided to adjust the directional angle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not shown), and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 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 amount adjusting unit (not shown) provid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chamb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부(270)의 각도 조절부(미 도시)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of the lighting unit 270 may be controlled to adjust the directional angle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by the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보다 구체적으로, 도 22를 참조하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N 번째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 차 잔반(lfNa), 및 상기 제N 차 잔반(lfNa)보다 차 순위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1 차 잔반(lfN+1a)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경우를 상정해보기로 한다.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22 , the Nth tea leftover (lfNa) defined as the Nth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50, and the Nth tea leftovers (lfNa) are accommodated in the order of preference. Assume that the N+1th residual (lfN+1a) defined as the remaining residual is sequentially accommodated.

이 경우, 상기 조명부(270)의 각도 조절부(미 도시)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lfNa)의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도 23 참조)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of the lighting unit 270 controls the N-th remainder lfNa with respect to the N+1-th remainder lfN+1a by the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controlled to illuminate the region (refer to FIG. 23)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무게 weight 측정부measuring part (300)(300)

상기 무게 측정부(3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may measure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이를 위해, 상기 무게 측정부(3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cal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remaining balance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balance accommodating part 50 .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게 측정부(3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의 하 측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may be disposed below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이에 따라, 상기 무게 측정부(3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may measure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한편 이때, 상기 무게 측정부(3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함에 있어, 후술되는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스테이지(100) 및 상기 잔반 수용부(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게는 제외하고 상기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in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the stage 100 and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50) may be controlled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except for the weight of at least any one.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측정부(300) 상에 상기 스테이지(100) 및 상기 잔반 수용부(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스테이지(100) 및 잔반 수용부(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게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잔반(lf)만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 even if at least one of the stage 100 and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s disposed on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 as described above, the stage 100 and By excluding the weight of at least one of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s 50, the weight of only the leftover lf can be measured.

한편,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통하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가 측정되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잔반(lf)으로부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상기 잔반(lf)에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가 포함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s measured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 in the controll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liquid food material is excluded from the leftover lf.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made of solid ingredients.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solid and liquid ingredients are included in the leftover l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Database management unit 40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410), 무게 데이터베이스(420), 잔반량 데이터베이스(430), 및 식수량 데이터베이스(4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may manage at least one of an image database 410 , a weight database 420 , a residual quantity database 430 , and a drinking water quantity database 440 as a database. there i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lf)의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410)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manager 400 may manage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s the image database 410 .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에서 관리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410)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고상 식재료(lf_s) 및 액상 식재료(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잔반(lf)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atabase 410 managed by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It may include an image of the leftover (lf).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 및 후술되는 이미지 분석부(51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atabase manager 400 may be linked with at least on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image analyzing unit 510 to be described later.

이는 즉,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400)를 통해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잔반(lf)의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를 통하여 분석된 상기 촬영된 잔반(lf)의 이미지 분석 결과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410)로 관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at is,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leftover lf analyzed through the image analyzing unit 510 It means that the analysis result can be managed by the image database 410 .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잔반(lf)의 이미지가 누적 관리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잔반(lf)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가 누적 관리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잔반(lf)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410)는 빅 데이터로 관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the images of the leftover lf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00 can be accumulated and managed, and also, through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he photographe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is accumulated and manag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mage database 410 of the leftover lf can be managed as big data.

이에 따라,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잔반(lf)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에서 상기 잔반(lf)을 촬영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와 같은 빅 데이터를 통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상기 촬영된 잔반(lf)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leftover lf i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when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captures the leftover lf, the image analysis unit 510 performs the same Through the data,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analyze the photographed residue lf.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통하여 측정된 잔반(lf)의 무게를, 상기 무게 데이터베이스(420)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may manage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ment unit 300 as the weight database 420 .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에서 관리되는 상기 무게 데이터베이스(420)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고상 식재료(lf_s) 및 액상 식재료(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잔반(lf)의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ight database 420 managed by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includes,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remainder l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sol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l. can do.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와 상기 무게 측정부(300), 후술되는 이미지 분석부(510)와 무게 분석부(520)와 잔반량 산출부(5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includes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weight measurement unit 300 , an image analysis unit 510 , a weight analysis unit 520 , and a residual quantity calculation unit 54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linked with at least one of them.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를 모두 포함하는 잔반(lf)의 경우, 상기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한 무게가 최종 잔반의 무게인 바, 후술되는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상기 잔반(lf)의 이미지 중 액상 식재료(lf_l)인 것으로 판단한 영역을, 후술되는 잔반량 산출부(540)에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로 환산하고, 상기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로 산출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leftover lf including both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f_l, the liquid food ingredient lf_l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Since the weight minus the weight of i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o be described later,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mong the images of the leftovers lf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he determined area is converted into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n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weight of the converted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subtracted from the weight of the remaining portion lf, and the final remainder to calculate the weight of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잔반(lf)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을 무게로 환산하기 위한 관계식을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상기 무게 데이터베이스(420)로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among the images of the leftover lf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converts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nto weight through a relational expression. The calculated data may be managed by the weight database 420 .

이하, 상기 관계식 수립 방법이 설명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establishing the relational expression will be described.

상기 관계식을 수립하기 위해, 후술되는 무게 분석부(52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물론,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잔반(lf)을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제공한 것을 상정한 것이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al expression, the weight analysis unit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 can be controlled.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manager (or user) provides the leftover lf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o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as described above.

한편 이때, 후술되는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잔반(lf)의 상부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rol to photograph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00 .

이에 따라, 후술되는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를 통해, 상기 잔반(lf)이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eftover lf is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lf_l. .

또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상부 이미지를 통해, 상기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면적을 측정할 수 있다.Also,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measure the area of the region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rough the upper image.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무게 분석부(52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만으로 이루어진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analysis unit 52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rol the weight measurement unit 300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remaining portion lf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이에 따라, 후술되는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면적과, 상기 무게 분석부(52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액상 식재료(lf_l)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무게를 통해,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면적과 무게 간의 관계식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 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면적을 부피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부피와 밀도의 곱으로써, 상기 영역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residual amount calculation unit 540 to be described later, the area of the region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easured through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nd the weight analysis unit 520 measured through the Through the weight of the region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 relational expression between the area and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be established. For example, in the residual amount calculating unit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rea of the region made of on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converted into a volume, and the weight of the region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converted volume and density. there will be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를 통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액상 식재료(lf_l) 면적에 대응되는 무게가, 상기와 같은 관계식으로 관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와 같이 액상 식재료(lf_l)를 포함하는 잔반(lf)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이미지 획득만으로도 상기 무게가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ly,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aged in the relational expression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the Of course, when the leftover lf including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accommodated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 만으로도, 후술되는 이미지 분석부(510)를 통하여 상기 잔반(lf)에 액상 식재료(lf_l)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실제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측정하지 않고도, 후술되는 잔반량 산출부(540)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관계식을 통하여 무게로 환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산 무게를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에서 차감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just by taking an image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n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he liquid food material is added to the leftover lf through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lf_l) is included, and without actuall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n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to be described later is calculated using the relational expression Since it can be converted into weight through , by subtracting the converted weight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as described abo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후술되는 잔뱐량 산출부(540)를 통하여 산출된 최종 잔반의 무게를, 상기 잔반량 데이터베이스(430)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may manag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ing leftovers calculated through the remaining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remaining remaining amount database 430 .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에서 관리되는 상기 잔반량 데이터베이스(430)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를 모두 포함하는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한 최종 잔반의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database 430 managed by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is, for example, the liquid food ingredient in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including both the solid and liquid ingredients (lf_s, lf_l) as described above. It may include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after deducting the weight of (lf_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는, 후술되는 식수량 예측부(550)를 통하여 예측된 적정 식수량을, 상기 식수량 데이터베이스(440)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may manage the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predicted through the drinking water amount predicting unit 55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drinking water amount database 440 .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에서 관리되는 상기 식수량 데이터베이스(440)는, 예를 들어, 상기 잔반의 원천이 되는 제조 음식의 무게에서 상기와 같은 잔반량 데이터베이스(430)로 관리되는 최종 잔반의 무게를 차감하고, 상기 제조 음식이 배식될 인 수로 나눈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nking water amount database 440 managed by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is,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managed by the residual amount database 430 as described above from the weight of the manufactured food serving as the source of the leftovers. It may include the weight divided by the number of factors to be served by subtracting the prepared food.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조 음식이 배식될 1인 당 적정 식수량이 상기 식수량 데이터베이스(440)로 관리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per person to which the prepared food as described above is to be served may be managed by the drinking water amount database 440 .

제어부(500)control unit (500)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테이지(100)와 이미지 촬영부(200)와 조명부(270)와 무게 측정부(30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 및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600)와 잔반 상태 구별부(7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distinguishes between the stage 100 ,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the lighting unit 270 ,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 and the display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remaining state. At least one of the units 700 may be controlled.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이미지 분석부(510), 무게 분석부(520), 잔반 상태 판별부(530), 잔반량 산출부(540), 및 식수량 예측부(5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n image analysis unit 510 , a weight analysis unit 520 , a residual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 a residual quantity calculation unit 540 , and a prediction of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At least one of the units 550 may be included.

이하, 상기 제어부(500)의 각 구성이 설명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500 will be described.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상기 잔반(lf)의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The image analyzer 510 may analyze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이를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를 촬영(sh)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7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controls to capture (sh) an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can do.

이때,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 및 상기 조명부(27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control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lighting unit 270 to be adjus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 및 상기 조명부(27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 측 방향(u1) 및 하 측 방향(d1)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위치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performs at least on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lighting unit 270 in an upward direction (u1) and a downward direction (d1). The position may be controlled to move in at least one direction.

여기에서 상 측 방향(u1)이라 함은, 상기 잔반 수용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 측 방향(d1)이라 함은, 상기 잔반 수용부(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 및 상기 조명부(27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의 상 측에 배치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Here, the upper direction u1 means a direction away from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and the downward direction d1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toward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there is. Of course,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lighting unit 270 are disposed above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

또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지(1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mage analyzer 510 ma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tage 100 to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이때에도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스테이지(100)가 상 측 및 하 측 방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위치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때의 상 측은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향하는 방향이고, 하 측은 이와 반대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Even at this tim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of course,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tage 100 to move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in this case, the upper sid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and the lower side may be defined as the opposite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may photograph an upper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이미지 분석부(510)의 위치 제어는, 상기와 같은 위치 제어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의 이미지가 보다 명확하게 획득되도록 고려된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image analysis unit 510 is considered so that the image of the leftover food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accommodating unit 50 is more clearly obtained through the position control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와 같이 잔반(lf)의 이미지 획득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이미지 촬영부(200)의 촬영 영역 설정부(미 도시)를 통한 촬영 영역 설정 제어 및 각도 조절 제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270)의 각도 조절부(미 도시)를 통한 광의 지향 각도 조절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analysis unit 510, in acquiring the image of the leftover lf as described above, controls and angles the capturing area setting through the capturing area setting unit (not shown)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erform at least any one of the adjustment control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erform control of the direction angle of light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unit (not shown) of the lighting unit 270 . In this regard,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lf)이 고상 식재료(lf_s) 및 액상 식재료(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analysis unit 510, from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lf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he remaining portion lf is a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a liquid food material ( lf_l) may be determined to include at least one.

이는, 본 발명에서 최종 잔반량 즉, 최종 잔반 무게라 함은,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에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제외한 고상 식재료(lf_s)의 무게를 포함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잔반(lf)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lf_l)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lf_s)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기 위함이다.This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remaining amount, that is, the final remaining weight, is the weight of the solid food (lf_s) excluding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lf_l) from the weight of the remaining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This is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made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except for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from the remainder lf.

한편 이때,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잔반(lf)에 포함된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군집도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at this tim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f_l included in the leftover lf as described above is included, as shown in FIG. 9 . , it can be perform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clustering of the ingredients included in the leftover lf.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군집도를 대비하여 보면, 액상 식재료(lf_l)보다 고상 식재료(lf_s)의 군집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이렇게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군집도를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comparing the cluster diagram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container 50, the solid food material (lf_l) rather than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is is because the clustering degree of lf_s) may be high. Accordingly,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lf_l) may be determined to include at least one.

한편 이때,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와 같은 군집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경계를 추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extract the boundary of the food ingredients included in the leftover lf in order to analyze the clustering degree as described above.

여기에서 상기 식재료의 경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상 식재료(lf_s)가 군집된 최외각의 경계(bt)를 의미할 수도 있고, 상기 군집을 이루는 고상 식재료(lf_s) 각각의 경계(bt)를 의미할 수도 있다. Here, the boundary of the food material may mean the outermost boundary bt in which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is clustered, as shown in FIG. 9 , and the boundary of each solid food material lf_s constituting the cluster It can also mean (bt).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경계를 추출하여, 상기 군집도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잔반(lf)이 고상 식재료(lf_s) 및 액상 식재료(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잔반(lf)의 상부 이미지에서, 군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의 식재료를 고상 식재료(lf_s)로 판단하고, 군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식재료를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analysis unit 510 extracts the boundary of the food ingredients included in the leftover food lf from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o obtain the cluster diagram. By analyzing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mainder lf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olid food lf_s and the liquid food lf_l. That is,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termines, in the upper image of the leftover lf, a food material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lustering as a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selects a food material in an area having a relatively low degree of clustering. It can be determined as liquid food (lf_l).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군집도를 기준으로,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lf) 즉, 고상 식재료(lf_s)인지 액상 식재료(lf_l)인지를 구별하여 판단하되,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를 판단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군집도 만으로는 명확한 판단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 based on the degree of clustering,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50 , that is, whether it is a solid food (lf_s) or a liquid food (lf_l) However, in determining the recognition by distinction, in determining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f_l included in the leftover lf, a situation may arise where it is difficult to make a clear determination only with the clustering degree as described above.

이 경우, 후술되는 잔반 상태 판별부(530)에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태가 구별되도록, 후술되는 잔반 상태 구별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leftover state determining unit 53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rol the remaining leftover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tate of the remaining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accommodating unit 50 is distinguish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제N 차 잔반(lfNa, 도 21 참조) 및 제N+1 차 잔반(lfN+1a, 도 22 참조)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상황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제N 차 잔반(lfNa, 도 21 참조)이라 함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N 번째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N+1 차 잔반(lfN+1a, 도 22 참조)이라 함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a, 도 21 참조)보다 차 순위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th tea remainder (lfNa, see FIG. 21)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1a, see FIG. 22)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can be assumed. Here, the N-th tea leftover (lfNa, see FIG. 21) may be defined as the N-th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wherein the N+1th tea leftovers (lfN+1a, 22) may be defined as leftovers that are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50 in a lower order than the Nth tea leftovers lfNa (refer to FIG. 21).

보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먼저 상기 제N 차 잔반(lfNa)이 수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1 , the N-th tea remainder lfNa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first.

이때,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제N 차 잔반(lfNa)을 촬영(sh)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control to photograph (sh) the N-th residual lfNa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00 .

이후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제N+1 차 잔반(lfN+1a)이 수용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22 , an N+1th order leftover lfN+1a may be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이때,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lfNa)의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lg)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23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is configured to perform a difference set (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irradiate the illumination lg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df1).

이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상기 조명(lg)이 조사되어 밝되(br), 그 외의 영역은 어두울(dk)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3 , the illumination lg may be irradiated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to be bright (br), but other regions may be dark (dk).

이에 따라,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조명(lg)이 조사된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을 촬영(sh)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4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captures (s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irradiated with the illumination lg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By controlling, an imag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may be acquired.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a)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이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a, lfN+1a)이 섞여, 둘의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에서의 잔반 판별이 어려움을 고려한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2 , the Nth tea remainder lfNa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1a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 When received and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a, lfN+1a are mixed to form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of the two,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residues.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a)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경우, 상기 잔반들 간에 섞여 형성되는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은 배제함으로써, 명확한 잔반 무게를 산출하기 위함이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th tea remainder lfNa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1a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the remainder By excluding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formed by mixing between the two, a clear weight of the remaining residue is calculated.

하지만, 상술된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이 소정 기준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limited to a case in which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여기에서 소정 기준 미만이라 함은, 상기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이, 상기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 미만인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term "less than a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case in which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is less than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따라서, 도 2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이, 상기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 및 상기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 모두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 25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2,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hrough the lighting unit 27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illuminate both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2 .

또한,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조명이 조사된 교집합(it2) 및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교집합(it2) 및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o photograp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and the difference (df2) irradiated with the illumination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he intersection (it2) and the difference (df2) corresponding to the An image of the area can be acquired.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b)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b)이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b, lfN+1b)이 섞여 형성된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제N+1 차 잔반(lfN+1b)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lfNb)의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 이상인 경우, 상기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잔반 무게를 고려한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5 , the Nth tea remainder lfNb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1b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which is accommodated and formed by mixing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b and lfN+1b, corresponds to the N+1th residual lfN+1b.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2 of the N-th residual lfNb,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sidual weight inclu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is considered.

한편, 이와는 달리 도 2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c, lfN+1c)이 섞이지 않아 상술된 바와 같은 교집합(it1, it2)이 미 형성되는 경우를 상정해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this, referring to FIG. 26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c and lfN+1c do not mix, so that the intersections it1 and it2 as described above are not formed. case can be imagined.

이 경우에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제N 차 잔반(lfNc)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c) 각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와 같이 각각 조명이 조사된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b, lfN+1b)을 촬영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controls to illuminate each of the N-th residual lfNc and the N+1-th residual lfN+1c through the lighting unit 270, and the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may control to photograph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b and lfN+1b respectively illuminat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이때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의 상기와 같은 조명 조사 및 촬영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c)이 수용되면, 상기 조명을 조사한 후에 상기 촬영하고, 이후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1 차 잔반(lfN+1c)이 수용되면, 상기 조명을 조사한 후에 상기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irradiation and shooting of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th residual remainder lfNc is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unit 50,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after irradiating the illumination, and then the When the N+1th residual part lfN+1c is accommodated in the residual part accommodating part 50, it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the photographing after irradiating the illumination.

또는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의 상기와 같은 조명 조사 및 촬영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b, lfN+1b)이 모두 수용된 후에, 상기 조명을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b, lfN+1b) 모두에 조사한 후에 한 번에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c, lfN+1c)이 섞이지 않아 상기 교집합(it1, it2)이 미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llumination and photographing of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s described above is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b, lfN+1b) in the residual accommodating part 50 . After all of these are accommodated,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photographing at once after irradiating the illumination to both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b and lfN+1b.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sections it1 and it2 are not formed because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c and lfN+1c do not mix.

상기 무게 분석부(520)는,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잔반(lf)의 무게를 분석할 수 있다. The weight analyzer 520 may analyze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r 300 .

이를 위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무게 분석부(520)는,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wt)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10 , the weight analyzer 520 controls to measure (wt)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 can do.

이에 따라, 상기 무게 측정부(3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may measure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군집도를 고려하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hrough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Considering the degree of clustering,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f_l.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지 구별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잔반(lf)의 이미지 중 액상 식재료(lf_l)인 것으로 판단한 영역에 대하여, 후술되는 잔반량 산출부(540)에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하고, 상기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로 환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image is at least one of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s (lf_s, lf_l). In the case where it is discriminated, as described above, the residual amount calculating unit 54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region determined to be the liquid food ingredient lf_l among the images of the leftover food lf by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s described above. In ,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be converted, and the weight of the converted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be subtracted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to be converted into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by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가 마련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state determining unit 530 may be provided.

이하, 잔반 상태 판별부(530)가 설명된다. Hereinafter, the remaining state determining unit 530 will be described.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태를 구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leftover state determining unit 530 may be provided to discriminate the state of the remaining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accommodating unit 50 .

이를 위해,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후술되는 잔반 상태 구별부(7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때 후술되는 잔반 상태 구별부(700)는, 바람 토출부(70) 및 경사 형성부(17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o this end, the leftover state determining unit 530 may control the remaining remaining state determining unit 700 to be drive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at this time, the residual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wind discharge unit 70 and the inclined formation unit 17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바람 토출부(70)에서 바람(wd, 도 14 참조)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eftover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may include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sol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iquid food ingredients among the remaining residues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accommodating part 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lf_l)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s shown in FIGS. 13 and 14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ind discharge unit 70 to provide wind (wd (refer to FIG. 14 )).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경사 형성부(170)에서 경사(θ1)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eftover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may use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mong the remaining residues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residue accommodating unit 50 , sol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iqui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food material lf_l, as shown in FIG. 17 ,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rol to form the inclination θ1 .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은 바람 토출부(70) 및 경사 형성부(170)를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eftover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may use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mong the remaining residues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residue accommodating unit 50 , sol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iqui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od material lf_l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oth the wind discharge unit 70 and the inclined formation unit 17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rolled.

이에 따라,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에서 액상 식재료(lf_l)가 유동할 수 있다. 이는 물론,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상기 고상 식재료(lf_s)보다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유동성이 큰 것을 상정한 것이다.Accordingly,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flow among the leftovers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fluidity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와 같은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하는 영역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scribed above may determine the flowing region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5 ,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In ,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lowing region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be converted.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으로부터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eftover amount calculating unit 540 may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ing leftovers from the remaining leftovers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50 .

여기에서 최종 잔반의 무게라 함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상기 잔반(lf)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lf_l)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lf_s)로 이루어진 무게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means the weight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excluding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from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as described above. can do.

이에 따라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영역을 액상 식재료(lf_l)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idual amount calculating unit 5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termines that the flowing region i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e remaining residue accommodating unit 50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converted liquid food material lf_l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may be calculated.

이는 물론,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를 포함한 것을 상정한 것이다.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includes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f_l.

따라서, 이와는 달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고상 식재료(lf_s) 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무게 측정부(300)에 의하여, 상기 고상 식재료(lf_s)의 무게를 측정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unlike this, when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includes only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the weight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is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weight measurement unit 300 .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sidue by measuring.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적정 식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may predict an appropriate drinking water quantity.

이를 위해,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원천이 되는 제조 음식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상기 제조 음식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예를 들어, 관리자(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27 ,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serving as the sourc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 In this case, the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for example, from a manager (or a user).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음식의 무게에 대한 정보는 앞서 설명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를 통해서 관리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may be managed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상기 제조 음식(mf)의 무게에서, 상기 최종 잔반(flf)의 무게를 차감하고, 상기 제조 음식(mf)이 배식될 인 수로 나누어, 상기 적정 식수량(et)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7 ,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subtract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flf from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mf, and the prepared food mf is to be served. By dividing by the number of factor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et).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600)(600)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는, 앞서 설명된 각 구성 즉, 상기 스테이지(100)와 이미지 촬영부(200)와 조명부(270)와 무게 측정부(30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 와 제어부(500), 및 후술되는 잔반 상태 구별부(7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이라 함은, 상술된 각 부의 작동 상황 및/또는 상기 제어부(500)의 상기 각부에 대한 제어상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600 includes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tage 100 ,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the lighting unit 270 , the weight measurement unit 300 ,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 and the control unit 500 . , and at least one situation among the remaining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layed. Here, the situation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the operation situation of each unit and/or the control situation of each unit of the control unit 500 described above.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는, 관리자(또는 사용자)의 수동 제어를 입력 받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600 may be provided to receive manual control from an administrator (or a user).

이 경우, 상기 관리자(또는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하여, 각 부의 제어를 수동으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진행 상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하여 관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the manager (or user) can manually control each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 and can observe the progress of the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 is of course

잔반leftover 상태 state 구별부distinction (700)(700)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70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The leftover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may be provided to distinguish the state of the remaining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accommodating part 50 .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700)는, 바람 토출부(70) 및 경사 형성부(17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1 , the residual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nd discharge unit 70 and an inclined formation unit 170 .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바람 토출부(7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의 구별을 위한 바람(wd, 도 14 참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물론, 상기 바람 토출부(70)가, 앞서 설명된 잔반 상태 판별부(530)에 의하여 상기 바람(wd, 도 14 참조)을 제공하도록 제어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3 , the wind discharging unit 70 is a wind w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olid and liquid food ingredients lf_s and lf_l among the remaining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accommodating unit 50 , see FIG. 14 . ) can be provided.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wind discharge unit 70 is controlled to provide the wind (wd, see FIG. 14 ) by the residual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바람 토출부(70)에서 제공하는 바람(wd)에 의하여, 상기 액상 식재료(lf_l)가 유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이라 함은, 상기 바람 토출부(70)에서 제공하는 바람(wd)에 의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에 물결(wv)이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4 ,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flow by the wind w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e unit 70 . Here, the flow may mean that a wave wv is formed in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having fluidity by the wind w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e unit 70 .

이는 물론,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상기 고상 식재료(lf_s)보다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유동성이 큰 것을 상정한 것이다.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fluidity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와 같은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하는 영역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scribed above may determine the flowing region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5 ,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In ,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lowing region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be converted.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영역이 액상 식재료(lf_l)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lowing region i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in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 the converted liquid from the weight of the remaining balance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remaining receiving unit 50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food material (lf_l).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 형성부(17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의 구별을 위한 경사(θ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물론, 상기 경사 형성부(170)가, 앞서 설명된 잔반 상태 판별부(530)에 의하여 상기 경사(θ1)를 형성하도록 제어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17 , the slope forming unit 170 may form a slope θ1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s lf_s and lf_l among the remaining balance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unit 50 . can Of course, it is assumed that the slope forming unit 170 is controlled to form the slope θ1 by the residual state determining unit 530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 형성부(17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지(100)의 하부 일 측에 마련되되, 상기 무게 측정부(300)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를 향하는 방향(u2)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경사 형성부(170)가 상기와 같이 상기 스테이지(100)의 하부 일 측에 마련되는 것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지(100)의 하부 타 측에는 상기 경사 형성부(170)가 마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스테이지(100)의 하부 일 측에 마련된 상기 경사 형성부(170)가 상기 무게 측정부(300)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를 향하는 방향(u2)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경우, 상기 스테이지(100)가 일 방향으로 기울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경사(θ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stage 100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 50) may extend in the direction u2.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7 , the inclined forming part 170 is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the stage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clined forming part ( 170) may mean that it is not provid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forming part 17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ge 100 is extended in length from the weight measuring part 300 to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in the direction u2. In this case, the stage 100 may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thus the inclination θ1 may be formed.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형성부(170)에서 형성하는 경사(θ1)에 의하여, 상기 액상 식재료(lf_l)가 유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이라 함은, 상기 경사 형성부(170)를 통해 형성되는 경사(θ1)에 의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θ2) 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7 ,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flow by the inclination θ1 formed by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 Here, the flow may mean that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having fluidity is inclined (θ2) in one direction by the inclination θ1 formed through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

이는 물론,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상기 고상 식재료(lf_s)보다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유동성이 큼을 상정한 것이다.Of course, it is assumed that fluidity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와 같은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하는 영역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ly,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scribed above may determine the flowing region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the liquid food material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can be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lowing region determined as lf_l).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영역이 액상 식재료(lf_l)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lowing region i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s described above, in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 the converted liquid from the weight of the remaining balance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remaining receiving unit 50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food material (lf_l).

한편, 상기 경사 형성부(170)는,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에 의한 상기와 같은 경사(θ1) 형성 제어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복귀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maining remaining state determining unit 530 after the control of forming the inclination θ1 as described above by the residual state determining unit 530 is completed. can be controlled.

이에 따라, 상기 경사 형성부(170)는, 상기와 같이, 무게 측정부(300)에서 잔반 수용부(50)를 향하는 방향(u2)으로 연장되었던 길이가, 반대 방향(d2)으로 수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clination forming part 170,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extending in the direction u2 from the weight measuring part 300 toward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contra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d2. there is.

한편, 미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은,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이는 앞서 설명된 각 부(또는 각 구성)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전력 공급부(미 도시)는, 예를 들어, 배터리와 같은 형태로 마련되되, 전력 공급이 필요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술된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is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driving each unit (or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and for this purpose,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battery, but requires power supp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이 설명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의 작동방법이 설명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의 각 구성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된다고 해서,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Hereinafter, an operating method of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each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mission of overlapping descriptions below does not exclude them.

도 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to 2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1000)의 작동방법은, 이미지 촬영 단계(S110), 무게 측정 단계(S120), 잔반 상태 구별 단계(S130), 잔반량 산출 단계(S140), 및 식수량 예측 단계(S1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ood waste analysis system 10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step (S110), a weight measurement step (S120), a residual state discrimination step (S130), a residual amount calculation step (S140),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on step (S150).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Hereinafter, each step is described.

단계 S110Step S110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이미지를 촬영(sh)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110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captures (sh) an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can be controlled

이때,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control to irradiate the light to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lighting unit 270 .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의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 및 상기 조명부(270) 제어는 앞서 설명된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The control of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and the lighting unit 270 of the image analysis unit 510 has been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로부터 촬영된,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상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 in this step, the image analysis unit 510 acquires an upper imag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photograph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can do.

한편, 도 8은,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고상 식재료(lf_s) 및 액상 식재료(lf_l)를 포함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Meanwhile, in FIG. 8 , it is assumed that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includes a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a liquid food material lf_l.

이러한 경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군집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경계를 추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9 , the image analyzer 510 may extract the boundary of the food material included in the leftover lf in order to analyze the clustering degree.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군집도를 대비하여 보면, 액상 식재료(lf_l)보다 고상 식재료(lf_s)의 군집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comparing the clustering degree of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rather than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 may have a high degree of clustering.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lf)에 포함된 식재료의 경계(bd, bt)를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extract the boundaries bd and bt of the food ingredients included in the leftover lf. In this regard,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overlaps,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단계 S120Step S120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20에서, 상기 무게 분석부(520)는,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통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무게를 측정(wt)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in step S120 , the weight analysis unit 520 measures (wt) the weight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300 . can be controlled

이에 따라, 상기 무게 분석부(520)는, 상기 무게 측정부(3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잔반(lf)의 무게를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ight analyzer 520 may analyze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er 300 .

한편, 이때의 잔반(lf)의 무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잔반(lf) 전체의 무게일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1 , the weight of the remainder lf at this time may be the total weight of the remainder l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s lf_s and lf_l.

상기 무게 분석부(520)의 상기 무게 측정부(300) 제어는 앞서 설명된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The control of the weight measurement unit 300 of the weight analyzer 520 has been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지 구별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단계 S140의 잔반량 산출부(540)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하고, 본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잔반(lf)의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로 환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the leftover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through the image is at least one of the solid and liquid foodstuffs lf_s and lf_l. In the case where it is distinguished,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ingredient lf_l is converted in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of step S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verted liquid from the weight of the remaining balance lf measured in this step.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food material (lf_l), it can be converted into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이 경우, 후술되는 단계 S130은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case, step S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omitted.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by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

이 경우, 후술되는 단계 S130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단계 S130은,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의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700) 제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 S130a 및 단계 S130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step S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Meanwhile, step S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include performing at least one of steps S130a and S13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leftover state discrimination unit 700 of the leftover state determining unit 530 .

단계 step S130aS130a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0a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가 구별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단계(S131a) 및 바람에 의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영역을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하는 단계(S1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in step S13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ing wind so that the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are distinguished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step S131a ) and determining the region having fluidity due to the win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 S132a ) may be performed.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Hereinafter, each step is described.

단계 step S131aS131a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1a에서,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바람 토출부(70)에서 바람(wd, 도 14 참조)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in step S131a , the leftover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uses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sis unit 510 , and among the remaining residues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receiving unit 50 , the solid food lf_s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e wind discharge unit 70 may control to provide the wind (wd, see FIG. 14 ).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람 토출부(70)에서 제공하는 바람(wd)에 의하여, 상기 액상 식재료(lf_l)가 유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이라 함은, 상기 바람 토출부(70)에서 제공하는 바람(wd)에 의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에 물결(wv)이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 ,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flow by the wind w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e unit 70 . Here, the flow may mean that a wave wv is formed in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having fluidity by the wind w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e unit 70 .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의 상기 바람 토출부(70) 제어는 앞서 설명된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The control of the wind discharging unit 70 of the residual state determining unit 530 has been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단계 step S132aS132a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S132a에서,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가 상기 바람 토출부(70)를 통해 상기 바람(wd)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바람(wd)에 의하여 유동(wv)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in step S132a, when the residual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controls to provide the wind wd through the wind discharge unit 70, the image analysis unit 510 performs the A region flowing wv by the wind wd may be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의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wv)하는 영역에 대하여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of the step to be described later,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be converted with respect to the region where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flows wv.

단계 step S130bS130b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30b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가 구별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단계(S131b) 및 경사에 의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영역을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하는 단계(S13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in step S13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ming a slope so that a solid food material lf_s and a liquid food material lf_l among the remainder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part 50 are distinguished (S131b) ) and the step (S132b) of determining that the region having fluidity by the inclination i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S132b) may be performed.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Hereinafter, each step is described.

단계 step S131bS131b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131b에서,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는,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 상기 이미지 만으로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 중 고상 식재료(lf_s)와 액상 식재료(lf_l)의 구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경사 형성부(170)를 통해 경사(θ1)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in step S131b , the leftover state determining unit 530 is configured to use only the image in the image analyzing unit 510 , and among the remaining leftovers lf accommodated in the remaining food receiving unit 50 , the solid food lf_s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the slope θ1 may be controlled to be formed through the slope forming unit 170 .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형성부(170)에서 형성하는 경사(θ1)에 의하여, 상기 액상 식재료(lf_l)가 유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이라 함은, 상기 경사 형성부(170)를 통해 형성되는 경사(θ1)에 의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θ2) 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7 ,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may flow by the inclination θ1 formed by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 Here, the flow may mean that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having fluidity is inclined (θ2) in one direction by the inclination θ1 formed through the inclination forming unit 170 .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의 상기 경사 형성부(170) 제어는 앞서 설명된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The control of the slope forming unit 170 of the residual state determining unit 530 has been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referred to.

단계 step S132bS132b

단계 S132b에서, 상기 잔반 상태 판별부(530)가 상기 경사 형성부(170)를 통해 상기 경사(θ1)가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에서는, 상기 경사(θ1)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132b, when the residual state determination unit 530 controls the slope θ1 to be formed through the slope forming unit 170, the image analysis unit 510 determines the slope θ1 according to the slope θ1. The flowing region may be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의 잔반량 산출부(540)에서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하는 영역에 대하여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환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of the step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vert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with respect to the flowing region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단계 S140Step S140

단계 S140에서,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In step S140 , the leftover amount calculating unit 540 may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ing leftover food.

이를 위해, 도 18을 참조하면, 본 단계 S140은, 잔반(lf)의 무게를 획득하는 단계(S141),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성을 가지는 영역의 면적을,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로 환산하는 단계(S142), 및 잔반(lf) 무게에서,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는 단계(S14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referring to FIG. 18 , in this step S140 , in the step S141 of obtaining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the area of the region having fluidity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ep of converting to weight (S142), and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converted liquid food material (lf_l)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 (lf) (S143). .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Hereinafter, each step is described.

단계 S141Step S141

단계 S141에서,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상기 잔반(lf)의 무게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41,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may obtain the weight of the remaining balance lf.

여기에서 상기 잔반(lf)의 무게는, 앞서 단계 S120에서 측정된,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lf_s, lf_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잔반(lf) 전체의 무게일 수 있다.Here, the weight of the remainder lf may be the total weight of the remainder l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olid and liquid ingredients lf_s and lf_l, measured in step S120 above.

단계 S142step S142

단계 S142에서,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로 판단된 유동성을 가지는 영역의 면적을,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로 환산할 수 있다. In step S142,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may convert the area of the fluidity region determined to be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nto the weight of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이를 위해,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상기 액상 식재료(lf_l)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기 관계식을 통하여 무게로 환산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unit 540 may conver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material lf_l into weight through the relational expression.

상기 관계식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For the relational expression,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계 S143Step S143

단계 S143에서,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는, 상기 잔반(lf) 무게에서, 상기 환산된 액상 식재료(lf_l)의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In step S143, the leftover amount calculating unit 540 may calculate the final remaining weight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converted liquid food material lf_l from the remaining weight lf.

이에 따라, 상기 잔반량 산출부(540)를 통해 산출되는 최종 잔반의 무게에 의하여, 후술되는 단계에서 상기 최종 잔반의 무게로부터 적정 식수량이 예측될 수 있다.Accordingly,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may be predicted from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in a step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weight of the final remainder calculated through the remainder calculation unit 540 .

단계 S150Step S150

단계 S150에서,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적정 식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In step S150 ,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ng unit 550 may predict an appropriate drinking water quantity.

이를 위해,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수용된 잔반(lf)의 원천이 되는 제조 음식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상기 제조 음식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예를 들어, 관리자(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27 ,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serving as the source of the leftover food lf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food container 50 . In this case, the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for example, from a manager (or a user).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음식의 무게에 대한 정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0)를 통해서 관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formation on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may be managed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400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식수량 예측부(550)는, 상기 제조 음식(mf)의 무게에서, 상기 최종 잔반(flf)의 무게를 차감하고, 상기 제조 음식(mf)이 배식될 인 수로 나누어, 상기 적정 식수량(et)을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7 , the drinking water quantity prediction unit 550 subtracts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flf from the weight of the prepared food mf, and the prepared food mf is to be served. By dividing by the number of factor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et).

한편, 이상 설명된 각 단계는 상술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순서가 변경 및/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step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rder, and the order may be changed and/or omitted if necessary.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S130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단계 S110 내지 단계 S1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두 개 이상의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step S130 may be omitted, and for example, at least any two or more steps among steps S110 to S150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26을 참조하여, 상술된 단계 S110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a),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경우를 상정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6 ,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10 , the Nth tea remainder lfNa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1a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 Let us assume a case where it is accepted as

도 20을 참조하면, 상술된 단계 S110은, 제N 차 잔반(lfNa)을 수용하는 단계(S111), 제N 차 잔반(lfNa)을 촬영하는 단계(S112), 제N+1 차 잔반(lfN+1a)을 수용하는 단계(S113), 제N+1 차 잔반(lfN+1a)에 대한 제N 차 잔반(lfN)의 차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S114), 및 조명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11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the above-described step S110 includes a step of accommodating the Nth tea remainder lfNa (S111), a step of photographing the Nth tea remainder lfNa (S112),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 Step (S113) of accommodating +1a), irradiating illumination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of the N-th residual (lfN) with respect to the (N+1)-th residual (lfN+1a) (S114), and lighting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step (S115) of photographing the irradiated area.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Hereinafter, each step is described.

단계 S111Step S111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 S111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상기 제N 차 잔반(lfNa)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1 , in step S111 ,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receive the Nth tea leftover lfNa.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계 S112Step S112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 S112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제N 차 잔반(lfNa)을 촬영(sh)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1 , in step S112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may control to photograph (sh) the N-th residual remainder lfNa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00 .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계 S113Step S113

도 22를 참조하면, 단계 S113에서,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앞서 설명된 단계 S111의 제N 차 잔반(lfNa) 및 본 단계의 제N+1 차 잔반(lfN+1a)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2 , in step S113 ,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accommodate the N+1th order leftover lfN+1a. In other words, the N-th residual remainder lfNa of step S111 and the N+1-th residual lfN+1a of the present step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50 .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계 S114Step S114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S114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lfNa)의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lg)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 in step S114 , the image analyzer 510 may perform a difference between the N+1th residual lfN+1a and the N+1th residual lfNa through the lighting unit 27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irradiate the light lg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t df1.

이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상기 조명(lg)이 조사되어 밝되(br), 그 외의 영역은 어두울(dk)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3 , the illumination lg may be irradiated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to be bright (br), but other regions may be dark (dk).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계 S115Step S115

도 24를 참조하면, 단계 S115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조명(lg)이 조사된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을 촬영(sh)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 in step S115 , the image analysis unit 510 capture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irradiated with the illumination lg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sh) By controlling to do so, an imag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can be obtained.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에 상기 제N 차 잔반(lfNa)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a)이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a, lfN+1a)이 섞여, 둘의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에서의 잔반 판별이 어려움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Nth tea remainder lfNa and the N+1th tea remainder lfN+1a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accommodating unit 50 , and the Nth and Nth tea remainders lfN+1a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When the +1-order residuals lfNa and lfN+1a are mixed to form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of the two,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residual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한편 상술된 단계 S113은, 상기와 같은 교집합(it1)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이, 상기 차집합(df1)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 미만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Meanwhile, in step S113 described above, it is assumed that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1 is less than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1.

이하에서는, 상술된 단계 S113의 변형 예인 단계 S113b 및 단계 S113c가 설명된다. Hereinafter, steps S113b and S113c, which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step S113, will be described.

단계 step S113bS113b

단계 S113b에서, 상술된 단계 S113과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상기 제N+1 차 잔반(lfN+1b)을 수용할 수 있다. In step S113b, as in step S113 described above,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accommodate the N+1th order leftover lfN+1b.

한편, 도 25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상술된 단계 S113과는 다르게, 상기 잔반 수용부(50)가, 상기 제N+1 차 잔반(lfN+1b)을 수용함에 있어, 상기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이, 상기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5 , unlike step S113 described above in this step, whe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accommodates the N+1th order remainder lfN+1b, the intersection it2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df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rea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2.

이에 따라, 상술된 단계 S114의 변형 단계인 단계 S114b(미 도시)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 및 상기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 모두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step S114b (not shown), which is a modification step of step S114 described abov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perform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and the difference set df2 through the illumination unit 270 . It can be controlled to illuminate all areas corresponding to .

또한, 상술된 단계 S115의 변형 단계인 단계 S115b(미 도시)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 조명이 조사된 교집합(it2) 및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교집합(it2) 및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15b (not shown), which is a modification step of step S115 described abov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performs an intersection (it2) and a difference (df2) to which the illumination is irradiated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00 . By controlling to photograph the area corresponding to , images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and the difference set df2 may be obtained.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b, lfN+1b)이 섞여 형성된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이, 상기 제N+1 차 잔반(lfN+1b)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lfNb)의 차집합(df2)에 해당하는 영역 이상인 경우, 상기 교집합(it2)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잔반 무게를 고려한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formed by mixing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b and lfN+1b is the N+1-th residual lfN+1b. ),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set df2 of the N-th residual remainder lfNb,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sidual weight inclu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section it2 is considered.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단계 step S113cS113c

단계 S113c에서, 상술된 단계 S113과 같이 상기 잔반 수용부(50)는, 상기 제N+1 차 잔반(lfN+1c)을 수용할 수 있다. In step S113c, as in step S113 described above,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may accommodate the N+1th order leftover lfN+1c.

한편, 도 26을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 상술된 단계 S113과는 다르게, 상기 잔반 수용부(50)가, 상기 제N+1 차 잔반(lfN+1c)을 수용함에 있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c, lfN+1c)이 섞이지 않아 상술된 바와 같은 교집합(it1, it2)이 미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26 , unlike step S113 described above in this step, whe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50 accommodates the N+1th order remainder lfN+1c, the Nth order and Since the N+1th order residues lfNc and lfN+1c are not mixed, the intersections it1 and it2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formed.

이에 따라, 상술된 단계 S114의 변형 단계인 단계 S114c(미 도시)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조명부(270)를 통해 상기 제N 차 잔반(lfNc) 및 상기 제N+1 차 잔반(lfN+1c) 각각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step S114c (not shown), which is a modified step of step S114 , the image analyzer 510 performs the Nth residual lfNc and the N+1th residual residual lfNc through the lighting unit 270 . (lfN+1c) can be controlled to illuminate each.

또한, 상술된 단계 S115의 변형 단계인 단계 S115c(미 도시)에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510)는, 상기 이미지 촬영부(200)를 통해 상기와 같이 각각 조명이 조사된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b, lfN+1b)을 촬영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15c (not shown), which is a modification of step S115 described above, the image analysis unit 510 is irradiated with the Nth and Nth lights,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respectively. It can be controlled to shoot the first residuals (lfNb, lfN+1b).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N 차 및 제N+1 차 잔반(lfNc, lfN+1c)이 섞이지 않아 상기 교집합(it1, it2)이 미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 예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sections it1 and it2 are not formed because the Nth and N+1th residuals lfNc and lfN+1c do not mix.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변형 단계는 앞서 설명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50과 함께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modified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steps S110 to S150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잔반 수용부
70: 바람 토출부
100: 스테이지
170: 경사 형성부
200: 이미지 촬영부
270: 조명부
300; 무게 측정부
40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00: 제어부
600: 디스플레이부
700: 잔반 상태 구별부
1000: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
50: leftover accommodating part
70: wind discharge unit
100: stage
170: inclined forming part
200: image recording unit
270: lighting unit
300; weighing unit
400: database management unit
500: control
600: display unit
700: Remaining state discrimination unit
1000: food waste analysis system

Claims (5)

잔반을 수용하는, 잔반 수용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및
상기 이미지 촬영부 및 상기 무게 측정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가 고상인지 액상인지를 고려하되,
상기 이미지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이 고상 식재료 및 액상 식재료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부를 통하여 상기 잔반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고,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N 번째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 차 잔반, 및 상기 제N 차 잔반보다 차 순위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1 차 잔반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N+1 차 잔반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의 차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
Remaining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eftover;
an image captur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weigh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the weight measuring unit;
The control unit is
Considering whether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is solid or liquid,
From the image of the leftovers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ftovers include solid food and liquid food,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made of the solid food material excluding the liquid food material from the leftover food through the weight measurement unit,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the light to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The control unit is
Determining that the N-th leftovers, which are defined as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Nth order, and the N+1th leftovers, which are defined as the remainders accommodated in the next order than the Nth leftovers,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Occation,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to illuminate an area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set of the Nth tea remainder with the N+1th tea remaind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 중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의 구별을 위한 바람을 제공하는, 바람 토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람 토출부를 제어하되,
상기 바람 토출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바람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고,
상기 잔반의 무게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에 해당하는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nd discharge unit, which provides a wind for distinguishing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 among the remainder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is
But controlling the wind discharge unit to provide the wind,
Determining the region flowing by the win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e unit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s by subtracting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 중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의 구별을 위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 형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경사 형성부를 제어하되,
상기 경사 형성부를 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경사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고,
상기 잔반의 무게에서 상기 액상 식재료에 해당하는 무게를 차감하여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lope forming part to form a slope for distinguishing the solid and liquid food material among the remainder accommodated in the remainder receiving part,
The control unit is
Control the inclination forming part so that the inclination is formed,
Determining the region flowing by the inclination formed through the inclination forming part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 food waste analysis system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s by subtracting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liquid food from the weight of the leftovers.
삭제delete 잔반을 수용하는, 잔반 수용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를 구별하기 위한, 잔반 상태 구별부;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이미지 촬영부, 상기 무게 측정부,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 및 상기 조명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잔반 상태 구별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 중 고상 식재료 및 액상 식재료의 구별을 위하여, 바람을 제공하는 바람 토출부, 및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반 수용부에 수용된 잔반의 상태가 고상인지 액상인지를 고려하되, 상기 이미지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잔반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잔반이 상기 고상 및 액상 식재료를 포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게 측정부를 통하여 상기 잔반으로부터 상기 액상 식재료를 제외한 상기 고상 식재료로 이루어진 최종 잔반의 무게를 산출하되,
상기 바람 토출부로부터 바람이 제공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바람 토출부에서 제공하는 바람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고, 상기 경사 형성부로부터 경사가 형성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경사 형성부를 통하여 형성되는 경사에 의하여 유동하는 영역을 상기 액상 식재료로 판단하며,
상기 잔반 수용부에, N 번째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 차 잔반, 및 상기 제N 차 잔반보다 차 순위로 수용되는 잔반으로 정의되는 제N+1 차 잔반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N+1 차 잔반에 대한 상기 제N 차 잔반의 차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석 시스템.
Remaining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leftover;
an image captur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leftover state discrimination unit for distinguishing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 ligh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ing on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and
Containing; including a;
The remaining state discrimination unit,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a solid food material and a liquid food material among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part, it includes a wind discharge part that provides wind, and an inclined formation part that forms an inclination,
The control unit is
Considering whether the state of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leftovers accommodating part is solid or liquid, from the image of the leftovers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ftovers include the solid and liquid ingredients,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final leftover made of the solid food excluding the liquid food from the leftover,
By controlling the wind to be supplied from the wind discharging unit, the region flowing by the wind provided by the wind discharging unit is determined as the liquid food material, and by controlling the slope to be formed from the slope forming unit, through the slope forming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on that flows by the formed inclination is the liquid food material,
Determining that the N-th leftovers, which are defined as the leftovers accommodated in the Nth order, and the N+1th leftovers, which are defined as the remainders accommodated in the next order than the Nth leftovers,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leftover accommodating unit case,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to illuminate an area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set between the N+1th leftover and the Nth leftovers.
KR1020210149141A 2021-11-02 2021-11-02 Food waste analysis system KR102379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41A KR102379345B1 (en) 2021-11-02 2021-11-02 Food waste analysi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41A KR102379345B1 (en) 2021-11-02 2021-11-02 Food waste analysi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345B1 true KR102379345B1 (en) 2022-03-28

Family

ID=8099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41A KR102379345B1 (en) 2021-11-02 2021-11-02 Food waste analysi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3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705A (en)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누비랩 A method and system for clssifing food i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705A (en)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누비랩 A method and system for clssifing food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6257B2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multi-view characterization
CA2989515C (en) Colour measurement of gemstones
AU2006321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pigment dispersion quality by paint drawdown
CN110199172A (en) For detecting the haemolysis of sample, jaundice, piarhemia or method, equipment and the quality inspection module of normality
CN109477848A (en) The system of sample container li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CN1087383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chaff interferent in sample
JP5414707B2 (en) Analysis equipment
KR20090033568A (en) The white and brown rice appearanc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system and the same method
JP6982175B2 (en) Particle imager, particle size measuring device, compound particle size measuring device, computer program, particle observation method, and compound particle measuring device
EP3431966B1 (en) Display device for photometric analyzer
JPH0829259A (en) Lightness measuring apparatus
KR102379345B1 (en) Food waste analysis system
JP2022507121A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pia mater imaging
JP42044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persibility of particulate form products
JP2001041895A (en) Granular material quality level discriminator
JP2011115045A (en) Fish egg maturity assessment device and fish egg maturity assessment method
WO2022244541A1 (en) Biolog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JP2022530778A (en) Automatic particle inspection
JP2013167491A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detec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detecting detection target from specimen
JP4929422B1 (en) Blood product quality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84541B1 (en) Color sorter operatintg method having automatic adjusting function of reflecting plate
JP2021148793A (en)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sample container in in-vitro diagnostics system, analyzing device, and in-vitro diagnostics system
KR101852348B1 (en) Analysis system for selection of combustible waste by calorific value and solid fuel production method using it
JP7273631B2 (en) Specimen property identification device, specimen property identification method, and specimen transport system
KR20220000644U (en) Food waste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