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219B1 -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219B1
KR102379219B1 KR1020200020989A KR20200020989A KR102379219B1 KR 102379219 B1 KR102379219 B1 KR 102379219B1 KR 1020200020989 A KR1020200020989 A KR 1020200020989A KR 20200020989 A KR20200020989 A KR 20200020989A KR 102379219 B1 KR102379219 B1 KR 10237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d
payment
rental
borr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609A (ko
Inventor
박종국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종국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국, 박태진 filed Critical 박종국
Priority to KR102020002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2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609A/ko
Priority to KR1020220033598A priority patent/KR2022004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해당 결제 수단에 대한 사용 범위를 설정하여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앱 카드를 통해 소유자가 지정한 대여자에게 결제 수단을 대여할 수 있도록 한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소유자 명의로 발급된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시 상기 결제 수단과 연계되며 앱을 통해 관리되는 형태의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를 소유자가 지정한 대여자별로 발급하여 하나 이상의 대여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대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대여자가 실물 카드를 소지할 필요 없이 소유자의 결제 수단을 대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소유자가 대여 카드마다 사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대여 카드별로 다른 카드와 분리하여 개별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정보의 노출 없이 결제 수단을 편리하게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대여 카드 관리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rental of payment means}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해당 결제 수단에 대한 사용 범위를 설정하여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앱 카드를 통해 소유자가 지정한 대여자에게 결제 수단을 대여할 수 있도록 한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의 신용을 바탕으로 지불 시점을 유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용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가 보편화되어 있으며, 최근 이러한 결제 서비스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각종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이러한 신용 카드를 가상 카드인 앱 카드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앱 카드를 통해 실물 카드의 소지 없이도 편리하게 신용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제 서비스 이용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는 신용 카드는 오직 사용자의 명의로 된 카드만 저장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신용 카드를 대여하고자 할때 실물 카드를 대여해야 하므로 해당 신용 카드의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물 카드만을 이용한 대여로 인해 신용 카드의 대여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소유자가 가족 관계가 아닌 타인에게 한시적으로 카드를 대여하고 싶을 때에는 실물 카드를 대여하는 방법 이외에는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이로 인해 해당 타인과 소유자가 지속적인 관계 유지가 필요한 사이가 아닌 경우 해당 타인에게 실물 카드의 정보가 유출되어 실물 카드의 부정 사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소유자는 실물 카드를 대여하기 꺼릴 뿐 더러, 실물 카드를 대여한 이후 대여 관계가 종료된 경우 이러한 실물 카드를 소유자가 직접 회수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결제 서비스는 소유자와 가족 관계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소유자가 가족 카드를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가족 카드는 복수의 서로 다른 고정된 실물 카드를 만들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고, 이러한 실물 카드의 개수 증가에 따른 관리 상 어려움이 증가하고, 이러한 가족 카드 역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가족 관계가 아닌 타인에게 대여하기 어려운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02067호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을 소유한 소유자가 자신의 신용범위 내에서 상기 결제 수단에서 파생되는 대여자에게 대여하기 위한 대여 카드의 사용 범위를 설정한 후 대여자에게 해당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대여 카드를 앱 카드로서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정보의 노출 없이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다수의 대여 카드에 대해 소유자가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수단의 대여 편의성 및 대여자에 의한 대여 카드의 사용 편의성을 높임과 아울러 대여 카드의 관리 편의성을 함께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의 소유자에 대응되는 소유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소유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사용 범위가 설정된 대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앱 기반 대여 카드의 생성을 위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등록 단계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하는 대여 단계와, 상기 대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자 단말에 대응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정보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인 상기 대여자에 대한 인증 성공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인증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대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여자의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는 결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대여 카드는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단말에 저장되는 가상 카드이며, 상기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단계 이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의 대여자 단말에 의해,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대여자별로 가상 카드 번호를 대여자간 중복되지 않게 생성하고, 상기 대여자별로 생성된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자별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대여자별로 생성된 대여 카드에 대한 앱 카드 등록 정보와 사용 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대여자별 앱 카드 등록 정보가 관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통해 유효 여부가 설정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별 유효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단계는,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산출된 특정 대여자의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특정 대여자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의 사용 범위를 만족하면서, 상기 설정 정보에 상기 특정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가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대여자 인증 실패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의 대여 카드가 상기 유효 카드로 인증될때까지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차단되도록 상기 대여 카드를 미등록 카드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단계 이후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시 상기 결제 정보 및 상기 누적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통보 정보를 상기 대여자 단말과 소유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범위는 상기 대여 카드의 총 사용 한도 금액, 일일 사용 한도 금액, 사용 기간 및 사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서, 사용 권한이 있는 대여자의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는 상기 소유자에 의해 상기 대여 카드에 설정되기 위해 설정된 비밀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시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비밀코드를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단계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대여자 단말로 상기 비밀 코드를 질의하기 위한 질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코드와 상기 비밀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승인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의 소유자에 대응되는 소유자 단말 및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가 필용한 대여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소유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사용 범위가 설정된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대여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상태의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제 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의 사용 인증을 위해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자 단말에 대응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품 구매시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앱 기반 대여 카드의 생성을 위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며,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해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요청 정보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대여자 인증 성공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인증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여자의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는 서로 다른 대여자별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여자별로 수신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자별로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누적 저장된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별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사용 현황 정보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별 사용 현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의 잔여 한도와 상기 대여 수단별 잔여 한도 및 잔여 사용 기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관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통해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 카드의 유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에서 선택된 값에 따른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별 유효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산출된 특정 대여자의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특정 대여자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의 사용 범위를 만족하면서, 상기 특정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가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소유자 명의로 발급된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시 상기 결제 수단과 연계되며 앱을 통해 관리되는 형태의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를 소유자가 지정한 대여자별로 발급하여 하나 이상의 대여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대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대여자가 실물 카드를 소지할 필요 없이 소유자의 결제 수단을 대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소유자가 대여 카드마다 사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대여 카드별로 다른 카드와 분리하여 개별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정보의 노출 없이 결제 수단을 편리하게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대여 카드 관리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원하는 제한된 시간에 한시적으로 카드를 대여하고 싶을 때에도 용이하게 대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대여 형태의 설정이 가능한 결제 수단의 대여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소유자와 가족 관계인 사람 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가 아닌 타인에 대해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 노출 없이 소유자의 결제 수단을 대여 카드를 통해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유자의 결제 수단에 대한 대여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대여자별로 발급된 대여 카드의 사용 현황과 유효 여부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대여 카드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수단을 발급하는 카드사 서버(120)로부터 결제 수단을 발급받아 소유하는 소유자의 소유자 단말(10) 및 상기 소유자의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대여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는 대여자의 대여자 단말(2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구성된 제 1 제어부인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 및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구성된 제 2 제어부인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10) 및 카드사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110) 및 카드사 서버(120)가 상호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면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단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부들인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사 서버(120)는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대응되는 소유자의 명의로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결제 카드를 상기 결제 수단으로 발급할 수 있으며, 해당 소유자의 결제 수단 관련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며 회원별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회원 DB에서 상기 소유자에 대응되는 회원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하거나 상기 회원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유자 단말(10) 및 대여자 단말(20)은 사용자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유자 단말(10)에는 제 1 제어부가 구성되고, 대여자 단말(20)에는 제 2 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는 일반적인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라 함은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는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제어부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를 실행하여 상기 제어부가 어플리케이션부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구성된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 및 대여자 단말(20)에 구성된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제어부인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 이외에도 타 단말을 포함한 각종 장치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하나 이상의 대여자별로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앱(App,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반의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가 발급되도록 하여 해당 대여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제 수단의 대여가 필요시마다 해당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생성된 대여 카드의 사용 범위를 대여시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유자 이외의 타 사용자를 대여자로 지정하여 해당 대여자의 결제 상황을 소유자가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 결제 수단의 대여에 대한 결제 수단을 소유하는 소유자의 대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결제 수단을 신용 카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크카드, 직불 카드 등과 같이 결제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소유자 단말(10)과 통신을 통해 결제 수단을 발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대응되는 소유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회원정보에 포함시키거나 상기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구성된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소유자 단말(10)에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을 소유자가 지정한 대여자에게 대여하기 위한 사용 범위가 설정된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
이때, 상기 사용 범위는 상기 대여 카드의 총 사용 한도 금액, 일일 사용 한도 금액, 사용 기간(사용 가능 기간), 사용 횟수(사용 가능 횟수) 등과 같은 사용 조건을 포함하면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 권한이 있는 대여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 범위에 대한 범위 정보와, 대여 대상인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 해당 결제 수단의 소유자에 대한 소유자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유자 식별 정보는 소유자 단말(10)의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소유자의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카드 번호(또는 식별 번호), 유효 기간, 비밀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범위에 포함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는 상기 대여자에 대응되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소유자가 대여자의 식별정보를 잘못 설정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 생성시 상기 대여자 식별정보를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미리 설정된 연락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여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연락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여자 식별정보의 재확인을 소유자에게 알리기 위한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대여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20)로 대여자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대여자 확인 메시지에 대응되어 응답 메시지 수신시에만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앱 기반 대여 카드의 생성을 위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S2).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대여 차단 대상자가 등록된 블랙 리스트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기 이전에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설정된 특정 대여자의 대여자 식별정보를 상기 블랙 리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대여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대여 차단 대상자의 식별정보가 상기 블랙 리스트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대여자에게 대여가 불가함을 알리기 위한 대여 불가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전송한 소유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카드 등록 정보의 등록 과정에 대한 일례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되며 상기 결제 수단과 연계된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에 대한 가상 카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유자가 지정한 사용 범위가 상기 가상 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대여 카드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는 상기 사용 범위에 대한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는 상기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수단을 대여하기 위해 상기 결제 수단과 연계시킨 대여 카드를 상기 대여자 단말(2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 및 관리되는 가상 카드로서 생성하고,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 생성시 상기 회원 DB에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회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상기 소유자의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에서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고,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20)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S3).
이때,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일부 정보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는 상기 사용 범위에 대한 범위 정보 및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구성된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 수신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에 포함된 가상 카드 번호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되며 상기 결제 수단과 연계된 상기 대여 카드를 생성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여 카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하거나 로드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4).
즉, 상기 대여자 단말(20)에서 생성된 상기 대여 카드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단말(10)에 저장되는 가상 카드이자 앱 카드(App Card)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 선택시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가상 카드 번호를 바코드(bar code)나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형태로 표시하거나 상기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생성하여 NFC, BLE(Bluetooth Low Energy)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대여자 단말(20)과 통신 연결된 타 단말(일례로, 가맹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는 상기 소유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구성된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 수신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에 따른 대여 카드에 대한 대여 여부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소유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창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대여자가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에 따른 대여 카드를 대여한 소유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면서 상기 대여 카드의 대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 창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여 카드의 대여가 선택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대여 카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여 카드의 대여 거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에 따른 대여카드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여 카드의 거부에 대한 거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된 이후라도 상기 대여 카드의 반환이나 생성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에서 대여 카드의 반환이나 생성 취소가 선택된 경우 상기 대여 카드를 대여자 단말(20)에서 삭제하고, 이에 대한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거부 정보나 상기 통지 정보 수신시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따른 대여 카드가 상기 대여자에게 대여되지 않도록 대여 요청 정보를 상기 대여자에 대해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여자에 대해 대여 카드가 대여되지 않은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 이전에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 권한이 있는 대여자가 상기 대여 카드를 자신의 대여자 단말(20)에 정상적으로 등록하여 보유한 상태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기 이전까지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대여 카드를 미등록 카드(또는 무효 카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단말(20)로부터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대응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
이때,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 수신시 상기 인증 요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카드 등록 인터페이스를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여 제공하고, 상기 카드 등록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 생성시 대여자가 상기 대여 카드에 암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카드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암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 정보는 비밀번호, 암호 패턴, 암호로 사용하기 위한 생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는 지문, 홍채 등과 같은 암호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신체 수단에 대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 수신시 자동으로 자신에 미리 설정된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식별정보를 상기 대여자 식별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가상 카드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대여자 식별 정보 및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식별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식별정보는,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회원 DB에서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 및 상기 인증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인 상기 대여자에 대한 인증 성공 여부(또는 권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대여자 식별 정보 및 가상 카드 번호가 상기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사용 범위에 따른 대여자 식별 정보 및 가상 카드 번호가 상호 일치할 때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인증 성공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대여 카드를 미등록 카드에서 유효 카드로서 전환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대여 카드가 유효 카드로 인식되도록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할 수 있다(S6).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인증 성공시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암호 정보에 따른 암호를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인증 성공 여부에 대한 판단에 따라 대여자 인증 실패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의 대여 카드가 미등록 카드로서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대여 카드가 유효 카드로 인증될 때까지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가 미등록 카드로서 설정된 상태일 때 상기 대여 카드와 관련된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를 모두 거부하고, 결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는 상기 대여자의 상품 구매시 상기 대여자의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되어, 상기 대여 카드를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대여 카드의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20)과 통신 중인 가맹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7).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은 상기 대여자 단말(20)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 수신시 상기 대여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카드 정보를 기초로 대여자의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위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8).
이때,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결제 요청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단말(20)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자의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회원 DB에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처리하기 이전에(결제 완료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여자의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S9) 결제 처리할 수 있다(S10).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사용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제 정보를 처리하지 않고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결제 실패에 대한 결제 실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1). 여기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실패 정보를 상기 대여자 단말(20) 및 소유자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의 상품 결제시마다 생성된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완료시 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결제 내역 정보를 상기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와 매칭하여 회원 DB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결제 내역 정보 대신 결제 정보를 누적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가맹점 단말로부터 대여자에 대응되는 신규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신규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가 완료된 상태를 가정하여 생성된 예상 결제 내역 정보와 상기 회원 DB에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매칭되어 누적 저장된 기존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신규 결제 정보가 반영된 대여자의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누적 사용 내역 산출 이전에 상기 사용 범위를 기초로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의 산출 대상 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회원 DB에 상기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존 결제 내역 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여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기존 결제 내역 정보 중 상기 산출 대상 기간에 포함된 기존 결제 내역 정보만을 취합하여 취합된 하나 이상의 기존 결제 내역 정보와 상기 신규 결제 정보에 따른 예상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의 신규 결제 정보에 따른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사용 범위 이내일 때 또는 사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때) 상기 신규 결제 정보를 승인하고 상기 신규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서비스 서버(110) 및 카드사 서버(120)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결제 정보 수신에 따른 누적 사용 내역 산출 및 사용 범위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 범위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사용범위 만족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카드사 서버(120)에 요청하기 위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 정보를 근거로 생성하여 상기 카드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드사 서버(120)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 완료시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한 결제 처리 이전에, 상기 대여자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승인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20)로 상기 결제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승인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승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암호 정보에 따른 암호가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암호 요청을 위한 암호 요청 정보를 상기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승인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승인 요청 정보에 따른 암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암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암호를 포함하는 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 암호는, 비밀번호, 패턴, 생체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승인 정보 수신시 상기 승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암호를 상기 승인 정보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된(포함된) 암호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암호와 암호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대여자 인증과 더불어 대여자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시 상기 결제 완료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 및 상기 누적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통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여자 단말(20)과 소유자 단말(10) 및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서버(110)가 상기 카드사 서버(120)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기초로 결제 통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통보 정보를 상기 결제 완료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정보와 관련된 대여자 단말(20)과 소유자 단말(10) 및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전송되는 결제 통보 정보에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을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2채널 인증을 통해 결제 수단의 대여 과정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데, 이를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소유자 단말(10)로부터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사용 범위가 설정된 대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1).
이때, 상기 대여 요청 정보는 상기 결제 수단을 대여하려는 소유자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대여 카드에 설정되는 비밀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소유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대여자의 대여 카드에 설정될 비밀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비밀 코드는 상기 사용 범위에 대한 범위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앱 기반 대여 카드의 생성을 위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등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2).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시 상기 대여 카드의 결제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비밀코드를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20)로 전송하여(S24)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에 의해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하는 대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5).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단말(20)로부터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 인증 및 상기 대여 카드의 유효 카드 전환을 위해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대응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S26), 상기 인증 요청 정보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인 상기 대여자에 대한 인증 성공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인증하고,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대여 카드의 유효카드 설정을 위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7).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자 단말(20)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로부터(S28)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수신시(S29)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완료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여자의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누적 사용 내역이 사용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3, S34).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20)로 상기 결제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2 어플리케이션부(21)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승인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소유자에 의해 생성된 소유자 설정 코드인 비밀 코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비밀 코드의 질의를 위한 질의 정보를 상기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대여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S31).
또한,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승인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승인 요청 정보에 따른 질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코드를 포함하는 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32).
이에 따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승인 정보 수신시 상기 승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코드를 상기 승인 정보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된(포함된) 비밀 코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코드와 비밀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대여자 인증과 더불어 대여자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대여자 승인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33).
이때,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암호 입력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승인 요청 정보는 상기 암호 요청 정보 및 질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승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암호가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암호 정보와 일치하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코드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비밀 코드와 일치할 때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대여자는 상기 소유자 단말(10)에서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해 비밀 코드를 설정한 경우,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소유자로부터 구두를 통해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대여자가 상기 비밀 코드를 지득하거나, 상기 소유자 단말(10)로부터 상기 비밀 코드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대여자 단말(20)이 상기 비밀 코드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대여자가 상기 비밀 코드를 지득하도록 할 수 있다(S23).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대여자 단말(20)의 대여자는 소유자로부터 비밀 코드를 취득해야지만 상품 구매 및 결제에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할 수 있므로, 본 발명은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대여 카드의 유효 카드 설정 과정에서의 대여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제 1 인증 및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 과정에서의 대여자가 소유자로부터 취득한 비밀 코드를 이용한 제 2 인증에 사용되기 위한 인증 수단을 서로 상이한 채널을 통해 얻도록 하여, 대여 카드의 사용에 대한 보안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동작 구성 이외의 나머지 동작 구성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하나 이상의 대여자를 지정하여 하나 이상의 대여자별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상기 대여자별 대여 요청 정보마다 가상 카드 번호를 생성 및 발급하고, 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대여자별 대여 요청 정보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와 대응되는 회원 정보와 매칭된 결제 수단 정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를 매칭하여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대여 요청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발급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가상 카드 번호가 서로 상이하도록 발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대여자별 대여 카드 각각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다수의 대여자에게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대여 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복수의 대여자별 대여 요청 정보 생성시 상기 복수의 대여자와 대응되는 복수의 대여 요청 정보를 통합한 통합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상기 복수의 대여자별 대여 요청 정보를 일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복수의 서로 다른 대여자에 대응되어 생성된 복수의 서로 다른 대여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일부와 사용 범위가 상이하도록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 기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사용 기한이 설정된 경우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사용 기한을 설정하여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 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 기한이 만료된 대여 카드에 대해 해당 대여 카드의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삭제하거나 해당 대여 카드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상기 대여 카드를 미등록 카드(또는 사용 만료 카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정보를 상기 대여 카드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소유자 명의로 발급된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시 상기 결제 수단과 연계되며 앱을 통해 관리되는 형태의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를 소유자가 지정한 대여자별로 발급하여 하나 이상의 대여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대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대여자가 실물 카드를 소지할 필요 없이 소유자의 결제 수단을 대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소유자가 대여 카드마다 사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수단으로부터 파생된 대여 카드별로 다른 카드와 분리하여 개별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정보의 노출 없이 결제 수단을 편리하게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대여 카드 관리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원하는 제한된 시간에 한시적으로 카드를 대여하고 싶을 때에도 용이하게 대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대여 형태의 설정이 가능한 결제 수단의 대여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소유자와 가족 관계인 사람 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가 아닌 타인에 대해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 노출 없이 소유자의 결제 수단을 대여 카드를 통해 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유자의 결제 수단에 대한 대여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소유자 단말(10)에서 대여 단말의 관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대여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구매시마다 상품 구매에 이용한 특정 대여 카드에 대응되어 생성된 결제 내역 정보(결제 완료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를 대응되는 특정 대여 카드의 앱 카드 등록 정보와 매칭하여 회원 DB에 누적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소유자의 회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결제 내역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누적 저장된 결제 내역 정보(또는 결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 누적 사용 현황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소유자의 상기 결제 수단 사용에 따른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사용 현황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대여 카드별 사용 현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의 잔여 한도와 상기 대여 수단별 잔여 한도 및 잔여 사용 기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특정 기간 동안의 전체 사용 한도에 상기 대여 카드별 사용 현황 정보에 따른 사용 금액과 상기 결제 수단의 사용 현황 정보에 따른 사용 금액을 반영하여 상기 결제 수단의 잔여 한도를 산출하고, 해당 잔여 한도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기 관리 정보를 수신한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관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상기 관리 정보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관리 정보를 기초로 특정 결제 수단의 결제 수단 정보와 상기 특정 결제 수단에서 파생된 하나 이상의 대여 카드별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상기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 정보를 표시하여 소유자가 결제 수단의 잔여 한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대여자별로 대여 카드의 잔여 한도 및 잔여 사용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가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통해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 카드의 유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 정보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에서 선택된 값에 따른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또는 대여 카드별) 유효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상기 소유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 회원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단계 수행시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산출된 특정 대여자의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특정 대여자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의 사용 범위를 만족하면서, 상기 특정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특정 대여 카드가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대여 카드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가 대여자별로 발급된 대여 카드의 사용 현황과 유효 여부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대여 카드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소유자 단말(10)에서 상기 결제 정보에 대한 최종 승인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최종 승인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제 1 어플리케이션부(11)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또는 승인)를 허가하는 승인 허가 정보 수신시에만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최종 승인 요청 정보의 전송을 통해, 상기 소유자 단말(10)의 소유자가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대여자의 구매 상품 정보, 결제 금액 등을 확인하여 대여자가 구매하는 상품의 구매 허가 여부를 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여자가 상기 결제 수단인 실물 신용 카드로부터 파생되어 생성된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하여 소유자가 원하지 않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소유자가 대여자의 상품 결제시 한도 금액에 대한 변심이 발생한 경우, 대여자의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승인(허락) 여부를 결제시마다 소유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 대여자가 미성년자이고 소유자가 대여자의 부모인 경우 해당 미성년자가 대여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내역을 부모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최종 승인 요청 정보를 상기 부모에 대응되는 소유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최종 승인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허가를 의미하는 승인 허가 정보를 상기 소유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가 최종 승인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최종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승인 허가 정보 이외에 결제 처리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상술한 다른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상기 승인 허가 정보 수신시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소유자 단말 11: 제 1 어플리케이션부
20: 대여자 단말 21: 제 2 어플리케이션부
100: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서비스 서버
120: 카드사 서버

Claims (10)

  1. 결제 수단의 소유자에 대응되는 소유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유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사용 범위가 설정된 대여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앱 기반 대여 카드의 생성을 위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등록 단계;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하는 대여 단계;
    상기 대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정보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의 사용자인 상기 대여자에 대한 인증 성공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인증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상기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여자의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는 결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대여 카드는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앱 카드 생성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단말에 저장되는 가상 카드이고,
    상기 결제 단계 이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의 대여자 단말에 의해,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대여자별로 가상 카드 번호를 대여자간 중복되지 않게 생성하고, 상기 대여자별로 생성된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자별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여자별로 생성된 대여 카드에 대한 모든 앱 카드 등록 정보와 사용 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한 화면에 표시되며,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대여자별 앱 카드 등록 정보가 관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관리 정보와 같은 화면에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통해 유효 여부가 설정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별 유효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계는,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산출된 특정 대여자의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특정 대여자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의 사용 범위를 만족하면서, 상기 설정 정보에 상기 특정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가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대여자 인증 실패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의 대여 카드가 상기 유효 카드로 인증될때까지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차단되도록 상기 대여 카드를 미등록 카드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계 이후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시 상기 결제 정보 및 상기 누적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통보 정보를 상기 대여자 단말과 소유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범위는 상기 대여 카드의 총 사용 한도 금액, 일일 사용 한도 금액, 사용 기간 및 사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서, 사용 권한이 있는 대여자의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는 상기 소유자에 의해 상기 대여 카드에 설정되기 위해 설정된 비밀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시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비밀코드를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단계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대여자 단말로 상기 비밀 코드를 질의하기 위한 질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코드와 상기 비밀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승인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8. 결제 수단의 소유자에 대응되는 소유자 단말 및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가 필용한 대여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유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제 수단의 대여를 위한 사용 범위가 설정된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대여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상태의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제 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가상 카드인 대여 카드의 사용 인증을 위해 상기 가상 카드 번호 및 상기 대여자 단말에 대응되는 대여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품 구매시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앱 기반 대여 카드의 생성을 위한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며,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앱 카드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대여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해 상기 대여자 단말에서 상기 대여 카드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인증 요청 정보와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 카드에 대한 대여자 인증 성공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상기 대여 카드를 유효 카드로 인증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 수신시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가 반영된 상기 대여자의 상기 대여 카드를 이용한 누적 사용 내역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따른 사용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는 서로 다른 대여자별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여자별로 수신된 상기 대여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대여자별로 앱 카드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누적 저장된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앱 카드 등록 정보별 사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사용 현황 정보와 상기 모든 앱 카드 등록 정보별 사용 현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수단의 잔여 한도와 상기 대여 카드별 잔여 한도 및 잔여 사용 기간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관리 정보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통해 앱 카드 등록 정보에 대응되는 대여 카드의 유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관리 정보와 같은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 정보별로 ON 및 OFF 중에서 선택된 값에 따른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소유자 단말에서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앱 카드 등록별 유효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처리하기 이전에 상기 결제 정보에 대응되어 산출된 특정 대여자의 누적 사용 내역이 상기 특정 대여자에 대응되는 앱 카드 등록 정보의 사용 범위를 만족하면서, 상기 특정 대여자의 앱 카드 등록 정보가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20989A 2020-02-20 2020-02-20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7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89A KR102379219B1 (ko) 2020-02-20 2020-02-20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33598A KR20220040447A (ko) 2020-02-20 2022-03-17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89A KR102379219B1 (ko) 2020-02-20 2020-02-20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98A Division KR20220040447A (ko) 2020-02-20 2022-03-17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609A KR20210106609A (ko) 2021-08-31
KR102379219B1 true KR102379219B1 (ko) 2022-03-29

Family

ID=774894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89A KR102379219B1 (ko) 2020-02-20 2020-02-20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33598A KR20220040447A (ko) 2020-02-20 2022-03-17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98A KR20220040447A (ko) 2020-02-20 2022-03-17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92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55B1 (ko) * 2012-03-30 2014-11-03 김종현 신용한도를 가진 한도 부여자와 한도 수혜자 간의 한도 쉐어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1782056B1 (ko) * 2016-06-13 2017-09-26 김광우 모바일 신용 공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99B1 (ko) * 2010-10-16 2012-04-2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타인 신용 카드를 이용한 신용 결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50002067A (ko) 2013-06-28 2015-01-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앱 형 모바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단말 및 서버
KR20160016402A (ko) * 2014-08-05 2016-02-15 김보영 통합카드장치와 통합카드를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55B1 (ko) * 2012-03-30 2014-11-03 김종현 신용한도를 가진 한도 부여자와 한도 수혜자 간의 한도 쉐어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1782056B1 (ko) * 2016-06-13 2017-09-26 김광우 모바일 신용 공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609A (ko) 2021-08-31
KR20220040447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608B1 (ko) 모바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카드결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8572701B2 (en) Authenticating via mobile device
US20170076293A1 (en) Creating, verification, and integration of a digital identification on a mobile device
US112272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data management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60224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rd payment in which confirmation is available before transaction
US11025595B2 (en) Secure and anonymous data sharing
KR20150124932A (ko) 개인정보 유출과 스미싱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이중 인증 방법
US20190026704A1 (en) Method of registering a membership for an electronic payment, system for same, and apparatus and terminal thereof
KR20220167366A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297166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16364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on of identity of a user during a digital payment process
US201300606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transaction
KR101633224B1 (ko) 독립형 무인 자전거 대여 방법
US114751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data access
KR102379219B1 (ko) 결제 수단을 위한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343494A1 (en) Electronic signature of transactions between users and remote providers by use of two-dimensional codes
KR101768318B1 (ko) 본인 인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498000B1 (ko) 환자 관리 서버 노드 및 통신 서비스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환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Terbu et al. One mobile ID to secure physical and digital Identity
KR101663699B1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네트워크 형 오티피 제공 방법
US201101535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ty Theft Resistant Transcations
KR101625221B1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씨드 조합 방식의 네트워크 형 오티피 제공 방법
EP2958043B1 (en) Method for the recognition of user profiles
KR20140096016A (ko) 모바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카드결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136355A (ko) 생체 인식과 연동하는 네트워크 형 오티피 인증을 통한 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