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161B1 - Query and answer system - Google Patents

Query and answ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161B1
KR102379161B1 KR1020200035673A KR20200035673A KR102379161B1 KR 102379161 B1 KR102379161 B1 KR 102379161B1 KR 1020200035673 A KR1020200035673 A KR 1020200035673A KR 20200035673 A KR20200035673 A KR 20200035673A KR 102379161 B1 KR102379161 B1 KR 10237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block
message
hole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9150A (en
Inventor
이대근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보
Priority to KR102020003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161B1/en
Publication of KR2021011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오역보완 및 의도 도출을 위한 질의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의자가 제시한 질의에 대한 정확한 응답을 제시하기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위 카테고리로의 세분화된 질의를 생성하여 질의자에게 역으로 질문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분석, 질의생성, 질의 및 응답수신단계를 복수번 반복하도록 이루어지는 질의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estion-and-answer system for correcting misinterpretation and deriving intentions,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present an accurate response to a query presented by the inquirer, a sub-category is generated from a sub-category It relates to a question-and-answer system that repeats the steps of analysis, question generation, query and response reception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it can be derived by asking a reverse question.

Description

오역보완 및 의도 도출을 위한 질의응답 시스템{QUERY AND ANSWER SYSTEM}A question-and-answer system for correcting misinterpretations and deriving intentions {QUERY AND ANSWER SYSTEM}

본 발명은 오역보완 및 의도 도출을 위한 질의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의자가 제시한 질의에 대한 정확한 응답을 제시하기 위하여,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위 카테고리로의 세분화된 질의를 생성하여 질의자에게 역으로 질문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분석, 질의생성, 질의 및 응답수신단계를 복수번 반복하도록 이루어지는 질의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estion-and-answer system for correcting misinterpretation and deriving intentions,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present an accurate response to a query presented by the inquirer, a sub-category is generated from a sub-category It relates to a question-and-answer system that repeats the steps of analysis, question generation, query and response reception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it can be derived by asking a reverse question.

일반적으로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쿼리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인기도순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한다.In general, a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alyzes a query input by a user, and sorts and provides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query in order of popularity.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드럼'을 쿼리로 입력하여 악기인 드럼과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 정보검색 방법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드럼'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로 '드럼 세탁기'가 인기도가 높으면,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악기인 드럼보다 드럼 세탁기를 우선적으로 검색 결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enters 'drum' as a query and wants to search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um, which is an instrument,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shows that 'drum washing machine' is popular as a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drum' by other users. If it is hi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s desired search result cannot be preferentially provided by providing a drum washing machine as a search result preferentially rather than a drum, which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the user wants to search.

일례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의가 '청바지'인 경우, 종래 정보 검색 방법은 남자 청바지 또는 여자 청바지 중 인기 있는 상품만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여자이나 남자 청바지를 원하는 경우 여자 청바지 중 인기 있는 상품만을 검색 결과로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대로 검색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For example, when the query input by the user is 'jeans', the conventional information search method searches only popular products among men's jeans or women's jeans. If it is provided as , it results in the user not being able to properly search for the desire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가 청바지만 입력하는 경우, 청바지의 뜻, 판매처, 종류, 색상 등 관련된 다양한 정보 중 어느 정보를 제공받길 원하는 것인지 알 수 없어,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only jeans, it is impossible to know which information amo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jeans, such as meaning, sales place, type, color, etc.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0952284호 "시의성 질의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들 수 있다.As such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228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Using Timely Query Words" is mention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질의자의 질문 메시지를 분석한 후, 이와 관련된 응답을 질의자에게 역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질의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여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estion-and-answer system that can provide an answer b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inquirer more accurately by allowing the inquirer to select a response related to the question message after analyzing the question message.

특히, 질의자에게 질의 문항을 제공함에 있어, 점차적으로 상위카테고리에서 하위카테고리로 세분화 하여 반복적으로 질의 문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질의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in providing the questioner with the question, it is gradually subdivided from the upper category to the lower category, so that the question can be selected repeatedly, thereby providing a question answering system designed to identify and answer the questioner's intention more accurately. is another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역보완 및 의도 도출을 위한 질의응답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question and answer system for correcting misinterpretation and deriving inten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질의자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message from a queryer;

수신된 메시지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analyzing the morpheme of the received message;

분석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내의 입력된 메시지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여 질의문항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query by searching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message in the database unit through the analyzed message;

질의문항을 질의자에게 출력하는 질의단계;a query step of outputting a question to a queryer;

상기 질의문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query;

상기 메시지 분석, 질의 생성, 질의 및 응답메시지 수신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repeating the steps of analyzing the message, generating a query, and receiving the query and response messages;

질의자에게 응답에 따라 질의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 및 출력하는 단계;deriving and outputting an answer to the questioner's question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e question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 시스템은As described above, the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질의자의 첫 질문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한 후, 역으로 질의자에게 하위 카테고리에 대해 질문을 하도록 하고, 이러한 단계를 반복함에 따라 질의자의 질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응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fter analyzing the first question of the inquirer, the corresponding category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unit, and then the questioner is asked about the subcategory in reverse. there is an effect

특히, 질의자에 질의에 대응하는 질의 문항을 생성함에 있어, 데이터베이스부 내의 상위 카테고리에서 하위 카테고리로 점점 세분화하여 질의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질의 의도를 도출할 수 있고,In particular, when generating a query item corresponding to a query from the inquirer, more accurate query intent can be derived as the query is subdivided from the upper category to the lower category in the database unit.

질의자에게 질의하는 문항 개수를 제한함에 따라 질의자가 보다 손쉽고 빠르게 질의문항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limiting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to the inquir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questioner can select questions more easily a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 시스템의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 시스템의 단계별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저장하드의 실시예
1 is an embodiment of a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ep-by-step block diagram of a question and answ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show an embodiment of a storage hard drive provided in the database unit of the question answ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sign, particularly the number of the tens and one digit, or the reference numerals having the same tens, one, and alphabet, indicates a memb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components are expressed in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is.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오역보완 및 의도 도출을 위한 질의응답 시스템은 질의자의 질의 의도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The question-and-answer system for correcting misinterpretation and deriving inten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query intent of the inquirer, and to provide an accurate response through this.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자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10), 수신된 메시지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20), 분석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내의 입력된 메시지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여 질의문항을 생성하는 단계(30), 질의문항을 질의자에게 출력하는 질의단계(40), 상기 질의문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50), 상기 메시지 분석, 질의 생성, 질의 및 응답메시지 수신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질의자에게 응답에 따라 질의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 및 출력하는 단계(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ssage input into the database unit is retrieved through the step 10 of receiving the querying message, the step of analyzing the morpheme of the received message (20), and the analyzed message. generating a query by searching (30), outputting the query to the inquirer (40),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query (50), analyzing the message, generating a query, querying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repeat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and deriving and outputting an answer to the questioner's question according to the response to the inquirer (60).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응답 시스템은, 포털사이트, 모바일기기, 메신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질의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면, 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를 통해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irst, the question-and-answ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ortal sites, mobile devices, messengers, and the like. When a queryer inputs a message, the message is received, and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teps of analyzing the morpheme of the received message. made to be recognizable.

형태소 분석단계는 수신된 메시지의 단어 또는 문장 또는 이들 모두를 분석하게 되는데, 이 때 한글 형태소 분석기술인 ETRI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게 된다. ETRI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오픈API로 공개한 한글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을 말한다. 또한 영어 형태소 분석을 위하여 구글사에서 오픈한 API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morpheme analysis step analyzes the words or sentences of the received message or both. The ETRI morpheme analysis algorithm refers to the Hangul morpheme analysis algorithm disclosed by the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s an open API.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API opened by Google for English morpheme analysis.

상기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인식하면,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 때 데이터베이스부에 접속하여 관련정보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물리적 하드에 보관된 백과사전, 사전 등의 자료데이터, 네트워크,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웹페이지, 홈페이지, 사이트, 쇼핑정보 등의 자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ssage is recognized by analyzing the morpheme of the received mess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ssage is retrieved. At this time, the database unit is accessed to search for relat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atabase unit is stored in a physical hard drive. Data such as encyclopedias and dictionaries, and web pages, homepages, sites, and shopping information connected through networks and the Internet can all be included.

이 때, 본 발명에서는 검색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각의 검색 정보를 상위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는 분류알고리즘이 도입될 수 있으며, 검색된 카테고리, 특히 상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질문을 생성하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classifying each search information by upper category and lower category may be introduced in order to secure search convenience, and a ques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ategory, particularly the upper category, is generated.

일 예로, 질의자가 '자동차'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는 검색어인 '자동차'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즉 수입차와 국산차의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이에 따른 '수입차', '국산차' 라는 질문을 생성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질문을 질의자에게 출력하여 질의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queryer searches for 'automobile', the database unit classifies the search word 'automobile' into subcategories, that is, into categories of imported and domestic cars, and then asks questions such as 'imported cars' and 'domestic cars'. is created, and the generated question is outputted to the queryer to query.

상기와 같이, 질의자가 질문을 받으며, 이에 응답을 하게 되며, '국산차' 라고 응답을 하는 경우, 이 메시지를 분석하여 다시 하위 카테고리인 제조사별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quirer is asked a question, answers it, and if the answer is 'domestic car', the message is analyzed to allow selection by manufacturer, which is a sub-category, again.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카테고리는 트리형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며, 메시지 분석 후 최상위 카테고리로 설정된 군 내의 카테고리로부터 탐색이 시작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category may be classified into a tree-type category, and after analyzing a message, a search may be started from a category within a group set as the highest category.

구체적으로 청소기 필터 교체를 검색하는 경우, 제품군 카테고리에서 "청소기"를 탐색한다. "청소기"가 탐색되면, "청소기"에 대응되는 모델군 카테고리에서 "CB2008"을 탐색하고, 다음으로 "CB2008"에 대응되는 부품군 카테고리에서 "필터"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필터"에 대응되는 액션군 카테고리에서 "교체"를 탐색하며, 각각의 탐색과정에서 질의자에게 모델명 등의 대답을 유도하는 질의를 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when searching for vacuum cleaner filter replacement, search for “cleaner” in the product category. When "cleaner" is searched for, "CB2008" is searched for in the model group category corresponding to "cleaner", and then "filter" is searched for in the parts group category corresponding to "CB2008". Finally, "replacement" is searched for in the action group category corresponding to "filter", and a more accurate result can be derived by asking the queryer a query that induces an answer, such as a model name, in each search proces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메시지 분석, 질의 생성, 질의 및 응답메시지 수신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점차 하위카테고리의 질문을 생성하도록 세분화함에 따라 질의자의 질문의도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peats the steps of analyzing the message, generating a query, and receiving the query and response message, and gradually subcategorizes the questions to generate sub-categories so that the query intention of the inquirer can be clarified. This is don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또한 이러한 질의문항은 3~5개의 문항으로 제한함에 따라 질의자에게 피로도를 누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질의문항을 생성할 때, 예상 답안을 미리 예측하여 이를 토대로 질의자에 응답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s these questions are limited to 3 to 5 questions, it is desirable not to accumulate fatigue on the questioner. It's good to be able to react.

이러한 예상답안 및 질의 생성은 종래의 누적된 데이터를 통하여 질의 및 답안 확률을 계산하고, 카테고리별 연관성 비율을 근거로 한다.These predicted answers and questions are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question and answer probabilities through the conventional accumulated data, and based on the correlation ratio for each category.

아울러 도3a 내지 도3c 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In addition, Figures 3a to 3c show a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unit

백업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하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해킹, 바이러스 등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하드는 접속단자를 노출시키는 덮개가 구비되는 케이스에 보관되어 저장하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torage hard drive that stores the backup data can be detachably combined and connected to minimize data loss due to hacking, virus, etc. It is mad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hard drive.

또한 상기 케이스(C)에서 저장하드(H)를 분리시키지 않고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C)는 저장하드(H)의 접속단자 부분이 노출된 상태에서 접속단자를 가리는 덮개(C1)를 탈착수단(70)에 의해 케이스(C)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도3a 참조)In addition, the case (C) has a cover (C1) that covers the connection terminals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torage hard (H) are expos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without removing the storage hard (H) from the case (C).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ase (C) by the detachable means (70). (See Fig. 3a)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에 구비되며 인입부(713)가 구비된 제1블록(71)과, 상기 제1블록(71)의 인입부(713)에 삽입되는 인입바(723)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7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덮개에 구비되는 제2블록(72) 및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복수의 고정볼(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수단(70);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와 덮개는 원터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되,More specifically, a first block 71 provided in the case and having an inlet portion 713, and an inlet bar 723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713 of the first block 71 are provided. A second block 72 provided on the cover so as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lock 71 and a plurality of fixing balls 74 for maintain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 Through the detachable means (70); the case and the cover is made possible to one-touch coupling and detachment,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블록(71)은The first block 71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se is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711A)과,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에서 후방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며 전방에 제1인출공(714)이 연통된 안착공(711B)과, 상기 안착공(711B) 후방과 상기 낙하공(711A) 상부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711D)이 구비되고,A drop hole 711A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in, and a seating hole 711B that communicates in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711Ab of the drop hol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raw-out hole 714 in the front, and the inside A curved position displacement hole (711D) connecting the rear of the starting construction (711B) and the upper part of the falling hole (711A) is provided,

상기 제1인출공(714)에는 반구형의 고정체(717)가 인입부(713)로 돌출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A hemispherical fixing body 717 is hinged to the first withdrawal hole 714 so as to protrude into the inlet portion 713,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제2블록(72)의 인입바(723)에는 상기 인입부(713)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체(717)가 삽입되는 고정홈(723A)이 형성되며,A fixing groove 723A into which the fixing body 717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713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let bar 723 of the second block 72 provided in the cover,

상기 복수개의 고정볼(74)이 상기 안착공(711B)에 채워져 상기 고정체(717)의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체(717)가 제1블록(7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고정력을 유지하고,The plurality of fixing balls 74 are filled in the seating hole 711B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fixing body 717 to prevent the fixing body 717 from being drawn into the first block 71 to prevent the first Maintaining the fixing force of the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상기 제1블록(71)에는The first block 71 has

상기 안착공(711B)에 채워진 최후방의 고정볼(74)을 상기 위치변위공(711D)을 통해 낙하공(711A) 상부로 위치이동시켜, 상기 고정체(717)가 제1블록(7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슬라이딩 결합 및 해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변위수단(7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도3b 및 도3c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By moving the rearmost fixing ball 74 filled in the seating hole 711B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op hole 711A through the position displacement hole 711D, the fixing body 717 is inside the first block 7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sition displacement means 75 is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to be slidably coupled and released by allowing them to be introduced into the With reference to each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도3b 및 도3c는 결합 및 해정의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3b의 [A]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3b의 [B]는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3c의 [A]는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3c의 [D]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고정력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3b and 3c show the steps of coupling and disengagement, [A] of FIG. 3b shows a state before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are coupled, and in FIG. 3b [B] shows the bonding process, [A] of FIG. 3c shows a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fixing force in the coupled state, and [D] of FIG. 3c shows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fixing force to separate the blocks 72 from each other is show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블록(72) 방향을 전방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지칭하며, 상하 방향은 도3b 및 도3c를 기준으로 정하도록 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lock 72 is referred to as a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rear, and the up-down direction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FIGS. 3B and 3C.

우선 제1블록(71)은 제1몸체(711)와, 상기 제1몸체(711) 전방으로부터 인입부(713)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가이드바(712)로 이루어진다.First, the first block 71 includes a first body 711 and a guide bar 712 spaced apart to form an inlet portion 713 from the front of the first body 711 .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711) 전방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제1돌출부 전방에서 가이드바(712)가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712)와 제1몸체(711) 전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이격된 공간을 인입부(713)라 지칭하고, 이 인입부(713)에 상기 제2블록(72)의 인입바(723)가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Specifically,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711, and the guide bar 712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first protrusion, so that the guide bar 712 and the first protrusion are formed.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711 is ma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paced space is referred to as an inlet 713, and the inlet bar 723 of the second block 72 is located in this inlet 713. made to be interpolated.

구체적으로 제2블록(72)은 제2몸체(721)와, 상기 제2몸체(721) 하부에서 제1블록(71)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상기 제2돌출부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2몸체(721)와 가이드홈(722)이라는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인입바(723)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슬라이딩 결합되면,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바(712)가 가이드홈(722)에 끼워져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block 72 includes a second body 721,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72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71, and bending upward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t consists of a second body 721 and an inlet bar 723 forming a spaced apart space called a guide groove 722, and when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are slidably coupled, the inlet bar ( 723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713 , and the guide bar 71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722 to prevent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몸체(711)의 내부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낙하공(7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낙하공의 하부(711Ab)로부터 후방 수평방향으로 안착공(711B)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711B) 후방에서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711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공들을 따라 고정볼(74)이 이동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결합상태를 고정 및 해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 drop hole 711A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first body 7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ating hole 711B is formed in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711Ab of the drop hole, and the seating hole ( 711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position displacement hole (711D)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711Aa) of the drop hole from the rear is provided, and the fixing ball 74 moves along these balls to move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is made to be able to fix and release the coupl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공(711B)의 전방에는 상기 인입부(713)와 연통되는 제1인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인입공에는 회전축(717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인입부(713)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체(717)가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a first lead-i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ion 713 is formed in front of the seating hole 711B, and the first lead-in hol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717A as a reference to the inlet portion 713. A fixing body 717 that is provided to be retractable is provided.

상기 고정체(717)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바(723)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구형의 외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인입공 내부로 회전 및 인입되어 인입바(723)의 결합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The fixing body 717 has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when the inlet bar 723 rises or descends, it is naturally rotated and drawn into the inlet hole by the spherical outer surface to not interfere with the coupling of the inlet bar 723. make sure not to

상기 안착공(711B)에는 복수의 고정볼(74)이 서로 밀착하면서 구비되며, 또 다른 하나의 고정볼(74)은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에 위치하여,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에 공간부(711C)가 형성되어 고정체(717)의 인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A plurality of fixing balls 74 ar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eating hole 711B, and another fixing ball 74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711Aa of the falling hole, and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711Ab of the falling hole. ), a space portion 711C is formed to secure an inlet space of the fixed body 717 .

상기 고정볼(74)이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711)에는 진입방지블록(761)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In order for the fixing ball 74 to b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711Aa of the drop hole, the first body 711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ntry prevention block 761,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은 상기 전방이 반구형의 형상을 이루고, 고정볼(74)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진입공(761A)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공(711B)과 나란하게 상기 낙하공(711A) 상부 아래 구비된다.The entry prevention block 761 has a hemispherical shape in the front, and an entry hole 761A having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fixing ball 74 can pass is formed in the front, and is parallel to the seating hole 711B. It is provided below the top of the drop hole (711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은 제1몸체(711)에 구비되는 제2인출공(715)(상기 제1인출공(714)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부(713)를 침범하도록 구비되는 공을 말한다.)을 통하여 전방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낙하공(711A)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스프링(762)이 구비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entry prevention block 761 is provided on the second withdrawal hole 715 (the first withdrawal hole 714) provided in the first body 711 to invade the inlet portion (713). It is made so that the front can protrude through the ball, which is provided to cross the falling hole 711A, and a spring 76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to maintain the state protruding forward. .

도3b의 [A]와 같이 평상시에는 진입방지블록(761)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진입공(761A)이 낙하공(711A)과 어긋나 고정볼(74)의 하강을 방지하고, 도3b의 [B]와 같이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로 삽입되면, 우선 상기 고정체(717)를 회전 및 인입시키고, 순차적으로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을 인입되면 낙하공(711A)과 진입공(761A)이 연통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고정볼(74)이 진입공(761A)을 통과하여 낙하되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ure 3b, as the entry prevention block 761 maintains a state protruding forward, the entry hole 761A is displaced from the falling hole 711A to prevent the descent of the fixed ball 74, When the inlet bar 723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713 as shown in [B] of FIG. 3b , first, the fixing body 717 is rotated and drawn in, and the entry prevention block 761 is sequentially drawn in and falls As the ball 711A and the entry hole 761A are arranged to communicate, the fixed ball 74 passes through the entry hole 761A and falls.

도3b의 [B]는 고정체(717)의 회전이 90도가 되도록 과도하게 표시하였으나, 실제 회전은 90도 이하로 이루어지게 된다.In [B] of FIG. 3B, the rotation of the fixed body 717 is excessively indicated to be 90 degrees, but the actual rotation is made to be less than 90 degrees.

도3c의 [C]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슬라이딩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인입바(723)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홈(723B)에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의 단부가 끼워져 진입방지블록(761)이 원위치되고, 상기 낙하된 고정볼(74)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정체(717)가 다시 회전하여 돌출됨에 따라 상기 인입바(723)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홈(723A)에 고정체(717)가 끼워지고, 상기 안착공(711B) 내에 복수의 고정볼(74)이 채워짐으로서 상기 고정체(717)의 후퇴를 제한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C] of Figure 3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coupling of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is completed. 723) The end of the entry prevention block 76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23B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entry prevention block 76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ixing body 717 by the load of the dropped fixing ball 74 ) is rotated and protruded again, the fixing body 717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723A provided under the inlet bar 723, and a plurality of fixing balls 74 are filled in the seating hole 711B.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limiting the retreat of the fixing body 717 .

아울러, 강한 힘으로 분리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볼(74)이 밀려 다시 낙하공(711A)을 따라 위로 올라가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 바로 위에는 상승방지부재(764)가 탄성축(76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승방지부재(764)는 상기 탄성축(764A)에 의해 수직공내에서 상기 고정볼(74)의 하강은 허용하나 고정볼(74)이 상승하는 것은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앞서 언급한 문제를 보완하고 있다.(상기 탄성축(764A)은 탄성체등이 구비되어 상승방지부재(764)를 원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탄성력은 고정볼(74)의 하중보다 약하게 이루어져 고정볼(74)의 낙하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separate with a strong force, the fixing ball 74 is pushed up and can be separated up along the falling hole 711A again. The member 764 is rotatably provided by an elastic shaft 764A, and the lifting preventing member 764 allows the lowering of the fixing ball 74 in the vertical hole by the elastic shaft 764A. The fixed ball 74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it from rising, thereby supplem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elastic shaft 764A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etc. When the elastic force is made weaker than the load of the fixed ball 74, it prevents interference from falling of the fixed ball 74.)

아울러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3b의 [A]와 같이 어느 한 고정볼(74)을 다시 낙하공(711A) 상부로 원위치 시켜 안착공(711B) 내에 공간부(711C)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변위수단(75)을 더 구비하고 잇다.In addition, in order to unlock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as shown in [A] of FIG. 3b, any one fixing ball 74 is retur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alling hole 711A, and the seating hole 711B ) must b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711C),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displacement means (75) for this purpose.

상기 위치변위수단(75)은 푸쉬바(751), 연결바(752), 슈팅블록(753) 및 탄성부재(7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푸쉬바(751)는 제1몸체(711)에 구비되는 승하강홈(716)에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751)를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바(751) 하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된 연결바(75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752)에는 평상시에서는 고정볼(74)의 후퇴를 막고 필요시 고정볼(74)의 하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슈팅블록(753)이 구비되고, 이 슈팅블록(753) 하부에 탄성부재(754)가 구비되게 된다.The position displacement means 75 includes a push bar 751 , a connection bar 752 , a shooting block 753 and an elastic member 754 , and the push bar 751 includes a first body 711 . It is provided in the elevating groove 716 provided in the elevating groove 716, and the end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push bar 751, and the push bar 751 lower part has a connection bent forward. A bar 752 is provided, and the connecting bar 752 is provided with a shooting block 753 that prevents the retraction of the fixed ball 74 and moves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ball 74 when necessary. An elastic member 754 is provided under the block 753 .

따라서 평상시에는 슈팅블록(753)이 상승하여 안착공(711B)에 구비되는 최후방 고정볼(74)의 후단을 지지하여 고정볼(74)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도3c의 [D]와 같이, 상기 푸쉬바(751)를 누르면, 상기 슈팅블록(753)이 하강하여 상기 최후방 고정볼(74)이 후퇴하는 공간을 확보하며, 이 때 푸쉬바(751)를 놓으면 탄성부재(7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슈팅블록(753)이 상승하여 상기 최후방 고정볼(74)을 밀어 위치변위공(711D)을 통해 상기 낙하공(711A) 상부로 원위치시키게 된다.Therefore, in normal times, the shooting block 753 rises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rearmost fixed ball 74 provided in the seating hole 711B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xed ball 74, as shown in [D] of FIG. 3c , when the push bar 751 is pressed, the shooting block 753 descends to secure a space for the rearmost fixing ball 74 to retreat, and when the push bar 751 is released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754 is The shooting block 753 rises by the elastic force and pushes the rearmost fixing ball 74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drop hole 711A through the displacement hole 711D.

이 때 상기 슈팅블록(753)이 하강하였을 때 안착공(711B)에 구비되는 고정볼(74)들이 자연스럽게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711B)의 최후단에는 마그넷(75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볼(74)들은 모두 쇠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 magnet 75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ing hole 711B so that the fixing balls 74 provided in the seating hole 711B can naturally retreat when the shooting block 753 descends, The fixing balls 74 are all made of iron balls so that they can be moved by magnetic force.

아울러 상기 고정볼(74)이 이동할 때 반동에 의해 다시 튕겨져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변위공(711D)의 끝(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와의 경계를 말한다.)에는 복귀방지부재(763)를 더 구비하고, 이 복귀방지부재(763)는 상기 스토퍼와 동일하게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정볼(74)이 반동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ixed ball 74 from being bounced back by recoil when it moves, the end of the position displacement hole 711D (referring to the boundary with the upper part 711Aa of the falling hole) has a return preventing member ( 763) is further provided, and the return preventing member 763 prevents the fixed ball 74 from recoiling by recoil by enabling rotation in only one direction, similar to the stopper.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은 상호간에 원터치 결합 및 해정이 가능하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케이스와 덮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at is, wit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lock 71 and the second block 72 can be coupled and unlocked with one touch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force can be improved by firmly maintaining the fixed state, resulting in the case and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cover can be expected.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question-and-answer system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substitu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 질의응답 시스템S: Q&A system

Claims (4)

질의자가 메시지를 입력하고, 질의문항을 수신하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질의문항을 생성하여 모바일기기로 출력하는 질의응답 프로그램이 탑재된 포털사이트와,
상기 질의응답 프로그램이 메시지를 분석하고, 질의문항을 생성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질의응답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질의자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메시지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메시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내의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하여 질의문항을 생성하는 단계;
질의문항을 질의자에게 출력하는 질의단계;
상기 질의문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분석, 질의 생성, 질의 및 응답메시지 수신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질의자에게 응답에 따라 질의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 및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시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백업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하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저장하드는 접속단자를 노출시키는 덮개가 구비되는 케이스에 보관되어 저장하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케이스에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인입부가 구비된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의 인입부에 삽입되는 인입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덮개에 구비되는 제2블록 및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수단;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와 덮개는 원터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블록은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과, 상기 낙하공의 하부에서 후방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며 전방에 제1인출공이 연통된 안착공과, 상기 안착공 후방과 상기 낙하공 상부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인출공에는 반구형의 고정체가 인입부로 돌출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덮개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블록의 인입바에는 상기 인입부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체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볼이 상기 안착공에 채워져 상기 고정체의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체가 제1블록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고정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에는
상기 안착공에 채워진 최후방의 고정볼을 상기 위치변위공을 통해 낙하공 상부로 위치이동시켜, 상기 고정체가 제1블록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을 슬라이딩 결합 및 해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변위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시스템.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inquirer enters a message and receives the question;
a portal site equipped with a Q&A program that receives and analyzes a message from the mobile device, generates a ques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outputs it to the mobile device;
In the question answering system, the question answering system comprising a database unit for analyzing the message and providing data for generating a question question,

The question-and-answer program
receiving a message from a queryer from the mobile device;
analyzing the morpheme of the received message;
generating a query by retrie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message in the database unit through the analyzed message;
a query step of outputting a question to a queryer;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question question;
repeating the steps of analyzing the message, generating a query, and receiving the query and response messages;
deriving and outputting an answer to the questioner's question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e questioner;
to provide a question-and-answer service by running


In the database
It is made so that the storage hard drive that stores data for backup can be detachably combined and connected,
The storage hard is stored in a case provided with a cover exposing the connection terminal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torage hard,
Th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y a detachable means,
A first block provided in the case and having an inlet portion, and an inlet bar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of the first block are provided, and the second block and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provided in the cover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lock. Desorption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ing balls for maintain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two blocks; through, the case and the cover are made possible to one-touch coupling and separation,

The first block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se is
A drop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a seating hole communicating in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falling hole, and a first draw-out hole communicating in the front, and a curved positional displacement connecting the rear of the seating hole and the upper part of the falling hole A ball is provided
A hemispherical fixture is hinged to the first withdrawal hole so as to protrude into the inlet portion,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let bar of the second block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into which the fixing body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is inserted,

The plurality of fixing balls are filled in the seating hole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fixing body to prevent the fixing body from being drawn into the first block to maintain the fixing force of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In the first block
By moving the rearmost fixing ball filled in the seating hole to the upper part of the drop hole through the displacement hole, the fixing body is allowed to be drawn into the first block, so that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slidingly coupled and A question-and-answ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displacement means for unlo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질의자의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위카테고리에서 하위카테고리로 세분화 하면서 질의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question answ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query is repeated while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from the upper category according to the queryer's response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문항은 3개 내지 5개의 질의문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question answ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question consists of three to five question questions.
삭제delete
KR1020200035673A 2020-03-24 2020-03-24 Query and answer system KR102379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73A KR102379161B1 (en) 2020-03-24 2020-03-24 Query and answ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73A KR102379161B1 (en) 2020-03-24 2020-03-24 Query and answ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50A KR20210119150A (en) 2021-10-05
KR102379161B1 true KR102379161B1 (en) 2022-03-28

Family

ID=7807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673A KR102379161B1 (en) 2020-03-24 2020-03-24 Query and answ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161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475A (en) * 2007-08-27 2007-11-01 (주)코인미디어 랩 Method for text copy detection
KR102473155B1 (en) * 2016-01-18 2022-11-3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w Kok Kent and Naomie Salim, Features Based Text Similarity Detection, JOURNAL OF COMPUTING, VOLUME 2, ISSUE 1, JANUARY 2010, ISSN 2151-9617.
김진규 외 3인, 단어 공기 통계 정보 기반 색인어 추출을 활용한 문서 유사도 검사 알고리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1), 2016.1, 111-113페이지.
안찬민 외 4인, 지식 검색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추천 질의 시스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4권 3호, 2010.09, 405-416페이지.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50A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32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ally completed recommended words that link multiple languages
US6864809B2 (en)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CN100589099C (en) Configurable informatio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A25362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query
US5977948A (en) Input processing system for characters
US20100309137A1 (en) All-in-one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CN101369216A (en) Words input method and system
KR20070043673A (en) System and its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predicting character sequence of user's next input
KR20120087868A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in web queries
US9286288B2 (en) Method of learning character segments during text input, and associa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3257995B (en) Text retrieval device and text searching method
CN105528338A (en)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intelligent prediction
CN110297880A (en) Recommended method, device,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corpus product
CN103576889A (en) Input support method, and input support apparatus
JP4254763B2 (en) Document search system, document search method, and document search program
KR102379161B1 (en) Query and answer system
CN103152633A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key word
US9171234B2 (en) Method of learning a context of a segment of text, and associa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Bharath et al. FreePad: a novel handwriting-based text input for pen and touch interfaces
CN102103502A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 legacy system based on trails through the legacy system
CN100517186C (en) Letter inputt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ress-key and speech recognition
US20130073572A1 (en) Method of learning character segments from received text, and associa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7644104B (en) Text feature extraction method and system
CN1043470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ntrol object by voice recognition
CN110442593B (en) Cross-application sharing method based on user search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