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922B1 -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922B1
KR102378922B1 KR1020210113858A KR20210113858A KR102378922B1 KR 102378922 B1 KR102378922 B1 KR 102378922B1 KR 1020210113858 A KR1020210113858 A KR 1020210113858A KR 20210113858 A KR20210113858 A KR 20210113858A KR 102378922 B1 KR102378922 B1 KR 10237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fabric
pile
weigh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이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천 filed Critical 이상천
Priority to KR102021011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된 깔창용 제직원단 사이에 파일사를 제직 적용하되 파일위사와 파일경사의 제직 구조 개선으로 탄성력과 복원력을 적극 유도하여 우수한 착용감과 내구성 향상 등 다양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텐터 가공을 포함한 극히 간소화된 제직공정으로 하여금 품질 대비 뛰어난 생산성을 가진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하되, 제1경사와 제1위사 사이에는 기공으로 형성된 제1제직부(13)가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상부원단 제직단계(S10);와,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하되, 제2경사와 제2위사 사이에는 기공으로 형성된 제2제직부(23)가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하부원단 제직단계(S20);와, 상부원단 하측에 하부원단을 이격 배치하고,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복수의 파일경사(31)를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는 파일경사 배열단계(S30);와, 제1제직부 사이로 파일위사(32)를 인입하고, 제1제직부로부터 인입된 파일위사를 제2제직부로 연결하되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배열된 파일경사마다 교차로 진입하여 제직하는 파일위사 제직단계(S40);와, 파일경사 제직단계를 거친 원단을 전개한 상태에서 190 ~ 200℃로 유지되는 텐타기에 50 ~ 70초 동안 텐타 가공하는 원단재질 보강단계(S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shoe insole}
본 발명은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배치된 깔창용 제직원단 사이에 파일사를 제직 적용하되 파일위사와 파일경사의 제직 구조 개선으로 탄성력과 복원력을 적극 유도하여 우수한 착용감과 내구성 향상 등 다양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텐터 가공을 포함한 극히 간소화된 제직공정으로 하여금 품질 대비 뛰어난 생산성을 가진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신발은 발이 수용되는 갑피(甲皮)와 갑피의 바닥면을 보호하는 밑창(sole)으로 구성되며, 갑피의 내부 바닥면에는 신발의 착용감 향상을 위해 완충력을 부여하는 깔창이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깔창을 갑피에 개재하는 것만으로도 신발의 착용감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특히 깔창의 재질이나 두께 등은 깔창의 완충력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신발 제조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912222호 "항균과 소취, 산소발생 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제조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과립형 산소발생제를 제조하는 단계와, 과립형 산소발생제를 펄프와 혼합하여 배합물을 만드는 단계 및 배합물을 기재사이에 충진 후 가열처리하여 신발깔창을 제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특히 과립형 산소발생제를 제조하는단계는 제1종 산소발생성분과 중화제 및 촉매를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에 알코올을 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반죽물을 얻는 단계와, 혼합반죽물에 제2종 산소발생성분을 혼합하고 재교반하는 단계와, 재교반된 혼합반죽물을 감압증발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혼합반죽물을 분쇄하여 과립형 분쇄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은 항균기능과 악취 제거기능 및 산소발생으로 인한 통풍기능이 동시에 발휘되는 제품으로써, 발냄새 제거 효과 및 무좀 등 각종 발 부위의 질병 예방에 탁월하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깔창을 구성하는 모든 층이 습윤과 소취, 산소 발생 등 모두 항균과 탈취를 위한 소재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만족할만한 수준의 착용감은 기대할 수 없었다.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123304호 "신발 깔창용 원단"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발바닥 형상의 깔창 본체가 구비되고 깔창 본체의 상면부 중 특정 영역에 다수의 탄성 섬모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돌기가 상향 형성된 것으로, 탄성 섬모들은 깔창이 신발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하 내지 사선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착용자의 발바닥 주요 부위와 접촉되어 지압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깔창 본체가 합성수지를 용융 성형한 제품으로 통기성이 좋지 않고, 내구성이 떨어져 비위생적이면서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발바닥의 지압을 위한 돌기는 소정의 강도를 지녀야하기 때문에 완충력이 발휘되지 않아 착용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다른 단점 또한 보유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뛰어난 통기성을 발휘하여 위생적이므로 안심하고 착용할 수 있는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뛰어난 탄성력과 이와 연계되는 형태 복원력을 앞세워 기존 대비 우수한 착용감을 발휘하는 신발 깔창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12222호 "항균과 소취, 산소발생 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2123304호 "신발 깔창용 원단"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뛰어난 통기성을 기반으로 위생적으로 안전한 깔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탄성력과 형태 복원력을 강화시켜 깔창의 순기능을 적극 발휘되게 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1제직부(1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상부원단 제직단계(S10);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2제직부(2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하부원단 제직단계(S20); 상부원단 하측에 하부원단을 이격 배치하고,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복수의 파일경사(31)를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는 파일경사 배열단계(S30); 상기 배열된 파일경사(31)마다 파일위사(32)를 교차로 진입시켜 제직하면서, 파일위사(32)로 제1제직부의 제1경사(11) 및 제2제직부의 제2경사(21)와 제직하여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연결하는 파일위사 제직단계(S40);가 진행방향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고, 파일위사 제직단계를 거친 원단을 전개한 상태에서 190 ~ 200℃로 유지되는 텐타기에 50 ~ 70초 동안 텐타 가공하는 원단재질 보강단계(S5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원단 제직단계(S10)와 하부원단 제직단계(S20)의 제1경사(11)와 제1위사(12) 및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는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이며, 상기 파일경사(31)는 나일론사이고, 상기 파일위사(32)는 75 ~ 15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이고, 상기 제1경사(11) 및 제2경사(21)는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와 50 ~ 60수인 대나무사가 5 : 1의 가닥수 비율로 송출되어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제직하며, 상기 파일경사(31)는 나일론사를 심사로 두고 스판덱스사를 커버링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원단으로 기능성재료가 도포되며, 상기 기능성재료는 물 50 ~ 60중량%, 알긴산소다 3 ~ 6중량%, 머드분말 10 ~ 20중량%와, 제올라이트 5 ~ 8중량%와, 은 1 ~ 2중량%, 스테인레스 5 ~ 10중량%, 편백나무분말 5 ~ 8중량%, 황토 2 ~ 3중량%, 커피찌꺼기 2 ~ 3중량%이고, 상기 하부원단의 하부로 점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은 폴리올 50 ~ 60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 ~ 25중량%, 라텍스 10 ~ 15중량%,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 견운모분말 3 ~ 5중량%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깔창을 착용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부원단과 갑피 내부에 개재되는 하부원단으로 구분 제공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파일사가 아치형으로 제직되어 공기층이 확보되어 항균과 탈취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깔창의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파일사가 아치형으로 제직 형성되어 착용자의 신체 하중에 대한 형태 변형과 하중에 대한 반발력이 우수한 착용감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하중으로 인해 형태가 변형된 파일사가 신속하게 복원되어 다음 있을 하중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하중 발생에도 동일한 탄성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오랜기간 쾌적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열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발 깔창용 원단의 단면도.
도 4는 상부원단 또는 하부원단의 제직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과 그 사이에 배열되는 파일경사의 사시도.
도 6은 제직부의 열에 따라 파일위사와 파일경사간 꼬임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된 깔창용 제직원단 사이에 파일사를 제직 적용하되 파일위사와 파일경사의 제직 구조 개선으로 탄성력과 복원력을 적극 유도하여 우수한 착용감과 내구성 향상 등 다양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텐터 가공을 포함한 극히 간소화된 제직공정으로 하여금 품질 대비 뛰어난 생산성을 가진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열한 플로차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발 깔창용 원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부원단 또는 하부원단의 제직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과 그 사이에 배열되는 파일경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직부의 열에 따라 파일위사와 파일경사간 꼬임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용 원단(1)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부원단(10);과, 그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원단(20); 및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개재되는 파일사(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원단(10)은 폴리에스터사로 이루어진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되며, 사람의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원단을 확보한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에스터사는 직물의 조밀성을 위해 약 300 ~ 400 데니어를 사용한다.
상기 하부원단(20) 역시 폴리에스터사로 이루어진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되며, 상부원단과 일대일 대응하는 형상의 원단을 확보한다. 물론 상기 하부원단(20)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터사 또한 직물의 조밀성을 위해 약 300 ~ 400 데니어를 사용한다.
상기 파일사(30)는 나일론사로 이루어진 파일경사(31)와 폴리에스터사로 이루어진 파일위사(32)로 제직되며, 상기 파일경사를 상부원단(10)과 하부원단(20) 사이에 원형 패턴으로 배열시킨 상태에서 상부원단에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틈인 제1제직부(13)로 파일위사를 진입시켜 하부원단에 연결하되, 전체적으로 아치형의 형상을 가진다. 특히, 상기 파일위사(32)는 파일경사(31)를 지나칠 때마다 지그재그로 교차 진입하고, 결과적으로 파일위사가 파일경사에 꼬임되어 소정의 강도와 탄성력 및 지지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파일위사(32)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터사는 생산비 절감을 위해 약 75 ~ 150 데니어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기능에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용 원단(1)은 상부원단(10)과 하부원단(20) 사이에 파일사(30)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공기층이 확보됨에 따라 우수한 통기성 효과를 발휘하며, 착용자의 신체 하중에 대해 아치형의 구조가 원활하게 찌그러지고, 또 쉽게 복원되어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용 원단은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1제직부(1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상부원단 제직단계(S10);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2제직부(2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하부원단 제직단계(S20); 상부원단 하측에 하부원단을 이격 배치하고,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복수의 파일경사(31)를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는 파일경사 배열단계(S30); 상기 배열된 파일경사(31)마다 파일위사(32)를 교차로 진입시켜 제직하면서, 파일위사(32)로 제1제직부의 제1경사(11) 및 제2제직부의 제2경사(21)와 제직하여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연결하는 파일위사 제직단계(S40);가 진행방향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고, 파일위사 제직단계를 거친 원단을 전개한 상태에서 190 ~ 200℃로 유지되는 텐타기에 50 ~ 70초 동안 텐타 가공하는 원단재질 보강단계(S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원단 제직단계(S10)는 300 ~ 400 데니어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사를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준비하고, 제1경사와 제1위사를 제직하여 사람의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원단을 확보한다.
그리고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1제직부(1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한다. 도면과 같이 상기 제1제직부(13)는 정면을 기준으로 제1열(13a), 제2열(13b), 제3열(13c)...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원단 제직단계(S20)는 300 ~ 400 데니어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사를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준비하고, 제2경사와 제2위사를 제직하여 사람의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원단을 확보하며, 상기 상부원단(10)의 하측에 배치한다. 상기 하부원단(20) 역시 상부원단(10)과 마찬가지로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2제직부(2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제2제직부(23)는 상부원단(10)과 동일하게 정면을 기준으로 제1열, 제2열, 제3열...순으로 배치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파일경사 배열단계(S30)는 상부원단(10)과 하부원단(20) 사이에 제1경사(11) 및 제2경사(21)와 동일한 방향으로 파일경사(31)를 복수 배치시키는 단계이다. 특히 상부원단(10)과 하부원단(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일경사(3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패턴으로 배치된다.
상기 파일위사 제직단계(S40)는 상기 배열된 파일경사(31)마다 파일위사(32)를 교차로 진입시켜 제직하면서, 파일위사(32)로 제1제직부의 제1경사(11) 및 제2제직부의 제2경사(21)와 제직하여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특히 도 5와 같이 파일위사 제직단계(S40)는 제1열(13a)의 제1제직부(13)로 진입되는 파일위사(12)와 제2열(13b)의 제1제직부로 진입되는 파일위사의 교차 방향, 즉 꼬임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제1열(13a)로 진입한 파일위사(32)와 제2열(13b)로 진입한 파일위사의 2개 1조가 하나의 세트가 되며, 이로부터 파일위사가 파일경사(31)에 견고히 꼬임되어 제직이 이루진다.
상기 원단재질 보강단계(S50)는 파일경사 제직단계(S40)를 거친 신발 깔창용 원단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190 ~ 200℃로 유지되는 텐타기에 50 ~ 70초 동안 텐타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텐타가공을 거친 신발 깔창용 원단(1)은 전체적으로 수축이 이루어져 서로 교합력이 향상되면서 원단의 강도가 우수하여진다. 이와 같이 교합력이 향상된 신발 깔창용 원단(1)은 특히 파일사(30)의 파일경사(31)와 파일위사(32)의 교합력이 단단해지면서 착용자의 신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완충 기능이 발휘되어 착용감이 극대화 유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깔창을 착용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부원단(10)과 갑피 내부에 개재되는 하부원단(20)으로 구분 제공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파일사(30)가 아치형으로 제직되어 공기층이 확보됨에 따라 항균과 탈취에 효과적이다.
또한, 신발 깔창용 원단(1)의 상부원단(10)과 하부원단(20) 사이에 파일사(30)가 아치형으로 제직 형성되어 착용자의 신체 하중에 대한 형태 변형과 하중에 대한 반발력이 우수한 착용감에 있어 탁월하다.
또한, 착용자의 신체 하중으로 인해 형태가 변형된 파일사(30)가 신속하게 복원되어 다음 있을 하중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하중 발생에도 동일한 탄성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오랜기간 쾌적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제1경사(11) 및 제2경사(21)는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와 50 ~ 60수인 대나무사가 5 : 1의 가닥수 비율로 송출되어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제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나무사는 대나무 원액을 화학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알카리화시켜 다중 표백공정을 통해 정제 제조하여 미세한 구멍으로 사출하여 만드는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검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항균 및 소취작용이 향상되는 기능과 더불어 통풍성이 개선되어 땀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외부에 배출시킴으로써 상, 하부원단(10, 20)의 쾌적한 감촉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경사(11) 및 제2경사(21)를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와 50 ~ 60수인 대나무사가 5 : 1의 가닥수 비율로 송출함으로써,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를 통하여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의 조밀한 제직구조를 구현하면서 비교적 고가인 대나무사의 비율을 줄여주어 가격경쟁력을 유지하고, 대나무사의 기능 또한 표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일경사(31)는 나일론사를 심사로 두고 스판덱스사를 커버링하여 이루어져, 파일경사 및 파일위사가 아치형으로 제직된 부위의 월등한 인장강도 및 흡수성을 가짐으로서 장시간 탄성력은 유지시키면서도 사용과정에서 손상을 최대한 지연시켜 깔창으로서의 기능을 오랜시간동안 유지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원단으로 기능성재료가 도포되고, 기능성재료는 물 50 ~ 60중량%, 알긴산소다 3 ~ 6중량%, 머드분말 10 ~ 20중량%와, 제올라이트 5 ~ 8중량%와, 은 1 ~ 2중량%, 스테인레스 5 ~ 10중량%, 편백나무분말 5 ~ 8중량%, 황토 2 ~ 3중량%, 커피찌꺼기 2 ~ 3중량%로 이루어진다.
물과 알긴산소다는 서로 혼합되어 접착력을 가져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긴산소다는 미역, 다시마, 감태와 같은 갈조류를 알칼리 추출한 후 산을 첨가하여 젤화한 것으로, 천연의 고분자 응집제로 불리울만큼 접착력이 뛰어나다. 또한 물은 비교적 고온인 50 ~ 60℃의 온도로 유지시켜 젤화된 알긴산소다를 다시 분말화시켜 온수와 혼합하게 되면 면 점성이 발생됨으로 접착력이 극대화되는 친환경접착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머드분말은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고 미네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게르마늄, 벤토나이트 등의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세포 호흡촉진으로 피부노화방지, 수분균형유지, 피부청정작용, 피부노폐물 제거 등의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제올라이트는 원적외선 방출 및 음이온 발생은 물론 소취효능이 우수하여 사용시에 청결한 환경을 유지시키면서 소량의 땀이 계속적으로 발생되었을 때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은은 사용자의 체액이나 수분에 용해되면서 알칼리성 살균제로 작용하게 되므로, 깔창으로 사용될 때 발생되는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 발진과 가려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경감시키게 된다.
스테인레스는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마찰되는 상부원단의 내구성을 좋게 하여 상부원단에 필요한 유연성은 유지시키면서도 발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편백나무분말은 피톤치드과 같은 천연향을 다량으로 휘산하여 주어 신발 내부 환경을 증진시켜주는 기능을 구비하게 한다.
황토와 커피찌꺼기는 항균탈취제의 기능의 구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황토의 경우 원적외선이 사용자의 신체로 방출되어 신진대사 촉진으로 피로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켜주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직접 깔창으로 사용될 수 있이나 기존의 깔창에 접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부원단은 사용자의 신체와 마찰되고, 하부원단은 기존의 깔창에 접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원단의 하부로 기존의 깔창에 점착되는 점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점착층은 폴리올 50 ~ 60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 ~ 25중량%, 라텍스 10 ~ 15중량%,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 견운모분말 3 ~ 5중량%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은 전체 중량비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이면, 목표하는 점착성이나 점착층으로서의 유연성을 얻지 못하고, 60중량%를 초과하면, 미반응 폴리올이 다량으로 존재하여 안정성 및 강도와 같은 물성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하부원단의 하부면에 안정적으로 코팅하듯이 도포하여 안정적인 경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포함되며, 이를 위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상기와 같은 중량비율로 포함된다.
라텍스는 고무를 만들 때 쓰이는 수지원료로서, 폴리올과 함께 점착층의 점착기능을 구비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보다 폭신한 감촉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란 커플링제는 점착층 전체 조성물의 접착력과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견운모는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경사(11)와 제1위사(12) 및 제2경사(21)와 제2위사(22)와, 나일론사로 된 파일경사(31)와, 75 ~ 15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로 된 파일위사(32)는 각각 준비한다.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하되, 제1경사와 제1위사 사이에는 기공으로 형성된 제1제직부(13)가 구비되도록 상부원단을 제직하고, 물 50 ~ 60중량%, 알긴산소다 3 ~ 6중량%, 머드분말 10 ~ 20중량%와, 제올라이트 5 ~ 8중량%와, 은 1 ~ 2중량%, 스테인레스 5 ~ 10중량%, 편백나무분말 5 ~ 8중량%, 황토 2 ~ 3중량%, 커피찌꺼기 2 ~ 3중량%으로 이루어진 기능성재료를 상부원단에 도포하여 1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하되, 제2경사와 제2위사 사이에는 기공으로 형성된 제2제직부(23)가 구비되도록 하부원단을 제직한다.
상부원단 하측에 하부원단을 이격 배치하고,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복수의 파일경사(31)를 원형 패턴으로 배열함과 아울러 제1제직부 사이로 파일위사(32)를 인입하고, 제1제직부로부터 인입된 파일위사를 제2제직부로 연결하되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배열된 파일위사마다 교차로 진입하여 제직한다.
파일위사 제직단계를 거친 원단을 전개한 상태에서 190 ~ 200℃로 유지되는 텐타기에 50 ~ 70초 동안 텐타 가공하여 신발 깔창용 원단을 가공하였다.
[비교예1]
상기의 [실시예]를 거쳐 완성된 신발 깔창용 원단을 5명의 검사인원의 신발에 깔창형태로 가공한 후 신발에 넣어 2시간 동안 착용하였고, 시중에 판매하는 기능성 탄성깔창을 신발에 넣어 2시간 동안 착용하여 착용성, 탄성력, 상용성(구매의사)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인원 5명중 4명 이상이 좋다고 판단하면 우수, 전문가 10명중 2 ~ 3명이 좋다고 판단하면 양호, 전문가 10명중 1명 이하가 좋다고 판단하면 불량으로 각각 구분하여 이를 [표 1]에서 분석하였다.(case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신발 깔창용 원단이고, case2는 시중에 파는 기능성 탄성깔창이다)
비교조건 착용성 탄성력 상용성(구매의사)
case1 우수 우수 우수
case2 우수 양호 양호
[비교예2]
상기 case1과 case2를 각각 100×100㎜ 크기의 시편을 채취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시험규격: KFIA-FI-1004), 이때 사용된 가스는 암모니아 표준가스를 사용하였고, 흡착율을 평가하기 위해 가스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회 반복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구분 경과시간(분) 농도(ppm) 흡착율(%)





흡착시험


case1
0 500 -
30 150 72
60 110 76
90 90 81
120 70 86


case2
0 500 -
30 498 -
60 505 -
90 506 -
120 504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에 판매되는 신발 깔창용 원단에 비해 머드분말, 제올라이트, 은, 편백나무분말, 황토 및 커피찌꺼기가 포함된 기능성재료가 도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거쳐 완성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암모니아가스의 흡착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상부원단
20. 하부원단
30. 파일사
1. 신발 깔창용 원단
S10. 상부원단 제직단계
S20. 하부원단 제직단계
S30. 파일경사 배열단계
S40. 파일위사 제직단계
S50. 원단재질 보강단계

Claims (5)

  1. 제1경사(11)와 제1위사(1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1제직부(1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상부원단 제직단계(S10);
    제2경사(21)와 제2위사(22)로 제직하되, 기공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갖도록 제직된 제2제직부(23)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원단을 제직하는 하부원단 제직단계(S20);
    상부원단 하측에 하부원단을 이격 배치하고, 상부원단과 하부원단 사이에 복수의 파일경사(31)를 원형 패턴으로 배열하는 파일경사 배열단계(S30);
    상기 배열된 파일경사(31)마다 파일위사(32)를 교차로 진입시켜 제직하면서, 파일위사(32)로 제1제직부의 제1경사(11) 및 제2제직부의 제2경사(21)와 제직하여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연결하는 파일위사 제직단계(S40);가 진행방향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고,
    파일위사 제직단계를 거친 원단을 전개한 상태에서 190 ~ 200℃로 유지되는 텐타기에 50 ~ 70초 동안 텐타 가공하는 원단재질 보강단계(S5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원단 제직단계(S10)와 하부원단 제직단계(S20)의 제1위사(12)와 제2위사(22)는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이며,
    상기 파일위사(32)는 75 ~ 15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이고,
    상기 제1경사(11) 및 제2경사(21)는 300 ~ 400 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와 50 ~ 60수인 대나무사가 5 : 1의 가닥수 비율로 송출되어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제직하며,
    상기 파일경사(31)는 나일론사를 심사로 두고 스판덱스사를 커버링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원단으로 기능성재료가 도포되며,
    상기 기능성재료는 물 50 ~ 60중량%, 알긴산소다 3 ~ 6중량%, 머드분말 10 ~ 20중량%와, 제올라이트 5 ~ 8중량%와, 은 1 ~ 2중량%, 스테인레스 5 ~ 10중량%, 편백나무분말 5 ~ 8중량%, 황토 2 ~ 3중량%, 커피찌꺼기 2 ~ 3중량%이고,
    상기 하부원단의 하부로 점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은 폴리올 50 ~ 60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 ~ 25중량%, 라텍스 10 ~ 15중량%, 실란 커플링제 5 ~ 8중량%, 견운모분말 3 ~ 5중량%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3858A 2021-08-27 2021-08-27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37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58A KR102378922B1 (ko) 2021-08-27 2021-08-27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58A KR102378922B1 (ko) 2021-08-27 2021-08-27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922B1 true KR102378922B1 (ko) 2022-03-24

Family

ID=8093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858A KR102378922B1 (ko) 2021-08-27 2021-08-27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9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43A (ko) * 2012-07-02 2014-01-10 차수동 신발에 적용되는 내답판용 원단 및 그 내답판용 원단의 제조 방법, 내답판 및 그 내답판의 제조 방법
KR101912222B1 (ko) 2017-08-18 2018-10-26 주식회사 오지엔테크 항균과 소취, 산소발생 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제조방법
KR101936430B1 (ko) * 2017-08-01 2019-01-08 주식회사 송이실업 안전 보호벽을 위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3304B1 (ko) 2018-11-06 2020-06-16 신성 신발 깔창용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43A (ko) * 2012-07-02 2014-01-10 차수동 신발에 적용되는 내답판용 원단 및 그 내답판용 원단의 제조 방법, 내답판 및 그 내답판의 제조 방법
KR101936430B1 (ko) * 2017-08-01 2019-01-08 주식회사 송이실업 안전 보호벽을 위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2222B1 (ko) 2017-08-18 2018-10-26 주식회사 오지엔테크 항균과 소취, 산소발생 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제조방법
KR102123304B1 (ko) 2018-11-06 2020-06-16 신성 신발 깔창용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483B1 (ko) 대마를 이용한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CN107095392A (zh) 一种老年人专用鞋垫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JP2010520014A (ja) 核果の種子を用いた枕の詰め物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枕の詰め物を用いた枕(Amethodformanufacturingthestuffingofapillowusingaseedofdrupeandthestuffingofapillowtherebyandthepillowthereby)
KR200481569Y1 (ko) 종아리 흘림방지용 기능성 양말
KR102378922B1 (ko)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신발 깔창용 원단의 제조방법
JP2007197569A (ja) 樹脂材及びその樹脂材を用いた成形体
KR101015819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콩 섬유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KR200467023Y1 (ko) 그라파이트가 함유된 건강 기능성 신발 깔창
CN106388011A (zh) 一种具有吸湿、发热、抗菌功能的保健袜
KR20080111359A (ko) 보습 원단
KR101659963B1 (ko) 동사와 한지사를 이용한 양말의 제조방법
KR100785835B1 (ko) 마 인솔용 부직포 및 이로부터 제작된 기능성 인솔
KR102643719B1 (ko) 귀사문석을 활용한 기능성 인솔
CN203234127U (zh) 棕麻鞋垫
JP3166236U (ja) 蒸れ防止機能付き中敷及びその中敷を備えた靴
CN205072194U (zh) 一种按摩防穿刺鞋底
CN201210884Y (zh) 一种纯天然丝瓜络鞋
CN205947260U (zh) 一种防错位杀菌保健鞋垫
CN204409741U (zh) 一种竹炭拖鞋
CN219460446U (zh) 一种具有抑菌除臭功能的扣线鞋
KR101574625B1 (ko) 양말
CN215583286U (zh) 一种干爽防臭抑菌的鞋垫
KR200350222Y1 (ko) 바이오 건강양말
CN108685268A (zh) 一种跑步专用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