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305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05B1
KR102378305B1 KR1020170068096A KR20170068096A KR102378305B1 KR 102378305 B1 KR102378305 B1 KR 102378305B1 KR 1020170068096 A KR1020170068096 A KR 1020170068096A KR 20170068096 A KR20170068096 A KR 20170068096A KR 102378305 B1 KR102378305 B1 KR 10237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287A (ko
Inventor
이충훈
김도형
정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287A/ko
Priority to KR1020220034567A priority patent/KR2022004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곡률로 구부러진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있는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구부러짐에 의한 색 변동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표시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유기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이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 소자는 전극 사이의 얇은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에 화소구동 회로와 유기발광 소자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유기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기판 또는 배리어층을 통과하면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별도의 광원장치 없이 구현되기 때문에,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로 구현되기에 용이하다. 이때, 플라스틱, 박막 금속(metal foil) 등의 플렉서블 재료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판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재료들의 성질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여러 부분을 휘거나 구부리려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또한 휨이나 구부림에 의해 만들어진 곡면은 표시 화면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시야 각(viewing angle) 개선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곡률로 구부러진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있는 유기발광소자는, 상기 구부러짐에 의한 색 변동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색 변동 저감 구조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보다 얇은 캐소드(cathode) 전극 또는 애노드(anode)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시야 각에 따른 휘도 저하 문제가 개선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굴곡 부분에서의 색 변동을 최소화하는 픽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전자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평평한 부분과 굴곡 부분의 예시적인 배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 부분에서의 색 변동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굴곡 부분에서의 색 변동을 개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자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는 가요성(flexibility)이 부여된 표시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부릴 수 있는(bendable) 표시장치, 말수있는(rollable) 표시장치, 깨지지 않는(unbreakable) 표시장치, 접을 수 있는 (foldable) 표시장치 등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active area)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는 픽셀들의 어레이(array)가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비표시 영역(in표시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사각형 형태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표시 영역의 형태 및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의 형태/배치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를 탑재한 전자장치의 디자인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의 예시적 형태는 오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다.
상기 표시 영역 내의 각 픽셀은 픽셀 회로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픽셀 회로는, 백플레인(backplane) 상의 하나 이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 회로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동 회로와 통신하기 위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비표시 영역에 TFT(thin film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는 GIP(gate-in-panel)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몇몇 부품들은, 분리된 인쇄 회로 기판에 탑재되고,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F(chip-on-film), TCP(tape-carrier-package) 등과 같은 회로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연결 인터페이스(패드/범프, 핀 등)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와 함께 구부러져서, 상기 인쇄 회로(COF, PCB 등)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뒤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표시 영역내의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요소들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부가 요소는 인버터 회로, 멀티플렉서, 정전기 방전 회로(electro static dischar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픽셀 구동 이외의 기능과 연관된 부가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터치 감지 기능, 사용자 인증 기능(예: 지문 인식), 멀티 레벨 압력 감지 기능,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기능 등을 제공하는 부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부가 요소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 및/또는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외부 회로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여러 부분들은 굴곡선(BL)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굴곡선(BL)은 수평으로(예: 도 1의 X 방향), 수직으로(예: 도 1의 Y 방향), 또는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요구되는 디자인에 기초하여, 수평, 수직, 대각선 방향의 조합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언급한 대로,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edge)는, 상기 굴곡선(BL)을 따라 중앙 부분(central portion, 101)에서 멀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비록 상기 굴곡선(BL)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모서리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상기 굴곡선(BL)은 상기 중앙 부분(101)을 가로질러 연장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꼭지점(corner)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가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가 되거나, 또는 접히는 양면에 표시가 이뤄지는 표시장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flat) 부분 및 굴곡진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일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평(flat)한, 중앙 부분(101)으로 지칭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일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며, 이러한 부분은 굴곡 부분(10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굴곡 부분(102)은, 소정의 굴곡 반지름으로 실제로 휘어지는 굴곡 구간(bended section)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이라는 용어에는 완벽히 평평하지는 않은 부분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묘사된 오목한 중앙 부분(101a) 및 볼록한 중앙 부분(101b)도 어떤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으로 기술될 수 있다. 도 2에서, 하나 이상의 굴곡 부분(102)이 오목한 중앙 부분(101a) 또는 볼록한 중앙 부분(101b)의 옆에 존재하고, 굴곡선(BL)을 따라 굴곡 축에 대한 각도를 갖고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굴곡 부분(102)의 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은 중앙 부분(101a, 101b)의 곡률 반지름보다 작다.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 이라는 용어는 인접한 구간보다 더 작은 곡률(curvature)을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
굴곡선(BL)의 위치에 따라서 굴곡선의 일 측에 있는 부분은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앙을 향해 위치하는 반면, 굴곡선의 타 측에 있는 부분은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모서리를 향해 위치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앙을 향해 놓이는 부분은 중앙 부분이라 언급될 수 있고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모서리를 향해 놓이는 부분은 모서리 부분이라 언급될 수 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중앙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모서리 부분은 굴곡 부분일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몇몇 형상에서, 굴곡 구간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굴곡 부분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을 이하에서는 제2 표시 영역이라 호칭한다. 즉,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픽셀이 굴곡 부분에 포함되도록 굴곡선(BL)이 표시 영역 내에 놓일 수 있다.
도 3은 각각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표시 영역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3의 형상에서, 굴곡 부분(102) 내의 픽셀 매트릭스는, 평평한 중앙 부분(101)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 부분(101)과 굴곡 부분(102)은 몇몇 부품들은, 굴곡 구간을 가로질러 놓인 하나 이상의 도선(12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굴곡 부분(102)의 제2 표시 영역(A/A-2)에 있는 픽셀과 중앙 부분의 제1 표시 영역(A/A-1)에 있는 픽셀은, 구동 회로(예: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등)에 의해 마치 동일 매트릭스에 있는 것처럼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 영역(A/A-2)의 픽셀과 제1 표시 영역(A/A-1)의 픽셀은 동일한 구동 회로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의 N번째 행 픽셀과 제2 표시 영역(A/A-2)의 N번째 행 픽셀은, 같은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A/A-2)의 기능에 따라서는, 제2 표시 영역(A/A-2)의 픽셀이 제1 표시 영역(A/A-1)의 픽셀과 분리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A/A-2)의 픽셀은, 제1 표시 영역(A/A-1)의 픽셀 매트릭스와는 분리된 독립된 매트릭스로 구동 회로에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표시 영역(A/A-2)의 픽셀은, 제1 표시 영역(A/A-1)의 픽셀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분리된 구동 회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형상에 상관없이, 굴곡 부분(102)의 제2 표시 영역(A/A-2)은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2차 표시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A/A-2)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표시 영역(A/A-2)의 크기는 전자장치에 내장된 기능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A/A-2)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버튼,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이미지 및/또는 문자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제2 표시 영역(A/A-2)은 여러 목적(예: 상태 표시)의 다양한 색의 빛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제2 표시 영역(A/A-2)의 크기는 중앙 부분의 제1 표시 영역(A/A-1)만큼 클 필요는 없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영역은, 도 3에서 서술된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베이스 층(111) 상에 박막트랜지스터(112, 114, 116, 118), 유기발광소자(122, 124, 126) 및 각종 기능 층(layer)이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 층(111)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베이스 층(111)은 투명한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어레이 기판)은, 그 위에 형성된 소자 및 기능 층, 예를 들어 스위칭 TFT, 스위칭 TFT와 연결된 구동 TFT, 구동 TFT와 연결된 유기발광소자, 보호막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버퍼 층(buffer layer)이 베이스 층(1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층은 베이스 층(111) 또는 하부의 층들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 층이다. 상기 버퍼 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111) 또는 버퍼 층 위에 박막트랜지스터가 놓인다. 박막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층(112), 게이트 절연막(113), 게이트 전극(114), 층간 절연막(115),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 118)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반도체 층(112)은 상기 베이스 층(111) 또는 버퍼 층 상에 위치한다. 반도체 층(112)은 폴리 실리콘(p-Si)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정의 영역이 불순물로 도핑될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 층(112)은 아몰포스 실리콘(a-Si)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펜타센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 반도체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반도체 층(112)은 산화물(oxide)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113)은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절연성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절연성 유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114)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 예컨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 금(A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5)은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절연성 유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층간 절연막(115)과 게이트 절연막(113)의 선택적 제거로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는 컨택 홀(contact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 108)은 층간 절연막(115) 상에 전극용 물질로 단일층 또는 다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평탄화 층(117)이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평탄화 층(117)은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고 그 상부를 평탄화한다. 평탄화 층(117)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BCB(Benzocyclobutene) 또는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 절연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이중 혹은 다중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유기발광소자는 제1 전극(122), 유기발광 층(124), 제2 전극(12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유기발광소자는 평탄화 층(117)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22), 제1 전극(122) 상에 위치한 유기발광 층(124) 및 유기발광 층(124) 상에 위치한 제2 전극(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2)은 컨택 홀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00)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인 경우, 이러한 제1 전극(122)은 반사율이 높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22)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뱅크(120)는 발광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뱅크(120)는 발광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전극(122)을 노출시키는 뱅크 홀을 가진다. 뱅크(120)는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BCB,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와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 층(124)이 뱅크(120)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122) 상에 위치한다. 유기발광 층(124)은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 층은, 하나의 빛을 발광하는 단일 발광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백색 광을 발광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전극(126)이 유기발광층(124) 상에 위치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100)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인 경우, 제2 전극(126)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uim Zinc Oxide; I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유기발광 층(124)에서 생성된 광을 제2 전극(126) 상부로 방출시킨다.
보호 층(128)과 봉지 층(130)이 제2 전극(126) 상에 위치한다. 상기 보호 층(128)과 봉지 층(130)은, 발광 재료와 전극 재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산소 및 수분 침투를 막는다. 유기발광소자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발광 영역이 축소되는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현상이 나타나거나, 발광 영역 내 흑점(dark spot)이 생길 수 있다. 상기 보호 층(passivation layer) 및/또는 상기 봉지 층(encapsulation layer)은 유리, 금속, 산화 알루미늄(AlOx) 또는 실리콘(Si) 계열 물질로 이루어진 무기막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무기막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유기막은 무기막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봉지 층을 여러 겹의 박막 층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단일 층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이동 경로를 길고 복잡하게 하여, 유기발광소자까지 수분/산소의 침투를 어렵게 만들려는 것이다.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은 봉지 층(130) 상에 터치 층, 편광 층(160), 커버 층(1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터치 감지 전극이 유기발광소자의 상면(예: 봉지 층 상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련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터치 감지 전극 및/또는 터치 입력 감지와 연관된 다른 부품이 구비된 독립된 층이 상기 표시장치(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전극(예: 터치 구동/감지 전극)은 인듐 주석 산화물, 그래핀(graphene)과 같은 탄소 기반 물질, 탄소 나노튜브, 전도성 고분자, 다양한 전도성/비전도성 물질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물질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메쉬(metal mesh), 예컨대, 알루미늄 메쉬, 은 메쉬 등이 상기 터치 감지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표시 특성(예: 외부 광 반사, 색 정확도, 휘도 등)을 제어하기 위해 편광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170)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커버 글래스(cover glass)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특정 부분에서의 강도 및/또는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지 층(180)이 상기 베이스 층(111)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층(180)은, 상기 베이스 층(111)의 양면 중 유기발광소자가 있는 면(제1 면)의 반대편 면(제2 면)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층(180)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탈레이트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기타 적합한 폴리머의 조합으로 구성된 박형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층(180)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물질은 박형 유리, 유전체로 차폐된 금속 호일(metal foil), 다층 폴리머, 나노 파티클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과 조합된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 필름 등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더 용이한 굴곡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굴곡 부분(102)에서 구성 요소들의 구성은 상기 평평한 중앙 부분(101)에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중앙 부분(101)에 존재하는 몇몇 구성 요소들은 상기 굴곡 부분(102)에는 배치되지 않거나, 다른 두께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층(180), 상기 편광층(160), 상기 터치센서층, 컬러필터층 및/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굴곡을 방해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은 상기 굴곡 부분(102)에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 부분(102)의 시야각 특성을 고려하여 유기발광소자들이 평평한 부분(101)과는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c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 부분에서의 색 변동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베이스 층(111), 유기발광소자의 일 부분(122), 커버 층(170) 만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일 부분(126)은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 전극 또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형태를 기준으로 하면 평평한 부분(101)과 굴곡 부분(102)로 구분될 수 있고,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기준으로는 제1 표시 영역(A/A-1), 제2 표시 영역(A/A-2) 및 비표시 영역(I/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 모두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모든 소자 및 층들은 동일하게 설계/제작되고, 특히 유기발광소자의 전극(126)들도 같은 두께로 형성된다. 그런데, 모든 발광소자에서 빛은 수직방향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굴곡 부분(102)과 평평한 부분(101)에 표시되는 화상(방출되는 빛)은 다른 각도로 인지된다. 표시장치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부분(101)의 법선 방향에서 표시장치를 바라보는데, 이때의 시야각을 0도(°)라고 하면, 같은 시야에서 굴곡 부분(102)에 표시되는 화상(방출되는 빛)은 다른 각도로 지각된다. 이러한 다른 시야 각도에 기인하여 굴곡 부분(102)에서 평평한 부분(101)과 대비하여 일정 정도의 색 변동(색 천이(color shift) 및/또는 휘도 저하 등)가 관찰되고 있다. 도 5b는 굴곡 부분의 제2 표시 영역(A/A-2)에서 나타나는 휘도 저하를 묘사한 도면이다. 도 5a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 부분 색 변동을 실험한 결과, 시야각 45˚에서 약 60%의 휘도 저하가 관찰되었다. 실제 제품에서 굴곡 부분의 굴곡 각이 40˚ 전후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큰 휘도 저하가 예상된다.
도 5c는 굴곡 부분에서 휘도 저하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 배경을 보여준다. 발광 화소는 'PL spectrum' 그래프와 같은 스펙트럼 밀도로 빛을 방출한다. 한편, 굴곡 부분의 곡면부 화소에서 방출되는 빛은 평면부 화소에서 방출된 빛과 시야 각이 달라지며, 이때 곡면부 화소에서 방출되는 빛은, 시야 각이 커질수록 중심 파장이 'OC curve' 그래프와 같이 짧은 파장 대역으로 이동하고 전체적인 세기도 작아진다.
한편, 사용자의 시각에 인지되는 빛은 'EL spectrum' 그래프처럼 표현될 수 있는데, 'EL Spectrum '은 개념적으로 'PL spectrum' 과 “OC curve'의 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EL spectrum'은 세기는 휘도와 연관되며, 'PL spectrum' 과 “OC curve'이 겹치는 면적에 비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시야 각이 커질수록 'OC curve'의 이동에 영향을 받아 'EL spectrum'은 세기가 작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곡면부의 휘도 저하가 관찰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도 6a 및 6b는 굴곡 부분에서의 색 변동을 개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도 5c의 분석을 바탕으로 해결안을 도출한 과정이다. 각 그래프의 의미는 도 5c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곡면 부분(엣지 부분)이 최대 45도에 가까운 시야 각으로 보일 수 있는데, 45도 시야 각에서 'OC curve' 그래프는 'O.C@45'와 같이 관측되었다. 'O.C@45' 파형은 첨두(peak) 값이 뾰족하게 보이는, 반치전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반값너비)이 좁은 모양이다. 이에 따라 'PL spectrum' 과 “OC curve'의 곱으로 표현되는 'EL Spectrum'은 작은 면적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광량(휘도)가 작음을 의미한다.
표시장치에 곡면부를 채택한 이상 시야 각 변동과 그에 따른 'OC curve'의 변동은 막을 수 없다면, 시야 각 변화에 따른 'OC curve' 형상을 바꿔보는 것이 발명자들이 착안한 지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안점은, FWHM이 더 넓은 'OC curve'를 갖는다면, 'EL Spectrum'에서 더 큰 면적을 만들 것이기에 곡면부 휘도 저하를 저감시킬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통찰을 가지고 발명자들은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발광 소자의 형상에 변화를 주면 시야 각 변화에 따른 'OC curve'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곡면부 발광 소자의 두께를 줄일수록 'OC curve' 의 FWHM이 넓어짐을 알게 되었다. 이에 도 6b와 같이 곡면부 발광 소자의 두께를 줄여 'EL Spectrum'에서 더 큰 면적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종전보다 곡면부의 휘도 저하가 적은 구조를 도출하게 되었다.
도 7a 및 7b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에 도시한 실시예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베이스 층(111),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126), 커버 층(170) 만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형태를 기준으로 하면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2)로 구분될 수 있고,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기준으로는 제1 표시 영역(A/A-1), 제2 표시 영역(A/A-2) 및 비표시 영역(I/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01)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이다. 즉, 상기 제1 부분(101)은 0에 가까운 곡률(=무한대에 가까운 곡률 반경)을 갖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부분(102)은, 상기 제1 부분(101)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101)보다 큰 곡률로 구부러진 부분이다. 다른 표현으로, 상기 제2 부분(102)은, 상기 제1 부분(101)보다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진 부분이다.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은 상기 제1 부분(101)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A/A-1)은 상기 제2 부분(102)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한편,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I/A)은,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에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제2 부분(102)의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도 7a에서 제1 표시 영역(A/A-1)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중앙 부분에 있고, 제2 표시 영역(A/A-2)은 제1 표시 영역(A/A-1)의 바깥쪽에 인접해 있고, 비표시 영역(I/A)은 제2 표시 영역(A/A-2)의 바깥쪽에 인접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에 있는 유기발광소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특히 상기 제2 부분(120)이 구부러져 있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색 변동(밝기(휘도) 저하, 색 천이 등)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색 변동 저감 구조는, 도 6a 및 6b에서 설명된 연구에 의해 도출되었다. 이에, 상기 색 변동 저감 구조는, (굽은 형상에 의해) 달라지는 시야각의 OC(out-coupling) 곡선에서 더 넓은 반치전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반값너비)을 갖도록 유기발광소자를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발명자들은 상기 반치전폭은 유기발광 소자의 두께와 관련있음을 발견하였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굴곡 영역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의 두께를 조정하여 색 변동을 저감한다. 이에, 제2 표시 영역(A/A-2)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색 변동 저감 구조의 첫 번째 실시예로서, 제2 표시 영역(A/A-2)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보다 얇은 캐소드(cathode) 전극을 포함한다(C2<C1). 이때 상기 캐소드 전극(126)은 상기 제2 부분(102)의 곡률 반지름 및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굴곡 부분의 곡률이 크거나 그 길이가 클수록 색 변동이 커지는 경향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1/3 내지 2/3의 두께를 갖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실험 결과, 180 옹스트롬(ÅA) 두께의 캐소드가 구현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45도 시야각에서 휘도가 약 60% 저하되었으나, 100 옹스트롬(ÅA) 두께의 캐소드가 구현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45도 시야각에서 휘도 저하가 45% 이하로 측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평평한 부분과 굴곡 부분에서의 두께가 이원화된 캐소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위 방법들은 제2 부분(102)이 굽혀지기 전에 평평한 상태로 (굴곡 부분을 포함한) 모든 표시 영역의 캐소드가 형성되는 것을 전제한 제조 방법이다. 첫 번째 제조 방법은 ①전체 표시 영역(A/A-1 및 A/A-2)에 캐소드를 형성한 후에, ②제1 표시 영역(A/A-1)에 형성된 캐소드 위에만 캐소드 물질을 더 적층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①, ② 단계에서 각각 하나씩 총 2개의 마스크가 필요하다. 두 번째 제조 방법은, 제2 표시 영역(A/A-2)에 대응되는 개구부(open area)에는 그물망(mesh)이 있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영역(A/A-2)에는 캐소드 물질이 상대적으로 덜 증착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첫 번째 방법에 비해 정밀하게 캐소드 두께를 조절하기 어렵지만, 대신 1개의 마스크만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예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7a의 그것과 같다. 다만,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 대신에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122)이 도시되었다.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2), 그리고, 제1 표시 영역(A/A-1); 제2 표시 영역(A/A-2); 비표시 영역(I/A)에 대한 설명은 도 7a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색 변동 저감 구조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제2 표시 영역(A/A-2)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보다 얇은 애노드(anode) 전극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애노드 전극(122)은 상기 제2 부분(102)의 곡률 반지름 및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표시 영역(A/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122)은 복수 개의 금속 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반사율이 높은 은(Ag) 등의 금속이 애노드로 사용될 때, 부식 방지/저항 저감를 위해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금속이 그 상하에 적층되어 다층(multi-layer) 구조의 애노드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에 있는 애노드의 복수 개의 금속 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에 있는 애노드의 금속 층들 중 대응되는 금속 층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복수 개의 금속 층으로 이루어진 애노드 전극을 포함할 때,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층은,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중 대응되는 금속 층보다 얇게 구현될 수 있다.
도 8b의 예시에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에 형성된 3중층의 애노드가 도시되었으며, 반사율이 소정 기준 이상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 층(122-1b, 122-2b); 상기 제1 금속 층의 일 면에 접하는 제2 금속 층(122-1a, 122-2a); 및 상기 제1 금속 층의 타 면에 접하는 제3 금속 층(122-1c, 122-2c)이 각 표시 영역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금속 층(122-1a, 122-2a)은 상기 제1 금속 층(122-1b, 122-2b)과 박막트랜지스터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층이며, 상기 제3 금속 층(122-1c, 122-2c) 상기 제1 금속 층(122-1b, 122-2b)과 유기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 층이다. 이때 상기 제2 표시 영역(A/A-2)의 애노드 전극 중 하나의 금속 층(122-2c)의 두께(A2)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의 애노드 전극 중 대응되는 금속 층(122-1c)의 두께(A1)보다 작을 수 있다(A2<A1). 상기 제1 금속 층(122-1b, 122-2b)은 은(Ag)이고, 상기 제2 금속 층(122-1a, 122-2a) 및 상기 제3 금속 층(122-1c, 122-2c)은 ITO인 예에서, 제2 표시 영역(A/A-2)의 제3 금속층(122-2c) 두께(A2)는 50 옹스트롬(ÅA)이고, 제1 표시 영역(A/A-1)의 제3 금속층(121-2c) 두께(A1)는 140 옹스트롬(ÅA)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평한 부분과 굴곡 부분에서의 두께가 이원화된 애노드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위 방법은 제2 부분(102)이 굽혀지기 전에 평평한 상태로 (굴곡 부분을 포함한) 모든 표시 영역의 애소드가 형성되는 것을 전제한 제조 방법이다. ①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에 동일한 두께로 애노드 물질(예: ITO-Ag-ITO)을 적층하고, ② 적층된 애노드의 최상부에 애노드 물질(예: ITO)을 추가로 증착한 다음에, ③ 제2 표시 영역(A/A-2)에 더 정착된 애노드 물질만 식각하고 제1 표시 영역에(A/A-1) 더 증착된 물질은 남긴다. 이 과정을 통하면 제1 표시 영역(A/A-1)의 애노드(최상부 금속 층)만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당업자에 의해 기술적으로 다양하게 연동 및 구동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곡률로 구부러진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보다 얇은 애노드(anode)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은 복수 개의 금속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층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중 대응되는 금속 층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일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은, 반사율이 소정 기준 이상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 층, 상기 제1 금속 층의 일 면에 접하는 제2 금속 층 및 상기 제1 금속 층의 타 면에 접하는 제3 금속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제3 금속 층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3 금속 층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층은 상기 제1 금속 층과 박막트랜지스터 사이에 있고,
    상기 제3 금속 층은 상기 제1 금속 층과 유기발광 층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층은 은(Ag)으로 이루어진 금속 층이고,
    상기 제2 금속 층 및 상기 제3 금속 층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금속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70068096A 2017-05-31 2017-05-31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7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096A KR102378305B1 (ko) 2017-05-31 2017-05-31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220034567A KR20220041803A (ko) 2017-05-31 2022-03-21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096A KR102378305B1 (ko) 2017-05-31 2017-05-31 플렉서블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567A Division KR20220041803A (ko) 2017-05-31 2022-03-21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87A KR20180131287A (ko) 2018-12-10
KR102378305B1 true KR102378305B1 (ko) 2022-03-23

Family

ID=646705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096A KR102378305B1 (ko) 2017-05-31 2017-05-31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220034567A KR20220041803A (ko) 2017-05-31 2022-03-21 플렉서블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567A KR20220041803A (ko) 2017-05-31 2022-03-21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8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9040B (zh) * 2019-11-19 2023-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屏组件、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606A (ja) * 2006-05-29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87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339719B1 (ko) * 2015-02-13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606A (ja) * 2006-05-29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87A (ko) 2018-12-10
KR20220041803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5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20210336227A1 (en) Display apparatus
KR102664769B1 (ko) 표시장치
KR102569727B1 (ko) 표시장치
KR20200052167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2024003722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240188325A1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43624A (ko) 표시장치
KR20180121256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2022004180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73973B1 (ko) 표시 장치
KR2021007454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14878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8598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61547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3836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3319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67252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90013082A (ko) 표시장치
US11930688B2 (en) Display device for blocking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interior while extending cathode electrode
KR102610485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5741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06963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17405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1007236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